KR20110078803A -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 Google Patents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8803A
KR20110078803A KR1020090135702A KR20090135702A KR20110078803A KR 20110078803 A KR20110078803 A KR 20110078803A KR 1020090135702 A KR1020090135702 A KR 1020090135702A KR 20090135702 A KR20090135702 A KR 20090135702A KR 20110078803 A KR20110078803 A KR 20110078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warm air
heat
vertical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근수
Original Assignee
윤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근수 filed Critical 윤근수
Priority to KR1020090135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8803A/ko
Priority to CN2010102240266A priority patent/CN102116302A/zh
Priority to PCT/KR2010/009562 priority patent/WO2011081475A2/ko
Publication of KR20110078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8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2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84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cooling or heating the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6Centrifugal pumps for displacing without appreciable compr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02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6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by influencing fluid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2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04D29/023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04D29/388Blad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1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20Three-dimensional
    • F05D2250/23Three-dimensional prisma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축부 내부에 구비된 발열수단에 의해 생성된 복사열이 회전하는 수직날개에 의해 사방으로 토출되도록 한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11)가 구비된 스탠드(10); 모터축(21)이 지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스탠드(10)에 설치되고, 제어부(11)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20); 측면에 복수의 발열 통공(33)이 형성된 중공 원통 형상의 중심축부(32)와, 중심축부(32)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수직날개(34a, 34b, 34c)로 구성되어 모터(20)에 의해 구동되는 수직날개부(30); 수직날개부(30)를 감싸도록 형성된 보호망(40a, 40b); 및 중심축부(32) 내부에 설치되고, 제어부(11)에 의해 제어되는 발열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가 제공된다.
사방향, 선풍기, 수직날개, 발열수단, 온풍, 발열코일, 발열램프

Description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Omni-directional electric fan having the function of hot air blowing}
본 발명은 사방향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심축부 내부에 구비된 발열수단에 의해 생성된 복사열이 회전하는 수직날개에 의해 사방으로 토출되도록 한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프로펠러형 날개로 바람을 생성하고, 기화열을 이용하여 시원함을 느끼게 되는 냉방기기의 일종이다. 선풍기는 에어컨과 같이 냉매를 이용한 냉방기기에 비해 크기가 작고 저렴할 뿐만 아니라 전력소모가 작은 장점으로 인해 여름철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난방기기의 일종인 전기 히터는 저항체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함으로써 난방효과를 내도록 한 것이다. 전기 히터 역시 난방용 에어컨에 비해 경제적인 이점을 갖고 있어 겨울철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풍기와 전기 히터는 단순한 구조로 가정, 사무실 등 소규모 공간의 냉난방에 적합하다. 그러나, 선풍기와 전기 히터는 여름철 또는 겨울철에만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 창고 등에 보관하여야 하고, 기기의 수 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되었다. 그리고, 선풍기와 전기 히터를 별도로 구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선풍기는 바람이 일방향으로 토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바람이 미치는 범위가 매우 좁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대략 90ㅀ로 선회가능한 선회장치가 구비되는데 이 역시 바람이 미치는 범위가 제약될 수밖에 없고, 바람의 세기가 고르지 못하여 냉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전기 히터 역시 저항체 주위에 반사판을 구비하여 복사열이 일방향으로 방사되도록 하기 때문에 복사열이 미치는 범위가 좁아서 난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을 사방향으로 일정하게 토출시킬 수 있고, 온풍기능이 구비되어 효율적인 냉난방이 가능한 사방향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부(11)가 구비된 스탠드(10); 모터축(21)이 지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스탠드(10)에 설치되고, 제어부(11)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20); 측면에 복수의 발열 통공(33)이 형성된 중공 원통 형상의 중심축부(32)와, 중심축부(32)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수직날개(34a, 34b, 34c)로 구성되어 모터(20)에 의해 구동되는 수직날개부(30); 수직날개부(30) 를 감싸도록 형성된 보호망(40a, 40b); 및 중심축부(32) 내부에 설치되고, 제어부(11)에 의해 제어되는 발열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날개부(30)는 플라스틱, 금속 또는 세라믹을 포함한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사방향 선풍기는 복수의 수직날개(34a, 34b, 34c)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중심축부(32)의 상단과 하단에 상부 보조날개(37)와 하부 보조날개(38)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각 수직날개(34a, 34b, 34c)는 소정 각(α)만큼 후향하도록 만곡된다. 이때, 각 수직날개(34a, 34b, 34c)는 후면에 발열수단(50)으로부터 방사된 복사열을 반사시키는 반사층(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모터(20)의 회전속도를 정하는 풍속 조절버튼(12)과, 모터(20)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타이머 기능을 갖는 off 및 타임스위치(13)와, 발열수단(50)의 작동 및 발열량을 조절하는 온열 스위치(14)와, 발열수단(50)의 발열시간을 조절하는 온열 타이머(15)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사방향 선풍기는 보호망(40a, 40b)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지지대(41)와, 반사층(42a)이 일면에 형성되어 보호망(40a, 40b)의 일측을 차단하는 차단막(42)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발열수단(50)은 중심축부(32)의 상측에 설치된 지지브라켓(51)과, 발열코일 또는 발열램프로 이루어져 지지브라켓(51)의 하부에 고정된 발열체(52)로 구성된다. 이때, 발열체(50)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방형 선풍기에 있어서, 발열체(50)는 원기둥 또는 원뿔 형상을 갖고, 원뿔 형상의 발열체(50)로부터 방사되는 복사열을 수직날개(34a, 34b, 34c)로 반사시키는 반사갓(53)이 발열체(50)의 꼭지점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방향 선풍기는 수직날개부의 회전을 통해 바람을 사방향으로 일정하게 토출시킴으로써 냉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직날개부의 중심축부 내부에 발열수단이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온풍을 토출시킬 수 있어 사계절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난방효율이 우수하여 가정, 사무실, 공장 등 넓은 공간의 냉난방에 사용될 수 있으며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난방시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이 방출되어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제1 실시예 ]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방향 선풍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방향 선풍기는 스탠드(10), 모터(20), 수직날개부(30), 보호망(40a, 40b) 및 발열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탠드(10)는 모터(20)를 지지하고, 모터(20)와 발열수단(5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가 구비된다. 스탠드(10)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속 조절버튼(12), off 및 타임스위치(13), 온열 스위치(14) 및 온열 타이머(15)가 구비된다. 풍속 조절버튼(12)은 모터(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고, 수직날개부(30)에 의해 토출되는 풍속을 조절할 수 있다. off 및 타임스위치(13)는 모터(20)의 전원을 차단하는 기능과 구동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 기능을 갖는다. 온열 스위치(14) 는 발열수단(50)을 on-off시키고, 다단계로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온열 타이머(15)는 발열수단(50)의 발열시간을 조절가능하다.
모터(20)는 수직날개부(3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모터(20)는 스탠드(10)의 베이스, 즉 바닥면에 대하여 모터축(21)이 수직되도록 스탠드(10)의 상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모터축(21)에는 하부 보조날개(38)가 끼워맞춤 방식 등으로 고정된다. 한편, 모터(20)의 둘레에는 하부 보호망(40a)을 지지하기 위한 단차면(22)이 형성되고, 단차면(22)의 상측에는 지지대(41)의 설치를 위한 한 쌍의 지지대 삽입공(23)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날개부의 단면도이다. 수직날개부(30)는 모터(20)에 의해 회전 구동함으로써 사방향으로 바람을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수직날개부(3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원통 형상의 중심축부(32)와, 중심축부(32)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수직날개(34a, 34b, 34c)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직날개부(30)는 발열수단(50)에서 생성되는 고온의 열에 견딜 수 있도록 내열플라스틱, 내열금속, 내열세라믹스와 같은 내열성 재료가 사용된다.
중심축부(32)는 발열수단(50)에 의해 생성된 복사열이 통과할 수 있도록 측면에 다수의 발열 통공(3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 유동량을 최대로 하기 위해 수직날개(34a, 34b, 34c)들 사이에 직사각 형태의 발열 통공(3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달리 수직날개(34a, 34b, 34c)들 사이에 공기 흐름이 원활하도록 격자형, 원형 등 여러 형태의 발열 통공(3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수직날개(34a, 34b, 34c)는 중심축부(32)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날개가 구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2개 또는 3개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각 수직날개(34a, 34b, 34c)는 도 3에서와 같이 중심축부(32)를 중심으로 대략 20 ~ 50ㅀ의 후퇴각(α)을 갖고, 전면이 돌출 만곡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화살표는 수직날개부(30)의 회전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각 수직날개(34a, 34b, 34c)의 후면에는 발열수단(50)으로부터 방사된 복사열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층(35)이 형성된다. 반사층(35)은 알루미늄과 같은 열반사율이 높은 재료가 코팅될 수 있고, 박판 형태로 접합될 수 있다.
또한, 각 수직날개(34a, 34b, 34c)의 반사층(35)에는 음이온 또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소재가 함유될 수 있다.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소재로는 숯, 게르마늄, 토루마린 등이 있고, 음이온을 방출하는 소재로는 토루마린, 아크릴, 세라믹 등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직날개부(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부(32)의 상단과 하단에 상부 보조날개(37)와 하부 보조날개(38)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하부 보조날개(37, 38)는 풍향이 수직날개(34a, 34b, 34c)의 중심을 향하도록 하여 끼워맞춤 방식 등으로 중심축부(32)에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하부 보조날개(38)는 모터축(21)에 고정되고, 상부 보조날개(37)는 중심에 베어링부재(37a)가 구비되어 발열수단(50)의 지지브라켓(51) 외주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수직날개부(30)의 회전을 위한 지지구조를 갖 추게 된다.
보호망(40a, 40b)은 서로 조립 가능한 하부 보호망(40a)과 상부 보호망(40b)으로 이루어지고, 수직날개부(30)를 감싸게 된다. 이때, 하부 보호망(40a)은 모터(20)에 끼워져 단차면(22)에 지지된다. 또한, 원통 또는 다각형의 보호망을 통해 제어부(11)를 제외한 상기의 모든 구성이 수납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보호망(40a, 40b)의 내부에는 지지대(41)가 구비된다. 지지대(41)는 봉부재로 보호망(40a, 40b)의 내면을 따라 'ㅁ'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지지대(41)의 양단이 모터(20)에 형성된 지지대 삽입공(23)에 고정된다. 그리고, 지지대(41)의 상부 중심에는 발열수단(50)의 지지브라켓(51)이 설치되기 위한 지지구멍(4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41)의 둘레에는 지지구멍(41a)을 통하여 발열수단(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미도시)이 설치되는 배선홈(41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풍향 조절을 위한 차단막(42)이 구비된다. 차단막(42)은 보호망(40a, 40b)의 일측을 차단함으로써 보호망(40a, 40b)의 타측으로 바람이 토출되도록 한다. 이때, 차단막(4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망(40a, 40b)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착탈이 용이하도록 보호망(40a, 40b)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차단막(42)의 내측면에는 반사층(42a)이 형성되어 수직날개부(30)로부터 토출된 복사열을 반사하게 된다.
발열수단(50)은 난방을 위해 중심축부(32)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수단(5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부(32)에 내장되도록 원기둥 형상을 갖는 지지브라켓(51) 및 발열체(52)로 구성된다.
지지브라켓(51)은 상단부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어 지지대(41)의 암나사가 형성된 지지구멍(41a)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부 보조날개(37)가 지지브라켓(51)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발열체(52)는 지지브라켓(51)의 하면에 고정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발열체(52)는 열선(52a)이 감긴 형태의 발열코일이 사용된다. 발열체(52)는 제어부(11)의 온열 스위치(14)를 조작함으로써 약 100 ∼ 300℃의 범위에서 다단계로 발열량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발열체(52)는 할로겐 램프와 같은 발열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적외선이 방출되는 발열램프를 사용함으로서 살균작용을 통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1)의 풍속 조절버튼(12)을 선택하여 누르게 되면 모터(20)에 의해 수직날개부(30)와 상하부 보조날개(37, 38)가 해당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부 및 하부 보조날개(37, 38)는 각각 도 2의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하게 되고, 수직날개(34a, 34b, 34c)가 사방으로 바람을 일정하게 토출하게 된다. 이로 인해 360ㅀ의 넓은 범위에 대하여 동시 냉 방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풍속 조절버튼(12)을 선택하여 풍속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수직날개(34a, 34b, 34c)의 표면에서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이 방출됨으로써 쾌적한 실내 공기를 조성하고, 인체에 이로운 작용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방향 선풍기의 온풍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방향 선풍기는 겨울철, 장마철 등에 사용하기 위한 온풍기능이 구비된다. 제어부(11)의 온열스위치(14)를 on시키면 발열수단(50)의 발열체(52)가 발열하게 된다. 발열체(52)에 의해 생성된 복사열은 중심축부(32)의 발열 통공(33)을 통해 사방으로 방사된다. 이때, 방사된 복사열 중 일부는 후향 만곡된 수직날개(34a, 34b, 34c)의 반사층(35)에 의해 반사되어 복사열이 효과적으로 방사된다.
그리고, 제어부(11)의 풍속 조절버튼(12)을 누르게 되면 수직날개부(30)가 도 4의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수직날개(34a, 34b, 34c)가 회전하면서 복사열을 큰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주게 됨에 따라 사방으로 온풍이 토출된다. 그리고, 토출된 온풍은 대류작용으로 차가운 실내 공기를 신속하게 데울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사방향 선풍기는 종래의 전기 히터에 비해 난방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방향 선풍기는 보호망(40a, 40b)에 차단막(42)을 설치함으로써 일정 범위의 각도로 온풍을 토출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사방향 선풍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방향 선풍기는 도 5에서와 같이 발열수단(50')의 형상 및 구조가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발열수단(50')을 제외한 구성요소들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수단(50')은 지지브라켓(51)과, 지지브라켓(51)의 하부에 고정된 원뿔 형상의 발열체(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브라켓(51)은 상단부가 지지대(41)의 지지구멍(41a)에 체결된다. 그리고, 발열체(52')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열선(52a)이 감긴 형태의 발열코일이 사용되거나, 할로겐 램프와 같은 발열램프(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브라켓(51)의 하부 둘레에는 발열체(52')에서 방사하는 복사열을 수직날개(34a, 34b, 34c)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갓(53)이 형성된다. 이때, 반사갓(53)의 내측면에는 열반사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발열체(52')의 하부 둘레에는 열반사층이 형성된 보조 반사갓(54)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사방향 선풍기는 발열체(50')가 원뿔 형상으로 되어 있어 복사열이 반사갓(53)과 보조 반사갓(54)에서 반사되어 복사열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직날개(34a, 34b, 34c)에서 많은 양의 복사열을 토출할 수 있어 난방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방향 선풍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직날개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방향 선풍기의 온풍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사방향 선풍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탠드 11 : 제어부
12 : 풍속 조절버튼 13 : off 및 타임스위치
14 : 온열 스위치 15 : 온열 타이머
20 : 모터 21 : 모터축
22 : 단차면 23 : 지지대 삽입공
30 : 수직날개부 32 : 중심축부
33 : 발열 통공 34a, 34b, 34c : 수직날개
35 : 반사층 37 : 상부 보조날개
37a : 베어링부재 38: 하부 보조날개
40a : 하부 보호망 40b : 상부 보호망
41 : 지지대 41a : 지지구멍
41b : 배선홈 42 : 차단막
42a : 반사층 50, 50' : 발열수단
51 : 지지브라켓 52, 52' : 발열체
52a : 열선 53 : 반사갓
54 : 보조 반사갓

Claims (9)

  1. 제어부(11)가 구비된 스탠드(10);
    모터축(21)이 지면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스탠드(10)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11)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20);
    측면에 복수의 발열 통공(33)이 형성된 중공 원통 형상의 중심축부(32)와, 상기 중심축부(32)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수직날개(34a, 34b, 34c)로 구성되어 상기 모터(20)에 의해 구동되는 수직날개부(30);
    상기 수직날개부(30)를 감싸도록 형성된 보호망(40a, 40b); 및
    상기 중심축부(32)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11)에 의해 제어되는 발열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날개부(30)는 플라스틱, 금속 또는 세라믹을 포함한 내열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날개(34a, 34b, 34c)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중심축부(32)의 상단과 하단에 상부 보조날개(37)와 하부 보조날개(38)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직날개(34a, 34b, 34c)는 소정 각(α)만큼 후향하도록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직날개(34a, 34b, 34c)는 후면에 상기 발열수단(50)으로부터 방사된 복사열을 반사시키는 반사층(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모터(20)의 회전속도를 정하는 풍속 조절버튼(12)과,
    상기 모터(20)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타이머 기능을 갖는 off 및 타임스위치(13)와,
    상기 발열수단(50)의 작동 및 발열량을 조절하는 온열 스위치(14)와,
    상기 발열수단(50)의 발열시간을 조절하는 온열 타이머(1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망(40a, 40b)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지지대(41)와, 반사층(42a)이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보호망(40a, 40b)의 일측을 차단하는 차단막(42)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50)은
    상기 중심축부(32)의 상측에 설치된 지지브라켓(51)과,
    발열코일 또는 발열램프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브라켓(51)의 하부에 고정된 발열체(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50)는 원기둥 또는 원뿔 형상을 갖고, 그리고
    상기 원뿔 형상의 발열체(50)로부터 방사되는 복사열을 상기 수직날개(34a, 34b, 34c)로 반사시키는 반사갓(53)이 상기 발열체(50)의 꼭지점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KR1020090135702A 2009-12-31 2009-12-31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KR2011007880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702A KR20110078803A (ko) 2009-12-31 2009-12-31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CN2010102240266A CN102116302A (zh) 2009-12-31 2010-05-13 具有热风吹出功能的全向电风扇
PCT/KR2010/009562 WO2011081475A2 (ko) 2009-12-31 2010-12-30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702A KR20110078803A (ko) 2009-12-31 2009-12-31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803A true KR20110078803A (ko) 2011-07-07

Family

ID=44215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702A KR20110078803A (ko) 2009-12-31 2009-12-31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10078803A (ko)
CN (1) CN102116302A (ko)
WO (1) WO2011081475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9319A (zh) * 2014-07-09 2014-10-08 张保忠 多功能电热器
EP3425207A4 (en) * 2016-03-02 2019-11-06 LG Electronics Inc. -1- blower
KR20200004532A (ko) * 2018-07-04 2020-01-14 조은호 선풍기 및 온풍기 겸용 공기조화장치
KR102244669B1 (ko) * 2019-11-04 2021-04-27 (주)엘리원 라운드형 열풍 팬히터
KR20230002009A (ko) * 2021-06-29 2023-01-05 에어메이트 일렉트릭컬(쉔첸) 컴퍼니 리미티드 가열식 관류 블로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00932B (zh) * 2011-11-21 2016-01-20 李家俊 一种一体化多用暖风机风扇
CN103610551B (zh) * 2013-11-04 2017-01-18 宁波戴维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婴儿培养箱用加热系统
KR102407570B1 (ko) * 2017-09-01 2022-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동 발생장치
CN109269096A (zh) * 2018-09-28 2019-01-25 侯马高知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扇热风的电风扇
CN109899988A (zh) * 2019-03-11 2019-06-18 上海暖虫科技有限公司 一种暖风机壳体结构
CN110273851A (zh) * 2019-07-30 2019-09-24 孙峰 一种同时向360度方向吹风的风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197U (ja) * 1984-07-05 1986-01-31 正一 寺園 360゜送風式扇風機及び温風ヒ−タ−
JPS6235093A (ja) * 1985-08-09 1987-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気スト−ブ付扇風機
KR920003636Y1 (ko) * 1990-07-04 1992-06-01 조춘상 온풍기 겸용 선풍기
US5437001A (en) * 1992-12-21 1995-07-25 The W. B. Marvin Manufacturing Company Upright radiant electric heating appliance
CN2306351Y (zh) * 1997-02-20 1999-02-03 陈立超 冷热两用电风扇
KR100890568B1 (ko) * 2007-12-04 2009-03-25 최현규 다단 송풍휀을 갖는 온풍기
KR20090069420A (ko) * 2007-12-26 2009-07-01 홍권수 따뜻한바람이나오는선풍기
KR100917670B1 (ko) * 2008-02-15 2009-09-16 윤근수 냉온 선풍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9319A (zh) * 2014-07-09 2014-10-08 张保忠 多功能电热器
EP3425207A4 (en) * 2016-03-02 2019-11-06 LG Electronics Inc. -1- blower
US10914310B2 (en) 2016-03-02 2021-02-09 Lg Electronics Inc. Blowing device
KR20200004532A (ko) * 2018-07-04 2020-01-14 조은호 선풍기 및 온풍기 겸용 공기조화장치
KR102244669B1 (ko) * 2019-11-04 2021-04-27 (주)엘리원 라운드형 열풍 팬히터
KR20230002009A (ko) * 2021-06-29 2023-01-05 에어메이트 일렉트릭컬(쉔첸) 컴퍼니 리미티드 가열식 관류 블로어
JP2023007320A (ja) * 2021-06-29 2023-01-18 エアメイト エレクトリカル(センゼン)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加熱式クロスフローファ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16302A (zh) 2011-07-06
WO2011081475A2 (ko) 2011-07-07
WO2011081475A3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8803A (ko)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US7003217B2 (en) Infrared heating system for patio umbrella
KR100917670B1 (ko) 냉온 선풍기
CN105286263A (zh) 一种吹风机
WO2011071458A1 (en) A heater
KR20110075761A (ko) 사방향 냉온풍기
US6324340B1 (en) Combined electric fan and radiation heater
KR200339264Y1 (ko) 냉난방 겸용 송풍기
KR200449052Y1 (ko) 축사용 천장형 히터
CN201964506U (zh) 电热取暖器
KR102430975B1 (ko) 발열효율과 안전성을 개선한 온실용 온풍기
KR200452868Y1 (ko) 열풍 블로워
KR200386476Y1 (ko) 전기온풍기
KR200219902Y1 (ko) 히터겸용 선풍기
KR200322904Y1 (ko) 방열성능을 향상시킨 히터
KR20130033063A (ko) 열풍이 공급되는 전기히터
JP5415882B2 (ja) 屋外ストーブ
KR200194145Y1 (ko) 히터 겸용 선풍기
KR200316314Y1 (ko) 온풍기
CN215723545U (zh) 一种内设发热体的贯流风鼓
WO2013160812A1 (en) A heating group
CN220931222U (zh) 取暖器
KR101125839B1 (ko) 히팅 겸용 선풍기
KR200312517Y1 (ko) 온풍기
KR200237145Y1 (ko) 전기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