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669B1 - 라운드형 열풍 팬히터 - Google Patents

라운드형 열풍 팬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669B1
KR102244669B1 KR1020190139386A KR20190139386A KR102244669B1 KR 102244669 B1 KR102244669 B1 KR 102244669B1 KR 1020190139386 A KR1020190139386 A KR 1020190139386A KR 20190139386 A KR20190139386 A KR 20190139386A KR 102244669 B1 KR102244669 B1 KR 102244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diffusion
hollow shaft
stand
fan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숙
Original Assignee
(주)엘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리원 filed Critical (주)엘리원
Priority to KR1020190139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1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4H3/0417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portable or mob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운드형 열풍 팬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체의 방열이 360도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풍압 발생을 통해 방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라운드형 열풍 팬히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에 고정되며, 사방을 향해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 발열체; 상기 발열체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가이드편에 의해 발열체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방열영역을 구획시킨 확산날개; 및 상기 확산날개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수단은,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를 감싸는 회전자로 구성되며, 상기 확산날개의 하부는 상기 회전자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자의 중앙을 통해 상방으로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전원케이블이 통과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中空)으로 이루어진 중공 샤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확산날개의 하부에는 상기 중공 샤프트가 통과되는 중앙공이 형성되며, 상기 발열체는 상기 확산날개의 중앙공을 통과한 상기 중공 샤프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중공 샤프트를 통과한 전원케이블에 연결되어 전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중공 샤프트는 스탠드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공 샤프트의 상단부에는 계단 형태의 단차진 결합캡이 설치되며, 상기 발열체의 하부 내주면은 상기 결합캡의 단차에 대응되는 계단 형태의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발열체는 스탠드의 상방에서 하강하여 중공 샤프트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확산날개는 확산날개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고 평평한 격벽의 형태로 구성된 복수의 가이드편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확산날개의 중앙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이웃하는 가이드편과의 설치각은 발열체로부터 외측을 향할수록 벌어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형 열풍팬 히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라운드형 열풍 팬히터{A round type fan heater}
본 발명은 라운드형 열풍 팬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열범위 및 풍압 발생을 통해 방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라운드형 열풍 팬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에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내부온도를 높이기 위하여 전기스토브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전기스토브의 발열수단으로서 니크롬선이나 할로겐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전기스토브의 형상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최근 선풍기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도 1 은 종래의 선풍기형 전기스토브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풍기형 전기스토브(1)는 전면에 안전망(2)이 부착되는 반사판(3)을 파라볼라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하고, 중앙에 설치되는 발열체(4)는 원추형상의 보빈에 감겨진 열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반사판(3)에 복사되어 전면으로 방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반사판(3)은 스탠드(5)의 상부에 부착되어 구성된다. 스탠드(5)에는 발열체(4)를 ON/OFF시키는 버튼 및 발열온도를 제어하는 버튼 등이 설치되며, 반사판(3)을 회전시키는 회전노브가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선풍기형 전기스토브(1)는 발열체(4)의 열발산 방향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선풍기형 전기스토브(1)는 명칭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반사판(3)의 지면에 대한 회전각도는 기존 선풍기의 회전 각도에 대응되는데, 이러한 회전각도는 대략 180도내외이다. 선풍기형 전기스토브(1)는 이러한 반사판(4)의 제한적인 회전각도로 인해 방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선풍기형 스토브(1)는 반사판(3)을 이용한 복사열 방식으로 방열이 이루어지는바, 이는 주변 온도 상승 효율성을 높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발열체의 열 발산거리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039418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체의 방열 범위를 360도로 제공하고, 발열체를 감싼 확산날개의 회전을 통해 방열거리를 최대화함으로써 온열 기능의 효율성을 높인 라운드형 열풍팬 히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에 고정되며, 사방을 향해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 발열체; 상기 발열체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가이드편에 의해 발열체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방열영역을 구획시킨 확산날개; 및 상기 확산날개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수단은,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를 감싸는 회전자로 구성되며, 상기 확산날개의 하부는 상기 회전자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자의 중앙을 통해 상방으로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전원케이블이 통과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中空)으로 이루어진 중공 샤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확산날개의 하부에는 상기 중공 샤프트가 통과되는 중앙공이 형성되며, 상기 발열체는 상기 확산날개의 중앙공을 통과한 상기 중공 샤프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중공 샤프트를 통과한 전원케이블에 연결되어 전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중공 샤프트는 스탠드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공 샤프트의 상단부에는 계단 형태의 단차진 결합캡이 설치되며, 상기 발열체의 하부 내주면은 상기 결합캡의 단차에 대응되는 계단 형태의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발열체는 스탠드의 상방에서 하강하여 중공 샤프트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확산날개는 확산날개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고 평평한 격벽의 형태로 구성된 복수의 가이드편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확산날개의 중앙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이웃하는 가이드편과의 설치각은 발열체로부터 외측을 향할수록 벌어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형 열풍팬 히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이때, 상기 확산날개의 하부에는 상기 중앙공이 형성된 요홈 형태의 결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동력수단의 회전자는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라운드형 열풍팬 히터는 사방으로 발열할 수 있는 원기둥 형태의 발열체가 제공되고, 상기 발열체를 감싸는 확산날개가 제공됨으로써 발열체의 방열 범위는 360도가 된다. 이에 따라, 주변 고르게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라운드형 열풍팬 히터는 방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확산날개는 발열체를 중심으로 발열체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확산날개의 원심력에 의해 발열체의 방열 거리는 최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라운드형 열풍팬 히터는 방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라운드형 열풍팬 히터는 발열체를 OFF시킨 상태에서 확산날개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이는 360도 방향으로 바람을 발생할 수 있는 선풍기 역할을 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풍기형 전기스토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열풍팬 히터를 나타낸 분해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열풍팬 히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열풍팬 히터의 확산날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열풍팬 히터의 확산날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열풍팬 히터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라운드형 열풍팬 히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라운드형 열풍팬 히터는 사방을 향해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방향으로 360도 방열할 수 있으며, 풍압을 발생하여 방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라운드형 열풍팬 히터(이하, '히터'라 함)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100)와, 발열체(200)와, 확산날개(300)와, 중공 샤프트(400)와, 동력수단(500)과, 안전망(600)을 포함한다.
스탠드(100)는 히터의 하부를 구성하며, 바닥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제공된다. 스탠드(100)에는 전원 및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각 부품들이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각 버튼들로 이루어진 컨트롤부(110)가 설치된다.
발열체(200)는 전기를 이용해 열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며, 지면에 대하여 360도 사방을 향해 방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열체(200)는 사방을 향해 열을 발산할 수 있도록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형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60도 입체적으로 방열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이면 무방하다.
확산날개(300)는 바람을 발생하여 발열체(200)로부터 발산된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확산날개(300)는 발열체(200)를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된다. 확산날개(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200)가 위치될 수 있도록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둘레를 따라 복수의 가이드편(310)이 형성된다. 가이드편(310)은 발열체(200)의 방열 방향을 가이드하며 방열영역(A)을 복수로 구획한다. 확산날개(300)의 높이는 발열체(200)의 높이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의 재질은 내열성이 높은 재질임이 더욱 바람직하다. 확산날개(300)의 가이드편(310)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고 평평한 격벽의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날개(300)의 중앙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이웃하는 가이드편(310)과 이루는 설치각은 발열체(200)에서 외측을 향할 수록 벌어진 각도를 형성하는 바, 확산날개(300)는 방열시 열의 확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편(310)은 확산날개(300)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링(320)과, 확산날개(300)의 하부에 마련된 결합홈부(330) 사이에 고정된다. 고정링(320)은 상,하 관통된 링 형태로 제공되어 확산날개(300)의 내외부로 발열체(200)의 출입을 용이하게 한다. 결합홈부(330)는 후술하는 동력수단(500)과의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서, 동력수단(500)과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결합홈부(330)는 하방을 향해 개구된 요홈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결합홈부(33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공(331)이 형성된다. 중앙공(331)은 발열체(200)로 전기 공급을 위한 케이블(C)이 통과되는 통로이며, 상,하 관통 형성된다.
중공 샤프트(400)는 발열체(200)를 스탠드(100)에 지지하는 역할 및 발열체(200)에 케이블(C)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중공 샤프트(400)는 후술하는 동력수단(500)을 통해 스탠드(100)에 고정되며, 그의 내부는 중공(中空)의 형태로 구성된다. 즉, 발열체(200)에 전기 공급을 위한 케이블(C)은 중공 샤프트(400)의 내부를 통해 중공 샤프트(400)의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중공 샤프트(4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 발열체(200)에 전기 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중공 샤프트(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100)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중공 샤프트(400)의 상단부에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2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캡(410)이 구성된다. 결합캡은 발열체와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끼움 결합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캡(410)의 외주면과 발열체(200)의 하부 내주면은 서로 부합될 수 있도록 계단 형태의 단차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발열체(200)는 스탠드(100)의 상방에서 하강하여 중공 샤프트(400)에 단순 안착될 수 있으므로, 중공 샤프트(400)에 발열체(20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차진 결합캡(410)에 의해 발열체(20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동력수단(500)은 확산날개(30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며, 스탠드(100)에 설치된다. 동력수단(5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자(510)와, 회전자(520)를 포함하며 회전자(520)는 고정자(51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동력수단(500)은 축 회전을 통해 확산날개(300)를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고정자(510)를 감싸는 외측의 회전자(520) 회전을 통해 확산날개(3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수단(500)으로 제공된다. 예컨대 동력수단(500)은 중공모터, BLDC모터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실링팬을 구동하는 실링팬 모터로 제공될 수 있다. 동력수단(500)의 회전자(5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날개(300)의 결합홈부(33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동력수단(500)의 중앙은 상,하 관통 형성되며, 그 관통된 부위로 중공 샤프트(400)가 설치된다.
안전망(600)은 사용자의 화상 위험을 방지하며, 발열부위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안전망(600)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발열체(200)의 방열이 360도 입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라운드형 열풍팬 히터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작업자는 스탠드(100)에 설치된 동력수단(500)의 상방으로 중공 샤프트의 결합캡이 노출되도록 설치한다. 이에 따라, 동력수단(500)의 회전자(520) 및 결합캡(4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100)의 상방으로 노출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확산날개(300)를 동력수단(500)의 회전자(520)에 결합시킨다. 이때, 회전자(520)의 외경은 결합홈부(330)의 요홈 내경에 대응되므로 상호 간에 끼움 결합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확산날개(300)의 상방에서 발열체(200)를 확산날개(300)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부(330) 밖으로 노출된 케이블(C)을 발열체(200)에 연결시키고, 발열체(200)를 결합캡(410)에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안전망(600)으로 확산날개(300)를 덮어 스탠드(100)에 결합시킴으로써, 라운드형 열풍팬 히터 결합이 완료된다. 이후, 사용자는 스탠드(100)의 컨트롤러(110)를 조작하여 전원을 ON시키면 케이블(C)을 통해 발열체(200)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후, 발열체(200)는 열을 발산하고, 발산된 열은 확산날개(300)의 가이드편(310) 사이의 방열영역(A)을 통해 외부로 방열된다. 이때, 발열체(200)는 원기둥 형태로써 사방으로 방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확산날개(300) 역시 사방으로 방열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발열체(200)의 방열 범위는 360도이며 방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컨트롤러(110) 조작을 통해 확산날개(300)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확산날개(300)는 풍압을 발생하며, 풍압발생에 의해 발열체(200)의 방열 효율성은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컨트롤러(110)를 조작하여 발열체(200)를 OFF시킨 후 확산날개(300)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컨트롤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라운드형 열풍 히터는 발열체(200)가 발열하지 않는 상태에서 확산날개(300)만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선풍기 역할을 겸할 수 있다. 특히, 바람의 방향이 360도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선풍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운드형 열풍팬 히터는 방열이 360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고, 확산날개를 통한 바람을 일으켜 방열 효율성을 극대화하였다. 이에 따라, 라운드형 열풍팬 히터는 열풍의 방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스탠드 110 : 컨트롤러
200 : 발열체 300 : 확산날개
310 : 가이드편 320 : 고정링
330 : 결합홈부 331 : 중앙공
400 : 중공 샤프트 410 : 결합캡
500 : 동력수단 510 : 고정자
520 : 회전자 600 : 안전망

Claims (4)

  1.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에 고정되며, 사방을 향해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 발열체;
    상기 발열체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가이드편에 의해 발열체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방열영역을 구획시킨 확산날개; 및
    상기 확산날개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수단은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를 감싸는 회전자로 구성되며,
    상기 확산날개의 하부는 상기 회전자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자의 중앙을 통해 상방으로 돌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전원케이블이 통과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中空)으로 이루어진 중공 샤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확산날개의 하부에는 상기 중공 샤프트가 통과되는 중앙공이 형성되며,
    상기 발열체는 상기 확산날개의 중앙공을 통과한 상기 중공 샤프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중공 샤프트를 통과한 전원케이블에 연결되어 전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중공 샤프트는 스탠드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공 샤프트의 상단부에는 계단 형태의 단차진 결합캡이 설치되며, 상기 발열체의 하부 내주면은 상기 결합캡의 단차에 대응되는 계단 형태의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발열체는 스탠드의 상방에서 하강하여 중공 샤프트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확산날개는 확산날개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고 평평한 격벽의 형태로 구성된 복수의 가이드편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확산날개의 중앙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이웃하는 가이드편과의 설치각은 발열체로부터 외측을 향할수록 벌어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형 열풍팬 히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날개의 하부에는 상기 중앙공이 형성된 요홈 형태의 결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동력수단의 회전자는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형 열풍팬 히터.





KR1020190139386A 2019-11-04 2019-11-04 라운드형 열풍 팬히터 KR102244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386A KR102244669B1 (ko) 2019-11-04 2019-11-04 라운드형 열풍 팬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386A KR102244669B1 (ko) 2019-11-04 2019-11-04 라운드형 열풍 팬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669B1 true KR102244669B1 (ko) 2021-04-27

Family

ID=75725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386A KR102244669B1 (ko) 2019-11-04 2019-11-04 라운드형 열풍 팬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6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902Y1 (ko) * 2000-09-30 2001-04-16 심상길 히터겸용 선풍기
KR100394187B1 (ko) 2001-07-07 2003-08-09 박진하 360°방향 전기스토브
KR20110078803A (ko) * 2009-12-31 2011-07-07 윤근수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KR20140073039A (ko) * 2012-12-06 2014-06-16 허영식 팬이 내장된 가스겸용 전기히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902Y1 (ko) * 2000-09-30 2001-04-16 심상길 히터겸용 선풍기
KR100394187B1 (ko) 2001-07-07 2003-08-09 박진하 360°방향 전기스토브
KR20110078803A (ko) * 2009-12-31 2011-07-07 윤근수 온풍기능이 구비된 사방향 선풍기
KR20140073039A (ko) * 2012-12-06 2014-06-16 허영식 팬이 내장된 가스겸용 전기히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330B1 (ko) 원심형 천장팬
US11215188B2 (en) Apparatus including a combination of a ceiling fan and a heater with light effects
CN104047908B (zh) 风扇组件
US9028211B2 (en) Lighting and heating assembly for a ceiling fan
CN104643954B (zh) 通过旋风形成热循环加热的空气炸锅
US5077825A (en) Space heater mounted to ceiling fan
US5333235A (en) Electric heater assembly for attachment to ceiling fans
KR102244669B1 (ko) 라운드형 열풍 팬히터
CN108999796A (zh) 自然风/暖风两用电循环扇
CN106705148A (zh) 一种炉头散热结构及应用该结构的烹调器
KR20100106778A (ko) 엘이디전구
US10989207B2 (en) Low profile directional centrifugal ceiling fan
US2491399A (en) Electric air heater
KR200452868Y1 (ko) 열풍 블로워
EP3194854B1 (en) Domestic oven
KR102314271B1 (ko) 선풍기용 전기 히터
KR100394187B1 (ko) 360°방향 전기스토브
CN107965474A (zh) 散热风机
KR102647394B1 (ko) 난방용 선풍기
CN219109224U (zh) 热风组件和烹饪器具
KR102122881B1 (ko) 선풍기형 양방향 히터
CA2625276C (en) Food cooking oven
KR200219902Y1 (ko) 히터겸용 선풍기
CN206593297U (zh) 室内加热及排风设备
CN208551387U (zh) 线圈盘以及电磁加热烹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