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394B1 - 난방용 선풍기 - Google Patents

난방용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394B1
KR102647394B1 KR1020230115249A KR20230115249A KR102647394B1 KR 102647394 B1 KR102647394 B1 KR 102647394B1 KR 1020230115249 A KR1020230115249 A KR 1020230115249A KR 20230115249 A KR20230115249 A KR 20230115249A KR 102647394 B1 KR102647394 B1 KR 102647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ing
heating
air
spac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5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환
오세헌
오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넥스
오성환
오세헌
오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넥스, 오성환, 오세헌, 오세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넥스
Priority to KR1020230115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1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4H3/0417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portable or mob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7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압이 형성되는 송풍공간과 공기에 대한 가열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차폐하여 사용상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와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송풍공간이 형성된 송풍본체와; 상기 송풍공간의 입구에 배치되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공기에 대한 송풍압을 형성하도록 된 송풍수단과; 바닥에 대하여 상기 송풍본체를 지지하도록 된 지지몸체와; 상기 송풍공간의 출구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열을 방출하여 송풍되는 공기를 승온시키도록 된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난방용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본체는, 양측부에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가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길이를 가지는 '통(筒;sleeve)' 형상의 '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관통경유하는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며 가열플레이트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여 상기 가열플레이트를 가열하도록 된 전열선을 포함하는 난방용 선풍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난방용 선풍기{A fan for heating}
본 발명은, 공기를 강제적으로 송풍하도록 된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승온시켜 동절기에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난방용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주지된 바와 같이 실내공기를 강제로 송풍시켜 사용자에게 시원함을 제공하는 송풍장치의 하나이다.
이러한 선풍기는, 주로 무더운 여름철에만 사용할 수 있어 그 사용용도가 한정적인 실정이고, 봄과 가을 및 겨울철에는 창고에 보관되고 있었다.
그러나, 근자에는 전열난방기능을 부가하여 겨울철 실내 난방을 위해 사용하도록 된 난방용 선풍기가 제안되고 잇다.
한편, 겨울철 실내 난방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히터는,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선풍기 형태의 히터는, 다수의 스위치가 구비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상측에서 선회를 위한 모터가 장착된 모터케이스와, 모터케이스의 전방쪽에 원형상의 열반사커버와 안전커버가 장착되고, 그 안쪽에 열을 발산하는 발열체가 장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 중 하나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9-0011835호(명칭: 선풍기 팬히터/2009.09.09.)가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회전하면서 바람을 발생하는 날개와, 상기 날개와 연결되어 날개가 회동 되도록 하는 모터와, 상기 날개 외면에 구비되어 전기를 인가받아 열을 발생하는 열선코일과, 상기 날개를 감싸 보호하는 보호망으로 구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 하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헤드부를 지지하는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모터가 작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냉풍제어버튼과, 상기 열선코일이 작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히터제어버튼을 포함하는 선풍기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19544호(명칭: 열풍장치를 갖춘 사계절 냉온풍 선풍기/2009.03.0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전면에 바람을 불어 주는 송풍부와, 상기 송풍부의 메인팬과 상기 열풍장치에 바람을 보내는 열풍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열풍팬으로 부터 유입된 바람을 가열시켜 상기 메인팬으로 보내는 열풍장치부와, 상기 송풍부를 좌우 또는 상하로 회전시키고 지지하는 콘넥팅부와, 상기 콘넥팅부의 상하이동과 하중을 지지하는 스탠드부와, 상기 열풍장치를 갖춘 사계절용 냉온풍 선풍기의 작동을 제어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장부로 구성된 선풍기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1-0062397호(명칭: 냉방 및 난방 기능을 갖는 선풍기/2001.10.1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스탠드 내부에 냉각장치,열선 및 수조통을 구비시키고, 수조통 내부에 냉각장치의 증발기 및 열선을 설치하여 수조통내에서 냉열 또는 온열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송풍팬을 보호하는 팬그릴에는 송풍팬의 외주부를 감싸는 구조로 방열파이프를 설치하며, 상기한 방열파이프의 입출수구를 지주 내측으로 설치한 연결파이프를 사용하여 각기 수조통에 연결하고 일측 연결파이프에는 순환펌프를 설치하여 수조통내에서 열교환된 순환수를 방열파이프로 순환시키는 구조로 하여 냉각장치 또는 열선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킴으로서 냉풍 및 온풍을 일으키도록 하는 선풍기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1995-0045122호(명칭: 난방 기능을 갖는 선풍기/1995.111.3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소정형상의 좌대 상단의 기대 상단에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축에 연동되게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보호하는 망상의 보호수단과, 상기 송풍팬의 후방에 설치되어 절연부재에 열선이 균일하게 분포된 발열장치 등으로 구성된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두개의 링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절연부재에 보호수단의 백가드의 나사보스와 대응되는 나사공을 형성하며, 상기 두개의 절연부재 중 전면절연부재에 내주쪽으로 등간격을 두고 걸림구를 형성하고, 상기 각 걸림구에 열선을 걸어 방사상으로 돌출되게 절곡설치한 선풍기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9-0011835호(2009.09.09.)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19544호(2009.03.08.)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1-0062397호(2001.10.10.)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1995-0045122호(1995.111.30.)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난방용 선풍기들은, 열교환공간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음에 따라, 열교환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구조적으로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그 점유공간이 크게 이루어져, 공간사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를 강제적으로 송풍하도록 된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승온시켜 동절기에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난방용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풍압이 형성되는 송풍공간과 공기에 대한 가열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차폐하여 사용상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된 난방용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난방용 선풍기는,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와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송풍공간이 형성된 송풍본체와; 상기 송풍공간의 입구에 배치되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공기에 대한 송풍압을 형성하도록 된 송풍수단과; 바닥에 대하여 상기 송풍본체를 지지하도록 된 지지몸체와; 상기 송풍공간의 출구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열을 방출하여 송풍되는 공기를 승온시키도록 된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난방용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본체는, 양측부에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가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길이를 가지는 '통(筒;sleeve)' 형상의 '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송풍수단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관통경유하는 다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며 가열플레이트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여 상기 가열플레이트를 가열하도록 된 전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몸체에는,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송풍본체를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회전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몸체에는, 상기 제어수단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송풍수단의 송풍강도와 상기 전열선의 발열온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된 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난방용 선풍기는, 여름철 무더울 때에 실내에 대한 냉방시에는, 송풍수단을 통해 송풍본체의 송풍공간상에서 공기에 대한 송풍압을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를 입구를 통해 유입한 후, 출구를 통해 강제적으로 송풍하여 순환시키어 실내를 냉방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겨울철 추울 때에 실내에 대한 난방시에는, 조절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제어수단의 제어된 전원의 선택적 공급에 의한 가열수단의 발열을 통해 송풍공간에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실내를 난방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송풍본체의 길이방향으로 내측부에 송풍공간과 가열공간이 배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어, 송풍압이 형성되는 송풍공간과 공기에 대한 가열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차폐하게 됨에 따라, 사용상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게 되어, 특히, 미숙아(어린이 등)이 무단으로 접촉할 경우에도 안전사고(화상 등)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난방용 선풍기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난방용 선풍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난방용 선풍기의 구성을 일부 발췌하여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난방용 선풍기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난방용 선풍기의 전기적인 제어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난방용 선풍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난방용 선풍기(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난방용 선풍기(1)는,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21)와 배출되는 출구(22)를 가지는 송풍공간(A)이 형성된 송풍본체(2)와; 상기 송풍공간(A)의 입구에 배치되며 전원공급부(31)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3)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공기에 대한 송풍압을 형성하도록 된 송풍수단(4)과; 바닥에 대하여 상기 송풍본체(2)를 지지하도록 된 지지몸체(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지지몸체(5)를 통해 상기 송풍본체(2)를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도록 되어 지지하게 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조작에 의해 상기 제어수단(3)에 설정된 데이터에 따라 제어된 전원을 상기 송풍수단(4)으로 공급하여 구동시켜, 상기 송풍본체(2)의 송풍공간(A)에 대한 송풍압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송풍본체(2)의 입구(21)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 후, 상기 송풍공간(A)으로 경유하여 상기 출구(22)로 송풍되면서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게 된다.
따라서, 실내의 공기의 대류순환이 이루어지면서 냉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난방용 선풍기(1)는, 상기 송풍본체는, 양측부에 상기 입구(21)와 상기 출구(22)가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길이를 가지는 '통(筒;sleeve)' 형상의 '통체'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송풍본체(2)의 송풍공간(A)이 길이를 가지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송풍공간(A)의 점유공간이 효율적으로 증대된다.
이에 따라, 송풍압의 형성되는 상기 송풍공간(A)이 외부에 대하여 개방되지 않아 공기의 송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지지몸체(5)는, 상단에 상기 송풍본체(2)의 하단이 결속고정되는 결속고정부(51)가 형성되며, 하부에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된 지지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지지부(52)가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송풍수단(4)은,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운동하는 송풍임펠러(41)가 구비되어 공기에 대한 송풍압을 형성하도록 된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난방용 선풍기(1)는, 상기 송풍공간(A)의 출구(22)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수단(3)의 제어를 통해 열을 방출하여 송풍되는 공기를 승온시키도록 된 가열수단(6);을 포함한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기 제어수단(3)의 조절을 통해 상기 가열수단(6)이 구동되면서 열을 방출하게 되며, 상기 송풍공간(A)을 경유하는 공기에 대한 열교환을 통해 가열하여 상기 출구(22)를 통해 실내로 배기하여 실내를 난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난방용 선풍기(1)는, 여름철 무더울 때에 실내에 대한 냉방시에는, 상기 송풍수단(4)을 통해 상기 송풍본체(2)의 송풍공간(A)상에서 공기에 대한 송풍압을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를 상기 입구(21)를 통해 유입한 후, 상기 출구(22)를 통해 강제적으로 송풍하여 순환시키어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아울러 겨울철 추울 때에 실내에 대한 난방시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기 제어수단(3)의 제어된 전원의 선택적 공급에 의한 상기 가열수단(6)의 발열을 통해 상기 송풍공간(A)에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실내를 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송풍본체(2)의 길이방향으로 내측부에 상기 송풍공간(A)과 가열공간이 배치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송풍압이 형성되는 상기 송풍공간(A)과 공기에 대한 상기 가열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상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게 되어, 특히, 미숙아(어린이 등)이 무단으로 접촉할 경우에도 안전사고(화상 등)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난방용 선풍기(1)는, 상기 가열수단(6)은, 상기 송풍수단(4)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관통경유하는 다수의 관통공(61)들이 형성되며 가열플레이트(62)와, 상기 제어수단(3)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여 상기 가열플레이트(62)를 가열하도록 된 전열선(63)을 포함한다.
즉, 상기 송풍공간(A)에서 상기 출구(22)를 경유하여 송풍되는 공기에 대하여 상기 전열선(63)에서 방출된 열에 의해 가열된 상기 가열플레이트(62)와의 열교환에 따라, 가열된 상태로 배기된다.
이에 따라, 실내가 가열된 공기에 의해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전열선(63)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난방용 선풍기(1)에서, 상기 가열플레이트(62)는, 상기 관통공(61)들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도록, 상기 송풍본체(2)의 출구에 맞춤되면서 착탈되며 내외가 관통된 '틀' 형상의 가열틀체(621)와, 상기 가열틀체(621)의 내부측에서 연결되며 폭을 가지면서 각각의 사이에 상기 관통공(61)들이 형성되는 다수의 격자편(62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열틀체(621)를 통해 상기 송풍본체(2)의 상기 출구(22)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며, 상기 송풍공간(A)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격자편(622)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공(61)들을 경유하여 배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자편(622)들이 폭을 가지면서 상기 관통공(61)들이 길이를 형성하게 되어, 열교환공간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열교환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열선(63)에서 방열된 열사용효율이 향상되면서 난방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전열선(63)은, 상기 가열플래이트(62)의 상기 격자편(622)들과 이격된 위치에 배열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관통공(61)들에 삽입되더라도, 화상들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전열선(63)과 상기 격자편(622)들의 간격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가열플레이트(62)에서 상기 격자편(622)들과 간격을 가지는 내측에는, 상기 전열선(63)이 고정지지되는 지지구(64)들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구(64)들에서 일 지지구(64)에는, 상기 전열선(63)을 상기 제어수단(3)과 전기적으로 연결결속 및 연결해제되는 접속자(65)가 구비되며; 상기 접속자(65)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송풍본체(2)에 대하여 상기 가열수단(6)의 착탈시에 상기 접속자(65)를 통해 전기적인 연결을 접속 및 해제하도록 되어, 사용상의 안정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난방용 선풍기(1)에서, 상기 지지몸체(5)에는, 상기 제어수단(3)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송풍본체(2)를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회전수단(7)이 구비된다,
즉, 상기 회전수단(7)을 통해 상기 지지몸체(5) 상에서 상기 송풍본체(2)를 정역회전시켜 실내에 대한 냉난방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회전수단(7)은, 상기 지지몸체(5)의 상기 결속고정부(51)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본체(2)의 하단이 안정되게 결속되면서 회전운동이 이루어지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회전수단(7)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난방용 선풍기(1)에서, 상기 지지몸체(5)에는, 상기 제어수단(3)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송풍수단(4)의 송풍강도와 상기 전열선(63)의 발열온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된 조절수단(8)이 구비된다.
즉, 상기 조절수단(8)을 통해 상기 제어수단(3)에 대한 선택적 제어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되며; 일 예로, 상기 전열선(63)의 가열온도에 대하여, 1단(약열), 2단(중열), 3단(고열) 등으로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송풍수단(4)에 의한 상기 송풍공간(A)에서의 송풍압을 1단(저속), 2단(중속), 3단(고속) 등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조절수단(8)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난방용 선풍기(1)은, 여름철 무더울 때에 실내에 대한 냉방시에는, 상기 송풍수단(4)을 통해 상기 송풍본체(2)의 상기 송풍공간(A)상에서 공기에 대한 송풍압을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를 상기 입구(21)를 통해 유입한 후, 상기 출구(22)를 통해 강제적으로 송풍하여 순환시키어 실내를 냉방하며; 겨울철 추울 때에 실내에 대한 난방시에는, 상기 조절수단(8)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기 제어수단(3)의 제어된 전원의 선택적 공급에 의한 상기 가열수단(6)의 발열을 통해 상기 송풍공간(A)에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실내를 난방하도록 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난방용 선풍기(1)에서, 상기 송풍수단(4)은, 상기 제어수단(3)의 제어를 통해 회전력을 형성하여 회전축(42)을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송풍모터(43)와; 상기 송풍공간(A)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42)의 종단에 결속되어 동일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서 공기에 대한 송풍압을 형성하도록 된 상기 송풍임펠러(4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수단(3)의 제어에 따른 상기 송풍모터(43)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42)에 회전하면서 상기 송풍임펠러(41)가 회전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송풍공간(A)에서 송풍압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송풍공간(A)이 길이를 가지게 됨에 따라, 상기 송풍임펠러(41)가 상기 송풍공간(A)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할 수 있어, 회전수에 대한 송풍압을 증대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에서 송풍모터(43) 및 상기 송풍임펠러(41)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송풍모터(63)는, 상기 송풍본체(2)에서 상기 출구(22)와 대응되는 단부에 착찰되는 고정덮개(9)에 결속고정되면서, 상기 송풍본체(2)의 일측단부의 내측부에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덮개(9)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난방용 선풍기(1)에서, 상기 입구(21)는, 상기 송풍본체(2)에서 상기 송풍모터(43)와 상기 송풍임펠러(41)의 사이의 위치에 내외를 관통하는 '통공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송풍본체(2)의 외측부에 내외를 관통하는 상기 통공들로 형성된 상기 입구(21)를 경유하여 상기 송풍공간(A)으로 실내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입구(21)에 대한 다양한 디자인적 설계를 통해, 공기의 유입형태(외류, 직류 등)를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 사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상기 입구(21)와의 접촉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송풍임펠러(41)와의 접촉이 없어,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아 사용상의 안전성이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선풍기 2 : 송풍본체
21 ; 입구 22 : 출구
3 : 제어수단 31 : 전원공급부
4 : 송풍수단 41 : 송풍임펠러
42 : 회전축 43 : 송풍모터
5 : 지지몸체 51 : 결속고정부
52 : 지지부 6 : 가열수단
61 : 관통공 62 : 가열플레이트
621 : 가열틀체 622 : 격자편
63 ; 전열선 64 : 지지구
65 : 접속자 7 : 회전수단
8 : 조절수단 9 : 고정덮개
A : 송풍공간

Claims (3)

  1. 양측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21)와 배출되는 출구(22)가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송풍공간(A)이 형성되며 길이를 가지는 '통(筒;sleeve)' 형상의 '통체'로 이루어진 송풍본체(2)와; 상기 송풍공간(A)의 입구(21)에 배치되며 전원공급부(31)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3)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공기에 대한 송풍압을 형성하도록 된 송풍수단(4)과; 바닥에 대하여 상기 송풍본체(2)를 지지하도록 된 지지몸체(5)와; 상기 송풍공간(A)의 출구(22)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수단(4)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관통경유하는 다수의 관통공(61)들이 형성된 가열플레이트(62)와, 상기 제어수단(3)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여 상기 가열플레이트(62)를 가열하도록 된 전열선(63)을 구비하는 가열수단(6)과; 상기 지지몸체(5)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송풍본체(2)를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회전수단(7)과; 상기 지지몸체(5)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3)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송풍수단(4)의 송풍강도와 상기 전열선(63)의 발열온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된 조절수단(8);을 포함하는 난방용 선풍기(1)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4)은,
    상기 제어수단(3)의 제어를 통해 회전력을 형성하여 회전축(42)을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송풍모터(43)와, 상기 송풍공간(A)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42)의 종단에 결속되어 동일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서 공기에 대한 송풍압을 형성하도록 된 송풍임펠러(41)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21)는,
    상기 송풍본체(2)에서 상기 송풍모터(43)와 상기 송풍임펠러(41)의 사이의 위치에 내외를 관통하는 '통공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선풍기.
  2. 삭제
  3. 삭제
KR1020230115249A 2023-08-31 2023-08-31 난방용 선풍기 KR102647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5249A KR102647394B1 (ko) 2023-08-31 2023-08-31 난방용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5249A KR102647394B1 (ko) 2023-08-31 2023-08-31 난방용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394B1 true KR102647394B1 (ko) 2024-03-13

Family

ID=90299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5249A KR102647394B1 (ko) 2023-08-31 2023-08-31 난방용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39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2397A (ko) 1999-12-15 2001-07-07 제럴드 리드스터 자기 저항 드라이브의 회전자 위치 모니터링
KR20090019544A (ko) 2007-08-21 2009-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수신감도 표시장치 및 방법
KR20090011835U (ko) 2009-10-22 2009-11-20 김우진 다용도 펜치
KR20100101039A (ko) * 2009-03-08 2010-09-16 임익수 열풍장치를 갖춘 사계절 냉온풍 선풍기
KR20110065607A (ko) * 2009-12-10 2011-06-16 김정원 전기온풍기
KR20170103348A (ko) * 2016-03-04 2017-09-13 박정진 농업용 온풍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2397A (ko) 1999-12-15 2001-07-07 제럴드 리드스터 자기 저항 드라이브의 회전자 위치 모니터링
KR20090019544A (ko) 2007-08-21 2009-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수신감도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00101039A (ko) * 2009-03-08 2010-09-16 임익수 열풍장치를 갖춘 사계절 냉온풍 선풍기
KR20090011835U (ko) 2009-10-22 2009-11-20 김우진 다용도 펜치
KR20110065607A (ko) * 2009-12-10 2011-06-16 김정원 전기온풍기
KR20170103348A (ko) * 2016-03-04 2017-09-13 박정진 농업용 온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7321B2 (en) Ceiling fan room conditioner with ceiling fan and heater
US6631243B2 (en) Air recirculating and heating device
US20030164367A1 (en) Dual source heater with radiant and convection heaters
US4508958A (en) Ceiling fan with heating apparatus
US6751406B2 (en) Ceiling mounted heat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6366733B1 (en) Ceiling fan having one or more fan heaters
US6438322B1 (en) Ceiling fan with attached heater and secondary fan
US5333235A (en) Electric heater assembly for attachment to ceiling fans
KR101862126B1 (ko) 캠핑용 무동력 공기 순환 장치
KR102647394B1 (ko) 난방용 선풍기
KR100826999B1 (ko) 라디에이터가 구비된 난방장치
ES2218958T3 (es) Horno de microondas con elemento de calentamiento electrico por radiacion.
US2583754A (en) Electric fan and heater
KR101949088B1 (ko) 무동력팬이 적용된 조립형 공기순환기
KR20090069116A (ko) 열풍기능 및 전열선 보호기능을 갖는 간이 히터
US4288218A (en) Heating apparatus
KR101891203B1 (ko) 코안다 온풍기용 팬
CN206176522U (zh) 一种带电作业工具库房用热循环低温地加热装置
KR101614661B1 (ko) 전력조절 항온 열풍기
KR200452868Y1 (ko) 열풍 블로워
KR200202386Y1 (ko) 열풍장치를 갖는 선풍기형 히터
JP3295924B2 (ja) 温風機構付放射形暖房機
KR20130033063A (ko) 열풍이 공급되는 전기히터
JP2787623B2 (ja) 床暖畳
ES1285583U (es) Aerotermo eléctrico de doble fluj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