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203B1 - 코안다 온풍기용 팬 - Google Patents

코안다 온풍기용 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203B1
KR101891203B1 KR1020160089321A KR20160089321A KR101891203B1 KR 101891203 B1 KR101891203 B1 KR 101891203B1 KR 1020160089321 A KR1020160089321 A KR 1020160089321A KR 20160089321 A KR20160089321 A KR 20160089321A KR 101891203 B1 KR101891203 B1 KR 101891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supply member
warm
fluid guide
thermoelectr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869A (ko
Inventor
차병미
Original Assignee
차병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병미 filed Critical 차병미
Priority to KR1020160089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203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풍기용 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냉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냉기공급부와 온열수단의 온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온기공급부,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열전소자(熱電素子) 및 상기 온기공급부의 외부측에 설치되면서 내측으로 공급되어 상승되는 온기를 외부면을 따라 하부측으로 유도하는 유체가이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냉기공급부와 온기공급부에는 각각 원심팬을 설치하여, 상기 온기공급부의 온열과 상기 냉기공급부의 냉기의 온도 차에 의해 상기 열전소자가 기전력(起電力)을 일으키면서 이 기전력을 통해 원심팬을 작동시켜 얻어지는 송풍력으로 온열이 상기 유체가이드부의 외부면을 따라 하부측으로 유동되도록(일명 코안다 효과) 하여 실내 바닥측을 효과적으로 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코안다 온풍기용 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안다 온풍기용 팬{A Coanda Fan}
본 발명은 온풍기용 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냉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냉기공급부와 온열수단의 온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온기공급부,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열전소자(熱電素子) 및 상기 온기공급부의 외부측에 설치되면서 내측으로 공급되어 상승되는 온기를 외부면을 따라 하부측으로 유도하는 유체가이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냉기공급부와 온기공급부에는 각각 원심팬을 설치하여, 상기 온기공급부의 온열과 상기 냉기공급부의 냉기의 온도 차에 의해 상기 열전소자가 기전력(起電力)을 일으키면서 이 기전력을 통해 원심팬을 작동시켜 얻어지는 송풍력으로 온열이 상기 유체가이드부의 외부면을 따라 하부측으로 유동되도록(일명 코안다 효과) 하여 실내 바닥측을 효과적으로 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코안다 온풍기용 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실내를 난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방바닥에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보일러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방법과 온열매트나 전기장판 등과 같은 전열기구를 사용하는 방법, 발열장치 등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온기를 팬으로 송풍시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 등 매우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실내를 난방시켜 오고 있다.
그러나 생활양식이 다변화하는 요즈음 여가생활도 하나의 일상으로 자리매김하면서 텐트나 이동식 콘테이너 등과 같은 이동식 휴게수단의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실내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여가 활동의 일환으로 설치되는 텐트나 기타 이동식 콘테이너 등과 같은 이동식 휴게수단에는 전기시설 등이 여건상 구비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은 이동식(간이) 휴게수단의 내부 공간 등에는 추운 계절에 그 실내를 난방시켜 주기 위해 이동식 석유난로나 기타 가스식 난로 등과 같은 이동식 난방기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간이 휴식장소용 난방장치로, 종래에는 손으로 들고 휴대할 수 있도록 소형으로 제작되는 난방용 보일러의 하부에 휴대용 가스 버너와 같은 소형 가열수단을 결합하여 가열수조를 가열하고, 난방수를 소형 난방 매트에 순환시켜 난방 하도록 함으로써 간이 휴식장소에서 추운 날씨에 따뜻하게 생활 및 취침할 수 있도록 한 간이 휴식장소용 난방장치가 등록특허 제10-0306289호에 개시되어 있다.
KR 10-0306289 (등록번호) 2001.08.07. KR 10-1320980 (등록번호) 2013.10.16. KR 10-1257654 (등록번호) 2013.04.17.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등산이나 레져 활동시에 가정용 석유히터는 휴대하기가 적합하지 않고, 가정용 전기히터는 휴대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뿐 아니라 야외에서 전원을 구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고, 또 가정용 전기 장판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기는 하나 역시 전원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종래의 간이 휴식장소용 난방장치 또한 그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복잡하여 텐트와 같은 이동식 휴게 공간의 실내를 난방시키기에는 불합리하다.
또한 종래에는 텐트 등에 사용될 수 있도록 소형의 난로로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 또한 온기가 상부측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바닥측면에는 난방효율이 극히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온열수단의 상단에 설치되어 난로의 따뜻한 열기를 주변으로 퍼지게 할 수 있는 코안다 온풍기용 팬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도차에 의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열전소자를 구비하여 별도의 구동 전원을 구비하지 않고도 실내를 효과적으로 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코안다 온풍기용 팬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상승하는 온기를 바닥면으로 유도하여 난방을 하는 온풍기용 팬에 있어서,
상면부와 하면부가 개방되고 상기 상면부으로부터 상기 하면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유체가이드부재와, 상기 유체가이드부재의 하단부측에 구비되면서 열원을 제공하는 온열수단의 상부면에 상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지지브라케트, 상기 유체가이드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온열수단의 상부면으로 상승하는 온기를 하부측으로 유입하여 상부측면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온기원심팬이 설치되는 온기공급부재, 상기 유체가이드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온기공급부재에 대향되어 설치되면서 외부의 냉기를 상부측으로 유입하여 하부측면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냉기원심팬이 설치되는 냉기공급부재, 상기 온기공급부재와 상기 냉기공급부재 사이에 설치되면서 그 상하면의 온도차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전소자, 및 상기 냉기공급부재의 상부측에 구비되되 상기 열전소자의 기전력에 의해 작동되면서 그 구동축이 상기 냉기공급부재와 상기 열전소자 및 상기 온기공급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코안다 온풍기용 팬은 상부의 팬이 회전되어 발생된 바람이 유선형의 유체가이드부를 따라 흐르게 되어 하부의 난로로부터 발생된 따뜻한 열기가 주변으로 퍼져나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구비되는 열전소자의 온도차에 의해 기전력을 일으키고 이 기전력을 이용하여 원심 송풍팬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 전원의 설치에 대한 부담을 줄여 비용을 절감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로의 상부측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어 편리함은 물론 송풍펜에서 발생되는 송풍력이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로 유체가이드부를 따라 바닥면으로 이동하면서 온열수단에서 상승하는 열기를 바닥면으로 강제 순환되도록 가이드하여 텐트나 이동식 콘테이너 등과 같은 이동식 휴게수단의 좁은 공간에서 실내의 난방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안다 온풍기용 팬이 난로의 상부측에 장착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안다 온풍기용 팬이 난로의 상부측에 장착된 개략적인 단면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안다 온풍기용 팬이 난로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와 요부 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안다 온풍기용 팬이 난로의 상부측에 장착되어 실내공간의 바닥면으로 온기가 전달되어 난방이 이루어지는 개략적인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안다 온풍기용 팬(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면부와 하면부가 개방되고 상기 상면부으로부터 상기 하면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유체(流體)가이드부재(110)와,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하단부측에 구비되면서 열원을 제공하는 온열수단(120)의 상부면에 상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지지브라케트(130),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온열수단(120)의 상부면으로 상승하는 온기를 하부측으로 유입하여 상부측면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온기원심팬(141)이 설치되는 원뿔대 형상의 온기공급부재(140),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온기공급부재(140)에 대향되어 설치되면서 외부의 냉기를 상부측으로 유입하여 하부측면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냉기원심팬(151)이 설치되는 원뿔대 형상의 냉기공급부재(150),
상기 온기공급부재(140)와 상기 냉기공급부재(150) 사이에 설치되면서 그 상하면의 온도차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전소자(160), 및
상기 냉기공급부재(150)의 상부측에 구비되되 상기 열전소자(160)의 기전력에 의해 작동되면서 그 구동축(171)이 상기 냉기공급부재(150)와 상기 열전소자(160) 및 상기 온기공급부재(14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동수단(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는 밀폐가 잘 되어 있어 상기 온열수단(120)에서 공급되는 따뜻한 열원이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측면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상부로 이동되며, 상부로 이동된 따뜻한 열원은 상기 온기공급부재(140)의 상단에 닿아 상기 온기공급부재(140)의 상면을 가열하게 되어 상기 열전소자(160)의 하면이 뜨거워지고 상기 열전소자(160)의 하면이 뜨거워지면 열전소자의 상하부의 온도차가 발생되어 전기가 발생된다. 상기 열전소자(160)에 전기가 발생되면 발생된 전기는 모터 등 구동수단(170)을 구동시킨다.
일반적으로 열전소자(熱電素子)란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꿔주는 소자를 말하며 열에너지와 전기 에너지를 변환하는 소자, 전기 저항의 온도 변화를 이용한 소자, 온도 차에 의해 기전력(起電力)이 발생되는 현상을 이용한 소자, 전류에 의해 열의 흡수가 생기는 현상을 이용한 소자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열전소자(160)의 기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수단(170)을 구동시킴으로써 별도의 전원이 필요 없어 운용 비용이 절감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170)의 상단부에는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상부 외측부까지 덮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삿갓형상의 커버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부가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상부 외측부까지 덮어서 설치되되,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상부 사이에는 상기 온기원심팬(141)에서 송풍되는 온기와 상기 냉기원심팬(151)에서 송풍되는 냉기가 합류하여 하방으로 유도되는 풍향유도간극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기 열전소자(160)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수단(170)을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구동축(171)이 구동되면서 상기 온기원심팬(141)과 상기 냉기원심팬(151)을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온기원심팬(141)이 구동되면서 상기 온기공급부재(140)의 하단부에서 유입되는 온기를 상기 온기공급부재(140)의 상단부 측면으로 배출하고 동시에 상기 냉기원심팬(151)이 구동되면서 상기 냉기공급부재(150)의 상단부에서 유입되는 외기의 냉기를 상기 냉기공급부재(150)의 하단부 측면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온기원심팬(141)과 상기 냉기원심팬(151)이 작동되면서 각각의 측면으로 배출되는 온기 및 냉기는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하방으로 빠져 나가면서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표면을 따라 하측반향으로 유도된다.
이때 상기 온기공급부재(140)의 상단부는 뜨거워지면서 온열이 상기 열전소자(160)로 전달되어 그 하부측이 가열되고 또한 동시에 상기 냉기공급부재(150)의 하단부는 차거워지면서 냉기가 상기 열전소자(160)로 전달됨으로써 그 상부측이 냉각되어 상하부의 온도차가 발생되고 이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기전력이 상기 구동수단(170)을 구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이클이 반복되면서 가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기공급부재(140)의 상단부 측면으로 배출되는 온풍은 상기 냉기공급부재(150)의 하단부 측면으로 배출되는 냉풍과 함께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표면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유도되면서 강제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실내 바닥부를 신속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표면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유도되는 유체는 상기 온열수단(120)의 상부면에서 그 측면으로 상승하는 온기를 하방으로 함께 유도되도록 한다. 이로써 실내 바닥부를 신속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온기공급부재(140)는 하단부가 상기 구동축(171)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 고정되면서 상기 온열수단(120)으로부터의 온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상단부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커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되면서 그 상단면부는 상기 온기원심팬(141)에 의해 폐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온기공급부재(140)의 하단부로 유입되는 온기는 상기 온기원심팬(141)에 의해 상단면부의 측면부로 배출되면서 온풍이 발생되게 된다.
또한 상기 냉기공급부재(150)는 상기 온기공급부재(140)와는 반대로, 상단부가 상기 구동축(171)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 고정되면서 외부의 냉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하단부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커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되면서 그 하단면부는 상기 냉기원심팬(151)에 의해 폐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냉기공급부재(150)의 상단부로 유입되는 냉기는 상기 냉기원심팬(151)에 의해 하단면부의 측면부로 배출되면서 냉풍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전소자(160)는 상부측이 상기 냉기공급부재(150)의 폐쇄부에 의해 냉기가 전달되면서 차거워지고 하부측은 상기 온기공급부재(140)의 폐쇄부에 의해 온기가 전달되면서 뜨거워져 온도차가 발생됨으로써 기전력이 생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온열수단(120)은 열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온열수단(120)은 열원을 제공하는 다양한 제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화목 보일러, 온풍기, 가스버너, 가스보일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브라케트(130)는 열원을 제공하는 온열수단(120) 위에 놓여지는 것으로, 중량이 있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난로 위에 올려지거나 볼트와 너트 등으로 난로에 고정되어 조립될 수도 있다. 또한, 난로 위가 아닌 측면에서 볼트와 너트 또는 다양한 착탈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또한 난로와 일체형으로 제조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구동축(171)은 상기 열전소자(160)의 삽설부에 상기 열전소자(160)의 상부측으로 상기 온열수단(120)의 온기가 전달되는 것을 막아주어 급격한 온도의 상승으로 상기 열전소자(160)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열전소자의 상부면으로 뜨거운 열원이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고, 반대로 냉기공급부재(150)의 냉기가 열전소자의 하면으로 전달되어 열전소자의 상하부면의 온도차가 적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열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구동축(171)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지지대가 연결되어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내부면과 결합된다. 상기 지지대가 3개일 경우에는 120도 간격이, 지지대가 4개일 경우에는 90도 간격이 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브라케트(130)의 상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열수단(120)의 온기가 상기 구동축(171)을 통해 상기 열전소자(160)의 상부 냉각부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170)에는 이를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에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수단(172) 및 이동을 간편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외주면에는 유체의 흐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리브(111)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온기공급부재(140)와 상기 냉기공급부재(150)는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에 연결 고정하여 설치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고정 수단 외에도 별도의 고정수단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구동축(171)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되 그 설치수단도 공지수단으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어 이들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리브(111)는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외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외부면을 따라 하방으로 내려올 때 일정 간격으로 나사선 모양을 취하는 것이다. 이럴 경우에는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상단에서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하단에 이르기까지 보다 강한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여 난방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기원심팬(141) 및 상기 냉기원심팬(151)에는 송풍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의 스위치수단(미도시)을 설치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수단을 통해 실내의 난방성능을 적절히 조절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은 상기 온기원심팬(141) 및 상기 냉기원심팬(151)에 발생되는 바람의 일부가 그 표면을 따라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일명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가게 된다.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란 코안다라는 사람이 제트비행기가 추락했을 때 비행기에서 발생한 화재의 불꽃과 흰색 연기가 비행기의 동체 표면을 따라 흐른 것을 보고 발견한 것으로 유체(흐르는 성질을 가지는 액체나 기체)가 어느 곡면이 있는 물질을 따라 흐르는 효과를 뜻한다.
따라서 상기 온기원심팬(141) 및 상기 냉기원심팬(151)이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바람(유체)은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표면을 따라 하부측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바람은 상기 온열수단(120)에서 생성되는 열기(온기)를 편승시켜 이를 강제로 실내의 하부측으로 순환시킬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텐트 등과 같은 이동식 휴게 공간, 일반 실내 공간 및 비니하우스 등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따뜻한 온기를 제공하여야 하는 곳에서 용이하게 난방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코안다 온풍기용 팬(100)의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은 상기 온열수단(120)과 일체형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또는 탈부착형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코안다 온풍기용 팬(100)이 작동되는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코안다 온풍기용 팬(100)을 상기 지지브라케트(130)를 이용하여 상기 온열수단(120)의 상부면에 장착한다.
이어 상기 구동수단(170)을 구동하여 상기 구동축(171)을 회전시키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170)의 초기 구동은 건전지 등의 축전수단을 통해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구동축(171)에 의해 상기 온기원심팬(141) 및 상기 냉기원심팬(151)이 회전되면서 이들 측면으로 유체(바람)를 배출시키게 된다.
즉, 상기 온기원심팬(141) 및 상기 냉기원심팬(151)이 회전됨으로써 그 회전력에 의해 상기 온기공급부재(140)와 상기 냉기공급부재(150)로 온기와 냉기가 각각 유입되어 이들 측면으로 배출된 유체는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외부면을 따라 하부측으로 흐르게 된다.(코안다효과)
이때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은 상기 온열수단(120)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온열수단(120)으로부터 상승되는 온기는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내부로 상승하여 일부는 상기 온기공급부재(140)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내부를 따라 상승하여 상기 온기원심팬(141)의 송풍력에 의해 측면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유체는 상기 온열수단(120)에서 생성되는 열기(온기)를 편승시켜 이를 강제로 실내의 하부측으로 순환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온기원심팬(141) 및 상기 냉기원심팬(151)을 통해 온기와 외부의 냉기가 상기 열전소자(150)의 상하부면으로 신속하게 전달되면서 상기 열전소자(160)의 상하면의 온도차가 발생된다.
이로써 상기 열전소자(160)의 상하면의 온도차에 의해 기전력을 일으키게 된다.
이어 상기 열전소자(160)의 기전력으로 상기 구동수단(170)를 작동시키고 이로써 상기 온기원심팬(141) 및 상기 냉기원심팬(151)을 계속적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온기원심팬(141) 및 상기 냉기원심팬(151)을 통해 생성되는 유체(온기)는 코안다효과에 의해 상기 유체가이드부재(110)의 표면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 내려가 강제로 실내의 하부(바닥)측을 순환(난방)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코안다 온풍기용 팬은 외부 냉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냉기공급부와 온열수단의 온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온기공급부,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열전소자(熱電素子) 및 상기 온기공급부의 외부측에 설치되면서 내측으로 공급되어 상승되는 온기를 외부면을 따라 하부측으로 유도하는 유체가이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냉기공급부와 온기공급부에는 각각 원심팬을 설치하여, 상기 온기공급부의 온열과 상기 냉기공급부의 냉기의 온도 차에 의해 상기 열전소자가 기전력(起電力)을 일으키면서 이 기전력을 통해 원심팬을 작동시켜 얻어지는 송풍력으로 온열이 상기 유체가이드부의 외부면을 따라 하부측으로 유동되도록(일명 코안다 효과) 하여 실내 바닥측을 효과적으로 난방시킬 수 있게 된다.
100:코안다 온풍기용 팬
110:유체가이드부재 111:가이드리브
120:온열수단
130:지지브라케트
140:온기공급부재 141:온기원심팬
150:냉기공급부재 151:냉기원심팬
160:열전소자
170:구동수단 171:구동축 172:지지수단

Claims (8)

  1.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상승하는 온기를 바닥면으로 유도하여 난방을 하는 온풍기용 팬에 있어서,
    상면부와 하면부가 개방되고 상기 상면부으로부터 상기 하면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유체가이드부재와,
    상기 유체가이드부재의 하단부측에 구비되면서 열원을 제공하는 온열수단의 상부면에 상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지지브라케트,
    상기 유체가이드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온열수단의 상부면으로 상승하는 온기를 하부측으로 유입하여 상부측면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온기원심팬이 설치되는 온기공급부재,
    상기 유체가이드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온기공급부재에 대향되어 설치되면서 외부의 냉기를 상부측으로 유입하여 하부측면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냉기원심팬이 설치되는 냉기공급부재,
    상기 온기공급부재와 상기 냉기공급부재 사이에 설치되면서 그 상하면의 온도차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전소자, 및
    상기 냉기공급부재의 상부측에 구비되되 상기 열전소자의 기전력에 의해 작동되면서 그 구동축이 상기 냉기공급부재와 상기 열전소자 및 상기 온기공급부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의 상단부에는 상기 유체가이드부재의 상부 외측부까지 덮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삿갓형상의 커버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유체가이드부재의 상부 사이에는 상기 온기원심팬에서 송풍되는 온기와 상기 냉기원심팬에서 송풍되는 냉기가 합류하여 하방으로 유도되는 풍향유도간극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코안다 온풍기용 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기공급부재는 하단부가 상기 구동축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 고정되면서 상기 온열수단으로부터의 온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상단부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커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되면서 그 상단면부는 상기 온기원심팬에 의해 폐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냉기공급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구동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 고정되면서 외부의 냉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하단부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커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되면서 그 하단면부는 상기 냉기원심팬에 의해 폐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코안다 온풍기용 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기공급부재와 상기 냉기공급부재는 각각 원뿔대 형상으로 하여 이들 사이에 상기 열전소자를 매개로 대향되어 설치되되, 직경이 큰 쪽은 가깝고 직경이 작은 쪽은 멀도록 상호 반대방향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코안다 온풍기용 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상기 열전소자의 삽설부에 상기 열전소자의 상부측으로 상기 온열수단의 온기가 전달되는 것을 막아주도록 하는 단열부재가 더 구비되는 코안다 온풍기용 팬.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이드부재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리브(111)가 더 형성 구비되는 코안다 온풍기용 팬.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의 상단부 외측에는 상기 유체가이드부재의 상부 외측부까지 덮어 설치되는 삿갓형상의 커버부재가 더 구비되는 코안다 온풍기용 팬.
KR1020160089321A 2016-07-14 2016-07-14 코안다 온풍기용 팬 KR101891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321A KR101891203B1 (ko) 2016-07-14 2016-07-14 코안다 온풍기용 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321A KR101891203B1 (ko) 2016-07-14 2016-07-14 코안다 온풍기용 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869A KR20180007869A (ko) 2018-01-24
KR101891203B1 true KR101891203B1 (ko) 2018-09-28

Family

ID=61029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321A KR101891203B1 (ko) 2016-07-14 2016-07-14 코안다 온풍기용 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2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354B1 (ko) * 2019-02-22 2020-05-28 기검 자가 동력 보일러
CN111947225A (zh) * 2020-07-27 2020-11-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多功能取暖器控制方法、装置、多功能取暖器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820B1 (ko) * 2011-05-23 2012-01-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동채널 벽면에 가이드베인을 가지는 재생형 유체기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820B1 (ko) * 2011-05-23 2012-01-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동채널 벽면에 가이드베인을 가지는 재생형 유체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869A (ko) 201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0247B1 (en) Ceiling fan with attached heater and secondary fan
US6438322B1 (en) Ceiling fan with attached heater and secondary fan
EP3212939B1 (en) Combination of a ceiling fan and heater with light effects
KR20090026194A (ko) 연소가 개량된 고체연료 스토브
WO2002066904A1 (en) Air recirculating and heating device
US6366733B1 (en) Ceiling fan having one or more fan heaters
KR101862126B1 (ko) 캠핑용 무동력 공기 순환 장치
KR101891203B1 (ko) 코안다 온풍기용 팬
US5333235A (en) Electric heater assembly for attachment to ceiling fans
CN204292889U (zh) 空气加热锅具
KR101658395B1 (ko) 온풍기용 팬
KR101700912B1 (ko) 냉온선풍기
KR101949088B1 (ko) 무동력팬이 적용된 조립형 공기순환기
JP2019500571A (ja) 自然回転対流方式暖房システム
US8326135B1 (en) Heat lamp with dispersing fan
KR100912185B1 (ko) 열풍식 원적외선 전기히터.
WO2013046179A1 (en) Heating device
US9255715B2 (en) Natural fuel heating system
KR20210012375A (ko) 무동력 공기 순환 장치
CN112344420A (zh) 一种风帽取暖器
CN105333612B (zh) 户外便携式废气分离自发电取暖器
KR100743942B1 (ko) 전기 온풍기
KR20230115023A (ko) 텐트용 공기순환 장치
GB2506210A (en) Radiator forced air convection heat distributing apparatus
EP3186562A1 (en) Convector device applicable to radiators for heating 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