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568B1 - 다단 송풍휀을 갖는 온풍기 - Google Patents

다단 송풍휀을 갖는 온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568B1
KR100890568B1 KR1020070124853A KR20070124853A KR100890568B1 KR 100890568 B1 KR100890568 B1 KR 100890568B1 KR 1020070124853 A KR1020070124853 A KR 1020070124853A KR 20070124853 A KR20070124853 A KR 20070124853A KR 100890568 B1 KR100890568 B1 KR 100890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frame
fan
central shaft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규
Original Assignee
최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규 filed Critical 최현규
Priority to KR1020070124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568B1/ko
Priority to PCT/KR2008/007133 priority patent/WO2009072803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2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853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heat insulation or cond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04D29/28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 F04D29/283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rotors of the squirrel-cag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2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826Cooling at least part of the working fluid in a heat exch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로 각각 이격되며 중앙이 관통되는 상하부원판프레임과,
상기 하부원판 프레임의 하측으로 구동축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원판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 중앙을 관통하며 하부 단부측 외주면은 상기 하부 원판 프레임 중앙 내부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히팅선이 중공의 내부로 상방으로부터 유입되어 외주면을 따라 나선방향 권선 된 후 하단부측에서 내부로 재차 유입되도록 하는 중앙축과,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 내측면으로 고정지지되며 다단 구비되는 원주상 다수개의 송풍익이 구비되는 송풍휀과,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 외측면으로 각각 접하게 되는 상하부커버판과,
상기 상하부커버판 외주면과 접하며 커버되어지되 외주면으로 상기 다단 형성되는 송풍휀의 위치에 따라 교호 천공되는 흡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동일선상 내지 동일방향에서의 외기 유입 및 온풍의 배기가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실내 구석진 곳이나 벽면 등 설치 공간에 구애되지 않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온풍기의 설치 운영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 송풍휀을 갖는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다단 송풍휀, 상하부원판프레임, 송풍익, 송풍익고정변, 흡기구, 배기구

Description

다단 송풍휀을 갖는 온풍기{MULTI STEP FAN TYPE WARM WIND EQUIPMENT}
본 발명은 실내 난방 또는 세탁된 의류 등을 건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단 송풍휀을 구비하는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중앙의 고정축으로 히팅선이 권선된 상태에서 양단으로 각각 구비되는 회동판에 고정되며 다단으로 구비되는 송풍휀을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회동시키되, 상기 다단으로 구비되는 송풍휀의 날개 방향이 교호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일방향으로의 회전시 외기의 유입 및 외기 유입에 의해 난방되는 온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이 동시에 진행되도록 하는 다단 송풍휀을 갖는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실내를 난방시키기 위한 난방기구나, 세탁된 의류 등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기구 등에 적용되어 외기를 흡입한 후 열교환 한 다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소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각종 난방기구 및 건조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각종 난방기구나 건조기 등은 케이스 내부측에 송풍휀을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외기를 흡입한 후 내부의 열교환기에 의해 히팅 시킨 다음 외부측 으로 온풍을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는데, 대부분 외기 유입구와 온풍 배출구를 달리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게 되는 종래의 난방기구 또는 건조기구 등을 실내 구석진 곳에 설치하거나, 스탠드 타입으로 놓여졌을 경우 후면 또는 상면으로부터 외기가 유입되어야 되는데 후면부측으로 실내벽면과 맞닿아 있거나 또는 상면으로 외기가 공급되는 구조의 난방기구, 건조기구의 상기 상면 측에 여타의 물건 등이 놓여 질 경우 외기의 공급이 자연스럽지 못함은 물론 이로 인한 히팅수단의 과열 현상이 발생 되어, 화재로의 안전사고가 발생 될 우려가 있다.
이외에도 본 고안과는 그 기술적 해결과제나 목적면에서 상이하나 송풍휀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공개된 공개실용신안공보(공개번호 93-23859 호 1993. 11. 26)인 "분리형 룸에어콘 실내기의 다단송풍기"와, 공개실용신안공보(공개번호 86-2906 호 1986. 3. 31)인 "에어콘용 다단송풍기"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93-23859 호는 다단으로 이어지는 송풍휀을 원주상에 브레이드홀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타단 외주면에 동심 원주상으로 원형리브를 형성하는 것과 더불어, 송풍휀 일측 링플레이트 중심부에 형성되는 구멍 주변부에 체결돌기를 형성하고 이 체결돌기와 끼워지는 체결구멍들이 중심 허브 주변부에 형성되는 엔드플레이트 등을 구성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경우 주로, 송풍휀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개시되고 있는 것으로, 송풍휀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될 경우, 외기가 공급되어 별도 의 열교환기에 의해 냉각 처리된 차가운 공기가 송풍휀에 의해 실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유도되는 것으로서, 송풍휀 구조와 실외 뜨거운 공기를 차갑게 하기 위한 열교환기 구조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것은 물론 구성되는 송풍휀에 의한 공기의 대류 방향이 어느 일방향으로만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체적인 장치의 구성이 번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86-2906 호는 다수개의 송풍단위체를 다단으로 연결하여서 되는 에어콘용 다단송풍기에 관한 것인바, 어느 일방의 프레임으로부터 타측으로 송풍익이 다수 원주상을 따라 배열 배치되어지되 송풍익 타단은 타 프레임의 주연부에 구비되는 요홈으로 삽입되어, 송풍단위체간 결합 된 구조에 의한 다단송풍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선행기술의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송풍휀에 의한 공기의 대류 방향이 선택된 어느 일방향으로만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체적인 장치 구성이 번잡하게 되는 문제점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실내에 채택되어 난방용 기구로 사용되도록 하거나 또는 세탁된 의류 등을 건조시키기 위해 건조기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건조기구 등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되, 중심 축으로 열선으로 되는 히팅선 등의 히터수단을 구비하여 전력 공급에 의해 내부가 히팅되도록 하고 중심 축 외주면으로 이격되며 양단의 각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구동모터에 구동되도록 하는 송풍휀을 다단 구성하되 상기한 각 송풍휀의 송풍익 방향을 각각 교호 형성하여, 외기의 유입구와 내부에서 열교환 된 온풍의 배출구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케이스 외주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외기의 유입 및 온풍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외기 유입 및 히팅된 온풍의 동시 배출이 온풍기 외부 케이스에 천공되는 각 통기공을 통해 교호 유입, 배출되도록 하여 외부 케이스의 심플한 구성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좁은 실내 공간에서의 자유로운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로 각각 이격되며 중앙이 관통되는 상하부원판프레임과,
상기 하부원판 프레임의 하측으로 구동축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원판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 중앙을 관통하며 하부 단부측 외주면은 상기 하부 원판 프레임 중앙 내부의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히팅선이 중공의 내부로 상방으로부터 유입되어 외주면을 따라 나선방향 권선 된 후 하단부측에서 내부로 재차 유입되도록 하는 중앙축과,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 내측면으로 고정지지되며 다단 구비되는 원주상 다수개의 송풍익이 구비되는 송풍휀과,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 외측면으로 각각 접하게 되는 상하부커버판과,
상기 상하부커버판 외주면과 접하며 커버되어지되 외주면으로 상기 다단 형성되는 송풍휀의 위치에 따라 교호 천공되는 흡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에 채택되어 난방용 기구로 사용되도록 하거나 또는 세탁된 의류 등을 건조시키기 위해 건조기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건조기구 등으로 사용되어질 때 본체 케이스를 통해 외기의 유입구와 내부에서 열교환 된 온풍의 배출구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케이스 외주면에 동일선상 또는 동일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외기의 유입 및 온풍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외부 케이스의 심플한 구성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좁은 실내 공간에서의 자유로운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듯이, 상하부원판프레임 중앙을 가로지르는 중앙축과,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 내부로 다단 구성되는 송풍휀과, 상기 상하부원판 프레임 외측면으로 각각 접하며 고정되는 상하부커버판과, 상기 상하부커버판 외주 면과 접하며 커버링되어지되 외주면으로 교호 천공되는 흡기구 및 배기구를 갖는 케이스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원판 프레임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한 송풍휀이 회전되도록 하여 외부 외기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후 중앙축 외주면으로 권선되는 히팅선에 의해 가열된 온풍이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일련의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술하게 되는 중앙축(4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이 관통되는 형태를 이루어지되, 그 상하부 원판프레임(100,200) 내주면은 상기 중앙축(400)과는 접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앙축(400)이 회전되어서는 아니 되며, 상기 하부 원판 프레임(200)이 후술하는 구동모터(300)의 구동에 의해 연동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 원판 프레임(200) 상면측과 고정되어지되 송풍익이 다단으로 교호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다단의 송풍휀(500)이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외부 공기가 송풍휀(500)의 회전에 의해 유입됨과 동시에 히팅된 온풍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상부 원판 프레임(100)은 도 3에서 보듯이 중앙이 관통되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 내측방으로 트러스트베어링(111)이 안착 될 수 있는 안착홈(110)이 형성되고 하면측으로 일체로 돌출되는 돌출환턱(120)을 형성한다.
상기한 트러스트베어링(111)은 후술하게 될 상부커버판(600)의 하면과 접하며 구름운동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돌출환턱(120)은 송풍휀(500)의 프레임 내주면에 끼워질 수 있도 록 하였으며 동시에 상기 돌출환턱(120)으로부터 이어지는 상부 원판 프레임(100) 하면측과 송풍휀(500)의 프레임간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 체결되도록 한다.
하부 원판 프레임(200)은 도 3에서 보듯이 상부 원판 프레임(100)과 마찬가지로 중앙이 관통되어 중앙축(4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상부 원판 프레임(100)과는 반대로 상면측에 돌출환턱(210)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돌출환턱(210) 내주면측으로 레이디얼베어링(211)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하부 원판 프레임(200) 저면측으로 돌출되는 축고정구(220)를 형성하여, 구동모터(300)의 구동축(310)이 상기 축고정구(220) 내부측으로 고정 삽입되도록 하므로써, 구동모터(300)의 구동과 연동 되어 하부 원판 프레임(20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레이디얼베어링(211)은 후술하는 중앙축(400) 하단 외주면과 접하며 구름운동되도록 하여, 구동모터(300)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310)이 회전되더라도 상기 중앙축(400)은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 구동모터(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휀(5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외부 케이스(700)의 저면에 고정되어지되 구동모터(300) 상면으로 구비되는 구동축(3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원판프레임(200) 의 하면측 축고정구(220) 내부측으로 강제 삽입되어, 구동모터(300)의 구동력에 따라 동일 회전비에 의해 하부원판프레임(200)이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원판프레임(200) 상면으로 다단 구성되는 송풍휀(500) 또한 중앙의 중앙축(400)과 간섭되지 않으며 동일 회전비로 연동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중앙축(400)은 도 3에서 보듯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지되 내부가 중공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중앙축(400) 상방으로부터 히팅선(410)이 유입되어 중앙축(400) 상방 외주면을 통해 상기 중앙축(400) 상방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외주면을 따라 권선되도록 한 후, 중앙축(400) 하방 외주면을 통해 재차 내부로 유입되어 중앙축(400 상방으로 히팅선(410)이 배설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중앙축(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원판프레임(100)과 하부원판프레임(200)을 각각 관통하되 상기 하부원판프레임(200)의 레이디얼베어링(211)에 중앙축(400) 하단 외주면이 지지되도록 하고, 중앙축(400) 상단부는 상부커버판(6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송풍휀(500)은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단위체로 구성하여 다단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하로 각각 송풍익(530)의 길이만큼 이격되는 상부프레임(510) 및 하부프레임(520)을 이루되 상기 상하부프레임(510,520) 외주면으로 90°각을 이루는 톱니형상의 송풍익고정변(511,521)을 형성하고, 상기 송풍익고정변(511,521)으로 송풍익(530) 상하단에 각각 천공되는 구멍(531)을 통해 피스 등의 체결구(540)를 이용하여 고정 체결토록 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송풍익(530)의 고정 방향에 따라 외기의 유입 및 열교환된 온풍의 배출에 의한 실내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예컨데 송풍휀(500) 상하부프레임(510,520) 외주면으로 톱니형상을 이루는 송풍익고정변(511,521)의 어느 일변으로 통일되도록 송풍익(530)을 각각 배열하며 체결구(54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그 하단으로 연결되는 송풍휀(500')의 경우에는 상기 송풍익(530)의 고정 방향이 위의 송풍익(530)과는 마주보는 방향 즉 90° 에 의해 마주보는 방향에서의 송풍익고정변(511',521')에 송풍익(530')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송풍휀(500,500')을 다단으로 연결하게 되는데 상하로 이어지는 각 송풍휀(500,500')의 연결은 상부프레임(510) 및 하부프레임(520)을 각각 관통하는 구멍(512,522)을 통해 체결구(540) 등에 의해 상호 고정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송풍휀(500,500')을 다단으로 구비할 경우 최상단의 송풍휀(500)과 그 하단으로 연결되는 송풍휀(500')으로 각각 원주상 고정되는 송풍익(530,530')은 각각 상호 위치를 달리하며 교호 배치되도록 하며 상하 반복 다단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송풍휀(500,500')을 상하 교호 배치하며 고정하되, 최상방의 송풍휀(500) 내주면으로 상부원판프레임(100) 하단의 돌출환턱(120) 외주면이 삽입되며 밀접하게 접하도록 하고, 최하단의 송풍휀(500') 내주면으로 하부원판프레임(20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환턱(210)이 삽입되며 그 외주면이 밀접하게 접하도록 하여, 구동모터(300)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310)이 삽입되며 연결되는 하부원판프레임(200)이 동시에 연동 회전되고, 하부원판프레임(200)의 상면 돌출환턱(210)이 삽입되며 연결되어지는 최하단의 송풍휀(500')이 연동 회전되면서 전체 송풍휀(500,500')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최상단의 송풍휀(500)도 동일 회전비로 회전되는데, 최상단 송풍휀(500) 내주면과 밀접하게 고정되는 돌출환턱(120)에 의해 상부원판프레임(100) 또한 동일 회전비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송풍휀(500,500') 전체가 회전을 하게 되지만, 상기 회전되는 송풍휀(500,500') 및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과 그 중앙을 가로지르는 중앙축(400)간에는 어떠한 간섭 현상도 없게 되고, 중앙축(40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송풍휀(500,500') 전체가 회전되지만, 각 송풍익(530,530') 방향이 다단으로 교호 배치되므로, 상방에 위치한 송풍휀(500)이 정회전될 때의 송풍익(530)이 외기를 유입하는 방향으로 송풍익고정변(511)에 고정 배치되었다면 송풍휀(500) 회전시 송풍익(530)에 의해 외기를 유입하여 중앙축(400) 외주면으로 권선되어 있는 히팅선측으로 대류시키도록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한 중앙축(400) 주변에서 외기가 온기를 갖도록 열교환됨과 동시에 상기한 송풍휀(500) 하단으로 연결되는 다른 송풍휀(500')의 송풍익(530')이 반대 방향으로 송풍익고정변(511',521')에 고정되어 있어, 동일 방향으로의 중앙축(400) 회전이 진행되더라도 상기한 송풍휀(500')에서의 송풍익(530')은 이미 히 팅되어 열교환된 온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하나의 중앙축(400)을 따라 구비되는 다수의 송풍휀(500,500') 동일 방향으로 송풍휀(500,500')이 회전되더라도 외기의 유입 및 열교환된 온기의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하부커버판(600,600')은 상부원판프레임(100)의 상면측과 하부원판프레임(200) 하면측을 커버링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커버판(600)의 저면으로는 상부원판프레임(100)의 안착홈(110)에 게재되는 트러스트베어링(111)과 접하여 상기 트러스트베어링(111)이 상부원판프레임(100)이 회전되어질 때 구름운동되도록 하고, 하부커버판(600')은 하부원판프레임(200)과 이격되는 위치에서 케이스(700) 하단 내주면과 접하며 고정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상하부커버판(600,600')은 구동모터(300)의 구동에 의해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 및 다단의 송풍휀(500,500')이 회전되더라도 이와 연동하여 회전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하부커버판(600,600') 중앙으로는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중앙축(400) 상단과 구동모터(300)의 구동축(310)이 관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700)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체를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 또는 사각형상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단부측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스탠드형 받침부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일측면에 벽걸이형으로 구성하여 실 시할 수도 있는바, 설계 변경에 따라 다양한 실시가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700) 외주면으로는 각각 흡기구(710)와 배기구(720)가 각각 그 위치를 달리하며 교호 천공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흡기구(710)와 배기구(720)의 천공 위치는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송풍휀(500,500')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상에 천공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예컨데 어느 한 위치에 구비되는 송풍휀(500)의 송풍익(530)이 외기를 흡입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경우 이와 대응되는 케이스(700)에 천공되는 부위는 흡기구(710)에 해당되고, 그 상하단으로 각각 위치되는 천공 부위는 배기구(720)에 해당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난방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세탁된 의류 등을 건조시키기 위한 의류건조기 또는 제화등을 건조시키기 위한 신발건조기 내에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송풍휀(500,500')의 회전에 의해 외기의 유입 및 송풍휀(500,500') 중앙을 가로지르는 중앙축(400) 외주면으로 권선된 히팅선(410)에 의해 열교환된 온풍을 재차 배기구(720)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동일선상 내지 동일방향에서의 외기 유입 및 온풍의 배기가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실내 구석진 곳이나 벽면 등 설치 공간에 구애되지 않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온풍기의 설치 운영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송풍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의한 송풍휀에서 각각 송풍익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중앙축과 상하부원판프레임 및 중앙축 하단의 구동모터 등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의한 구성에 도 1의 송풍휀을 다단 설치 구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의한 송풍휀 외측으로 케이스를 부설한 상태에서의 개괄적 정단면도
도 6은 도 5에 의한 케이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상부원판프레임 110; 안착홈
111; 트러스트베어링 120; 돌출환턱
200; 하부원판프레임 210; 돌출환턱
211; 레이디얼베어링 220; 축고정구
300; 구동모터 310; 구동축
400; 중앙축 410; 히팅선
500,500'; 송풍휀 510; 하부프레임
511,512; 송풍익고정변 512,522; 구멍
530,530'; 송풍익 531; 구멍
540; 체결구 600,600'; 상하부커버판
700; 케이스 710; 흡기구
720; 배기구

Claims (5)

  1. 상하로 각각 이격되며 중앙이 관통되는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과,
    상기 하부원판프레임(200)의 하측으로 구동축(310)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원판프레임(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00)와,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 중앙을 관통하며 하부 단부측 외주면은 상기 하부원판프레임(200) 중앙 내부의 레이디얼베어링(21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히팅선(410)이 중공의 내부로 상방으로부터 유입되어 외주면을 따라 나선방향 권선 된 후 하단부측에서 내부로 재차 유입되도록 하는 중앙축(400)과,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 내측면으로 고정지지되며 원주상 다수개의 송풍익(530,530')을 갖으며 다단 구비되는 송풍휀(500,500')과,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 외측면으로 각각 접하게 되는 상하부커버판(600,600')과,
    상기 상하부커버판(600,600') 외주면과 접하며 커버되어지되 외주면으로 상기 다단 형성되는 송풍휀(500,500')의 위치에 따라 교호 천공되는 흡기구(710) 및 배기구(720)가 형성되는 케이스(7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송풍휀을 갖는 온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원판프레임(100)은 중앙이 관통되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 내측방으로 트러스트베어링(111)이 안착 될 수 있는 안착홈(110)이 형성되고 하면측으로 일체로 돌출되는 돌출환턱(120)을 형성하여, 송풍휀(500)의 프레임 내주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동시에 상기 돌출환턱(120)으로부터 이어지는 상부 원판 프레임(100) 하면측과 송풍휀(500)의 프레임간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 체결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원판프레임(200)은 중앙이 관통되어 중앙축(4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하고 상면측에 돌출환턱(210)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돌출환턱(210) 내주면측으로 상기 레이디얼베어링(211)이 구비되고 저면측으로 돌출되는 축고정구(220)를 형성하여, 구동모터(300)의 구동축(310)이 상기 축고정구(220) 내부측으로 고정 삽입되도록 하므로써, 구동모터(300)의 구동과 연동 되어 하부 원판 프레임(20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구동모터(300)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310)이 회전되더라도 상기 중앙축(400)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단 송풍휀을 갖는 온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축(400)은 내부가 중공상태를 이루며 상부원판프레임(100)과 하부원판프레임(200)을 각각 관통하되 상기 하부원판프레임(200)의 레이디얼베어링(211)에 중앙축(400) 하단 외주면이 지지되도록 하고, 중앙축(400) 상단부는 상 부커버판(6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되, 상방으로부터 히팅선(410)이 유입되어 중앙축(400) 상방 외주면을 통해 상기 중앙축(400) 상방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외주면을 따라 권선되도록 한 후, 중앙축(400) 하방 외주면을 통해 재차 내부로 유입되어 중앙축(400 상방으로 히팅선(410)이 배설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단 송풍휀을 갖는 온풍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휀(500)은 하나의 단위체로 구성하여 다단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하로 각각 송풍익(530)의 길이만큼 이격되는 상부프레임(510) 및 하부프레임(520)을 이루되 상기 상하부프레임(510,520) 외주면으로 90°각을 이루는 톱니형상의 송풍익고정변(511,521)을 형성하고, 상기 송풍익고정변(511,521)으로 송풍익(530) 상하단에 각각 천공되는 구멍(531)을 통해 체결구(540)를 이용하여 고정 체결토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단 송풍휀을 갖는 온풍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휀(500) 상하부프레임(510,520) 외주면으로 톱니형상을 이루는 송풍익고정변(511,521)의 어느 일변으로 통일되도록 송풍익(530)을 각각 배열하며 체결구(540)에 의해 고정되고, 하단으로 연결되는 송풍휀(500')의 송풍익(530') 고정 방향이 상방측 송풍익(530)과는 90° 에 의해 마주보는 방향에서의 송풍익고정변(511',521')에 송풍익(530')이 고정되도록 하여 다단 교호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단 송풍휀을 갖는 온풍기.
KR1020070124853A 2007-12-04 2007-12-04 다단 송풍휀을 갖는 온풍기 KR100890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853A KR100890568B1 (ko) 2007-12-04 2007-12-04 다단 송풍휀을 갖는 온풍기
PCT/KR2008/007133 WO2009072803A2 (en) 2007-12-04 2008-12-03 Multi step fan type warm wind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853A KR100890568B1 (ko) 2007-12-04 2007-12-04 다단 송풍휀을 갖는 온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0568B1 true KR100890568B1 (ko) 2009-03-25

Family

ID=40698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853A KR100890568B1 (ko) 2007-12-04 2007-12-04 다단 송풍휀을 갖는 온풍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90568B1 (ko)
WO (1) WO200907280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6302A (zh) * 2009-12-31 2011-07-06 尹根洙 具有热风吹出功能的全向电风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6536A (zh) * 2015-04-01 2015-07-29 邹中霞 一种气流式锯末干燥机扇叶驱动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4299A (ja) 1986-03-14 1987-09-21 Hitachi Ltd 扇風機
KR910015633U (ko) * 1990-02-22 1991-09-25
KR20010084249A (ko) * 2000-02-24 2001-09-06 송낙웅 발열체를 구비한 직립형 선풍기
KR200252181Y1 (ko) 2001-07-16 2001-11-17 (주)오토엠아이티 냉,온풍이 토출되는 의자 겸용 선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4299A (ja) 1986-03-14 1987-09-21 Hitachi Ltd 扇風機
KR910015633U (ko) * 1990-02-22 1991-09-25
KR20010084249A (ko) * 2000-02-24 2001-09-06 송낙웅 발열체를 구비한 직립형 선풍기
KR200252181Y1 (ko) 2001-07-16 2001-11-17 (주)오토엠아이티 냉,온풍이 토출되는 의자 겸용 선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6302A (zh) * 2009-12-31 2011-07-06 尹根洙 具有热风吹出功能的全向电风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72803A3 (en) 2009-08-06
WO2009072803A2 (en)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330B1 (ko) 원심형 천장팬
CN103574770B (zh) 立式空调器及其控制方法
TWI439648B (zh) Bathroom dryer
CN202709316U (zh) 立式空调器
KR20070060502A (ko) 공기조화기
CN106196291A (zh) 空调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KR100890568B1 (ko) 다단 송풍휀을 갖는 온풍기
AU2016385149B2 (en) Axial fan assembly and motor home air-conditioner using same
JP6083774B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3087876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111442376B (zh) 吊顶式空调室内机
CN106123127A (zh) 空调装置
KR20110126859A (ko)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
JPH1038305A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CN210425278U (zh) 吊顶式空调室内机
CN209840270U (zh) 吊顶式空调室内机
CN209819688U (zh) 吊顶式空调室内机
KR101249500B1 (ko) 천정형 에어컨
JPH0639973B2 (ja) 天井設置形空気調和機
KR102629027B1 (ko) 공기조화기
CN206160285U (zh) 空调器
KR100267549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 토출장치
KR200254346Y1 (ko) 회전 온풍기
JP2013181451A (ja) 風力発電システム
KR102633617B1 (ko) 환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