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6859A -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 - Google Patents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6859A
KR20110126859A KR1020100046345A KR20100046345A KR20110126859A KR 20110126859 A KR20110126859 A KR 20110126859A KR 1020100046345 A KR1020100046345 A KR 1020100046345A KR 20100046345 A KR20100046345 A KR 20100046345A KR 20110126859 A KR20110126859 A KR 20110126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ower disc
air inlet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규
Original Assignee
최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규 filed Critical 최현규
Priority to KR1020100046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6859A/ko
Publication of KR20110126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2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2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난방 또는 세탁된 의류 등을 건조시키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중앙의 고정축으로 히팅선이 권선된 상태에서 양단으로 각각 구비되는 회동판에 고정된 공기유도부 즉, 공기유입부와 공기배출부가 다단으로 교호로 적층 구비되어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회동시키되, 상기 다단으로 구비되는 공기유도부인 공기유입부와 공기배출부가 교호로 적층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일방향으로의 회전시 외기의 유입 및 외기 유입에 의해 난방되는 온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이 동시에 진행되도록 하는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상하로 각각 이격되며 중앙이 관통되는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과, 상기 하부원판프레임(200)의 하측으로 구동축(310)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원판프레임(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00)와,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 중앙을 관통하며 하부 단부측 외주면은 상기 하부원판프레임(200) 중앙 내부의 레이디얼베어링(21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히팅선(410)이 중공의 내부로 상방으로부터 유입되어 외주면을 따라 나선방향 권선 된 후 하단부측에서 내부로 재차 유입되도록 하는 고정축(400)과,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 내측면에 다단으로 고정되어 상기 구동축(3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와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공기유입부(510)와 공기배출부(520)가 교호로 적층된 공기유도부(500)와,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 외측면으로 각각 접하게 되는 상하부커버판(600,600')과, 상기 상하부커버판(600,600') 외주면과 접하며 커버되어지되 외주면으로 상기 다단 형성되는 공기유도부(500)인 공기유입부(510)와 공기배출부(520)의 위치에 따라 교호 천공되는 흡기구(710) 및 배기구(720)가 형성되는 케이스(700)로 구성되는 것과,
상하로 각각 이격되며 중앙이 관통되는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과, 상기 하부원판프레임(200)의 하측으로 구동축(310)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원판프레임(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00)와,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 중앙을 관통하며 하부 단부측 외주면은 상기 하부원판프레임(200) 중앙 내부의 레이디얼베어링(21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히팅선(410)이 중공의 내부로 상방으로부터 유입되어 외주면을 따라 나선방향 권선 된 후 하단부측에서 내부로 재차 유입되도록 하는 고정축(400)과,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 내측면에 다단으로 고정되어 상기 구동축(3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와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하나의 단위체로 공기유입부(510)와 공기유입송풍휀(511) 및 공기배출부(520)와 공기배출송풍휀(521)이 교호로 적층된 공기유도부(500')와,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 외측면으로 각각 접하게 되는 상하부커버판(600,600')과, 상기 상하부커버판(600,600') 외주면과 접하며 커버되어지되 외주면으로 상기 다단 형성되는 공기유도부(500')인 공기유입부(510)와 공기배출부(520)의 위치에 따라 교호 천공되는 흡기구(710) 및 배기구(720)가 형성되는 케이스(700)로 구성되는 것과,
상기 공기유도부(500,500')에서 공기유입부(510)와 공기배출부(520)는 나선형상의 공기유입통로(512) 및 공기배출통로(522) 각각 정반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MULTI STEP AIR INDUCEMENT TYPE WARM WIND EQUIPMENT}
본 발명은 실내 난방 또는 세탁된 의류 등을 건조시키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중앙의 고정축으로 히팅선이 권선된 상태에서 양단으로 각각 구비되는 회동판에 고정된 공기유도부 즉, 공기유입부와 공기배출부가 다단으로 교호로 적층 구비되어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회동시키되, 상기 다단으로 구비되는 공기유도부인 공기유입부와 공기배출부가 교호로 적층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일방향으로의 회전시 외기의 유입 및 외기 유입에 의해 난방되는 온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이 동시에 진행되도록 하는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실내를 난방시키기 위한 난방기구나, 세탁된 의류 등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기구 등에 적용되어 외기를 흡입한 후 열교환 한 다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소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각종 난방기구 및 건조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각종 난방기구나 건조기 등은 케이스 내부측에 송풍휀을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외기를 흡입한 후 내부의 열교환기에 의해 히팅 시킨 다음 외부측으로 온풍을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는데, 대부분 외기 유입구와 온풍 배출구를 달리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게 되는 종래의 난방기구 또는 건조기구 등을 실내 구석진 곳에 설치하거나, 스탠드 타입으로 놓여졌을 경우 후면 또는 상면으로부터 외기가 유입되어야 되는데 후면부측으로 실내벽면과 맞닿아 있거나 또는 상면으로 외기가 공급되는 구조의 난방기구, 건조기구의 상기 상면 측에 여타의 물건 등이 놓여 질 경우 외기의 공급이 자연스럽지 못함은 물론 이로 인한 히팅수단의 과열 현상이 발생 되어, 화재로의 안전사고가 발생 될 우려가 있다.
이외에도 본 고안과는 그 기술적 해결과제나 목적면에서 상이하나 송풍휀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공개된 공개실용신안공보(공개번호 93-23859 호 1993. 11. 26)인 "분리형 룸에어콘 실내기의 다단송풍기"와, 공개실용신안공보(공개번호 86-2906 호 1986. 3. 31)인 "에어콘용 다단송풍기"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93-23859 호는 다단으로 이어지는 송풍휀을 원주상에 브레이드홀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타단 외주면에 동심 원주상으로 원형리브를 형성하는 것과 더불어, 송풍휀 일측 링플레이트 중심부에 형성되는 구멍 주변부에 체결돌기를 형성하고 이 체결돌기와 끼워지는 체결구멍들이 중심 허브 주변부에 형성되는 엔드플레이트 등을 구성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경우 주로, 송풍휀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개시되고 있는 것으로, 송풍휀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될 경우, 외기가 공급되어 별도의 열교환기에 의해 냉각 처리된 차가운 공기가 송풍휀에 의해 실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유도되는 것으로서, 송풍휀 구조와 실외 뜨거운 공기를 차갑게 하기 위한 열교환기 구조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것은 물론 구성되는 송풍휀에 의한 공기의 대류 방향이 어느 일방향으로만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체적인 장치의 구성이 번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86-2906 호는 다수개의 송풍단위체를 다단으로 연결하여서 되는 에어콘용 다단송풍기에 관한 것인바, 어느 일방의 프레임으로부터 타측으로 송풍익이 다수 원주상을 따라 배열 배치되어지되 송풍익 타단은 타 프레임의 주연부에 구비되는 요홈으로 삽입되어, 송풍단위체간 결합 된 구조에 의한 다단송풍기를 제공한다.
상기한 선행기술의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송풍휀에 의한 공기의 대류 방향이 선택된 어느 일방향으로만 이루어지게 되므로, 전체적인 장치 구성이 번잡하게 되는 문제점은 동일하다.
이에 대하여 본원인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007년 12월 4일자로 특허출원 제10-2007-0124853호 발명의 명칭 "다단 송풍휀을 갖는 온풍기"를 출원하였으며 그 요지를 살펴보면,
중심 축으로 열선으로 되는 히팅선 등의 히터수단을 구비하여 전력 공급에 의해 내부가 히팅되도록 하고 중심 축 외주면으로 이격되며 양단의 각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구동모터에 구동되도록 하는 송풍휀을 다단 구성하되 상기한 각 송풍휀의 송풍익 방향을 각각 교호 형성하여, 외기의 유입구와 내부에서 열교환 된 온풍의 배출구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케이스 외주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외기의 유입 및 온풍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나,
그 효과면에서 볼때 본원인이 기대한 만큼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실내에 채택되어 난방용 기구로 사용되도록 하거나 또는 세탁된 의류 등을 건조시키기 위해 건조기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건조기구 등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되, 고정축으로 열선으로 되는 히팅선 등의 히터수단을 구비하여 전력 공급에 의해 내부가 히팅되도록 하고 고정축 외주면으로 이격되며 양단의 각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구동모터에 구동되도록 하는 공기유도부를 다단 구성하되 상기한 공기유도부인 공기유입부와 공기배출부를 각각 교호로 형성하여, 외기의 유입구와 내부에서 열교환 된 온풍의 배출구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케이스 외주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외기의 유입 및 온풍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유입부와 공기배출부 상측에 송풍익의 방향이 반대로 구비된 송풍휀을 하나의 세트로 결합하여 교호로 적층함으로서 외기 유입 및 히팅된 온풍의 동시 배출이 더욱 강력하고 확실한 효과를 발휘가능하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로 각각 이격되며 중앙이 관통되는 상하부원판프레임과, 상기 하부원판프레임의 하측으로 구동축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원판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 중앙을 관통하며 하부 단부측 외주면은 상기 하부원판프레임 중앙 내부의 레이디얼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히팅선이 중공의 내부로 상방으로부터 유입되어 외주면을 따라 나선방향 권선 된 후 하단부측에서 내부로 재차 유입되도록 하는 고정축과,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 내측면에 다단으로 고정되어 상기 구동축의 구동에 의해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와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공기유입부와 공기배출부가 교호로 적층된 공기유도부와,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 외측면으로 각각 접하게 되는 상하부커버판과, 상기 상하부커버판 외주면과 접하며 커버되어지되 외주면으로 상기 다단 형성되는 공기유도부인 공기유입부와 공기배출부의 위치에 따라 교호 천공되는 흡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스로 구성되는 것과,
상하로 각각 이격되며 중앙이 관통되는 상하부원판프레임과, 상기 하부원판프레임의 하측으로 구동축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원판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 중앙을 관통하며 하부 단부측 외주면은 상기 하부원판프레임 중앙 내부의 레이디얼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히팅선이 중공의 내부로 상방으로부터 유입되어 외주면을 따라 나선방향 권선 된 후 하단부측에서 내부로 재차 유입되도록 하는 고정축과,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 내측면에 다단으로 고정되어 상기 구동축의 구동에 의해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와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하나의 단위체로 공기유입부와 공기유입송풍휀 및 공기배출부와 공기배출송풍휀이 교호로 적층된 공기유도부와,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 외측면으로 각각 접하게 되는 상하부커버판과, 상기 상하부커버판 외주면과 접하며 커버되어지되 외주면으로 상기 다단 형성되는 공기유도부인 공기유입부와 공기배출부의 위치에 따라 교호 천공되는 흡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스로 구성되는 것과,
상기 공기유도부에서 공기유입부와 공기배출부는 나선형상의 공기유입통로 및 공기배출통로 각각 정반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에 채택되어 난방용 기구로 사용되도록 하거나 또는 세탁된 의류 등을 건조시키기 위해 건조기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건조기구 등으로 사용되어질 때 본체 케이스를 통해 외기의 유입구와 내부에서 열교환 된 온풍의 배출구가 각각 동일한 하나의 케이스 외주면에 동일선상 또는 동일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외기의 유입 및 온풍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외부 케이스의 심플한 구성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좁은 실내 공간에서의 자유로운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에 있어서 공기유입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에 있어서 공기배출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에 있어서 공기 유입부와 공기배출부의 공기 유입 및 배출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에 있어서 공기유도부를 제외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에 있어서 케이스가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의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에 있어서 도 8에 적용되는 공기유입송풍휀과 공기배출송풍휀의 공기 유입 및 배출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에 있어서 공기유입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에 있어서 공기배출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에 있어서 공기 유입부와 공기배출부의 공기 유입 및 배출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에 있어서 공기유도부를 제외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에 있어서 케이스가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에 있어서 도 8에 적용되는 공기유입송풍휀과 공기배출송풍휀의 공기 유입 및 배출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듯이, 상하부원판프레임 중앙을 가로지르는 고정축과,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 내부로 다단 구성되는 공기유도부와, 상기 상하부원판 프레임 외측면으로 각각 접하며 고정되는 상하부커버판과, 상기 상하부커버판 외주면과 접하며 커버링되어지되 외주면으로 교호 천공되는 흡기구 및 배기구를 갖는 케이스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원판 프레임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에 의해 상기한 공기유도부가 회전되도록 하여 외부 외기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후 중앙축 외주면으로 권선되는 히팅선에 의해 가열된 온풍이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일련의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술하게 되는 고정축(4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이 관통되는 형태를 이루어지되, 그 상하부 원판프레임(100,200) 내주면은 상기 고정축(400)과는 접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축(400)이 회전되어서는 아니 되며, 상기 하부 원판 프레임(200)이 후술하는 구동모터(300)의 구동에 의해 연동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 원판 프레임(200) 상면측과 고정되어지되 공기유도부(500)인 공기유입부(510)과 공기배출부(520)이 다단으로 교호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다단의 공기유도부(500)가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부(510)의 공기유입통로(512)로 유입되어 공기배출부(520)의 공기배출통로(522)로 배출됨에 있어 히팅된 온풍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상부 원판 프레임(100)은 도 5 및 도 7에서 보듯이 중앙이 관통되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 내측방으로 트러스트베어링(111)이 안착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트러스트베어링(111)은 후술하게 될 상부커버판(600)의 하면과 접하며 구름운동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상부 원판프레임(100)과 공기유도부(500) 및 다단으로 결합된 공기유도부(500) 그리고 하부 원판프레임(200)간은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 체결되도록 한다.
하부 원판 프레임(200)은 도 5 및 도 7에서 보듯이 상부 원판 프레임(100)과 마찬가지로 중앙이 관통되어 고정축(400)이 관통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내주면측으로 레이디얼베어링(211)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하부 원판 프레임(200) 저면측으로 돌출되는 축고정구(220)를 형성하여, 구동모터(300)의 구동축(310)이 상기 축고정구(220) 내부측으로 고정 삽입되도록 하므로써, 구동모터(300)의 구동과 연동 되어 하부 원판 프레임(20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레이디얼베어링(211)은 후술하는 고정축(400) 하단 외주면과 접하며 구름운동되도록 하여, 구동모터(300)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310)이 회전되더라도 상기 고정축(400)은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 구동모터(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유도부(5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외부 케이스(700)의 저면에 고정되어지되 구동모터(300) 상면으로 구비되는 구동축(3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원판프레임(200)의 하면측 축고정구(220) 내부측으로 강제 삽입되어, 구동모터(300)의 구동력에 따라 동일 회전비에 의해 하부원판프레임(200)이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원판프레임(200) 상면으로 다단 구성되는 공기유도부(500) 또한 중앙의 고정축(400)과 간섭되지 않으며 동일 회전비로 연동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축(400)은 도 3에서 보듯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지되 내부가 중공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고정축(400) 상방으로부터 히팅선(410)이 유입되어 고정축(400) 상방 외주면을 통해 상기 고정축(400) 상방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외주면을 따라 권선되도록 한 후, 고정축(400) 하방 외주면을 통해 재차 내부로 유입되어 고정축(400 상방으로 히팅선(410)이 배설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고정축(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원판프레임(100)과 하부원판프레임(200)을 각각 관통하되 상기 하부원판프레임(200)의 레이디얼베어링(211)에 고정축(400) 하단 외주면이 지지되도록 하고, 고정축(400) 상단부는 상부커버판(6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공기유도부(500)은 도 1 내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위체로 구성하여 다단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공기유도부(500)는 공기유입부(510)과 공기배출부(520)이 교호로 적층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유입부(5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상의 공기유입통로(512)가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로 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통로(512)를 통해 공기유입부(510) 내측으로 유입 가능하도록 된 구성이며,
반면에, 공기배출부(5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나선형상의 공기배출통로(522)가 타측 즉, 상기 공기유입부(510)의 공기유입통로(512)의 정반대에 위치토록 하여 내부에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배출통로(522)를 통해 원활하게 공기배출부(520)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대한 실시 도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 상기 상하부커버판(600,600')은 상부원판프레임(100)의 상면측과 하부원판프레임(200) 하면측을 커버링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커버판(600)의 저면으로는 상부원판프레임(100)의 트러스트베어링(111)과 접하여 상기 트러스트베어링(111)이 상부원판프레임(100)이 회전되어질 때 구름운동되도록 하고, 하부커버판(600')은 하부원판프레임(200)과 이격되는 위치에서 케이스(700) 하단 내주면과 접하며 고정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상하부커버판(600,600')은 구동모터(300)의 구동에 의해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 및 다단의 공기유도부(500)가 회전되더라도 이와 연동하여 회전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하부커버판(600,600') 중앙으로는 관통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축(400) 상단과 구동모터(300)의 구동축(310)이 관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700)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체를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 또는 사각형상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단부측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스탠드형 받침부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일측면에 벽걸이형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는바, 설계 변경에 따라 다양한 실시가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700) 외주면으로는 각각 흡기구(710)와 배기구(720)가 각각 그 위치를 달리하며 교호 천공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흡기구(710)와 배기구(720)의 천공 위치는 상기 공기유도부(500) 즉, 공기유입부(510)과 공기배출부(520)의 공기유입통로(512)와 공기배출통로(522)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상에 천공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예컨데 공기유입부(510)의 공기유입통로(512)가 배치되어 외기를 흡입하는 경우에는 이와 대응되는 케이스(700)에 천공되는 부위는 흡기구(710)에 해당되고, 그 상하단으로 각각 위치되는 천공 부위는 배기구(720)에 해당된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입부(510)와 공기유입송풍휀(511)이 하나의 단위체로 결합되고 반면에 공기배출부(520)와 공기배출송풍휀(521)이 하나의 단위체로 결합된 각각의 공기유도부(500')가 교호로 적층되어 상기 구동축(31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공기유입송풍휀(511)과 공기배출송풍휀(521)의 송풍익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정반대로 확개되어 상기 공기유입부(510) 및 공기배출부(520)으로 유입 및 배출된 또는 상기 공기유입송풍휀(511)과 공기배출송풍휀(521)이 독자적으로 공기를 유입 및 배출토록 함으로서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의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한 것이다.
기타 작동이나 구성은 상기 공기유도부(500)만 존재하는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생략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난방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세탁된 의류 등을 건조시키기 위한 의류건조기 또는 제화등을 건조시키기 위한 신발건조기 내에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공기유도부(500,500')의 회전과 더불어 공기유입송풍휀(511), 공기배출송풍휀(521)의 회전에 의해 외기의 유입 및 공기유도부(500,500') 중앙을 가로지르는 고정축(400) 외주면으로 권선된 히팅선(410)에 의해 열교환된 온풍을 재차 배기구(720)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동일선상 내지 동일방향에서의 외기 유입 및 온풍의 배기가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실내 구석진 곳이나 벽면 등 설치 공간에 구애되지 않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온풍기의 설치 운영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100; 상부원판프레임 111; 트러스트베어링
200; 하부원판프레임 211; 레이디얼베어링
220; 축고정구 300; 구동모터
310; 구동축 400; 고정축
410; 히팅선 500,500'; 공기유도부
510; 공기유입부 511; 공기유입송풍휀
512; 공기유입통로 520; 공기배출부
521; 공기배출송풍휀 522;공기배출통로
600,600'; 상하부커버판
700; 케이스 710; 흡기구
720; 배기구

Claims (3)

  1. 상하로 각각 이격되며 중앙이 관통되는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과,
    상기 하부원판프레임(200)의 하측으로 구동축(310)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원판프레임(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00)와,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 중앙을 관통하며 하부 단부측 외주면은 상기 하부원판프레임(200) 중앙 내부의 레이디얼베어링(21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히팅선(410)이 중공의 내부로 상방으로부터 유입되어 외주면을 따라 나선방향 권선 된 후 하단부측에서 내부로 재차 유입되도록 하는 고정축(400)과,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 내측면에 다단으로 고정되어 상기 구동축(3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와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공기유입부(510)와 공기배출부(520)가 교호로 적층된 공기유도부(500)와,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 외측면으로 각각 접하게 되는 상하부커버판(600,600')과,
    상기 상하부커버판(600,600') 외주면과 접하며 커버되어지되 외주면으로 상기 다단 형성되는 공기유도부(500)인 공기유입부(510)와 공기배출부(520)의 위치에 따라 교호 천공되는 흡기구(710) 및 배기구(720)가 형성되는 케이스(7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
  2. 상하로 각각 이격되며 중앙이 관통되는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과,
    상기 하부원판프레임(200)의 하측으로 구동축(310)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원판프레임(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00)와,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 중앙을 관통하며 하부 단부측 외주면은 상기 하부원판프레임(200) 중앙 내부의 레이디얼베어링(21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히팅선(410)이 중공의 내부로 상방으로부터 유입되어 외주면을 따라 나선방향 권선 된 후 하단부측에서 내부로 재차 유입되도록 하는 고정축(400)과,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 내측면에 다단으로 고정되어 상기 구동축(3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와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하나의 단위체로 공기유입부(510)와 공기유입송풍휀(511) 및 공기배출부(520)와 공기배출송풍휀(521)이 교호로 적층된 공기유도부(500')와,
    상기 상하부원판프레임(100,200) 외측면으로 각각 접하게 되는 상하부커버판(600,600')과,
    상기 상하부커버판(600,600') 외주면과 접하며 커버되어지되 외주면으로 상기 다단 형성되는 공기유도부(500')인 공기유입부(510)와 공기배출부(520)의 위치에 따라 교호 천공되는 흡기구(710) 및 배기구(720)가 형성되는 케이스(7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도부(500,500')에서 공기유입부(510)와 공기배출부(520)는 나선형상의 공기유입통로(512) 및 공기배출통로(522) 각각 정반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
KR1020100046345A 2010-05-18 2010-05-18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 KR20110126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345A KR20110126859A (ko) 2010-05-18 2010-05-18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345A KR20110126859A (ko) 2010-05-18 2010-05-18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859A true KR20110126859A (ko) 2011-11-24

Family

ID=45395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345A KR20110126859A (ko) 2010-05-18 2010-05-18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68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25841A (zh) * 2013-03-18 2013-07-31 宁波先锋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取暖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25841A (zh) * 2013-03-18 2013-07-31 宁波先锋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取暖器
CN103225841B (zh) * 2013-03-18 2016-03-30 宁波先锋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取暖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74770B (zh) 立式空调器及其控制方法
AU2012378838B2 (en) Fan
KR101558330B1 (ko) 원심형 천장팬
CN106152459B (zh)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06196291A (zh) 空调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KR20180074764A (ko) 의류 건조기
US20080141695A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16385149B2 (en) Axial fan assembly and motor home air-conditioner using same
CN205641043U (zh) 微波烹饪装置
KR20170090288A (ko) 공기 조화기의 루버 장치
KR2007000431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890568B1 (ko) 다단 송풍휀을 갖는 온풍기
KR20110126859A (ko) 공기유도부가 교호로 적층된 온풍기
CN111442376B (zh) 吊顶式空调室内机
CN210980256U (zh) 一种排风装置
CN209840270U (zh) 吊顶式空调室内机
KR101249500B1 (ko) 천정형 에어컨
JPH0639973B2 (ja) 天井設置形空気調和機
CN111442381B (zh) 吊顶式空调室内机
JP2013181451A (ja) 風力発電システム
CN215521365U (zh) 一种干果机
CN215412887U (zh) 滚筒烘干机
KR102633617B1 (ko) 환풍기
CN110966678B (zh) 一种天花板空调内机及空调
JP4894392B2 (ja) 送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