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977Y1 - 환풍기 - Google Patents

환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977Y1
KR200303977Y1 KR20-2002-0034450U KR20020034450U KR200303977Y1 KR 200303977 Y1 KR200303977 Y1 KR 200303977Y1 KR 20020034450 U KR20020034450 U KR 20020034450U KR 200303977 Y1 KR200303977 Y1 KR 2003039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gear
rotation
main gear
predetermined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동배
Original Assignee
우동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동배 filed Critical 우동배
Priority to KR20-2002-0034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9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9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9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축에 복수개의 날개를 구비한 환풍기에 관한 것이며, 모터, 모터 하우징, 회전축, 제1 날개, 고정핀, 제2 날개, 발열부 및 캡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환풍기는 복수개의 날개 및 발열부를 구비하므로써 실내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면서, 실내온도도 지속적으로 따뜻하게 유지하게 한다.
또한, 상기 환풍기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개의 날개를 구비한 경우에는,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효율을 높이므로써 실내공기의 순환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여러대의 환풍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또한, 날개의 날개깃을 역방향으로 설치하면, 벽걸이용 선풍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풍기{Ventilation Fan}
본 고안은 환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회전축에 복수개의 날개를 구비한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풍기는 환풍기와는 달리 실내의 혼탁한 공기를 실외로 뽑아내 실내공기를 정화시켜주기 위한 장치로서, 외부와의 연통부위에 설치된다.
도 10은 종래 환풍기의 일예에 따른 도면이며, 도 10에 도시된 환풍기는 회전날개(301), 쉬라우드(Shroud)(302) 및 구동모터(303)를 포함한다.
회전날개(301)는 내부로부터 실외로 바람을 배출하도록 회전하며, 쉬라우드(302)는 통풍구 전면 또는 후면에서 송풍공기를 유도하는 안내깃(Stator)을 구비하고, 구동모터(303)는 상기 회전날개(301)를 구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환풍기는 실내에 있는 따뜻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므로써 실내공기가 차갑게되며, 이를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많은 연료비를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회전날개를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배출하므로 실내공기의 충분한 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실내공기를 충분히 배출하기 위하여 보다 큰 크기의 회전날개를 구비하거나 추가의 환풍기를 설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축에 복수개의 날개 및 발열부를 구비하여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실내온도를 따뜻하게 유지하게 하는 환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날개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하여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풍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메인기어와 주 회전축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열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환풍기의 동작에 따른 바람의 방향을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풍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환풍기의 동작에 따른 바람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환풍기 날개의 날개깃이 역방향으로 설치된 경우에, 환풍기의 동작에 따른 바람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작동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 환풍기의 일예에 따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터 20 : 모터 하우징
30 : 회전축 50 : 제1 날개
55 : 고정핀 60 : 제2 날개
70 : 발열부 80 : 캡
90 : 보호 프레임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환풍기는 환풍기 날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의 중심에 결합되며, 그 중간의 소정 위치에는 제1 메인 기어 및 제2 메인 기어를 각각 구비하는 주 회전축; 상기 모터 하우징의 소정의 위치에 끼움결합되며, 제1 보조기어를 구비하는 제1 고정축; 상기 모터 하우징의 소정의 위치에 끼움결합되며, 제2 보조기어를 구비하는 제2 고정축; 상기 제2 날개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 상기 제2 메인 기어의 일부 외측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주 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날개; 상기 주 회전축의 끝단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주 회전축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날개;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2 날개 중간에 상기 주 회전축의 소정 위치를 관통하여 끼움고정되며, 양방향으로 각각 외향 돌출되는 고정핀 및 상기 제2 날개의 전면부에 나사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환풍기를 설명하는데,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풍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메인기어와 주 회전축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열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환풍기의 동작에 따른 바람의 방향을 간략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환풍기는 모터(10), 모터 하우징(20), 회전축(30), 제1 날개(50), 고정핀(55), 제2 날개(60), 발열부(70), 캡(80) 및 보호 프레임(90)을 포함한다.
모터(10)는 환풍기 날개(50, 6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모터 하우징(20)은 상기 모터(10)의 전면부에 위치한다.
회전축(30)은 주 회전축(32), 제1 고정축(40), 제2 고정축(44)을 포함한다. 상기 주 회전축(32)은 상기 모터(10)의 중심으로부터 소정크기로 연이어져 후술하는 제1 날개(50)를 구동하며, 그 중간의 소정 위치에는 제1 메인 기어(33) 및 제2 메인 기어(36)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제1 메인 기어(33)의 일측면은 주 회전축(32)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외향 돌기(34)가 형성되고, 상기 외향 돌기(34)의 소정 위치에 상기 메인 기어(33)를 고정하는 나사(35)를 구비하며 상기 주 회전축(32)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한다.
상기 제1 고정축(40)은 그 일측이 상기 모터 하우징(20)의 소정의 위치에 끼움결합되어 제1 보조기어(41)를 지지하며, 상기 제1 보조기어(41)는 상기 제1 메인 기어(33)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메인 기어(33)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 고정축(44)은 그 일측이 상기 모터 하우징(40)의 소정의 위치에 끼움결합되어 제2 보조 기어(45)를 지지하며, 상기 제2 보조기어(45)는 상기 제1 보조 기어(41)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보조기어(41)와 반대방향(즉, 주 회전축과 동일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 메인 기어(36)는 상기 제2 보조기어(45)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보조 기어(45)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주 회전축(32)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2 메인기어가(36)가 회전하도록 상기 제2 메인기어(36) 내측 일부에 주 회전축(32)의 외주면을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베어링(39_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날개(50)는 상기 제2 메인 기어(36)의 일부 외측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주 회전축(32)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고정핀(55)은 상기 제1 날개(50)와 후술하는 제2 날개(60)의 사이에 상기 주 회전축(32)의 소정 위치를 관통하여 끼움고정되며 양방향으로 각각 외향 돌출된다.
제2 날개(60)는 상기 주 회전축(32)의 끝단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주 회전축(32)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발열부(70)는 상기 제2 날개(60)의 전면부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30)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주 회전축(32)을 중심으로 원형의 제1 발열선(72) 및 제2 발열선(74)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발열선(72, 74)은 상, 좌, 우측 각각의 지지선(76)에 의해 고정되며, 전원 공급선(73)의 일측은 상기 제1 및 제2 발열선(72, 74)의 소정 위치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은 전원 공급단자(75)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발열선(72, 74)은 전원 공급단자(75)에 의하여 각각 온, 오프 될 수 있으며, 상기 온, 오프 장치(미도시)에 휴즈와 볼륨(VR : 가변저항)을 삽입하여 발열장치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발열부에 전원공급을 차단하면(OFF상태) 선풍기겸 환풍기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열부는 회전축(32)을 중심으로 나선형의 발열선(95)을 구비하며, 그 양측 끝단에는 전원 공급단자(96)에 연결된 전원 공급선(97)이 연결되어 상기 발열선(9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날개(60) 및 발열부(70)를 분리하여 하나의 날개를 구비한 환풍기로서 작동하게 할 수 있다.
캡(80) 및 보호 프레임(90)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이하, 상기 고안에 따른 환풍기의 동작 및 바람의 방향을 설명한다.
만약, 상기 주 회전축(3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주 회전축(32)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제1 메인 기어(3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메인 기어(33)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보조 기어(4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 보조 기어(41)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보조 기어(4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 보조기어(45)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메인 기어(36)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메인 기어(33)의 회전 방향과 반대가 된다.
즉, 상기 제2 메인 기어의 일측에 결합된 제1 날개(5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날개(6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제2 날개(60)는 바람을 전방의 발열부(70)를 통과하도록 하여 온풍으로 만들어 실내로 보내며, 제1 날개(50)는 바람을 후방으로 내보내어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도 1에 도시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풍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환풍기의 동작에 따른 바람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환풍기 날개의 날개깃이 역방향으로 설치된 경우에, 환풍기의 동작에 따른 바람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고안의 환풍기는 모터(110), 모터 하우징(120), 회전축(130), 제1 날개(140), 고정핀(145), 제2 날개(150), 캡(160) 및 보호 프레임(170)을 포함한다.
회전축(130)은 주 회전축(132), 제1 고정축(134)을 포함한다. 상기 주 회전축(132)은 상기 모터(110)의 중심으로부터 소정크기로 연이어져 후술하는 제1 날개(140)를 구동하며, 그 중간의 소정 위치에는 제1 메인 기어(136) 및 제2 메인 기어(137)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제1 메인 기어(136)의 일측면에는 주 회전축(132)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외향 돌기(138)가 형성되고, 상기 외향 돌기(138)의 소정 위치에 상기 제1 메인 기어(136)를 고정하는 나사(139)를 구비하며 상기 주 회전축(132)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한다.
상기 제1 고정축(134)은 그 일측이 상기 모터 하우징(120)의 소정의 위치에 끼움결합되어 제1 보조기어(133)를 지지하며, 상기 제1 보조기어(133)는 상기 제1 메인 기어(136)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메인 기어(136)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 메인 기어(137)는 상기 제1 보조기어(133)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보조 기어(133)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주 회전축(132)으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제2 메인기어(137) 내측 일부에 주 회전축(132)의 외주면을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날개(140)는 상기 제2 메인 기어(137)의 일부 외측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주 회전축(132)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고정핀(145)은 상기 제1 날개(140)와 후술하는 제2 날개(150)의 사이에 상기 주 회전축(132)의 소정 위치를 관통하여 끼움고정되며 양방향으로 각각 외향 돌출된다.
제2 날개(150)는 상기 주 회전축(132)의 끝단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주 회전축(132)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모터(110), 모터 하우징(120), 캡(160) 및 보호프레임(170)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이하, 상기 고안에 따른 환풍기 팬의 동작 및 바람의 방향을 설명한다.
만약, 상기 주 회전축(13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주 회전축(132)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제1 메인 기어(136)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메인 기어(136)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보조 기어(13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 보조 기어(133)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메인 기어(137)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메인 기어(136)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날개(140) 및 제2 날개(150)는 바람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내보내게 되어 실내에 있는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날개 및 제2 날개의 날개깃을 역방향으로 설치하므로써 상기 환풍기가 바람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내보내어 벽걸이용 선풍기와 동일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 언급된 제1 메인기어의 일 측면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동 감지부(20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 감지부(200)는 회전 원판(210), 센서부(220) 및 지지대(23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원판(210)은 상기 제1 메인기어(202)의 일 측면에 부착되며, 상기회전 원판(210)의 원주면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관통홀(212)을 구비한다.
상기 센서부(220)는 상기 회전 원판(210)으로부터 소정간격 양측으로 이격되어 발광소자(222) 및 수광소자(224)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회전 원판(2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홀(212), 발광소자(222) 및 수광소자(224)가 일직선상에 놓일때 수광소자(224)에서 빛이 보이게 된다.
상기 지지대(230)는 상기 발광소자(222) 및 수광소자(224)를 지지하며, 그 내부에는 전원 공급선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 감지부(200)는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게 되면,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해 그 동작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환풍기는 복수개의 날개 및 발열부를 구비하므로써 실내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면서, 실내온도도 지속적으로 따뜻하게 유지하게 한다.
또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개의 날개를 구비한 경우에는,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효율을 높이므로써 실내공기의 순환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여러대의 환풍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또한, 날개의 날개깃을 역방향으로 설치하면, 벽걸이용 선풍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Claims (9)

  1. 환풍기 날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의 중심에 결합되며, 그 중간의 소정 위치에는 제1 메인 기어 및 제2 메인 기어를 각각 구비하는 주 회전축;
    상기 모터 하우징의 소정의 위치에 끼움결합되며, 제1 보조기어를 구비하는 제1 고정축;
    상기 모터 하우징의 소정의 위치에 끼움결합되며, 제2 보조기어를 구비하는 제2 고정축;
    상기 제2 메인 기어의 일부 외측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주 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날개;
    상기 주 회전축의 끝단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주 회전축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날개;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2 날개 중간에 상기 주 회전축의 소정 위치를 관통하여 끼움고정되어 양방향으로 각각 외향 돌출되는 고정핀; 및
    상기 제2 날개의 전면부에 나사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날개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겸 온풍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기어는 상기 주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외향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향 돌기의 소정 위치에 상기 제1 메인 기어를 고정하는 나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보조기어는 상기 제1 고정축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메인 기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메인 기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 보조기어는 상기 제2 고정축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보조 기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보조기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 메인 기어는 상기 주 회전축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 보조기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보조 기어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주 회전축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발열선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발열선은 상, 좌, 우측 각각의 지지선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나선형의 발열선을 구비하고, 상기 발열선은 상, 하, 좌, 우측 각각의 지지선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발열선의 양측 끝단에는 각각 전원 공급선이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기어의 일 측면에 부착되며, 원주면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관통홀을 구비한 회전 원판;
    상기 회전 원판으로부터 소정간격 양측으로 이격되어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각각 구비한 센서부; 및
    상기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지지하며, 그 내부에는 전원 공급선을 구비한지지대를 포함하는 작동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7. 환풍기 날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전면부에 위치하며, 후술하는 보호 프레임을 지지하는 모터 하우징;
    상기 모터의 중심으로부터 소정크기로 연이어지며, 그 중간의 소정 위치에는 제1 메인 기어 및 제2 메인 기어를 각각 구비하는 주 회전축;
    상기 모터 하우징의 소정의 위치에 끼움결합되며, 제1 보조기어를 구비하는 제1 고정축;
    상기 제2 메인 기어의 일부 외측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주 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날개;
    상기 주 회전축의 끝단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주 회전축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날개;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제2 날개 중간에 상기 주 회전축의 소정 위치를 관통하여 끼움고정되어 양방향으로 각각 외향 돌출되는 고정핀; 및
    상기 제2 날개의 전면부에 나사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기어는 상기 주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외향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향 돌기의 소정 위치에 상기 제1 메인 기어를 고정하는 나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보조기어는 상기 제1 고정축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메인 기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메인 기어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 메인 기어는 상기 주 회전축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 보조기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보조 기어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기어의 일 측면에 부착되며, 원주면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관통홀을 구비한 회전 원판;
    상기 회전 원판으로부터 소정간격 양측으로 이격되어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각각 구비한 센서부; 및
    상기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지지하며, 그 내부에는 전원 공급선을 구비한지지대를 포함하는 작동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KR20-2002-0034450U 2002-11-18 2002-11-18 환풍기 KR2003039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450U KR200303977Y1 (ko) 2002-11-18 2002-11-18 환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450U KR200303977Y1 (ko) 2002-11-18 2002-11-18 환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977Y1 true KR200303977Y1 (ko) 2003-02-14

Family

ID=4933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450U KR200303977Y1 (ko) 2002-11-18 2002-11-18 환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9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788B1 (ko) * 2012-10-23 2013-09-23 오승민 급.배기 투 임펠러 환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788B1 (ko) * 2012-10-23 2013-09-23 오승민 급.배기 투 임펠러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4507B1 (en) Hybrid ventilator
ES2870273T3 (es) Sistema de refrigeración y/o calefacción con ventilador axial de paleta
BRPI0908552A2 (pt) sistema de ventilador de teto com motor sem escova
US6817830B1 (en) Ceiling fan with multiple rotors
CN111379719A (zh) 空气循环装置、空气净化机、空气加湿器
US20140094109A1 (en) Ventilation device
KR200303977Y1 (ko) 환풍기
CN206269452U (zh) 一种冷却系统及医疗设备
CN115435421A (zh) 风扇头及冷风扇
CN212407079U (zh) 空气循环装置、空气净化机、空气加湿器
JP4039513B2 (ja) エアコンの室外機
KR200316314Y1 (ko) 온풍기
KR200215904Y1 (ko) 양방향 회전 선풍기
CN206903937U (zh) 贯流风轮、贯流风机及送风装置
KR200312517Y1 (ko) 온풍기
CN113027797A (zh) 风扇
KR20190057009A (ko) 공기 압축을 이용한 송풍 시스템
CN217357257U (zh) 空调室外机
KR102074101B1 (ko) 냉난방기류 확산팬
CN211009179U (zh) 风轮装置及吹风设备
KR100463543B1 (ko) 나선형 송풍팬 어셈블리
KR200349630Y1 (ko) 선풍기 겸용 온풍기
BRMU8701580Y1 (pt) disposição construtiva aplicada em ventilador de teto eletrônico
US7217082B2 (en) Asymetrically bladed ceiling fan
KR0128902Y1 (ko) 공기조화기의 풍향 조절날개용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