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172A - 편직커버(a knitted cover) - Google Patents

편직커버(a knitted c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172A
KR19980019172A KR1019970042844A KR19970042844A KR19980019172A KR 19980019172 A KR19980019172 A KR 19980019172A KR 1019970042844 A KR1019970042844 A KR 1019970042844A KR 19970042844 A KR19970042844 A KR 19970042844A KR 19980019172 A KR19980019172 A KR 19980019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lap
knitted
fabric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튜어트 토마스 스미스
데브라 진 티엔시부
Original Assignee
덴턴 마이클 죤
제너럴 모터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턴 마이클 죤, 제너럴 모터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덴턴 마이클 죤
Publication of KR19980019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172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25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s, staples, clips, snap fastener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Shape features
    • D10B2403/033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32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with gussets folding into three dimensional shape, e.g. seat cov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8Upholstery, matt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여분의 직물이 커버내로 코오스 방향 편직되고 직물의 이면상에 플랩으로 장합되고 그 길이를 따라 봉재되는, 이면상에 웨일 방향으로 신장하는 플랩을 갖는 횡편직물 장식 커버 형성 방법이 제공된다. 커버의 코오스방향 길이는 장합한 다음 플랩을 형성하기에 충분하며, 커버는 코어위에 실질적으로 꼭 들어맞는다.

Description

편직 커버
본 발명은 편직물 장식용 커버에 튜브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시이트에 사용하는 커버에 튜브한 것이다.
최근에는 3-차원 물체를 덮는 원-피스(one-piece) 장식용 커버를 편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미국 특허 제 5,308,141호 및 5,326,150호에는 자동차 시이트의 베이스(base) 및/또는 등받이 쿠션용 원-피스 커버를 편직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 특허에서는, 고정 기구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커버내로 편직된 일체형 튜브형 플랩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자료에서 기술된 튜브형 플랩은 편직물에서 일반적으로 코오스-방향으로 신장된다.
1996년 3월 20일자 제출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8/619,052는 웨일-방향 신장하는 튜브를 횡편직된 이중 저지 직물내에 편직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횡편직된 이중 저지 직물은 2개의 니들 베드에 배열된 독립적으로 작동가능한 바늘을 갖는 횡편직기, 예를 들어 평편 V 베드 편직기상에서 기계 편직될 수 있다. 웨일-방향으로 신장하는 튜브상부분은 인터록킹 봉재가 없도록 선택된 바늘상에서 특정한 바늘 라인상에 이중 저지층사이에 슬립 스티치하여 이중 저지 직물의 2층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 편직물내에 중심 위치에서 웨일-방향으로 신장하는 플랩을 제조하는 어떠한 편리한 수단은 없었다. 이는 커버가 덮혀지는 물체상에 실질적으로 꼭 맞도록 칫수가 정해진 3-차원 편직 커버에 대하여 특히 그러한 것이다.
도 1은 장식용 차 시이트 쿠션의 등각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시이트 커버의 편직 패턴도
도 3은 도 4에서 나타낸 플랩의 개구 56를 통하여 취한 단면도
도 4는 직물이 웨일 방향으로 신장된 플랩내에 장합되는 직물에 대한 패턴의 부분 확대도
도 5, 6, 7A, 7B, 8A, 8B, 9A 및 9B는 플랩 물질의 편직시 사용되는 여러 가지 기술을 예시한 편직 다이어그램
*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시이트 베이스 12: 코어 구조물
13: 직물 커버 14, 16, 17: 윙
20: 장식 솔기 32: 이중 저지 배열 코오스
33, 45: 코오스 방향 신장튜브 34, 35, 37: 자카드 부위
39: 고정튜브 44: 웨일 방향 튜브
56: 개구부(aperture) 59: 고정 수단(securing mean)
따라서 코어에 인접한 직물의 이면상에 웨일-방향으로 신장한 플랩과 커버를 외면의 상응하는 장식 솔기(seam)를 갖는 코어용 편직물 장식 커버 제조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커버는 편직의 코오스방향으로 여분의 재료로 편직되고, 상기 초과 재료는 커버의 이면상에서 플랩내로 장합되며, 그 뿌리에 인접한 길이를 따라 꿰메어진다. 상기 플랩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는 커버에서 편직된 봉재선으로 나타날 것이다.
편의상 장식용 커버는 2개의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앞 니들 베드와 뒷 니들 베드로된 니들 베드내에 배열된 바늘을 갖는 횡편직기상에서 편직된 이중 저지 횡편직물이며, 상기 직물은 하나의 니들 베드상에서 편직된 정면층(front layer)과 다른 니들 베드상에서 편직된 이면층(rear layer)을 갖고, 상기 2개층은 편직된 루프로 상호연결된다. 플랩을 형성하는 초과 재료의 윤곽은 콘트라스팅 방식으로 윤곽을 편직함으로써 이면에만 형성된다.
상기 콘트라스팅 방식이란 콘트라스트사 및 이면상에 보이는 다른 스티치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미국 특허 제 5,213,863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다.
바람직하게는, 주름(fold) 라인이 각각의 층에 형성되어 플랩의 형성을 돕는 것이 좋으며, 그 주름 라인은 각 니들 베드중 최소 하나에 있는 특정 바늘상에서 봉재를 생략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들 주름 라인은 스티치 이동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층내에서 봉재(stitch)를 생략하거나 혹은 특정 바늘로 부터 프레스-오프(press-off)함으로써 형성된 이중 저지 구조의 각층내에 요홈(groove)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직된 이중 저지 직물은 셔니일사로 형성된 정면층과 최소 하나의 비-셔니일 폴리에스테르 사로 형성된 후면층을 갖는다. 셔니일사는 미국 특허 제 5,426,969호에 개시된 타입이다. 상기 셔니일사는 1500-3000 데시텍스일 수 있다. 편의를 위해 상기 직물은 코오스-방향으로 1인치(2.54cm)당 8-16 웨일을 가지며 웨일-방향으로도 1인치당 8-30 코오스를 갖고, 상기 셔니일사는 편직 루프형의 스티치로서 직물내로 편직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사는 섬도가 550-900, 혹은 600-800, 혹은 600-750 혹은 650-700데시텍스인 에어-텍스쳐(air-texture) 폴리에스테르사인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셔니일사는 예를 들어 한쌍의 가연(加撚)나일론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스트랜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열처리되어야 하는 하나 이상의 저-융점 나일론 스트랜드를 포함하거나, 그 스트랜드에 비하여 파일이 가동성일 수 있다. 상기 셔니일사의 번수는 1500-3000 데시텍스일 수 있다. 상기 셔니일사는 가동성 파일 및/또는 신장가능한 코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 텍스쳐된 폴리에스테르사는 이완되지 않은 상태에서 번수가 680-750 데시텍스인 연속 필라멘트 사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직 방법은 이완된 상태에서 직물이 1cm당 4-6 웨일을 갖도록 편직된다.
상기 직물은 한 쌍의 대향된 니들 베드를 갖춘 평편 베드 편직 기계상에서 편직될 수 있다. 상기 편직기의 게이지는 10-16, 바람직하게는 10-14, 보다 바람직하게는 12이다. 상기 편직기는 이중 시스템 편직기 혹은 삼중 시스템 혹은 사중 시스템 편직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버, 바람직하게는 장식용 직물을 편직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에서 편직은 독립적으로 작동가능한 한 쌍의 대향된 니들-베드를 갖는 편직기상에서 수행되고, 각 베드에서의 바늘은 베드가 니들 베드를 따라 왕복 운동하는 작동 캠 박스의 경로내로 베드내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다.
자동차 시이트용 장식 직물의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이완된 상태에서 500g/m2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900g/m2이다. 이는 중량이 300-350g/m2인 종래의 편직물과 대비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식용 직물은 섬도가 625-850 데시텍스범위인 사(絲)로 이루어지며 편직기 게이지가 10-18인 편직기상에서 편직된 횡편 장식 직물이며, 이는 일반적으로 이중 저지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사용시 코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이면을 갖는 기계 편직된 코어 커버가 제공되며, 그 커버의 일부는 그 후면에 플랩의 뿌리(root) 부분가까이 길이를 따라 박음질된 플랩을 형성하기 위하여 함께 장합된 편직물로 이루어진 웨일 방향으로 신장하는 플랩을 갖는다. 상기 커버의 코오스방향 길이는 상기 커버 부분으로 덮인 코어 부분에 맞춰 정해진 길이를 지나 커버를 코오스 방향으로 신장할 필요없이 플랩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직물 길이이다.
나타난 플랩내로 장합되는 편직물은 커버내에 편직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물은 이중 저지 직물이며 플랩내로 장합되는 편직물은 콘트라스트사로 형성되거나 다른 스티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콘스라스트 스티치로서 이중 저지층의 뒷면에 표시된다.
상기 플랩의 형성은 이중 저지 직물의 최소 하나의 개별층에 형성된 주름 라인으로 보조되고 상기 주름 라인은 요홈을 포함한다.
상기 플랩은 폐쇄된 말단을 가질 수 있으며, 플랩내로 와이어 길이를 삽입하기 위하여 그 폐쇄된 말단근처에 슬릿(slit) 혹은 관통구를 갖는다. 상기 와이어는, 코어에 커버를, 예를 들어 성형된 쿠션(squab)에 차 시이트 쿠션 커버를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슬릿간 거리는 플랩의 전체 길이와 플랩내에 위치하는 와이어 길이보다 작을 것이다. 와이어의 끝은 와이어가 플랩의 폐쇄된 말단을 관통하지 않도록 루프 형태로 구부릴 수 있다.
플랩은 또한 코어에 커버를 고정시키도록 하기 위해 플랩내에 위치된 와이어를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면 호그 링(hog ring)과 같은 고정 수단을 위한 진입로를 제공하도록 그 길이에 따라 간격을 이룬 개구부(관통공), 바람직하게는 사각형 형태의 개구부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이트용 시이트 베이스 11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이트 저면 11는 그위에 직물 커버 13이 신장되는 3차원 발포물 코어 구조 12를 포함한다. 상 기 발포물 코어 구조는 어떠한 필요한 형태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윙 14를 갖는다. 직물 커버 13은 중심 패널 15, 측면 윙 16,17, 저면 및 공지된 방법으로 시이트의 저면에 고정되어 일체로 편직된 측면 부재 18 및 19를 갖는 3차원 편직 커버이다. 시이트 커버 13은 장식 솔기 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이트 저면은 전형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V-베드 편직기를 참조한다. 상기 편직기에 대하여는 Edouard Dubied et Cie SA, Neu Chatel, Switzerland에 의해 1967년에 간행된 간행물 Dubied Knitting Manual에서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평편 V-베드 편직기는 잘 알려져 있으며 이같은 편직기 대부분은 컴퓨터로 제어되고 있다. 최근에는 자동차용으로 적합한 장식 직물을 편직하기 위하여 이같은 평편 V-베드 횡편기에서 장식용 직물을 편직하는 것이 제안된 바 있으며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5,308,141호 및 미국 특허 제 5,326,150호를 참조하라.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직물의 편직에는 12게이지 바늘을 갖는 Stohl CMS 편직기를 사용한다. 이 편직기는 편직된 직물의 권취를 보조하기 위한 누름발(presser foot) 혹은 신커(sinker)와 같은 루프 홀드 다운 장치가 장착된 형태의 평편한 V-베드 편직기이다. 상기 편직기는 복수의 사의 공급에 작동가능하며 각 사는 각각의 캠 박스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캠 박스는 니들베드를 가로질러 횡단하며, 실 운반체(yarn carrier)가 필요에 따라 각 이동 방향으로 바늘에 실을 공급한다.
상기 직물 커버 13은 이중 저지 횡편직 구조이다. 본질적으로 이같은 이중 저지 구조는 상호 연결된 사 루프 혹은 스티치로 형성된 단일 저지 직물층의 쌍으로 이루어지며, 대향하는 층쌍은 다음 사의 루프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편직 바늘의 작동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직물 구조상에 매우 복잡한, 특히 2색 혹은 3색사가 이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보통 이같은 직물은 직물의 표면의 색을 적절한 바늘 선택으로 결정되는 자카드 편직기로 편직될 것이다.
편의상 매력적인 외관을 가져야 하는 것은 그 직물(천)의 기술적 표면일 뿐이며, 보강 혹은 패딩층으로 덮히거나 혹은 장식 제품의 코어 12와 직접 접촉되어지는 이면은 최종 소비자가 특별한 관심을 두지 않는 것이다.
직물 커버 13은 편직기의 제1 니들베드상에 형성된 직물의 정면층에서 일련의 루프를 효과적으로 포함하는 기술표면과, 편직기의 제2 니들 베드상에 형성된 직물의 이면층내에 일련의 루프상에 형성된 기술적 이면 혹은 이면23(도 3)을 갖는 이중 저지 횡편 구조로 되어 있다.
도 5-9B에는 각각의 열이 실 운반체(yarn carrier)의 한번 통과시 편직한 열을 나타내는 스티치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각 열에서 작은 점으로 이루어진 상부라인은 편직기의 뒷 니들 베드(R)상의 각 바늘을 나타내고 하부열은 편직기의 정면 니들 베드(F)의 바늘을 나타낸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에서, 직물 13의 정면층 21은 정면 니들 베드상에서 편직되며 직물의 이면층 23은 후면 니들 베드에서 편직된다. 상기 실은 루프와 상호연결되는 크로스-링크(cross-links)로 나타내어진다. 상기 스티치 다이아그램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데 필요로 하는 커버의 오직 일부분만을 나타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바닥으로 부터 상부로 향하는 화살표 X 방향으로 편직되는 횡편직된 직물 쿠션 커버 13에 대한 편직 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라인 A-E는 커버가 편직되는 기계의 두 대향하는 니들 베드의 작동 길이를 나타낸다. 상기 바늘은 직물을 형성하도록 수직 바늘 라인, 즉 웨일을 따라, 한 코오스씩(course-by-course) 작동한다.
복잡한 3-차원 시이트 커버의 편직은 미국 특허 5,308,141 및 미국 특허 5,326,150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직물 커버의 편직은 본 발명을 이해하기에 필요한 만큼만 본 명세서에 기술하였다. 편직은 이중 저지 배열(set-up) 코오스 32를 형성하기 위하여 니들 베드상에 A-E사이의 모든 바늘상에서 출발한다. 그런 다음 상기 2개의 니들베드는 바늘이 작동하거나 작동하지 않거나 혹은 요구되는 형태를 얻도록 지연되면서 각각 개별적으로 단일 저지층을 편직하여 코오스 방향으로 신장하는 튜브 33을 형성한다.
코오스 방향 신장 튜브 33의 완료후, 니들 라인 B 및 C사이에 바늘은 이중 저지 부위 34를 편직하기 시작한다.
상기 부위의 완료시, 실 운반체가 니들 라인 E로 움직여 자카드 부위 35를 편직하기 시작한다.
직물의 하부로 부터 상부로 연속 편직 동작동안, 양단 화살표가 위치된 사이의 직물 모서리가 함께 편직된다. 예를 들어 화살표 M으로 표시한 두 모서리를 취할 때, 직물 부위 34를 편직하는 동안에는, 지점 C 및 E사이에서는 작동하지 않는 바늘이 수직 선 M을 따라 표시된 두 모서리를 접합하도록 E로 부터 C로 코오스 방향으로 전진적으로 재작동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중 저지 자카드 부위 35,34,37은 코오스 38까지 두 니들 베드상에서 편직됨으로써 형성된다. 그런 다음 정면 니들 베드상의 바늘은 지연시키면서 이면 니들 베드상에서는 편직을 계속하여 미국 특허 5,308,141 및 5,326,150에 기술된 형태의 일체로된 단일 저지 고정 튜브 39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 튜브 39는 예를 들어 호그 링과 같은 고정 수단의 부착을 위하여 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으며 따라서 뒷면 니들 베드의 다른 바늘이 지연되는 동안 뒷면 니들 베드상에 인접한 바늘의 블록상에서 편직함으로써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F와 K사이의 뒷베드상에 모든 바늘은 단일 저지 직물의 여러 가지 코오스를 편직한다. F와 I사이 바늘을 지연시키면서 라인 J와 K사이의 바늘상에서 여러 코오스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코오스에 대하여, 편직이 계속되어 블록 39a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라인 J와 K 그리고 F와 G사이에 바늘을 지연시키고 H와 I사이의 바늘상에서 여러 코오스에 대한 편직이 재개되어 블록 39b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H와 K사이의 바늘을 지연하면서 라인 F와 G사이에서 여러 코오스에 대한 편직이 재개되어 블록 39c를 형성한다. 그후 튜브 39를 완료하도록 코오스 40까지 G와 K사이의 바늘상에서 편직이 시작된다. 상기 단일 저지튜브는 코오스 38과 40사이에서 어두운 부위로 도시되어 있다.
코오스 40 상부 방향으로 부터, 라인 L과 P사이에 양쪽 니들 베드 모두에서 편직이 재개되어 영역 37과 접합하는 이중 저지 자카드 부위 41을 형성한다. 상기 부위 37은 시이트 커버 13의 윙 16 혹은 17을 형성하고, 이중 저지 부위 41은 커버 13의 중심 패널 15를 형성한다.
상기 중심 패널 41은 코오스 40과 42사이에서 편직되고 커버 13의 이면상에서 웨일 방향으로 신장하는 플랩 50(도 3 참조)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여분의 직물 43의 부위를 포함한다. 니들 라인 A-E사이에서 중심 패널 41의 코오스방향 길이는 커버되는 시이트 쿠션 코어 12의 상응하는 표면 길이보다 길어, 편직된 편직물이 합쳐서 플랩 50을 형성하고 코어를 커버하는 예정된 길이를 지나 직물 커버의 중심 패널 15를 신장하지 않고 쿠션 코어를 커버하는데 충분한 코오스 방향 길이를 남긴다.
커버내에 플랩 50의 형성은 커버의 전체 외관 및 일체성을 손상해서는 안된다. 이는 플랩이 패널의 중심에 위치하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웨일-방향 튜브 44는 두 개의 이중 저지층사이의 인터록킹 스티치를 제거함으로써 패널 41의 정면 모서리에 형성된다.
중심 패널 41의 편직후, 편직 공정은 코오스 32와 40사이에 기술된 것으로 반전 모드로 계속되고, 최종적으로 커버의 상부 말단에서 코오스 방향 신장튜브 45에서 종결된다. 최종 몇몇 코오스가 이중 저지 구조로 편직되며 편직을 완료한 다음 차후의 풀어짐(unravelling)을 방지하기 위해 용융사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랩 50의 형성을 위하여 중심 패널 41에 형성된 여분의 직물 플랩 부위 43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9에 도시된 편직 다이아그램은 플랩 부위 43에 특정 형태를 편입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각 다이어그램은 4개의 구역, Ⅰ,Ⅱ,Ⅲ 및 Ⅳ내로 나뉘어진다. 니들 라인 X 및 Z의 외부에 위치한 구역 Ⅰ과 Ⅳ는 패널 41의 자카드 부위이고, 니들 라인 X및 Y와 니들 베드 Y 및 Z사이에 각각 위치한 구역 Ⅱ와 Ⅲ은 플랩 부위 43의 물질에 해당한다. 라인 X, Y 및 Z는 플랩 50이 형성될 때 직물내에 주름 라인을 강조하도록 중심 패널 41에 형성된 콘트라스트 라인 51, 52 및 53에 상응한다.
직물이 편직됨에 따라, 도 5는 콘트라스팅 라인 51,52 및 53을 형성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실 운반체는 직물의 일 코오스를 편직하도록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한다. 상부 점선은 뒷 니들 베드 R을 그리고 하부점선은 정면 니들 베드 F를 나타낸다. 실 운반체의 각각의 통과에 따라, 제1 콘트라스트사 61, 셔니일사 62 및 제2 콘트라스트 사 63의 3가지 실이 바늘상에 편직된다. 제1 콘트라스트사 61은 니들 라인 X, Y 및 Z에 있는 3개의 니들을 제외한 뒷면 니들 베드상의 모든 바늘에서 편직되며, 정면 니들 베드상에 약간의 스티치가 수행된다. 셔니일사 62는 정면 니들 베드상에 있는 모든 바늘상에서만 편직된다. 제2 콘트라스트사는 2개의 이중 저지 층을 함께 고정하기 위하여 다시 정면 니들 베드상에 약간의 스티치가 이루어지면서 이면 니들 베드상의 모든 바늘상에서 편직된다. 그리하여 반복 유니트 U1을 형성한다. 오른쪽으로 부터 왼쪽으로의 실 운반체의 다음 통과는 다음 반복 유니트 U1등을 편직할 것이다.
편직하는 뒷층은 편직물의 이면상의 제2 콘트라스트 사 63의 단일 웨일로서 가시성인 콘트라스트 라인 51, 52, 53으로 형성될 것이다.
직물이 편직됨에 따라, 구역 Ⅱ 및 구역 Ⅲ의 폭은 콘트라스트 라인 51, 53의 요구되는 위치에 맞추어 변화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나의 편직 코오스를 위해 코오스방향 신장 슬릿 55는 선택된 니들 그룹, 바람직하게는 정면 및 이면 니들 베드상의 5개의 바늘을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오프함으로써, 플랩 50의 각 폐쇄된 말단에 형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바늘은 중심 니들 라인 Y를 벌린다. 그런 다음 반복 유니트 U1은 다시 다음 연속 코오스에서 게속하여 편직될 것이다.
필요하다면, 슬릿 55를 형성하지 않고, 플랩 부위 43을 따라 3개의 도시된 웨일 방향으로 간격을 둔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후 앞서와 같이, 선택된 니들 그룹이 니들 라인 Y를 벌리는 중앙에서 정면 및 이면 니들 베드 모두 프레스 오프한다. 그런 다음 상기 직물은 구역 Ⅲ 및 Ⅳ에서의 바늘을 지연하고 양쪽 니들 베드(도 7A 및 7B참조)상에서 구역 Ⅰ 및 Ⅱ에서 4개의 코오스에 대하여 프레스-오프된 니들에만 일면 편직한다. 그런 다음 구역 Ⅰ 및 Ⅱ내에 바늘을 지연시키면서 4개의 코오스(도 8A 및 8B 참조)를 위한 프레스-오프된 바늘의 다른 면에서 구역 Ⅲ 및 Ⅳ내에 바늘상에서 편직이 재개된다. 그후 다음 코오스는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반복 유니트 U1이고, 이는 상부면을 형성함으로써 개구부를 폐쇄한다.
도 9에는, 이중 저지 편직물 층에 주름 라인 91(도 3 참조)를 제공하는 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오른쪽으로 부터 왼쪽으로 이동하는 실 운반체에 의해 형성된 편직된 코오스 반복 유니트 U2는 제1 콘트라스트 사 61이 또한 정면이 아닌 이면 베드상의 니들에서도 편직되고, 셔니일사 62는 바늘 Y가 이면 니들 베드상에서 편직된 것을 제외하고는 정면 베드내에 니들상에서 편직되고, 제2 콘트라스트 사 63은 이면 니들 베드의 모든 바늘상에서 편직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반복 유니트 U1과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제1층의 바늘 Y는 빈채 남는다.
왼쪽으로 부터 오른쪽으로의 실 운반체의 다음 통과는 정면 베드의 인접한 바늘상에 형성되는 2개의 이중 저지 층사이의 인터록 스티치 64를 제외하고는 반복 유니트 U2를 반복한다.
다수의 코오스로된 결과 제조물은 직물의 정면을 따라 형성되는 요홈 라인 91을 형성하고, 그 주름(crease)을 따라 직물이 구부러지기 쉽게 하고, 따라서 플랩 50을 형성한다. 이를 도 3에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부위 43은 상기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되고, 여분의 직물이 커버의 외면에 가시성 솔기 20을 형성하는 바느질 라인 57을 따라 그 뿌리에서 봉재되는 웨일 방향 신장 플랩 50내로 장합된다.
고정 와이어 58은 슬릿 55를 통하여 플랩 50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 56은 종종 호그 링이라고도 하는 고정 링 59의 통로(passage)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분의 직물이 커버에서 코오스 방향으로 편직되고 직물의 이면상에 플랩으로 장합되고 길이에 따라 봉재되는 방식으로서 이면에 웨일 방향 신장 플랩을 갖는 횡편직물 장식 커버를 형성할 수 있다.

Claims (15)

  1. 코어(12)에 인접한 직물(13)의 이면상에 웨일 방향으로 신장하는 플랩(50)과 커버의 외주면상에 있는 상응하는 장식 솔기(20)를 갖는, 코어(12)용 편직물 장식 커버(13)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커버(13)은 편직의 코오스 방향으로 여분의 직물(excess fabric)(43)로 편직되고, 상기 여분의 직물은 코어의 이면상에 플랩(50)으로 장합되며, 그 뿌리(root)(57)에 인접한 길이를 따라 봉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 장식 커버(13)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 (50)을 형성하는 여분의 직물(43)은 커버의 편직된 스티치(51,53)로 윤곽이 잡힘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커버(13)은 2개의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니들 베드인 정면 니들 베드(F)와 이면 니들 베드(R)에 배치된 바늘을 갖는 횡편기상에서 편직된 이중 저지 횡편직물이고, 상기 직물(13)은 제1 니들 베드상에서 편직된 정면층(21)과 다른 니들 베드상에서 편직된 이면층(23)을 갖고 상기 2개 층은 편직된 루프에 의해 상호연결되며, 플랩(50)을 형성하는 여분의 물질(43)의 윤곽(51,53)은 콘트라스팅 방식으로 상기 윤곽을 편직함으로써 단지 이면층(23)에만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플랩(50)의 형성을 보조하도록 개별층내에 주름 라인(91)이 형성되며, 상기 주름 라인(91)은 최소 하나의 개별 니들 베드(RF)상의 특정한 바늘상에서 스티치를 빠뜨림으로써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빠진 스티치는 편직 공정도중 인접한 바늘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커버에 폐쇄된 말단을 갖고,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한항에 의한 플랩 (50)이 제공되는 코어(12)에 편직된 장식 커버(13)을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랩(50)은 나아가 상기 코어에 커버를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와이어(58) 길이의 삽입을 위하여 상기 폐쇄된 말단 근처 내부에 슬릿 혹은 개구부(55)가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의 길이는 폐쇄된 말단사이에서 신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50)은 나아가 상기 코어(12)에 커버(13)을 고정하도록 와이어(58)에 고정 수단(securing mean)(59)를 고착하기 위하여 진입로(access)를 제공하는 개구부(56)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커버가 청구항 제7항에 청구된 방법에 의해 쿠션에 고정되는 차 시이트 쿠션(12)에 편직물 장식 커버(13)의 장착 방법
  9. 청구항 제8항에서 청구된 방법에 의해 제자리에(in place) 고정된 편직물 장식 커버(13)을 갖는 자동차 시이트
  10. 사용할 때 코어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뒷면을 갖고, 커버의 일부는 그 후면에 플랩(50)의 뿌리(root) 부분(57)가까이 길이를 따라 박음질된 플랩(50)을 형성하기 위하여 함께 장합된 편직물(43)로 이루어진 웨일 방향으로 신장하는 플랩(50)을 갖는, 코어(12)용 기계편직된 커버(13)에 있어서, 상기 커버(13)의 코오스방향 길이는 상기 커버의 상기 부분에 덮힌 코어의 부분에 맞추어 소정의 길이를 지나 커버를 코오스 방향으로 신장할 필요없이 플랩(50)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직물의 길이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12)용 기계 편직된 커버(13)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50)으로 장합되는 편직물(43)은 커버내의 편직된 스티치(51,53)으로 윤곽이 잡힘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정면층(21)과 이면층(23)을 갖는 이중 저지 구조 편직물을 포함하며, 상기 플랩(50)내로 장합되는 물질(43)의 윤곽은 단지 이면층(23)에만 존재하고 콘트라스팅 방식으로 상기 윤곽을 편입하는 편직 스티치(51,53)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13. 제1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이중 저지 구조 편직물을 포함하고, 상기 플랩(50)내로 편직물(43)의 장합을 보조하기 위하여, 이중 저지 구조의 각층(21,23)내에 주름 라인(91)을 형성하고, 상기 주름 라인(91)은 상기 각층내에 스티치를 빠뜨림으로써 형성된 이중 저지 구조의 최소 하나의 개별층내에 요홈(groove)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14. 제10항 내지 제13항중 어느한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50)은 폐쇄된 대향하는 말단을 갖고, 각 폐쇄된 말단 근처에 플랩(50)내로 와이어(58)의 길이의 삽입을 가능케하는 슬릿 혹은 개구(55)를 갖고, 상기 슬릿 혹은 개구(55)은 플랩내로 삽입되는 와이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만큼 떨어져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50)은 나아가 코어(12)에 커버(13)를 고정하도록 와이어(58)의 길이를 맞물리도록 하는 고정 수단(59)용 진입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웨일-방향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둔 개구(56)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KR1019970042844A 1996-08-29 1997-08-29 편직커버(a knitted cover) KR199800191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05,030 1996-08-29
US08/705,030 US5887452A (en) 1996-08-29 1996-08-29 Knitted co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172A true KR19980019172A (ko) 1998-06-05

Family

ID=24831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844A KR19980019172A (ko) 1996-08-29 1997-08-29 편직커버(a knitted cover)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887452A (ko)
EP (1) EP0833001B1 (ko)
JP (1) JPH10108762A (ko)
KR (1) KR19980019172A (ko)
CN (1) CN1175642A (ko)
AU (1) AU691449B2 (ko)
BR (1) BR9704530A (ko)
CA (1) CA2214257A1 (ko)
DE (1) DE69719652T2 (ko)
ES (1) ES2195080T3 (ko)
GB (1) GB2316689B (ko)
MX (1) MX97064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36208A1 (de) * 1996-09-05 1998-03-12 Keiper Recaro Gmbh Co Elastisches Mehrlagengestrick
GB2325941B (en) * 1997-06-03 2001-08-22 Gen Motors Corp A knitted cover
DE19847331A1 (de) * 1998-10-09 2000-04-20 Keiper Recaro Gmbh Co Verfahren zum Anbringen von Befestigungselementen an einem gestrickten Sitzbezug und Sitzbezug mit Befestigungselementen
DE19847334A1 (de) * 1998-10-09 2000-04-13 Keiper Recaro Gmbh Co 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s zweilagigen Gestricks an einem Träger
DE19847333C2 (de) * 1998-10-09 2001-02-08 Keiper Recaro Gmbh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stricken mit integrierten Befestigungselementen
DE19855540A1 (de) * 1998-12-01 2000-08-17 Keiper Recaro Gmbh Co Zusatzfunktionselemente
DE19855543A1 (de) * 1998-12-01 2000-06-08 Keiper Recaro Gmbh Co Dreidimensionaler Strickbezug
US6648100B2 (en) * 2001-10-24 2003-11-18 Lear Corporation Method of tuning acoustical absorption in a vehicle interior
US20030085607A1 (en) 2001-11-06 2003-05-08 Diane Jones Suspension fabric for seating
US7144271B1 (en) * 2005-02-18 2006-12-05 Corning Gilbert Inc. Sealed tamper resistant terminator
EP1712409A1 (de) * 2005-04-12 2006-10-18 Strähle & Hess GmbH & Co. KG Befestigungsband für Kraftfahrzeugpolstersitze
DE102006011610A1 (de) * 2006-03-14 2007-09-20 Gottlieb Binder Gmbh & Co. Kg Sitzbefestigungssystem sowie schlauchförmiges Befestigungsband
JP5116386B2 (ja) * 2007-07-19 2013-01-09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吊り込み加工方法及び車両用シート
US7488210B1 (en) 2008-03-19 2009-02-10 Corning Gilbert Inc. RF terminator
US8231406B2 (en) 2008-10-29 2012-07-31 Corning Gilbert Inc. RF terminator with improved electrical circuit
KR20180035820A (ko) * 2015-07-29 2018-04-06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시트상 성형체 및 적층체
US10709187B2 (en) * 2016-04-18 2020-07-14 Nike, Inc. Trim piece for an apparel item
CN106585451B (zh) * 2017-01-18 2020-02-07 杭州博远实业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套及该座椅套的织造方法
DE102017211246B4 (de) * 2017-07-03 2019-04-25 Lear Corporation Licht-Leitungssystem für eine Interieur-Verkleidung
US11504945B2 (en) * 2018-05-09 2022-11-22 Apple Inc. Items formed using stitching equipment with adjustable-shape fixtures
US10843600B2 (en) * 2018-07-12 2020-11-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seat trim covers including integrally-knit backing material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vehicle seat trim covers
US11001946B2 (en) * 2018-08-10 2021-05-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Knitted durable fabrics for use on vehicle seats
US10973341B2 (en) * 2019-07-03 2021-04-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Knitted-in laces for shaping and fitting textiles and fabrics
EP4005437A1 (en) * 2020-11-30 2022-06-01 DV8 ID S.r.l. Knitted artefact with heat-shrinking yarns hooked "in english"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6707A1 (de) * 1985-10-18 1987-04-16 Tachikawa Spring Co Sitzabdeckung
GB8822638D0 (en) * 1988-09-27 1988-11-02 Gen Motors Corp Knitting method
US5326150A (en) * 1988-09-22 1994-07-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Upholstery fabric
GB9104381D0 (en) * 1991-03-01 1991-04-17 Gen Motors Corp Fabric and structure
GB9307381D0 (en) * 1993-04-08 1993-06-02 Gen Motors Corp Upholstery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GB2294955B (en) * 1994-11-10 1996-10-16 Gen Motors Corp Knitting method
GB9422650D0 (en) * 1994-11-10 1995-01-04 Gen Motors Corp A knitting method
GB9506807D0 (en) * 1995-04-01 1995-05-24 Gen Motors Corp Kntted co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9706441A (es) 1998-02-28
ES2195080T3 (es) 2003-12-01
AU3321897A (en) 1998-03-05
JPH10108762A (ja) 1998-04-28
CA2214257A1 (en) 1998-02-28
DE69719652T2 (de) 2004-04-29
CN1175642A (zh) 1998-03-11
DE69719652D1 (de) 2003-04-17
AU691449B2 (en) 1998-05-14
EP0833001A3 (en) 1999-01-13
GB2316689B (en) 2000-09-13
EP0833001B1 (en) 2003-03-12
BR9704530A (pt) 1998-11-03
GB2316689A (en) 1998-03-04
US5887452A (en) 1999-03-30
EP0833001A2 (en) 1998-04-01
GB9626577D0 (en) 1997-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7452A (en) Knitted cover
US5890381A (en) Knitted upholstery fabric with tubular fastening portions
EP0734670B1 (en) Knitted covers
MXPA97006441A (en) A cover tej
US5682771A (en) Knitted cover
EP0501809B1 (en) Upholstered three-dimensional structure comprising a fabric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EP0811713B1 (en) A knitted cover
JP2525096B2 (ja) 布 帛
JPH105080A (ja) 編みカバー及びその形成方法
MXPA97001173A (en) A cover tej
GB2304738A (en) A knitted air bag
JPH0515246Y2 (ko)
JPH08126788A (ja) 成形編み車輛用シートカバー
JPH09108463A (ja) 車輛用シートカバー
CS211995B1 (cs) Způsob výroby jednolícní nebo oboulícní osnovní pleteniny se zvlněným smyčkovým krytem
JP2001040555A (ja) 衣類用縁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