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060U - 황토를 이용한 고기 구이판 - Google Patents

황토를 이용한 고기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060U
KR19980019060U KR2019970031951U KR19970031951U KR19980019060U KR 19980019060 U KR19980019060 U KR 19980019060U KR 2019970031951 U KR2019970031951 U KR 2019970031951U KR 19970031951 U KR19970031951 U KR 19970031951U KR 19980019060 U KR19980019060 U KR 199800190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ocher
plate
foi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9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복
Original Assignee
이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복 filed Critical 이혜복
Priority to KR20199700319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9060U/ko
Publication of KR199800190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060U/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기를 굽는 고기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는 커버부(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커버부(1)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베이스부(2)로 이루어지는 일정한 크기의 포일(3)이 구비되되, 상기 포일(3)의 일측 커버부(1)에는 연속적으로 다수의 관통공(4)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2)에는 황토판(5)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부(2)측 황토판(5)에는 상기 커버부(1)가 덮여져 부착됨으로서 고기를 구울 때 기름기와 냄새가 현저히 제거될 수 있게 되고, 황토판(5)의 열 보온 작용에 따라 고기가 골고루 익게 되며, 고기 구이판(6)의 휴대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황토를 이용한 고기 구이판
본 고안은 고기를 굽는 고기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루미늄 포일 또는 은박지 등에 일정한 크기의 황토판을 올려 놓은 후 일측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부를 감싸서 형성되게 되는 고기 구이판을 가스 레인지 등에 올려 놓아 각종의 고기를 구울 때 기름기가 현저히 제거되게 함은 물론 고기가 골고루 익게 될 수 있게 하도록 한 황토를 이용한 고기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야외에서 소고기 또는 돼지고기 등을 구워 먹을 때 후라이팬, 돌구이판, 솥두껑, 맥반석 또는 자갈구이 등을 이용하여 고기를 구워 먹게 된다.
그런데, 상기 후라이팬, 돌구이판, 솥두껑, 맥반석 또는 자갈구이 등은 야외로 소풍, 야유회, 단합대회 또는 등산 등을 하러 가게 될 때 형태와 무게가 커서 휴대가 불편하였다.
또한, 상기 후라이팬은 고기를 구울 때 기름기와 냄새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으며, 상기 돌구이판, 솥두껑, 맥반석 또는 자갈구이 등은 고기를 구울 때 기름기는 어느 정도 제거되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아 고기가 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기를 구울 때 기름기와 냄새가 제대로 제거될 수 있게 하고, 고기가 골고루 익게 하며, 휴대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하도록 한 황토를 이용한 고기 구이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일측에는 커버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커버부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베이스부로 이루어지는 일정한 크기의 포일이 구비되되, 상기 포일의 일측 커버부에는 연속적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황토판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부측 황토판에는 상기 커버부가 덮여져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황토를 이용한 고기 구이판에 일정한 크기와 형상으로 재단된 알루미늄 또는 은박지로 이루어지는 포일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2는 상기 도 1의 고기 구이판을 이루는 포일의 일측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커버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3은 상기 도 2의 고기 구이판을 이루는 포일의 타측 베이스부에 황토판이 위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4는 상기 도 3의 일측 커버부를 베이스부측 황토판에 씌운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평·단면도,
도 5는 일반적인 가정용 또는 휴대용 가스 레인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의 가스 레인지에 석쇠가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6측 가스 레인지의 석쇠 위에 상기 도 4측 고기 구이판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커버부 2: 베이스부
3: 포일 4: 관통공
5: 황토판 6: 고기 구이판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스레인지 또는 야외에서 사용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등에 고기를 굽는 고기 구이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일측에는 대략 사각형 형태의 커버부(1)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1)의 타측에는 동일체로 상기 커버부(1) 보다는 큰 베이스부(2)가 형성되는 포일(3)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1)에는 상기 포일(3)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게 될 때 고기로부터 발생되는 기름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4)을 연속되게 형성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베이스부(2)에는 고기를 구울 때 고기를 익게 하는 가열 온도가 지역별로 차이없이 고기에 골고루 일정하게 전달유지됨은 물론, 고기로부터 발생되는 기름이 신속히 흡착될 수 있도록 입자와 입자간 또는 분자와 분자간에 틈(공극)이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폭넓은 표면적을 갖게 되는 일정한 두께의 황토판(5)을 위치시킨다.
그에 연속해서, 상기 베이스부(2)의 황토판(5)에는 상기 황토판(5)의 기름 흡착작용과 상기 커버부(1)의 가열 전도작용 및 상기 커버부(1)의 관통공(4)들간에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이 원활하게 상기 황토판(5)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다수의 관통공(4)이 형성되는 커버부(1)를 180。접어 상기 베이스부(2)에 견고하게 부착시킨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다수의 관통공(4)을 갖는 커버부(1)의 내부에 황토를 발라서 만들 수 있는데, 바르는 황토는 알루미늄 또는 은박지로 이루어지는 포일(3)의 커버부(1)에 황토가 부스러지지 않고 알맞게 결착될 수 있도록 적당한 양의 물과 소금이 사용된다.
여기서, 물은 황토가 너무 묽을 정도로 부가되서는 곤란하고, 다소 수분이 끈적끈적하게 되도록 질게 되어야 한다. 이때, 소금은 황토를 이루는 교질(膠質)입자간의 응집을 도모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여기서 응집은 입자와 입자가 근접하는 동시에 어떤 힘에 의해 상호 결집되는 작용을 말하며, 전해질의 농도가 높은 염해지에서는 물을 대고 갈거나 써릴 때 생긴 흙탕물이 바로 응집되어 가라앉기 때문에 표면수는 투명하지만 제염이 상당히 진행된 간석지 토양에서는 일단 생겼던 흙탕물이 장기간 부유되어 지속된다. 따라서, 소금을 섞은 황토속의 교질물들의 전위는 유리 양이온의 농도가 높기 때문에 작아지고 신속히 응집되어 결착된다.
그리고, 빈 사각형 형태의 상기 커버부(1)는 고기를 구울 때 다수의 관통공(4)을 통해 기름을 배출시키며, 가스레인지 등의 가열에 의해서 열이 전도된 황토판(5)은 특유의 벌집모양의 분자구조를 가짐에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한 전도 온도를 가져 고기가 타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특히 돼지고기의 특유한 기름냄새를 없애고, 기름이 튀는 현상도 없애게 된다. 또한, 황토와 고기가 상호 어우러져 고기에 황토 특유의 새로운 향내를 낼 수 있게 되며 고기에 담백한 맛을 내게 된다.
일반적으로, 식품을 가열하면 여러 가지 종류의 산화물이 생성되어 독특한 배소 플라보(焙燒 Flavor)가 생긴다. 불에 굽는 것이나 기름에 튀긴 식품을 공기중에 방치해 두면 당질, 단백질, 지질 등의 식품 성분으로부터 가열에 의해서 생기는 배소 플라보 성분의 일부가 곧 산화되어 향기가 약하게 되며 변향하게 된다. 이같은 현상을 스테일링(Staling)이라고 한다.
여기서, 식품의 조리, 가공에 사용하는 온도는 200。C 정도까지 이용되고 있으나 고기를 굽는 경우와 같이 식품을 수백도의 고온으로 가열하면 이 분자들의 공유결합이 끊어지며 대개 도중에 에너지가 높은 유리기를 발생시킨다. 이같은 반응성이 높은 유리기는 거의 무질서하게 반응을 되풀이 하기 때문에 식품을 고온 처리하면 여러종류의 예측할 수 없는 생성물을 형성시킨다. 상기 배소 플라보는 이같은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이다. 예전의 배소 플라보는 풍미를 좋게 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근년에 와서는 배소에 의해 생성된 성분중에 발암성이 있는 물질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예를 들면, 구운 생선의 탄 부분에서 강력한 발암성 물질의 트리토판(Tritophane)이 발견되었다.
그런데, 황토는 이러한 요인들을 제거할 수 있어 건강식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황토의 효능으로서 본초강목, 향약집성방 등에 기록되어 있는바 여러 약재에 가미되어 왔고 뱃속의 열을 없애며, 여러 가지 독성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황토음식, 황토 닭구이 등이 개발되어 인기를 끌고 있다. 아프리카나 동남아시아의 원시림속에서 살고 있는 원주민들의 생활을 담은 다큐멘타리에서 볼 수 있듯이 음식을 흙속에 넣어서 구어먹는 모습을 보게 된다. 재료는 고구마나 감자와 비슷한 식물일 때도 있고 사냥한 동물이 되기도 한다. 사냥물은 적당한 크기로 잘라 넓다란 나뭇잎으로 싸서 깊게 판 흙에 재여 넣는다. 그 위에 불에 달군 돌을 넣고 흙을 덮었다가 꺼내 먹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감자 또는 고구마에 진흙을 발라 구워먹기도 하였다. 진흙구이를 하면 무엇보다도 고기의 기름기가 현저히 빠져나와 고기의 맛이 담백하고 고소해진다는 것이다. 자연의 이치대로 하자면 모든 먹거리는 날로 먹어야 그 영양을 100퍼센트 섭취할 수 있는데, 불을 이용하게 되면 재료속의 영양분이 현저히 감소한다. 그런데, 황토로 음식을 익히게 되면 음식은 유난히 맛깔스러워지게 되는데 이때, 음식으로부터 소모되는 영양분은 최소한도로 줄어들게 된다. 이것은 원적외선 작용 이외에 황토속에 함유된 각종 미네랄과 희귀원소 성분이 음식속으로 스며들기 때문이다. 그래서, 음식은 싱싱하며 제 영양가를 잃지 않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작방법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일(3)을 일측은 대략 사각형 형태의 커버부(1)로, 타측에는 상기 커버부(1)에 동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버부(1) 보다는 큰 사각 형태의 베이스부(2)를 대략 T자형으로 자른다. 이때, 상기 포일(3)은 사용되는 가스레인지의 크기에 맞게 대략 가로 50cm, 세로 26cm로 절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1)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4)을 뚫는데, 상기 관통공(4)의 직경은 1.5cm 정도로 해서 종열 10개, 횡열 10개 즉, 모두 100개의 구멍을 뚫는다. 여기서, 구멍의 수는 본 고안의 목적과 사상을 구현하는데 어떤 제한도 없다.
계속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황토를 채반으로 미세하게 걸러낸후 물과 혼합하여 수분이 적당히 함유되도록 반죽하여 질게 만든다. 그리고, 황토 100g에 소금 30g의 비율로 넣어 잘 혼합한후 두께 2cm 정도되게 만들어진 황토판(5)을 구멍이 뚫리지 않은 상기 포일(3)의 타측 베이스부(2)에 도포하여 24시간 자연 상태에서 건조시킨다.
그런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토를 건조시킨후 구멍이 뚫린 일측 커버부(1) 부분을 타측 상기 베이스부(2)의 황토판(5)측에 씌워서 결착시킨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고기 구이판(6)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가정용 또는 휴대용 가스레인지(7)에 석쇠(그릴)(8) 등을 이용하여 올려 놓은후 가스불을 켜서 가열시킨다. 그런 다음, 고기 등을 상기 황토판(5)을 감싼 고기 구이판(6)에 올려 놓게 되면, 상기 황토판(5)이 골고루 가열됨에 따라 고기도 골고루 익게 된다. 그에 따라서, 고기로부터 기름이 발생되게 되는데, 이때 기름은 포일(3)의 커버부(1)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4)을 통해 황토판(5)으로 스며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황토판(5)은 벌집모양의 분자구조를 이룸에 따라 다량의 표면적을 가져 가열 에너지를 오랫동안 저장하게 됨은 물론 표면 흡찹력에 의해 기름을 분자 또는 입자들의 사이사이로 빨아들이게 된다.
또한 다른 한편으로, 상기 황토판(5)에 함유된 각종의 무기물들이 고기측으로 배어나와 고기의 맛과 향이 더 한층 높아지게 되며, 고기의 비린내 등도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의 황토를 이용한 고기 구이판은 일측에는 커버부(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커버부(1)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베이스부(2)로 이루어지는 일정한 크기의 포일(3)이 구비되되, 상기 포일(3)의 일측 커버부(1)에는 연속적으로 다수의 관통공(4)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2)에는 황토판(5)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부(2)측 황토판(5)에는 상기 커버부(1)가 덮여져 부착됨으로서 고기를 구울 때 기름기와 냄새가 현저히 제거될 수 있게 되고, 황토판(5)의 열 보온 작용에 따라 고기가 골고루 익게 되며, 고기 구이판(6)의 휴대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황토를 이용한 고기 구이판(6)에 있어서,
    일측에는 커버부(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커버부(1)를 동일체로 연결하는 베이스부(2)로 이루어지는 포일(3)이 구비되되, 상기 포일(3)의 일측 커버부(1)에는 연속적으로 다수의 관통공(4)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 베이스부(2)에는 일정한 두께로 황토판(5)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부(2)측 황토판(5)에는 상기 커버부(1)가 덮여져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고기 구이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일(3)은 알루미늄 또는 은박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고기 구이판.
KR2019970031951U 1997-11-13 1997-11-13 황토를 이용한 고기 구이판 KR199800190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951U KR19980019060U (ko) 1997-11-13 1997-11-13 황토를 이용한 고기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951U KR19980019060U (ko) 1997-11-13 1997-11-13 황토를 이용한 고기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060U true KR19980019060U (ko) 1998-07-06

Family

ID=6969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951U KR19980019060U (ko) 1997-11-13 1997-11-13 황토를 이용한 고기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906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974A (ko) * 2005-04-06 2006-10-13 이종철 기름튀김 차단층을 구비한 고기구이판
KR100853825B1 (ko) * 2007-02-16 2008-08-22 오동옥 간접열을 이용한 고기구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974A (ko) * 2005-04-06 2006-10-13 이종철 기름튀김 차단층을 구비한 고기구이판
KR100853825B1 (ko) * 2007-02-16 2008-08-22 오동옥 간접열을 이용한 고기구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9851A (en) Flavoring dispenser
WO2007145762A2 (en) Tray assembly and methods
KR19980019060U (ko) 황토를 이용한 고기 구이판
KR20050099470A (ko) 대나무와 황토를 주재료로 하는 육류의 조리방법
KR19980045204A (ko) 구이용 육류의 예비가공방법과 가공된 육류
KR102029622B1 (ko) 황토의 효능을 극대화한 금속의 주방용품의 제조방법
CN108814327A (zh) 一种砂石烤肉方法及其烧烤炊具
US20060260475A1 (en) Tray assembly and methods
KR20060096793A (ko) 참나무 훈제,구이 겸용 조리기구
KR100416052B1 (ko) 청죽 불고기 구이판
KR100335149B1 (ko) 황토 구이판과 그의 제조방법
KR101418803B1 (ko) 메기의 가공방법 및 가공된 메기를 이용한 조리방법
US20060263493A1 (en) Tray assembly and methods
KR200272449Y1 (ko) 한지 황토구이판
KR102194389B1 (ko) 황토의 효능을 극대화한 금속의 주방용품
KR20060080445A (ko) 육류 구이용 소금판
KR200274690Y1 (ko) 한지 게르마늄 맥반석 구이판
KR200254518Y1 (ko) 청죽 불고기 구이판
KR19990036668U (ko) 훈제 구이기
KR200196819Y1 (ko) 숯 분말 고기 구이판용 깔개
KR100356499B1 (ko) 조리용 황토포지의 제조방법
KR19990037800A (ko) 황토를이용한고기구이판
KR200332160Y1 (ko) 황토진흙구이판
JP2010022466A (ja) 珪藻土の土鍋とその使用方法
JP2007074997A (ja) 蟹ミソ調理方法と蟹ミソを用いた調理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