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947A - 화상형성기 및 그 화성형성기에 적용되는 감광체유닛 (image-forming machine and photosensitive material unit adapted thereto) - Google Patents

화상형성기 및 그 화성형성기에 적용되는 감광체유닛 (image-forming machine and photosensitive material unit adapted thereto)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947A
KR19980018947A KR1019970040410A KR19970040410A KR19980018947A KR 19980018947 A KR19980018947 A KR 19980018947A KR 1019970040410 A KR1019970040410 A KR 1019970040410A KR 19970040410 A KR19970040410 A KR 19970040410A KR 19980018947 A KR19980018947 A KR 19980018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member
unit
guide
guide portion
gu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하자마
유키노리 아키야마
다카히코 무라타
Original Assignee
미타 요시히로
미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타 요시히로, 미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타 요시히로
Publication of KR19980018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94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 G03G15/02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04Main transfer electrode
    • G03G2215/1619Transfer dr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감광체드럼(42)과 그 감광체드럼(42)의 지지축(43)을 지지하는 감광체지지수단(41)을 구비한 감광체유닛(40)을 기체프레임(3)에 위쪽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감광체유닛(40)의 전사지 반송방향 하류측에 정착유닛(60)을 배치한 화상형성기로서, 기체프레임(3)에는 감광체드럼(42)의 지지축(43)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축지지부(34)(35)가 설치되어 있고, 감광체유닛(40)의 감광체지지수단(41)에 설치된 피안내부를 정착유닛(60)에 설치된 안내부에 맞닿게 하면 감광체드럼(42)의 지지축(43)의 양단부가 기체프레임(3)에 설치된 축지지부(34)(35)의 상부에 위치지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기 및 그 화상형성기에 적용되는 감광체유닛
본 발명은 정전복사기, 레이저프린터와 같은 감광체드럼의 감광층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하여 이 토너상을 전사지에 전사하는 화상형성기 및 그 화상형성기에 적용되는 감광체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화상형성기는 회전이 자유롭게 배치된 대전영역, 정전잠상형성영역, 현상영역 및 전사영역을 순차로 통과하는 감광체드럼과, 대전영역에 배치되고 감광체드럼의 원주표면을 특정극성으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와, 현상영역에 배치되고 정전잠상형성영역에 있어서, 감광체드럼의 원주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하는 현상장치와, 전사영역에 배치되고 감광체드럼의 원주표면에 형성된 토너상을 전사지에 전사하는 정착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같은 형식의 화상형성기에 있어서, 감광체드럼은 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감광체드럼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감광체지지수단에 의해 감광체유닛을 구성하고 이 감광체유닛을 기체프레임에 위쪽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감광체유닛을 기체프레임에 위쪽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한 화상형성기에 있어서는 기체프레임에는 감광체드럼의 지지축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축지지부가 설치되어 있고 감광체유닛을 기체프레임에 장착하는 때에는 지지축의 양단부를 상기한 축지지부의 위쪽으로 대향해서 위치시켜 감광체유닛을 기체프레임상에 내리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화상형성기를 소형으로 구성하기 위해 감광체유닛과 정착유닛이 접근한 위치에 배치된 것에 있어서는 감광체유닛을 위쪽으로부터 기체프레임상에 내리는 때에 감광체유닛이 정착유닛에 간섭해서 그 장착성을 손상한다고 하는 불합리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감광체유닛을 기체프레임에 장착시키는때에 그 장착성을 용이하게할 수가 있는 화상형성기 및 거기에 적용되는 감광체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화상형성기의 1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화상형성기에 장비되는 프로세스유닛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프로세스유닛을 구성하는 감광체유닛의 주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화상형성기에 장비되는 프로세스유닛의 주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화상형성기에 장비되는 정착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화상형성기의 기체프레임의 주요부 사시도
도 7은 도 1에 있어서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2에 나타내는 프로세스유닛을 기체프레임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도 2에 나타내는 프로세스유닛을 기체프레임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기체프레임, 20 : 기체하우징, 34, 35 : 축지지부, 40 : 감광체유닛, 41 : 감광체지지수단, 42 : 감광체드럼, 43 : 지지축, 60 : 정착유닛, 341, 351 : 안내홈부, 342, 352 : 끼워 맞춤홈부, 411 : 측면벽부재
상기한 주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감광체드럼과 그 감광체드럼의 지지축을 지지하는 감광체지지수단을 구비한 감광체유닛을 기체프레임의 위쪽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감광체유닛의 전사지 반송방향 히류측에 정착유닛을 배치한 화상형성기에 있어서, 기체프레임에는 감광체드럼의 지지축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축지지부가 설치되어 있고, 감광체지지수단에는 정착유닛과 대향하는 하부에 피안내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정착유닛에는 감광체유닛과 대향하는 측면에 피안내부를 안내하는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고, 감광체유닛의 감광체지지수단에 설치된 피안내부를 정착유닛에 설치된 안내부에 맞닿게 하면 감광체드럼의 지지축의 양단부가 기체프레임에 설치된 축지지부의 상부에 위치지어 지도록 구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감광체드럼과 그 감광체드럼을 지지하는 감광체지지수단을 구비한 감광체유닛을 기체프레임의 위쪽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감광체유닛의 전사지반송방향 하류측에 정착유닛을 배치한 화상형성기에 있어서, 감광체지지수단에는 정착유닛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1의 피안내부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기체프레임의 소정의 벽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2의 피안내부가 설치되어 있고, 정착유닛에는 감광체유닛과 대향하는 측면에 제1의 피안내부를 안내하는 제1의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고, 기체프레임에는 소정의 벽면에 제2의 피인내부를 안내하는 제2안내부가 설치되어 있고, 감광체유닛에는 제1의 피안내부와 제2의 피안내부가 제1의 안내부와 제2의 안내부에 각각 안내되어서 기체프레임에 대해 착탈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감광체드럼과 그 감광체드럼의 지지축을 지지하는 감광체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정착유닛을 배치한 기체하우징에 장착된 기체프레임에 위쪽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화상형성기의 감광체유닛으로서, 감광체지지수단에는 정착유닛과 대향하는 하부에 피안내부가 설치되어 있고, 감광체유닛의 감광체지지수단에 설치된 피안내부를 정착유닛에 설치된 안내부에 맞닿게 하면 감광체드럼의 지지축의 양단부가 기체프레임에 설치된 축지지부의 상부에 위치지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감광체유닛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감광체드럼과 그 감광체드럼을 지지하는 감광체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정착유닛을 배치한 기체하우징에 장착된 기체프레임에 위쪽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화상형성기의 감광체유닛으로서, 감광체지지수단에는 정착유닛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1의 피안내부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기체프레임의 소정의 벽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2의 피안내부가 설치되어 있고, 제1의 피안내부와 제2의 피안내부가 정착유닛에 설치된 제1의 안내부와 기체프레임에 설치된 제2의 안내부에 각각 안내되어서 기체프레임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감광체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다음에 기술하는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다음에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화상형성기의 1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화상형성기로서 프린터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프린터의 1실시형태가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프린터(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워드프로세서등의 인자장치로서 사용되는 소형저속의 레이저프린터로서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 기체하우징(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기체하우징(20)은 위쪽이 개방된 상자형상의 하우징본체(21)와 그 하우징 본체(21)의 상부에 배치된 축(22)에 선회가 자유롭게 장착된 커버(23)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기체하우징(20)의 하우징본체(21)에는 기체프레임(3)이 배치되어있다.
또한, 이 기체프레임(3)에 프로세스유닛(4)이 착탈 자유롭게 장착된다.
프로세스유닛(4)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감광체유닛(40)과 그 감광체유닛(40)에 지지축(5)을 거쳐서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현상유닛(50)을 구비하고 있다.
감광체유닛(40)은 감강체지지수단(41)을 구비하고 있고 이 감광체지지수단(41)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측면벽부재(411)(도 2에는 안쪽의 측면벽부재 만이 표시되어 있다)와 그 한쌍의 측면벽부재(411)의 각각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12a), (412b)를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측면벽부재(4l1)의 도면에 있어서 후술하는 전사유닛측단면의 하부에 대략 수직인 피안내부(411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재(412a), (412b)는 상호 대향하는 내측의 면이 평행으로 배치되고 양자간에 후술하는 대전수단을 배치하는 대전수단장착공간(412c)을 형성하고 있다.
또, 연결부재(412a)와 (412b)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 단말부가(도 7에 있어서 우측) 앞쪽의 측면벽부재(411)까지 달하고 있지 않고 이 앞쪽 단말부와 앞쪽 측면벽부재(411)와는 측면연결부재(412d)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대전수단장착공간(412c)은 후술하는 대전영역에 대향해서 위치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감광체지지수단(41)은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감광체지지수단(41)을 구성하는 한쌍의 측면벽부재(411)의 현상유닛(50)측의 상단부에는 장착구멍(4l4)을 구비한 지지부(41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부(413)에 형성된 장착구멍(414)에 현상유닛(50)의 후술하는 현상하우징에 배치된 금속봉재료로 된 지지축(5)을 삽입관통시키므로써 감광체유닛(40)과 현상유닛(50)이 상호요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감광체유닛(40)은 원주표면에 감광층이 형성된 감광체드럼(42)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감광체드럼(42)의 구조 및 감광체드럼(42)의 지지구조에 대해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감광체드럼(42)은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알루미늄의 통체의 원주표면에 감광층이 장착된 것으로서 지지축(43)에 소정위치에서 축방향으로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감광체드럼(42)의 일단부(도 7에 있어서 우측단말부)에는 피구동기어(70)가 장착되어 있다.
이 피구동기어(70)는 도전성의 합성수지에 의해 구성되고 장착부(701)와 나선기어부(702) 축삽입구멍(703)으로 되어 있고 장착부(701)가 감광체드럼(42)의 일단부에 압입되어 있다.
또한, 나선기어부(702)는 구동시에 생기는 추력이 타단부로 향해서 작용하는 경사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감광체드럼(42)의 타단부(도 7에 있어서 좌측단말부)에는 플랜지(71)가 장착되어 있다.
이 플랜지(71)는 도전성의 합성수지에 의해 구성되고 장착부(711)와 걸어맞춤부(712)와 축삽입구멍(713)으로 이루어지고 장착부(711)가 감광체드럼(42)의 타단부에 압입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감광체드럼(42)에는 그 양단에 장착된 피구동기어(70)및 플랜지(71)에 형성된 축삽입구멍(703)및 (713)에 지지축(420)이 삽입관통된다.
이 지지축(420)의 소정위치에는 환상홈(4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환상홈(421)에 플랜지(71)의 걸어맞춤부(712)가 걸어맞추어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감광체드럼(42)은 지지축(420)에 소정위치에서 축방향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같이 감광체드럼(42)을 지지한 지지축(420)은 그 양단부가 감광체지지수단(41)을 구성하는 한쌍의 측면벽부재(411)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감광체드럼(42)의 타단부에 장착된 플랜지(71)의 단면과 측면벽부재(411)와의 사이에는 펠트등으로 된 패킹(72)이 배치되어 있고 감광체드럼(42)의 일단부에 장착된 피구동기어(70)의 단면을 감광체지지수단(41)을 구성하는 측면벽부재(411)에 가볍게 접촉시키고 있다.
이와같이 패킹(72)에 의해 감광체드럼(42)의 일단부에 장착된 피구동기어(70)의 단면이 축면벽부재(411)에 접촉한 상태에서 조립되기 때문에 감광체드럼(42)과 감광체지지수단(41)은 소정의 위치관계로 조립되게 된다.
또한, 피구동기어(70)는 후술하는 구동기어에 의해 도 2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내는방향, 즉 대전영역(422), 정전잠상형성영역(423), 현상영역(424)및 전사영역(425)을 순차 통하도록 회전구동된다.
대전영역(422)에 위치하는 상기한 대전수단장착공간(412c)에는 감광체드럼(42)의 하측원주 표면에 대향해서 배치되는 대전수단(43)이 장착되어 있다.
대전수단(43)은 감광체드럼(42)과 평행으로 축방향에 따라 배치되는 대전기로서의 대전용코로나방전기(431)와 대전용코로나방전기를 장착유지하는 합성수지로 된 대전기유지부재(432)로 이루어지고 대전기유지부재(432)가 상기한 대전수단장착공간(412c)에 끼워맞추어지고 소정의 위치에 위치지어져 있다.
또, 대전영역(422)와 전사영역(425)의 사이에 감광체드럼(42)의 원주표면에 접촉하는 이물회수브러시(44)가 감광체드럼(42)의 축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이물회수브러시(44)는 아크릴수지 등에 의해 구성되고 감광체드럼(42)의 축방향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고 있고 대전기유지부재(432)와 일체로 형성되고 감광체드럼(42)의 축방향에 따라 배치된 브러시지지부재(440)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대전기유지부재(432)의 상단은 대전영역(422)에 배치된 대전용코로나방전기(431)와 이물회수브러시(44)의 사이에 있어서 감광체드럼(42)의 원주표면에 근접하도록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고 토너침입방지벽(47)을 구성하고 있다.
이 토너침입방지벽(47)은 감광체드럼(42)의 원주표면에 부착되어 이물회수브러시(44)에 의해 종이분말 등의 이물과 함께 제거된 잔류토너가 이물회수브러시(44)에 확실히 포착되지 않고 낙하한 경우에 상기한 대전용코로나방전기(431)상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감광체지지수단(41)을 구성하는 한쌍의 측면벽부재(411)간에는 도 2에 있어서, 좌측경사 위쪽으로 공급되는 전사지를 감광체드럼(42)의 원주표면상의 전사영역(425)으로 향해서 안내하는 한쌍의 전사전안내판(45)의 한쪽을 구성하는 하측안내판(451)이 배치되어 있고 이 하측안내판(451)은 한쌍의 측면벽부재(4l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측안내판(451)의 상면에는 길이방향(도 2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인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안내리브(45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하측안내판(451)은 하면에도 길이방향(도 2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보강리브(451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보강리브(451b)가 상기한 지지축(5)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측안내판(451)은 그 상면에 압압력이 작용해서 휘려고 해도 보강리브(451b)가 지지축(5)에 맞닿아서 휨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하측안내판(451)은 감강체지지수단(41)을 구성하는 한쌍의 측면벽부재(411)에 있어서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 기능하고 감강체지지수단(41)의 강성강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측안내판(451)은 한쌍의 측면벽부재(4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쌍의 측면벽부재(411)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감광체드럼(42)에 대한 위치관계를 고정밀도로 유지할 수가 있다.
또,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측안내판(451)은 프로세스유닛(4)을 붙이고 떼는때에 있어서 감광체드럼(42)의 감광층에 대한 접촉방지부재로서도 기능함과 동시에 현상유닛(50)의 후술하는 현상로울러에의 접촉방지부재로서도 기능하고 또 후술하는 현상로울러의 표면으로부터의 비산토너가 전사지나 전사지의 반송로에 부착하는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겸하고 있다.
상기한 감광체지지수단(41)을 구성하는 한쌍의 측면벽부재(411)간에는 전사영역(425)에 있어서 전사된 전사지를 후술하는 정착수단에 안내하는 전사후안내판(46)이 배치되어 있고 이 전사후안내판(46)은 한쌍의 측면벽부재(4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사후안내판(46)은 감광체지지수단(41)을 구성하는 한쌍의 측면벽부재(411)를 상호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 기능하고 감광체지지수단(41)의 강성강도를 향상시킬수가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사후안내판(46)은 프로세스유닛(4)을 붙이고 떼는 때(착탈하는때)에 있어서 감광체드럼(42)의 감광층에 대한 접촉방지부재로서도 기능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정전잠상현상장치로서의 현상유닛(50)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현상유닛(50)은 1성분계 토너로 된 현상제가 수용된 현상하우징(51)을 구비하고 있다.
이 현상하우징(51)은 저면벽(511)과 그 저면벽의 전후단말(도 2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인방향의 단말부)로부터 위쪽으로 세워 설치해서 형성된 전측벽(512a)(도 3 참조) 및 후측벽(512b) 좌측면벽(513)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고 교반실(514)과 현상실(5l5)을 규정하고 있다.
현상하우징(51)을 구성하는 저면벽(511)에는 교반실(514)과 현상실(515)과의 사이에 전후방향(도 2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인방향)으로 설치된 간막이벽(51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간막이벽(516)의 좌우 양면은 원호상의 안내면(516a) 및 (516b)가 형성되어 있다.
현상하우징(51)을 구성하는 전후면측벽(512)간에는 현상실(515)측상부에 배치된 연결부재(517)가 설치되고 전후면측벽(51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현상하우징(51)을 구성하는 후면측벽(512)에는 토너공급구멍(518)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토너공급구멍(518)에 캡(519)이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현상하우징(51)의 현상실(515)측 상단부에는 전우면측벽(512)을 관통해서 지지축(5)이 배치되어 있고 이 지지축(5)의 양단부에 감광체유닛(40)의 감광체지지수단(41)을 구성하는 한쌍의 측면벽부재(411)의 지지부(4l3)에 형성된 장착구멍(414)에 끼워맞추므로서 감광체유닛(40)와 현상유닛(50)가 상호 요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감광체유닛(40)의 감광체지지수단(41)의 하단부와 현상하우징(51)의 하단부 사이에는 전면단말부 및 후면단말부에 용수철 수단인 코일용수철(52)이 각각 개재 되어 있고 이 코일용수철(52)에 의해 감광체지지수단(41)과 현상하우징(51)은 지지축(5)을 지지점으로 해서 상호 끌어당기도록 힘이 가해지고 있다.
또한, 현상하우징(51)은 그 위쪽 및 우측 즉 감광체유닛(40)측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한 현상하우징(51)내에는 현상로울러(53)와 보급로울러(54)와 교반수단(55) 및 현상제규제수단(56)이 배치되어 있다.
현상로울러(53)는 현상하우징(51)의 현상실(515)내에 배치되고 현상하우징을 구성하는 상기한 전후면측벽(512)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회전축(531)과 이 회전축(531)의 외부원주면에 고착된 중실합성고무로울러(532)를 포함하고 있다.
회전축(531)은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적당한 금속재료로 형성할 수가 있다.
중실합성고무로울러(532)는 비교적 유연하고 또한 도전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면 우레탄고무와 같은 도전성중실 합성고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중실합성고무로울러(532)의 원주표면의 면의 거칠음, 즉 일본공업규격(JlS)B 0601에 규정되어 있는 10점평균거칠음 Rz가 5.0∼12.0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중실합성고무로울러(532)의 체적저항은 104∼109Ω·cm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중실합성고무로울러(532)의 로울러경도는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아스카(asker) C경도로 60∼80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현상로울러(53)의 로울러(532)는 현상하우징(51)에 형성되어 있는 우측개방구를 통해서 노출되어서 상기한 감광체드럼(42)에 대향해서 위치지어 진다.
그리고 현상로울러(53)를 구성하는 로울러(532)의 원주표면은 현상영역에 있어서 감광체드럼(42)의 원주표면에 압축접촉되어 이 압축접촉된 닙(nip)부에 있어서 로울러(532)의 원주표면이 약간 탄성적으로 압축되어 있다.
현상로울러(53)의 회전축(531) 앞쪽 단말부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하우징(51)의 전면측벽(512a)으로부터 돌출해서 배치되고 이 단말부에 피구동기어(501)가 장착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구동기어에 의해 도 2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 즉, 로울러(532)와 감광체드럼(42)의 접촉부인 현상영역에 있어서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해서 회전구동된다.
또한, 피구동기어(501)는 나선기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피구동기어(501)의 내측에는 베벨기어(50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축(531)의 상기한 회전에 의해 로울러(532)도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로울러(532)의 원주표면은 현상제유지영역(533), 현상제규제영역(534) 및 현상영역(424)을 순차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현상로울러(53)의 회전축(531)에는 300V의 정전압이 인가된다.
상기한 보급로울러(54)는 현상하우징(51)의 현상실(515)내에 현상로울러(53)와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고 현상하우징(51)을 구성하는 전후면측벽(512)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회전축(541)과 이 회전축(541)의 외부원주면에 고착된 로울러(542)를 포함하고 있다.
회전축(541)은 현상로울러(53)의 회전축(531)과 마찬가지로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적당한 금속재료로 형성할 수가 있다.
로울러(542)는 발포실리콘 혹은 발포우레탄과 같은 발포체로 구성되어 있다.
로울러(542)는 현상로울러(53)의 닙부인 현상제유지영역(533)에 있어서 현상로울러(53)의 로울러(532)에 압축접촉된다.
보급로울러(54)의 로울러(542)를 구성하고 있는 발포체의 경도는 현상로울러(53)를 구성하는 로울러(532)의 경도보다 상당히 적고(예를들면 아스카 C경도로 35정도), 로울러(542)를 현상로울러(53)의 로울러(532)에 압축접촉시키므로서 닙영역에 있어서 로울러(542)가 0.1∼0.6mm정도 탄성적으로 압축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로울러(542)도 도전성을 갖고 있고 그 체적저항은 102∼106Ω·cm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보급로울러(54)의 회전축(541)의 앞쪽 단말부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하우징(51)의 전면측벽(512a)으로부터 돌출해서 배치되고 이 단말부에 피구동기어(503)가 장착되어 있고 이 피구동기어(503)가 베벨기어(502)와 맞물려 걸어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급로울러(54)의 회전축(541)은 도 2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 즉 로울러(532)와 감광체드럼(42)과의 접촉부인 현상영역에 있어서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해서 회전구동된다.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 즉 로울러(542)와 현상로울러(53)의 로울러(532)와의 닙부인 현상제유지영역(533)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향해서 회전구동된다.
회전축(541)의 상기한 회전에 의해 로울러(542)도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또한,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보급로울러(54)의 회전축(541)에는 상기한 현상로울러(53)에의 인가전압보다 높은 450V의 정전압이 인가된다.
감광체드럼(42)의 원주속도 V1과 현상로울러(53)의 원주속도 V2와 보급로울러(54)의 원주속도 V3와는 V1V2V3 의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감광체드럼(42)의 원주속도 V1과 현상로울러(53)의 원주속도 V2와의 관계는 1.2V1V22.5V1으로 설정되어 있고 현상로울러(53)의 원주속도 V2와 보급로울러(54)의 원주속도 V3와의 관계는 l.0V2V32.0V2로 설정되어 있다.
현상로울러(53)의 원주속도 V2가 1.2V1이하가 되면 감광체드럼(42)에의 현상제의 공급부족이 되고 화상농도가 저하하는 원인이 된다.
또, 현상로울러(53)의 원주속도 V2가 1.2V1이하가 되면 전사후에 감광체드럼(42)에 부착되어 있는 불전사현상제에 대한 현상로울러(53)의 긁어내는 작용이 저하하기 때문에 불전사현상제를 감광체드럼(42)으로부터 제거할 수 없어서 생기는 소위 오프셋·흐림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다른 한면, 현상로울러(53)의 원주속도 V2가 2.5V1이상이 되면 현상로울러(53)의 구동토오크가 증대함과 동시에 원심력에 의한 현상제비산의 원인이 된다.
또, 보급로울러(54)의 원주속도 V3가 1.0V2이하가 되면 현상로울러(53)에의 현상제의 공급부족이 되고 화상농도가 저하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보급로울러(54)의 원주속도 V3가 1.0V2이하가 되면 보급로울러(54)에 의한 현상로울러(53)원주표면의 긁어내는 작용이 약하기 때문에 전사후에 감광체드럼(42)에 부착하고 있는 불전사현상제가 현상로울러(53)에 부착한 경우, 이 부착현상제의 제거가 곤란하게 되고 이 부착현상제는 다음의 현상시에 나타나는 소위 고우스트(ghost)현상발생의 원인이 된다.
다른 한편, 보급로울러(54)의 원주속도 V3가 2.0V2이상이 되면 보급로울러(54)의 구동토오크가 중대함과 동시에 현상제가 보급로울러(54)와 현상로울러(53)의 닙부의 상측에 체류하는 경향이 강하게 되어 현상로울러(53)에의 현상제 공급부족의 원인이 된다.
현상하우징(51)의 교반실(514)에는 교반수단(55)이 배치되어 있다.
교반수단은 보급로울러와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고 현상하우징(51)을 구성하는 전후면측벽(512)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회전축(551)과 이 회전축(551)에 고정된 교반부재(552)와 이 교반부재(552)에 장착된 탄성을 갖는 교반시이트부재(553)를 포함하고 있다.
교반부재(552)는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도2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인방향)으로 복수개의 개방구를 구비하고 있다.
교반시이트부재(553)는 가요탄성을 갖는, 예를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P)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교반부재(552)의 선단가장자리변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교반수단(55)의 회전축(551)은 앞쪽 단말부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하우징(51)의 전면측벽(512a)으로부터 돌출해서 배치되고 이 단말부에 피구동기어(504)가 장착되어 있다.
이 피구동기어(504)는 보급로울러(54)의 회전축(541)에 장착된 피구동베벨기어(503)와 현상하우징(51)의 전면측벽(512a)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전동기어(505)(506)및 (507)을 거쳐서 전동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교반수단(55)은 도 2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구동된다.
현상제규제수단(56)은 현상로울러(53)를 구성하는 로울러(532)의 원주표면에 압축접촉되는 가요탄성을 갖는 브레이드(blade)(561)를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드(561)는 예를들면 두께가 0.1∼0.2mm정도의 스테인레스강판 또는 용수철강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현상로울러(53)를 구성하는 로울러(53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방향 치수를 갖고 있다.
브레이드(561)는 그 기초단말부가 현상하우징(51)을 구성하는 저면벽(5l1)의 감광체유닛(40)측 개방단말에 설치된 브레이드부착부(511a)에 장착된다.
즉, 브레이드(561)의 기초단말부는 브레이드부착부(51la)와 누름판(562)에 의해 끼워갖게 되고 나사(563)에 의해 고정된다.
브레이드(561)의 선단부는 굴곡형성되어 있고 이 굴곡부가 현상제규제영역(534)에 있어서 현상로울러(53)를 구성하는 로울러(532)의 원주표면에 압축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하우징(51)에는 개방된 상부를 덮는 뚜껑(57)이 장착되어 있다.
뚜껑(57)은 합성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현상하우징(51)을 구성하는 전면측벽 및 후면측벽(512)과 좌측면벽(513)및 연결부재(517)의 상면에 접착제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이 뚜껑(57)의 내면에는 상기한 보급로울러(54)와 대향하는 위치에 전후방향(도 2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인방향)으로 뻗어서 현상실(515)측으로 돌출하는 규제부(57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규제부(571)의 하단과 상기한 보급로울러(54)를 구성하는 로울러(542)의 외부원주면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현상하우징(5l)을 구성하는 연결부재(517)에는 시이트상 밀봉부재(58)가 장착되어 있다.
이 시이트상밀봉부재(58)는 예를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P)수지등의 가요탄성을 갖는 시이트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현상로울러(53)를 구성하는 로울러(532)의 축방향길이와 대략 동일길이를 갖고 있다.
시이트상밀봉부재(58)는 그 일단부가 연결부재(517)에 접착제등의 고착수단에 의해 고착되어 있고 그 타단부가 만곡되어서 현상로울러(53)를 구성하는 로울러(532)의 원주표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시이트상밀봉부재(58)는 상기한 현상제규제수단(56)의 브레이드(561)와 함께 현상하우징(5l)의 감광체유닛(40)측 개방구로부터의 현상제의 비산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프로세스유닛(4)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하우징(20)의 하우징 본체에 배치된 기체프레임(3)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기체프레임(3)에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기체하우징(20)의 하우징 본체(21)에는 프로세스유닛(4)의 전사지반송방향하류측(도 1에 있어서 우측)에 정착유닛(60)이 배치되어 있다.
정착유닛(60)은 하우징 본체(21)의 전후방향(도 1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인방향)에 프로세스유닛(4)과 평행으로 배치된 정착하우징(60l)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정착하우징(601)은 프로세스유닛(4)측(전사지반송방향 상류측)에 전사지도입개방구(60la)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전사지반송방향 하류측에 전사지배출개방구(601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정착하우징(601)의 감광체유닛(40)과 대향하는 측면의 양단말부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광체지지수단(41)을 구성하는 한쌍의 측면벽부재(411)에 각각 설치된 피안내부(411a)와 대응하는 대략 수직으로 형성된 안내부(601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정착하우징(601)의 상면에는 정착하우징내의 정착시의 여분열을 방출시키는 복수개의 개방구(601d)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정착하우징(601)내에는 전사지도입개방구(601a)에 대향해서 정착수단을 구성하는 정착로울러(602)가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전사지배출개방구 (601b)에 대향해서 배출로울러(60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정착로울러(602), 및 배출로울러(603)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도 1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전사하우징(601)내에는 정착로울러(602)와 배출로울러(603)의 사이에 전사지안내판(604)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전사유닛(60)의 전사지반송방향하류측에는 용지배출접시(61)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프로세스유닛(4)을 착탈 자유롭게 장착시키는 기체프레임(3)에 대해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기체프레임(3)은 프로세스유닛(4)을 배치하는 위치에 있어서 기체하우징(20)의 하우징본체(21)에 배치되어 있다.
기체프레임(3)은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면벽(31)과 앞쪽측면벽(32)및 안쪽측면벽(33)을 구비하고 있다.
기체프레임(3)의 앞쪽측면벽(32)에는 감광체드럼(42)의 지지축(42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한쪽의 축지지부(34)가 설치되어 있고 안쪽측면벽(33)에는 지지축(42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다른 쪽의 축지지부(35)가 설치되어 있다.
기체프레임(3)의 앞쪽측면벽(32)에 설치된 한쪽의 축지지부(34)는 위쪽으로 향해서 확대되어 형성되어 위쪽이 개방된 안내홈부(341)와 그 안내홈부(341)의 하단에 접속해서 형성되고 지지축(420)의 직경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끼워맞춤홈부(342)를 구비하고 있다.
안내홈부(341)를 구성하는 외측벽에는 상단으로부터 안쪽으로 향해서 경사진 안내면(341a)이 형성되고 있다.
상기한 끼워맞춤홈부(342)에는 용수철강판 또는 스테인레스강판등의 도전성판재를 굴곡형성한 압압부재(34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압압부재(343)는 감광체드럼(42)의 접지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고 금속판(344)을 거쳐서 앞쪽측면벽(32)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금속판(344)은 그 하단이 기체프레임(3)을 구성하는 저면벽(31)에 장착된 금속판으로 된 프레임베이스(345)에 접속되어 있고 따라서 감광체드럼(42)은 도전성의 합성수지로 된 피구동기어(44)및 플랜지(45), 금속봉재로 된 지지축(420), 압압부재(343), 금속판(344)을 거쳐서 프레임베이스(345)에 본체가 접지된다.
기체프레임(3)의 안쪽측면벽(33)에 설치된 다른쪽의 축지지부(35)는 앞쪽측면벽(32)에 설치된 한쪽의 축지지부(34)와 대향해서 설치되어 있고 축지지부(34)와 마찬가지로 위쪽으로 향해서 확대되어 형성되고 위쪽이 개방된 안내홈부(351)와 그 안내홈부(351)의 하단에 접속해서 형성되고 지지축(420)의 직경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끼워맞춤홈부(35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안내홈부(351)를 구성하는 외측벽에는 상단으로부터 안쪽으로 향해서 경사진 안내면(351a)이 형성되어 있고 또 끼워맞춤홈부(352)를 구성하는 외측벽에는 안내면(351a)의 하단으로부터 연속해서 형성되어 축맞닿는부(352a)로서 기능한다.
기체프레임(3)의 앞쪽측면벽(32)에는 축지지부(34)및 (35)에 감광체드럼(42)의 지지축(420)이 장착된때 감광체드럼(42)의 일단에 장착된 피구동기어(70)와 맞물려 걸어맞추어지는 구동기어(36)가 배치되어 있다.
또, 기체프레임(3)의 앞쪽측면벽(32)에는 현상로울러(53)의 회전축(531)에 장착된 피구동기어(501)와 맞물려 걸어맞추어지는 구동기어(3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기어(36)및 구동기어(37)는 나선기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구동기어(36)및 구동기어(37)는 도시하지 않은 전동기의 구동력에 의해 적절히 기어전동기구를 거쳐서 각각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체프레임(3)에는 프로세스유닛(4)이 다음과 같이 장착된다.
즉, 프린터(2)의 기체하우징(20)을 구성하는 커버(23)를 축(22)주위에 도 1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므로써 기체하우징(20)을 구성하는 하우징본체(21)의 위쪽이 개방되고 기체프레임(3)이 노출된다.
이어서 프로세스유닛(4)을 위쪽으로부터 기체프레임(3)에 장착시킨다.
이때, 우선 감광체유닛(40)의 감광체지지수단(41)을 구성하는 한쌍의 측면벽부재(411)에 각각 설치된 피안내부(41la)를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착유닛(60)을 구성하는 정착하우징(601)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안내부(601c)에 맞닿게 한다.
이와같이 피안내부(41la)를 안내부(601c)에 맞닿게한 상태에서 감광체드럼(42)의 지지축(420)의 양단부가 기체프레임(3)을 구성하는 앞쪽측면벽(32)및 안쪽측면벽(33)에 각각 설치된 축지지부(34)및 축지지부(35)를 구성하는 안내홈부(341)및 (35 1)의 상부에 위치지어진다.
그리고, 프로세스유닛(4)을 내려가면 중간위치까지 이동한 곳에서 피안내부(411a)와 안내부(601c)와 맞닿음(안내)이 벗겨져서 감광체드럼(42)의 지지축(43)의 양단부가 축지지부(34)및 (35)의 안내홈부(341)및 (351)에 안내되어서 끼워맞춤홈부(342)및 (352)에 끼워맞추어진다.
이와같이 프로세스유닛(4)은 피안내부(41la)와 지지축(43)의 양단부가 안내부(601c)와 안내홈부(341), (351) 및 끼워맞춤홈부(342)에 안내되어서 소정의 장착위치에 장착된다.
따라서,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감광체지지수단(41)을 구성하는 한 쌍의 측면벽부재(411)에 각각 설치된 피안내부(411a)가 제1의 피안내부로서 기능하고 정착하우징(601)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안내부(601c)가 제1의 안내부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감광체드럼(42)의 지지축(43)의 양단부가 제2의 피안내부로서 기능하고 기체프레임(3)에 설치된 축지지부 (34), (35)를 구성하는 안내홈부(341), (351)및 끼워맞춤홈부(342), (352)가 제2의 안내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해서 프로세스유닛(4)이 기체프레임(3)의 소정의 장착위치에 위치지어진때 감광체드럼(42)의 일단에 장착된 피구동기어(70)가 구동기어(36)와 맞물려 걸어맞추어짐과 동시에 현상로울러(53)의 회전축(531)에 장착된 피구동기어(501)가 구동기어(37)와 맞물려 걸어맞추어진다.
그리고, 감광체드럼(42)의 지지축(421)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일단이 압압부재(343)에 맞닿아서 좌측으로 압압되고 그 타단이 축닿는부(352a)에 맞닿는 상태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지지축(421)에 소정위치에서 축방향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감광체드럼(42)은 기체프레임(3)의 소정위치에 확실히 장착된다.
이 때문에 지지축(421)에 감광체드럼(42)과 소정의 위치관계로 조립된 감광체지지수단(41)도 기체프레임(3)의 소정의 장착위치에 확실히 위치지어진다.
또한, 기체프레임(3)에는 감광체드럼(42)이 소정위치로 위치지어진 상태에서 프로세스유닛(4)을 소정의 위치에 탑재시키는 위치결정수단(도시생략)이 설치되어 있고 위치결정수단에 의해 프로세스유닛(4)을 기체프레임(3)의 소정위치에 장착시킨다.
이와같이해서 프로세스유닛(4)을 위쪽으로부터 기체프레임(3)에 장착시키는데 있어서, 우선 감광체유닛의 감광체지지수단(41)을 구성하는 한쌍의 측면벽부재(411)에 각각 설치된 피안내부(41la)를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착유닛(60)을 구성하는 정착하우징(601)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안내부(601c)에 맞닿게 하므로서 감광체드림(42)의 지지축(420)의 양단부가 기체프레임(3)을 구성하는 앞쪽측면벽(32)및 안쪽측면벽(33)에 각각 설치된 축지지부(34) 및 축지지부(35)를 구성하는 안내홈부(341)및 (351)에 위치지어지기 때문에 그후 프로세스유닛(4)을 내리므로서 지지축(43)의 양단부가 축지지부(34) 및 (35)의 안내홈부(341) 및 (351)에 안내되어서 끼워맞춤홈부(342), 및 (352)에 확실히 끼워맞출 수가 있다.
따라서, 감광체유닛(40)과 정착유닛(60)이 접근한 위치에 배치된 것에 있어서도 프로세스유닛(4)를 위쪽으로부터 기체프레임(3)상에 내리는 때에 감광체유닛(40)이 정착유닛(60)에 간섭하는 일이 없이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해서 프로세스유닛(4)을 기체프레임(3)에 장착하면 커버(23)를 축(22) 주위에 도 1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므로서 그 위쪽이 폐색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2)의 기체하우징(20)을 구성하는 하우징본체(21)에 배치돤 기체프레임(3)의 저면벽(31)상에는 레이저유닛(63)이 배치되어 있다.
이 레이저유닛(63)은 프린터(2)에 접속된 예를 들면 워드프로세서로부터의 인자데이터에 대응하는 레이저광을 프로세스유닛(4)의 정전잠상형성영역(423)에 있어서 감광체드럼(42)의 감광층에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또, 프린터(2)의 기체하우징(20)을 구성하는 커버(23)에는 도 1에 있어서 좌측상부에 전사용지를 탑재시키는 용지공급접시(6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용지공급접시(64)의 하류측에 용지공급로울러(65)가 배치되어 있고 용지공급로울러(65)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도 1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이 용지공급로울러(65)에 대향해서 용지분리용의 마찰패드(66)가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한 전사영역(425)에 있어서 감광체드럼(42)과 대향해서 비접촉식의 전사로울러(6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전사로울러(67)는 도시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전성의 발포우레탄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커버(23)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전사로울러(67)는 그 양단부에 전사로울러(67)보다 큰 외경을 갖는 합성수지등의 절연재료로 된 도시하지 않은 칼라가 각각 장착되고 그 칼라가 감광체드럼(42)의 원주표면에 접촉해서 배치되어 있고 따라서 전사로울러(67)는 감광체그럼(42)의 회전에 수반하여 활강하면서 따라 작동한다.
또한, 전사로울러(67)의 원주표면과 감광체드럼(42)의 원주표면과의 간격은 0.5mm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전사로울러(67)에는 예를들면 10μA의 정전류가 인가된다. 또 커버(23)에는 전사전안내판(45)의 다른 쪽을 구성하는 상측안내판(452)이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2)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다음에 그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워드프로세서등으로부터의 인자지령에 기초하여 상기한 각부재가 작동을 개시하여 대전용코로나방전기(431)에 의해 감광체드럼(42)의 표면감광층이 특정극성으로 실질상 균일하게 대전된다.
다음에 대전된 감광체드럼(42)의 감광층의 표면에 레이저유닛(63)으로부터 워드프로세서등으로부터의 인자데이터에 대응하는 레이저광이 조사되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와같이 해서 감광체드럼(42)의 감광층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유닛(50)에 의한 현상작용에 의해 토너상으로 현상된다.
또한, 현상유닛(50)의 현상작용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다른 한편, 용지공급접시(64)에 탑재된 전사지는 용지공급로울러(65)와 마찰패드(66)의 작용에 의해 1매씩 공급된다.
그리고, 전사지는 전사전안내판(45)에 안내되어 감광체드럼(42)과 전사로울러(67)의 사이로 반송되고 그 표면에 감광체드럼(42)에 형성된 토너상이 전사된다.
토너상이 전사된 전사지는 전사후안내판(46)에 안내되어서 정착유닛(60)의 정착하우징(601)에 설치된 전사지도입개방구(60la)로부터 정착하우징(601)내로 도입되어 정착로울러(602)로 반송된다.
그리고, 정착로울러(602)의 작용에 의해 토너상이 가열정착된 전사지는 배출로울러(603)에 의해 전사지배출개방구(60lb)로부터 용지배출접시(61)상으로 배출된다.
한편, 전사영역(425)를 통과한 감광체드럼(42)의 원주표면은 상기한 이물회수브러시(44)를 통과하는 때에 그 원주표면에 부착하고 있는 종이분말 등의 이물이 이물회수브러시(44)에 의해 제거된다.
이때, 종이분말 등의 이물과 함께 감광체드럼(42)의 원주표면에 부착하고 있는 잔류토너도 제거된다.
이 제거된 잔류토너가 이물회수브러시(44)에 확실히 포착되지 않고 낙하하는 경우가 있다.
이 낙하한 토너가 상기한 대전용코로나방전기(431)상에 퇴적되면 대전불균일의 원인이 되지만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토너침입방지벽(47)에 의해 낙하토너의 상기한 대전용코로나방전기(431)측으로의 침입이 방지된다.
다음에 현상유닛(50)의 현상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현상유닛(50)의 작동개시에 의해 현상로울러(53), 보급로울러(54) 및 교반수단(55)이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각각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교반수단을 구성하는 교반부재(552)및 교반시이트부재(553)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므로서 교반실(514)에 수용된 현상제는 교반되면서 간막이벽(516)을 타고 넘어서 보급로울러(54)의 위쪽으로부터 현상실(515)내로 공급된다.
또한, 이때 뚜껑(57)의 내면에 형성된 규제부(571)에 의해 현상실(515)내에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이 과다하게 되지 않도록 제한된다.
이와같이 교반수단(55)에 의해 공급된 현상제는 보급로울러(54)의 로울러(542)상에 올라타서 현상로울러(53)의 로울러(532)의 현상제유지영역(533)인 닙(nip)부에 반송된다.
또한, 보급로울러(54)와 현상로울러(53)는 상기와 같이 닙부인 현상제유지영역(533)에 있어서 다같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보급로울러(54)로부터 현상로울러(53)에의 현상제의 공급이 충분히 행해지고 현상제부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보급로울러(54)와 현상로울러(53)은 상기와 같이 닙부인 현상제유지영역(533)에 있어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큰 구동력을 필요로 하는 일이 없이 확실히 구동시킬 수가 있다.
상술한바와같이 해서 보급로울러(54)와 현상로울러(53)의 닙부인 현상제유지영역(533)에 반송된 현상제는 현상로울러(53)를 구성하는 로울러(532)의 원주표면에 유지되어서 현상제규제영역(534)으로 향해서 반송된다.
이때, 보급로울러(54)와 현상로울러(53)가 상기와 같이 닙부인 현상제유지영역(533)에 있어서 다같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현상제는 양자의 닙부를 통해서 현상로울러(53)에 유지되어서 현상제규제영역(534)및 현상영역(424)에 반송되므로 닙부를 통과하는 때에 상호 마찰되어서 충분히 대전되고 따라서 소위 흐림의 발생이 방지된다.
현상제규제영역(534)에 있어서는 현상제규제수단(56)의 브레이드(561)가 현상로울러(53)의 로울러(532)의 원주표면에 유지되어 있는 현상제에 작용해서 로울러(532)의 원주표면에 유지되는 현상제를 소요량으로 규제해서 박층을 형성시킨다.
또한, 현상제규제영역(534)에 있어서 현상제규제수단(56)의 브레이드(561)에 의해 규제되고 현상하우징(51)의 저면벽(511)상에 긁혀떨어진 현상제는 보급로울러(54)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체류하는 일이 없이 간막이벽(516)의 안내면(516b)에 따라 반송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현상제유지영역(533)에 있어서 현상로울러(53)를 구성하는 로울러(532)의 원주표면에 유지되고 현상제규제영역(534)에 있어서 현상제규제수단(56)의 브레이드(561)의 작용에 의해 박층으로 형성된 현상제는 화살표방향의 회전에 수반하여 현상영역(424)으로 반송된다.
현상영역(424)에 있어서는 감광체드럼(42)의 원주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정전감광체상의 정전잠상에 현상제가 시행되어서 징전잠상이 토너상으로 현상된다.
예를 들면, 정전잠상은 +600V정도로 대전된 비화상영역과 +120V정도로 대전된 화상영역을 갖고 화상영역에 현상제로서의 토너가 부착된다(소위, 반전현상).
감광체드럼(42)과 현상로울러(53)는 도 2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따라서 현상영역(535)에 있어서 감광체드럼(42)의 원주표면과 현상로울러(53)를 구성하는 로울러(532)의 원주표면과는 다같이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동일방향으로 이동시켜진다.
로울러(532)의 원주속도V2와 감광체드럼(42)의 원주속도 V1와는 1.2V1V22.5V1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형상로울러(53)의 로울러(532)에 의해 현상영역(535)에 충분한 현상제가 반송됨과 동시에 감광체드럼(42)의 원주표면에 대한 로울러(532)의 원주표면의 마찰작용에 의해 정전잠상의 비화상부에 일단 부착한 현상제가 적절히 박리되고, 따라서 적절한 현상농도를 갖고 또한 흐림이 없는 양호한 토너상을 얻을수가 있다.
다른 한편, 현상로울러(53)를 구성하는 로울러(532)의 원주표면에 유지되어서 상기한 현상영역(535)을 통과한 사용후의 현상제가 현상로울러(53)와 보급로울러(54)의 닙부에서 보급로울러(54)의 표면으로 이송된다.
또한, 보급로울러(54)의 원주속도는 현상로울러의 원주속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닙부에서 현상제를 이동시키기 위해 현상영역(535)을 통과하는 때에 현상로울러(53)에 부착하고 있는 불전사현상제의 부착력을 약화시켜 이것을 회수할 수 있고 따라서 현상로울러(53)에 부착하고 있는 불전사현상제에 의해 생기는 소위 고우스트(ghost)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형태와 같이 감광체드럼(42)과 현상로울러(53)가 압축접촉한 상태로 작동되고 감광체드럼(42)의 원주속도 V1이 현상로울러(53)의 원주속도 V2보다 적은 경우에는 감광체드럼(42)과 현상로울러(53)의 구동에 있어서는 감광체드럼(42)이 제동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감광체드럼(42)에 장착된 피구동기어 (70)와 현상로울러(53)의 회전축(531)에 장착된 피구동기어(501)의 나선상, 이의 방향은 다같이 구동시에 생기는 추력이 안쪽으로 향해서 작용하는 것과 같은 경사방향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프린터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기초해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정전복사기에 적용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일탈하는 일이 없어 각종 변형 혹은 수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기 및 화상형성기의 감광체유닛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의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감광체유닛에 설치된 피안내부를 정착유닛에 설치된 안내부에 맞닿게 하므로서 감광체드럼의 지지축의 양단부가 기체프레임에 설치된 축지지부의 상부에 위치지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감광체유닛을 위쪽으로부터 기체프레임에 장착시키는데 있어서는 우선, 감광체유닛에 설치된 피안내부를 정착유닛에 설치된 안내부에 맞닿게 하므로서 감광체드럼의 지지축의 양단부가 기체프레임에 설치된 축지지부의 상부에 위치지어지기 때문에, 그후 프로세스유닛을 내리므로서 지지축의 양단부를 축지지부에 확실히 장착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감광체유닛과 정착유닛이 접근한 위치에 배치된 것에 있어서도 감광체유닛을 위쪽으로부터 기체프레임상에 내리는 때에 감광체유닛이 정착유닛에 간섭하는 일이 없이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가 있다.

Claims (8)

  1. 감광체드럼(42)과 그 감광체드럼(42)의 지지축(43)을 지지하는 감광체지지수단(41)을 구비한 감광체유닛(40)을 기체프레임(3)에 위쪽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감광체유닛(40)의 전사지 반송방향 하류측에 정착유닛(60)을 배치한 화상형성기에 있어서, 기체프레임(3)에는 감광체드림(42)의 지지축(43)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축지지부(34)(35)가 설치되어 있고, 감광체지지수단(41)에는 정착유닛(60)과 대향하는 하부에 피안내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정착유닛(60)에는 감광체유닛(40)과 대향하는 측면에 피안내부를 안내하는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고, 감광체유닛(40)의 감광체지지수단(41)에 설치된 피안내부를 정착유닛(60)에 설치된 안내부에 맞닿게하면 감광체드림(42)의 지지축(43)의 양단부가 기체프레임(3)에 설치된 축지지부(34)(35)의 상부에 위치지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
  2. 제1항에 있어서, 기체프레임(3)에 설치된 축지지부(34)(35)는 위쪽으로 향해서 확대되도록 형성되고 위쪽이 개방된 안내홈부(341)(351)와, 그 안내홈부(341)(351)의 하단에 접속해서 형성되고 지지축(43)의 직경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끼워맞춤홈부(342)(352)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
  3. 제1항에 있어서, 감광체지지수단(41)은 감광체드럼(42)의 지지축(43)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한쌍의 측면벽부재(411)를 구비하고 그 한쌍의 측면벽부재(411)에 정착유닛과 대향하는 단면의 하부에 피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
  4. 감광체드럼(42)과 그 감광체드럼(42)을 지지하는 감광체지지수단(41)을 구비한 감광체유닛(40)을 기체프레임(3)에 위쪽으로부더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감광체유닛(40)의 전사지 반송방향 하류측에 정착유닛(60)을 배치한 화상형성기에 있어서, 감광체지지수단(41)에는 정착유닛(60)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1의 피안내부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기체프레임(3)의 소정의 벽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2의 피안내부가 설치되어 있고, 정착유닛(60)에는 감광체유닛(40)과 대향하는 측면에 제1의 피안내부를 안내하는 제1의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기체프레임(3)에는 소정의 벽면에 제2의 피안내부를 안내하는 제2안내부가 설치되어 있고, 감광체유닛(40)에는 제1의 피안내부와 제2의 피안내부가 제1의 안내부와 제2의 안내부에 각각 안내되어서 기체프레임(3)에 대해 착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
  5. 제4항에 있어서, 제1의 피안내부와 제2의 피안내부 및 제1의 안내부와 제2의 안내부는, 제1의 피안내부를 제1의 안내부에 맞닿게 하면 제2의 피안내부가 제2의 안내부의 상부에 위치지어지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
  6. 제5항에 있어서, 감광체유닛(40)은 제1의 피안내부가 제1의 안내부에 안내되어서 중간위치까지 이동하고, 그 후 제2의 피안내부가 제2의 안내부에 안내되어서 장착위치에 위치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
  7. 감광체드럼(42)과 그 감광체드럼(42)의 지지축(43)을 지지하는 감광체지지수단(41)을 구비하고, 정착유닛(60)을 배치한 기체하우징(20)에 장착된 기체프레임(3)에 위쪽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화상형성기의 감광체유닛(40)으로서, 감광체지지수단(41)에는 정착유닛(60)과 대향하는 하부에 피안내부가 설치되어 있고, 감광체유닛(40)의 감광체지지수단(41)에 설치된 피안내부를 정착유닛(60)에 설치된 안내부에 맞닿게 하면 감광체드럼(42)의 지지축(43)의 양단부가 기제프레임(3)에 설치된 축지지부(34)(35)의 상부에 위치지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감광체유닛.
  8. 감광체드럼(42)과 그 감광체드림(42)을 지지하는 감광체지지수단(41)을 구비하고, 정착유닛(60)을 배치한 기체하우징(20)에 장착된 기체프레임(3)에 위쪽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안 화상형성기의 감광체유닛(40)으로서, 감광체지지수단(41)에는 정착유닛(60)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1의 피안내부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기체프레임(3)의 소정의 벽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제2의 피안내부가 설치되어 있고, 제1의 피안내부와 제2의 피안내부가 정착유닛(60)에 설치된 제1의 안내부와 기체프레임(3)에 설치된 제2의 안내부에 각각 안내되어서 기체프레임(3)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감광체유닛.
KR1019970040410A 1996-08-23 1997-08-23 화상형성기 및 그 화성형성기에 적용되는 감광체유닛 (image-forming machine and photosensitive material unit adapted thereto) KR199800189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204996A JP3377376B2 (ja) 1996-08-23 1996-08-23 画像形成機
JP96-222049 1996-08-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947A true KR19980018947A (ko) 1998-06-05

Family

ID=1677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410A KR19980018947A (ko) 1996-08-23 1997-08-23 화상형성기 및 그 화성형성기에 적용되는 감광체유닛 (image-forming machine and photosensitive material unit adapted thereto)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377376B2 (ko)
KR (1) KR19980018947A (ko)
CN (1) CN11757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4168B2 (en) 2007-06-25 2012-08-1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movable transfer device
US10452006B2 (en) * 2017-03-01 2019-10-22 Canon Kabushiki Kaisha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restore a guiding member from a retracted position to a guiding position when a cover clos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4451A (ja) * 1991-03-01 1992-09-3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4310966A (ja) * 1991-04-10 1992-11-02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3278198B2 (ja) * 1991-06-28 2002-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着脱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H07261632A (ja) * 1994-03-25 1995-10-13 Tec Corp 印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5717A (zh) 1998-03-11
JP3377376B2 (ja) 2003-02-17
JPH1063167A (ja) 199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67036B2 (ja) プロセスユニット
JP3348370B2 (ja) 画像形成機のプロセスユニット
JP3348371B2 (ja) プロセスユニット
KR19980018905A (ko) 화상형성기 및 거기에 적용되는 프로세스유닛(image-forming machine and process unit adapted thereto)
JP3278819B2 (ja) 静電潜像現像装置
KR19980018947A (ko) 화상형성기 및 그 화성형성기에 적용되는 감광체유닛 (image-forming machine and photosensitive material unit adapted thereto)
JP3292978B2 (ja) 画像形成機
JP3521683B2 (ja) 画像形成機
JP3437161B2 (ja) 現像ローラ、およびこの現像ローラを備えた現像装置
KR980010658A (ko) 화상 형성 장치
JP3465177B2 (ja) 画像形成機およびそれに適用するプロセスユニット
JP3355472B2 (ja) 画像形成機のプロセスユニット
EP0810490A1 (en) Latent electrostatic image developing device in image forming machine
JP3336560B2 (ja) 静電潜像現像装置
JP3314264B2 (ja) 画像形成機
JP3470310B2 (ja) 画像形成機および画像形成機のプロセスユニット
JP3470308B2 (ja) 画像形成機のプロセスユニット
JP3385550B2 (ja) 画像形成機のプロセスユニット
JPH10149017A (ja) 静電潜像現像装置
JPH07333969A (ja)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JPH10213962A (ja) 静電潜像現像装置
JPH109099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95495A (ja) 画像形成機
JPH09160382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6195494A (ja) 画像形成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