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7152U - 자동차 고정용 후크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고정용 후크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7152U
KR19980017152U KR2019960030520U KR19960030520U KR19980017152U KR 19980017152 U KR19980017152 U KR 19980017152U KR 2019960030520 U KR2019960030520 U KR 2019960030520U KR 19960030520 U KR19960030520 U KR 19960030520U KR 19980017152 U KR19980017152 U KR 199800171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frame
vehicle
fix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30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7152U/ko
Publication of KR199800171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152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4Hook or hook-and-hasp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고정용 후크(hook)에 관한 것으로서, 중량이 저감되도록 하고 제작과 조립공정이 간소화되도록 하기 위해, 차량의 플로어판넬(10) 저면에 상부가 개구되는 프레임(20)이 취부되고, 상기 프레임의 끝부분에 후부 현가장치의 트레일링크브라켓(30)이 볼트들에 의해 취부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링크브라켓이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저면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기 만곡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각 돌출부에 구멍에 의한 고리가 형성되어 고정후크 기능이 부가되도록 하는 자동차 고정용 후크의 구조이다.

Description

자동차 고정용 후크의 구조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제작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곳으로 차량을 운송시 운반차량이나 화물선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 끝에 고정용후크가 취부되는데, 종래 자동차의 고정용후크와 프레임의 취부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차량의 플로어판넬(10) 저면에 소정폭을 두고 양측이 상부로 절곡 연장되어 상부가 개구되는 프레임(20)이 취부되고, 프레임(20)의 끝단부에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장공을 통해 고정후크(22)의 상단부가 프레임(20) 내측에 취부되는 보강브라켓(21)에 의해 고정되며, 고정후크(22)의 후부쪽 프레임(20) 저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트레일링크브라켓(23)이 볼트들에 의해 취부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 자동차의 고정용후크와 프레임의 취부구조는, 고정용후크(22)를 취부하기 위해 끝단부에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에 연통되도록 구멍이 형성되는 보강브라켓(21)을 프레임(20)의 끝단부 내측에 부착하여 강성을 보강하며, 상기 장공및 보강브라켓(21)의 구멍을 통해 고정후크(22)의 상단부를 끼운 다음 용접에 의해 프레임(20)에 부착한다. 또한, 고정용후크(22)는 구멍에 연결끈 등을 연결시켜 다른 차량을 견인하거나 다른 차에 견인되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의 고정용후크와 프레임의 취부구조는, 고정후크를 고정하기 위해 프레임에 장공을 형성하고 보강브라켓을 취부하기 때문에 제조와 조립공정이 길어지게 되고, 중량이 증가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프레임 끝단부에 취부되는 틀레일링크브라켓의 구조를 개선하여 고정후크의 기능을 병행하도록 하므로, 중량이 저감되도록 하고 제작과 조립공정이 간소화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 자동차의 고정용 후크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 는 종래 자동차 고정용 후크의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 은 종래 자동차 고정용 후크의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 자동차 고정용 후크의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자동차 고정용 후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플로어판넬20 : 프레임
30 : 트레일링크브라켓
먼저, 본 고안도 도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의 플로어판넬(10) 저면에 소정폭을 두고 양측이 상부로 절곡 연장되어 상부가 개구되는 프레임(20)이 취부되고, 프레임(20)의 끝부분에 후부 현가장치의 차체 결합부인 트레일링크브라켓(30)이 볼트들에 의해 취부된다.
단, 본 고안은 트레일링크브라켓(30)이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부면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양측 코너부에 나사체결구멍들이 형성되고, 저면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기 만곡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각 돌출부에 구멍에 의한 고리가 형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트레일링크브라켓(30)의 일단 돌출부의 고리가 고정후크 기능을 수행하고, 타단 돌출부의 고리가 본래 트레일링크브라켓(30)의 가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일단부 돌출부의 고리를 통해 고정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타단부 돌출부의 고리를 통해 후부 현가장치가 설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후부 현가장치의 설치를 위해 통례적으로 두께가 두껍고 강성이 우수하게 형성되는 트레일링크브라켓(30)에 고정후크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별도의 브라켓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볼트들에 의해 프레임(20)에 직접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고안은, 고정후크의 구조가 간소화되어 중량이 저감되고, 제작 및 조립공수가 단축되어 비용이 저감되도록 하며, 고정후크의 강성이 높아 작업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고정용 후크(hook)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임(frame)에 취부되는 트레일링크브라켓의 구조를 개선하여 고정후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므로,중량이 저감되도록 하고 제작과 조립공정이 간소화되도록 하며 고정후크의 강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Claims (1)

  1. 차량의 플로어판넬(10) 저면에 상부가 개구되는 프레임(20)이 취부되고, 상기 프레임의 끝부분에 후부 현가장치의 트레일링크브라켓(30)이 볼트들에 의해 취부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링크브라켓이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저면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기 만곡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각 돌출부에 구멍에 의한 고리가 형성되어 견인후크 기능이 부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고정용후크의 구조.
KR2019960030520U 1996-09-23 1996-09-23 자동차 고정용 후크의 구조 KR1998001715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520U KR19980017152U (ko) 1996-09-23 1996-09-23 자동차 고정용 후크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520U KR19980017152U (ko) 1996-09-23 1996-09-23 자동차 고정용 후크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152U true KR19980017152U (ko) 1998-07-06

Family

ID=53976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520U KR19980017152U (ko) 1996-09-23 1996-09-23 자동차 고정용 후크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715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0025A (en) Automobile rear body structure
US5031958A (en) Front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US5127666A (en) Vehicle rear suspension mounting structure
JPS5911971A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KR19980017152U (ko) 자동차 고정용 후크의 구조
KR0119414Y1 (ko) 자동차의 견인고리 장착구조
KR0124920Y1 (ko) 자동차의 쉽핑 구조물
JPH1129063A (ja) 自動車のリヤフレーム構造
KR960010528B1 (ko) 차량의 앞부분 차체구조
JPH0125682Y2 (ko)
JP3948829B2 (ja) 自動車用フロントグリル取付構造
KR950003033Y1 (ko) 자동차의 전면패널과 펜더에이프런(fenderapron)의 결합구조
KR100335194B1 (ko) 자동차용 타이다운후크의 보강구조
KR0134674Y1 (ko) 자동차용 타이다운훅의 장착구조
KR100258620B1 (ko) 프런트 범퍼 취부 구조
JPH065964Y2 (ja) 車体の後部構造
JPH0712221Y2 (ja) 車体前部構造
JP2000043525A (ja) 車両のフック取付構造
JP2565503Y2 (ja) 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の取付構造
KR0115602Y1 (ko) 자동차의 플로어판넬과 쿼터판넬의 연결구조
KR100282920B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지지부재의 결합구조
KR200146458Y1 (ko) 자동차의 램프브라켓트 보강구조
KR0159853B1 (ko) 자동차 트레일러암의 결합구조
KR200193850Y1 (ko) 4륜구동 차량용 프론트 사이드 멤버
KR890006020Y1 (ko) 자동차의 후부 차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