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7050A - 변속감 개선 및 오버 스트로크 방지용 변속 조작 기구 - Google Patents

변속감 개선 및 오버 스트로크 방지용 변속 조작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7050A
KR19980017050A KR1019960036801A KR19960036801A KR19980017050A KR 19980017050 A KR19980017050 A KR 19980017050A KR 1019960036801 A KR1019960036801 A KR 1019960036801A KR 19960036801 A KR19960036801 A KR 19960036801A KR 19980017050 A KR19980017050 A KR 19980017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ll diameter
control shaft
shifting
shift
diamet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6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헌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36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7050A/ko
Publication of KR19980017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050A/ko

Links

Landscapes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감을 개선시키고 또한 변속시의 오버 스트로크를 방지하는 변속 조작 기구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직경이 작아지는 소직경 부분을 가져 소직경 부분의 축상 방향의 양끝에서 턱이 형성되는, 상기 소직경의 축상 거리는 실렉트 거리와 같은 컨트롤 샤프트와; 상기 컨트롤 샤프트를 상기 소직경 부분이 내부에서 관통되도록 지지되며, 변속 상태가 중립에 있을 때 상기 소직경 부분의 축상 방향의 중앙 위치와 마주보는 부분에 구멍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구멍에 삽입 설치되며, 변속단이 선택되기 위하여 상기 컨트롤 샤프트가 축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턱이 걸리는 볼로 구성된 변속감 개선 및 오버 스트로크 방지용 변속 조작 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변속감 개선 및 오버 스트로크 방지용 변속 조작 기구
제 1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예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
제 2 도의 (a) 도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변속 조작기구가 중립 위치에 놓였을 때의 작동 상태를 보이는 도면;
제 2 도의 (b) 도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변속단이 선택된 경우의 작동 상태를 보이는 도면;
제 3 도의 (a) 도는 변속 조작 기구를 보이는 도면; 그리고
제 3 도의 (b) 도는 선행 기술을 보이는 분해도.
본 발명은 변속감을 개선시키고 또한 변속시의 오버 스트로크(over stroke)를 방지하는 변속 조작 기구에 대한 것이다.
제 3 도는 종래의 변속기구를 보이고 있다. 먼저 제 3 도의 (a) 도면에 대해서 설명을 하면, 참조 부호(1)은 컨트롤 샤프트를 나타낸다. 컨트롤 샤프트(1)에는 컨트롤 핑거(2)가 설치되며, 컨트롤 샤프트(1)는 클러치 하우징(3)에 의하여 도면에서와 같이 지지된다. 변속단의 선택에 따라 컨트롤 샤프트(1)는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컨트롤 핑거(2)는 쉬프트 레일(4)의 일 러그(5, 6, 7)를 선택한다. 이 상황에서, 변속이 이루어지면 컨트롤 샤프트(1)는 회전을 이루어 컨트롤 핑거(2)가 선택된 러그를 그 러그의 쉬프트 레일(4)의 길이 방향으로 밀어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 3 도의 (b)도는 컨트롤 샤프트(1)가 클러치 하우징에 결합되는 방식을 보이는 분해도이다. 도면에서 보인 것과 같이 컨트롤 샤프트(1)는 니들 롤러 베어링(needle roller bearing)(8)을 관통하여 클러치 하우징에 결합된다.
본 발명은 변속기구에 있어서, 변속감을 개선하고 또한 변속시의 오버 스트로크를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니들 롤러 베어링(8)을 이용하여 컨트롤 샤프트(1)를 클러치 하우징(3)에 결합시키는 대신에, 상기 컨트롤 샤프트(1)의 상기 하우징 결합 부분에서 소직경의 부분을 형성시키고, 이 부분을 수용하는 하우징(3)의 부분에 볼을 설치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서 컨트롤 샤프트(1)는 볼지지가 이루어지고, 따라서, 변속시 생기는 마찰을 감소 시켜 변속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의 소직경 부분의 길이를 컨트롤 샤프트의 실렉트 거리와 같게하고, 상기 컨트롤 샤프트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소직경 부분의 축상 방향의 중앙 위치에 대응 되도록 상기 볼을 하우징(3)에 설치하는데 있다. 그러므로서, 컨트롤 샤프트(1)가 축상 이동을 하는 실렉트시(또는 변속 선택시) 오버 스트로크(over stroke)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볼이 상기 소직경 부분에 의하여 형성된 턱에 걸림으로서 오버 스트로크는 방지된다.
이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예를 보이기로 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컨트롤 샤프트(10)에는 소직경 부분(100)이 형성되어 있고, 그 소직경 부분(100)의 길이 d는 실렉트 거리와 같게 형성된다. 여기서 실렉트 거리라 함은 컨트롤 샤프트가 변속단의 선택을 위하여 이동되는 축상 방향의 전 이동 거리를 말한다. 예를 들어 제3 도의 (a)도에서 러그(7)로부터 러그(5)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상기 컨트롤 샤프트(10)를 지지하는 하우징(30)은 상기 소직경 부분(100)을 수용하며, 하우징(30)의 원주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멍(3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35)에 볼(40)이 삽입되어, 상기 볼(40)이 컨트롤 샤프트(10)의 소직경 부분(100)을 지지한다.
상기 볼(40)에는 도면에서 보인 것과 같이, 스프링(41)과 같은 탄성체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서 컨트롤 샤프트(10)의 유동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의 상측에는 케이싱(50)이 덮이며, 이는 볼트(60)와 같은 체결 수단을 이용한다.
이때, 상기 구멍(35)의 위치는, 따라서 상기 볼(40)의 위치는 상기 컨트롤 샤프트(10)가 중립 위치에 놓일 때 상기 소 직경 부분(100)의 중앙에 놓여야 한다. 이는 소직경 부분에 의하여 형성되는 턱(11, 12)이 변속 선택시 상기 볼에 걸려 오버 스트로크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는 제 2 도에서 명백해진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 샤프트(10)는 상기 하우징(30)내에 볼(40)에 의하여 지지되어 접촉점이 감소한다. 그러므로 변속감이 개선된다.
제 2 도는 제 1 도에서 보인 실시예의 작동 상태도이다.
(a) 도는 변속 레버가 중립 위치에 놓인 상태를 보인다. 컨트롤 샤프트(10)는 하우징(30)내부에서 볼(4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이때 소직경부(100)의 축상 거리는 언급하였듯이 실렉트 거리와 같고 구멍(35)의 위치는 소직경부의 중앙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변속단이 선택되면(또는 실렉트가 이루어지면), 컨트롤 샤프트(10)는 축상으로 이동한다. (b) 도는 제 4 도의 (a)도를 참고로 할 때 5 단-후진 쉬프트 레일을 선택한 경우이다. 이때 턱(11)은 상기 볼(40)에 걸려서 더 이상의 이동이 불가능하다. 즉 오버 스트로크가 방지된다. 이는 그 역의 경우인 1단-2단 쉬프트 레일이 선택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변속단의 선택후, 변속(또는 쉬프트)이 행해지며, 즉 상기 컨트롤 샤프트(10)가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 이때도 볼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접촉점이 감소하고 따라서 변속감이 개선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변속시 운전자로 하여금 향상된 변속감을 느끼게 하며 또한 변속 선택시 컨트롤 샤프트의 오버 스트로크를 방지한다.

Claims (2)

  1. 축상 거리가 실렉트 거리와 같은 소직경 부분이 형성된 컨트롤 샤프트와;
    상기 컨트롤 샤프트의 소직경 부분을 수용하며, 변속 상태가 중립에 있을 때 상기 소직경 부분의 축상 방향의 중앙 위치와 마주보는 부분에 구멍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구멍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 샤프트의 소직경 부분을 지지하는 볼로 구성된 변속감 개선 및 오버 스트로크 방지용 변속 조작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을 탄지하는 탄성체를 부가하여 구성되는 변속감 개선 및 오버 스트로크 방지용 변속 조작 기구.
KR1019960036801A 1996-08-30 1996-08-30 변속감 개선 및 오버 스트로크 방지용 변속 조작 기구 KR199800170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801A KR19980017050A (ko) 1996-08-30 1996-08-30 변속감 개선 및 오버 스트로크 방지용 변속 조작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801A KR19980017050A (ko) 1996-08-30 1996-08-30 변속감 개선 및 오버 스트로크 방지용 변속 조작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050A true KR19980017050A (ko) 1998-06-05

Family

ID=66322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6801A KR19980017050A (ko) 1996-08-30 1996-08-30 변속감 개선 및 오버 스트로크 방지용 변속 조작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70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599B1 (ko) * 2001-12-24 2004-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콘트롤 샤프트 어셈블리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599B1 (ko) * 2001-12-24 2004-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콘트롤 샤프트 어셈블리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12165Y2 (ja)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US5187999A (en) Manually operable park lock releasing mechanism for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control device
EP0852307B1 (en) Shift lock units for shift lever devices
KR950011190A (ko) 자동변속 조작기구
KR19980017050A (ko) 변속감 개선 및 오버 스트로크 방지용 변속 조작 기구
IT1286289B1 (it) Dispositivo di blocco per una leva di selezione
KR100379634B1 (ko) 수동변속기의 시프트 레일 어셈블리
KR100412384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조작기구
JP2600680Y2 (ja) 自動変速機操作装置のドライブチェンジスイッチ機構
US2919600A (en) Transmission control external tube
JPS627894Y2 (ko)
KR100456540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970008500B1 (ko)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JPH06221434A (ja) 変速機のシフトロッド支持構造及びその組付方法
US2844970A (en) Transmission control external tube
KR0120236Y1 (ko)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변속단 유지장치
JPS6313548Y2 (ko)
KR0139524B1 (ko)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KR200219645Y1 (ko) 수동변속기의변속조작기구
KR970000852B1 (ko)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KR960005914B1 (ko) 자동차용 변속조절장치
KR950011270B1 (ko) 자동차 수동 변속기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KR0134363B1 (ko)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KR0137523Y1 (ko) 자동차용 백램프스위치 취부구조
JPH1122822A (ja) 順次操作式変速機用のシフ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