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6458A -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6458A
KR19980016458A KR1019960036050A KR19960036050A KR19980016458A KR 19980016458 A KR19980016458 A KR 19980016458A KR 1019960036050 A KR1019960036050 A KR 1019960036050A KR 19960036050 A KR19960036050 A KR 19960036050A KR 19980016458 A KR19980016458 A KR 19980016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ngine
viscosity
heating devic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6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3732B1 (ko
Inventor
이재우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36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3732B1/ko
Publication of KR19980016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7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5/00Heating, cooling, 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F01M5/02Conditioning lubricant for aiding engine starting, e.g. heating
    • F01M5/021Conditioning lubricant for aiding engine starting, e.g. heatin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5/00Heating, cooling, 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F01M5/005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 F01M5/007Thermostatic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2250/00Meas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가 엔진의 냉도시동시 특히 겨울철에 시동할 경우에는 시동 초기에 엔진 오일의 점도가 높아 오일 여과기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엔진 오일이 바이 패스 밸브를 통해 엔진 각부에 공급되므로 오일 내의 불순물에 의해 엔진이 오작동되거나 초기 시동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오일 펌프와 오일 여과기 사이에 설치되고 오일을 가열하여 오일 점도를 저하시키는 오일 가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겨울철이나 냉시동시 오일을 가열함으로써 오일 점도를 저하시켜 오일 전량이 여과된 후 엔진 각부에 공급되므로 엔진의 오작동이 방지되고 초기 시동시 엔진 소음이 저감되는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오일 팬52:오일 펌프
53:오일 가열 장치54:오일 여과기
55:바이 패스 밸브56:엔진 각부
57:유로58:유압 조정기
본 발명은 엔진 내부를 순환하며 엔진 각부를 윤활하고 냉각시키는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시동시 오일의 점도를 떨어뜨려 오일이 완전히 여과된 후에 엔진으로 공급되는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는 기관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고, 그 작동이 기관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오래 유지되도록 운동 마찰 부분에 기관 오일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기관에는 실린더와 피스톤처럼 접동하는 부분이나, 크랭크 샤프트 및 캠 샤프트와 같이 회전하는 부분이 있다. 이러한 운동 마찰 부분은 금속끼리 직접 접촉하면 마찰열이 발생되고, 마찰면이 거칠어져 빨리 마모되거나 늘어 붙는 등의 고장이 발생되어 기관이 정지하게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의 마찰면에 오일을 주입하여 그 사이에 유막을 형성시킴으로써, 금속간의 고체 마찰이 오일의 유체 마찰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마찰 저항이 적어져 마모가 적고, 마찰열로 인한 온도 상승이 방지된다.
기관의 윤활 방식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4사이클 기관에는 비산식, 압송식 및 압송 비산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오늘날에는 기관이 고속화되고 출력이 커짐에 따라 일반적으로 압송식이 사용된다. 압송식은 기관 오일을 오일 팬에 넣어 두고, 여기서 오일 펌프로 기관의 각 윤활 부분에 오일을 강제적으로 압송하는 방법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송식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로서,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팬(11)과, 상기 오일 팬(11)의 일측에 위치되어 오일을 송출하는 오일 펌프(12)와, 오일을 여과하는 오일 여과기(14)와, 상기 오일 여과기(4)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오일 여과기(14)에 너무 큰 압력이 걸리지 않게 하는 바이 패스 밸브(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의 각부 사이를 흐르는 오일의 유로(17)는 엔진 각부(16) 사이에 형성된 오일 순환 통로인 오일 갤러리와 오일 파이프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는 상기 오일 팬(11)의 오일을 상기 오일 펌프(12)가 송출하면 상기 오일 여과기(14)에서 여과한 후 엔진 각부(16)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오일 팬(11)의 오일을 상기 오일 펌프(12)가 빨아 올려 가압하면 유압 조정기(18)가 오일의 유압을 적당히 조정하게 되고, 적정 유압의 오일이 상기 유로(17)를 통해 상기 오일 여과기(14)에 공급된다. 상기 오일 여과기(14)에서는 오일 내부의 불순물을 여과한 후 오일을 엔진 각부(17)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오일 펌프(12)에서 압송한 오일 전부를 상기 오일 여과기(14)에서 전부 여과하여 엔진 각부(16)로 공급하는 전류식의 경우, 오일의 청정 작용은 좋으나 상기 오일 여과기(14)가 막히면 엔진 각부(16)의 윤활이 안될 염려가 있으므로, 상기 바이 패스 밸브(15)를 통해 오일이 여과되지 않고 엔진 각부(16)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는 엔진의 냉시동시 특히 겨울철에 시동할 경우에는 시동 초기에 엔진 오일의 점도가 높아 상기 오일 여과기(14)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엔진 오일이 상기 바이 패스 밸브(15)를 통해 엔진 각부(16)에 공급되므로 오일 내의 불순물에 의해 엔진이 오동작되거나 초기 시동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일 여과기의 전방에서 오일을 가열하여 오일 점도를 낮춤으로써 오일 전량이 여과된 후에 엔진 각부에 공급되어 엔진의 오동작이 방지되고 소음이 저감되는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일 팬과, 상기 오일 팬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오일 팬의 오일을 송출하는 오일 펌프와, 송출된 오일을 여과하는 오일 여과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 펌프와 상기 오일 여과기 사이에 오일을 가열하여 오일의 점도를 저하시키는 오일 가열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 팬(51)과, 상기 오일 팬(51)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오일 팬(51)의 오일을 압송하는 오일 펌프(5)와, 압송된 오일을 여과하는 오일 여과기(54)와, 상기 오일 여과기(54)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오일 여과기(54)에 너무 큰 압력이 걸리지 않게 하는 바이 패스 밸브(55)와, 상기 오일 펌프(52)와 상기 오일 여과기(54) 사이에 설치되고 오일을 가열하여 오일 점도를 저하시키는 오일 가열 장치(53)로 구성된다.
상기 오일 가열 장치(53)에는 상기 오일 여과기(54)를 통과하기 이전의 전면의 오일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 센서(53a) 및 오일의 온도를 측정하는 유온 센서(53b)가 설치되고, 상기 점도 센서(53a) 및 유온 센서(53b)는 ECU에 연결되며, ECU는 상기 점도 센서(53a) 및 상기 유온 센서(53b)로부터 신호를 받아 오일의 점도가 일정값 이상이면 상기 오일 가열 장치(53)를 가동시키고 오일의 온도가 일정값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오일 가열 장치(53)의 가동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오일 팬(51)의 오일을 상기 오일 펌프(52)가 빨아 올려 압송하면 유압 조정기(58)가 오일의 유압을 적당히 조정하여 적정 유압의 오일을 유로(57)를 통해 상기 오일 여과기(54)에 공급한다. 상기 오일 여과기(54)에서는 오일 내부의 불순물을 여과한 후 엔진 각부(56)에 공급하게 된다.
겨울철 시동이나 냉시동시 오일의 점도가 너무 높아 오일이 상기 오일 여과기(54)에서 여과되지 않으면 상기 점도 센서(53a)의 신호를 받은 ECU에 의해 상기 오일 가열 장치(3)가 작동되어 오일을 가열하게 된다. 오일이 가열되면 오일의 점도가 낮아지므로 모든 엔진 오일은 상기 오일 여과기(54)에서 여과된 후 엔진 각부(56)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오일 가열 장치(53)는 시동 초기에만 사용되고 엔진의 온도가 올라가면 그 작동을 멈추게 된다. 오일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윤활 효과가 상실되므로, 상기 유온 센서(53b)는 오일의 온도를 측정하여 ECU로 보내게 되고, ECU는 오일의 온도가 일정값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오일 가열 장치(53)의 작동을 중지시켜 오일이 과열되지 않게 한다.
이때, 상기 바이 패스 밸브(55)는 상기 오일 여과기(54)가 오일 점도로 인해 막힌 경우가 아닌 불순물 등에 의해 막혀 있을 경우에 엔진 오일을 여과시키지 않고 엔진 각부(56)에 공급하여 윤활이 계속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는 겨울철이나 냉시동시 오일을 가열하여 오일 점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오일 전량이 여과된 후 엔진 각부에 공급되므로, 엔진의 오작동이 방지되고 초기 시동시 엔진 소음이 저감되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오일 팬과, 상기 오일 팬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오일 팬의 오일을 송출하는 오일 펌프와, 송출된 오일을 여과하는 오일 여과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 펌프와 상기 오일 여과기 사이에 오일을 가열하여 오일의 점도를 저하시키는 오일 가열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가열 장치에는 오일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 센서 및 오일의 온도를 측정하는 유온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점도 센서 및 유온 센서는 ECU에 연결되며, ECU는 상기 점도 센서 및 상기 유온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오일의 점도가 일정값 이상이면 상기 오일 가열 장치를 가동시키고 오일의 온도가 일정값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오일 가열 장치의 가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
KR1019960036050A 1996-08-28 1996-08-28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 KR100233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050A KR100233732B1 (ko) 1996-08-28 1996-08-28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050A KR100233732B1 (ko) 1996-08-28 1996-08-28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458A true KR19980016458A (ko) 1998-06-05
KR100233732B1 KR100233732B1 (ko) 1999-12-01

Family

ID=19471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6050A KR100233732B1 (ko) 1996-08-28 1996-08-28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37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268B1 (ko) * 2000-12-19 2003-11-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엔진의 오일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06899B (zh) * 2021-03-24 2022-08-30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机油加热装置与汽车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9313U (ko) * 1990-09-29 1992-05-2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268B1 (ko) * 2000-12-19 2003-11-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엔진의 오일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3732B1 (ko) 199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336513A (ja) エンジン用潤滑システム
US4875551A (en) Pre-lubricant oil pressure adapter
JP2004501312A (ja) ピストン・エンジンの潤滑装置と潤滑方法
EP1598531A1 (en) Oil-feeding device for engine
SE1651052A1 (en) An oil system for lubrication and cooling in a vehicle driven at least partly by an electrical machine
US3741342A (en) Engine oil cooling and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US4270562A (en) Fluid sequence bypass apparatus
US3583527A (en) Prestart oil-pressurizing device
JP5561859B2 (ja) 蓄圧式燃料噴射装置及び潤滑用燃料の温度調節方法
JP2006249940A (ja) エンジン
KR19980016458A (ko)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
JP2009191634A (ja) 内燃機関の潤滑装置
JP2013204481A (ja) エンジンの暖機装置
KR101023917B1 (ko) 유압밸브간극조정기가 구비된 엔진의 오일드레인 방지장치
CN108692012B (zh) 液压回路装置和液压回路的主压升压方法
US2413069A (en) Lubrication
US3606935A (en) Lubricat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02406497B1 (ko) 터보차저용 오일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1981000881A1 (en) Fluid sequence bypass apparatus
KR0128340Y1 (ko) 내연기관의 오일 공급장치
JP2008208762A (ja) 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2003148120A (ja) 内燃機関の潤滑装置
KR200212886Y1 (ko) 엔진 오일 공급 시스템
KR100216787B1 (ko) 엔진오일 공급장치
KR100222831B1 (ko) 변속기 오일의 저온시 바이패스 윤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