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3732B1 -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33732B1 KR100233732B1 KR1019960036050A KR19960036050A KR100233732B1 KR 100233732 B1 KR100233732 B1 KR 100233732B1 KR 1019960036050 A KR1019960036050 A KR 1019960036050A KR 19960036050 A KR19960036050 A KR 19960036050A KR 100233732 B1 KR100233732 B1 KR 1002337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il
- engine
- viscosity
- filter
- pa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5/00—Heating, cooling, 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F01M5/02—Conditioning lubricant for aiding engine starting, e.g. heating
- F01M5/021—Conditioning lubricant for aiding engine starting, e.g. heating by he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5/00—Heating, cooling, 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F01M5/005—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 F01M5/007—Thermostatic contro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2250/00—Meas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가 엔진의 냉시동시 특히 겨울철에 시동할 경우에는 시동 초기에 엔진 오일의 점도가 높아 오일 여과기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엔진 오일이 바이 패스 밸브를 통해 엔진 각부에 공급되므로 오일 내의 불순물에 의해 엔진이 오작동되거나 초기 시동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팬과, 상기 오일 팬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오일 팬의 오일을 송출하는 오일 펌프와, 송출된 오일을 여과하는 오일 여과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 여과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 펌프와 오일 여과기 사이에 설치되고 오일을 가열하여 오일의 점도를 저하시키는 오일 가열 장치와, 상기 오일 가열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오일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 센서 및 오일의 온도를 측정하는 유온 센서오, 상기 점도 센서 및 유온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오일 가열 장치를 제어하는 ECU를 포함함으로써, 겨울철이나 냉시동시 오일을 가열하여 오일 점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오일 전량이 여과된 후 엔진 각부에 공급되므로 엔진의 오작동이 방지되고 초기 시동시 엔진 소음이 저감되는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오일 팬 52 : 오일 펌프
53 : 오일 가열 장치 54 : 오일 여과기
55 : 바이 패스 밸브 56 : 엔진 각부
57 : 유로 58 : 유압 조정기
본 발명은 엔진 내부를 순환하며 엔진 각부를 윤활하고 냉각시키는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시동시 오일의 점도를 떨어뜨려 오일이 완전히 여과된 훙 엔진으로 공급되는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는 기관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고, 그 작동이 기관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오래 유지되도록 운동 마찰 부분에 기관 오일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기관에는 실린더와 피스톤처럼 접동하는 부분이나, 크랭크 샤프트 및 캠 샤프트와 같이 회전하는 부분이 있다. 이러한 운동 마찰 부분은 금속끼리 직접 접촉하면 마찰열이 발생되고, 마찰면이 거칠어져 빨리 마모되거나 늘어 붙는 등의 고장이 발생되어 기관이 정지하게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의 마찰면에 오일을 주입하여 그 사이에 유막을 형성시킴으로써, 금속간의 고체 마찰이 오일의 유체 마찰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마찰 저항이 적어져 마모가 적고, 마찰열로 인한 온도 상승이 방지된다.
기관의 윤활 방식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4사이를 기관에는 비산식, 압송식 및 압송 비산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오늘날에는 기관이 고속화되고 출력이 커짐에 따라 일반적으로 압송식이 사용된다. 압송식은 기관 오일을 오일 팬에 넣어 두고, 여기서 오일 펌프로 기관의 각 윤활 부분에 오일을 강제적으로 압송하는 방법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송식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로서,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팬(11)과, 상기 오일 팬(11)의 일측에 위치되어 오일을 송출하는 오일 펌프(12)와, 오일을 여과하는 오일 여과기(14)와, 상기 오일 여과기(14)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오일 여과기(14)에 너무 큰 압력이 걸리지 않게 하는 바이 패스 밸브(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의 각부 사이를 흐르는 오일의 유로(17)는 엔진 각부(16) 사이에 형성된 오일 순환 통로인 오일 갤러리와 오일 파이프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는 상기 오일 팬(11)의 오일을 상기 오일 펌프(12)가 송출하면 상기 오일 여과기(14)에서 여과한 후 엔진 각부(16)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오일 팬(11)의 오일을 상기 오일 펌프(12)가 빨아 올려 가압하면 유압 조정기(18)가 오일의 유압을 적당히 조정하게 되고, 적정 유압의 오일이 상기 유로(17)를 통해 상기 오일 여과기(14)에 공급된다. 상기 오일 여과기(14)에는 오일 내부의 불순물을 여과한 후 오일을 엔진 각부(17)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오일 펌프(12)에서 압송한 오일 전부를 상기 오일 여과기(14)에서 전부 여과하여 엔진 각부(16)로 공급하는 전류식의 경우, 오일의 청정 작용은 좋으나 상기 오일 여과기(14)가 막히면 엔진 각부(16)의 윤활이 안될 염려가 있으므로, 상기 바이 패스 밸브(15)를 통해 오일이 여과되지 않고 엔진 각부(16)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는 엔진의 냉시동시 특히 겨울철에 시동할 경우에는 시동 초기에 엔진 오일의 점도가 높아 상기 오일 여과기(14)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엔진 오일이 상기 바이 패스 밸브(15)를 통해 엔진 각부(16)에 공급되므로 오일 내의 불순물에 의해 엔진이 오작동되거나 초기 시동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일 여과기의 전방에서 오일을 가열하여 오일 점도를 낮춤으로써 오일 전량이 여과된 후에 엔진 각부에 공급되어 엔진의 오동작이 방지되고 소음이 저감되는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팬과 상기 오일 팬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오일 팬의 오일을 송출하는 오일 펌프와, 송출된 오일을 여과하는 오일 여과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 펌프와 오일 여과기 사이에 설치되고 오일을 가열하여 오일의 점도를 저하시키는 오일 가열 장치와, 상기 오일 가열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오일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 센서 및 오일의 온도를 측정하는 유온 센서와, 상기 점도 센서 및 유온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오일 가열 장치를 제어하는 E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 팬(51)과, 상기 오일 팬(51)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오일 팬(51)의 오일을 압송하는 오일 펌프(52)와, 압송된 오일을 여과하는 오일 여과기(54)와, 상기 오일 여과기(54)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오일 여과기(54)에 너무 큰 압력이 걸리지 않게 하는 바이 패스 밸브(55)와, 상기 오일 펌프(52)와 상기 오일 여과기(54) 사이에 설치되고 오일을 가열하여 오일 점도를 저하시키는 오일 가열 장치(53)로 구성된다.
상기 오일 가열 장치(53)에는 상기 오일 여과기(54)를 통과하기 이전의 전면의 오일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 센서(53a) 및 오일의 온도를 측정하는 유온 센서(53b)가 설치되고, 상기 점도 센서(53a) 및 유온센서(53b)는 ECU에 연결되며, ECU는 상기 점도 센서(53a) 및 상기 유온센서(53b)로부터 신호를 받아 오일의 점도가 일정값 이상이면 상기 오일 가열 장치(53)를 가동시키고 오일의 온도가 일정값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오일 가열 장치(53)의 가동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오일 팬(51)의 오일을 상기 오일 펌프(52)가 빨아 올려 압송하면 유압 조정기(58)가 오일의 유압을 적당히 조정하여 적정 유압의 오일을 유로(57)를 통해 상기 오일 여과기(54)에 공급한다. 상기 오일 여과기(54)에서는 오일 내부의 불순물을 여과한 후 엔진 각부(56)에 공급하게 된다.
겨울철 시동이나 냉시동시 오일의 점도가 너무 높아 오일이 상기 오일 여과기(54)에서 여과되지 않으면 상기 점도 센서(53a)의 신호를 받은 ECU에 의해 상기 오일 가열 장치(53)가 작동되어 오일을 가열하게 된다. 오일이 가열되면 오일의 점도가 낮아지므로 모든 엔진 오일은 상기 오일 여과기(54)에서 여과된 후 엔진 각부(56)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오일 가열 장치(53)는 시동 초기에만 사용되고 엔진의 온도가 올라가면 그 작동을 멈추게 된다. 오일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윤활 효과가 상실되므로, 상기 유온 센서(53b)는 오일의 온도를 측정하여 ECU로 보내게 되고, ECU는 오일의 온도가 일정값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오일 가열 장치(53)의 작동을 중지시켜 오일이 과열되지 않게 한다.
이때, 상기 바이 패스 밸브(55)는 상기 오일 여과기(54)가 오일 점도로 인해 막힌 경우가 아닌 불순물 등에 의해 막혀 있을 경우에 엔진 오일을 여과시키지 않고 엔진 각부(56)에 공급하여 윤활이 계속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는 겨울철이나 냉시동시 오일을 가열하여 오일 점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오일 전량이 여과된 후 엔진 각부에 공급되므로, 엔진의 오작동이 방지되고 초기 시동시 엔진 소음이 저감되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팬과, 상기 오일 팬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오일 팬의 오일을 송출하는 오일 펌프와, 송출된 오일을 여과하는 오일 여과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 펌프와 오일 여과기 사이에 설치되고 오일을 가열하여 오일의 점도를 저하시키는 오일 가열 장치와, 상기 오일 가열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오일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 센서 및 오일의 온도를 측정 하는 유온 센서와, 상기 점도 센서 및 유온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오일 가열 장치를 제어하는 E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36050A KR100233732B1 (ko) | 1996-08-28 | 1996-08-28 |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36050A KR100233732B1 (ko) | 1996-08-28 | 1996-08-28 |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16458A KR19980016458A (ko) | 1998-06-05 |
KR100233732B1 true KR100233732B1 (ko) | 1999-12-01 |
Family
ID=19471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36050A KR100233732B1 (ko) | 1996-08-28 | 1996-08-28 |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3373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06899A (zh) * | 2021-03-24 | 2021-06-22 |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机油加热装置与汽车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7268B1 (ko) * | 2000-12-19 | 2003-11-28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차량 엔진의 오일공급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59313U (ko) * | 1990-09-29 | 1992-05-21 |
-
1996
- 1996-08-28 KR KR1019960036050A patent/KR1002337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59313U (ko) * | 1990-09-29 | 1992-05-21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06899A (zh) * | 2021-03-24 | 2021-06-22 |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机油加热装置与汽车 |
CN113006899B (zh) * | 2021-03-24 | 2022-08-30 |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机油加热装置与汽车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16458A (ko) | 1998-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65670B2 (en) | Method of modifying an engine oil cooling system | |
US6488479B1 (en) | Variable pressure oil pump | |
US5884601A (en) | Electric motor driven primary oil pump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3741342A (en) | Engine oil cooling and 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 |
KR100233732B1 (ko) |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 | |
KR101023917B1 (ko) | 유압밸브간극조정기가 구비된 엔진의 오일드레인 방지장치 | |
US3606935A (en) | Lubricat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
WO1981000881A1 (en) | Fluid sequence bypass apparatus | |
KR100216787B1 (ko) | 엔진오일 공급장치 | |
KR19980038434U (ko) | 엔진 윤활장치 | |
KR19980047836U (ko) | 자동차 엔진오일 압력조절장치 | |
KR19980041282U (ko) | 오일의 바이패스 구조 | |
KR200151134Y1 (ko) | 자동차 엔진의 오일 공급장치 | |
KR0128310Y1 (ko) |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장치 | |
KR100300708B1 (ko) | 자동차엔진의윤활장치 | |
KR19990057957A (ko) | 엔진 윤활장치 | |
KR19980077207A (ko) |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 | |
KR19980047348A (ko) | 터보 차저 오일 공급 구조 | |
KR19990033399A (ko) | 시동전 엔진 윤활장치 | |
JPS60175715A (ja) | エンジン潤滑装置 | |
JPH06193419A (ja) | エンジンのオイルクーラ放熱式潤滑装置 | |
JPH08312498A (ja) | 自動車の潤滑装置 | |
KR19990070090A (ko) | 오일 스트레이너 장치 | |
KR19990031278U (ko) | 자동차의 윤활 장치 | |
KR19990059323A (ko) |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온도조절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715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