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5718U - 자동차의 정전기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정전기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718U
KR19980015718U KR2019960028974U KR19960028974U KR19980015718U KR 19980015718 U KR19980015718 U KR 19980015718U KR 2019960028974 U KR2019960028974 U KR 2019960028974U KR 19960028974 U KR19960028974 U KR 19960028974U KR 19980015718 U KR19980015718 U KR 199800157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ductive plate
static electricity
corona discharg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8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우
Original Assignee
임경춘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춘,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경춘
Priority to KR2019960028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5718U/ko
Publication of KR199800157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718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6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removing electrostatic char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01T19/04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having pointed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여 정전기를 제거시키는 자동차의 정전기 제거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 코로나 방전수단(60)은 일면에 복수의 돌기(32a)가 형성된 도전성 플레이트(32)와, 도전성 플레이트(32)를 자동차의 차체에 접착시키는 도전성 접착제(3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전성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복수의 돌기와의 사이에 소정공간(50)을 형성하도록 내화성 합성수지재(40)가 마련되어 과도한 불꽃방전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정전기 제거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정전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누설전류로부터 발생되는 전류를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여 제거시키도록 된 자동차의 정전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전기,전자제어요소들이 다수 채용되어 있으며, 또한 이러한 제어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이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요소들은 구동중에 차체를 통하여 누설되어 정전기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정전기들은 탑승자에게 쇼크를 발생시키게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정전기를 제거시키기 위하여 머플러 등에 금속성띠를 매달아 지면에 접지시킴으로써 제거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정전기 제거장치는 미관상 좋지 않을뿐더러 금속띠의 설치장소에 제약이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가능가능하며 미려한 자동차의 정전기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전기 제거장치가 채용된 자동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도전성 접착제32...도전성 플레이트
32a...돌기40...합성수지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자동차로부터 누설되는 전류로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시키는 자동차의 정전기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설전류를 소정의 코로나 방전수단에 의해서 불꽃방전을 유도하여 제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코로나 방전수단은 일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도전성 플레이트와,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를 상기 자동차의 차체에 접착시키는 도전성 접착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와의 사이에 소정공간을 형성하도록 내화성 합성수지재가 마련되어 과도한 불꽃방전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정전기 제거장치는 상기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서 협소한 차체의 공간이라도 설치가능하며 또한, 차체의 복수곳에 설치함으로써 정전기 제거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노출되지 않은 차체에 설치함으로써 외관상 고려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정전기 제거장치가 채용된 자동차를 나타낸 도 1 및 정전기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 2를 참조하면, 자동차의 도어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정전기 제거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본 고안 정전기 제거장치는 자동차로부터 누설되는 누설전류를 소정의 코로나 방전수단(60)에 의해서 불꽃방전을 유도하여 제거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코로나 방전수단(6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복수의 돌기(32a)가 형성된 도전성 플레이트(32)와, 이 도전성 플레이트(32)를 상기 자동차의 도어에 접착시키는 도전성 접착제(3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32)의 상면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32a)와의 사이에 소정공간(50)을 형성하도록 내화성 합성수지재(4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정전기 제거장치는 자동차의 차체(도어)에 접착하여 설치되는 바, 자동차로부터 누설되는 누설전류는 상기 도정성 접착제(31) 및 도전성 금속플레이트(32)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돌기(32a)에 인가되게 된다. 이때 인접된 각 돌기(32a)사이에서는 전압차이로 인하여 상기 공간(50)에서 불꽃방전이 발생되면서 정전기가 제거되게 된다. 또한, 과도한 불꽃방전시에는 상기 내화성 합성수지(40)에 의해 탑승자 등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 정전기 제거장치는 상기 도전성 접착제(31)에 의해서 협소한 차체의 공간이라도 설치가능하며 또한, 차체의 복수곳에 설치함으로써 정전기 제거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노출되지 않은 차체에 설치함으로써 외관상 고려도 가능하다.

Claims (3)

  1. 자동차로부터 누설되는 전류로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시키는 자동차의 정전기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설전류를 소정의 코로나 방전수단에 의해서 불꽃방전을 유도하여 제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전기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방전수단은 일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도전성 플레이트와,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를 상기 자동차의 차체에 접착시키는 도전성 접착제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전기 제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돌기와 소정공간을 형성하도록 내화성 합성수지재가 마련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정전기 제거장치.
KR2019960028974U 1996-09-11 1996-09-11 자동차의 정전기 제거장치 KR199800157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974U KR19980015718U (ko) 1996-09-11 1996-09-11 자동차의 정전기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974U KR19980015718U (ko) 1996-09-11 1996-09-11 자동차의 정전기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718U true KR19980015718U (ko) 1998-06-25

Family

ID=53975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8974U KR19980015718U (ko) 1996-09-11 1996-09-11 자동차의 정전기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571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5644A (zh) * 2015-01-29 2016-08-1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车轮支承装置
US9909633B2 (en) 2015-02-10 2018-03-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raking force generation device of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5644A (zh) * 2015-01-29 2016-08-1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的车轮支承装置
US10260565B2 (en) 2015-01-29 2019-04-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Wheel support device for vehicle
US9909633B2 (en) 2015-02-10 2018-03-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raking force generation device of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9911564D0 (en) Grommet having resilient flange for mounting on a panel
FI970409A (fi) Menetelmä mikrofonin suojaamiseksi ulkoisilta häiriötekijäiltä ja mikrofonin häiriösuojus
GB2322341B (en) Automotive instrument panel having an integral airbag
BR9509153A (pt) Instalação de segurança eletrónica para ocupantes de veículos
DE59700218D1 (de) Anordnung zum Schutz elektrischer und elektronischer Bauelmente vor elektrostatischen Entladungen
DE69614984T2 (de) Zünder für Aufblasvorrichtung mit Zenerdiode zum Schutz von elektrostatischen Entladungen
KR19980015718U (ko) 자동차의 정전기 제거장치
DE59804568D1 (de) Zündkerze für Plasmastrahl-Zündeinrichtung
KR930023218A (ko) 조수석용 에어백장치
ITMI950207A0 (it) Circuito di protezione contro scariche elettrostatiche particolarmente per circuiti integrati
BR9809603A (pt) Dispositivo de proteção contra partìculas incidentes para um radiador em um automóvel
DE69524858T2 (de) Bauelement zum Schutz einer integrierten Schaltung gegen elektrostatische Entladungen
JPH08107960A (ja) パチンコ機の電気制御装置
KR0124479Y1 (ko) 자동차의 제어기 고정구조
KR19990010704U (ko) 실내 정전기 방지 구조
KR0136896Y1 (ko) 버스용 세퍼레이터의 갭 방지 구조
DE29506220U1 (de) Kraftfahrzeugdiebstahlsicherung durch Farbbesprühung der Frontscheibe - Werksmäßiger Einbau und Nachrüstung
CN117698623A (zh) 车辆以及车辆用除电装置
KR19980021210U (ko) 자동차의 머플러 보호구조
KR970039213A (ko) 자동차 정전기 제거장치
KR970037582U (ko) 자동차의 대쉬 패널에 설치되는 충격 분산용 버팀대
JPH0743981A (ja) 電子写真装置のコロナ帯電器
KR19990014585U (ko) 전자제품용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대응구조
KR970025530A (ko) 쇼 케이스 설비의 코너 화장판
JPH05121847A (ja) プリント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