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585U - 전자제품용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대응구조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용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대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585U
KR19990014585U KR2019970027771U KR19970027771U KR19990014585U KR 19990014585 U KR19990014585 U KR 19990014585U KR 2019970027771 U KR2019970027771 U KR 2019970027771U KR 19970027771 U KR19970027771 U KR 19970027771U KR 19990014585 U KR19990014585 U KR 199900145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electrostatic
static electricity
knob
deri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7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규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27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4585U/ko
Publication of KR199900145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585U/ko

Links

Landscapes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제품용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대응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프론트 패널의 설치구멍과 노브 사이에 강한 정전기가 인가되는 경우, 이 정전기가 정전기 방지리브와 노브를 따라 메인 회로기판이나 택트 스위치 등으로 전달되어 전자제품의 기능을 마비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정전기로 인한 전자부품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프론트 패널(10)의 배면에 결합부(20)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20)에는 정전기가 유도되도록 금속재질의 정전기 유도체(30)가 끼워진다. 따라서, 프론트 패널에 인가된 정전기는 정전기 유도체외에 다른 부분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프론트 회로기판에 장착된 택트 스위치나 디지트론과 같은 각종 전자부품의 기능 정지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가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제품용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대응구조
본 고안은 전자제품의 정전기 대응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제품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유도하여 다른 전자부품의 기능 정지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제품용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대응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에는 사용자와의 접촉이나 각 부품간의 간섭 및 접촉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되며, 이러한 정전기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제공하고, 또한 심한 경우에는 전자제품의 기능을 마비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정전기로 인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자제품의 검사공정중에는 정전기 테스트공정이 있으며, 정전기 테스트 공정에서는 15Kw에서 20Kw사이의 강한 전압을 전자제품에 인가시키게 된다.
특히, 사용자와 빈번히 접촉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프론트 패널의 경우에는 메인 회로기판이나 프론트 회로기판 그리고 택트 스위치 등 여러 전자부품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정전기가 전달되지 않도록 설계,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자제품용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대응구조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패널(10)의 전면에 여러개의 설치구멍(11)이 형성되며, 이 설치구멍(11)의 외주연에는 배면방향으로 정전기 방지리브(12)가 길게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설치구멍(11)에 조립되는 노브(40)는 전면에 버튼부(41)가 형성되고, 버튼부(41)의 둘레에는 정전기 차단턱(42)이 형성되어 프론트 패널(10)의 배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노브(40)의 배면방향에는 상술한 노브(40)에 의해 동작하는 택트 스위치(51)가 도시되지 않은 메인 회로기판이나 프론트 회로기판(50)에 장착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자제품용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대응구조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패널(10)의 설치구멍(11)과 노브(40) 사이에 강한 정전기가 인가되는 경우, 이 정전기는 정전기 방지리브(12)와 노브(40)를 따라 프론트 회로기판(50)이나 택트 스위치(51)에 전달되어 전자제품의 기능을 마비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정전기 테스트에 의해 프론트 패널(10)의 설치구멍(11)과 노브(40) 사이에 정전기를 인가시키면, 이 정전기의 전하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프론트 패널(10)의 정전기 방지리브(12)와 노브(40)를 따라 배면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프론트 패널(10)에는 별도로 정전기를 접지시키거나 특정 방향으로 집중시켜 방전시킬 수 있는 부재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정전기는 프론트 회로기판(50)이나 택트 스위치(51) 및 디지트론 등에 전달되어 이러한 전자부품의 기능을 마비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술하면, 정전기의 전하는 그 특성상 접지가 구비된 부분이나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진 부분으로 집중적으로 흐르게 되어 정전기가 없어지거나 자연 방전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프론트 패널(10)의 배면은 대부분히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정전기가 신속히 공기중으로 방전되지 못하므로 여러 전자부품의 기능 마비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프론트 패널(10)에 형성한 정전기 방지리브(12)나 노브(40)의 정전기 차단턱(42)은 순간적이으로 정전기가 프론트 회로기판(50) 등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는 있으나, 근본적으로 정전기의 피해를 방지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프론트 패널(10)의 정전기 방지리브(12)를 보다 길게 배면 방향으로 형성하여 자연 방전에 의해 정전기가 전달되는 것을 상쇄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프론트 패널(10)의 배면과 택트 스위치(51) 등의 전자제품이 상당한 거리로 이격되어 프론트 패널(10)의 배면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정전기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 정전기 유도체를 설치하여 정전기로 인한 전자부품의 기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전자제품용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대응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정전기가 인가되는 종래의 프론트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전기 유도구조를 나타낸 프론트 패널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론트 패널 11; 설치구멍
20; 결합부 21; 끼움돌기
22,23; 결합홈 30; 정전기 유도체
31; 삽입편 40; 노브
50; 프론트 회로기판 51; 택트 스위치
60; 윈도우 70; 디지트론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자제품용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대응구조는 프론트 패널의 배면에 형성되는 결합부와; 이 결합부에 끼워져 정전기가 유도되어지는 금속재질의 정전기 유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제품용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대응구조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전기 대응구조인 노브가 조립되는 프론트 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프론트 패널의 윈도우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전기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프론트 패널(10)은 전면에 설치구멍(11)이 형성되며, 이 설치구멍(11)과 인접되는 프론트 패널(10)의 배면에는 결합부(20)가 배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부(20)는 설치구멍(11)의 배면 윗부분에 끼움돌기(21)가 돌출 형성되고, 이 끼움돌기(21)의 상하방향에는 각각의 결합홈(22)(23)이 형성된다.
상기한 설치구멍(11)에는 노브(40)가 설치되며, 이러한 노브(40)의 배면 방향에는 프론트 회로기판(50)이나 도시하지 않은 메인 회로기판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프론트 회고기판에는 노브(40)에 의해 동작되는 택트 스위치(51)나 도시하지 않은 디지트론(70) 등이 장착된다.
한편, 정전기가 유도되어지는 금속재질의 정전기 유도체(30)는 상기한 결합부(20)의 결합홈(22)(23)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그 형상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금속판이 절곡 성형되고, 절곡된 양 끝에는 바깥방향으로 절곡되는 삽입편(3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제품의 한 예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를 조립하는 작업자는 조립공정중에 결합부(20)의 양 결합홈(22)(23)에 정전기 유도체(30)를 끼워 결합시키므로 프론트 패널(10)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정전기 유도체(30)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전기 테스트에 의해 프론트 패널(10)의 설치구멍(11)으로 강한 정전기가 인가되면 이 정전기는 설치구멍(11)을 따라 배면 방향으로 전달되나, 정전기 유도체(30)에 대부분의 정전기가 유도된다.
상술하면, 정전기의 전하(電荷)는 그 특성상 접지된 부분이나 금속(또는 도체)으로 이루어진 부분에 집중적으로 이동되므로 프론트 패널(10)의 배면에 설치된 금속재의 정전기 유도체(30)에는 정전기 테스트때 인가된 대부분의 정전기가 유도된다.
따라서, 정전기 유도체(30)에 정전기가 유도된 만큼 다른 부분, 즉, 프론트 패널(10)이나 노브(40) 등에는 정전기가 흐르지 않으므로 노브(40)의 배면방향에 위치한 프론트 회로기판(50)이나 택트 스위치(51) 등의 전자부품의 기능 정지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정진기 유도체는 정전기 테스트가 적용되는 다른 부분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그 한 예로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트론(70)이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10)의 윈도우(60) 부분의 경우에, 윈도우(60)가 조립되는 배면 상방향에 양 결합홈(22)(23)과 끼움돌기(21)로 이루어진 결합부(20)를 형성하고, 이 결합부(20)에는 상기한 정전기 유도체(30)를 끼우게 된다.
따라서, 정전기 테스트에 의해 윈도우(60)의 틈새로 정전기가 인가되면, 이 정전기는 정전기 유도체(30)에 대부분 전달되므로 윈도우(60)의 배면방향에 장착된 디지트론(70)과 같은 전자부품의 기능 정지나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외에도 정전기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각종 가전제품과 전자,전기 제품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정전기가 인가되는 프론트 패널에 결합부를 형성하고, 이 결합부에는 금속재의 정전기 유도체를 결합시켜 인가된 정전기를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프론트 패널에 인가된 정전기는 정전기 유도체외에 다른 부분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프론트 회로기판에 장착된 택트 스위치나 디지트론과 같은 각종 전자부품의 기능 정지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가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전자제품용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대응구조에 있어서,
    정전기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프론트 패널(10)의 배면에 형성되는 결합부(20)와;
    상기 결합부(20)에 끼워져 정전기가 유도되어 지는 금속재질의 정전기 유도체(3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대응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0)는 프론트 패널(10)의 설치구멍(11)과 인접한 배면에 끼움돌기(21)가 돌출 형성되고, 이 끼움돌기(21)의 상하방향에는 각각의 결합홈(22)(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대응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유도체(30)는 각각의 결합홈(22)(23)과 끼움돌기(21)에 결합되도록 양쪽 끝에 삽입편(31)이 바깥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대응구조.
KR2019970027771U 1997-10-07 1997-10-07 전자제품용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대응구조 KR199900145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771U KR19990014585U (ko) 1997-10-07 1997-10-07 전자제품용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대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771U KR19990014585U (ko) 1997-10-07 1997-10-07 전자제품용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대응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585U true KR19990014585U (ko) 1999-05-06

Family

ID=69690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771U KR19990014585U (ko) 1997-10-07 1997-10-07 전자제품용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대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458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2164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N101512842B (zh) 具有esd保护的电连接器
US690831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utter
KR19990072230A (ko) Esd 보호형 전기 커넥터
US5777854A (en) Integrate flexible contacts grounding system for a computer system chassis
US6735093B2 (en) Computer system and EMI structure thereof
KR19990014585U (ko) 전자제품용 프론트 패널의 정전기 대응구조
MY114091A (en) Conductive insert for providing electromagnetic discharge and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protection
JPH08264990A (ja) 電子機器の冷却ファンの固定構造
KR200171119Y1 (ko) 컨택트 잭
JPH10256775A (ja) 電磁波シールド
KR19990014609U (ko) 전자제품용 입출력단자의 접지구조
KR200153816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패널 정전기 방지구조
JPH054719Y2 (ko)
KR200156836Y1 (ko) 샤시물 접지 구조
JPH05218674A (ja) 電磁遮蔽装置
KR0133874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 그라운드 장치
KR0120857Y1 (ko) Vcr의 접지구조
KR19990013594U (ko) 전자제품의 윈도우 조립구조
KR200324604Y1 (ko) 전자기기의 그라운드 구조
KR19990010875U (ko) 전자제품용 접지플레이트
KR0121386Y1 (ko) 영상표시기기의 구조물 체결장치
KR19990016065U (ko) 전자제품의 정전기 방지용 전선코드
JP2000223853A (ja) 静電破壊防止装置
KR19990040842U (ko) 전자제품의 접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