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119Y1 - 컨택트 잭 - Google Patents

컨택트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119Y1
KR200171119Y1 KR2019990019190U KR19990019190U KR200171119Y1 KR 200171119 Y1 KR200171119 Y1 KR 200171119Y1 KR 2019990019190 U KR2019990019190 U KR 2019990019190U KR 19990019190 U KR19990019190 U KR 19990019190U KR 200171119 Y1 KR200171119 Y1 KR 200171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jack
plug
termin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일산일렉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일산일렉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일산일렉콤
Priority to KR2019990019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1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1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 등의 핸즈프리 기능을 위해 제공되며, 그를 통한 먼지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컨택트 잭이 개시된다. 상기 잭은 전체적인 프레임으로서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다수의 금속편을 구비한다. 상기 금속편은 피씨비에 연결될 단자로서 제공되며, 동시에 하우징의 후방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차폐할 수 있는 구조로 개조된다.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제공되는 개구부는 그를 상하로 가로지르는 보강 리브에 의해 두 개의 절개부로 분리되며, 하우징의 후방측 양 사이드에 체결되는 금속편의 외부 노출 부위가 절곡되어 상기 절개부를 차폐한다. 상기 잭을 통해 먼지 등이 단말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컨택트 잭 {CONTACT JACK}
본 고안은 각종 전기 제품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컨택트 잭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 제품 내부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컨택트 잭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컨택트 잭은 주로 휴대용 단말기의 핸즈프리 기능을 부여하는 제품에 적용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폰 혹은 마이크로폰의 플러그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소형화되면서 상기 컨택트 잭의 사이즈도 소형화되어 왔다. 그러나, 이로 인해, 플러그의 삽입 부위가 개방되는 형상이 주를 이루게 되었으며, 결과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에 중대한 영향을 주는 정전기 발생의 원인이 되는 먼지가 상기 컨택트 잭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 내부로 쉽게 유입되는 구조를 취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은 잭 하우징의 뒷부분이 차폐되도록 하여 그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컨택트 잭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그 내부에는 플러그의 삽입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플러그와 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 내로의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는 다수의 금속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잭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그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보강 리브에 의해 제1절개부 및 제2절개부로 분리된다.
상기 다수의 금속편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제1플러그 접촉부, 상기 제1플러그 접촉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하여 피씨비에 고정되는 제1단자, 및 상기 제1플러그 접촉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 후방의 제1절개부를 차폐하는 제1차폐부를 포함하는 제1금속편; 및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하여 상기 피씨비에 고정되는 제2단자, 및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 후방의 제2절개부를 차폐하는 제2차폐부를 포함하는 제2금속편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후방의 개구부는 제1 및 제2금속편의 제1 및 제2차폐부에 의해 차폐되어 먼지가 컨택트 잭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잭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컨택트 잭 내로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의 내부 단면도.
도 3은 상기 컨택트 잭의 배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컨택트 잭 210: 하우징
232, 234: 제1 및 제2절개부
240: 보강 리브
250, 260: 제1 및 제2금속편
256, 266: 제1 및 제2차폐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택트 잭(200)이 도시되어 있다. 컨택트 잭(200)은 휴대용 단말기 등에 설치되어 이어폰 플러그 및 마이크로폰 플러그(100)가 삽입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컨택트 잭(200)은 그 내부에 플러그(100)의 삽입을 위한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는 하우징(21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하우징(210)은 나일론으로 구성된다. 하우징(210)에는 플러그(100)와 전기 제품 내의 피씨비(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단자가 형성되는 금속편(220)이 체결된다.
하우징(210)의 후방에는 형성되는 개구부(23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구부(230) 중앙을 상하로 가로지르는 보강 리브(240)가 제공된다. 보강 리브(240)는 하우징(210)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후술되겠지만, 개구부(230)를 효과적으로 차폐하기 위해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210)의 후방에 형성되는 개구부(230)는 그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보강 리브(240)에 의해 제1절개부(232) 및 제2절개부(234)로 분리된다.
다수의 금속편(220)은 접지 단자, 접촉 단자 및 스위치 단자들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자들 중의 두 단자에는 제1 및 제2절개부(232, 234)를 차폐하기 위한 구조가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금속편(220)은, 하우징(210)에 삽입되는 플러그 접촉부(252), 플러그 접촉부(252)로부터 하우징(210)의 외부로 연장하여 피씨비(미도시)에 고정되는 제1단자(254), 및 플러그 접촉부(252)로부터 절곡되어 하우징(210) 후방의 제1절개부(232)를 차폐하는 제1차폐부(256)를 포함하는 제1금속편(250), 및 하우징(210)에 삽입되는 플레이트(262), 플레이트(262)로부터 하우징(210)의 외부로 연장하여 상기 피씨비에 고정되는 제2단자(264), 및 플레이트(262)로부터 절곡되어 하우징(210) 후방의 제2절개부(234)를 차폐하는 제2차폐부(266)를 포함하는 제2금속편(260)을 포함한다.
즉, 하우징(210) 후방의 제1 및 제2절개부(232, 234)는 제1 및 제2금속편(250, 260)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제1 및 제2차폐부(256, 266)에 의해 각각 차폐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에는 플러그(100)와의 접촉을 위한 추가의 단자들이 체결된다.
도 3에는 하우징(210)의 후방이 도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차폐부(256, 266)에 의해 하우징(210)의 후방은 완전히 차폐되어 먼지의 유입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210)의 후방측에 제공되는 금속편(250, 260)에 차폐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가 개시되었으나, 다른 단자에 의한 차폐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본 고안의 특징은 별도의 차폐 부재가 필요 없이 피씨비에 고정될 단자의 구조를 변형하여 일체로 차폐부를 형성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조립 공정이 단순화된다는 점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후방의 개구부는 제1 및 제2금속편의 제1 및 제2차폐부에 의해 차폐되어 먼지 및 이물질이 컨택트 잭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이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 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명확히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그 내부에는 플러그의 삽입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플러그와 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 내로의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는 다수의 금속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그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보강 리브에 의해 제1절개부 및 제2절개부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금속편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플러그 접촉부, 상기 플러그 접촉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하여 피씨비에 고정되는 제1단자, 및 상기 플러그 접촉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 후방의 제1절개부를 차폐하는 제1차폐부를 포함하는 제1금속편; 및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하여 상기 피씨비에 고정되는 제2단자, 및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 후방의 제2절개부를 차폐하는 제2차폐부를 포함하는 제2금속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잭.
KR2019990019190U 1999-09-09 1999-09-09 컨택트 잭 KR200171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190U KR200171119Y1 (ko) 1999-09-09 1999-09-09 컨택트 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190U KR200171119Y1 (ko) 1999-09-09 1999-09-09 컨택트 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119Y1 true KR200171119Y1 (ko) 2000-03-15

Family

ID=1958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190U KR200171119Y1 (ko) 1999-09-09 1999-09-09 컨택트 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11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735B1 (ko) 2010-10-20 2012-04-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이어폰 잭용 커넥터
KR101164387B1 (ko) * 2011-07-22 2012-07-09 빈용운 분기선의 케이블 접속장치
KR200461374Y1 (ko) 2012-05-07 2012-07-10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휴대 단말기용 이어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735B1 (ko) 2010-10-20 2012-04-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이어폰 잭용 커넥터
KR101164387B1 (ko) * 2011-07-22 2012-07-09 빈용운 분기선의 케이블 접속장치
KR200461374Y1 (ko) 2012-05-07 2012-07-10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휴대 단말기용 이어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7799A (en) Board-mountable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JP4691738B2 (ja) シールド機能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US5934940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6129594A (en) Electrical connector
US5695362A (en) Hybrid grounded and stacked connector assembly with audio jacks
US20040043659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memb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7299620A (ja) グランド機能を備えた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この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を有する装置
JP2000150080A (ja) シ―ルドマルティプル電気コネクタ
US653708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lectrical shield having latch and mounting arms
KR20060121091A (ko) 체결 성능이 강화된 전기 커넥터
US6716064B2 (en) Shielded connector assembly and shielded connector
KR200171119Y1 (ko) 컨택트 잭
KR100585938B1 (ko) 커넥터 하우징에 쉽게 고정될 수 있는 셸을 갖는 커넥터
US20100068945A1 (en) Modularized connector for computer
US661998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JP2003243102A (ja) シールドコネクタ組立体
US6179662B1 (en) Cable end connector
KR200444217Y1 (ko) 커넥터하우징
US20100068935A1 (en) Connector module
US6494742B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duced height above circuit board
KR100629814B1 (ko)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위치 설정 및 보유 장치
KR200234704Y1 (ko) 디스플레이장치의리어하우징과샤시물고정구조
KR100405346B1 (ko) 차량용 룸램프 구조
KR0133399Y1 (ko) 디지트론 홀더
KR100537999B1 (ko) Idc형 단자 보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