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0704U - 실내 정전기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실내 정전기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0704U
KR19990010704U KR2019970024080U KR19970024080U KR19990010704U KR 19990010704 U KR19990010704 U KR 19990010704U KR 2019970024080 U KR2019970024080 U KR 2019970024080U KR 19970024080 U KR19970024080 U KR 19970024080U KR 19990010704 U KR19990010704 U KR 199900107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generating device
hair
roof panel
st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윤성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4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0704U/ko
Publication of KR199900107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704U/ko

Links

Landscapes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차량 탑승자의 머리카락과 차량의 지붕 내면과의 마찰로 인해 발생된 정전하를 제거하는 실내 정전기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머리카락과 헤드 라이닝 사이의 마찰로 인해 정전기가 발생될 경우 이와 반대되는 전하를 발생시켜 정전기를 상쇄시킴으로써, 탑승자의 머리가 들뜸으로 인한 불쾌감을 저감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 탑승자의 머리 위쪽 부분의 루프 패널(50)에 복수개 형성된 홀(51)과, 루프 패널(50) 내부에 설치되고 전하를 발생하여 머리카락과의 마찰로 발생된 정전하를 상쇄시키는 전하 발생 장치(60)와, 상기 전하 발생 장치(60)의 배면에 설치되어 전하 발생 장치(60)를 항상 홀(51) 부분으로 밀착시키는 탄성 스프링(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내 정전기 방지 구조는 헤어 스타일이 정전기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 탑승자의 불쾌감을 저감시키고,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실내 정전기 방지 구조
본 고안은 마찰에 의해 발생된 정전하를 제거하여 정전 방전으로 인한 놀람을 방지하는 정전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탑승자의 머리카락과 차량의 지붕 내면과의 마찰로 인해 발생된 정전하를 제거하는 실내 정전기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탑승자가 아침에 머리를 감고 차에 탈 경우 탑승자의 키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탑승자의 머리카락과 루프 패널 저변의 헤드 라이닝과의 마찰로 인해 정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단정하게 정리한 머리카락이 들뜨게 되고 탑승자는 공들여 꾸민 헤어 스타일을 망치게 되므로 기분을 상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머리카락과 헤드 라이닝 사이의 마찰로 인해 정전기가 발생될 경우 이와 반대되는 전하를 발생시켜 정전기를 상쇄시킴으로써, 탑승자의 머리가 들뜸으로 인한 불쾌감을 저감시킬 수 있는 실내 정전기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내 정전기 방지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설치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전하 발생 장치의 상세도이며,
도 3은 루프 패널의 저면 부분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루프 패널 51 : 홀
60 : 전하 발생 장치 61 : 은 코일
62 : 설치판 70 : 탄성 스프링
차량 탑승자의 머리 위쪽 부분의 루프 패널에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고, 루프 패널 내부에 전하를 발생하여 머리카락과의 마찰로 발생된 정전하를 상쇄시키는 전하 발생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실내 정전기 방지 구조는 도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탑승자의 머리 위쪽 부분의 루프 패널(50)에 복수개 형성된 홀(51)과, 루프 패널(50) 내부에 설치되고 전하를 발생하여 머리카락과의 마찰로 발생된 정전하를 상쇄시키는 전하 발생 장치(60)와, 상기 전하 발생 장치(60)의 배면에 설치되어 전하 발생 장치(60)를 항상 홀(51) 부분으로 밀착시키는 탄성 스프링(7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하 발생 장치(60)는 루프 패널(50)의 홀을 따라 배치되어 전하를 발생하는 은 코일(61)과, 상기 은 코일(61)이 부착되는 설치판(62)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내 정전기 방지 구조는 차량 탑승자의 머리카락과 헤드 라이닝 사이의 마찰로 인해 발생된 정전기를 상쇄시키게 된다.
탑승자의 머리카락과 루프 패널(50) 저면의 헤드 라이닝 사이에 마찰이 일어나면 정전기가 발생된다. 이 정전기는 머리카락과 헤드 라이닝에서 각기 다른 정전하를 갖게 되고, 설치판(62)에 장착된 은 코일(61)이 머리카락에 발생된 정전하와 반대되는 전하를 발생하므로 머리카락의 정전하를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정전기로 인해 머리카락이 들뜨는 현상이 방지되어 헤어 스타일의 파괴로 인한 탑승자의 불쾌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하 발생 장치가 루프 패널(50)의 저면부인 헤드 라이닝 부분에 발생된 정전하와 상쇄되는 정전하를 발생시켜 머리카락이 정전기에 의해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내 정전기 방지 구조는 탑승자의 머리카락과 루프 패널의 헤드 라이닝 사이의 마찰에 의해 발생된 정전기를 상쇄시키게 되므로 머리카락이 들뜨는 것이 방지되어 헤어 스타일의 파괴로 인한 탑승자의 불쾌감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차량 탑승자의 머리 위쪽 부분의 루프 패널에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고, 루프 패널 내부에 전하를 발생하여 머리카락과의 마찰로 발생된 정전하를 상쇄시키는 전하 발생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정전기 방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발생 장치는 그 배면에 탄성 스프링이 구비되어 항상 홀 부분으로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정전기 방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발생 장치는 루프 패널의 저면부인 헤드 라이닝 부분에 발생된 정전하와 상쇄되는 정전하를 발생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정전기 방지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발생 장치는 루프 패널의 홀을 따라 배치되어 전하를 발생하는 은 코일과, 상기 은 코일이 부착되는 설치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정전기 방지 구조.
KR2019970024080U 1997-08-29 1997-08-29 실내 정전기 방지 구조 KR199900107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080U KR19990010704U (ko) 1997-08-29 1997-08-29 실내 정전기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080U KR19990010704U (ko) 1997-08-29 1997-08-29 실내 정전기 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704U true KR19990010704U (ko) 1999-03-15

Family

ID=6969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080U KR19990010704U (ko) 1997-08-29 1997-08-29 실내 정전기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070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0704U (ko) 실내 정전기 방지 구조
KR940006853A (ko) 에어백 장치
JP2893624B2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JPH07225423A (ja) カメラ
KR200170697Y1 (ko) 자동차의 벨트 가이드 설치 구조
KR100307139B1 (ko) 전기자동차의모터컨트롤러장착구조
KR200146780Y1 (ko) 트림및 와이어링 장착용 브래킷
KR100209491B1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취부구조
CN117698622A (zh) 车辆
JPH1142992A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
JPS59176870U (ja) エレベ−タ−の乗かご
KR0158810B1 (ko) 해치 백 도어의 완충구조
KR200151620Y1 (ko) 휴대폰 설치구조
KR0155119B1 (ko) 화물실의 화물침입방지구조
JPS59117098A (ja) 静電気防止シ−ト
KR0168219B1 (ko) 자동차 조수석 에어백 시스템
KR0134217Y1 (ko) 자동차 도어의 정전기 방지장치
KR970000060Y1 (ko) 자동차조수석의 무릎보호브라켓트 설치구조
JPH06107101A (ja) エアバッグ装置
JPH0692195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9980026101U (ko) 차량 앞좌석용 보호 커버
KR19990019319U (ko) 트럭의 연료탱크 보호용 프로텍터
JPS59122306A (ja) ハ−ネス保護用プロテクタ
KR19980038561U (ko) 자동차의 카페트 설치구조
KR19980050885U (ko) 도어의 측면충돌 대응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