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3393U - 자동차용 패신저 에어 백의 오동작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패신저 에어 백의 오동작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3393U
KR19980013393U KR2019960026993U KR19960026993U KR19980013393U KR 19980013393 U KR19980013393 U KR 19980013393U KR 2019960026993 U KR2019960026993 U KR 2019960026993U KR 19960026993 U KR19960026993 U KR 19960026993U KR 19980013393 U KR19980013393 U KR 199800133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seat
airbag
seat bel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69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중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269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3393U/ko
Publication of KR199800133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3393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60R21/01546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using belt buckl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충돌 및 추돌사고시 탑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충돌과 동시에 팽창되는 에어 백중 조수석의 패신저 에어 백의 오동작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에어 백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를 조수석의 시트 벨트 버클에 설치하여 조수석에 탑승객이 없을 시 패신저 에어 백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패신저 에어 백의 오동작 방지 장치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자동차 실내의 사시도,
도 2 는 종래 에어 백의 계통도를 보인 자동차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킷 시트
(12) : 시트 벨트 버클
(14) : 버튼 스위치
[고안의상세한설명]
[고안의목적]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충돌 및 추돌사고시 탑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충돌과 동시에 팽창되는 에어 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수석 전방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패신저 에어 백이 조수석에 탑승자가 없을때에도 작동되어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패신저 에어 백의 오동작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안이속하는기술분야및그분야의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충돌 및 추돌사고시 탑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여러 가지 개발되어 상용되고 있는데, 우선적으로 개발되어 상용되고 있는 것으로는 안전 벨트가 있으며, 그후 에어 백이 개발되어 상용되고 있다.
상기 안전 벨트(또는 시트 벨트)는 자동차의 주행중 추돌이나 충격시 등의 충격력에 의해 발생되는 2 차적인 상해에서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탑승자의 위치를 가능한 한 시트(프런트, 리어시트)에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안전벨트는 탑승자를 시트에 고정시키는 지지점의 수에 따라서 2 점식 시트 벨트, 3 점식 시트 벨트, 4 점식 시트 벨트로 대별되고 있는데, 안전성이 측면에서는 3 점식 이상의 시트 벨트가 가장 바람직하며, 현재로는 상기 3 점식 시트 벨트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음과 동시에 리어 시트에도 안전벨트가 장착되는 자동차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자동차의 주행중에는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것이 의무화되고 있으며, 고속주행시는 물론 시속 30∼40Km/h의 충돌시에서도 안전벨트의 착용 유1W무에 따라 탑승자의 부상 정도는 많은 차이가 생긴다.
상기 2 점식 시트 벨트(lap belt)는 시트 벨트로 허리 좌1W우에 2 점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랩 벨트라고 하며, 랩(lap)은 시트에 걸터앉은 자세에서 허리부터 무릎 관절 부분까지를 말한다.
상기 3 점식 시트 벨트(lap and diagonal belt)는 일반 자동차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시트 벨트로서, 허리 좌1W우에 2 점과 어깨 위쪽 1 점에 고정시켜 탑승자를 3 점으로 시트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것은 허리를 구속하는 랩 벨트와 상체를 구속하는 숄더 벨트로 되어 있으며, 두 가닥이 한 줄에 연결되어 있는 형식을 연속 3 점식 시트 벨트, 따로 따로 분리되어 있는 타입을 분리 3 점식 시트 벨트라고 부르고 있다. 상기 분리 3 점식 시트 벨트는 랩 벨트만을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이러한 분리 3 점식 시트 벨트는 랩 벨트가 복부에 걸리지 않고 골반에 고정되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트 벨트는 자동차에 탑승함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시트 벨트가 탑승자에게 장착되는 오토매틱 벨트(automatic belt)가 있는데, 이러한 오토매틱 벨트는 탑승자가 시트 벨트를 매는 조작이 필요 없으며 자동적으로 장착됨으로 패시브 벨트라고도 한다.
상기한 시트 벨트는 벨트를 당겨사용한후 놓으면 자동적으로 감아 주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가 설치되고, 또한 벨트를 장착했을 때 압박감을 적게 하기 위하여 벨트가 감겨지는 힘을 적게 하는 텐션리듀서라는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리트랙터는 비 로크식과 긴급 로크식으로 대별되는데, 비 로크식은 어깨, 허리 벨트의 길이를 조정한 상태로 로크되고, 긴급 로크식은 정차중 또는 보통 주행중에는 벨트가 자유로이 신축할 수 있으나, 충돌시 자동차에 큰 감속도가 가해진 경우나 벨트의 인출 가속도가 큰 경우에 벨트를 로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 백(air bag)은 자동차의 충돌사고시 운전자와 스티어링 휠 사이 또는 조수석의 탑승객과 인스트루먼트 패널 사이에 충돌 순간 에어 백을 팽창하게 하여 부상을 최소한으로 줄이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에어 백 시스템으로는 운전자가 시트 벨트를 장착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여 대형 에어 백을 쓰는 시스템 또는 3 점식 시트 벨트를 장착했을 경우에 만든 약간 소형이면서 안면 보호를 목적으로한 SRS 에어 백 시스템의 두 종류가 있으며, 에어 백을 팽창하게 하는 방식에는 충돌을 센서에 의하여 전기로 감지하고 인플레이터에 통전 착화하는 전기식과, 감지 장치가 충돌을 감지하고 격침에 점화 제를 변화시키는 기계식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백은 자동차의 측면 충돌 사고시를 대비하여 도어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 백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자동차 실내에 설치되는 에어 백 시스템은 도 2 에서와 같이 프런트 범퍼 또는 이에 근접하는 위치로 충돌 감지 센서(26)가 설치되고, 이 충돌 감지 센서(26)의 센싱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함과 동시에 드라이버 에어 백(20) 및 패신저 에어 백(22)을 작동시키는 에어 백 콘트롤러(24)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에어 백 시스템은 자동차의 충돌 사고시 감지 센서(26)의 센싱 신호에 따라 에어 백 콘트롤러(24)가 드라이버 에어 백(20) 및 패신저 에어 백(22)을 동시에 팽창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조수석에 탑승자가 없을시에도 상기 패신저 에어 백(22)이 작동되어 사고처리후 패신저 에어 백(22)을 폐기처분하여야 하는등 비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고안이이루고자하는기술적과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충돌 및 추돌사고시 탑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충돌과 동시에 팽창되는 에어 백중 조수석 전방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패신저 에어 백이 조수석에 탑승자가 없을때에도 작동되어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패신저 에어 백의 오동작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에어 백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를 조수석의 시트 벨트 버클에 설치하여 조수석에 탑승객이 없을시 패신저 에어 백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용 패신저 에어 백의 오동작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고안의구성및작용]
도 1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패신저 에어 백의 오동작 방지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자동차용 패신저 에어 백의 오동작 방지 장치는 프런트 범퍼에 설치되어진 충격 감지 센서의 센싱 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드라이버 에어 백 및 패신저 에어 백을 작동시켜 팽창시키는 에어 백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버튼 스위치(14)와 이 버튼 스위치(14)가 장착되는 조수석 버킷 시트(10)의 시트 벨트 버클(12)로 구성된다.
상기 버튼 스위치(14)는 조수석의 탑승자가 버킷 시트(10)에 앉은 상태에서 시트 벨트를 착용후 조작함으로써 전원이 에어 백 콘트롤러에 인가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에어 백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튼 스위치(14)를 조수석의 시트 벨트 버클(12)에 설치하여 조수석에 탑승객이 없을시 패신저 에어 백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패신저 에어 백은 조수석의 탑승객이 시트 벨트 버클(12)의 버튼 스위치(14)를 온 시킨 상태에서 시트 벨트를 착용하여야 작동되는 것이다.
[고안의효과]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효과에 관해 설명하겠다.
조수석의 탑승객이 버킷 시트(10)은 앉은 상태에서 시트 벨트를 착용하고 시트 벨트 버클(12)에 장착된 버튼 스위치(14)를 조작하여 에어 백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여야만 자동차의 충돌 또는 추돌 사고시 드라이버 에어 백 및 패신저 에어 백이 작동됨과 동시에 조수석에 탑승객이 없을 시에는 드라이버 에어 백 만이 작동되어 팽창되고, 패신저 에어 백은 작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수석에 탑승객이 없을 시에는 패신저 에어 백이 작동되지 않게 되어 자동차의 충돌 및 추돌 사고시 불필요하게 작동되어 팽창됨으로써 폐기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패신저 에어 백을 효율적으로 작동되게 하여 경제적 잇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충돌 및 추돌 사고시 충격 감지 센서의 센싱 신호에 의해 에어 백 콘트롤러가 드라이버 에어 백 및 패신저 에어 백을 팽창시켜 탑승객을 보호하는 에어 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백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를 조수 석의 시트 벨트 버클에 설치하여 조수석에 탑승객이 없을시 패신저 에어 백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신저 에어 백의 오동작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신저 에어 백은 조수석의 탑승객이 시트 벨트 버클의 버튼 스위치를 온 시킨 상태에서 시트 벨트를 착용하여야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신저 에어 백의 오동작 방지 장치.
KR2019960026993U 1996-08-30 1996-08-30 자동차용 패신저 에어 백의 오동작 방지 장치 KR199800133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993U KR19980013393U (ko) 1996-08-30 1996-08-30 자동차용 패신저 에어 백의 오동작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993U KR19980013393U (ko) 1996-08-30 1996-08-30 자동차용 패신저 에어 백의 오동작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3393U true KR19980013393U (ko) 1998-06-05

Family

ID=53974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6993U KR19980013393U (ko) 1996-08-30 1996-08-30 자동차용 패신저 에어 백의 오동작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339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5641B2 (en) Inflatable seat belt system
JP2681441B2 (ja) 自動車の搭乗者拘束装置
US6352282B2 (en) Seat belt mounted airbag apparatus
JP2009154812A (ja) 乗員保護装置
GB2191450A (e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WO1995014592A1 (en) Portable motor vehicle safety airbag
JP2001163183A (ja) 乗員保護装置
US20020153715A1 (en) Vehicular passive safety device
JP4458387B2 (ja)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JP4161482B2 (ja) 乗員保護装置
WO2023185000A1 (zh) 安全气囊装置和组件
US6345838B1 (en) Inflatable knee bolster cover
JP2532323B2 (ja) 乗物用乗員拘束装置
JP3046783B2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KR19980013393U (ko) 자동차용 패신저 에어 백의 오동작 방지 장치
KR0180659B1 (ko) 자동차 리어 시트 탑승객 보호 장치
JP3879338B2 (ja) 乗員保護装置
KR0175244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프리텐션 장치
KR100373636B1 (ko) 에어백이구비된차량용안전벨트
KR100197138B1 (ko) 차량 에어백 시스템 제어장치
KR19980021918U (ko)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
KR0181014B1 (ko) 수동식 사이드 에어백 제어장치
KR100235731B1 (ko) 자동차의 충돌에 따른 승객 하락 방지장치
CN112660061A (zh) 双气囊系统及其使用方法
KR100302421B1 (ko) 에어백을이용한시트쿠션상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