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0665B1 - 인삼 김칫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 김칫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0665B1
KR102670665B1 KR1020230028956A KR20230028956A KR102670665B1 KR 102670665 B1 KR102670665 B1 KR 102670665B1 KR 1020230028956 A KR1020230028956 A KR 1020230028956A KR 20230028956 A KR20230028956 A KR 20230028956A KR 102670665 B1 KR102670665 B1 KR 102670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ginseng
kimchi
month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8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태
Original Assignee
김지태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태 filed Critical 김지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5Addition of, or treatment with, microorganisms or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4Dried sp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김칫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절임배추 20,0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기본양념 6,310 중량부와 채썬인삼 600 중량부를 포함하여 버무린 김칫소에 있어서, 상기 기본양념은 고춧가루 600 중량부, 새우젓 450 중량부, 멸치액젓 200 중량부, 다진생강 60 중량부, 찹살풀 1,000 중량부, 채썬대파 2,000 중량부, 채썬쪽파 1,000 중량부, 채썬무 1,00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임배추에 상기 김칫소를 채운 배추김치를 1~2개월용, 3~4개월용, 5~6개월용, 7~10개월용으로 숙성 개월 수에 따라 추가양념을 선택적으로 투입하되, 상기 추가양념은 사과 300 중량부, 배 700 중량부, 홍시 400 중량부를 믹서에 의해 혼합한 후 생굴 또는 생새우 중 어느 한 가지 또는 혼합된 생물 10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1~2개월용에 적용되는 김칫소는 상기 기본양념 6,310 중량부, 상기 채썬인삼 600 중량부, 상기 추가양념 2,400 중량부, 다진마늘 300 중량부, 당류 2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3~4개월용에 적용되는 김칫소는 상기 기본양념 6,310 중량부, 상기 채썬인삼 600 중량부, 상기 추가양념 2,400 중량부, 다진마늘 150 중량부, 당류 3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5~6개월용에 적용되는 김칫소는 상기 기본양념 6,310 중량부, 상기 채썬인삼 600 중량부, 다진마늘 50 중량부, 당류 4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7~10개월용에 적용되는 김칫소는 상기 기본양념 6,310 중량부, 상기 채썬인삼 600 중량부, 다진마늘 50 중량부, 당류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김칫소 조성물을 제안하여 인삼 고유의 쓴맛 없이 김치와 함께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섭취할 수 있으며, 김치의 풍미와 함께 인삼이 가미된 독특한 맛을 즐길 수 있는부감 없이 김치와 함께 인삼을 섭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삼 김칫소 조성물{Ginseng kimchiso composition}
본 발명은 인삼 김칫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삼 고유의 쓴맛 없이 김치와 함께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섭취할 수 있으며, 김치의 풍미와 함께 인삼이 가미된 독특한 맛을 즐길 수 있는 인삼 김칫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삼은 건조시킨 건삼과 건조시키지 않은 수삼이 있으며, 상기 인삼은 독이 없고 몸의 흐름을 바로 잡아주는 효력이 있어 예로부터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인삼의 효능은 문헌으로 규명되어 있다.
그리고 한민족이 즐겨먹는 김치는 과학적인 발효식품으로서 전국민이 예로부터 즐겨먹었으나, 김치가 맵거나 짜게 되어 어린이와 같이 즐기지 않는 사람이 많아지고, 또한 김치를 다량으로 섭취하기 곤란하여 섬유질을 다른 야채에서 섭취하거나 환자들은 자극성 때문에 섭취를 꺼리게 되어 점차 김치 소비량이 줄어드는 현실이다.
한편 상기된 인삼은 건강한 사람이나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 모두에게 장기간 복용할 경우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도와줄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평상시 많이 먹는 경우가 드물고, 또한 김치도 장기간 섭취하면 인체에 이로우나 인스턴트 식품과 패스트푸드에 길들여진 세대는 자극성 때문에 많이 섭취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인체의 건강을 보강하는데 유익한 약재로 이용되거나 식품가공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인삼의 김치화를 통해 건강식단을 제공하기 위한 인삼을 양념으로 첨가한 인삼김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인삼김치의 산도 조절 즉, 발효성분을 억제할 수 없어 발효균에 의한 발효진행이 계속하여 이루어지게 되므로 그 산도 조절이 불가능하여 장기간 보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김치담금에 있어서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김치의 발효시에 잡균의 번식으로 곰팡이의 발생과 신맛이 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장기간 보관하여 두고 먹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특허문헌 1은 배추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고, 이 절단된 배추와, 채썰기한 인삼(수삼)편과 각종 양념류을 혼합하거나, 인삼(수삼)과 각종 양념류를 분쇄한 상태의 액상은 추출하여 위의 배추와 혼합하여 5-10℃의 저장고에서 5-7일동안 발효숙성시킨 다음 통상의 캔에 밀봉충진한 상태로 120-135℃의 온도에서 30-50분동안 가열한 후 냉각하여 김치의 고유맛과 인삼의 약리작용과 풍미를 그대로 보존하면서 장기간 저장할 수 있는 특징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배추를 10%의 식염수와 약 5%의 에틸알코올을 첨가한 물에 8시가 정도 담그었다 꺼내어 물에 깨끗하게 씻어 물기를 거두고 공지의 양념에 별도로 인삼죽과 알코올과 우유를 배합하여 양념과 동량으로 배합하여 배추를 버무려 김치를 담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인삼에 의한 향미를 가미하고 꿀과 우유의 맛과 또한 알코올에 의한 발효촉진 및 잡균번식의 억제로 장기간 두고 동일한 김치맛을 유지하면서 먹을 수 있게 제안하였다.
특허문헌 3은 배추를 염수에 절여 염수가 2%선을 유지하도록 세절된 상태의 절임배추로 가공하는 단계와; 통상의 김치속 양념재료들을 준비하는 단계와; 인삼을 벌꿀 등이 가미된 된장혼합물 및 간장혼합물 등의 장류에 염장시켜 인삼장아찌로 가공하는 단계와; 이 인삼장아찌를 세절하여 인삼장아찌편으로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양념재료들과 인삼장아찌편에 조미료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절임배추와 인삼장아찌편이 포함된 양념혼합물을 70:30%의 비율로 혼합하여 총 절임염도가 2.4중량%로 유지되도록 김치를 가공하는 단계와; 이 김치를 15℃에서 6시간 방치시켜 숙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져 김치에 별도의 첨가제를 투입하거나 또는 특정재료를 과도하게 투입하지 않아도 염장에 의해 인삼의 쓴맛이 확실히 제거되어 섭취시 인삼의 쓴맛을 거의 느끼지 못하며, 이에 따라 인삼이 혼합된 김치를 그 본연의 상큼한 맛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으면서도 인삼의 약효를 직접적으로 인체에 섭치할 수 있게 하였다.
특허문헌 4는 새우젓과 멸치액젓에 일정비의 인삼즙을 혼합하여 제조한 인삼액젓과, 아미노산, 비타민 B, C 등 영양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 뽕잎을 각종 양념 및 부재료와 함께 절인 배추에 혼합하고, 김치 고명으로서 인삼, 대추, 밤 및 청각을 사용함으로써, 인삼, 뽕잎, 대추, 밤 등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영양소의 파괴없이 가공할 수 있고, 김치의 식감을 증가시켜 김치를 즐길 수 있으며, 충분한 영양소의 섭취로 인해 피를 맑게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각종 질병을 예방함으로써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10~20% 농도의 소금물에 배추를 6~8시간 절이는 배추절임단계와: 뽕잎, 미나리, 대추, 밤, 마늘, 생강, 파 및 무를 일정크기로 세절하는 부재료세절단계와: 새우젓과 멸치액젓을 2: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젓 30~40중량%에 인삼즙 60~70중량%를 혼합하여 일정 세공을 갖는 채에 걸러 인삼액젓을 제조하는 인삼액젓제조단계와: 물 60~70중량%에 찹쌀가루 30~40중량%를 투입하고 80~100℃에서 10~20분간 가열하는 찹쌀풀제조단계와: 상기 세절된 부재료에 인삼액젓, 찹쌀풀, 고춧가루, 소금 및 설탕을 혼합하는 소제조단계와: 상기 절인 배추에 소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및 고명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김치에 투입하는 고명투입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김치의 제조방법을 제안하였다.
특허문헌 5는 절여서 탈염과 탈수를 거친 배추를 건삼이나 수삼을 중탕한 인삼액에 담가주어 숙성시킴으로서 인체에 이로운 김치를 제조하는 것으로 절인 배추를 탈염하고 탈수시킨 후 고춧가루와 젖갈 및 무가 제외된 양념으로 속넣기를 하여 저장용기에 담고, 상기 저장용기에는 배추가 잠길 정도의 인삼액을 채우되 상기 인삼액은 인삼을 중탕하여 얻도록 하며, 인삼액에 잠긴 배추를 숙성시킴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배추에 인삼액이 침투되게 하여 김치를 먹을 때 인삼을 먹는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맵거나 짜지 않은 김치를 제공하였다.
특허문헌 6은 인삼을 1~2 mm 두께로 어슷썰기(슬라이스) 하여 배추김치를 양념에 버무릴 때 혼합하여 김치의 우수한 항암, 항생효과에 인삼의 사포닌 성분을 함유하여 고기능성분 들을 추가하였고 무의 첨가비율을 높여서 시원한 맛을 향상시켜 대한민국의 전통식품인 김치와 인삼을 세계속에 널리 전파하여 수출을 통한 외화 획득의 기회와 김치와 인삼의 종주국으로서의 맛과 효능에 대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김치에 인삼을 단순한 버무림으로 인삼의 특유 쓴맛을 상쇄하지 못해 일상에서 김치와 함께 섭취하기 어려우며, 김치 본연의 맛을 그대로 누구나 거부감 없이 김치와 함께 인삼을 섭취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삭제
KR 10-1994-0023380 A KR 10-0139716 B1 KR 10-0283922 B1 KR 10-2004-0019138 A KR 10-0496618 B1 KR 10-0991202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숙성기간에 따라 김칫소에 조합되는 조성물을 달리하여 인삼 고유의 쓴맛 없이 김치와 함께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섭취할 수 있으며, 김치의 풍미와 함께 인삼이 가미된 독특한 맛을 즐길 수 있는 인삼 김칫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임배추 20,0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기본양념 6,310 중량부와 채썬인삼 600 중량부를 포함하여 버무린 김칫소에 있어서, 상기 기본양념은 고춧가루 600 중량부, 새우젓 450 중량부, 멸치액젓 200 중량부, 다진생강 60 중량부, 찹살풀 1,000 중량부, 채썬대파 2,000 중량부, 채썬쪽파 1,000 중량부, 채썬무 1,00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임배추에 상기 김칫소를 채운 배추김치를 1~2개월용, 3~4개월용, 5~6개월용, 7~10개월용으로 숙성 개월 수에 따라 추가양념을 선택적으로 투입하되, 상기 추가양념은 사과 300 중량부, 배 700 중량부, 홍시 400 중량부를 믹서에 의해 혼합한 후 생굴 또는 생새우 중 어느 한 가지 또는 혼합된 생물 10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1~2개월용에 적용되는 김칫소는 상기 기본양념 6,310 중량부, 상기 채썬인삼 600 중량부, 상기 추가양념 2,400 중량부, 다진마늘 300 중량부, 당류 2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3~4개월용에 적용되는 김칫소는 상기 기본양념 6,310 중량부, 상기 채썬인삼 600 중량부, 상기 추가양념 2,400 중량부, 다진마늘 150 중량부, 당류 3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5~6개월용에 적용되는 김칫소는 상기 기본양념 6,310 중량부, 상기 채썬인삼 600 중량부, 다진마늘 50 중량부, 당류 4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7~10개월용에 적용되는 김칫소는 상기 기본양념 6,310 중량부, 상기 채썬인삼 600 중량부, 다진마늘 50 중량부, 당류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김칫소 조성물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인삼 고유의 쓴맛 없이 김치와 함께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섭취할 수 있으며, 김치의 풍미와 함께 인삼이 가미된 독특한 맛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삼 김칫소 조성물을 이용한 배추김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에서 도시된 각 시스템에서, 몇몇 경우에서의 요소는 각각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상이한 참조 번호를 가져서 표현된 요소가 상이하거나 유사할 수가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그러나 요소는 상이한 구현을 가지고 본 명세서에서 보여지거나 기술된 시스템 중 몇몇 또는 전부와 작동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된 다양한 요소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어느 것이 제1 요소로 지칭되는지 및 어느 것이 제2 요소로 불리는지는 임의적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자료 또는 신호를 '전송', '전달' 또는 '제공'한다 함은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자료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물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자료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인삼 김칫소 조성물은 절임배추 20,0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기본양념 6,310 중량부와 채썬인삼 600 중량부를 포함하여 버무려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양념은 고춧가루 600 중량부, 새우젓 450 중량부, 멸치액젓 200 중량부, 다진생강 60 중량부, 찹살풀 1,000 중량부, 채썬대파 2,000 중량부, 채썬쪽파 1,000 중량부, 채썬무 1,00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절임배추에 상기 김칫소를 채운 배추김치를 1~2개월용, 3~4개월용, 5~6개월용, 7~10개월용으로 숙성 개월 수에 따라 추가양념 1,400 중량부, 당류 및 마늘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가양념은 믹서에 의해 으깬 사과 300 중량부, 배 700 중량부, 홍시 400 중량부를 포함하되, 생굴 또는 생새우 중 어느 한 가지 또는 혼합된 생물 1000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한편, 상기 당류는 꿀 또는 설탕 중 어느 한 가지 또는 혼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1~2개월용, 3~4개월용, 5~6개월용, 7~10개월용은 각 개월 수만큼 숙성함에 따라 마늘 및 생물의 투입량을 축소하고, 당류의 투입량을 증가하는 차이를 두어 먹었을 때, 최적의 맛과 식감은 물론, 인삼의 독특한 쓴맛 없이 즐길 수 있다.
이때, 배추김치의 적정 숙성 온도는 1~4℃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1~2개월용에 적용되는 김칫소는 기본양념, 채썬인삼, 추가양념, 다진마늘 300 중량부, 당류 2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절임배추 20,000 중량부(20kg)에 속을 채워 밀폐 포장한 후 1~2개월 내에 개봉하여 취식하는 것으로 생과일을 포함하되, 수산생물을 포함함으로 짧은 기간에 빠른 숙성도에 의해 배추김치의 익힘 정도에 차이가 있다.
상기 3~4개월용에 적용되는 기본양념, 채썬인삼, 추가양념 150 중량부, 다진마늘, 당류 3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절임배추 20,000 중량부(20kg)에 속을 채워 밀폐 포장한 후 3~4개월 내에 개봉하여 취식하는 것으로 생과일을 포함한 추가양념과 수산생물을 포함함으로 짧은 기간에 빠른 숙성도에 의해 배추김치의 익힘 정도에 차이가 있다.
상기 5~6개월용에 적용되는 기본양념, 채썬인삼, 다진마늘 50 중량부, 당류 4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절임배추 20,000 중량부(20kg)에 속을 채워 밀폐 포장한 후 5~6개월 내에 개봉하여 취식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맛을 느낄 수 있다.
상기 7~10개월용에 적용되는 기본양념, 채썬인삼, 다진마늘 50 중량부, 당류 5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절임배추 20,000 중량부(20kg)에 속을 채워 밀폐 포장한 후 7~10개월 내에 개봉하여 취식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맛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삼 김칫소 조성물을 이용한 배추김치 제조과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준비단계(S100), 제2준비단계(S200), 투입단계(S300), 포장단계(S400)를 순서로 배추김치를 제조할 수 있다.
제1준비단계(S100)는 통상의 생배추를 절일 수 있는 식염수를 이용해 절여진 절임배추를 준비한다.
제2준비단계(S200)는 기본양념 및 채썬인삼을 버무려 김칫소를 준비할 수 있다.
투입단계(S300)는 절임배추에 김칫소를 넣어 만든 배추김치의 숙성 개월 수에 따라 김칫소에 추가양념, 당류 및 마늘을 선택적으로 투입하여 1~2개월용, 3~4개월용, 5~6개월용, 7~10개월용의 김칫소를 각각 제조할 수 있다.
포장단계(S400)는 절임배추에 숙성 개월 수 별로 제조된 김칫소를 채운 배추김치를 1~2개월용, 3~4개월용, 5~6개월용, 7~10개월용으로 개별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숙성 기간의 온도는 1~4℃로 적용하여 배추김치의 최적의 숙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인삼 고유의 쓴맛 없이 김치와 함께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섭취할 수 있으며, 김치의 풍미와 함께 인삼이 가미된 독특한 맛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S100: 제1준비단계
S200: 제2준비단계
S300: 투입단계
S400: 포장단계

Claims (6)

  1. 절임배추 20,0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기본양념 6,310 중량부와 채썬인삼 600 중량부를 포함하여 버무린 김칫소에 있어서,
    상기 기본양념은 고춧가루 600 중량부, 새우젓 450 중량부, 멸치액젓 200 중량부, 다진생강 60 중량부, 찹살풀 1,000 중량부, 채썬대파 2,000 중량부, 채썬쪽파 1,000 중량부, 채썬무 1,00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임배추에 상기 김칫소를 채운 배추김치를 1~2개월용, 3~4개월용, 5~6개월용, 7~10개월용으로 숙성 개월 수에 따라 추가양념을 선택적으로 투입하되,
    상기 추가양념은 사과 300 중량부, 배 700 중량부, 홍시 400 중량부를 믹서에 의해 혼합한 후 생굴 또는 생새우 중 어느 한 가지 또는 혼합된 생물 10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1~2개월용에 적용되는 김칫소는 상기 기본양념 6,310 중량부, 상기 채썬인삼 600 중량부, 상기 추가양념 2,400 중량부, 다진마늘 300 중량부, 당류 2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3~4개월용에 적용되는 김칫소는 상기 기본양념 6,310 중량부, 상기 채썬인삼 600 중량부, 상기 추가양념 2,400 중량부, 다진마늘 150 중량부, 당류 3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5~6개월용에 적용되는 김칫소는 상기 기본양념 6,310 중량부, 상기 채썬인삼 600 중량부, 다진마늘 50 중량부, 당류 4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7~10개월용에 적용되는 김칫소는 상기 기본양념 6,310 중량부, 상기 채썬인삼 600 중량부, 다진마늘 50 중량부, 당류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김칫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30028956A 2023-03-06 인삼 김칫소 조성물 KR102670665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0665B1 true KR102670665B1 (ko) 2024-05-30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715B1 (ko) 부대찌개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3719932A (zh) 即食膨化鳀鱼的加工方法
KR100692297B1 (ko) 노가리 육수를 이용한 김치 제조 방법 및 그 김치
KR100415765B1 (ko) 뽕잎분말을 함유하는 닭고기 가공식품
KR100515973B1 (ko) 식품 보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KR20150078709A (ko) 단호박 및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백김치 조성물
KR20210060232A (ko) 반지김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반지김치
KR102670665B1 (ko) 인삼 김칫소 조성물
EP3763224A1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jellyfish intended for human consumption without the use of aluminium salts and products/ingredients obtained by this process
KR20100041001A (ko) 회 막장제조방법
KR100948994B1 (ko) 닭가슴살 훈제구이 제조방법
KR101864352B1 (ko) 오미자가 함유된 젓갈의 제조방법 및 그 젓갈
KR101993696B1 (ko) 알카리수 만두 부대 찌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13144B1 (ko) 전복 게우젓 및 그 제조방법
CN102697024B (zh) 一种螺酱及其加工工艺
KR101866365B1 (ko) 콩나물 짬뽕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60117412A (ko) 육류용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721282B1 (ko) 과메기 안초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과메기안초비
JP2004350507A (ja) 唐辛子の糀醤油漬食用たれ及び該たれの製造方法
KR100454662B1 (ko) 전분이 도포된 동결건조 송이버섯 및 이를 이용한송이버섯 김치
KR20200048120A (ko) 청양고추와 젓갈을 이용한 무채김치의 제조방법
KR102620907B1 (ko) 아귀를 이용한 반지김치의 제조방법
KR101972975B1 (ko) 동치미 냉면 육수의 제조방법
KR102057273B1 (ko) 동결새우 및 특화된 간장을 이용한 숙성 급랭 방식의 절임새우 제조방법
KR20170139864A (ko) 함초소금을 이용한 닭가슴살 훈제구이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