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0332B1 -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0332B1
KR102670332B1 KR1020180171028A KR20180171028A KR102670332B1 KR 102670332 B1 KR102670332 B1 KR 102670332B1 KR 1020180171028 A KR1020180171028 A KR 1020180171028A KR 20180171028 A KR20180171028 A KR 20180171028A KR 102670332 B1 KR102670332 B1 KR 102670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locking
vehicle
unit
door handl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0983A (ko
Inventor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1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03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80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60R25/252Fingerprint recogn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가동되어 상기 스위치를 절환시키는 스위치 노브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시소 운동을 실행 가능한 텀블러 스위치 노브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수직 직선 운동을 실행 가능한 푸시 스위치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텀블러 스위치 노브의 가동에 의하여 절환 가능한 텀블러 스위치와, 상기 푸시 스위치 노브의 가동에 의하여 절환 가능한 푸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VEHICLULAR FLUSH DOOR HANDLE UNIT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어 핸들 유니트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체의 도어 내 수용 내지 인출 가능하고 비상시 해제 가능한 구조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및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이 차량에 배치되는데, 차량의 실내 조명 내지 전조등의 조명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가변 스위치도 배치된다.
뿐만 아니라, 전장 장치의 편의성과 더불어 외관의 미학적 요소를 가미함과 동시에, 공기 저항 계수(CD;Coefficient of Drag)를 최소화하려는 다양한 시도에 부합하여 차량의 외형상 돌출 내지 저항 유발 요소들을 최소화하려는 생산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일예는 차량의 리어뷰미러리스의 카메라 전장화와 더불어, 차량의 도어 핸들의 내장화를 예로 들 수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인출 가능한 방식의 차량 도어 핸들의 경우, 차량의 비상 사태, 즉 차량 방전 등이 발생하는 경우, 비상키를 통한 물리적 동작으로 차량 도어록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가동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물리적 키 수반을 요건으로 하는 경우, 대부분의 운전자가 비상키를 상시 휴대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리적 키의 수반을 불요하게 하는, 상시 차량 운전자 ID 확인이 가능하게 하고, 특히 차량 방전시 비상 도어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 운전자 ID 확인이 가능한 방식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자에 의하여 그립 가능한 도어 핸들 그립부(110) 및 일단은 상기 도어 핸들 그립부(1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차량 도어(D) 내부에 배치되고 차량 도어에 배치되고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으로 작동되는 플러시 구동부를 통하여 상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 핸들 서포터(120)를 구비하는 플러시 도어 핸들(100)과,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으로 플러시 구동부가 작동하지 않는 비상 상황시 운전자의 정보를 확인하여 차량 도어록을 언록킹시키는 언록킹 모듈(200)을 구비하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핸들 서포터(12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핸들 서포터(120)는 한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플러시 도어 핸들(100)은: 차량 도어(D)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 핸들 서포터(120)의 타단 측에 인출 구동력을 제공하는 플러시 구동부(20)와, 상기 플러시 구동부(20)와 상기 도어 핸들 서포터(120)를 연결하여 상기 플러시 구동부(20)의 구동력을 상기 도어 핸들 서포터(120)로 전달하는 플러시 구동 전달부(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모듈(200)은: 차량 방전시, 차량 도어록 해제를 위한 비상 대기 절환되는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를 포함하는 언록킹 메인 모듈(220)과, 차량 도어에 배치되어 상기 언록킹 메인 모듈(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언록킹 전원부(230)와,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의 인식 제어 신호에 따라 운전자의 ID 정보를 취득하는 언록킹 ID 인식부(210)와,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의 언록킹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차량 도어록을 해제시키도록 차량 도어록 해제 구동력을 제공하는 언록킹 구동부(2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운전자의 지문을 감지하는 언록킹 지문 센서일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메인 모듈(220)은 운전자의 지문 정보를 저장하는 언록킹 모듈 저장부(225)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상기 도어 핸들 서포터(12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차량 도어 측에 배치되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도어 핸들 그립부(110)에 의하여 덮여질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상기 도어 핸들 그립부(110)의 차량 도어를 향한 내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외부 운전자 정보 인식 판단 가능 장치로부터 운전자 ID 확인 정보를 입력받는 언록킹 모듈 통신부(210a)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메인 모듈(220)은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와 연결되는 언록킹 모듈 저장부(225)를 구비하고, 외부 운전자 정보 인식 판단 가능 장치는 지문 인식 가능하고 운전자 정보 확인 가능하고 상기 언록킹 모듈 저장부(225)에 기기 등록 정보가 저장된 지문 인식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전원부(230)는 차량 정상시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 충전이 이루어지는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를 포함하고, 차량 방전시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의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의 비가동시 절전 대기 상태를 형성하는 절전 전원 공급 상태 및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의 가동시 필요한 최소 전원 공급 상태를 절환시킬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전원부(230)는: 차량 정상시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 충전이 이루어지는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와, 상기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의 방전시 외부 전원 비상 공급을 위한 언록킹 전원 공급 터미널(231)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운전자에 의하여 그립 가능한 도어 핸들 그립부(110) 및 일단은 상기 도어 핸들 그립부(1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차량 도어(D) 내부에 배치되고 차량 도어에 배치되고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으로 작동되는 플러시 구동부를 통하여 상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 핸들 서포터(120)를 구비하는 플러시 도어 핸들(100)과,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으로 플러시 구동부가 작동하지 않는 비상 상황시 운전자의 정보를 확인하여 차량 도어록을 언록킹시키는 언록킹 모듈(200)을 구비하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S10)와, 차량 방전 상태 시 최대 절전 상태의 방전 모드로 진입하고 운전자의 차량 도어락 해제 시도를 확인 대기하는 이머젼시 대기 모드 실행 단계(S13)와, 상기 이머젼시 대기 모드 실행 단계(S13)에서 운전자의 차량 도어락 해제 시도가 확인되는 경우 운전자 ID를 확인하고 차량 도어락을 언록킹 해제 여부를 실행하는 이머젼시 언록킹 모드 실행 단계(S15)를 포함하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모듈(200)은: 차량 방전시, 차량 도어록 해제를 위한 비상 대기 절환되는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를 포함하는 언록킹 메인 모듈(220)과, 차량 도어에 배치되어 상기 언록킹 메인 모듈(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언록킹 전원부(230)와,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의 인식 제어 신호에 따라 운전자의 ID 정보를 취득하는 언록킹 ID 인식부(210)와,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의 언록킹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차량 도어록을 해제시키도록 차량 도어록 해제 구동력을 제공하는 언록킹 구동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운전자의 지문을 감지하는 언록킹 지문 센서이고, 상기 언록킹 전원부(230)는 차량 정상시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 충전이 이루어지는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를 포함하고, 상기 이머젼시 대기 모드 실행 단계(S13)는: 차량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신호가 사전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는 차량의 방전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의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의 비가동시 절전 대기 상태를 형성하는 절전 전원 공급 상태로 진행되는 방전 모드 진입 단계(S20)와, 운전자의 차량 도어락 해제 의지를 확인하는 언록 이니시에이션 확인 단계(S30)와, 상기 언록 이니시에이션 확인 단계(S30)에서 확인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언록 이니시에이션 판단 단계(S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메인 모듈(220)은 운전자의 지문 정보를 저장하는 언록킹 모듈 저장부(225)를 구비하고, 상기 이머젼시 언록킹 모드 실행 단계(S15)는: 상기 언록 이니시에이션 확인 단계(S30)에서 운전자의 차량 도어락 해제 의지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가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를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의 가동시 필요한 최소 전원 공급 상태를 절환시키는 언록 대기 단계(S50)와, 상기 언록 대기 상태(S50)에서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를 통하여 운전자에 의한 지문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가 상기 언록킹 모듈 저장부(225)에 저장되는 운전자의 지문 정보와 비교하여 운전자의 ID를 확인하는 사용자 ID 확인 단계(S70)와, 상기 사용자 ID 확인 단계(S80)에서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를 통하여 이루어진 지문 입력이 상기 언록킹 모듈 저장부(225)에 저장된 운전자의 지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가 차량 도어록을 해제시키도록 차량 도어록 해제 구동력을 제공하는 언록킹 구동부(240)에 언록킹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언록킹 구동 단계(S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공 단계(S10)와, 상기 이머젼시 대기 모드 실행 단계(S13)와의 사이에 이머젼시 대기 모드를 실행하여야 할지 아니면 정상 운전자 ID 확인 단계를 실행하여야 할지를 결정하는 이머젼시 판단 단계(S12)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은, 물리적 키를 수반하지 않고 운전자 ID 정보 확인을 통하여 상시 차량 도어 개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차량 방전 등 비상시 차량 도어 개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지문 인식이 가능한 언록킹 ID 인식부를 통하여 상시 차량 개방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차량 방전 비상 상태에서의 차량 개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키엔트리시스템과 스마트키 연동 구조 하에서 기계식 물리적 키의 수반을 배제하여 스마트키의 설계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종래 통상적인 차량 도어록과의 연동을 가능하게 하여 설계 자유도 극대화시키고 비용 요소를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의 차량 도어(D)에 매립된 상태 및 인출된 상태의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의 매립된 상태의 개략적인 투영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과 스마트키의 정상 연동 과정을 통하여 인출된 상태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의 개략적인 투영 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의 매립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과 스마트키의 정상 연동 과정을 통하여 인출된 상태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과 스마트키의 정상 연동되지 않는 차량 방전 상태와 같은 비상 상태에서 수동적인 도어 핸들 그립부(110)의 수동적 인출로 도어 핸들 서포터(120)의 비상 부분 인출 과정을 통하여 인출된 상태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의 개략적인 단면도 및 부분 투영 사시도이다.
도 9는 변형된 형태의 하기되는 도어 핸들 서포터(120)가 한 개 구비되는 경우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에 대한 개략적인 투영 상태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변형된 형태의 언록킹 ID 인식부의 배치 변형 상태이다.도 12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과 스마트키의 정상 연동되지 않는 차량 방전 상태와 같은 비상 상태에서 한 개가 구비되는 도어 핸들 서포터(120)의 수동적 인출로 비상 부분 인출 과정을 통하여 인출된 상태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의 개략적인 부분 투영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의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변형된 형태의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의 변형 구조의 블록 선도가 도시된다.
도 15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과 스마트키의 정상 연동 과정을 통하여 인출된 상태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의 변형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의 제어 과정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는 플러시 도어 핸들(100)과, 언록킹 모듈(20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차량 도어(D)에 매립된 상태 및 인출된 상태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매립된 상태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의 매립 상태의 개략적인 투영 상태가 도시되고, 도 4에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과 스마트키의 정상 연동 과정을 통하여 인출된 상태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의 개략적인 투영 상태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매립된 상태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의 매립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과 스마트키의 정상 연동 과정을 통하여 인출된 상태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7 및 도 8에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과 스마트키의 정상 연동되지 않는 차량 방전 상태와 같은 비상 상태에서 도어 핸들 서포터(120)의 비상 부분 인출 과정을 통하여 인출된 상태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의 개략적인 단면도 및 부분 투영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9에는 변형된 형태의 하기되는 도어 핸들 서포터(120)가 한 개 구비되는 경우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에 대한 개략적인 투영 상태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10 및 도 11에는 변형된 형태의 언록킹 ID 인식부의 배치 변형 상태가 도시되고, 도 12에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과 스마트키의 정상 연동되지 않는 차량 방전 상태와 같은 비상 상태에서 한 개가 구비되는 도어 핸들 서포터(120)의 비상 부분 인출 과정을 통하여 인출된 상태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의 개략적인 부분 투영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13에는 본 발명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의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고, 도 14에는 본 발명의 변형된 형태의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의 변형 구조의 블록 선도가 도시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시 도어 핸들(100)은 차량의 차량 도어(D)에 매립 및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언록킹 모듈(200)은 차량의 비상 상태, 예를 들어 차량 방전 상태 등과 같이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을 통한 차량 도어의 개폐가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차량 도어의 비상 개방을 이루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차량 도어(D)에 배치되는 차량 도어록 등은 종래의 통상적인 록킹 유니트로 형성되는바, 이러한 차량 도어락 등의 구성에 대하여는 별도의 설명은 일반적인 사항으로 대체한다.
보다 자세하게, 본 발명의 플러시 도어 핸들(100)은 도어 핸들 그립부(110)와 도어 핸들 서포터(120)를 포함한다.
도어 핸들 그립부(110)는 운전자에 의하여 그립 가능한 구성요소로, 특히 운전자가 그립할 수 있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바아 형태로 구현된다. 도어 핸들 그립부(120)에는 정전용량 센서와 같이 운전자의 그립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그립 센서(130)가 구비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면 부호 130으로 표시되는 부분은 별도의 그립 센서가 배제되는 경우 도어 핸들 그립부의 작동 준비 상태 내지 운전자의 접근시,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웰컴 시그널을 제공하기 위한 시그널 램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어 핸들 서포터(120)는 일단이 도어 핸들 그립부(1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차량 도어(D) 내부에 배치된다. 도어 핸들 서포터(120)는 각각의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도어 핸들 서포터(120)는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 도어 핸들 서포터(120)는 복수 개, 즉 두 개가 구비되는데, 도어 핸들 서포터(120)는 사전 설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되 도어 핸들 서포터(120)의 각각이 도어 핸들 그립부(110)에 연결되되, 도어 핸들 그립부(110)와 도어 핸들 서포터(120) 간의 연결은 힌지 연결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비상 상황의 경우 수동적인 도어 핸들 그립부(110)의 시소 동작을 통한 수동적 인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어 핸들 서포터(120)는 단수 개, 즉 한 개만이 배치될 수도 있는데, 도어 핸들 그립부(110)와 도어 핸들 서포터(120) 간의 연결은 힌지 연결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비상 상황의 경우 수동적인 도어 핸들 그립부(110)의 시소 동작을 통한 수동적 인출을 가능하게 한다. 단수 개의 도어 핸들 서포터(120)의 경우 도어 핸들 그립부(110)와의 연결 지점은 일측으로 편중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전체적인 동작 구현 면에서 비상 상황시 대응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어 핸들 서포터(120)와 도어 핸들 그립부(110) 간의 힌지 상대 가동은 필요에 따라 허용 내지 방지되는 별도의 구성이 더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이머젼시 상태에서의 대응 가능 구조를 중점으로 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힌지 가동 허용 제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어 핸들 서포터(120)는 차량 도어에 배치되는데, 본 발명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는 차량에 배치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으로 작동 가능하다. 즉, 평상적인 노멀 상태의 경우, 스마트키를 구비한 운전자가 접근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하여 운전자 웰컴 기능의 일환으로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의 가동, 즉 도어 핸들 서포터(120)가 가동되어 도어 핸들 서포터(120)에 연결되는 도어 핸들 그립부(110)를 차량 도어(D)의 일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도어 핸들 서포터(120)가 가동되어 도어 핸들 서포터(120)와 연결된 도어 핸들 그리퍼(110)의 외부 인출을 가능하게 하고, 도어 그립퍼(110)의 당김을 통한 소정의 차량 도어록의 해제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러시 도어 핸들(100)은 플러시 구동부(20)와 플러시 구동 전달부(30)를 포함한다. 플러시 구동부(20)는 차량 도어(D)에 배치되고 도어 핸들 서포터(120)의 타단 측에 인출 구동력 내지 매립 구동력을 제공하는데, 플러시 구동부(20)는 소정의 모터로 구현된다. 플러시 구동 전달부(30)는 플러시 구동부(20)와 도어 핸들 서포터(120)를 연결하여 플러시 구동부(20)의 구동력을 도어 핸들 서포터(120)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플러시 구동 전달부(30)는 플러시 구동 피니언(31)과 플러시 구동 랙(33)을 포함하는데, 플러시 구동 피니언(31)은 전기 모터로 구현되는 플러시 구동부(20)에 연결되고 플러시 구동 랙(33)은 플러시 구동 피니언(31)과 치합되고, 플러시 구동 랙(33)의 일단은 도어 핸들 서포터(120)와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경우 도어 핸들 그립부(110)에 두 개의 도어 핸들 서포터(120)가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고, 각각의 도어 핸들 서포터(120)에 플러시 구동 랙(33)이 직접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고, 각각 개별 플러시 구동부(20)를 통하여 개별 구동되는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도어 핸들 그립부 및 도어 핸들 서포터의 인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조일뿐,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플러시 구동부(20)와 플러시 구동 랙 내지 플러시 구동 피니언 사이에 플러시 구동부의 속도를 줄이고 토크를 증대시키는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고, 플러시 구동 전달부(30)는 랙-피니언 구조가 아닌 워엄 기어 치합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도 있고, 도 3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두 개의 도어 핸들 서포터(120)에 대하여도 개별 구동이 아닌 단일 플러시 구동부(20)를 통한 연결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기어 치합 전달 구조 이외 와이어-풀리 전동 전달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모터-리드스크류 전동 전달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플러시 구동부와 도어 핸들 서포터가 서로 상이한 평면 상에 위치를 달리하여 다양한 동력 전달 구조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운전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키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의 연동으로,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는 플러시 작동되어 차량의 도어에 매립된 상태로부터 외부로 인출되고 탑승을 위하여 운전자에 의한 차량 도어의 개방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과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의 노멀 상태에서의 차량 도어록 해제 기능 및 노멀 상태에서의 차량 도어록과 도어 핸들 그립부(110)의 당김 등의 동작에 의한 차량 도어록 해제 연동 구조는 통상적인 사항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이 경우 하기되는 본 발명의 언록킹 모듈(200)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비상 상황이 아닌 상시 상태에서도 운전자 ID, 예를 들어 하기되는 운전자 내지 등록된 탑승자의 지문 정보 확인을 통한 상시 도어록 해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음은 하기되는 본 발명의 내용으로부터 명백하다.
한편, 본 발명의 언록킹 모듈(200)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으로 플러시 구동부가 작동하지 않는 비상 상황시 운전자의 정보를 확인하여 차량 도어록을 언록킹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언록킹 모듈(200)은 언록킹 메인 모듈(220)과 언록킹 전원부(230)와 언록킹 구동부(240)를 포함한다.
언록킹 메인 모듈(220)은 차량 방전시, 차량 도어록 해제를 위한 비상 대기 절환된다. 언록킹 메인 모듈(220)은 차량 방전 등의 비상 상황시, 차량 배터리 내지 차량의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기 신호가 사전 설정된 값 이하의 값이거나 내지는 차량의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 및/또는 차량의 제어부를 통하여 별도의 방전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언록킹 메인 모듈(220)은 하기되는 자체의 비사용 배터리 등의 가동 상태를 최장 사용 가능한 상태를 형성하기 위한 최대 절전 모드 상태를 형성하도록 한다.
언록킹 메인 모듈(220)은 언록킹 모듈 기판(221)과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를 포함한다.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는 언록킹 모듈 기판(221)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언록킹 모듈 기판(221)은 소정의 배선 연결 구조를 취하여 하기되는 언록킹 전원부(230) 내지 언록킹 구동부(240)와의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하기 언록킹 메인 모듈(220)은 하기되는 언록킹 모듈 저장부(225)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언록킹 모듈 저장부(225)도 언록킹 모듈 기판(221) 상에 배치되어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와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언록킹 모듈 저장부(225)는 하기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는데, 사전 설정 데이터에는 운전자 지문 정보(여기서, 운전자라 칭하였으나, 등록된 사람의 지문 정보를 포함)를 포함하는 운전자 ID 정보가 포함된다.
언록킹 전원부(230)는 차량 도어에 배치되고 언록킹 메인 모듈(220)과 연결된다. 언록킹 전원부(230)는 언록킹 메인 모듈(220)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언록킹 메인 모듈(220)의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를 통한 전원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경우에 따라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는 별도의 전원 제어없이 단순 연결을 통하여 하기되는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 및 언록킹 ID 인식부(210) 및 언록킹 구동부(240)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언록킹 전원부(230)는 통상적인 차량의 배터리 내지 배터리 모듈 매니지먼트 시스템과 직접 연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언록킹 모듈(200)이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비상 상황이 아닌 상시 상태에서도 운전자 ID, 예를 들어 하기되는 운전자 내지 등록된 탑승자의 지문 정보 확인을 통한 상시 도어록 해제 기능을 구현되는 경우, 언록킹 전원부(230)는 통상적인 차량의 배터리 내지 배터리 모듈 매니지먼트 시스템과 직접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여, 상시 운전자 ID 확인의 경우에도 활용 가능하다.
언록킹 전원부(230)는 비상 상황에서의 운전자 ID 인식 동작을 통한 도어록 해정의 기능을 구현 간으하도록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를 포함한다.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는 차량 정상시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 충전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차량의 배터리 모듈 매니지먼트 시스템으로부터 정상 주행 운전시 언록킹 메인 모듈(220)이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의 충전 상태를 체크하고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의 충전량이 사전 설정 값 이하라고 판단되어 충전이 필요하다 판단되는 경우 소정의 충전 모드 실행이 가능하다.
또한,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는 언록킹 메인 모듈(220)과 상시 연결 상태를 형성한다. 언록킹 메인 모듈(220)의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는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어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로부터 전원 공급 신호를 받을 수도 있고,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가 다른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 소정의 제어 과정을 실행하도록 전원 공급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도 있다.
특히, 비상 상황으로 차량 방전시, 즉 차량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제한 내지 차단되는 경우, 언록킹 메인 모듈(220)의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가 이를 감지하고,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는 언록킹 전원부(230)의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에 전원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어,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는 언록킹 전원부(230)의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를 절전 전원 공급 상태 및 최소 전원 공급 상태로 절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절전 전원 공급 상태는 언록킹 ID 인식부(210)의 비가동시 절전 대기 상태를 형성하는 상태를 지칭하는 것이고, 최소 전원 공급 상태는 언록킹 ID 인식부(210)의 가동시 필요한 최소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를 지칭하는데, 절전 전원 공급 상태 및 최소 전원 공급 상태의 상태 절환은 별도의 센서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언록킹 ID 인식부(210)에 내장되는 기능, 예를 들어 정전용량 기능을 포함하는 언록킹 ID 인식부(210)의 절전 전원 공급 상태시 입력되는 정전 용량 신호의 변화 값을 감지하고, 이를 통한 신호의 변화가 확인되는 경우 최소 대기 상태로 절환시켜 운전자에 의한 언록킹 ID 인식부(210)를 통한 운전자의 ID 확인, 예를 들어 지문 인식 등의 본격적인 ID 확인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언록킹 전원부(230)는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 이외 초 비상 상태에서의 긴급 도어록 해제를 위한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언록킹 전원부(230)는 언록킹 전원 공급 터미널(231)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언록킹 전원 공급 터미널(231)은 운전자 등의 사용자에 의하여 긴급 전원 공급을 받기 위한 단자로서, 차량 도어락을 해제하기 위한 하기되는 언록킹 구동부(240)를 구동시키기 위한 긴급 전원 공급 단자로 구현된다.
앞서 언급된 언록킹 전원부(230)의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마저 최종 방전되어 더 이상의 내장 전원 공급이 불가능할 때, 운전자는 외부 전원 장치, 예를 들어 9V 배터리 등을 언록킹 전원 공급 터미널(231)에 접촉하여 비상 외부 전원 공급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비상 외부 전원 공급 상태시 공급되는 외부 전원을 통하여 언록킹 메인 모듈(220) 및 언록팅 ID 인식부(210)가 기동되고, 앞서 언급된 최소 전원 공급 상태로 가동되어 운전자의 ID 정보, 예를 들어 지문 정보와 같은 정보가 언록킹 ID 인식부(210)를 통하여 입력되어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로 전달되고,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는 언록킹 모듈 저장부(225)에 저장되는 운전자 지문 정보와 비교하여 언록킹 구동부(240)로 언록킹 구동 제어 신호 인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따라 언록킹 구동부(240)의 가동 여부가 결정된다.
언록킹 구동부(240)는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의 언록킹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차량 도어록을 해제시키도록 차량 도어록 해제 구동력을 제공한다. 언록킹 구동부(240)는 언록킹 구동 모터(241)와 언록킹 구동 전달부(243;2431,2433)를 포함한다.
언록킹 구동 모터(241)는 전기 모터로 구현되고, 언록킹 구동 전달부(243;2431,2433)는 언록킹 구동 모터(241)에 연결된다. 차량 도어록은 차체에 배치되는 차량 도어록커(미도시)와 차량 도어록커와 맞물림 가능하고 차량 도어록커캐쳐(미도시)가 배치되는데, 차량 도어록커캐쳐와 연결되는 차량 도어록커와이어(W)를 포함한다. 언록킹 구동 전달부(243;2431,2433)의 적어도 일부는 차량 도어록의 적어도 일부, 즉 차량 도어록커와 차량 도어록커캐쳐의 맞물림 록커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하여 차량 도어록커와 연결되는 차량 도어록커와이어(W)와 연결된다.
즉, 언록킹 구동 전달부(243;2431,2433)는 언록킹 구동 모터 기어(2431)와 언록킹 구동 와이어 기어(2433)를 포함한다.
언록킹 구동 모터 기어(2431)는 언록킹 구동 모터(241)의 언록킹 구동 모터 축에 연결되고, 언록킹 구동 와이어 기어(2433)는 앞서 기술한 차량 도어록커와이어(W)와 연결된다. 언록킹 구동 모터 기어(2431)와 언록킹 구동 와이어 기어(243)는 서로 치합된다. 본실시예에서 언록킹 구동 모터 기어(2431)와 언록킹 구동 와이어 기어(243)는 워엄 기어 타입으로 구현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서로 치합되어 언록킹 구동 모터(241)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의 인식 제어 신호에 따라 운전자의 ID 정보를 취득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운전자의 지문을 감지하는 언록킹 지문 센서로 구현된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언록킹 메인 모듈(220)은 운전자의 지문 정보를 저장하는 언록킹 모듈 저장부(225)를 구비하고, 언록킹 ID 인식부(2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운전자 ID 정보, 즉 입력되는 운전자 지문 정보와 언록킹 모듈 저장부(225)에 저장된 사전 설정 데이터로서 저장된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 정보를 비교하여 언록킹 구동 모터(241)의 가동 여부가 결정된다.
한편, 이와 같은 언록킹 ID 인식부(210)의 배치 위치는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 배치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도어 핸들(100)의 도어 핸들 서포터(120)에 배치되어 차량 도어(D)로부터 도어 핸들 서포터(120)가 인출되는 경우 운전자에 의한 운전자 ID 정보, 즉 지문 인식이 가능한 상태를 형성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도어 핸들(100)의 도어 핸들 서포터(120)에 배치되는 타입의 경우,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차량 도어(D)로부터 도어 핸들 서포터(120)가 인출되는 경우에만 확인이 가능하여 외부 오염 내지 충격으로 인한 손상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도어 핸들 서포터(120)의 장방형 단면의 긴 너비를 갖는 상면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되었으나, 이는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세로 장방형 길이를 갖는 도어 핸들 서포터가 구비되는 경우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배치 배향도 운전자의 지문 인식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각도를 갖는 형상을 구비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 한편,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핸들 서포터(120)가 단수 개가 배치되는 경우,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차량 도어(D) 측의 일면 상으로, 도어 핸들(100)의 도어 핸들 그립부(110)가 매립되는 지점의 대응 위치에 배치된다. 이 경우,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차량 도어(D) 측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경우, 언록킹 ID 인식부(210)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보호하기 위한 구조를 더 취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핸들 그립부(110)의 내측면에는 그립부 언록킹 ID 인식부 수용부(111)가 형성되고, 도어 핸들 그립부(110)가 도어 핸들 서포터(120)와 일측에서 힌지 연결되는 경우, 다소 간의 두께로 돌출 배치될 수 있는 언록킹 ID 인식부(210)의 외부 노출 부분을 수용 가능하게 보호하여 외부 이물로부터 보호를 이루되 비상 상황에서의 동작 구현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핸들 그립부(110)가 도어 핸들 서포터(120)와 일측에서 힌지 연결되되,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차량 도어(D)에 매립 배치되고 도어 핸들 그립부(110)는 힌지 동작하지 않은 매립 상태에서 언록킹 ID 인식부(210)를 덮도록 배치되고, 도어 핸들 그립부(110)가 힌지 동작하지 않는 매립 상태에서 일단 측의 차량 도어(D) 외측에 그립부 프로텍터(113)가 배치되어 도어 핸들 그립부(110)의 단부는 그립부 프로텍터(113)와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연속감을 제공하되, 실질적으로 그립부 프로텍터(113)가 배치되는 위치의 인근 위치에 언록킹 ID 인식부(210)가 배치됨으로써 민간한 센싱 동작을 이루는 언록킹 ID 인식부(210)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실시예에 다른 지문 인식을 실행하는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도어 핸들 서포터(120)에 배치되거나 도어 핸들 그립부(110)에 근접하여 그립부 프로텍터(113)에 의하여 보호 기능을 강화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의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도어 핸들 서포트(120)에 내지 도어 핸들 그립부(110)와 마주하는 도어(D) 외측에 배치되는 구조 이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핸들 그립부(110)의 차량 도어를 향한 내측면에 직접 배치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언록킹 메인 모듈(220)은 언록킹 모듈 연결라인(222)을 더 구비하여, 차량 도어(D)를 마주하여 도어 핸들 그립부(110)에 배치되는 언록킹 ID 인식부(210)와 언록킹 모듈 기판(221) 상에 배치되는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과의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도 있다. 언록킹 모듈 연결라인(222)은 단순 배선일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연성기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을 실행하는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초음파 인식 타입일 수도 있고, 광학식 인식 타입일 수도 있는 등 감지 방식의 선택은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 제어 방법은 제공 단계(S10)와, 이머젼시 대기 모드 실행 단계(S13)와, 이머젼시 언록킹 모드 실행 단계(S15)를 포함한다. 여기서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제어 방법은 비상 상황, 즉 차량 방전 등과 같은 이머젼시 상황에 대한 제어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는데, 스마트키 및 차량의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과 연동 내지 스마트키 부재시 순전한 운전자 ID 확인, 예를 들어 운전자를 포함한 등록된 탑승자의 지문 정보 확인을 통한 도어록 해제 기능을 수행함은 언록킹 전원부(230)의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의 사용없이 차량의 배터리와의 연결을 통한 전원 공급으로 소정의 운전자 ID 확인 과정을 통한 도어록 해제 기능 구현도 가능함은 본 발명의 내용으로부터 명백하다.
먼저, 제공 단계(S10)에서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가 제공되는데,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에 대하여는 앞서 기술한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로 대체한다.
그런 후, 이머젼시 대기 모드 실행 단계(S13)가 실행되는데, 이머젼시 대기 모드 실행 단계(S13)에서는 차량 방전 상태 시 최대 절전 상태의 방전 모드로 진입하고 운전자의 차량 도어락 해제 시도를 확인 대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머젼시 대기 모드 실행 단계(S13)는 방전 모드 진입 단계(S20)와 언록 이니시에이션 확인 단계(S30)와 언록 이니시에이션 판단 단계(S40)를 포함한다.
먼저, 방전 모드 진입 단계(S20)에서 차량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신호가 사전 설정값 이하인 경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는 차량의 방전 상태로 판단하여,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의 전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언록킹 전원부(230) 및 언록킹 구동부(240)와 언록킹 ID 인식부(210)를 제어한다.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의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절전 전원 공급 상태로 진행되는데, 절전 전원 공급 상태에서는 언록킹 ID 인식부(210)가 비가동 상태 형성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대기 시간을 극대화시키도록 절전 대기 상태를 형성한다.
슬립 상태의 절전 대기 상태로 부터 웨이크 동작 구현을 이루도록 언록 이니시에이션 확인 단계(S30)가 실행되는데, 언록 이니시에이션 확인 단계(S30)에서는 운전자의 차량 도어락 해제 의지가 확인된다. 언록 이니시에이션은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별도 센서 내지 언록킹 ID 인식부를 통한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실행될 수도 있다.
그런 후, 언록 이니시에이션 판단 단계(S40)에서는 언록 이니시에이션 확인 단계(S30)에서 언록 이니시에이션을 통한 운전자의 차량 도어를 열고자 하는 의지가 확인되는지 여부를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가 판단한다.
그런 후, 이머젼시 언록킹 모드 실행 단계(S15)가 실행되는데, 이머젼시 언록킹 모드 실행 단계(S15)에서는 이머젼시 대기 모드 실행 단계(S13)에서 운전자의 차량 도어락 해제 시도가 확인되는 경우 운전자 ID를 확인하고 차량 도어락을 언록킹 해제 여부를 실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머젼시 언록킹 모드 실행 단계(S15)는 언록 대기 단계(S50)와, 사용자 ID 확인 단계(S70)와, 언록킹 구동 단계(S80)를 포함한다.
언록 대기 단계(S50)는 언록 이니시에이션 확인 단계(S30)에서 운전자의 차량 도어락 해제 의지가 확인되는 경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가 언록킹 ID 인식부(210)를 언록킹 ID 인식부(210)의 가동시 필요한 최소 전원 공급 상태를 절환시킨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최소 전원 공급 상태는 언록킹 ID 인식부(210)의 가동시 필요한 최소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를 지칭하는데, 절전 전원 공급 상태 및 최소 전원 공급 상태의 상태 절환은 별도의 센서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언록킹 ID 인식부(210)에 내장되는 기능, 예를 들어 정전용량 기능을 포함하는 언록킹 ID 인식부(210)의 절전 전원 공급 상태시 입력되는 정전 용량 신호의 변화 값을 감지하고, 이를 통한 신호의 변화가 확인되는 경우 최소 대기 상태로 절환시켜 운전자에 의한 언록킹 ID 인식부(210)를 통한 운전자의 ID 확인, 예를 들어 지문 인식 등의 본격적인 ID 확인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사용자 ID 확인 단계(S70)에서는 언록 대기 상태(S50)에서 언록킹 ID 인식부(210)를 통하여 운전자에 의한 지문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가 언록킹 모듈 저장부(225)에 저장되는 운전자의 지문 정보와 비교하여 운전자의 ID를 확인한다.
언록킹 구동 단계(S80)에서는 사용자 ID 확인 단계(S80)에서 언록킹 ID 인식부(210)를 통하여 이루어진 지문 입력이 언록킹 모듈 저장부(225)에 저장된 운전자의 지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가 차량 도어록을 해제시키도록 차량 도어록 해제 구동력을 제공하는 언록킹 구동부(240)에 언록킹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이와 같은 단계의 구성을 통하여 차량 전원이 완전 방전되는 비상 이머젼시 상태에서의 차량 도어의 비상 개방을 위한 소정의 제어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의 언록킹 전원부의 언록킹 배터리도 완전 방전되는 경우,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비상 전원 공급인 9V 배터리를 언록킹 전원 단자를 통하여 비상 전원 공급을 이루는 경우 앞서 단계 S13 이후의 제어 과정이 동일하게 실행될 수도 있음은 상기한 내용으로부터 명백하다.
또 한편, 앞선 실시예들에서 언록킹 ID 인식부는 운전자의 지문을 인식감지하는 센서로 구현되는데, 본 발명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는 별도의 지문 센서로 구현되는 언록킹 ID 인식부를 구비하지 않고 외부 통신을 통한 정보 취득 확인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 언록킹 모듈 저장부(225) 및 언록킹 모듈 연산부(227)를 포함하는 언록킹 메인 모듈(220)은 언록킹 전원부(230) 및 언록킹 구동부(240)와 연결되어 전원 공급 및 언록킹 동작 제어 실행이 구현될 수 있는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와 언록킹 ID 인식부(210a)가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여기서, 언록킹 ID 인식부(210a)는 통신 모듈로 구현되는데, 언록킹 ID 이격부(210a)는 이격된 위치에 있는 다른 통신 대응 모듈인 외부 운전자 정보 인식 판단 가능 장치로서 단말기, 즉 스마트폰 지문 인식 센서(75)를 포함하는 스마트폰(70)과 통신을 이룰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70)은 스마트폰 제어부(71)와, 스마트폰 저장부(73) 및 스마트폰 통신부(77)를 포함하는데, 스마트폰 제어부(71)는 스마트폰 저장부(73) 및 스마트폰 통신부(77)와 스마트폰 지문 인식 센서(75)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며, 이의 일련의 구성은 전형적인 스마트폰(70)으로 구현되나, 스마트폰 제어부(71)에 탑재되는 앱으로 구현되는 언록킹 ID 인식부와 통신 동작 구현을 이룰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스마트폰 지문 인식 센서(75)를 통하여 운전자의 지문 정보가 취득되고, 언록킹 ID 인식부(210a)를 통하여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로 전달될 수 있다.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는 입력받은 정보를 이용한 운전자 ID 정보 확인 과정을 통한 언록킹 동작 구동 구현 여부를 결정함을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동일하다. 다만,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과 통신 과정에서 외부 운전자 정보 인식 판단 가능 장치로서의 스마트폰의 기기 정보도 함께 전달되고, 언록킹 언록킹 모듈 저장부(225)에 등록된 기기 등록 정보가 저장되는데, 통신을 통하여 전달되는 기기 정보와 기기 등록 정보가 비교되어 인증된 외부 운전자 정보 인식 판단 가능 장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지문 정보의 보안 확보를 위하여 스마트폰(70) 내 앱 내 운전자 지문 정보에 대한 검증 단계가 탑재되어 언록킹 ID 인식부(210a)를 통하여 지문 데이터의 직접 전송이 아닌 지문 동일 여부 인증 정보가 언록킹 ID 인식부(210a)로 전달되고, 이는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에 전달되고,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에 저장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로전 설정 저장되는 운전자 ID 정보는 운전자의 지문 정보가 아닌 운전자 지문 정보와 운전자 지문의 일치를 나타내는 운전자 인증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여, 스마트폰으로부터 전달되는 운전자 지문 동일 여부 인증 정보 확인 과정이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앞선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제어 방법은 비상 상황, 즉 차량 방전 등과 같은 이머젼시 상황에 대한 제어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제어 방법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시 상황, 정상 상황에서의 운전자 ID 확인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가 사용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앞선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제어 방법은 제공 단계(S10)와, 이머젼시 대기 모드 실행 단계(S13)와의 사이에 이머젼시 대기 모드를 실행하여야 할지 아니면 정상 운전자 ID 확인 단계를 실행하여야 할지를 결정하는 이머젼시 판단 단계(S12)를 포함한다. 이머젼시 판단 단계(S12)의 판단 과정은 경우에 따라 차량의 주 제어부(미도시)에서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의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의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가 제어 과정을 실행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가 이머젼시 판단 단계(S12)에서 이머젼시 상황이라고, 즉 배터리 전원이 정상이라고 판단하지 않는 경우, 앞서 기술한 이머젼시 대기 모드 실행 단계(S13) 이후로 진행하며, 이에 대하여는 앞선 기술로 대체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가 이머젼시 판단 단계(S12)에서 이머젼시 상황이 아니라고, 즉 배터리 전원이 정상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 흐름은 단계 S121로 진행한다. 배터리 전원이 정상이 상태에 대한 언록 이니시에이션 확인 단계(S121)은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앞선 경우와 같이 슬립 상태의 절전 대기 상태로 부터 웨이크 동작 구현을 이룰 수도 있다. 언록 이니시에이션은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별도 센서 내지 언록킹 ID 인식부를 통한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실행될 수도 있는데, 운전자 등의 탑승자가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를 그립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경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는 운전자의 차량 도어락 해제 의지로 판단한다(단계 S122). 이러한 운전자의 도어락 해제 의지를 확인하기 위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의 변화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별도 센서 내지 언록킹 ID 인식부를 통한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실행될 수도 있고, 아직 도어 핸들 그립부(110)가 인출되기 전인 경우 정전용량센서 등이 도어 핸들 그립부(110)에 배치되어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활용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과의 연동으로 차량 스마트키의 소유자가 접근시 무선 통신을 통한 인증 과정을 거쳐 소정의 웰컴 기능으로 도어 핸들 그립부(110)의 전개가 이루어지고 운전자 등이 도어 핸들 그립부(110)를 터치 내지 언록킹 ID 인식부(210)를 통하여 소정의 운전자의 차량 도어록 해제 의지가 확인될 수도 있다.
단계 S122 후, 정상 상태에서의 언록 이니시에이션이 확인되는 경우, 도어 핸들 그립부(120)의 전개가 이루어지는 단계 S123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키리스엔트리 시스템을 통한 인증 과정을 거쳐 단계 S121의 과정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그런후, 단계 S124에서 언록킹 ID 인식부(210)를 통한 운전자 ID 정보 확인이 이루어지는데, 운전자 등 확인하고자 하는 대상자의 지문 정보가 입력된다.
그런 후, 단계 S125에서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는 입력된 지문 정보와 언록킹 모듈 저장부에 사전 설정 저장된 운전자 등 탑승자의 등록자에 대한 운전자 ID 정보와 비교하여 ID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단계 S125에서 입력된 지문 정보와 언록킹 모듈 저장부에 사전 설정 저장된 운전자 등 탑승자의 등록자에 대한 운전자 ID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 흐름은 단계 S124로 전환되고, 단계 S125에서 입력된 지문 정보와 언록킹 모듈 저장부에 사전 설정 저장된 운전자 등 탑승자의 등록자에 대한 운전자 ID 정보가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 흐름은 단계 S126으로 전환되어 소정의 언록킹 동작을 구현하게 되는데, 이 경우 언록킹 동작은 차량의 배터리를 통한 정상 전원 상태에서의 전원 공급으로 도어록 해제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ID 인식 가능한 차량용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의 구성을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10...차량용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100...도어 핸들
110...도어 핸들 그립부 120...도어 핸들 서포터
200...어미젼시 언록킹 모듈 210...언록킹 ID 인식부
220...언록킹 모듈 230...언록킹 전원부
240...언록킹 구동부

Claims (18)

  1. 도어 핸들 그립부(110) 및 일단은 상기 도어 핸들 그립부(1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차량 도어(D) 내부에 배치되고 차량 도어에 상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 핸들 서포터(120)를 구비하는 플러시 도어 핸들(100)과, 상기 도어 핸들 그립부(110)가 수동적으로 인출되는 비상 상황시 운전자의 정보를 확인하여 차량 도어록을 언록킹시키는 언록킹 모듈(200)을 구비하고,
    상기 언록킹 모듈(200)은: 차량 방전시, 차량 도어록 해제를 위한 비상 대기 절환되는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를 포함하는 언록킹 메인 모듈(220)과, 차량 도어에 배치되어 상기 언록킹 메인 모듈(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언록킹 전원부(230)와,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의 인식 제어 신호에 따라 운전자의 ID 정보를 취득하는 언록킹 ID 인식부(210)와,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의 언록킹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차량 도어록을 해제시키도록 차량 도어록 해제 구동력을 제공하는 언록킹 구동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상기 플러시 도어 핸들(100) 측에 배치되어 비상 상황시 운전자의 지문을 감지 가능한 언록킹 지문 센서이고,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상기 도어 핸들 서포터(120)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핸들 서포터(12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 핸들 서포터(120)와 상기 도어 핸들 그립부(110)는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핸들 서포터(120)는 한 개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 핸들 서포터(120)와 상기 도어 핸들 그립부(110)는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시 도어 핸들(100)은:
    차량 도어(D)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 핸들 서포터(120)의 타단 측에 인출 구동력을 제공하는 플러시 구동부(20)와,
    상기 플러시 구동부(20)와 상기 도어 핸들 서포터(120)를 연결하여 상기 플러시 구동부(20)의 구동력을 상기 도어 핸들 서포터(120)로 전달하는 플러시 구동 전달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메인 모듈(220)은 운전자의 지문 정보를 저장하는 언록킹 모듈 저장부(2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
  8. 삭제
  9. 도어 핸들 그립부(110) 및 일단은 상기 도어 핸들 그립부(1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차량 도어(D) 내부에 배치되고 차량 도어에 상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 핸들 서포터(120)를 구비하는 플러시 도어 핸들(100)과, 상기 도어 핸들 그립부(110)가 수동적으로 인출되는 비상 상황시 운전자의 정보를 확인하여 차량 도어록을 언록킹시키는 언록킹 모듈(200)을 구비하고,
    상기 언록킹 모듈(200)은: 차량 방전시, 차량 도어록 해제를 위한 비상 대기 절환되는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를 포함하는 언록킹 메인 모듈(220)과, 차량 도어에 배치되어 상기 언록킹 메인 모듈(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언록킹 전원부(230)와,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의 인식 제어 신호에 따라 운전자의 ID 정보를 취득하는 언록킹 ID 인식부(210)와,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의 언록킹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차량 도어록을 해제시키도록 차량 도어록 해제 구동력을 제공하는 언록킹 구동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상기 플러시 도어 핸들(100) 측에 배치되어 비상 상황시 운전자의 지문을 감지 가능한 언록킹 지문 센서이고,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차량 도어 측에 배치되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도어 핸들 그립부(110)에 의하여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상기 도어 핸들 그립부(110)의 차량 도어를 향한 내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외부 운전자 정보 인식 판단 가능 장치로부터 운전자 ID 확인 정보를 입력받는 언록킹 모듈 통신부(21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메인 모듈(220)은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와 연결되는 언록킹 모듈 저장부(225)를 구비하고,
    외부 운전자 정보 인식 판단 가능 장치는 지문 인식 가능하고 운전자 정보 확인 가능하고 상기 언록킹 모듈 저장부(225)에 기기 등록 정보가 저장된 지문 인식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전원부(230)는 차량 정상시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 충전이 이루어지는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를 포함하고,
    차량 방전시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의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의 비가동시 절전 대기 상태를 형성하는 절전 전원 공급 상태 및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의 가동시 필요한 최소 전원 공급 상태를 절환시키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전원부(230)는:
    차량 정상시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 충전이 이루어지는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와,
    상기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의 방전시 외부 전원 비상 공급을 위한 언록킹 전원 공급 터미널(2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
  15. 도어 핸들 그립부(110) 및 도어 핸들 서포터(120)를 구비하는 플러시 도어 핸들(100)과, 상기 도어 핸들 그립부(110)가 수동적으로 인출되는 비상 상황시 운전자의 정보를 확인하여 차량 도어록을 언록킹시키는 언록킹 모듈(200)을 구비하고, 상기 언록킹 모듈(200)은 차량 방전시, 차량 도어록 해제를 위한 비상 대기 절환되는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를 포함하는 언록킹 메인 모듈(220)과,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의 인식 제어 신호에 따라 운전자의 ID 정보를 취득하는 언록킹 ID 인식부(210)를 포함하고,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상기 플러시 도어 핸들(100) 측에 배치되어 비상 상황시 운전자의 지문을 감지 가능한 언록킹 지문 센서이고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상기 도어 핸들 서포터(120)에 배치되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10)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S10)와,
    차량 방전 상태 시 최대 절전 상태의 방전 모드로 진입하고 운전자의 차량 도어락 해제 시도를 확인 대기하는 이머젼시 대기 모드 실행 단계(S13)와,
    상기 이머젼시 대기 모드 실행 단계(S13)에서 운전자의 차량 도어락 해제 시도가 확인되는 경우 운전자 ID를 확인하고 차량 도어락을 언록킹 해제 여부를 실행하는 이머젼시 언록킹 모드 실행 단계(S15)를 포함하고,
    상기 언록킹 메인 모듈(220)은 운전자의 지문 정보를 저장하는 언록킹 모듈 저장부(225)를 구비하고, 상기 이머젼시 언록킹 모드 실행 단계(S15)에서는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를 통하여 운전자에 의해 입력되는 지문 입력과 상기 지문 정보가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제어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모듈(200)은: 차량 방전시, 차량 도어록 해제를 위한 비상 대기 절환되는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를 포함하는 언록킹 메인 모듈(220)과, 차량 도어에 배치되어 상기 언록킹 메인 모듈(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언록킹 전원부(230)와,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의 인식 제어 신호에 따라 운전자의 ID 정보를 취득하는 언록킹 ID 인식부(210)와,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의 언록킹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차량 도어록을 해제시키도록 차량 도어록 해제 구동력을 제공하는 언록킹 구동부(240)를 포함하고,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는 운전자의 지문을 감지하는 언록킹 지문 센서이고, 상기 언록킹 전원부(230)는 차량 정상시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 충전이 이루어지는 언록킹 전원 배터리(233)를 포함하고,
    상기 이머젼시 대기 모드 실행 단계(S13)는:
    차량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신호가 사전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는 차량의 방전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의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의 비가동시 절전 대기 상태를 형성하는 절전 전원 공급 상태로 진행되는 방전 모드 진입 단계(S20)와,
    운전자의 차량 도어락 해제 의지를 확인하는 언록 이니시에이션 확인 단계(S30)와,
    상기 언록 이니시에이션 확인 단계(S30)에서 확인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언록 이니시에이션 판단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제어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머젼시 언록킹 모드 실행 단계(S15)는:
    상기 언록 이니시에이션 확인 단계(S30)에서 운전자의 차량 도어락 해제 의지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가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를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의 가동시 필요한 최소 전원 공급 상태를 절환시키는 언록 대기 단계(S50)와,
    상기 언록 대기 상태(S50)에서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를 통하여 운전자에 의한 지문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가 상기 언록킹 모듈 저장부(225)에 저장되는 운전자의 지문 정보와 비교하여 운전자의 ID를 확인하는 사용자 ID 확인 단계(S70)와,
    상기 사용자 ID 확인 단계(S80)에서 상기 언록킹 ID 인식부(210)를 통하여 이루어진 지문 입력이 상기 언록킹 모듈 저장부(225)에 저장된 운전자의 지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언록킹 모듈 제어부(223)가 차량 도어록을 해제시키도록 차량 도어록 해제 구동력을 제공하는 언록킹 구동부(240)에 언록킹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언록킹 구동 단계(S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제어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단계(S10)와, 상기 이머젼시 대기 모드 실행 단계(S13)와의 사이에 이머젼시 대기 모드를 실행하여야 할지 아니면 정상 운전자 ID 확인 단계를 실행하여야 할지를 결정하는 이머젼시 판단 단계(S12)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제어 방법.
KR1020180171028A 2018-12-27 2018-12-27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670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028A KR102670332B1 (ko) 2018-12-27 2018-12-27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028A KR102670332B1 (ko) 2018-12-27 2018-12-27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983A KR20200080983A (ko) 2020-07-07
KR102670332B1 true KR102670332B1 (ko) 2024-05-30

Family

ID=7160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028A KR102670332B1 (ko) 2018-12-27 2018-12-27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03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6334B (zh) * 2022-07-04 2022-09-20 宁波华翔汽车饰件有限公司 隐藏式门把手及车辆
EP4365392A1 (en) * 2022-11-03 2024-05-08 Kiekert AG Electronically controlled door latc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790B1 (ko) * 2001-05-07 2004-03-03 주식회사 매트릭스텍 비상 잠금해제가 가능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 및 그의비상 잠금해제방법
US20150337571A1 (en) * 2014-04-30 2015-11-26 STRATTEC Advanced Logic Handle with integrated biometrics and vehicular biometric device
US20170167169A1 (en) * 2009-12-23 2017-06-15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Extendable flush door handle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1753A (ko) * 2013-11-28 2015-06-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도어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02808A (ko) * 2015-06-30 2017-01-09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지문 인식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KR101855394B1 (ko) * 2015-11-05 2018-05-04 권진구 자동차용 손잡이 장치
KR101875658B1 (ko) * 2016-08-24 2018-07-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101896369B1 (ko) * 2017-02-08 2018-09-0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핸들 인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790B1 (ko) * 2001-05-07 2004-03-03 주식회사 매트릭스텍 비상 잠금해제가 가능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 및 그의비상 잠금해제방법
US20170167169A1 (en) * 2009-12-23 2017-06-15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Extendable flush door handle for vehicle
US20150337571A1 (en) * 2014-04-30 2015-11-26 STRATTEC Advanced Logic Handle with integrated biometrics and vehicular biometr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983A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188B1 (ko)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
JP4558723B2 (ja) 自動車のための電子的に作動可能なロック装置
RU2678615C2 (ru) Дверь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ой запорной системой
EP1894795B1 (en) Keyless entry system
KR20150000471A (ko) 차량 접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제어기
US8089343B2 (en) Smart entry system
KR102670332B1 (ko) 차량용 플러시 도어 핸들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50353033A1 (en) Hybrid entry system
US10759291B2 (en) System and a method for unlocking a charging plug inserted in a vehicle charging socket
CN105313836A (zh) 用于进入系统的滑动及轻击验证
CN109519061A (zh) 具有用于电子车辆进入系统的机械应急开关的电容板
JP2010264847A (ja) 電動車両
GB2496754A (en) Electronic vehicle access system and key
JP2012504717A (ja) 原動機付き車両の開閉パネルを自動的にロック解除する装置
EP2743119A2 (en) Lock device, lock device controller, and electronic key system
CN102918221A (zh) 车辆中的车门相关辅机用电致动器的电力提供控制装置
US20100052848A1 (en) Remote vehicle operating system
JP2008248582A (ja) ドア開閉制御装置
JP6333778B2 (ja) 車両用開閉体作動システム
CN112572228A (zh) 一种车辆上下电控制方法、系统及汽车
JP2018155059A (ja) 車両用扉開閉システム
JP2004284424A (ja)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
JP2002327566A (ja) キーレスエントリ装置
KR102463713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4585543B (zh) 用于运行用于车辆的进入系统的方法以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