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7968B1 -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고정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고정용 브래킷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7968B1 KR102667968B1 KR1020237041264A KR20237041264A KR102667968B1 KR 102667968 B1 KR102667968 B1 KR 102667968B1 KR 1020237041264 A KR1020237041264 A KR 1020237041264A KR 20237041264 A KR20237041264 A KR 20237041264A KR 102667968 B1 KR102667968 B1 KR 1026679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fixing
- rail
- hole
- elevator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8 reno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레일 고정용 브래킷은, 승강로 내의 기존 빔에 지지되고, 균형추를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추용 가이드 레일을 고정한다. 레일 고정용 브래킷은, 기단부가 기존 빔에 고정되고, 기존 빔의 긴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브래킷과, 한 쌍의 제1 브래킷의 선단부끼리를 연결하도록 고정되는 제2 브래킷을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추용 가이드 레일은, 각각 상기 한 쌍의 제1 브래킷에 고정된다. 상기 제1 브래킷과 상기 기존 빔은,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고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가이드 레일의 설치 공사에서의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 가능한 가이드 레일 고정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의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내에서 복수의 고정 플레이트가 상하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각 고정 플레이트는 승강로 내의 건축빔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다. 각 고정 플레이트에는, 레일 브래킷이 용접되어 있다. 레일 브래킷에는 가이드 레일이 고정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고정 플레이트와 같이, 승강로 내의 기존 빔에 설치되는 레일 고정용 브래킷은, 일반적으로 용접에 의해서 기존 빔에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의 개수 공사 혹은 내진 공사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복수의 레일 고정용 브래킷 중 일부를 새로운 레일 고정용 브래킷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고려한다. 레일 고정용 브래킷과 같은 사이즈가 큰 부품을 승강로 내에 반입하는 작업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승강로 내에서의 용접 작업은, 안전성 등의 제약의 관점으로부터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승강로 내의 기존 빔에 용접되어 있는 타입의 레일 고정용 브래킷에는, 교체 시의 용접 곤란성 및 승강로 내에의 반입 곤란성의 점에서 과제가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용접 작업을 행하지 않고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의 기존 빔에 설치할 수 있는 레일 고정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엘리베이터의 레일 고정용 브래킷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의 기존 빔에 지지되고, 균형추를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추용 가이드 레일을 고정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고정용 브래킷에 적용된다. 레일 고정용 브래킷은, 기단부가 기존 빔에 고정되고, 기존 빔의 긴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브래킷과, 한 쌍의 제1 브래킷의 선단부끼리를 연결하도록 고정되는 제2 브래킷을 구비한다. 한 쌍의 추용 가이드 레일은, 각각 상기 한 쌍의 제1 브래킷에 고정되고, 제1 브래킷과 상기 기존 빔은,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본 개시의 엘리베이터의 레일 고정용 브래킷에 의하면, 한 쌍의 추용 가이드 레일은, 각각 한 쌍의 제1 브래킷에 고정되고, 제1 브래킷과 기존 빔은,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설치 현장에서의 용접을 행하지 않고 제1 브래킷을 기존 빔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에 필요한 노력을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레일 고정용 브래킷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승강로(3) 내의 엘리베이터(1)를 도 1의 A-A 단면의 방향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3은, 레일 고정용 브래킷(3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도 4는, 제1 브래킷(32a)의 삼면도이다.
도 5는, 평판(38)의 삼면도이다.
도 6은, 평판(40)의 삼면도이다.
도 7은, 제2 브래킷(34)의 삼면도이다.
도 8은, 제3 브래킷(36)의 삼면도이다.
도 2는, 승강로(3) 내의 엘리베이터(1)를 도 1의 A-A 단면의 방향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3은, 레일 고정용 브래킷(3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도 4는, 제1 브래킷(32a)의 삼면도이다.
도 5는, 평판(38)의 삼면도이다.
도 6은, 평판(40)의 삼면도이다.
도 7은, 제2 브래킷(34)의 삼면도이다.
도 8은, 제3 브래킷(36)의 삼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공통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본 실시 형태의 구성
도 1은, 실시 형태의 레일 고정용 브래킷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엘리베이터(1)는, 건축물(2)에 마련된다. 건축물(2)은, 복수의 층 바닥을 구비하고 있다. 엘리베이터(1)에서, 승강로(3)는, 건축물(2)의 복수의 층 바닥 각각을 관통한다. 엘리베이터(1)에서, 복수의 승강장(4) 각각은, 건축물(2)의 복수의 층 바닥 각각에 마련된다.
엘리베이터(1)는, 권상기(5)와, 주 로프(6)와, 엘리베이터 칸(7)과, 균형추(8)를 구비하고 있다. 권상기(5)는, 모터와, 시브를 구비하고 있다. 권상기(5)의 모터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권상기(5)의 시브는, 모터가 발생시킨 구동력에 의해서 회전하는 장치이다. 주 로프(6)는, 권상기(5)의 시브에 감겨진다. 주 로프(6)는, 권상기(5)의 시브의 회전에 추종하여 이동하는 부재이다. 주 로프(6)의 일단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7)에 마련된다. 주 로프(6)의 타단은, 예를 들면 균형추(8)에 마련된다. 엘리베이터 칸(7)은, 주 로프(6)의 이동에 추종하여 승강로(3)의 내부를 연직 방향으로 주행함으로써, 건축물(2)의 복수의 층 바닥의 사이에서 이용자 등을 수송하는 장치이다. 엘리베이터 칸(7)은, 엘리베이터 칸 문(9)을 구비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문(9)은, 이용자 등이 엘리베이터 칸(7)에 승강할 수 있도록에 엘리베이터 칸(7)이 복수의 층 중 어느 하나에 정지하고 있을 때 개폐하는 장치이다. 균형추(8)는, 승강로(3)에 마련된다. 균형추(8)는, 주 로프(6)를 통해서 권상기(5)의 시브의 양측으로 걸리는 하중의 균형을 엘리베이터 칸(7)과의 사이에서 취하는 장치이다.
권상기(5)가 회전하면, 권상기(5)가 회전한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주 로프(6)가 이동한다. 주 로프(6)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엘리베이터 칸(7)은 상승 혹은 하강한다. 엘리베이터 칸(7)의 이동은,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에 의해서 안내된다. 도 2는, 승강로(3) 내의 엘리베이터(1)를 도 1의 A-A 단면의 방향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2)은, 예를 들면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2a 및 12b)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2a 및 12b)에 공통되는 사항을 설명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2)로 표기한다.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2)은, 연직 방향으로 일직선 모양으로 마련된다.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2)은, 승강로(3)의 피트로부터 승강로(3)의 정부(頂部)에 걸쳐서 배치된다. 피트는, 승강로(3) 중 최하층의 승강장(4)보다 하방에 형성된 공간이다. 엘리베이터 칸(7)은,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2a 및 12b)의 사이에 배치된다.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2a, 12b)은, 각각 복수의 기존 브래킷(70a, 70b)을 이용하여 승강로(3)의 고정체에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기존 브래킷(70a, 70b)은, 승강로(3) 내에서, 각각 연직 방향으로 규정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개시의 엘리베이터(1)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2a)을 고정하는 복수의 기존 브래킷(70a) 중, 적어도 1개의 브래킷이, 후술하는 레일 고정용 브래킷(30)으로 교체된다. 레일 고정용 브래킷(30)의 구조는, 상세한 것을 후술한다. 또한, 기존 브래킷(70b)의 구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엘리베이터 칸(7)은, 예를 들면 가이드 슈(71)를 구비한다. 가이드 슈(71)는,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2)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린다. 가이드 슈(71)가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2)에 대향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7)의 이동이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2)에 의해서 안내된다.
균형추(8)는, 직사각형 프레임과, 직사각형 프레임의 프레임 내에 배치된 추편을 구비한다. 균형추(8)는, 엘리베이터 칸(7)의 측면측의 승강로(3)에서, 엘리베이터 칸(7)이 이동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균형추(8)의 이동은, 추용 가이드 레일(14)에 의해서 안내된다. 추용 가이드 레일(14)은, 예를 들면 한 쌍의 추용 가이드 레일(14a 및 14b)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추용 가이드 레일(14a 및 14b)에 공통되는 사항을 설명하는 경우에 추용 가이드 레일(14)로 표기한다.
추용 가이드 레일(14)은, 연직 방향으로 일직선 모양으로 마련된다. 추용 가이드 레일(14)은, 승강로(3)의 피트로부터 승강로(3)의 정부에 걸쳐서 배치된다. 균형추(8)는, 한 쌍의 추용 가이드 레일(14a 및 14b)의 사이에 배치된다.
추용 가이드 레일(14)의 형상은,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2)의 형상과 마찬가지이다. 추용 가이드 레일(14)은, 복수의 기존 브래킷(70a)을 이용하여 승강로(3)의 고정체에 고정된다. 다만, 본 개시의 엘리베이터(1)에서는, 추용 가이드 레일(14)을 고정하는 복수의 기존 브래킷(70a) 중, 적어도 1개의 브래킷이, 후술하는 레일 고정용 브래킷(30)으로 교체된다. 균형추(8)는, 예를 들면 가이드 슈(81)를 구비한다. 가이드 슈(81)는, 추용 가이드 레일(14)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린다. 가이드 슈(81)가 추용 가이드 레일(14)에 대향하는 것에 의해, 균형추(8)의 이동이 추용 가이드 레일(14)에 의해서 안내된다.
2.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의 특징적 구성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의 특징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1)는, 레일 고정용 브래킷(30)의 구조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3은, 레일 고정용 브래킷(3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승강로(3) 내에는, 마주보는 벽면(3a) 각각에 고정된 L형의 빔용 브래킷(20) 상에 걸쳐지도록 기존 빔(22)이 마련되어 있다. 전형적으로는, 기존 빔(22)은 상측 및 하측에 수평면을 가지는 H강이며, 하측의 수평면이 빔용 브래킷(20)에 용접 또는 볼트 고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신설 공사에서는, 추용 가이드 레일(14)을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이 기존 빔(22)에 현장에서 용접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내진 대책 공사 또는 개수 공사 등, 엘리베이터의 부분적인 공사에서, 추용 가이드 레일(14)을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을 교체할 필요성이 생겼을 경우, 새로운 브래킷을 설치하기 위한 현장에서의 용접 작업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브래킷의 사이즈에 따라서는, 승강로(3) 내의 설치 장소까지의 반입이 곤란한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기존 빔(22)에 용접하는 타입의 브래킷에는, 교체 시의 용접 곤란성 및 반입 곤란성의 점에서 과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1)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레일 고정용 브래킷(30)의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일 고정용 브래킷(30)은, 한 쌍의 제1 브래킷(32a, 32b)과, 제2 브래킷(34)과, 제3 브래킷(36)과, 평판(38, 40)을 가지고 있다.
2-1. 제1 브래킷(32a, 32b)
한 쌍의 제1 브래킷(32a, 32b)은, 추용 가이드 레일(14a, 14b)의 위치를 각각 기존 빔(22)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이다. 이하에서는, 제1 브래킷(32a 및 32b)에 공통되는 사항을 설명하는 경우에 제1 브래킷(32)으로 표기한다. 도 4는, 제1 브래킷(32a)의 삼면도이다. 제1 브래킷(32a)과 제1 브래킷(32b)은, 경면 대칭인 부품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제1 브래킷(32a)을 예로, 제1 브래킷(32)의 형상을 설명한다.
제1 브래킷(32a)은,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각으로 굴곡된 산(山)형 강 부재이다. 제1 브래킷(32a)은, 수평면(321)과, 수평면(321)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수직면(322)을 가진다. 제1 브래킷(32a)의 기단부에는, 수평면(321)의 짧은 방향을 따른 장공(長孔)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기단부 관통공(323)이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제1 브래킷(32a)의 선단부에는, 수평면(321)의 짧은 방향을 따른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선단부 관통공(324)이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제1 브래킷(32a)의 수직면(322)의 도중에는, 긴 방향을 따른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제1 레일 고정용 관통공(325)이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제1 브래킷(32)의 기단부의 수평면(321)은 기존 빔(22)의 하측의 수평면에 고정된다. 이 때, 제1 브래킷(32)은, 긴 방향이 기존 빔(22)의 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된다. 제1 브래킷(32)의 기존 빔(22)에 대한 고정은 볼트(50)로 행해진다. 전형적으로는, 제1 브래킷(32)의 2개의 기단부 관통공(323)과, 기존 빔(22) 하면에 마련된 관통공이, 볼트(50)로 고정된다. 2개의 기단부 관통공(323)은, 기존 빔(22)에 대한 제1 브래킷(32)의 고정 위치를 현장에서 미세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1 브래킷(32)의 제1 레일 고정용 관통공(325)은, 볼트(51)를 이용하여 추용 가이드 레일(14)을 고정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제1 레일 고정용 관통공(325)은, 제1 브래킷(32)에 대한 추용 가이드 레일(14)의 고정 위치를 현장에서 미세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2-2. 평판(38, 40)
제1 브래킷(32a, 32b)과 기존 빔(22)과의 사이에는, 평판(38, 40)이 각각 끼워진다. 도 5는, 평판(38)의 삼면도이다. 또한, 도 6은, 평판(40)의 삼면도이다. 기존 빔(22)의 하측의 수평면에서의 제1 브래킷(32)의 고정 에어리어는,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고정 에어리어는, 이전에 용접되어 있던 브래킷을 떼어냈을 때에 완전히 떨어지지 않았던 용접 자국이 간섭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고정 에어리어는, 빔용 브래킷(20) 혹은 빔용 브래킷(20)과 기존 빔(22)과의 용접부가 간섭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평판(38, 40)은, 이들 간섭 대상과 제1 브래킷(32)과의 간섭을 막기 위하여 기존 빔(22)과 제1 브래킷(32)과의 사이에 끼워지는 부재이다.
평판(38)은, 직사각형 모양의 판재이며, 2개의 장공의 관통공(381)을 가진다. 2개의 관통공(381)의 피치 및 구멍 지름은, 제1 브래킷(32a)의 기단부 관통공(323)과 마찬가지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브래킷(32a)의 고정 에어리어에 빔용 브래킷(20)이 겹쳐져 있다. 평판(38)은, 제1 브래킷(32a)의 기단부 관통공(323)과 2개의 관통공(381)이 겹치는 위치에서, 제1 브래킷(32a)과 기존 빔(22)과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고정된다. 이 때, 평판(38)은, 빔용 브래킷(20)과 겹치지 않도록, 직사각형 외형의 짧은 방향에 대한 2개의 관통공(381)의 위치가 중심으로부터 어긋나 있다. 평판(38)의 두께는, 빔용 브래킷(20)의 두께 이상으로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브래킷(32a)의 빔용 브래킷(20)에의 간섭이 회피된다.
평판(40)은, 평판(38)과 동일한 형상의 외형 및 두께를 가진다. 다만, 평판(40)은, 직사각형 외형의 짧은 방향에 대한 2개의 장공의 관통공(401)의 위치가 평판(38)의 2개의 관통공(381)과 다르다. 즉, 평판(40)은, 제1 브래킷(32b)의 기단부 관통공(323)과 2개의 관통공(401)이 겹치는 위치에서, 제1 브래킷(32b)과 기존 빔(22)과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고정된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브래킷(32b)의 고정 에어리어에 빔용 브래킷(20)이 겹쳐져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평판(40)의 2개의 관통공(401)은, 직사각형 외형의 짧은 방향에 대한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평판(38, 40)의 구성에 의하면, 기존 빔(22)에 대하여 제1 브래킷(32)을 안정적으로 수평으로 고정할 수 있다.
2-3. 제2 브래킷(34)
제2 브래킷(34)은, 한 쌍의 제1 브래킷(32)의 선단부끼리를 연결하도록 고정되는 브래킷이다. 도 7은, 제2 브래킷(34)의 삼면도이다. 제2 브래킷(34)은,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각으로 굴곡된 산형 강 부재이다. 제2 브래킷(34)은, 수평면(341)과, 수평면(341)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수직면(342)을 가진다. 제2 브래킷(34)의 양단부의 수평면(341)에는, 2개의 원형의 양단부 관통공(343)이 각각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양단부 관통공(343)의 피치는, 제1 브래킷(32a)의 선단부 관통공(324)과 마찬가지이다. 제2 브래킷(34)의 수직면(342)의 중앙부에는, 제3 브래킷(36)을 고정하기 위한 2개의 브래킷 고정용 관통공(344)이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제2 브래킷(34)의 제1 브래킷(32)에 대한 고정은 볼트(52)로 행해진다. 전형적으로는, 제2 브래킷(34)의 수평면(341)이 제1 브래킷(32)의 수평면(321)의 상측에 겹쳐서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브래킷(32)의 2개의 선단부 관통공(324)과, 제2 브래킷(34)의 양단부 관통공(343)이, 볼트(52)로 고정된다. 2개의 장공인 선단부 관통공(324)은, 제1 브래킷(32)에 대한 제2 브래킷(34)의 고정 위치를 현장에서 미세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2 브래킷(34)의 구성에 의하면, 제1 브래킷(32)의 선단부끼리가 고정되므로, 제1 브래킷(32)의 고정 강도가 높아진다. 이것에 의해, 추용 가이드 레일(14)을 규정의 위치에 정밀도 좋게 지지할 수 있다.
2-4. 제3 브래킷(36)
제3 브래킷(36)은, 제2 브래킷(34)의 중앙부에 고정되는 브래킷이다. 도 8은, 제3 브래킷(36)의 삼면도이다. 제3 브래킷(36)은, 긴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각으로 굴곡된 산형 강 부재이다. 제3 브래킷(36)은, 수평면(361)과, 수평면(361)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수직면(362)을 가진다. 제3 브래킷(36)의 수평면(361)에는, 긴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장공의 관통공(363)이 마련되어 있다. 제3 브래킷(36)의 수직면(362)에는, 긴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으로 형성된 2개의 제2 레일 고정용 관통공(364)이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2개의 관통공(363)의 피치는, 제2 브래킷(34)의 브래킷 고정용 관통공(344)과 마찬가지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브래킷(34)의 수평면(341) 상에 제3 브래킷(36)의 수평면(361)이 겹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브래킷 고정용 관통공(344)과 관통공(363)은, 볼트(53)로 고정된다. 2개의 장공의 관통공(363)은, 제2 브래킷(34)에 대한 제3 브래킷(36)의 고정 위치를 현장에서 미세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3 브래킷(36)의 제2 레일 고정용 관통공(364)은, 볼트(54)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2a)을 고정할 때에 이용된다. 제2 레일 고정용 관통공(364)은, 제3 브래킷(36)에 대한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2a)의 고정 위치를 현장에서 미세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2-5. 레일 고정용 브래킷(30)의 작용 및 효과
이상과 같은 레일 고정용 브래킷(30)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레일 고정용 브래킷(30)의 제1 브래킷(32)은, 볼트(50)를 이용하여 기존 빔(22)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현장에서의 용접 작업을 행하지 않고 레일 고정용 브래킷(30)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레일 고정용 브래킷(30)은, 제1 브래킷(32), 제2 브래킷(34), 및 제3 브래킷(36)을 볼트(52, 53)로 고정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1 브래킷(32), 제2 브래킷(34), 및 제3 브래킷(36)을 현장에 개별로 반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로(3) 내의 한정된 스페이스에 레일 고정용 브래킷(30)을 설치하는 노력을 경감할 수 있다.
3. 실시 형태의 변형예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의 레일 고정용 브래킷(30)은, 이하와 같이 변형한 태양을 적용하여도 된다.
제1 브래킷(32)은, 2개의 장공의 선단부 관통공(324)을 가지고 있지만, 제2 브래킷(34)의 양단부 관통공(343)이 장공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면, 선단부 관통공(324)은 원형의 관통공이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브래킷(34)의 브래킷 고정용 관통공(344)이 장공인 경우, 제3 브래킷(36)의 관통공(363)은, 원형의 관통공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평판(38, 40)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평판(38, 40)은, 기존 빔(22)의 용접 자국 혹은 빔용 브래킷(20)과, 제1 브래킷(32)의 기단부와의 접촉이 회피 가능한 외형 형상 및 두께를 적절히 채용하면 된다.
1: 엘리베이터 2: 건축물
3: 승강로 3a: 벽면
4: 승강장 5: 권상기
6: 주 로프 8: 균형추
9: 엘리베이터 칸 문 12, 12a, 12b: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
14, 14a, 14b: 추용 가이드 레일 20: 빔용 브래킷
22: 기존 빔 30: 레일 고정용 브래킷
32, 32a, 32b: 제1 브래킷 34: 제2 브래킷
36: 제3 브래킷 38, 40: 평판
50, 51, 52, 53, 54: 볼트 70a, 70b: 기존 브래킷
71: 가이드 슈 81: 가이드 슈
321: 수평면 322: 수직면
323: 기단부 관통공 324: 선단부 관통공
325: 제1 레일 고정용 관통공 341: 수평면
342: 수직면 343: 양단부 관통공
344: 브래킷 고정용 관통공 361: 수평면
362: 수직면 363: 관통공
364: 제2 레일 고정용 관통공 381: 관통공
401: 관통공
3: 승강로 3a: 벽면
4: 승강장 5: 권상기
6: 주 로프 8: 균형추
9: 엘리베이터 칸 문 12, 12a, 12b: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
14, 14a, 14b: 추용 가이드 레일 20: 빔용 브래킷
22: 기존 빔 30: 레일 고정용 브래킷
32, 32a, 32b: 제1 브래킷 34: 제2 브래킷
36: 제3 브래킷 38, 40: 평판
50, 51, 52, 53, 54: 볼트 70a, 70b: 기존 브래킷
71: 가이드 슈 81: 가이드 슈
321: 수평면 322: 수직면
323: 기단부 관통공 324: 선단부 관통공
325: 제1 레일 고정용 관통공 341: 수평면
342: 수직면 343: 양단부 관통공
344: 브래킷 고정용 관통공 361: 수평면
362: 수직면 363: 관통공
364: 제2 레일 고정용 관통공 381: 관통공
401: 관통공
Claims (7)
-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내의 기존 빔에 지지되고, 균형추를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추용 가이드 레일을 고정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고정용 브래킷으로서,
상기 기존 빔은, 상측 및 하측에 수평면을 가지는 H강이며, 상기 승강로 내의 마주보는 벽면 각각에 고정된 L형의 빔용 브래킷 상에 걸쳐지도록 상기 기존 빔의 하측의 수평면이 상기 빔용 브래킷에 고정되고,
상기 레일 고정용 브래킷은,
기단부가 상기 기존 빔의 하측의 수평면에 고정되고, 상기 기존 빔의 긴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제1 브래킷의 선단부끼리를 연결하도록 고정되는 제2 브래킷과,
상기 제1 브래킷과 상기 기존 빔 사이에 끼워지는 평판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추용 가이드 레일은, 각각 상기 한 쌍의 제1 브래킷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브래킷과 상기 기존 빔은, 상기 평판을 끼운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고,
상기 평판의 두께는, 상기 빔용 브래킷의 두께 이상인 엘리베이터의 레일 고정용 브래킷.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브래킷은, 상기 기단부에 기단부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제1 브래킷은, 상기 기단부 관통공과 상기 기존 빔의 관통공이 상기 볼트로 고정되고,
상기 기단부 관통공은 장공(長孔)으로 형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고정용 브래킷.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킷은, 상기 추용 가이드 레일을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제1 레일 고정용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제1 레일 고정용 관통공은 장공으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고정용 브래킷.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 중 일방은, 상기 제2 브래킷에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브래킷은, 상기 선단부에 각각 선단부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제2 브래킷은, 양단부에 양단부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선단부 관통공 각각과 상기 양단부 관통공은 볼트로 고정되고,
적어도 상기 선단부 관통공 및 상기 양단부 관통공 중 어느 일방은 장공으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고정용 브래킷.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래킷에 고정되는 제3 브래킷을 더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 중 일방은, 상기 제3 브래킷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브래킷 및 상기 제3 브래킷은, 양자를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관통공을 각각 가지고,
상기 제2 브래킷 및 상기 제3 브래킷의 상기 관통공 중 어느 일방은 장공으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고정용 브래킷.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 브래킷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을 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제2 레일 고정용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제2 레일 고정용 관통공은, 장공으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고정용 브래킷.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평판은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관통공이 상기 기존 빔의 관통공과 겹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브래킷과 상기 기존 빔과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되고,
상기 평판의 관통공은, 상기 평판이 상기 빔용 브래킷과 겹쳐지지 않은 위치에 마련되는 엘리베이터의 레일 고정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1-133942 | 2021-08-19 | ||
JP2021133942A JP7205589B1 (ja) | 2021-08-19 | 2021-08-19 | 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固定用ブラケット |
PCT/JP2022/030417 WO2023022071A1 (ja) | 2021-08-19 | 2022-08-09 | 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固定用ブラケッ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69425A KR20230169425A (ko) | 2023-12-15 |
KR102667968B1 true KR102667968B1 (ko) | 2024-05-23 |
Family
ID=8492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41264A KR102667968B1 (ko) | 2021-08-19 | 2022-08-09 |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고정용 브래킷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7205589B1 (ko) |
KR (1) | KR102667968B1 (ko) |
CN (1) | CN117715851B (ko) |
WO (1) | WO2023022071A1 (ko)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42299Y2 (ko) * | 1986-05-28 | 1992-10-06 | ||
JPH0172558U (ko) * | 1987-11-05 | 1989-05-16 | ||
JPH04213582A (ja) * | 1990-12-12 | 1992-08-04 |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 レールブラケツトの芯出し調整方法 |
JP3079908B2 (ja) * | 1994-08-31 | 2000-08-21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タ装置 |
US6196356B1 (en) * | 1999-08-24 | 2001-03-06 | Terryle L. Sneed |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elevator car and counterweight guide rails |
JP6116755B2 (ja) * | 2014-03-27 | 2017-04-19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およびその固定方法 |
CN104291181A (zh) | 2014-07-31 | 2015-01-21 | 康力电梯股份有限公司 | 一种电梯轿厢与对重合用导轨支架 |
JP6593823B2 (ja) | 2016-06-14 | 2019-10-23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 |
CN206798932U (zh) * | 2017-04-12 | 2017-12-26 | 浙江西子重工机械有限公司 | 一种电梯地坎支架 |
WO2019069452A1 (ja) * | 2017-10-06 | 2019-04-11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 |
CN111115409A (zh) | 2020-01-03 | 2020-05-08 | 宁波市翼腾精密制造有限公司 | 一种电梯对重导轨支架 |
-
2021
- 2021-08-19 JP JP2021133942A patent/JP7205589B1/ja active Active
-
2022
- 2022-08-09 CN CN202280051796.6A patent/CN117715851B/zh active Active
- 2022-08-09 KR KR1020237041264A patent/KR10266796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08-09 WO PCT/JP2022/030417 patent/WO202302207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7715851B (zh) | 2024-10-18 |
CN117715851A (zh) | 2024-03-15 |
WO2023022071A1 (ja) | 2023-02-23 |
KR20230169425A (ko) | 2023-12-15 |
JP2023028312A (ja) | 2023-03-03 |
JP7205589B1 (ja) | 2023-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40007428A1 (en) | Elevator apparatus | |
KR102422312B1 (ko) |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구조 | |
US20190055108A1 (en) | Variable cross-section elevator guide rail connector | |
CN100402402C (zh) | 电梯 | |
JP4557401B2 (ja) | エレベータ | |
KR100394505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KR102667968B1 (ko) | 엘리베이터의 가이드 레일 고정용 브래킷 | |
JP5329031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EP1771374B1 (en) | Mounting base for an elevator machine | |
JP4091326B2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CN113548559B (zh) | 电梯装置 | |
JP2005112487A (ja) |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 |
JP5911041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6024605B2 (ja) | エレベーターの据付作業床装置 | |
JPH092757A (ja) | ユニット式建物における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 | |
JP4195063B2 (ja) | エレベーター | |
KR20180101486A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2020169085A (ja) | カウンターウェート及びこ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装置 | |
EP2135833B1 (en) | Elevator system | |
JP2019108175A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JP2002087732A (ja) | エレベータ装置 | |
JP2012224414A (ja) |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及びエレベータ | |
KR101437800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WO2023026386A1 (ja) | 昇降路上部構造体、昇降路上部構造体の設置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 | |
EP4056514A1 (en) | Method for mounting an elevator driv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