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324B1 - 표시 영역 내에 관통-홀을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영역 내에 관통-홀을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324B1
KR102663324B1 KR1020180132691A KR20180132691A KR102663324B1 KR 102663324 B1 KR102663324 B1 KR 102663324B1 KR 1020180132691 A KR1020180132691 A KR 1020180132691A KR 20180132691 A KR20180132691 A KR 20180132691A KR 102663324 B1 KR102663324 B1 KR 102663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isplay area
layer
substrate
tr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0120A (ko
Inventor
김중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2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324B1/ko
Priority to US16/670,467 priority patent/US11456437B2/en
Priority to CN201911060462.1A priority patent/CN111146250A/zh
Publication of KR20200050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120A/ko
Priority to US17/889,182 priority patent/US20220399522A1/en
Priority to KR1020240057219A priority patent/KR20240066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01L33/54Encapsulations having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01L33/56Materials, e.g. epoxy or silicone resi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표시 영역 내에 관통-홀을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기판, 관통-홀, 내부 댐 그리고 트랜치를 포함한다. 기판은, 영상을 표시하는 다수 개의 화소들이 배치된 표시 영역과, 상기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구비한다. 관통-홀은,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된다. 내부 댐은, 표시 영역 내에서 관통-홀을 둘러싼다. 트랜치는, 표시 영역 내에서 내부 댐을 둘러싸며, 기판 일부 두께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표시 영역 내에 관통-홀을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ELECTROLUMINESENCE DISPLAY HAVING A THROUGH-HOLE IN DISPLAY AREA}
본 출원은 표시 영역 내에 관통-홀을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출원은 카메라 홀과 같이 기판을 관통하여 빛을 수광하는 장치를 배치하거나, 기판을 관통하는 부가 장치를 삽입할 수 있는 관통-홀이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된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들 중에서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자체 발광형으로서, 시야각, 대조비 등이 우수하며, 별도의 백 라이트가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이 가능하며, 소비 전력이 유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전계 발광 표시장치 중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 속도가 빠르며, 제조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다수 개의 전계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전계 발광 다이오드는, 애노드 전극, 애노드 전극 상에 형성되는 발광층, 그리고 발광층 위에 형성되는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애노드 전극에 고전위 전압이 인가되고 캐소드 전극에 저전위 전압이 인가되면, 애노드 전극에서는 정공이 캐소드 전극에서는 전자가 각각 발광층으로 이동된다. 발광층에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할 때, 여기 과정에서 여기자(exiton)가 형성되고,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로 인해 빛이 발생한다.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뱅크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분되는 다수 개의 전계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층에서 발생하는 빛의 양을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초박형화가 가능하고, 유연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제품으로 응용되고 있다. 하지만,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수분 및 산소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전계 발광 표시장치가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로 개발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수분 및 산소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이 매우 중요하다.
본 출원은 카메라 홀과 같이 기판을 관통하여 빛을 수광할 수 있는 부가 장치를 배치하거나, 기판을 관통하여 부속품을 설치하기 위한 관통-홀이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 내에 배치됨으로써, 표시 영역의 면적을 극대화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관통-홀이 표시 영역 내에 구비되더라도, 관통-홀 주변에 배치된 표시 소자의 발광 소자에 수분 침투를 차단하는 구조를 갖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기판, 관통-홀, 내부 댐 그리고 트랜치를 포함한다. 기판은, 영상을 표시하는 다수 개의 화소들이 배치된 표시 영역과, 상기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구비한다. 관통-홀은,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된다. 내부 댐은, 표시 영역 내에서 관통-홀을 둘러싼다. 트랜치는, 표시 영역 내에서 내부 댐을 둘러싸며, 기판 일부 두께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일례로, 표시 영역은, 영상 정보를 표현하는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 소자를 포함한다. 관통-홀은, 기판, 발광 소자 및 구동 소자가 제거되어 형성된다.
일례로, 트랜치는, 바닥면, 상부면 그리고 측벽을 포함한다. 바닥면은, 기판의 상부 표면보다 일정 깊이 함몰된 위치에 정의된다. 상부면은, 기판의 상부 표면 위에 정의된다. 측벽은, 바닥면과 상부면을 연결한다. 발광 소자의 발광층은, 측벽을 제외한 바닥면 및 상부면에 적층된다.
일례로, 트랜치는,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최소 20% 내지 최대 70%가 제거되어 함몰된 우물 형상을 갖는다.
일례로, 트랜치는, 내부 댐, 그리고 화소들 중 내부 댐에 가까이 배치된 인접 화소들 사이에 배치된다.
일례로, 트랜치는, 관통-홀의 형상에 대응하는 폐곡선 형상을 갖는다.
일례로, 트랜치는, 관통-홀을 둘러싸는 다각형, 원형 및 타원형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는다.
일례로, 트랜치는, 내부 댐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다.
일례로, 내부 댐은, 관통-홀에 인접한 제1 내부 댐, 및 제1 내부 댐을 둘러싸는 제2 내부 댐을 포함한다.
일례로, 트랜치는, 제1 내부 댐과 제2 내부 댐 사이에 배치된다.
일례로, 박막 트랜지스터 층, 평탄화 막, 애노드 전극 및 뱅크를 더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층은, 기판 위에 형성된다. 평탄화 막은, 박막 트랜지스터 층을 덮는다. 애노드 전극은, 박막 트랜지스터 층 내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고, 평탄화 막 위에 배치된다. 뱅크는, 애노드 전극에서 발광 영역을 정의한다. 트랜치는, 뱅크, 평탄화 막, 박막 트랜지스터 층을 관통하고, 기판의 일부 두께가 제거되어 형성된다.
일례로, 내부 댐은, 평탄화 막 및 뱅크 위에 적층되며 관통-홀을 둘러싸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다.
일례로, 외부 댐, 발광층, 캐소드 전극, 제1 무기 봉지층, 유기 봉지층 및 제2 무기 봉지층을 더 포함한다. 외부 댐은, 비 표시 영역에 배치되고 표시 영역을 둘러싼다. 발광층은, 외부 댐과 관통-홀 사이의 기판 위에서 화소들, 내부 댐 및 홀-트랜치를 덮는다. 캐소드 전극은, 발광층 위에 적층된다. 봉지층은, 캐소드 전극을 덮는다.
일례로, 관통-홀은, 기판, 박막 트랜지스터 층, 평탄화 막, 발광층, 캐소드 전극, 봉지층을 구비하지 않는다. 관통-홀의 측벽에는 발광층이 노출된다.
일례로, 봉지층은, 제1 무기 봉지층, 제1 무기 봉지층 위에 도포된 유기 봉지층, 그리고 유기 봉지층의 상부 표면에 적층된 제2 무기 봉지층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표시 영역 내에 관통-홀을 구비하므로, 비 표시 영역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최소화되고, 표시 영역의 면적 비율이 극대화된다. 본 출원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관통-홀 주변에 내부 댐과 홀-트랜치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에서 수분이 발광 소자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표시 영역 내에 표시 패널을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더라도, 외부로부터의 수분 및 이물질이 표시 소자로 침투 및 전파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안정성이 보장되며, 제품의 수명을 확보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에 의한 표시 영역 내에 관통-홀을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서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된 관통-홀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서 관통-홀이 배치된 부분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의 절취선 I-I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서 일측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의 절취선 II-II'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에 배치된 관통-홀 및 홀-트랜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에 배치된 관통-홀 및 홀-트랜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출원의 일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의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폴더블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에 의한 표시 영역 내에 관통-홀을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출원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기판(SUB), 화소(P), 공통 전원 배선(CPL), 외부 댐(DMO), 구동부(PP, 200, 300) 및 관통-홀(TH)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베이스 기판(또는 베이스 층)으로서, 플라스틱 재질 또는 유리 재질을 포함한다. 표시장치의 특성상 기판(SUB)은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예를 들어, 상부 발광형과 같은 경우, 불투명한 재질로 기판(SUB)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른 기판(SUB)은 평면적으로 사각 형태, 각 모서리 부분이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라운딩된 사각 형태, 또는 적어도 6개의 변을 갖는 비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비사각 형태를 갖는 기판(SUB)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부(notch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기판(SUB)은 표시 영역(AA)과 비표시 영역(I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영역(AA)은 기판(SUB)의 중간 대부분에 마련되는 것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표시 영역(AA)은 평면적으로 사각 형태, 각 모서리 부분이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라운딩된 사각 형태, 또는 적어도 6개의 변을 갖는 비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비사각 형태를 갖는 표시 영역(AA)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또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IA)은 표시 영역(AA)을 둘러싸도록 기판(SUB)의 가장자리 영역에 마련되는 것으로, 영상이 표시되는 않는 영역 또는 주변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비표시 영역(IA)은 기판(SUB)의 제1 가장자리에 마련된 제1 비표시 영역(IA1), 제1 비표시 영역(IA1)과 나란한 기판(SUB)의 제2 가장자리에 마련된 제2 비표시 영역(IA2), 기판(SUB)의 제3 가장자리에 마련된 제3 비표시 영역(IA3), 및 제3 비표시 영역과 나란한 기판(SUB)의 제4 가장자리에 마련된 제4 비표시 영역(IA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표시 영역(IA1)은 기판(SUB)의 상측(또는 하측) 가장자리 영역, 제2 비표시 영역(IA2)은 기판(SUB)의 하측(또는 상측) 가장자리 영역, 제3 비표시 영역(IA3)은 기판(SUB)의 좌측(또는 우측) 가장자리 영역, 그리고 제4 비표시 영역(IA4)은 기판(SUB)의 우측(또는 좌측)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소(P)는 기판(SUB)의 표시 영역(AA)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화소(P)는 복수 개가 매트릭스 방식의 배열을 이루고 기판(SUB)의 표시 영역(A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P)는 스캔 배선(SL), 데이터 배선(DL), 화소 구동 전원 배선(PL)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스캔 배선(SL)은 제1 방향(X)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기판(SUB)의 표시 영역(AA)은 제1 방향(X)과 나란하면서 제2 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스캔 배선(SL)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방향(X)은 기판(SUB)의 가로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고, 제2 방향(Y)은 기판(SUB)의 세로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반대로 정의될 수도 있다.
데이터 배선(DL)은 제2 방향(Y)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제1 방향(X)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기판(SUB)의 표시 영역(AA)은 제2 방향(Y)과 나란하면서 제1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데이터 배선(DL)을 포함한다.
화소 구동 전원 배선(PL)은 데이터 배선(DL)과 나란하도록 기판(SUB) 상에 배치된다. 기판(SUB)의 표시 영역(AA)은 데이터 배선(DL)과 나란한 복수의 화소 구동 전원 배선(PL)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화소 구동 전원 배선(PL)은 스캔 배선(SL)과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른 화소(P)는 표시 영역(AA) 상에 스트라이프(stripe) 구조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단위 화소는 적색 서브 화소, 녹색 서브 화소, 및 청색 서브 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하나의 단위 화소는 백색 서브 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화소(P)는 표시 영역(AA) 상에 펜타일(pentile) 구조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단위 화소는 평면적으로 다각 형태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적색 서브 화소, 적어도 2개의 녹색 서브 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청색 서브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펜타일 구조를 갖는 하나의 단위 화소는 하나의 적색 서브 화소, 2개의 녹색 서브 화소, 및 하나의 청색 서브 화소가 평면적으로 팔각 형태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청색 서브 화소는 상대적으로 가장 큰 크기의 개구 영역(또는 발광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녹색 서브 화소는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크기의 개구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화소(P)는 인접한 스캔 배선(SL)과 데이터 배선(DL) 및 화소 구동 전원 배선(PL)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 회로(PC), 및 화소 회로(P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소자(ED)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회로(PC)는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스캔 배선(SL)으로부터 공급되는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인접한 데이터 배선(DL)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기반으로 화소 구동 전원 배선(PL)으로부터 발광 소자(ED)에 흐르는 전류(Ied)를 제어한다.
일 예에 따른 화소 회로(PC)는 적어도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예에 따른 화소 회로(PC)는 데이터 전압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전류(Ied)를 발광 소자(ED)에 공급하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데이터 배선(DL)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에 공급하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전압을 저장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화소 회로(PC)는 적어도 3개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예에 따른 화소 회로(PC)는 적어도 3개의 박막 트랜지스터 각각의 동작(또는 기능)에 따라 전류 공급 회로와 데이터 공급 회로 및 보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류 공급 회로는 데이터 전압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전류(Ied)를 발광 소자(ED)에 공급하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공급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배선(DL)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전류 공급 회로에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상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 값(임계 전압 및/또는 이동도) 변화를 보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상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ED)는 화소 회로(PC)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전류(Ied)에 의해 발광하여 데이터 전류(Ied)에 해당하는 휘도의 광을 방출한다. 이 경우, 데이터 전류(Ied)는 화소 구동 전원 배선(PL)으로부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와 발광 소자(ED)를 통해 공통 전원 배선(CPL)으로 흐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발광 소자(ED)는 화소 회로(PC)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 구동 전극(AE)(또는 제1 전극 혹은 애노드), 화소 구동 전극 상에 형성된 발광층(EL), 및 발광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공통 전극(또는 제2 전극 혹은 캐소드)(CE)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전원 배선(CPL)은 기판(SUB)의 비표시 영역(IA) 상에 배치되고 표시 영역(AA) 상에 배치된 공통 전극(CE)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 예에 따른 공통 전원 배선(CPL)은 일정한 배선 폭을 가지면서 기판(SUB)의 표시 영역(IA)에 인접한 제2 내지 제4 비표시 영역(IA2, IA3, IA4)을 따라 배치되고, 기판(SUB)의 제1 비표시 영역(IA1)에 인접한 표시 영역(AA)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둘러싼다. 공통 전원 배선(CPL)의 일단은 제1 비표시 영역(IA1)의 일측 상에 배치되고, 공통 전원 배선(CPL)의 타단은 제1 비표시 영역(IA1)의 타측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공통 전원 배선(CPL)의 일단과 타단 사이는 제2 내지 제4 비표시 영역(IA2, IA3, IA4)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예에 따른 공통 전원 배선(CPL)은 평면적으로 기판(SUB)의 제1 비표시 영역(IA1)에 해당하는 일측이 개구된 '∩'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봉지층은 기판(SUB) 상에 형성되어 표시 영역(AA) 및 공통 전원 배선(CPL)의 상부면과 측면을 둘러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봉지층은, 제1 비 표시 영역(IA1)에서는, 공통 전원 배선(CPL)의 일단과 타단을 노출할 수 있다. 봉지층은 산소 또는 수분이 표시 영역(AA) 내에 마련된 발광 소자(ED)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봉지층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봉지층은 복수의 무기막 그리고 복수의 무기막 사이에 개재된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구동부는 패드부(PP), 게이트 구동 회로(200) 및 구동 집적 회로(30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PP)는 기판(SUB)의 비표시 영역(IA)에 마련된 복수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패드부(PP)는 기판(SUB)의 제1 비표시 영역(IA1)에 마련된 복수의 공통 전원 공급 패드, 복수의 데이터 입력 패드, 복수의 전원 공급 패드 및 복수의 제어 신호 입력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회로(200)는 기판(SUB)의 제3 비표시 영역(IA3) 및/또는 제4 비표시 영역(IA4)에 마련되어 표시 영역(AA)에 마련된 스캔 배선들(SL)과 일대일로 연결된다. 게이트 구동 회로(200)는 화소(P)의 제조 공정, 즉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과 함께 기판(SUB)의 제3 비표시 영역(IA3) 및/또는 제4 비표시 영역(IA4)에 집적된다. 이러한 게이트 구동 회로(200)는 구동 집적 회로(300)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스캔 신호를 생성하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출력함으로써 복수의 스캔 배선(SL) 각각을 정해진 순서에 따라 구동한다. 일 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200)는 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댐(DMO)은 기판(SUB)의 제1 비 표시 영역(IA1), 제2 비 표시 영역(IA2), 제3 비 표시 영역(IA3) 및 제4 비 표시 영역(IA4)에 마련되어 표시 영역(AA) 주변을 둘러싸는 폐곡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외부 댐(DMO)은 공통 전원 배선(CPL)의 외측에 배치됨으로서 기판(SUB) 위에서 최 외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패드부(PP)와 구동 집적 회로(300)은 댐 구조체(DM)의 외측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외부 댐(DMO)이 최외곽에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외부 댐(DMO)은 공통 전원 배선(CPL)과 게이트 구동 회로(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외부 댐(DMO)은 표시 영역(AA)과 게이트 구동 회로(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집적 회로(300)는 칩 실장(또는 본딩) 공정을 통해 기판(SUB)의 제1 비표시 영역(IA1)에 정의된 칩 실장 영역에 실장된다. 구동 집적 회로(300)의 입력 단자들은 패드부(PP)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구동 집적 회로(300)의 입력 단자들은 표시 영역(AA)에 마련된 복수의 데이터 배선(DL)과 복수의 화소 구동 전원 배선(PL)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 집적 회로(300)는 패드부(PP)를 통해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부(또는 호스트 회로)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전원, 타이밍 동기 신호, 및 디지털 영상 데이터 등을 수신하고, 타이밍 동기 신호에 따라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게이트 구동 회로(200)의 구동을 제어하고, 이와 동시에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화소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해당하는 데이터 배선(DL)에 공급한다.
관통-홀(TH)은 표시 장치를 물리적으로 관통한다. 관통-홀(TH)은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 패널만을 관통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패널의 상부 표면에 합착되는 편광판이나 커버 글래스는 관통되지 않고 관통-홀(TH)을 덮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카메라 홀이나 광 센서 홀과 같이, 빛을 투과하도록 하기 위한 관통-홀(TH)을 구비하는 경우, 관통-홀(TH)은 표시 패널만 관통하고, 편광판이나 커버 글래스는 관통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표시 장치 전체를 관통하는 부가 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표시 패널 및 그 상부에 합착되는 광학 필름 그리고 커버 글래스도 관통하는 관통-홀(TH)을 구비할 수 있다.
관통-홀(TH)에는 표시 소자가 배치될 수 없기 때문에 비 표시 영역(IA)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홀(TH)의 자체 면적뿐 아니라, 관통-홀(TH)의 폭이나 너비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AA)의 폭이나 너비 면적이 감소되므로, 표시 패널에서 표시 영역(AA)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줄어든다. 본 출원에서는 관통-홀(TH)이 표시 영역(AA)에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표시 영역(AA) 내부에서 관통-홀(TH) 자체의 면적에만 표시 소자가 배치되지 않고, 관통-홀(TH) 주변에 표시 소자가 배치됨으로써, 표시 패널에서 표시 영역(AA)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주요 특징인 관통-홀의 구조적 특징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출원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서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된 관통-홀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영역(AA) 내에 관통-홀(TH)이 배치되어 있다. 관통-홀(TH) 주변에는 화소(P)들이 배치되어 있다. 화소(P)들 중에서 관통-홀(TH)과 가장 가까이 배치된 화소(P)들을 인접 화소(Pc)로 정의할 수 있다. 인접 화소(Pc)들과 관통-홀(TH) 사이는 홀 경계부(THB)로 정의할 수 있다.
홀 경계부(THB)에는 내부 댐(DMI)과 트랜치(HTR)가 배치되어 있다. 특히, 내부 댐(DMI)은 관통-홀(TH)과 가장 인접해 배치된다. 내부 댐(DMI)은 관통-홀(TH)의 형상에 대응하면서 관통-홀(TH)을 둘러싸는 폐곡선 형상을 갖는다. 트랜치(HTR)는 내부 댐(DMI)과 인접 화소(Pc)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트랜치(HTR)는 내부 댐(DMI)의 형상에 대응하면서 내부 댐(DMI)을 둘러싸는 폐곡선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내부 댐(DMI)과 트랜치(HTR)는 서로 다른 폐곡선 형상을 가질 수도 있지만, 동일한 형상을 갖되 크기가 다른 폐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내부 댐(DMI)과 트랜치(HTR)는 동심원 형상을 갖고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영역에 관통-홀을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단면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서 관통-홀이 배치된 부분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의 절취선 I-I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서 일측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의 절취선 II-II'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기판(SUB), 화소 어레이층(120), 스페이서(SP), 봉지층(130) 및 관통-홀(TH)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표시 영역(AA)과 표시 영역(AA)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IA)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베이스 층으로서, 플라스틱 재질 또는 유리 재질을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른 기판(SUB)은 불투명 또는 유색 폴리이미드(polyimide)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플렉서블(flexible) 기판 혹은 강성(rigid)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재질의 플렉서블 기판(SUB)은 10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두께를 갖는 박형 유리 기판이거나, 기판 식각 공정에 의해 10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두께를 가지도록 식각된 유리 기판일 수 있다.
기판(SUB)의 상부 표면 상에는 버퍼막(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은 투습에 취약한 기판(SUB)을 통해서 화소 어레이 층(120)으로 침투하는 수분을 차단하기 위하여, 기판(SUB)의 일면 상에 형성된다. 일 예에 따른 버퍼막은 교번하여 적층된 복수의 무기막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막은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및 실리콘 산질화막(SiON) 중 하나 이상의 무기막이 교번하여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막은 생략될 수 있다.
화소 어레이 층(120)은 박막 트랜지스터 층, 평탄화 층(PLN), 뱅크 패턴(BN), 스페이서(SP) 및 발광 소자(ED)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층은 기판(SUB)의 표시 영역(AA)에 정의된 복수의 화소(P) 및 기판(SUB)의 제4 비표시 영역(IA4)에 정의된 게이트 구동 회로(200)에 각각 마련된다.
일 예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층은 박막 트랜지스터(T), 게이트 절연막(GI) 및 층간 절연막(ILD)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T)는 발광 소자(ED)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는 기판(SUB) 또는 버퍼막 상에 형성된 반도체 층(A), 게이트 전극(G),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을 포함한다. 도 3 및 4에서 박막 트랜지스터(T)는 게이트 전극(G)이 반도체 층(A)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게이트(탑 게이트, top gate)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박막 트랜지스터(T)는 게이트 전극(G)이 반도체 층(A)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게이트(보텀 게이트, bottom gate) 구조 또는 게이트 전극(G)이 반도체 층(A)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 위치하는 더블 게이트(double gate)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반도체 층(A)은 기판(SUB) 또는 버퍼막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 층(A)은 실리콘계 반도체 물질, 산화물계 반도체 물질, 또는 유기물계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층 구조 또는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버퍼막과 반도체 층(A) 사이에는 반도체 층(A)으로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은 반도체 층(A)을 덮도록 기판(SUB)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은 무기막,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SiOx), 실리콘 질화막(SiNx), 또는 이들의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은 반도체 층(A)과 중첩되도록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은 스캔 배선(SL)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게이트 전극(G)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ILD)은 게이트 전극(G)과 게이트 절연막(GI)을 덮도록 기판(SUB)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ILD)은 게이트 전극(G)과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평탄면을 제공한다.
소스 전극(S)과 드레인 전극(D)은 게이트 전극(G)을 사이에 두고 반도체 층(A)과 중첩되도록 층간 절연막(ILD)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소스 전극(S)과 드레인 전극(D)은 데이터 배선(DL)과 화소 구동 전원 배선(PL) 및 공통 전원 배선(CPL)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즉, 소스 전극(S), 드레인 전극(D), 데이터 배선(DL), 화소 구동 전원 배선(PL) 및 공통 전원 배선(CPL) 각각은 소스 드레인 전극 물질에 대한 패터닝 공정에 의해 동시에 형성된다.
소스 전극(S)과 드레인 전극(D) 각각은 층간 절연막(ILD)과 게이트 절연막(GI)을 관통하는 전극 컨택홀을 통해 반도체 층(A)에 접속될 수 있다. 소스 전극(S)과 드레인 전극(D)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T)의 소스 전극(S)은 화소 구동 전원 배선(P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SUB)의 화소(P)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T)는 화소 회로(PC)를 구성한다. 또한, 기판(SUB)의 제4 비표시 영역(IA4)에 배치된 게이트 구동 회로(200)는 화소(P)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T)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할 수 있다.
평탄화 층(PLN)은 박막 트랜지스터 층을 덮도록 기판(SUB) 전체에 형성된다. 평탄화 층(PLN)은 박막 트랜지스터 층 상에 평탄면을 제공한다. 일 예에 따른 평탄화 층(PLN)은 아크릴 수지(acry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 수지(polyamide resin),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의 유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평탄화 층(PLN)은 화소(P)에 마련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D)을 노출시키기 위한 화소 컨택홀(PH)을 포함할 수 있다.
뱅크 패턴(BN)은 평탄화층(PLN) 상에 배치되어 표시 영역(AA)의 화소(P) 내에 개구 영역(또는 발광 영역)을 정의한다. 이러한 뱅크 패턴(BN)은 화소 정의막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발광 소자(ED)는 화소 구동 전극(AE), 발광층(EL), 및 공통 전극(CE)을 포함한다. 화소 구동 전극(AE)은 평탄화 층(PLN) 상에 형성되고 평탄화 층(PLN)에 마련된 화소 컨택홀(PH)을 통해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D)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화소(P)의 개구 영역과 중첩되는 화소 구동 전극(AE)의 중간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 부분은 뱅크 패턴(BN)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뱅크 패턴(BN)은 화소 구동 전극(AE)의 가장자리 부분을 덮음으로써 화소(P)의 개구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화소 구동 전극(AE)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구동 전극(AE)은 알루미늄(Al)과 티타늄(Ti)의 적층 구조(Ti/Al/Ti), 알루미늄(Al)과 ITO의 적층 구조(ITO/Al/ITO), APC(Ag/Pd/Cu) 합금, 및 APC 합금과 ITO의 적층 구조(ITO/APC/ITO)와 같은 다층 구조로 형성되거나, 은(Ag),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금(Au), 마그네슘(Mg), 칼슘(Ca), 또는 바륨(Ba)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 또는 2 이상의 합금 물질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L)은 화소 구동 전극(AE)과 뱅크 패턴(BN)을 덮도록 기판(SUB)의 표시 영역(AA) 전체에 형성된다. 일 예에 따른 발광층(EL)은 백색 광을 방출하기 위해 수직 적층된 2 이상의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예에 따른 발광층(EL)은 제 1 광과 제 2 광의 혼합에 의해 백색 광을 방출하기 위한 제 1 발광부와 제 2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발광부는 제 1 광을 방출하는 것으로 청색 발광부, 녹색 발광부, 적색 발광부, 황색 발광부, 및 황록색 발광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발광부는 청색 발광부, 녹색 발광부, 적색 발광부, 황색 발광부, 및 황록색 중 제 1 광의 보색 관계를 갖는 제 2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발광층(EL)은 화소(P)에 설정된 색상과 대응되는 컬러 광을 방출하기 위한, 청색 발광부, 녹색 발광부, 및 적색 발광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예에 따른 발광층(EL)은 유기 발광층, 무기 발광층, 및 양자점 발광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유기 발광층(또는 무기 발광층)과 양자점 발광층의 적층 또는 혼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 예에 따른 발광 소자(ED)는 발광층(EL)의 발광 효율 및/또는 수명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공통 전극(CE)은 발광층(E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공통 전극(CE)은 각 화소(P)에 마련된 발광층(EL)과 공통적으로 연결되도록 기판(SUB)의 표시 영역(AA) 전체에 형성된다.
일 예에 따른 공통 전극(CE)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 전도성 물질 또는 반투과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전극(CE)이 반투과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마이크로 캐비티(micro cavity) 구조를 통해 발광 소자(ED)에서 발광된 광의 출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반투과 전도성 물질은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공통 전극(CE) 상에는 발광 소자(ED)에서 발광된 광의 굴절율을 조절하여 광의 출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캡핑층(capping layer)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SP)는 표시 영역(AA) 내에서 개구 영역 즉, 발광 소자(ED)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산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SP)는 발광층(EL)을 증착하는 과정에서 스크린 마스크와 기판이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스페이서(SP)는 뱅크 패턴(BN) 위에 배치되며, 발광층(EL)과 공통 전극(CE)이 표시 영역(AA) 내측에 배치된 스페이서(SP)를 타고 넘어가도록 도포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발광층(EL) 및/또는 공통 전극(CE)은 스페이서(SP)를 타고 넘어가지 않을 수 있다. 스페이서(SP)는 표시 영역(AA) 내부에서 뱅크 패턴(BN)의 일부에만 배치되어 있으므로, 공통 전극(CE)이 스페이서(SP)를 타고 넘어가지 않더라도, 공통 전극(CE)은 표시 영역(AA) 전체를 덮으며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봉지층(130)은 화소 어레이층(120)의 상면과 측면을 모두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봉지층(130)은 산소 또는 수분이 발광 소자(ED)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에 따른 봉지층(130)은 제1 무기 봉지층(PAS1), 제1 무기 봉지층(PAS1) 상의 유기 봉지층(PCL) 및 유기 봉지층(PCL) 상의 제2 무기 봉지층(PA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 봉지층(PAS1)과 제2 무기 봉지층(PAS2)은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에 따른 제1 무기 봉지층(PAS1)과 제2 무기 봉지층(PAS2)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 등의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무기 봉지층(PAS1)과 제2 무기 봉지층(PAS2)은 화학 기상 증착 공정 또는 원자층 증착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봉지층(PCL)은 제1 무기 봉지층(PAS1)과 제2 무기 봉지층(PAS2)에 의해 둘러싸인다. 유기 봉지층(PCL)은 제조 공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이물들(particles)을 흡착 및/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제1 무기 봉지층(PAS1) 및/또는 제2 무기 봉지층(PAS2) 대비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봉지층(PCL)은 실리콘옥시카본(SiOCz) 아크릴 또는 에폭시 계열의 레진(Resin) 등의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기 봉지층(PCL)은 코팅 공정, 예를 들어 잉크젯 코팅 공정 또는 슬릿 코팅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댐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댐 구조물은 표시 영역(AA)의 외측에 배치된 외부 댐(DMO)과 표시 영역(AA)의 내부에 배치된 내부 댐(DMI)을 포함한다. 외부 댐(DMO)은, 유기 봉지층(PCL)의 흘러 넘침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판(SUB)의 비표시 영역(IA)에 배치된다. 내부 댐(DMI)은 표시 영역(AA) 내부에서 관통-홀(TH)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외부 댐(DMO)은 도 4에만 도시되어 있고, 내부 댐(DMI)은 도 3에만 도시되어 있다.
일 예에 따른 외부 댐(DMO)은 표시 영역(A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더 상세히는, 외부 댐(DMO)은 표시 영역(AA) 외측에 배치된 게이트 구동 회로(200) 및 게이트 구동 회로(200) 외측에 배치된 공통 전원 배선(CPL)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외부 댐(DMO)은 공통 전원 배선(CPL)의 외측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게이트 구동 회로(200) 및 공통 전원 배선(CPL)이 배치되는 비 표시 영역(IA)의 폭을 줄여 베젤(Bezel) 폭을 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댐 구조물은, 내부 댐(DMI)과 외부 댐(DMO)을 모두 포함하여, 기판(SUB)에 수직하게 형성된 3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탄화 막(PLN)으로 형성한 제1 층, 뱅크 패턴(BN)으로 형성한 제2 층, 그리고 스페이서(SP)로 형성한 제3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은 평탄화 막(PLN)을 패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층은 제1 층 위에 적층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3 층은 제2 층 위에 적층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유기 봉지층(PCL)의 두께가 얇아서 유기 봉지층(PCL)의 퍼짐성을 제어하기가 용이한 경우에는 댐 구조물의 높이가 높지 않아도 충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3 층은 생략될 수 있다.
댐 구조물은 제1 무기 봉지층(PAS1) 및/또는 제2 무기 봉지층(PAS2)에 의해 모두 덮인다. 유기 봉지층(PCL)은 댐 구조물의 내측 벽면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봉지층(PCL)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부 표면까지의 높이는 댐 구조물(DM)의 제1 층 높이 보다 높고 제2 층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또는 유기 봉지층(PCL)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부 표면까지의 높이는 댐 구조물(DM)의 제2 층 높이보다 높고 제3 층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유기 봉지층(PCL)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부 표면까지의 높이는 댐 구조물의 전체 높이보다 낮게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댐 구조물의 상부 표면과 외측 측벽에서는 제1 무기 봉지층(PAS1)과 제2 무기 봉지층(PAS2)이 서로 면 접촉을 이루는 구조를 갖는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 예에 의한 내부 댐(DMI)의 구조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내부 댐(DMI)은 표시 영역(AA)의 내부에서 관통-홀(TH)과 그 주변을 둘러싸는 인접 화소(Pc)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외부 댐(DMO)과는 달리, 내부 댐(DMI) 위에는 발광 소자(ED)의 일부 구성들이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층(EL) 및 캐소드 전극(CE)이 내부 댐(DMI)을 타고 넘는 형상으로 도포될 수 있다.
내부 댐(DMI)은 정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부 댐(DMI)이 정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경우, 관통-홀(TH) 주변에서 유기 봉지층(PCL)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발광층(EL)이 관통-홀(TH)의 측면에서 노출되어 수분 침투에 취약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내부 댐(DMI)은 역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역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경우, 내부 댐(DMI)의 하단부에서 발광층(EL)이 단선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발광층(EL)의 관통-홀(TH)에서 노출된 부분을 통해 침투되는 수분이 관통-홀(TH) 주변에 배치된 인접 화소(Pc) 내부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 영역(AA)의 표시 면적 비율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는, 내부 댐(DMI)은 관통-홀(TH)과 매우 가깝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역 테이퍼 형상의 내부 댐(DMI)만으로는 수분 침투를 완전히 차단할 수 없다. 본 출원에서는 내부 댐(DMI)의 형상이 정 테이퍼 형상 또는 역 테이퍼 형상을 갖든지 관계 없이 관통-홀(TH)의 측면에서 노출된 발광층(EL)을 통해 침투하는 수분이 인접 화소(Pc)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홀-트랜치(HTR)를 더 구비한다.
홀-트랜치(HTR)는 관통-홀(TH)의 형상에 대응하는 폐곡선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관통-홀(TH)이 원형인 경우, 홀-트랜치(HTR)도 원형일 수 있다. 또는 관통-홀(TH)의 형상과 상관 없이, 관통-홀(TH)을 둘러싸는 타원형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관통-홀(TH)이 사각형, 육각형 혹은 팔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경우, 홀-트랜치(HTR)는 관통-홀(TH)을 둘러싸는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중 어느 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관통-홀(TH)이 원형이며, 홀-트랜치(HTR)가 관통-홀(TH)과 동심원을 가지면서 관통-홀(TH)을 둘러싸는 원형인 경우로 설명한다.
홀-트랜치(HTR)는 내부 댐(DMI)과 인접 화소(Pc)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트랜치(HTR)는 단면 형상이, 기판(SUB)의 일부 두께를 제거한 우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상세히는, 기판(SUB) 위에 화소 어레이층(120)을 적층하고, 애노드 전극(AE)을 형성하고, 발광 영역을 정의하는 뱅크(BN)를 패턴한 후, 화소 어레이층(120)과 기판(SUB)을 함께 식각하여 홀-트랜치(HTR)를 형성할 수 있다.
홀-트랜치(HTR)는 바닥면(BS), 상부면(US) 그리고 바닥면(BS)과 상부면(US)을 연결하는 측벽(SW)을 포함한다. 바닥면(BS)은 기판(SUB)에 형성된 함몰부의 최저 표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부면(US)은 홀-트랜치(THR)이 형성되는 상태에서 기판(SUB)의 최상층 표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뱅크(BN)를 패턴한 후 노출된 평탄화 막(PLN)에 홀-트랜치(THR)를 형성하므로, 평탄화 막(PLN)의 상부 표면이 상부면(US)으로 정의될 수 있다. 측벽(SW)은 바닥면(BS)과 상부면(US)을 연결하는 홀-트랜치(THR)의 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홀-트랜치(HTR)를 형성한 후에, 발광층(EL)이 도포된다. 발광층(EL)은 홀-트랜치(HTR)의 바닥면(BS) 그리고, 홀-트랜치(HTR)의 상부면(US)의 주변에 적층된다. 하지만, 홀-트랜치(HTR)의 측벽(SW)에는 도포되지 않으므로, 홀-트랜치(HTR)에 의해 발광층(EL)이 단선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관통-홀(TH)의 측벽(SW)에 노출된 발광층(EL)으로 수분이 침투하더라도, 홀-트랜치(HTR)에 의해 관통-홀(TH) 주변에 배치된 인접 화소(Pc)들로 수분이 전파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홀-트랜치(HTR)을 형성하는 목적이 발광층(EL)이 홀-트랜치(HTR)에 의해 단선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홀-트랜치(HTR)은 충분한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오차 등을 감안했을 때, 홀-트랜치(HTR)는 관통-홀(TH)을 완전히 둘러싸며 기판(SUB)의 소정 두께를 제거한 우물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홀-트랜치(HTR)의 깊이가 얕더라도, 발광층(EL)을 단선할 수 있으나, 확실한 단선 구조를 갖기 위해서는 홀-트랜치(HTR)의 깊이는 기판(SUB)의 두께보다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층(EL) 위에는 캐소드(CE)가 적층되며, 캐소드(CE) 위에는 봉지층(130)이 적층된다. 특히, 봉지층(130)의 제1 무기막(PAS1)이 먼저 적층되는데, 제1 무기막(PAS1)은 홀-트랜치(HTR)의 상부면(US), 바닥면(BS) 및 측벽(SW)을 따라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홀(TH)의 측벽(SW)에 노출된 발광층(EL)을 통해 침투한 수분은 홀-트랜치(HTR) 및 홀-트랜치(HTR)을 덮는 제1 무기막(PAS1)에 의해 완전 차단된다.
홀-트랜치(HTR)의 깊이가 너무 깊을 경우, 홀-트랜치(HTR)에 의해 기판(SUB)이 파손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홀-트랜치(HTR)의 기능이 현저히 저하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홀-트랜치(HTR)의 깊이는, 기판(SUB)에서 홀-트랜치(HTR)가 형성된 부분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홀-트랜치(HTR)는 최대 깊이가 기판(SUB) 두께의 70%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한 관통-홀을 둘러싸는 홀-트랜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에 배치된 관통-홀 및 홀-트랜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에 배치된 관통-홀 및 홀-트랜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및 6에서는 편의상 관통-홀(TH)과 홀-트랜치(HTR) 그리고 내부 댐(DMI)만 도시하였다. 도 5 및 6에 표시하지 않으나 이하의 설명에서 언급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도면 부호와 동일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표시 영역 내부에 관통-홀(TH)이 구비되어 있다. 관통-홀(TH)의 주변에는 제1 내부 댐(DMI1)이 둘러싸고 있다. 제1 내부 댐(DMI1)의 주변에는 제2 내부 댐(DMI2)이 둘러싸고 있다. 제1 내부 댐(DMI1)과 제2 내부 댐(DMI2) 사이에는 홀-트랜치(HTR)가 배치되어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내부 댐(DMI2) 주변에는 인접 화소(Pc)를 포함한 화소(P)들이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의한 일 실시 예에서는 내부 댐의 기능을 보강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1 내부 댐(DMI1)과 제2 내부 댐(DMI2)을 포함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된다. 또한, 홀-트랜치(HTR)가 제1 내부 댐(DMI1)과 제2 내부 댐(DMI2)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 홀-트랜치(HTR)의 폭은 제1 내부 댐(DMI1)의 폭 및 제2 내부 댐(DMI2)의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내부 댐(DMI1)과 제2 내부 댐(DMI2)은 동일한 폭을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도 있다.
관통-홀(TH)과 인접 화소(Pc) 사이의 영역으로 정의된 홀-경계부(THB)는 가급적 좁은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경계부(THB)가 너무 넓으면, 표시 기능을 저해할 수 있다. 홀-경계부(THB)에는 제1 내부 댐(DMI1), 제2 내부 댐(DMI2) 그리고 홀-트랜치(HTR)이 배치된다. 여기서, 제1 내부 댐(DMI1) 및 제2 내부 댐(DMI2)은 유기 봉지막(PCL)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폭 값을 좁게 설정하는 데는 제약이 있다. 반면에 홀-트랜치(HTR)는 발광층(EL)을 단선할 목적이 있으며, 발광층(EL) 단선은 홀-트랜치(HTR)의 깊이와 주로 관련이 있다. 따라서, 홀-경계부(THB)의 폭을 가급적 좁게하기 위해서는, 홀-트랜치(HTR)의 폭이 제1 내부 댐(DMI1) 및/또는 제2 내부 댐(DMI2)의 폭보다 크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표시 영역 내부에 관통-홀(TH)이 구비되어 있다. 관통-홀(TH)의 주변에는 제1 내부 댐(DMI1)이 둘러싸고 있다. 제1 내부 댐(DMI1)의 주변에는 제2 내부 댐(DMI2)이 둘러싸고 있다. 그리고 제2 내부 댐(DMI2) 주변에는 홀-트랜치(HTR)가 배치되어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홀-트랜치(HTR) 주변에는 인접 화소(Pc)를 포함한 화소(P)들이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의한 다른 실시 예에서도 내부 댐의 기능을 보강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1 내부 댐(DMI1)과 제2 내부 댐(DMI2)을 포함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된다. 또한, 홀-트랜치(HTR)가 제2 내부 댐(DMI2)과 인접 화소(Pc)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 홀-트랜치(HTR)의 폭은 제1 내부 댐(DMI1)의 폭 및 제2 내부 댐(DMI2)의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내부 댐(DMI1)과 제2 내부 댐(DMI2)은 동일한 폭을 가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전계 표시 장치는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스마트 폰(smart phone), 이동 통신 단말기, 모바일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와치 폰(watch phone), 또는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모니터, 냉장고, 전자 레인지, 세탁기, 카메라 등의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출원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UB: 기판 T: 박막 트랜지스터
PLN: 평탄화 층 BN: 뱅크 패턴
SP: 스페이서 DM: 댐 구조물
DMI: 내부 댐 DMO: 외부 댐
TH: 관통-홀 HTR: 홀-트랜치
200: 게이트 구동 회로 300: 구동 집적 회로
120: 화소 어레이층 130: 봉지층
ED: 발광 소자 AE: 화소 구동 전극
EL: 발광층 CE: 공통 전극
CPL: 공통 전원 배선

Claims (15)

  1. 영상을 표시하는 다수 개의 화소들이 배치된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을 구비한 기판;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되어 영상 정보를 표현하는 발광 소자;
    상기 표시 영역 내에 배치된 관통-홀;
    상기 기판 위에 배치되며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는 내부 댐; 그리고
    상기 내부 댐을 둘러싸며 상기 기판 일부 두께가 함몰된 트랜치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치는,
    상기 기판의 상부 표면보다 일정 깊이 함몰된 위치에 정의된 바닥면;
    상기 기판과 상기 내부 댐 사이에 배치된 절연층 중 최상부에 위치하는 절연층의 상면에 정의된 상부면; 그리고
    상기 바닥면과 상기 상부면을 연결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층은, 상기 화소들과 상기 내부 댐을 덮고, 상기 트랜치의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상부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측벽에서 단선되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기판, 상기 발광 소자 및 상기 구동 소자가 제거된 전계 발광 표시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치는,
    상기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최소 20% 내지 최대 70%가 제거되어 함몰된 우물 형상을 갖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치는,
    상기 내부 댐, 그리고 상기 화소들 중 상기 내부 댐에 가까이 배치된 인접 화소들 사이에 배치된 전계 발광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치는,
    상기 관통-홀의 형상에 대응하는 폐곡선 형상을 갖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치는,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는 다각형, 원형 및 타원형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치는,
    상기 내부 댐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댐은,
    상기 관통-홀에 인접한 제1 내부 댐;
    상기 제1 내부 댐을 둘러싸는 제2 내부 댐을 포함하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치는,
    상기 제1 내부 댐과 상기 제2 내부 댐 사이에 배치된 전계 발광 표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층;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층을 덮는 평탄화 막;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층 내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고 상기 평탄화 막 위에 배치된 애노드 전극; 그리고
    상기 애노드 전극에서 발광 영역을 정의하는 뱅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랜치는,
    상기 뱅크, 상기 평탄화 막,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층을 관통하고, 상기 기판의 일부 두께가 제거되어 형성된 전계 발광 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댐은,
    상기 평탄화 막 및 상기 뱅크 위에 적층되며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 표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외부 댐;
    상기 외부 댐과 상기 관통-홀 사이의 상기 기판 위에서 상기 화소들, 상기 내부 댐 및 상기 트랜치를 덮는 상기 발광층;
    상기 발광층 위에 적층된 캐소드 전극;
    상기 캐소드 전극을 덮는 봉지층을 더 포함하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기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층, 상기 평탄화 막, 상기 발광층; 상기 캐소드 전극, 상기 봉지층이 구비되지 않으며,
    상기 관통-홀의 측벽에는 상기 발광층이 노출된 전계 발광 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층은,
    제1 무기 봉지층;
    상기 제1 무기 봉지층 위에 도포된 유기 봉지층;
    상기 유기 봉지층의 상부 표면에 적층된 제2 무기 봉지층을 포함하는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20180132691A 2018-11-01 2018-11-01 표시 영역 내에 관통-홀을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2663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691A KR102663324B1 (ko) 2018-11-01 2018-11-01 표시 영역 내에 관통-홀을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
US16/670,467 US11456437B2 (en) 2018-11-01 2019-10-31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having a through-hole in display area
CN201911060462.1A CN111146250A (zh) 2018-11-01 2019-11-01 在显示区域中具有通孔的电致发光显示装置
US17/889,182 US20220399522A1 (en) 2018-11-01 2022-08-16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having a through-hole in display area
KR1020240057219A KR20240066153A (ko) 2018-11-01 2024-04-29 표시 영역 내에 관통-홀을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691A KR102663324B1 (ko) 2018-11-01 2018-11-01 표시 영역 내에 관통-홀을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7219A Division KR20240066153A (ko) 2018-11-01 2024-04-29 표시 영역 내에 관통-홀을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120A KR20200050120A (ko) 2020-05-11
KR102663324B1 true KR102663324B1 (ko) 2024-05-02

Family

ID=704590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691A KR102663324B1 (ko) 2018-11-01 2018-11-01 표시 영역 내에 관통-홀을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20240057219A KR20240066153A (ko) 2018-11-01 2024-04-29 표시 영역 내에 관통-홀을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57219A KR20240066153A (ko) 2018-11-01 2024-04-29 표시 영역 내에 관통-홀을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456437B2 (ko)
KR (2) KR102663324B1 (ko)
CN (1) CN1111462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691B1 (ko) * 2018-11-02 2023-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00051075A (ko) 2018-11-02 2020-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67284A (ko) 2018-12-03 2020-06-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21016B1 (ko) * 2018-12-28 2024-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1258041B2 (en) * 2019-01-04 2022-02-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US11818912B2 (en) * 2019-01-04 2023-11-14 Apple Inc.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panels with moisture blocking structures
CN109742264B (zh) * 2019-01-08 2020-07-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区开孔封装方法、显示区开孔封装结构及显示面板
KR20200094877A (ko) * 2019-01-30 2020-08-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WO2020202247A1 (ja) * 2019-03-29 2020-10-08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200118266A (ko) * 2019-04-03 2020-10-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119454A (ko) * 2019-04-09 2020-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190104B (zh) * 2019-06-03 2021-09-1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KR20210027715A (ko) * 2019-09-02 2021-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0600526B (zh) * 2019-09-30 2021-08-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210060715A (ko) * 2019-11-18 2021-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86290A (ko) * 2019-12-31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이를 이용한 멀티 표시 장치
KR20210087609A (ko) * 2020-01-02 2021-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87610A (ko) * 2020-01-02 2021-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322720B2 (en) * 2020-02-27 2022-05-03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having a grooved non-display area
CN111627930B (zh) * 2020-05-27 2022-09-0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与显示面板
US11695015B2 (en) * 2020-05-27 2023-07-04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Array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panel
CN111725421B (zh) * 2020-06-09 2023-02-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显示装置
TWI729862B (zh) * 2020-06-22 2021-06-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有機發光面板及其製作方法
KR20220016422A (ko) * 2020-07-31 2022-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20026663A (ko) * 2020-08-25 2022-03-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CN112002827B (zh) * 2020-09-03 2024-04-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12331703B (zh) * 2020-09-24 2022-09-1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TWI727900B (zh) * 2020-10-06 2021-05-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KR20220063794A (ko) * 2020-11-09 2022-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20220063790A (ko) * 2020-11-09 2022-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2542092B (zh) * 2020-12-08 2023-05-26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2582569B (zh) * 2020-12-10 2022-12-06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的制备方法、显示基板及显示装置
WO2024057521A1 (ja) * 2022-09-16 2024-03-21 シャープ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3584B2 (ja) * 2009-06-29 2013-04-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タッチセンサ、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I470333B (zh) * 2010-07-14 2015-01-21 Lg Display Co Ltd 電泳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KR101618701B1 (ko) * 2013-01-10 2016-05-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2326069B1 (ko) * 2015-07-29 2021-1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457252B1 (ko) 2015-11-20 2022-10-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205122B2 (en) * 2015-11-20 2019-02-1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21577B1 (ko) * 2016-04-05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80781B1 (ko) * 2016-10-31 2019-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89245B1 (ko) * 2016-11-30 2023-10-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20180091987A (ko) * 2017-02-06 2018-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7359263A (zh) * 2017-07-12 2017-11-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显示面板及制备方法、显示装置
KR102083646B1 (ko) * 2017-08-11 2020-03-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8649141B (zh) * 2018-05-14 2020-06-23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屏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99522A1 (en) 2022-12-15
KR20200050120A (ko) 2020-05-11
US20200144535A1 (en) 2020-05-07
CN111146250A (zh) 2020-05-12
KR20240066153A (ko) 2024-05-14
US11456437B2 (en)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3324B1 (ko) 표시 영역 내에 관통-홀을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2642791B1 (ko) 표시 영역 내에 관통-홀을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
US20240057440A1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having a through-hole in display area
KR102652572B1 (ko) 플렉서블 전계 발광 표시장치
CN111326547B (zh) 部分透明显示装置
US11322570B2 (en) Display device with through-hole
KR102640017B1 (ko) 협-베젤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2660306B1 (ko) 폴더블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2602171B1 (ko)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2633505B1 (ko) 협-베젤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2589905B1 (ko) 협 베젤 플렉서블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4664886A (zh) 电致发光显示装置
KR102666703B1 (ko)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2574813B1 (ko) 플렉서블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20230094647A (ko) 표시 영역 내에 관통-홀을 구비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20200036291A (ko) 전계 발광 표시장치
US20220165990A1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KR20200078091A (ko) 플렉서블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20240079385A (ko)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