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439B1 -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439B1
KR102662439B1 KR1020160011928A KR20160011928A KR102662439B1 KR 102662439 B1 KR102662439 B1 KR 102662439B1 KR 1020160011928 A KR1020160011928 A KR 1020160011928A KR 20160011928 A KR20160011928 A KR 20160011928A KR 102662439 B1 KR102662439 B1 KR 102662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ycelium
weight
soybean
medium containing
fomitopsis pinico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0935A (ko
Inventor
정대균
방면호
이현구
이승수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1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43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 껍질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콩 또는 콩 가공 공정에서 발생가능한 콩 껍질 등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의 균사체 또는 이의 배양물을 이용함으로써 부작용이 적으며 저비용으로 우수한 혈당 강하 및 항당뇨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Fomitopsis pinicola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mellitus}
본 발명은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당뇨병 예방, 개선 및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만성적 대사성 질환으로 혈액을 통하여 공급되는 당을 조직세포가 충분히 이용하지 못하여 혈액내 과잉의 당이 존재하게 되고 지질대사에 이상을 일으켜 혈액관련 질환이 유발된다. 구체적인 사례로 당뇨를 유발시킨 쥐에서는 중성지질의 증가와 HDL-콜레스테롤의 감소가 관찰되며, 체내 콜레스테롤 합성증가에 의한 고 콜레스테롤 혈증이 유발된다. 이러한 현상은 인슐린 의존형 또는 비 의존형 당뇨병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식이 성분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그 중 식이 섬유는 장내에서 콜레스테롤 또는 담즙산을 흡착하여 대변으로 배설시킴으로써 콜레스테롤이 담즙산 합성에 이용되어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콩은 주요 단백질이 동물성 단백질인 카제인에 비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저하효과가 현저하다고 보고되었다. 콩의 단백질이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기작으로 콩 단백질의 섭취가 변으로 답즙산 배설을 증가시켜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하고 체내 콜레스테롤 풀(pool)을 감소시키거나, 혈중 글루카곤/인슐린 비를 감소 또는 티록신(thyroxine) 농도를 증가시키는 효과 때문으로 밝혀지고 있다. 최근에는 콩에 함유되어 있는 이소플라본과 분해산물인 펩타이드의 혈압강하효과와 혈전용해효과 등이 보고되었다.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은 진균류에 속하는 담자균류 버섯 중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 버섯과 잔나비버섯속에 속하며, 소나무뿐만 아니라 각종 침엽수의 고목 또는 생목의 줄기에도 자생한다. 자루가 없고 갓은 나무줄기에 선반모양으로 붙어서 반원형을 이루며, 갓의 지름은 30cm, 두께는 15cm 정도 되는 버섯으로 상단은 두꺼운 각피로 덮여 있어 단단하고, 버섯 갓 둘레 부분에 적갈색의 띠가 둘러져 있으며, 밑면은 황백색으로 미세한 관공이 밀포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소나무잔나비버섯의 항당뇨 효능에 대하여, 일부 문헌에서 당뇨에 사용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소나무잔나비버섯 자실체, 균사체 또는 이들의 배양물의 혈당강하 및 항당뇨 효능은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즉, 실질적으로 위 균사체 등을 이용하여 유효성 있는 치료 효과를 보이지 못하는바, 일반 배양에 따라 제조된 균체 자체만으로는 상용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콩 가공 공정에서 부산물로 버려지는 콩 껍질 등을 이용하여 소나무잔나비버섯의 균사체를 배양함으로써 균사체 및 이의 배양물이 당뇨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콩 껍질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콩 껍질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를 콩 껍질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지로부터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의 배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의 배양 방법으로 제조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콩 껍질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콩 껍질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 또는 이의 배양물은 콩 껍질에 함유된 식이섬유에 의한 작용 효과, 콩 껍질에 의해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에 의한 작용 효과, 이들간 시너지 효과 등에 의해 우수한 혈당 강하 및 항 당뇨 작용 효과를 가짐으로써 당뇨병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 특히, 일반적인 배양 조건 하에서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 및 이의 배양물과 대비하여 현저한 혈당 강하 및 항 당뇨 작용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콩 껍질은 콩과에 속하는 식물의 콩을 싸고 있는 껍질을 말한다. 배양 배지에 있어 콩 껍질로 사용될 수 있는 콩의 종류는 식용 가능한 콩이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며, 예컨대, 완두콩, 노란콩, 선비콩, 울타리콩, 백태를 모두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백태이다. 특히, 콩 껍질은 두유 도는 두부 등의 가공 공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부산물에 해당하여 저비용으로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 및 이의 배양물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콩 껍질은 콩 껍질을 세척 및 건조한 후 50 내지 300메쉬 상태, 바람직하게 100 내지 300 매쉬 상태의 미분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양물이란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 이의 배양액 및 이들의 건조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는 주로 침엽수의 고목 또는 살아 있는 나무 위에 발생하는 다년생버섯의 균사체로 한국, 중국, 일본 등의 산지에 일반적으로 분포하며, 직접 채취한 것이나 구매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는 소나무잔나비버섯 자실체를 절단 및 세척한 후 진탕배양하고, 생성된 균사체를 배지에 접종한 후 25 내지 35℃에서 5 내지 6일간 배양한 후 균사체를 분리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콩 껍질을 포함하는 배지는 통상의 균사체 배양 배지에 콩 껍질을 추가로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콩 껍질 10 중량% 내지 20 중량%, 포도당 5.0 중량% 내지 9.0 중량%, 효모추출물 1.0 중량% 내지 2.0 중량%, 펩톤 1.5 중량% 내지 6.0 중량%, 맥아추출물 1.0 중량% 내지 2.0 중량% 및 정제수 61.0 중량% 내지 81.5 중량%를 포함하는 배지일 수 있다.
상기 배양은 pH 4 내지 6, rpm 150 내지 200 및 온도 25 내지 30℃의 조건 하에서 7 내지 15일간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분획물과 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 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0.01 내지 500mg/㎏의 양,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m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추출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종류 및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콩 껍질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균사체를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균사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는 본 발명의 균사체가 원료에 대하여 0.1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중량%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제형으로는 분말, 환, 정제 또는 음료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 음료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은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 제형을 모두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배양된 균사체를 여과하여 고형분을 50 내지 60℃에서 8 내지 10시간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 환 또는 정제로 제조하거나, 또는 배양된 균사체를 여과한 액체 상태를 음료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를 콩 껍질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지로부터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의 배양 방법을 제공한다.
위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의 배양 방법에 따르면, 혈당 강화능 및 항 당뇨 효과가 증가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의 제조가 가능하다.
위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의 배양 방법은 앞서 살핀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의 배양 및 제조 방법들에 관한 기재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위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 배양 방법으로 제조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를 제공한다. 위 균사체는 혈당 강화능 및 항 당뇨 효과가 증가되어 당뇨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내지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콩 가공 공정에서 발생가능한 콩 껍질 등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의 균사체 또는 이의 배양물을 이용함으로써 부작용이 적으며 저비용으로 우수한 혈당 강하 및 항당뇨 효과를 나타내는 당뇨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1>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의 분리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자실체(유명산 9부능선에서 채취)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고, 70% 에탄올로 세척하였다. 이를 감자, 포도당을 함유하는 배지(감자배지(potato dextrose broth)로 감자추출분말 4%, 포도당 20%)에 이식하여 수일간 진탕배양하였다. 생성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를 YM agar 배지에 접종하고, 25 내지 35℃에서 5 내지 6일간 배양하여 버섯균사체를 확인한 후, 10 내지 20일 간격으로 계대배양하여 균주로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콩 껍질의 준비
콩 껍질(연세유업에서 두유제조시 생산되는 부산물로 식품용으로 사용가능한 콩 껍질을 구입한 것이며, 콩 껍질은 콩을 가공하기 위해 열을 가한 후 강한 바람으로 자엽으로부터 분리되어 제조된 것임)을 잘 세척 건조한 후 100메쉬 상태의 미분쇄를 하여 곱게 만들었다.
< 실시예 3> 콩 껍질 함유 배지에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의 배양
콩 껍질을 15 중량%가 첨가되고, 포도당 5.0 중량%, 효모추출물 1.0 중량%, 펩톤 1.5 중량%, 맥아추출물 1.0 중량% 및 정제수 76.5 중량%로 구성된 배지를 제조하였다. 이를 pH 5, rpm 180 및 온도 27℃의 조건 하에서 계대배양하고 소나무잔나비 버섯 균사체의 배지로 이용하여, 인큐베이터로 30 ℃의 온도에서 10 일간 배양하였다.
< 실시예 4> 콩 껍질 함유 배지에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의 혈당 강하 효과 확인
콩 껍질 함유 배지에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석 균사체의 혈당 강하 효과를 당뇨병 랫드 실험모델에서 확인하였다.
실험동물로서 S. D.계 랫드(주식회사 샘타코)를 사용하였고, 사육의 환경은 온도 22.2±0.9℃, 상대습도 52.2±0.9%, 환기횟수 13-18회/hr, 조명시간 12시간(오전 7시~오후 7시), 조도 200~300 Lux의 조건으로서 시판 사료와 음용수를 급여하여 순화 및 연구기간 동안 격리 사육하였다. 순화 및 연구기간 중 폴리카보네이트 사육상자(400×250×180 mm3)에 3마리씩 넣어 대팻밥 깔짚을 깔아 사육하였다. 사료는 실험동물용 고형사료(삼양유지사료주식회사)를 자유 급식시켰으며 음수는 상수도수를 자유 섭취시켰다.
실험군으로서 콩 껍질 함유 배지에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 투여군, 대조군으로 정상 대조군, 당뇨 대조군, 및 아카보스(acarbose) 투여군(양성 대조군), 비교군으로 콩 껍질 투여군(비교군 1) 및 콩 껍질이 함유되지 않은 기본 배지에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 투여군(비교군 2)으로 나누었으며, 각 군 당 6마리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α-글루코시다아제는 소장에서 올리고당, 3당류 및 2당류를 단당류로 분해하는 효소이고,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인 아카보스 및 데옥시노지리마이신은 항당뇨병 치료제로 소장의 ciliated border에 α-글루코시다아제를 불활성화시켜 탄수화물의 소화를 감소시키거나 지연시키는데 기능을 한다. 참고로 아카보스는 탄수화물을 소화시키는 효소로, α-아밀라아제의 기능을 가역적으로 저하시키는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이므로 당뇨병에 치료제로 쓰이고 있다.
당뇨병 유발을 위하여,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STZ)을 50mg/kg 체중을 꼬리정맥을 통해 주사하였다. 정상 대조군은 동량의 시트르산 완충액을 주사하였다. 당뇨 유발 확인은 48시간 후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혈당계로 혈당을 측정하여 혈당량이 300 mg/dL 이상인 동물만 1주일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아카보스는 50mg/kg 체중으로 식전에 경구 투여하였고, 콩 껍질은 분말로 3000mg/kg 체중으로 식전에 경구 투여하였으며, 콩 껍질 함유 배지에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 및 콩 껍질이 함유되지 않은 기본 배지에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는 각각 55℃에서 8시간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로 3000mg/kg 체중으로 식전에 경구 투여하였다.
1. 시간별 혈당 변화 측정
당뇨 유발 1주일 후 12시간 절식시키고, 절식 후 혈당치를 확인하였다. 대조군은 식염수를 투여하고, 아카보스, 콩 껍질, 콩 껍질이 함유되지 않은 기본 배지에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 및 콩 껍질 함유 배지에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를 각각 경구 투여한 후 1시간 동안 사료와 물을 공급하였다. 그 후 30분 간격으로 2시간, 1시간 간격으로 3시간 동안 (총 5시간) 혈당을 측정하였다. 혈당 측정은 ACCU-CHEK Active(Roche Diagnostics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간별 혈당 수준의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시간별 혈당 수준(mg/d)
투여 2시간 후 콩 껍질 함유 배지에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 투여군과 아카보스 투여군은 각각 414mg/dL, 402mg/dL로 혈당이 현저히 감소한 반면, 콩 껍질 투여군 및 콩 껍질이 함유되지 않은 기본 배지에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 투여군은 각각 6mg/dL 및 448 mg/dL로 거의 감소되지 않았다.
또한, 투여 5시간 후 콩 껍질 함유 배지에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 투여군은 320mg/dL 로 혈당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이는 양성대조군인 아카보스 투여군과 비슷한 정도의 감소율에 해당하였다.
위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콩 껍질 함유 배지에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 또는 이의 배양물의 우수한 치료 효과가 확인되었다.
2. 생화학적 분석
복강 내로 16.5% 우레탄(1ml/100g)을 복강 내 주사하여 마취 유도시킨 후, 개복하여 복대동맥에서 혈액을 채혈하였다. 혈액은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다음 4℃, 7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혈청에서 글루코스(Glucose), 혈액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 크레아티닌(Creatinine), 콜레스테롤(Cholesterol), 알부민(Albumin), 총 단백질(Total Protein),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요산(Uric acid), 알칼리 포스파타아제(Alkaline phosphate), 아스파르테이트 트랜스아미나아제(Aspartate Transaminase), 알라닌 트랜스아미나아제(Alanine Transaminase) 수치를 Vettest 8008(IDEXX-GmbH, Woerrstadt,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혈청의 생화학적 특성
ALB, TP 수치는 콩 껍질 함유 배지에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 투여군과 아카보스 투여군 모두 당뇨 대조군에 비해서 증가하였으며, 글루코스, TRIG, ALKP, AST, ALT 수치는 콩 껍질 함유 배지에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 투여군과 아카보스 투여군 모두 당뇨 대조군에 비해서 감소하였다.
한편, 글루코스, TRIG, ALKP, AST, ALT 수치에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 투여군은 콩 껍질 투여군 및 콩 껍질이 함유되지 않은 기본 배지에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 투여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시켰다.
상기 결과들을 통해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 및 이의 배양물이 혈당 강하 및 항 당뇨 효과가 현저함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5> 콩 껍질 함유 배지에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의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 분석
콩 껍질 함유 배지에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의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에 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랫드 장(intestinal)에 아세톤 분말 100mg을 3ml의 0.9% NaCl 용액에 첨가한 후 30초간 12회 빙냉 수조에서 초음파처리하고 나서 10,000g, 4℃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상층액만을 바로 분석에 사용하거나 -20℃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100㎕의 랫드 α-글루코시다아제 용액에 50㎕의 시료 용액을 넘은 다음 37℃에서 10분간 정치시켰다. 50㎕의 5mM pNPG(p-nitrophenyl beta-glucoside) 용액을 가한 다음 37℃에서 15분간 반응시키고 405 nm에서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랫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콩 껍질 함유 배지에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의 농도가 0, 2, 4, 6, 8 및 10 ug/mL일때,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활성(%)은 각각 25, 75, 85, 88 및 90%로 농도 의존적으로 랫드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 효과가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6> 콩 껍질 함유 배지에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의 α-아밀라아제 저해 활성 분석
콩 껍질 함유 배지에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의 α-아밀라아제 저해 활성을 분석하였다.
0.02M 소듐 포스페이트 완충액(pH 6.9, 0.006M 염화나트륨 포함)에 녹인 1U 농도의 돼지 췌장 α-아밀라아제 용액 300㎕에 시료 용액 200㎕를 넣고 25℃에서 10분간 인큐베이션시켰다. 이 용액에 25℃에서 10분 미리 인큐베이션시킨 1% 전분 용액 500㎕를 첨가하여 25℃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30% Rochelle 염에 녹인 1% DNS 용액을 1ml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boiling water bath에서 5분간 처리한 다음 실온으로 식히고 10ml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α-아밀라아제에 의해서 기질로부터 분해된 당과 DNS 용액과의 반응액을 540nm에서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시료 대신 시료를 용해시킨 용매를 넣은 것을 대조구로 하였다.
그 결과, 콩 껍질 함유 배지에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의 농도가 0, 2, 4, 6, 8 및 10 ug/mL일때, α-아밀라아제 저해 활성(%)은 각각 -25, -22, -20, -18, -16 및 -15%를 나타내어, 콩 껍질 함유 배지에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α-아밀라아제 저해 효과가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α-아밀라아제 활성의 증가를 통해 소화가 잘 이루어짐이 확인되었다.

Claims (8)

  1. 콩 껍질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써,
    상기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는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를 콩 껍질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지로부터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를 분리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고,
    상기 콩 껍질을 포함하는 배지는 콩 껍질 10 중량% 내지 20 중량%, 포도당 5.0 중량% 내지 9.0 중량%, 효모추출물 1.0 중량% 내지 2.0 중량%, 펩톤 1.5 중량% 내지 6.0 중량%, 맥아추출물 1.0 중량% 내지 2.0 중량% 및 정제수 61.0 중량% 내지 8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 껍질은 50 내지 300메쉬 상태의 미분쇄한 것인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 껍질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은 pH 4 내지 6, rpm 150 내지 200 및 온도 25 내지 30℃의 조건 하에서 7 내지 15일간 배양하는 것인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콩 껍질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된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로써,
    상기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는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를 콩 껍질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지로부터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를 분리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고,
    상기 콩 껍질을 포함하는 배지는 콩 껍질 10 중량% 내지 20 중량%, 포도당 5.0 중량% 내지 9.0 중량%, 효모추출물 1.0 중량% 내지 2.0 중량%, 펩톤 1.5 중량% 내지 6.0 중량%, 맥아추출물 1.0 중량% 내지 2.0 중량% 및 정제수 61.0 중량% 내지 8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7.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를 콩 껍질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지로부터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의 배양 방법에서,
    상기 콩 껍질을 포함하는 배지는 콩 껍질 10 중량% 내지 20 중량%, 포도당 5.0 중량% 내지 9.0 중량%, 효모추출물 1.0 중량% 내지 2.0 중량%, 펩톤 1.5 중량% 내지 6.0 중량%, 맥아추출물 1.0 중량% 내지 2.0 중량% 및 정제수 61.0 중량% 내지 8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배양 방법.
  8. 삭제
KR1020160011928A 2016-01-29 2016-01-29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62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928A KR102662439B1 (ko) 2016-01-29 2016-01-29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928A KR102662439B1 (ko) 2016-01-29 2016-01-29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935A KR20170090935A (ko) 2017-08-08
KR102662439B1 true KR102662439B1 (ko) 2024-04-30

Family

ID=59653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928A KR102662439B1 (ko) 2016-01-29 2016-01-29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4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9978B (zh) * 2020-12-24 2022-04-08 李红霞 一种抗菌生物质包装材料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3051A (ja) * 2012-07-13 2014-12-04 タカラバイオ株式会社 エルゴチオネイン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984B1 (ko) * 2007-04-10 2008-09-25 유진바이오팜영농조합법인 소나무잔나비버섯 배양균사체 추출물 및 그를 함유한혈당강하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3051A (ja) * 2012-07-13 2014-12-04 タカラバイオ株式会社 エルゴチオネイン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935A (ko)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840B1 (ko)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2083026B1 (ko) 굼벵이를 이용한 발효 건강식품 제조방법
Jeyadevi et al. Nutritional constituents and medicinal values of Momordica cymbalaria (Athalakkai)–A review
KR20140034620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662439B1 (ko) 소나무잔나비버섯 균사체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08885B1 (ko) 항당뇨 및 혈중 콜레스테롤 저해활성을 갖는 번행초 추출물
KR102372943B1 (ko) 동애등에 용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408101B1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표고버섯 균사체 흑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식품
KR101479228B1 (ko) 옥수수 감자 백숙의 제조방법 및 그 백숙
WO2018066956A1 (ko) 오미자를 함유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액순환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7059B1 (ko) 동애등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N102342961B (zh) 羊肚菌在作为预防、治疗胃溃疡组合物中的应用
KR101594979B1 (ko) 애기땅빈대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16764B1 (ko) 환삼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질환 또는 동맥경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92444A (ko) 심혈관계 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44000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062003B1 (ko)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6129919A (en) Method of producing fermented sword beans
KR102157413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62292B1 (ko) 뽕잎상황버섯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치료용 약학 조성물
JPH01304861A (ja) ミミズ乾燥粉末の製法
KR100406773B1 (ko) 우렁쉥이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CA2352459A1 (en) .gamma..delta.t cell immunoactivity enhancers containing extract of lentinus edodes mycelium
KR20190114400A (ko) 고함량의 베타글루칸 함유 상황버섯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610498B1 (ko) 섬괴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