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295B1 - 드래그 손잡이, 및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드래그 손잡이, 및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295B1
KR102662295B1 KR1020180124938A KR20180124938A KR102662295B1 KR 102662295 B1 KR102662295 B1 KR 102662295B1 KR 1020180124938 A KR1020180124938 A KR 1020180124938A KR 20180124938 A KR20180124938 A KR 20180124938A KR 102662295 B1 KR102662295 B1 KR 102662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rag
axial direction
spool
view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9482A (ko
Inventor
케이 사이토
토모야 데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90079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드래그 손잡이의 조작성을 향상시킨다.
[해결 수단] 드래그 손잡이(10)는, 조작 부재(2)와 음출 부재(3)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부재(2)는, 커버부(21), 인서트부(22), 및, 커버부(21)와 인서트부(22)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로서의 볼트(23)를 가진다. 조작 부재(2)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取付)된다. 음출 부재(3)는, 조작 부재(2)의 회전에 의하여 타격음을 발생시킨다. 조작 부재(2)는, 경(徑)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212)를 가지고 있다. 볼트(23) 및 음출 부재(3)는,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손잡이부(212)와 중복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드래그 손잡이, 및 낚시용 릴{DRAG KNOB, AND FISHING REEL}
본 발명은, 드래그 손잡이, 특히, 스피닝 릴의 스풀이 장착되는 스풀축의 전단(前端)에 나합(螺合)하여 드래그 기구의 드래그력을 조정하는 드래그 손잡이, 및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릴은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드래그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드래그 기구는, 드래그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드래그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드래그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발음 핀이 복수의 오목부에 당접(當接)을 반복하여 발음하는 발음 기구를 가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136216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4-168423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낚시용 릴에 있어서, 드래그 손잡이의 경제성, 디자인성, 및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드래그 손잡이의 경제성, 디자인성, 및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관련되는 드래그 손잡이는, 낚시용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는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의 드래그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드래그 손잡이는, 조작 부재와 음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부재는, 커버부와, 커버부에 취부되는 인서트부와, 커버부를 인서트부에 취부하기 위한 고정부를 가진다. 조작 부재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음출 부재는, 조작 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타격음을 발생시킨다. 커버부는, 경(徑)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 및 음출 부재는,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와 중복하도록 배치된다.
조작 부재가 1개의 부재로 구성된 종래의 드래그 손잡이에서는, 손잡이부만이 조작되기 때문에, 특히 낚시용 장갑으로 조작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손잡이부만이 마모되는 일이 있다. 또한, 드래그 손잡이가 낙하 등 하여 손잡이부가 파손되는 일 등도 있다. 이들과 같은 경우에, 드래그 손잡이 전체적으로 교환이 필요하게 되는 등 경제성에 있어서도 문제가 있다. 또한, 드래그 손잡이는, 낚시용 릴의 전면(前面)에 위치하는 것으로부터, 그 디자인성이 문제로 된다. 나아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조작 부재를 커버부와 인서트부로 구성하였을 경우, 이것들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손잡이부와 중복하도록 배치되는 한편으로, 음출 부재는 손잡이부와 중복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었다. 즉,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음출 부재는, 손잡이부의 측방(側方)에 배치되어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드래그 손잡이에서는, 조작 부재는, 커버부와, 커버부에 취부(取付)되는 인서트부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손잡이부가 마모된 것과 같은 경우 등에 손잡이부만을 교환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드래그 손잡이에서는, 조작 부재가 커버부와 인서트부와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드래그 손잡이에서는,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고정부 및 음출 부재가 손잡이부와 중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드래그 손잡이에 있어서 음출 부재가 배치되어 있던 위치에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이 확보된 스페이스에 손가락을 배치하여 손잡이부를 잡을 수 있기 때문에, 드래그 손잡이의 손잡이부를 잡기 쉬워진다. 이러한 결과, 드래그 손잡이의 경제성, 디자인성, 및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손잡이부는, 경방향에 있어서, 제1 단부(端部) 및 제2 단부를 가진다. 음출 부재는,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손잡이부의 제1 단부 측과 중복하도록 배치된다. 고정부는,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손잡이부의 제2 단부 측과 중복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는, 적어도 1개의 볼트를 가진다. 고정부는,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손잡이부와 중복하는 영역에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는, 1개의 볼트만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드래그 손잡이는, 받이 부재를 더 구비한다. 받이 부재는,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오목부를 가진다. 받이 부재는, 릴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취부된다. 음출 부재는, 타격 핀과, 타격 핀을 받이 부재의 각 오목부를 향하게 하여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은,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과, 상기 어느 하나의 드래그 손잡이와,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래그 손잡이의 경제성, 디자인성, 및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스피닝 릴의 단면도.
도 2는 드래그 손잡이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사시도.
도 5는 조작 부재의 사시도.
도 6은 커버부의 사시도.
도 7은 인서트부의 사시도.
도 8은 음출 부재 및 받이 부재의 사시도.
이하, 스피닝 릴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히 예고가 없는 한, 축 방향이란 로터(13)의 회전축(O)이 연장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경방향이란 회전축(O)을 중심으로 한 원의 경방향을 나타내고, 둘레 방향이란 회전축(O)을 중심으로 한 원의 둘레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전방(前方)이란, 낚싯줄을 방출하는 방향(도 1의 좌방향)을 말하고, 후방(後方)이란, 전방의 반대 방향(도 1의 우방향)을 말한다.
[스피닝 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피닝 릴(100)은, 낚시줄을 전방(도 1의 좌방향)으로 방출한다. 스피닝 릴(100)은, 릴 본체(11), 스풀(12), 로터(13), 핸들(14), 및 드래그 손잡이(10)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
릴 본체(11)는, 하우징(15), 피니언 기어(16), 및 스풀축(17)을 가지고 있다. 또한, 릴 본체(11)는, 구동 기어(18), 및 오실레이팅 기구(19) 등도 가지고 있다.
하우징(15)은, 내부 공간을 가지고 있고, 내부 공간 내에 여러 가지의 기구를 수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구동 기어(18) 및 오실레이팅 기구(19) 등이 하우징(15)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5)의 측면에는, 핸들(14)이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핸들(14)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구동 기어(18)가 회전한다. 구동 기어(18)는, 페이스 기어이며, 피니언 기어(16)의 기어부와 맞물려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19)는, 스풀축(17)을 축 방향으로 왕복동(往復動)시키는 기구이다.
스풀축(17)은, 하우징(15)에 취부되어 있다. 스풀축(17)은,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다. 덧붙여, 스풀축(17)은, 회전축(O)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스풀축(17)은, 하우징(15) 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풀축(17)의 중심축은, 실질적으로 회전축(O)과 일치한다. 스풀축(17)은, 핸들(14)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왕복동한다. 상세하게는, 핸들(14)의 회전이, 구동 기어(18) 및 오실레이팅 기구(19)를 통하여, 스풀축(17)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동시킨다.
스풀축(17)의 선단부(先端部)는, 외주면(外周面)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풀축(17)의 선단부는, 외주면에 한 쌍의 평탄면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평탄면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6)는, 하우징(15)에 취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6)는, 회전축(O)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피니언 기어(16)는, 하우징(15) 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6)는 통상(筒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풀축(17)이, 피니언 기어(16) 내를 관통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16)는, 복수의 베어링을 통하여 하우징(15)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풀(12)]
스풀(12)은, 낚시줄이 감기는 부재이다. 스풀(12)은, 릴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된다. 상세하게는, 스풀(12)은, 스풀축(17)에 취부되어 있다. 스풀(12)은, 스풀축(17)과 일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왕복동한다.
스풀(12)은, 스풀축(1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스풀(12)은, 스풀축(17)에 드래그 기구(20)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스풀(12)의 회전은, 드래그 기구(20)에 의하여 제동된다. 드래그 기구(20)는, 복수의 마찰판을 가지고 있다. 복수의 마찰판이 서로 마찰 계합(係合)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12)의 회전을 제동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마찰판 중 일부의 마찰판은, 스풀축(17)에 회전 불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로터(13)]
로터(13)는, 스풀(12)에 낚시줄을 감기 위한 부재이다. 로터(13)는, 릴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된다. 상세하게는, 로터(13)는, 피니언 기어(16)에 고정되어 있고, 피니언 기어(16)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드래그 손잡이]
드래그 손잡이(10)는, 드래그 기구(20)의 드래그력을 조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드래그 손잡이를 조작하여 회전축(O) 둘레에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20)의 드래그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 2 ~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래그 손잡이(10)는, 조작 부재(2), 음출 부재(3), 받이 부재(4), 이동 부재(5), 제1 압박 부재(6), 및 실(seal) 부재(7)를 가지고 있다.
[조작 부재(2)]
조작 부재(2)는, 릴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된다. 상세하게는, 조작 부재(2)는, 이동 부재(5)를 통하여, 스풀축(17)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조작 부재(2)는, 커버부(21), 인서트부(22), 볼트(23)(고정 부재의 일례)를 가지고 있다.
[커버부]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부(21)는, 환상부(環狀部)(211)와 손잡이부(212)를 가지고 있다. 환상부(211)는, 환상(環狀)이며, 조작 부재(2)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구성하고 있다.
손잡이부(212)는, 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 손잡이부(212)를 잡고, 조작 부재(2)를 회전 조작한다. 손잡이부(212)는, 경방향에 있어서, 제1 단부(213) 및 제2 단부(214)를 가진다. 손잡이부(212)의 제1 및 제2 단부(213, 214)는, 환상부(211)와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부(212)와 환상부(211)는, 1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부(212)는, 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215)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212)는, 후면(後面)에 나사 구멍(216)을 가지고 있다. 슬릿(215)은, 손잡이부(212)의 제1 단부(213) 측에 배치되어 있고, 나사 구멍(216)은, 손잡이부(212)의 제2 단부(214) 측에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손잡이부(212)의 제1 단부(213) 측이란, 손잡이부(212)의 회전축보다도 제1 단부(213) 측을 의미하고, 손잡이부(212)의 제2 단부(214) 측이란, 손잡이부(212)의 회전축보다도 제2 단부(214) 측을 의미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212)는, 중앙부에 있어서, 환상의 취부부(217)를 가지고 있다. 이 취부부(217)는, 중앙부에 관통 구멍을 가지고 있다.
[인서트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서트부(22)는, 커버부(21)에 취부된다. 볼트(23)에 의하여, 인서트부(22)는 커버부(21)에 취부된다. 볼트(23)는, 커버부(21)의 나사 구멍(216)에 나합한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서트부(22)는, 제1 돌기부(221), 제2 돌기부(222)를 가지고 있다. 제1 돌기부(221)는, 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돌기부(221)는, 판상(板狀)이며, 전방으로 돌출하여 있다. 제2 돌기부(222)는, 원통상(圓筒狀)이며, 전방으로 돌출하여 있다. 제2 돌기부(222)는, 인서트부(22)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서트부(22)를 커버부(21)에 취부한 상태에 있어서, 제1 돌기부(221)는, 슬릿(215)에 감합(嵌合)하고 있다. 또한, 제2 돌기부(222)는, 취부부(217)의 관통 구멍에 감합하고 있다. 제1 돌기부(221)는, 손잡이부(212)의 제1 단부(213) 측에 배치되고, 볼트(23)는, 손잡이부(212)의 제2 단부(214)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돌기부(221)와 볼트(23)는,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서트부(22)는, 외주 벽부(223)와 내주(內周) 벽부(224)를 가지고 있다. 외주 벽부(223)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외주 벽부(223)의 선단면은, 커버부(21)의 환상부(211)의 후면과 당접하고 있다.
내주 벽부(224)는, 외주 벽부(223)와 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내주 벽부(224)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주 벽부(224)는, 인서트부(22)의 이면(裏面)에 있어서 감합 오목부(225)를 획정(劃定)하고 있다.
감합 오목부(225)에, 이동 부재(5)가 감합한다. 예를 들어,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225)의 윤곽은, 이동 부재(5)의 윤곽과 실질적으로 같다. 이 때문에, 인서트부(22)와 이동 부재(5)는,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덧붙여, 이동 부재(5)는, 인서트부(22)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서트부(22)는, 제1 및 제2 지지 벽부(226a, 226b)를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지지 벽부(226a, 226b)는, 전방으로 돌출하여 있다. 제1 및 제2 지지 벽부(226a, 226b)는, 외주 벽부(223)와 내주 벽부(224)와의 사이를 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지지 벽부(226a)와 제2 지지 벽부(226b)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지지 벽부(226a)는, 손잡이부(212)의 제1 단부(213) 측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지지 벽부(226a)는, 손잡이부(212)의 제1 단부(213) 측을 후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2 지지 벽부(226b)는, 손잡이부(212)의 제2 단부(214) 측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지지 벽부(226b)는, 손잡이부(212)의 제2 단부(214) 측을 후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제1 돌기부(221)는, 제1 지지 벽부(226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 벽부(226a) 내에서 연장되도록, 수용 오목부(227)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지지 벽부(226b)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228)을 가지고 있다. 이 관통 구멍(228) 내를 볼트(23)가 관통한다.
[볼트]
볼트(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부(22)를 커버부(21)에 취부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볼트(23)는, 인서트부(22)의 관통 구멍(228)을 관통하고, 커버부(21)의 나사 구멍(216)에 나합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부재(2)는, 인서트부(22)를 커버부(21)에 취부하기 위한 볼트(23)을 1개만 가지고 있다. 볼트(23)는,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손잡이부(212)와 중복하도록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볼트(23)는,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손잡이부(212)의 제2 단부(214) 측과 중복하도록 배치된다.
[이동 부재]
이동 부재(5)는, 조작 부재(2)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또한 이동 부재(5)는, 조작 부재(2)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동 부재(5)는, 예를 들어, 너트 등이다. 이동 부재(5)는, 스풀축(17)의 선단부에 나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동 부재(5)는, 조작 부재(2)의 회전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진퇴한다.
이동 부재(5)가 후방(도 3의 우측)으로 이동하면, 제1 압박 부재(6)가 압축되어, 제1 압박 부재(6)에 의한 압박력이 커진다. 이 결과, 받이 부재(4)에 의한 드래그 기구(20)를 압압(押壓)하는 힘이 커져, 스풀(12)의 회전을 제동한다. 한편, 이동 부재(5)가 전방(도 3의 좌측)으로 이동하면, 제1 압박 부재(6)에 의한 압박력이 작아진다. 이 결과, 받이 부재(4)에 의한 드래그 기구(20)를 압압하는 힘이 작아져, 스풀(12)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받이 부재]
받이 부재(4)는, 제1 압박 부재(6)에 의한 압박력을 받아, 스풀(12)에 드래그력을 부여하기 위한 부재이다. 받이 부재(4)는, 원판부(41), 원통부(42), 및 플랜지부(43)를 가진다. 받이 부재(4)는, 스풀축(17)에 취부되어 있다. 받이 부재(4)는, 회전 불가능하며,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원판부(41)는, 중앙부에 관통 구멍(411)을 가지고 있다. 원판부(41)는, 관통 구멍(411)을 획정하는 내주면(內周面)에 있어서, 한 쌍의 평탄면을 가지고 있다. 이 한 쌍의 평탄면은, 스풀축(17)의 한 쌍의 평탄면과 계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받이 부재(4)는 스풀축(17)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다.
원통부(42)는, 원판부(41)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플랜지부(43)는, 원통부(42)의 선단부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43)의 전면에는, 복수의 오목부(431)가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431)는, 둘레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1 압박 부재]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압박 부재(6)는, 이동 부재(5)와 받이 부재(4)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압박 부재(6)는, 받이 부재(4)를 후방으로 압박하고 있다. 제1 압박 부재(6)는, 예를 들어 압축된 상태의 코일 용수철이다.
[실 부재]
실 부재(7)는, 받이 부재(4)의 원통부(42)에 취부되어 있다. 실 부재(7)는, 조작 부재(2)와 받이 부재(4)와의 사이로부터 침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음출 부재]
음출 부재(3)는, 조작 부재(2)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타격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음출 부재(3)는, 타격 핀(31)과 제2 압박 부재(32)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제2 압박 부재(32)가, 본 발명의 압박 부재에 상당한다.
음출 부재(3)는, 수용 오목부(227)에 수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음출 부재(3)는,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손잡이부(212)와 중복하도록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음출 부재(3)는,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손잡이부(212)의 제1 단부(213) 측과 중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음출 부재(3)는, 회전축(O)을 중심으로, 볼트(23)와 대체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타격 핀(31)은, 제2 압박 부재(32)에 의하여, 받이 부재(4)를 향하여 압박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격 핀(31)은, 받이 부재(4)의 오목부(431)의 내벽면과 당접하고 있다. 조작 부재(2)를 회전시키면, 음출 부재(3)가 회전축(O)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한편으로, 받이 부재(4)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음출 부재(3)의 타격 핀(31)이 받이 부재(4)를 타격하여, 소리를 발생시킨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부재(2)는, 인서트부(22)를 커버부(21)에 취부하기 위한 볼트(23)을 1개만 가지고 있었지만, 복수의 볼트(23)를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복수의 볼트(23)는,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손잡이부(212)와 중복하는 영역에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부재로서 볼트(23)를 이용하여 인서트부(22)를 커버부(21)에 취부하고 있지만, 볼트(23) 이외의 고정 부재에 의하여, 인서트부(22)를 커버부(21)에 취부하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음출 부재(3)는, 타격 핀(31)과 제2 압박 부재(32)로 구성되어 있지만, 음출 부재(3)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2: 조작 부재
21: 커버부
212: 손잡이부
213: 제1 단부
214: 제2 단부
22: 인서트부
23: 볼트
3: 음출 부재
4: 받이 부재
6: 압박 부재
11: 릴 본체
12: 스풀
20: 드래그 기구

Claims (6)

  1. 낚시용 릴의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取付)되는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의 드래그력을 조정하기 위한 드래그 손잡에 있어서,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취부되는 인서트부, 및 상기 커버부를 상기 인서트부에 취부하기 위한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타격음을 발생시키는 음출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는, 경(徑)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가지고,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음출 부재는,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와 중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경방향에 있어서, 제1 단부(端部) 및 제2 단부를 가지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 단부 측에 배치되고 또한 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을 가지고 있고,
    상기 음출 부재는,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제1 단부 측과 중복하도록 배치되는,
    드래그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제2 단부 측과 중복하도록 배치되는,
    드래그 손잡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적어도 1개의 볼트를 가지고,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와 중복하는 영역에만 배치되는,
    드래그 손잡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1개의 볼트만을 가지는,
    드래그 손잡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릴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취부되는 받이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음출 부재는, 타격 핀과, 상기 타격 핀을 상기 받이 부재의 각 오목부를 향하게 하여 압박하는 압박 부재를 가지는,
    드래그 손잡이.
  6.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과,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드래그 손잡이와,
    상기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
    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
KR1020180124938A 2017-12-27 2018-10-19 드래그 손잡이, 및 낚시용 릴 KR102662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50530A JP7088670B2 (ja) 2017-12-27 2017-12-27 ドラグつまみ、及び釣り用リール
JPJP-P-2017-250530 2017-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482A KR20190079482A (ko) 2019-07-05
KR102662295B1 true KR102662295B1 (ko) 2024-05-02

Family

ID=65147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938A KR102662295B1 (ko) 2017-12-27 2018-10-19 드래그 손잡이, 및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69469B2 (ko)
JP (1) JP7088670B2 (ko)
KR (1) KR102662295B1 (ko)
CN (1) CN110012887B (ko)
DE (1) DE102018132804A1 (ko)
GB (1) GB2570997A (ko)
TW (1) TWI7564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59588A (ja) * 2021-10-15 2023-04-2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2527A (ja) 2004-01-09 2005-07-21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JP2006136216A (ja) 2004-11-10 2006-06-01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つまみ
JP2014168423A (ja) 2013-03-04 2014-09-18 Shimano Inc ドラグつまみ、及びこれを用いた釣り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23661B (en) * 1982-07-22 1985-11-06 Brunswick Corp Drag for spinning reel
US4796828A (en) * 1982-08-09 1989-01-10 Zebco Corporation Cartridge rear mounted drag assembly and method
JPS6380969U (ko) * 1986-11-17 1988-05-27
US4938433A (en) * 1987-05-23 1990-07-03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Spinning reel
JPH0629971Y2 (ja) * 1988-03-30 1994-08-17 島野工業株式会社 釣用リール
JPH0726937Y2 (ja) * 1989-03-30 1995-06-21 島野工業株式会社 釣用リールにおける制動力の調整具
JP2548345Y2 (ja) * 1990-11-27 1997-09-1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構造
JPH11318285A (ja) * 1998-05-12 1999-11-24 Ryobi Ltd 魚釣り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着脱機構
JP2003210081A (ja) * 2002-01-22 2003-07-29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部品組立体
SG114660A1 (en) * 2003-04-16 2005-09-28 Shimano Kk Sound generating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TWI315185B (en) 2003-05-15 2009-10-01 Shimano Kk Drag adjustment knob for a spinning reel
US7175121B2 (en) * 2003-10-28 2007-02-13 Shimano Inc. Spinning reel sounding mechanism
JP4381885B2 (ja) * 2004-05-20 2009-12-0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JP5184759B2 (ja) * 2006-05-26 2013-04-17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装置
CN101589699A (zh) * 2008-05-26 2009-12-02 张聪亮 线轮旋转卷线器
CN201976621U (zh) * 2011-01-25 2011-09-21 陈彤 渔线轮线杯
JP6134133B2 (ja) * 2012-12-04 2017-05-24 株式会社シマノ ドラグつまみ、及びこれを用いた釣り用リール
JP2014138561A (ja) * 2013-01-21 2014-07-31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ドラグ機構
JP2015043728A (ja) * 2013-08-28 2015-03-12 株式会社シマノ コイルドウェーブスプリング、及びドラグつまみ
JP6887217B2 (ja) * 2016-01-20 2021-06-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2527A (ja) 2004-01-09 2005-07-21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往復移動装置
JP2006136216A (ja) 2004-11-10 2006-06-01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つまみ
JP2014168423A (ja) 2013-03-04 2014-09-18 Shimano Inc ドラグつまみ、及びこれを用いた釣り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27144A (zh) 2019-07-16
GB2570997A (en) 2019-08-14
JP2019115284A (ja) 2019-07-18
DE102018132804A1 (de) 2019-06-27
US20190191684A1 (en) 2019-06-27
TWI756485B (zh) 2022-03-01
JP7088670B2 (ja) 2022-06-21
CN110012887A (zh) 2019-07-16
KR20190079482A (ko) 2019-07-05
CN110012887B (zh) 2022-03-29
US10869469B2 (en) 2020-12-22
GB201820661D0 (en)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1378B2 (ja)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装置
JP5258688B2 (ja) 両軸受リールの発音装置
JP6649801B2 (ja) 両軸受リール
JP5236883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5755044B2 (ja)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機構
JP2011019427A5 (ko)
JP534934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KR101806336B1 (ko) 마스터 기어 조립체
JP6517466B2 (ja) 両軸受リール
JP2013000085A5 (ko)
US9510576B2 (en) Spinning reel
KR102662295B1 (ko) 드래그 손잡이, 및 낚시용 릴
JP694966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用のハンドル組立体、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TWI311042B (ko)
US3152771A (en) Fishing reel
CN108935358B (zh) 双轴承绕线轮
KR102674503B1 (ko) 드래그 손잡이
JP200803581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KR20200010018A (ko) 스피닝 릴
JP3940222B2 (ja) 両軸受リールの発音機構及び両軸受リール
KR100934359B1 (ko) 스풀의 회전력 조절 기능을 구비한 플라이 리일
JP518517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取付構造
JP6784622B2 (ja) 魚釣用リールのドラグ装置、及び魚釣用リールの制動力調整部材
JP4149387B2 (ja) 魚釣用リ−ル
JP2004166643A (ja) 釣用リールのねじ操作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