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998B1 - 베이킹 오븐 - Google Patents

베이킹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998B1
KR102661998B1 KR1020207032451A KR20207032451A KR102661998B1 KR 102661998 B1 KR102661998 B1 KR 102661998B1 KR 1020207032451 A KR1020207032451 A KR 1020207032451A KR 20207032451 A KR20207032451 A KR 20207032451A KR 102661998 B1 KR102661998 B1 KR 102661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king oven
pull
article carrier
paragraph
cooking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3439A (ko
Inventor
다니엘 레하게
요한 브라운
요한-세바스티안 레스만
크리스티안 레디코프
Original Assignee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200143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9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8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with telescopic rai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고정 가이드 레일(7) 및 이동가능한 러닝 레일(9)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풀-아웃 가이드(6)가 구비된 오븐 머플(2)을 포함하는 오븐(2)으로, 상기 러닝 레일(9) 상에는, 푸드 캐리어(14)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그리드(10, 10', 10'')가 고정되고, 상기 푸드 캐리어는 두 개의 측면 그리드 사이(10, 10', 10'')에 배열되고, 여기서 측면 그리드(10, 10', 10'')는 풀-아웃 가이드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푸드 캐리어(14)보다 짧다. 따라서, 식사를 준비할 때 푸드 캐리어의 핸들링이 용이해진다.

Description

베이킹 오븐
본 발명은 각각 고정 가이드 레일 및 이동 가능한 러닝 레일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풀-아웃 가이드가 배치된 베이킹 오븐 머플이 구비된 베이킹 오븐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요리 물품 캐리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을 갖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측면 그리드는 상기 러닝 레일 상에 고정되며, 상기 캐리어는 두 개의 측면 그리드 사이에 배치된다.
요리 물품 캐리어(cooking good carrier)가 측면 그리드를 통해 반대편의 오븐 머플(oven muffle)에 고정된 풀-아웃 가이드(pull-out guide) 상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오븐이 있다. 이러한 요리 물품 캐리어는 오븐 머플 앞쪽에서 쉽게 이동할 수 있지만, 요리 물품 캐리어는 느슨하게 지지되고 의도하지 않은 리프팅에 대해 고정되지 않는다. 또한, 요리 물품 캐리어를 제거할 때, 풀 아웃 가이드의 러닝 레일이 오븐 머플의 앞쪽으로 비교적 멀리 돌출되어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요리 물품 캐리어를 보다 안전하게 가이드하기 위해, DE 10 2005 019 956 A1에 따라, 양측에 배치되거나, 한측에 배치된 베이킹 트롤리(baking trolley)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베이킹 트롤리에서, 요리 물품 캐리어는 지지대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지만, 여기서도 요리 물품 캐리어를 제거하면 베이킹 트롤리가 오븐 머플에서 비교적 멀리 돌출되어 부상을 입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베이킹 트롤리가 양쪽에 배열되어 있는 경우, 측면 그리드가 요리 물품 캐리어의 전체 길이에 걸쳐 확장되기 때문에, 요리 물품 캐리어는 전면에서만 제거될 수 있다. 한쪽에 베이킹 트롤리를 배치한 상태에서, 요리 물품 캐리어는 다른 쪽으로부터 홀더에서 들어올려야 한다. 이것은 요리 물품 캐리어가 무겁게 적재될 때 많은 힘이 필요하다. 또한, 양쪽에 베이킹 트롤리를 배치한 상태에서 요리 물품 캐리어가 완전히 확장되었을 때 음식은 전면에서만 확인될 수 있으며, 이는 음식을 다시 식히고 사용자는 오븐에서 나오는 뜨거운 공기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요리 물품 캐리어에 음식을 준비할 때 핸들링이 개선된 오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오븐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은, 풀-아웃 가이드에 의해 지지되는 측면 그리드의 반대쪽에 고정되는 조리용 캐리어를 포함한다. 측면 그리드는 풀-아웃 가이드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요리 물품 캐리어 보다 짧아서, 요리 물품 캐리어를 꺼낼 때 측면 그리드는 요리 물품 캐리어보다 오븐 머플로부터 덜 돌출된다. 이것은 요리 물품 캐리어를 제거할 때 오븐 머플로부터 부품들이 돌출하는 위험이 줄어들고 동시에 음식과 요리 물품 캐리어에 대한 더 나은 접근을 제공한다. 이것은 요리 물품 캐리어를 인체공학적으로 양쪽에서 잡고 많은 노력없이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오븐에서 빠져나가는 뜨거운 공기와 접촉하지 않고 측면에서 요리할 음식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요리 물품 캐리어는 오븐 머플로부터 돌출하는 하나의 전방 섹션으로 중간 풀-아웃 위치(middle pull-out position)에 배치될 수 있는 반면, 두 개의 측면 레일은 여전히 오븐 머플 내에 완전히 위치된다. 풀-인 위치(pull-in position)와 최대 풀-아웃 위치(maximum pull-out position) 사이의 이러한 중간 풀-아웃 위치에서, 요리 물품 캐리어는 베이킹 오븐 머플로부터 약간 돌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측면 레일이 베이킹 오븐 머플로부터 돌출되어 부상을 입을 위험 없이 요리 물품 캐리어 상의 음식은 준비하는 동안 검사하거나 또는 요리 물품 캐리어를 측면 레일에서 제거할 수 있다. 요리 물품 캐리어를 제거한 이후, 뜨거울 때 적어도 하나의 요리 물품 캐리어를 다시 들고 만질 필요가 없을 때까지 측면 레일을 이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요리 지지대(cooking support)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특히 30%, 측면 레일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길다. 측면 그리드는, 예를 들어, 길이 방향으로 요리 물품 캐리어의 길이의 20% 내지 80% 일 수 있다.
추가 실시 예에서, 최대 연장 위치(maximum extension position)에서 측면 레일을 잠그는 래칭 장치(latching device)가 제공된다. 래칭 장치는 풀-아웃 가이드, 측면 레일 또는 기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래칭 장치는 측면 레일이 래칭 위치에서 부주의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유지력(retaining forces)를 갖는 탄성 금속 바 또는 기타 래칭 장치에 의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측면 레일은 후퇴 위치와 최대 풀-아웃 위치 사이에 있는 중간 풀-아웃 위치에서 래치될 수 있고, 중간 풀-아웃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측면 그리드는 여전히 오븐 머플 내부에 있고, 요리 물품 캐리어의 전방 섹션은 오븐 머플로부터 돌출한다.
안정적인 가이드를 위해, 측면 그리드는 적어도 한쪽, 바람직하게는 양쪽에서 러닝 레일에 매달릴 수 있다. 고정 가이드 레일은 풀-아웃 가이드의 이동 가능한 러닝 레일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풀-아웃 가이드는 어린이가 접근하기 어려운 상부 영역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러닝 레일은 가이드 레일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오븐 머플의 전면에서 완전하게 요리 물품 캐리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풀-아웃 가이드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가이드 레일과 러닝 레일 사이의 풀-아웃-연장 중간 레일을 갖는다.
러닝 레일 및/또는 측면 레일은 원활한 풀-아웃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동기화 수단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요리 물품 캐리어가 틸팅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요리 물품 캐리어의 에지(edge)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그리드 상의 두 개의 수평 바(bars)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단 바의 아래쪽 돌출부는 티핑(tipping)에 대해 요리 물품 캐리어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 실시 예에서, 러닝 레일을 가이드 레일보다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10% 더 짧을 수 있다. 이 경우, 측면 레일 및 러닝 레일은 요리 물품 캐리어를 제거할 때 중간 풀-아웃 위치에서 오븐 머플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 오븐의 도어를 닫을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 예에서, 풀-아웃 가이드는 완전히 삽입된 상태(fully inserted state)와 러닝 레일의 전방 단부가 가이드 레일의 전방 단부와 겹치지 않거나 약간만 겹치는 확장 상태(extended state)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요리 물품 캐리어가 제자리에 걸려 있지 않은 경우, 러닝 레일 또는 측면 레일이 전방 위치에 있더라도, 오븐과 도어는 항상 닫을 수 있고, 측면 그리드가 오븐 내부의 두 위치에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요리 물품 캐리어를 제거한 후에는 일반적으로 필요한 것처럼 도어를 닫기 위해 뜨거운 풀-아웃 가이드를 만질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오븐 머플과 요리 물품 캐리어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가 제공되며, 이는 오븐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요리 물품 캐리어를 개방 방향으로 프리텐션(pre-tension)한다. 스프링 요소는 머플과 요리 물품 캐리어 상에 직접 장착할 필요는 없지만, 요리 물품 캐리어를 개방 방향으로 프리텐션하기 위해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interposing)함으로써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요소는 두 개의 풀-아웃 가이드 사이 또는 측면 그리드의 동기화 장치 상에서 분리 가능하거나 분리 불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오븐이 개방될 때, 요리 물품 캐리어를 개방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하여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프링 요소에 의해 생성된 풀-아웃 이동은, 예를 들어, 2cm 내지 30cm, 특히 5cm 내지 20cm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요소는 요리 물품 캐리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굽힘 스프링(bending spring)으로써 설계될 수 있다.
요리 물품 캐리어는 오븐 도어를 향하는 측면 상에 바람직하게는 탄성 재료,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또는 다른 내열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스톱 요소를 갖는다. 이를 통해 크게 쾅하는 소리 없이 프리 텐션된 요리 물품 캐리어가 폐쇄 위치에서 오븐 도어에 닿을 수 있고, 오븐 도어가 열릴 때, 요리 물품 캐리어는 스프링 요소를 통해 풀-아웃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계 예들에 의해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a 및 1b는 후퇴 위치에 있는 오븐의 두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중간 풀-아웃 위치에 있는 도 1의 오븐의 두 도면이다.
도 2c는 도 1의 세부 도면이다.
도 2d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븐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요리 물품 캐리어다.
도 3a 및 3b는 최대 연장 위치에 있는 도 1의 오븐의 두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중간 -풀 아웃 위치에 있는 다른 설계에 따른 오븐의 두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설계 예에 따른 오븐의 도면이다.
도 6은 변형된 설계 예에 따른 오븐의 사시도이다.
베이킹 오븐(1)은 바닥(4) 과 천장(5)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측벽(3)을 갖는 베이킹 오븐 머플(2)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킹 오븐 머플(2)의 내부에는, 고정 가이드 레일(7)로 측벽(3) 또는 천장(5)에 고정되는, 각 측벽(3) 상에 풀-아웃 가이드(6)가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7) 상에는, 풀-아웃 중간 레일(8)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위에 러닝 레일(9)이 이동될 수 있고, 이동 가능한 베어링은 바람직하게 롤링 요소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풀-아웃 가이드(6)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러닝 레일(9)은 상기 가이드 레일(7) 및 상기 중간 레일(8)보다, 특히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짧도록 설계된다.
측면 그리드(10)는 러닝 레일(9)에 고정되고, 이는 수평 로드(12)가 작동하는 수직 포스트(11)을 갖는다. 상기 측면 그리드(10)는, 분리 불가능한 방식, 예를 들어, 용접, 또는 분리 가능하게, 예를 들어, 클립, 잠금 장치, 나사 또는 기타 분리가능한 패스너(fasteners)로, 상기 러닝 레일(9)에 부착될 수 있다. 두 개의 수평 로드(12)는 요리 물품 캐리어(14)의 에지(15)를 위한 리셉터클을 형성하며, 이는 도시된 설계 예에서 베이킹 트레이로서 설계되어, 그리드 또는 기타 요리 물품 캐리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로드(12)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요리 물품 캐리어(14)의 에지(15)가 두 개의 수평 로드(1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부 섹션(13)에서 각을 이룬다. 지지대의 상부 수평 로드(12)는 후방 영역에서 하향 돌출부(16), 특히 V-자형 돌출부를 가지며, 이는 팁 방지(anti-tip) 장치를 형성하고 앞쪽에서 적재된 경우 요리용 케리어가 후방 영역에서 위쪽으로 티핑(tipping)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돌출부(16) 대신, 요리 물품 캐리어의 추가 고정을 위해 다른 유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c는 요리 물품 캐리어(14)가 그것의 에지(15) 영역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웹 또는 언더컷(undercut, 150)을 가지며, 이는,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가 측면 그리드(101)에 올바르게 위치할 때, 양측으로부터 하부 로드(12)의 각진 전방 단부 섹션(13)에 안착됨을 보여준다. 상기 각진 단부 섹션(13)은 상기 언더컷(150)에서 하부가 개방된 리셉터클(152)에 삽입된다. 한편, 이는 요리 물품 캐리어(14)가 측면 그리드(10) 안으로 너무 밀려나가지 않도록 보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티핑에 대한 추가적인 보호를 제공한다. 상기 언더컷(150)은 적어도 후방 단부 영역에서 삽입 베벨(insertion bevel, 151)을 가질 수 있고, 이는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가 로드 상으로 쉽게 밀릴 수 있도록 한다. 삽입 베벨(151)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셉터클(152)의 양측에 형성된다.
도 2d는 언더컷(150) 및 삽입 베벨(151)을 갖는 요리 물품 캐리어(14)를 도시한다. 상기 언더컷(150)은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의 대향하는 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요리 물품 캐리어(14)는 풀-아웃 가이드(6)의 길이 방향으로, 측면 그리드(10)보다, 특히 적어도 2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더 길다. 러닝 레일(9)은 대략 상기 측면 그리드(10)와 동일한 길이이며, 이에 따라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는 전면 영역에서 상기 측면 그리드(10) 상에 돌출되는 반면, 이는 본질적으로 후방 영역에서 상기 측면 레일과 같은 높이이다.
도 1a 및 도1b에서 요리 물품 캐리어(14)는 후퇴 위치에 있고, 오븐 도어는 닫힐 수 있다.
음식을 준비할 때, 요리 물품 캐리어(14)의 일부에 대한 접근이 필요한 경우,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풀-아웃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중간 풀-아웃 위치에서, 요리 물품 캐리어(14)의 전방 섹션, 예를 들어, 10 내지 80%의 영역은, 풀-아웃 가이드(6)의 길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오븐 머플(2)의 전방에 있는 반면,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의 나머지 부분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븐 머플(2) 내에 위치된다. 이 중간 풀-아웃 이치에서, 상기 측면 그리드(10)는 여전히 완전히 상기 오븐 머플(2) 내에 있고 따라서 부상의 위험이 없다.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가 이제 이 중간 풀-아웃 위치에서 제거되면, 상기 러닝 레일(9) 및 상기 사이드 그리(10)가 최대 풀-아웃 위치에 있지 않더라도 오븐 도어를 닫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요리 물품 캐리어(14)를 중간 풀-아웃 위치에 있는 측면 그리드(10)와 함께 래치(latcth)할 수 있도록 풀-아웃 가이드(6) 및/또는 측면 그리드(10) 상에 래칭 장치가 제공되어 따라서 요리 물품 캐리어(14)가 이 중간 풀-아웃 위치를 넘어서 우연히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유지력을 제공한다. 이 실시 예에서, 래칭 수단은 오븐(1)의 측벽(3)에서 리세스(17)로서 설계되며,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수직 포스트(11) 상에 배치된 스프링 장착 롤러(spring-mounted roller, 18)가 후퇴, 중간, 연장 위치에서 맞물린다. 리세스(17) 대신에 디텐트 돌출부(detent projection) 또는 다른 디텐트 요소(detent element)가 있을 수도 있고 롤러(18) 대신에 돌출부, 스프링 요소 또는 유사한 래치 수단이 있을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래칭 수단은 가이드 레일(9)과 가이드 레일(7) 사이 또는 러닝 레일(9)과 측면 그리드(10)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오븐 머플(2) 전방으로 요리 물품 캐리어(14)를 더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렇게 할 수 있다.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를 약간 당김으로써, 래칭 수단이 분리되고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는 이동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상기 측면 그리드(10)는 또한 상기 오븐 머플의 전방에 크게 위치된다.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가 이제 제거되면, 상기 측면 그리드(10) 및 상기 러닝 레일(9)은 상기 오븐 머플(2)로부터 비교적 약간 돌출된다. 예를 들어, 상기 측면 그리드(10)는 풀-아웃 가이드(6)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 길이의 20% 내지 60% 사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조리용 캐리어 및 측면 선반은 상기 오븐 머플의 전방에 완전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측면 그리드(10)는 다수의 수평 로드(12)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요리 물품 캐리어(14)를 위한 리셉터클을 형성한다. 물론 이렇게 형성된 지지대의 수는 오븐 유형에 맞게 조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풀-아웃 가이드(6)는 상기 측면 그리드의 측면 또는 상기 측면 그리드 위 대신에 상기 측면 그리드(10) 하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븐(1)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수단(19), 예를 들어, 시트(sheet) 또는 로드(rod)로, 오른쪽과 왼쪽 측면 그리드(10)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수단(19)은 바람직하게는 풀-아웃 가이드(6)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 측면 그리드(10)의 영역에 위치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두 개의 풀-아웃 가이드가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동기화 수단(19)을 위해 분리 가능하거나 분리 불가능한 고정 수단(fastening means)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a 및 4b는 오븐 머플(2)을 갖는 오븐(1)의 변형된 실시 예를 도시한다. 상기 베이킹 오븐 머플(2)의 내부에는, 풀-아웃 가이드(6)가 각 측벽(3)에 위치하며, 고정 가이드 레일(7)은 이동가능한 러닝 레일(9)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러닝 레일(9)은 상기 풀-아웃 가이드(6)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7)보다 짧을 수 있다. 변형된 측면 그리드(10')는 상기 러닝 레일(9)에 고정되고, 이는 수직 포스트(11) 및 수평 로드(12)를 갖는다.
측면 그리드(10')는 풀-아웃 가이드(6)의 영역에서 프로파일(24), 특히 지지대(25)가 형성된 U-자형 프로파일(24)을 가진다. 이것은 상기 지지대(25)가 러닝 레일(9) 상에 지지될 수 있어, 풀-아웃 가이드(6)의 하부측에 매달린 배치에 요구되는 측면 그리드(10')의 추가 고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지지부(25)는 상기 러닝 레일(9)에 느슨하게 배치될 수 있어, 이에 따라 선택적인 고정이 물론 가능하다. 상기 고정은, 예를 들어, 클리핑(clipping) 또는 나사 결합(screwing)에 의해 분리가능하거나,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분리 불가능할 수도 있다.
요리 물품 캐리어(14)를 측면 그리드(10')에 고정하기 위해, 두 개의 수평 로드(12) 각각의 하부 수평 로드(12) 상에 상향 돌출부(26)가 있으며, 그 사이에는 요리 물품 캐리어(14)의 에지(15)가 유지되며, 이는 하부로부터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의 에지(15)에 대응하는 리세스(27)에 맞물린다. 돌출부(26) 대신 핀(pin) 또는 엠보싱(embossing)이 있을 수도 있다.
도 5는 오븐 머플(2)이 구비된 오븐(1)의 추가 실시 예를 도시하며, 여기에는 두 개의 풀-아웃 가이드(6)가 오븐 머플(2)의 하부에 제공된다. 두 개의 풀-아웃 가이드(6) 대신 하나의 풀-아웃 가이드(6)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두 개의 측면 그리드(10'')를 수반한다.
풀-아웃 가이드(6)는 반대측면 상의 측면 그리드(10'')를 지지하는 지지대(20)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대(20)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두 개의 상향 돌출 레그(21)를 갖지만, 상기 측면 그리드(10'')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20)의 다른 디자인이 제공될 수도 있다.
후자의 두 실시 예에 대해서도, 첫 번째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된 모든 특징들이 레일 길이, 요리 물품 캐리어 및 측면 그리드 위치, 래칭 요소 및 동기화 수단에 대해 유효하다.
도시된 풀-아웃 가이드(6) 각각은 가이드 레일의 후방 영역에 도시되지 않은 커버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는 풀-아웃 가이드(6)의 내부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고 후퇴할 때 러닝 레일(9)의 스톱(stop)으로서 역할한다.
도 6은 변형된 설계에서 도 1 내지 3에 표시된 오븐을 도시한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추가하여, 굽힘 스프링 형태의 스프링 요소(30)가 오븐 머플(2)과 요리 물품 캐리어(1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 요소(30)는 예를 들어 홀더에 의해 일단부(31)에서 상기 오븐 머플에 연결된다. 반대쪽 단부에는, 연결편(connecting piece, 32)이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 상에 안착되고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 요소(30)는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가, 오븐 도어가 개방될 때, 도 1a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한다. 스프링 요소(30)에 의해 생성된 이동(travel movement)은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이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는 풀-아웃 방향으로 더 멀리 이동하거나 직접 또는 오븐 도어를 통해 폐쇄 방향으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
스프링 요소(30)는 오븐 머플(2)의 후면 벽과 요리 물품 캐리어(14) 사이에 위치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스프링 요소(30)는 상기 오븐 머플(2)과 측면 그리드(10) 사이 또는 가이드 레일(7)과 러닝 레일(9)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지,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스프링 요소(30)를 통해 개방 방향으로 프리텐션되고, 이에 의해 폐쇄 위치에서 오븐 도어는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를 드로우-인 위치(draw in position)로 유지한다.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 및 오븐 도어 사이의 접촉 영역에, 예를 들어, 에지(15)에, 정지 소음을 피하기 위해, 탄성 스톱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1 오븐 2 오븐 머플
3 측벽 4 바닥
5 천장 6 풀-아웃 가이드
7 가이드 레일 8 중간 레일
9 러닝 레일 10, 10', 10' ' 측면 그리드
11 포스트 12 로드
13 단부 섹션 14 요리 물품 캐리어
15 에지 150 언더컷
151 삽입 베벨 152 리셉터클
16 돌출부 17 리세스
18 롤러 19 동기화 수단
20 지지대 21 레그
24 프로파일 25 지지대
26 돌출부 27 리세스
30 스프링 요소 31 단부
32 연결편

Claims (20)

  1. 고정 가이드 레일(7) 및 이동가능한 러닝 레일(9)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풀-아웃 가이드(6)가 구비된 베이킹 오븐 머플(2)을 포함하는 베이킹 오븐(1)으로서,
    상기 이동가능한 러닝 레일(9) 상에는, 두 개의 측면 그리드(10, 10', 10'') 사이에 배치되는 요리 물품 캐리어(14)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을 갖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측면 그리드(10, 10', 10'')가 고정되고,
    상기 측면 그리드(10, 10', 10'')는 상기 풀-아웃 가이드(6)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 보다 짧고,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는 상기 베이킹 오븐 머플(2)로부터 돌출하는 전방 섹션으로 최대 풀-아웃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반면, 상기 두 개의 측면 그리드(10, 10', 10'')는 여전히 상기 베이킹 오븐 머플 내에 완전히 배열되어 있되,
    상기 풀-아웃 가이드(6)의 최대 연장 위치에서 상기 러닝 레일(9)의 전방 단부는 상기 베이킹 오븐 머플(2)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는 상기 베이킹 오븐 머플(2)로부터 돌출하는 전방 섹션으로 중간 풀-아웃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 반면, 상기 두 개의 측면 그리드(10, 10', 10'')는 여전히 상기 베이킹 오븐 머플 내에 완전히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는, 상기 측면 그리드(10, 10', 10'')보다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0% 더 길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5. 제1항에 있어서,
    최대 풀-아웃 위치 또는 풀-인 위치 및 상기 최대 풀-아웃 위치 사이의 중간 풀-아웃 위치에 상기 측면 그리드(10, 10', 10'')를 래치하는 래칭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그리드(10, 10', 10'')는 상기 풀-아웃 가이드(6) 상에 매달리거나 서 있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풀-아웃 가이드(6)는, 지지대(20)에 의해, 양쪽 측면 그리드(10'')를 지지하는, 상기 베이킹 오븐 머플(2)의 하부(4)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가이드 레일(7)은 상기 이동 가능한 러닝 레일(9)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9. 제1항에 있어서,
    풀-아웃 연장 중간 레일 (8)은 상기 고정 가이드 레일(7) 및 상기 러닝 레일(9)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그리드(10, 10', 10'')는 최대 연장 위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베이킹 오븐 머플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그리드(10, 10', 10'') 또는 상기 풀-아웃 가이드(6)의 상기 러닝 레일(9)은 동기화 수단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1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면 그리드(10, 10', 10'')는 적어도 두 개의 수평 로드(12)를 가지며, 그 사이에는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의 에지(15)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13. 제12항에 있어서,
    틸트-방지 방식으로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를 고정하기 위한 돌출부(16, 26) 또는 지지 요소가 요리 물품 캐리어(14)의 에지를 위해 리셉터클의 로드 (12)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14. 제12항에 있어서,
    언더컷(150)은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15) 상에 배치되고, 상기 언더컷(150)은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가 상기 측면 그리드(10)로 삽입될 때 적어도 하나의 로드(12)의 각진 전방 단부 섹션(13)에 대항하여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닝 레일(9)은 상기 풀-아웃 가이드(6)의 상기 가이드 레일(7)보다 적어도 10%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아웃 가이드(6)의 중간 풀-아웃 위치에서 상기 러닝 레일(9)의 전방 단부는 상기 베이킹 오븐 머플(2)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30)가 상기 베이킹 오븐 머플(2) 및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스프링 요소(30)는 상기 베이킹 오븐(1)의 폐쇄 위치에서 개방 방향으로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에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30)는 동기화 수단 또는 측면 그리드(10, 10', 10'')와 분리 가능하게 또는 분리 불가능하게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20. 제1항에 있어서,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스톱 요소가 오븐 도어를 향하는 상기 측면 상의 상기 요리 물품 캐리어(14)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킹 오븐.
KR1020207032451A 2018-04-19 2019-03-05 베이킹 오븐 KR102661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09429.9 2018-04-19
DE102018109429.9A DE102018109429A1 (de) 2018-04-19 2018-04-19 Backofen
PCT/EP2019/055422 WO2019201502A1 (de) 2018-04-19 2019-03-05 Backof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439A KR20200143439A (ko) 2020-12-23
KR102661998B1 true KR102661998B1 (ko) 2024-04-29

Family

ID=6572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451A KR102661998B1 (ko) 2018-04-19 2019-03-05 베이킹 오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81695A1 (ko)
EP (1) EP3781872B1 (ko)
KR (1) KR102661998B1 (ko)
CN (1) CN111989523B (ko)
DE (1) DE102018109429A1 (ko)
PL (1) PL3781872T3 (ko)
WO (1) WO201920150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505695U (de) * 1975-02-25 1975-08-28 Kueppersbusch F & Soehen Ag Back und bratrohr
DE102008041514A1 (de) * 2008-08-25 2010-03-0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itter zur Auflage von Zubereitungsgut und Kochgerät mit einem derartigen Gitter
DE102009044326A1 (de) * 2008-10-27 2010-04-29 Paul Hettich Gmbh & Co. Kg Auszugsführung für Backöfen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6252A (en) * 1947-06-04 1951-11-27 Conner Leon Oven
DE2242434A1 (de) * 1972-08-29 1974-03-07 Licentia Gmbh Bratofen
DE2352889A1 (de) * 1973-10-22 1975-04-30 Licentia Gmbh Bratofen
DE2508005A1 (de) * 1975-02-25 1976-09-02 Kueppersbusch Back- und bratrohr
DE7708782U1 (de) * 1977-03-22 1977-09-08 Kueppersbusch Ag, 4650 Gelsenkirchen Back- und bratrohr
DE3815440A1 (de) * 1988-05-06 1989-11-16 Licentia Gmbh Teleskopeinschubvorrichtung zur auflage von garguttraegern, insbesondere fuer backoefen
DE4014823C2 (de) * 1990-05-09 1997-07-03 Miele & Cie Herd mit einer Backmuffel und mit einem auf Teleskopauszügen verschiebbaren Tragrahmen
DE4236740A1 (de) * 1992-10-30 1994-05-05 Bauknecht Hausgeraete Herd mit mindestens einem ausschwenkbaren Gargutträger
DE10241488A1 (de) * 2002-06-17 2004-01-1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Garofenmuffel zur Aufnahme mehrerer wechselbarer Gargutträger
US6938617B2 (en) * 2002-07-10 2005-09-06 Accuride International Inc. Oven assembly with slides
DE10240146A1 (de) * 2002-08-30 2004-03-1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ackofen mit Linearauszug
DE102005019956A1 (de) * 2005-04-29 2006-11-0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Garofenmuffel
US9587838B2 (en) * 2006-11-30 2017-03-07 Ssw Holding Company, Inc. Oven rack assemblies with release mechanisms and catches
EP2236941A1 (en) * 2009-03-28 2010-10-0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Support for extractable baking trays and/or baking grids
DE202009013663U1 (de) * 2009-10-30 2011-03-17 Paul Hettich Gmbh & Co. Kg Auszugsführung und Haushaltsgerät
DE102012104129B4 (de) * 2011-10-21 2023-09-28 Paul Hettich Gmbh & Co. Kg Auszugsführung
DE102012100454A1 (de) * 2012-01-20 2013-07-25 Paul Hettich Gmbh & Co. Kg Wälzkörperkäfig und Auszugsführung eines Haushaltsgerätes
DE102013102949A1 (de) * 2012-07-12 2014-06-26 Paul Hettich Gmbh & Co. Kg Auszugsführung
DE102013102948B4 (de) * 2012-10-12 2024-02-08 Paul Hettich Gmbh & Co. Kg Auszugsführung
KR101588748B1 (ko) * 2014-06-25 201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DE102014217633A1 (de) * 2014-09-03 2016-03-03 BSH Hausgeräte GmbH Auszugssystem und Haushaltsgargerä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505695U (de) * 1975-02-25 1975-08-28 Kueppersbusch F & Soehen Ag Back und bratrohr
DE102008041514A1 (de) * 2008-08-25 2010-03-0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itter zur Auflage von Zubereitungsgut und Kochgerät mit einem derartigen Gitter
DE102009044326A1 (de) * 2008-10-27 2010-04-29 Paul Hettich Gmbh & Co. Kg Auszugsführung für Backöf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81872A1 (de) 2021-02-24
KR20200143439A (ko) 2020-12-23
DE102018109429A1 (de) 2019-10-24
CN111989523A (zh) 2020-11-24
CN111989523B (zh) 2023-10-27
US20210381695A1 (en) 2021-12-09
WO2019201502A1 (de) 2019-10-24
PL3781872T3 (pl) 2022-10-24
EP3781872B1 (de)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4379B2 (en) Rail system for food supports in a baking oven
AU764339B2 (en) Support system for cooking items in a baking oven
US9055813B2 (en) Pull-down shelf for furniture
RU2447380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JP6259398B2 (ja) 道具、特に工具の収納用デバイス
KR20170118109A (ko) 가구 품목 또는 가전 기기의 선반용 슬라이딩 및 리프팅 메커니즘, 가구 및 가전 기기
US20070261199A1 (en) Linear Guide System for a Sliding Shelf
US20120138041A1 (en) Pull-out system and household appliance
US10094575B2 (en) Adjustable overhead cooking unit
US20120006315A1 (en) Support for extractable baking trays and/or baking grids
US9554648B2 (en) Sliding system for drawer
US1872733A (en) Slidable oven and broiler rack
TW201032755A (en) Cabinet
KR102661998B1 (ko) 베이킹 오븐
JPH02257907A (ja) 抽斗、懸架フレーム又は類似物
KR20100091907A (ko) 수납고
US4140356A (en) Storage unit
KR102617791B1 (ko) 물체 보관 장치 및 그 장치의 개폐 방법
CN108443921B (zh) 用于将物品的承载元件装配到主体内的装置
CA2917395C (en) Adjustable overhead cooking unit
KR101055950B1 (ko) 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KR200385021Y1 (ko) 취사기에 장착되는 취사용기의 받침대
US2868190A (en) Adjustable broiler mechanism
JP4442530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TWM569586U (zh) Electrical storage cabinet with squat storage door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