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021Y1 - 취사기에 장착되는 취사용기의 받침대 - Google Patents

취사기에 장착되는 취사용기의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021Y1
KR200385021Y1 KR20-2005-0005230U KR20050005230U KR200385021Y1 KR 200385021 Y1 KR200385021 Y1 KR 200385021Y1 KR 20050005230 U KR20050005230 U KR 20050005230U KR 200385021 Y1 KR200385021 Y1 KR 200385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er
rail
support
cook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2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주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주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주방
Priority to KR20-2005-00052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0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0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취사기에 장착되는 취사용기의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취사기에 취사용기가 하나 이상으로 얻혀지는 용기받침대와 여기에 적용되는 레일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취사기에 장착되는 취사용기의 받침대에 의하면, 취사용기가 다단으로 안착되어 취사를 수행하는 취사기에 있어서, 상기 취사기에는 상기 취사용기가 안착되는 용기받침대가 레일의 구조로 이루어져 다단으로 장입되고, 상기 용기받침대를 상기 취사기의 내부로 안내하는 레일지지대가 상기 취사기의 내부 좌우면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취사기에 장착되는 취사용기의 받침대{Support plate of cooking vessel which is affixed in cooking device}
본 고안은 취사기에 장착되는 취사용기의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취사기에 삽입 및 취출이 용이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취사기에 장착되는 취사용기의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급식과 같은 대량의 취사를 위해서는 가스 또는 증기방식에 의한 취사기가 적용되어 대량의 밥을 취사한다.
이러한 취사기는 도 1에 되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취사용기(1)를 장입시켜 취사를 수행하는 것으로, 통상 취사용기(1)는 취사기(2) 내부의 용기지지대(3)에 얻혀진 후 내부수조에서 발생된 증기 또는 가스 등의 열원에 의해서 취사됨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취사기(2)는 취사 후 일정한 시간동안 보온을 수행한 후 취사용기(1)를 취사기(2) 내에서 인출한 다음 배식하여 취사를 완성시킨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취사용기(1)를 취사기(2)에 장입 또는 인출시키기 위해서는 취사용기(1)를 들어 용기지지대(3)에 일단을 걸어놓은 다음 취사용기(1)를 취사기(2)의 내부로 밀어 안착시키다. 이러한 작업을 반복하여 취사기(2)의 내부에 취사용기(1)를 다단으로 안착시켜 취사를 수행하게 되며, 배식을 위해서는 취사용기(1)를 취사기(2)에서 차례로 인출한 후 배식을 수행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취사용기(1)를 장입 또는 인출하기 위해서는 취사용기(1)를 일일이 들어올려 취사기(2)의 내부에 마련된 용기지지대(3)에 얻혀야 하므로 특히 여성작업자인 경우 그 무게로 인한 작업인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심스럽고, 신중을 가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취사기에 취사용기가 하나 이상으로 얻혀지는 용기받침대와 여기에 적용되는 레일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용기받침대는 다수개로 배열된 지지간이 연설되어 있고, 상기 지지간을 고정하는 레일이 좌우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일에 삽입되어 용기받침대를 안내하는 레일지지대가 취사기에 다단으로 장착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취사용기가 다단으로 안착되어 취사를 수행하는 취사기에 있어서, 상기 취사기에는 상기 취사용기가 안착되는 용기받침대가 레일의 구조로 이루어져 다단으로 장입되고, 상기 용기받침대를 상기 취사기의 내부로 안내하는 레일지지대가 상기 취사기의 내부 좌우면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받침대는 상기 레일지지대에 안내되는 레일이 좌우로 간격을 이루며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간격을 이루면서 설치된 레일 사이로 지지간이 다수개로 배치되어 고정되어 상기 취사용기를 그 상면에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의 선단으로는 상기 용기받침대의 장입깊이를 한정하는 스토퍼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은 상기 레일지지대에 삽입되도록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이 길이방향으로 상하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지지대는 상기 레일의 내부로 삽입된 후 상기 이탈방지판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취사기에 용기받침대가 다단으로 안착된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취사기에 적용된 용기받침대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받침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취사기에 장착되는 취사용기의 받침대는 취사용기(10)가 다단으로 안착되어 취사를 수행하는 취사기(20)에 있어서, 상기 취사기(20)에는 상기 취사용기(10)가 안착되는 용기받침대(30)가 레일(32)의 구조로 이루어져 다단으로 장입되고, 상기 용기받침대(30)를 상기 취사기(20)의 내부로 안내하는 레일지지대(12)가 상기 취사기(10)의 내부 측면으로 설치되어 있다.
취사기(20)는 하부에 장착된 가스버너의 가열에 의해서 내부수조에서 발생된 증기로 취사하는 기기로, 대량의 급식시스템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취사기(20)에는 취사용기(10)가 다단을 이루면서 안착되어 있으며, 미도시된 도어의 개폐에 의해서 취사용기(10)를 장입 또는 인출한다.
취사용기(10)는 통상적으로 장방형의 구조로 되어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또는 타원형이든 상관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후술하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받침대(30)에 있는 것으로서, 여기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취사용기(10)가 안착되어 취사준비를 수행한다.
다시, 취사기(20)는 내부의 좌우 측면에 다단으로 장착된 레일지지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로 수평을 이루면서 이루어져 있다.
다수개의 레일지지대(12)는 취사기(20)의 내측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으면서 돌출되어 있으며, 그 선단은 " ┥" 형상으로 수직의 이탈방지판(12a)으로 마감되어 있다.
용기받침대(30)는 이러한 레일지지대(12)의 선단으로 삽입된 후 안내된다.
용기받침대(30)는 레일지지대(12)에 안내되는 레일(32)이 좌우로 간격을 이루면서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간격은 취사기(20)의 측면 좌우에 설치된 레일지지대(12)에 삽입되는 거리로 취사기(2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레일(32) 사이에는 지지간(34)이 다수개로 배치된 후 고정되어 있다.
지지간(34)은 레일(32)을 지지하는 역할외에 전술한 취사용기(10)를 그 상면에 안착시켜 취사를 수행하도록 한다.
지지간(34)은 그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또는 사각형의 단면의 형상을 갖는 봉으로 다양하게 변경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레일(32)은 취사기(20)의 레일지지대(12), 바람직하게는 그 선단에 삽입되도록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요철의 형상을 이루면서 연속하여 개방되어 있다.
이는 레일지지대(12)를 따라 안내되도록 한 것으로, 다시 그 전방으로는 레일의 이동시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벽(32a)이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상하로 절곡되어 있다.
이탈방지벽(32a)은 전술한 레일지지대(12)의 이탈방지판(12a)에 삽입되어 서로 안내하면서 전술한 이탈을 방지한다.
이렇게 길이방향, 바람직하게는 취사기(20)의 내부로 장입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 용기받침대(30)는 취사기(20)의 전면으로 장입 또는 인출된다.
따라서, 장입시 그 장입깊이를 한정할 필요가 있으며, 본 고안은 용기받침대(30)의 장입깊이를 한정하는 스토퍼(32b)가 레일(32)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스토퍼(32b)에 의해서 용기받침대(30)는 미도시된 취사기(20)의 도어를 열때 항시 일정한 깊이로 장입되어 있어, 그 취출 또는 삽입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용기받침대(30)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취사용기(10)를 안착시켜 인원수에 맞는 적정한 배식을 할 수 있다.
다음에는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진 용기받침대(30)가 취사기(10)에 안착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미도시된 취사기(20)의 도어를 개방한 다음 본 고안에 따른 용기받침대(30)를 레일지지대(12)에 삽입시킨다.
즉, 레일지지대(12)의 이탈방지판(12a)을 레일(32)의 개방된 홈에 맞춘 다음 취사기(20) 내부로 용기받침대(30)를 안착시킨다.
다음에는 용기받침대(30)의 지지간(34) 상면에 취사용기(10)를 올려놓고, 밀어 스토퍼(32b)가 레일지지대(12)의 전면과 맞닿도록 한다.
계속하여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다단으로 형성된 레일지지대(12)에 용기받침대(30)와 취사용기(10)를 채운 후 도어를 닫고 가열하여 취사를 수행한다.
취사가 종료되면 일정한 시간 동안 보온하고, 도어를 열어 취사용기(10)를 인출한다.
인출은 전술한 장입과정에 역순으로 이루어지되, 용기받침대(30)를 레일지지대(12)와 분리시킨 후 취사용기(10)를 인출한다.
즉, 작업자가 곧바로 취사용기(10)를 들고 인출하는 것이 아니라, 용기받침대(30)를 분리한 후 취사용기(10)를 인출하는 것으로, 작업시 두 사람이 함께 작업하여도 작업공간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편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시 가열된 고온의 취사용기(10)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 내의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취사용기(10)를 다양하게 변경시켜 용기받침대(30)에 다수개로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도 본 고안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취사기에 장착되는 취사용기의 받침대에 의하면, 취사기에 취사용기가 하나 이상으로 얻혀지는 용기받침대와 여기에 적용되는 레일의 구조를 개선하여 취사용기의 안착을 더욱 편리하게 하고, 취사 작업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어 취사기의 제품 신뢰성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취사기에 안착되는 취사용기의 장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취사기에 용기받침대가 다단으로 안착된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취사기에 적용된 용기받침대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받침대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받침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취사용기 12: 레일지지대
12a: 이탈방지판 20: 취사기
30: 용기받침대 32: 레일
32a: 이탈이탈벽 34: 지지간

Claims (5)

  1. 취사용기가 다단으로 안착되어 취사를 수행하는 취사기에 있어서, 상기 취사기에는 상기 취사용기가 안착되는 용기받침대가 레일의 구조로 이루어져 다단으로 장입되고, 상기 용기받침대를 상기 취사기의 내부로 안내하는 레일지지대가 상기 취사기의 내부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기에 장착되는 취사용기의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받침대는 상기 레일지지대에 안내되는 레일이 좌우로 간격을 이루며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간격을 이루면서 설치된 레일 사이로 지지간이 다수개로 배치된 후 고정되어 상기 취사용기를 그 상면에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기에 장착되는 취사용기의 받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선단으로는 상기 용기받침대의 장입깊이를 한정하는 스토퍼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기에 장착되는 취사용기의 받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레일지지대에 삽입되도록 내부가 홈의 형상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벽이 길이방향으로 상하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기에 장착되는 취사용기의 받침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지지대의 선단은 상기 레일의 내부로 삽입된 후 상기 이탈방지벽에 맞물리는 이탈방지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사기에 장착되는 취사용기의 받침대.
KR20-2005-0005230U 2005-02-15 2005-02-26 취사기에 장착되는 취사용기의 받침대 KR200385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230U KR200385021Y1 (ko) 2005-02-15 2005-02-26 취사기에 장착되는 취사용기의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991 2005-02-15
KR20-2005-0005230U KR200385021Y1 (ko) 2005-02-15 2005-02-26 취사기에 장착되는 취사용기의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021Y1 true KR200385021Y1 (ko) 2005-05-24

Family

ID=43686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230U KR200385021Y1 (ko) 2005-02-15 2005-02-26 취사기에 장착되는 취사용기의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02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50825A (zh) * 2012-12-14 2013-06-12 深圳市富晶科技有限公司 一种可靠便捷式的货物存储模块及货物悬挂系统
KR101300057B1 (ko) * 2011-04-22 2013-08-2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다단식 취반기의 전도방지를 위한 다리 지지구조
KR20160094125A (ko) 2015-01-30 2016-08-09 이진성 선반형 인덕션 대용량 조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057B1 (ko) * 2011-04-22 2013-08-2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다단식 취반기의 전도방지를 위한 다리 지지구조
CN103150825A (zh) * 2012-12-14 2013-06-12 深圳市富晶科技有限公司 一种可靠便捷式的货物存储模块及货物悬挂系统
KR20160094125A (ko) 2015-01-30 2016-08-09 이진성 선반형 인덕션 대용량 조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4339B2 (en) Support system for cooking items in a baking oven
US6854379B2 (en) Rail system for food supports in a baking oven
ES2390413T3 (es) Aparato de cocción
US20120006315A1 (en) Support for extractable baking trays and/or baking grids
KR200385021Y1 (ko) 취사기에 장착되는 취사용기의 받침대
DE7737297U1 (de) Koch-, servier- und warmhaltevorrichtung
EP0091666A2 (en) Support for extractable grid shelves
KR102104071B1 (ko)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
KR102212008B1 (ko) 전기 히팅형 부침조리기
US10561265B2 (en) Child cookware safety device
KR102131974B1 (ko)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
US7339136B2 (en) Bread impaling cooking utensil
KR101055950B1 (ko) 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CN111616612A (zh) 烤炉
US20160201923A1 (en) Adjustable Overhead Cooking Unit
KR200485624Y1 (ko)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고정프레임
CN206880592U (zh) 一种电烤箱加热部结构
KR102223927B1 (ko) 전기 히팅형 부침조리기
CN204176698U (zh) 增加隔热装置的便携式卡式炉
KR102661998B1 (ko) 베이킹 오븐
KR101181572B1 (ko) 조리기기
KR100988700B1 (ko) 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CN218790220U (zh) 一种小型茶叶烘焙机
DE102018209566A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Gargeräts und Gargerät
CN213841039U (zh) 一种可调式灶具锅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