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974B1 -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974B1
KR102131974B1 KR1020180158041A KR20180158041A KR102131974B1 KR 102131974 B1 KR102131974 B1 KR 102131974B1 KR 1020180158041 A KR1020180158041 A KR 1020180158041A KR 20180158041 A KR20180158041 A KR 20180158041A KR 102131974 B1 KR102131974 B1 KR 102131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ange
blocking film
support plat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0664A (ko
Inventor
정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앤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앤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앤모
Priority to KR1020180158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9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70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2Side rests; Side plates; Cover lids; Splash guards; Racks outside ovens, e.g. for drying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65H18/103Reel-to-reel type web winding and un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1Joints, e.g. riveted or magnetic joints
    • B65H2402/515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60Coupling, adapter or locking means
    • B65H2402/6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3Metal
    • B65H2701/1732Alumin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 레인지 위에 조리를 위한 도구를 이용하여 음식을 요리하는 동안 기름이나 국 등이 끓어 넘치면서 음식물로부터 이물질이 레인지 밖으로 튀는 것을 차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리용 레인지(1)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구성된 제1지지판(11)으로 레인지(1) 표면에 직립하고, 상부에 구성된 잠금수단(20)에 의하여 외주에 삽입된 차단막 롤(2)로부터 차단막(3)의 공급을 잠금 또는 정지시키는 공급걸이봉(10); 하부에 구성된 제2지지판(13)으로 상기 공급걸이봉(10)과 일정 간격을 두고 레인지(1) 표면에 직립하고, 상기 공급걸이봉(10)으로부터 공급된 차단막(3)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대(12); 하부에 구성된 제3지지판(15)으로 상기 제1지지대(12)와 일정 간격을 두고 레인지(1) 표면에 직립하고, 상기 제1지지대(12)를 거쳐 공급된 차단막(3)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제2지지대(14); 하부에 구성된 제4지지판(54)으로 상기 제2지지대(14)와 일정 간격을 두고 레인지(1) 표면에 직립하고, 상기 제2지지대(14)를 거쳐 공급된 차단막(3)을 수직으로 지지하며, 상기 공급걸이봉(10)에서 공급된 차단막(3)을 감는 권취롤러(50)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롤러(50)를 일정 방향으로 감아 제1지지대(12) 및 제2지지대(14)를 거쳐 공급걸이봉(10)에서 공급된 차단막(3)을 롤 방식으로 교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레인지의 가열원 주위에 롤 방식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차단막을 설치하여 음식물의 조리 중에 튀는 이물질이 레인지 표면이나 레인지 외부로 튀는 것을 막아주어 레인지의 사용에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splash of Food and Drink from Cooking Range}
본 발명은 조리용 레인지 위에 조리를 위한 도구를 이용하여 음식을 요리하는 동안 기름이나 국 등이 끓어 넘치면서 음식물로부터 이물질이 레인지 밖으로 튀는 것을 차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 레인지는 가스나 전기로 음식을 데우는 가열기구로, 끓이기, 굽기, 튀기기 등에 사용한다. 사용하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가스레인지, 중유레인지, 전기레인지, 전자레인지 등이 있다.
종래에 레인지는 가열원 위에 냄비나 솥 또는 프라이팬 등의 조리기구를 놓고 음식을 조리하는 동안 음식물에서 기름이나 국물 등이 레인지 표면 위나 레인지 밖으로 튀게 된다. 따라서 음식을 조리한 후에 음식물로부터 튄 이물질이 레인지 표면이나 레인지 밖의 벽 등에 고착되어 일일이 청소하는 것이 번거롭게 된다. 더욱이 가열원에서 발생된 열기나 음식물의 조리 중에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레인지 주변에 열기나 음식물이 튀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바람을 막기 위한 차단막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단막 역시 음식물로부터 튄 이물질이 고착되어 차단막을 청소를 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1은 튐 방지 받침대(10); 기름이나 국물 등의 흡수를 위한 흡착지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튐 방지 받침대와 평행하게 접힐 수 있는 고정핀(20); 상기 튐 방지 받침대의 가스레인지 전방에 설치되며, 사용하지 않는 경우 가스레인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는 손잡이(30); 및 가스레인지 앞 또는 뒤의 다리에 고정되며, 상기 가스레인지용 튐방지 받침대를 앞으로 내는 경우에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받침대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스레인지 양쪽 앞다리 하단에 설치되며, 코일형태의 고리가 일단(41)은 1번 감기어 가스레인지 다리의 하단에, 타단(42)은 2번∼5번 감긴 코일 형태로 가스레인지 다리 상단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40)를 포함하는 가스레인지용 튐 방지 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4447호(2014.09.17. 공고)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리용 레인지 표면 위에 일정 방향으로 일정 높이의 차단막을 설치하여 조리기구로 음식을 조리 중에 음식물에서 튀는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에서 튀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차단막을 롤 방식으로 쉽게 교체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에 있어서, 하부에 구성된 제1지지판으로 레인지 표면에 직립하고, 상부에 구성된 잠금수단에 의하여 외주에 삽입된 차단막 롤로부터 차단막의 공급을 잠금 또는 정지시키는 공급걸이봉; 하부에 구성된 제2지지판으로 상기 공급걸이봉과 일정 간격을 두고 레인지 표면에 직립하고, 상기 공급걸이봉으로부터 공급된 차단막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대; 하부에 구성된 제3지지판으로 상기 제1지지대와 일정 간격을 두고 레인지 표면에 직립하고, 상기 제1지지대를 거쳐 공급된 차단막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제2지지대; 하부에 구성된 제4지지판으로 상기 제2지지대와 일정 간격을 두고 레인지 표면에 직립하고, 상기 제2지지대를 거쳐 공급된 차단막을 수직으로 지지하며, 상기 공급걸이봉에서 공급된 차단막을 감는 권취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롤러를 일정 방향으로 감아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를 거쳐 공급걸이봉에서 공급된 차단막을 롤 방식으로 교체하는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잠금수단은,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서 중심부까지 절개된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측면 양쪽으로 관통되어 스토퍼의 종단이 출입하는 출입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부와 하부의 직경이 상이한 슬라이더가 구성되고, 슬라이드 상부에 수평으로 일정 깊이로 슬롯이 형성되며, 슬롯 중심에 한 쌍의 스토퍼 각 일단이 힌지로 결합되며, 슬라이더 상단에 고정바가 고정 결합되되, 상기 힌지 결합된 스토퍼 상단의 홈에 접촉되는 후크가 고정바 중심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 상단에 한 쌍의 스프링이 탄성 지지되며, 상기 슬라이더 측면 양측으로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부에 삽입되는 스위칭부재와, 중심에 록킹버튼의 캡이 관통 삽입되는 작동공이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스프링 상단을 탄성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스위칭부재 상단을 덮어 하우징 내부에 고정시키는 덮개와, 상기 작동공에 삽입되는 캡이 구성되고, 캡 내부에 삽입된 몸체부 하단 양측에 핑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후크를 파지하거나 해제시키는 원터치 록킹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권취롤러는, 표면에 차단막 일단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슬릿이 형성되고, 권취롤러 중심에는 고정축이 제4지지판에 고정되며, 상부에 권취롤러를 회전시키는 손잡이가 구비되되, 손잡이 하부는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권취롤러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지지판, 제2지지판, 제3지지판 및 제4지지판 저면에 각각 제1마그네트가 결합되고, 상기 레인지 표면에 점착부재로 고정 결합되는 고정판이 구비되고, 고정판 상단에 제2마그네트가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판, 제2지지판, 제3지지판 및 제4지지판의 제1마그네트와 자력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차단막은 알루미늄 호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인지의 가열원 주위에 롤 방식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차단막을 설치하여 음식물의 조리 중에 튀는 이물질이 레인지 표면이나 레인지 외부로 튀는 것을 막아주어 레인지의 사용에 청결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인지 사용자에게 불시에 뜨거운 이물질이 튀어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염려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에서 공급걸이봉에 잠금수단과 차단막 롤을 분리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에서 권취롤러에 손잡이를 분리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에서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에서 잠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에서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에서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에서 잠금장치의 해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에서 잠금장치의 해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에서 각 지지판을 레인지 표면에 고정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레인지(1) 표면 위에 가열원 주변이 일정 간격을 두고 공급걸이봉(10)과 권취롤러(50)가 설치된다. 공급걸이봉(10)과 권취롤러(50) 사이에는 제1지지대(12)와 제2지지대(14)가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때, 공급걸이봉(10)과 제1지지대(12), 제2지지대(14) 및 권취롤러(50)는 대략 레인지(1)의 가열원을 중심으로 적어도 3방향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도 2 및 도 3에서, 공급걸이봉(10)은 대략 원통형으로 일정 길이의 차단막(3)이 감겨 있는 차단막 롤(2)이 외주에 삽입되는 것으로, 차단막 롤(2)을 수직으로 지지한다. 공급걸이봉(10) 하부에는 레인지(1) 표면에서 공급걸이봉(10)이 직립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지지판(11)이 구비된다. 제1지지판(11)은 레인지(1) 표면에 밀착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좋고, 원반형이나 다각기둥 형상이다. 공급걸이봉(10) 상부에는 잠금수단(20)이 결합된다. 잠금수단(20)은 공급걸이봉(10) 외주에 삽입된 차단막 롤(2)로부터 차단막(3)의 공급을 잠금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잠금수단(20)에 의하여 차단막 롤(2)의 회전을 단속한다.
제1지지대(12)는 차단막 롤(2)에서 인출된 차단막(3)이 수직으로 직립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1지지대(12) 하부에는 레인지(1) 표면에서 제1지지대(12)가 직립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지지판(13)이 구비된다. 제2지지판(13)은 레인지(1) 표면에 밀착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좋고, 원반형이나 다각기둥 형상이다. 제1지지대(12)는 공급걸이봉(10)과 일정 간격을 두고 레인지(1) 표면에 직립된다.
제2지지대(14)는 제1지지대(12)를 거쳐 공급된 차단막(3)이 수직으로 직립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2지지대(14) 하부에는 레인지(1) 표면에서 제2지지대(14)가 직립할 수 있도록 하는 제3지지판(15)이 구비된다. 제3지지판(15)은 레인지(1) 표면에 밀착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좋고, 원반형이나 다각기둥 형상이다. 제2지지대(14)는 제1지지대(12)와 공급걸이봉(10)과 일정 간격을 두고 레인지(1) 표면에 직립된다.
도 2 및 도 4에서, 권취롤러(50)는 대략 원통형으로 제2지지대(14)를 거쳐 공급된 차단막(3)을 감는 것이다. 즉, 차단막(3)에 음식물에서 튄 이물질이 고착된 것을 감아 사용전의 차단막(3)이 공급걸이봉(10),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14)를 거쳐 권취롤러(50)까지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다. 권취롤러(50) 하부에는 레인지(1) 표면에서 권취롤러(50)가 직립할 수 있도록 하는 제4지지판(54)이 구비된다. 제4지지판(54)은 레인지(1) 표면에 밀착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좋고, 원반형이나 다각기둥 형상이다. 권취롤러(50) 상부에는 손잡이(53)가 결합된다. 손잡이(53) 하부는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권취롤러(5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이다. 더욱이 권취롤러(50) 표면에는 차단막(3) 일단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슬릿(51)이 형성된다. 그리고 권취롤러(50) 중심에는 고정축(52)이 제4지지판(54)에 고정된다. 따라서 손잡이(53)를 잡고 돌리면 권취롤러(50)는 제4지지판(54)에 하단이 고정된 고정축(5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차단막(3)이 권취롤러(50) 외주면에 감긴다.
따라서 음식물 튐 방지 장치는 권취롤러(50)를 일정 방향으로 감아 제1지지대(12) 및 제2지지대(14)를 거쳐 공급걸이봉(10) 외주에 삽입된 차단막 롤(2)에서 공급된 차단막(3)을 롤 방식으로 교체하는 것으로, 레인지(1), 즉, 가열원의 표면 구조나 크기 또는 방향에 따라 공급걸이봉(10)와 제1지지대(12) 및 제2지지대(14), 그리고 권취롤러(50)의 거리와 간격 및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 공급걸이봉(10) 상부에 삽입 고정된 잠금수단(20)은 하우징(21)과, 하우징(21) 내에 삽입되는 스위칭부재(26)와, 스위칭부재(26)를 고정시키는 덮개(40), 그리고 스위칭부재(26)의 승강을 단속하는 록킹버튼(42)으로 구분된다.
하우징(21)은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수용공간부(22)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21) 하부 내측에는 단턱(25)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공급걸이봉(10) 내부로 삽입 고정되는 플랜지가 형성된다. 하우징(21) 상부에서 중심부까지 절개된 가이드홈(24)이 형성된다. 가이드홈(24)은 하우징(21)을 2분할하듯이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21) 측면 양쪽에는 출입공(23)이 관통 형성된다. 출입공(23)으로 힌지 결합된 스토퍼(29) 종단이 출입한다.
스위칭부재(26)는 하우징(21)의 수용공간부(22)에 삽입된다. 스위칭부재(26)의 슬라이더(27)는 상부와 하부의 직경이 상이한 형상으로, 승강하는 슬라이더(27) 하부는 하우징(21)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승강하는 슬라이더(27) 상부는 하우징(21) 내측의 단턱(25)에 걸려 수용공간부(22) 내에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슬라이더(27) 상부에는 수평으로 일정 깊이로 슬롯(28)이 형성된다. 슬롯(28)에는 각 일단이 힌지(30) 결합된 한 쌍의 스토퍼(29)가 위치된다. 슬라이더(27) 상단에는 고정바(31)가 고정 결합되되, 힌지(30) 결합된 스토퍼(29) 상단의 홈에 접촉되는 후크(32)가 고정바(31) 중심에 돌출 형성된다. 후크(32) 상부에는 좌우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더(27) 상단에는 한 쌍의 스프링(33)이 탄성 지지된다. 또한, 슬라이더(27) 측면 양측으로 가이드돌기(34)가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돌기(34)는 하우징(21)의 가이드홈(24)을 따라 승강 안내되어 스위칭부재(26)가 수직 상하로만 이동되도록 한다.
덮개(40)는 하우징(21)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덮개(40) 중심에 록킹버튼(42)의 캡(43)이 관통 삽입되는 작동공(41)이 형성된다. 덮개(40) 저면에는 스프링(33) 상단을 탄성 지지한다. 그리고 하우징(21)에 삽입된 스위칭부재(26) 상단을 덮어 하우징(21) 내부에 고정시킨다.
록킹버튼(42)은 작동공(41)에 삽입되는 캡(43)이 구성되고, 캡(43) 내부에 삽입된 몸체부(44) 하단 양측에 핑거(45)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후크(32) 상부를 파지하거나 해제시키는 것이다. 록킹버튼(42)은 원터치 방식으로 한번 누르면 몸체부(44)가 하강하고, 다시 한번 더 누르면 상승한다. 록킹버튼(42) 내부에는 록킹그루브를 따라 승강하는 가이드와 탄성부재 등이 구성되는 것으로, 통상의 원터치에 의한 승강으로 잠금 및 해제 작용이 이루어지는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도 11에서, 제1지지판(11), 제2지지판(13), 제3지지판(15) 및 제4지지판(54) 저면에는 각각 제1마그네트(60)가 결합된다. 그리고 레인지(1) 표면에 점착부재(63)로 고정 결합되는 고정판(61)이 구비된다. 고정판(61) 상단에는 제2마그네트(62)가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레인지(1) 표면에 고정 결합된 고정판(61)의 제2마그네트(62)는 각각의 제1지지판(11), 제2지지판(13), 제3지지판(15) 및 제4지지판(54)의 제1마그네트(60)와 자력으로 고정 결합되어 공급걸이봉(10), 제1지지대(12), 제2지지대(14) 및 권취롤러(50)는 레인지(1) 표면에 쉽게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차단막 롤(2)에 일정 길이로 감긴 차단막(3)은 알루미늄 호일인 것이 좋지만, 박판의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레인지(1) 표면에 일정 거리를 두고 고정판(61)을 점착부재(63)로 고정시킨다. 고정판(61)은 레인지(1)의 화구, 즉, 가열원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하는 것이 좋다. 고정판(61)이 고정되면 공급걸이봉(10)의 제1지지판(11), 제1지지대(12)의 제2지지판(13), 제2지지대(14)의 제3지지판(15), 그리고 권취롤러(50)의 제4지지판(54)을 고정판(61)에 고정시킨다. 이때, 각 제1지지판(11) 내지 제4지지판(54) 저면에 고정 결합된 제1마그네트(60)가 각 고정판(61) 상단에 고정 결합된 제2마그네트(62)와의 자력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공급걸이봉(10), 제1지지대(12), 제2지지대(14) 및 권취롤러(50)는 일정 거리를 두고 수직으로 직립하게 된다.
그리고 일정 길이의 차단막(3)이 감긴 차단막 롤(2)을 레인지(1) 표면에 수직으로 직립된 공급걸이봉(10) 외측으로 삽입한다. 차단막 롤(2)의 내경은 공급걸이봉(10)의 외경보다 커야 할 것이다. 공급걸이봉(10)에 차단막 롤(2)이 삽입되면, 차단막 롤(2)로부터 차단막(3)을 인출한 다음 제1지지대(12) 외측과 제2지지대(14)를 외측을 각각 둘러 감싸면서 당긴다. 그리고 권취롤러(50) 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슬릿(51)에 차단막(3) 단부를 삽입한 후 손잡이(53)를 잡고 감는다. 이때, 권취롤러(50) 상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손잡이(53)의 삽입 정도에 따라 슬릿(51)의 간격이 달라진다. 이는 손잡이(53) 하부가 경사진 형상으로 손잡이(53)를 권취롤러(50)로 삽입하는 정도에 따라 슬릿(51) 사이 간격이 달라지는 것이다. 더욱이 차단막 롤(2)로부터 차단막(3)을 인출하면서 당기는 동안 공급걸이봉(10)의 잠금수단(20)은 해제 상태가 되어야 한다.
잠금수단(20)의 해제 상태는 도 7 및 도 8에서, 록킹버튼(42)의 캡(43)을 누르면, 캡(43) 내부의 몸체부(44)가 하강하면서 후크(32)를 누르고, 후크(32)는 고정바(31)가 결합된 슬라이더(27)를 누른다. 슬라이더(27)는 하우징(21)의 수용공간부(22) 내부에서 하강하게 되고, 슬라이더(27)의 하강으로 슬라이더(27)에 힌지(30) 결합된 스토퍼(29) 양단은 각각 하우징(21)의 출입공(23)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몸체부(44) 하단이 하강하는 거리만큼 슬라이더(27)도 하강한다. 슬라이더(27) 상부는 하우징(21) 하부 내측의 단턱(25)에 걸려 더 이상 하강하지 않는다. 더욱이 록킹버튼(42) 내부의 록킹그루브의 하강 거리만큼 하강된 후 정지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스프링(33)의 탄성이 덮개(40)로부터 슬라이더(27)를 인장하는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스토퍼(29) 단부가 출입공(23) 내부로 삽입되면 공급걸이봉(10) 외측에 삽입된 차단막 롤(2)은 자유롭게 회전되므로 차단막 롤(2)로부터 차단막(3)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차단막(3)을 제1지지대(12)와 제2지지대(14)를 거쳐 권취롤러(50)에 감을 수 있어 사용전의 차단막(3)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잠금수단(20)의 잠금 상태는 도 7 및 도 8에서, 해제 상태인 잠금수단(20)의 록킹버튼(42)의 캡(43)을 누르면, 캡(43) 내부의 몸체부(44)가 상승하고, 몸체부(44) 하부에 구성된 핑거(45)가 오므라들면서 후크(32)를 잡고 상승한다. 이는 몸체부(44) 내부의 록킹그루브의 해제 작용으로 상승하게 되고, 스프링(33)의 탄성으로 슬라이더(27)를 덮개(40)쪽으로 당기게 된다. 슬라이더(27)가 상승하면 슬롯(28)에 힌지 결합된 스토퍼(29) 양단은 각각 하우징(21)의 출입공(23)을 통해 돌출된다. 그리고 몸체부(44) 하단이 상승하는 거리만큼 슬라이더(27)도 상승한다. 더욱이 록킹버튼(42) 내부의 록킹그루브의 상승 거리만큼 상승된 후 정지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스토퍼(29) 단부가 출입공(23)을 통해 돌출되면 공급걸이봉(10) 외측에 삽입된 차단막 롤(2) 내측벽에 접촉된다. 따라서 차단막 롤(2)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상태가 되어 차단막 롤(2)로부터 차단막(3)을 인출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차단막(3)은 제1지지대(12)와 제2지지대(14)를 거쳐 권취롤러(50)에 감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레인지 2: 차단막 롤 3: 차단막 10: 공급걸이봉 11: 제1지지판 12: 제1지지대 13: 제2지지판 14: 제2지지대 15: 제3지지판 20: 잠금수단 21: 하우징 22: 수용공간부 23: 출입공 24: 가이드홈 25: 단턱 26: 스위칭부재 27: 슬라이더 28: 슬롯 29: 스토퍼 30: 힌지 31: 고정바 32: 후크 33: 스프링 34: 가이드돌기 40: 덮개 41: 작동공 42: 록킹버튼 43: 캡 44: 몸체부 45: 핑거 50: 권취롤러 51: 슬릿 52: 고정축 53: 손잡이 54: 제4지지판 60: 제1마그네트 61: 고정판 62: 제2마그네트 63: 점착부재

Claims (5)

  1. 조리용 레인지(1)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수용공간부(22)가 형성되고, 상부에서 중심부까지 절개된 가이드홈(24)이 형성되며, 측면 양쪽으로 관통되어 스토퍼(29)의 종단이 출입하는 출입공(23)이 형성된 하우징(21)과, 상부와 하부의 직경이 상이한 슬라이더(27)가 구성되고, 슬라이더(27) 상부에 수평으로 일정 깊이로 슬롯(28)이 형성되며, 슬롯(28) 중심에 한 쌍의 스토퍼(29) 각 일단이 힌지(30)로 결합되며, 슬라이더(27) 상단에 고정바(31)가 고정 결합되되, 상기 힌지(30) 결합된 스토퍼(29) 상단의 홈에 접촉되는 후크(32)가 고정바(31) 중심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27) 상단에 한 쌍의 스프링(33)이 탄성 지지되며, 상기 슬라이더(27) 측면 양측으로 가이드돌기(3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부(22)에 삽입되는 스위칭부재(26)와, 중심에 록킹버튼(42)의 캡(43)이 관통 삽입되는 작동공(41)이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스프링(33) 상단을 탄성 지지하며, 상기 하우징(21)에 삽입된 스위칭부재(26) 상단을 덮어 하우징(21) 내부에 고정시키는 덮개(40)와, 상기 작동공(41)에 삽입되는 캡(43)이 구성되고, 캡(43) 내부에 삽입된 몸체부(44) 하단 양측에 핑거(45)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후크(32)를 파지하거나 해제시키는 원터치 록킹버튼(42)을 포함하는 잠금수단(20);
    하부에 구성된 제1지지판(11)으로 레인지(1) 표면에 직립하고, 상부에 구성된 잠금수단(20)에 의하여 외주에 삽입된 차단막 롤(2)로부터 차단막(3)의 공급을 잠금 또는 정지시키는 공급걸이봉(10);
    하부에 구성된 제2지지판(13)으로 상기 공급걸이봉(10)과 일정 간격을 두고 레인지(1) 표면에 직립하고, 상기 공급걸이봉(10)으로부터 공급된 차단막(3)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대(12);
    하부에 구성된 제3지지판(15)으로 상기 제1지지대(12)와 일정 간격을 두고 레인지(1) 표면에 직립하고, 상기 제1지지대(12)를 거쳐 공급된 차단막(3)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제2지지대(14);
    표면에 차단막(3) 일단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슬릿(51)이 형성되고, 중심에는 고정축(52)이 제4지지판(54)에 고정되며, 상부에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의 손잡이(53)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하부에 구성된 제4지지판(54)으로 상기 제2지지대(14)와 일정 간격을 두고 레인지(1) 표면에 직립하고, 상기 제2지지대(14)를 거쳐 공급된 차단막(3)을 수직으로 지지하며, 상기 공급걸이봉(10)에서 공급된 차단막(3)을 감는 권취롤러(50)를 포함하되,
    상기 권취롤러(50)를 일정 방향으로 감아 제1지지대(12) 및 제2지지대(14)를 거쳐 공급걸이봉(10)에서 공급된 차단막(3)을 롤 방식으로 교체하는,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판(11), 제2지지판(13), 제3지지판(15) 및 제4지지판(54) 저면에 각각 제1마그네트(60)가 결합되고, 상기 레인지(1) 표면에 점착부재(63)로 고정 결합되는 고정판(61)이 구비되고, 고정판(61) 상단에 제2마그네트(62)가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판(11), 제2지지판(13), 제3지지판(15) 및 제4지지판(54)의 제1마그네트(60)와 자력으로 고정 결합되는,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3)은 알루미늄 호일로 이루어진,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
KR1020180158041A 2018-12-10 2018-12-10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 KR102131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041A KR102131974B1 (ko) 2018-12-10 2018-12-10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041A KR102131974B1 (ko) 2018-12-10 2018-12-10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664A KR20200070664A (ko) 2020-06-18
KR102131974B1 true KR102131974B1 (ko) 2020-07-08

Family

ID=71143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041A KR102131974B1 (ko) 2018-12-10 2018-12-10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9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704A (ko) 2020-09-08 2022-03-15 (주) 서현피엠에스 기름 튐 방지 기능을 갖는 레인지용 구이판
KR20220047031A (ko) 2020-10-08 2022-04-15 신재익 조리용 튐방지 가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7850A (ja) 2010-11-16 2012-06-07 Hideko Ejiri レンジまわりガード器具
KR101756192B1 (ko) 2016-07-11 2017-07-13 (유)한국에프엔씨 항구적인 장력이 유지되는 펼침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612U (ja) * 1992-04-08 1993-11-12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汚れ防止シート
KR200474447Y1 (ko) 2013-03-22 2014-09-17 유대규 가스레인지용 튐방지 받침대
KR101649097B1 (ko) * 2015-11-16 2016-08-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7850A (ja) 2010-11-16 2012-06-07 Hideko Ejiri レンジまわりガード器具
KR101756192B1 (ko) 2016-07-11 2017-07-13 (유)한국에프엔씨 항구적인 장력이 유지되는 펼침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704A (ko) 2020-09-08 2022-03-15 (주) 서현피엠에스 기름 튐 방지 기능을 갖는 레인지용 구이판
KR20220047031A (ko) 2020-10-08 2022-04-15 신재익 조리용 튐방지 가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664A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974B1 (ko)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
EP2489618B1 (en) Bobbin Fixing Apparatus
KR101610237B1 (ko) 압력밥솥 뚜껑 개폐장치
CA2884196A1 (en) Drawer for holding beverage cartridges
EP3697274A1 (en) Lid holder
JP2012107850A (ja) レンジまわりガード器具
KR102104071B1 (ko)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
US2935982A (en) Cooking utensil support
US20200128633A1 (en) Cooking apparatus
CN105581640A (zh) 电热水壶和电热水壶的开盖阻尼结构
US6250212B1 (en) Toaster having carriage-lift mechanism
KR101431721B1 (ko) 압력밥솥 뚜껑개폐장치
EP1922518A2 (en) A cooling device
JP2023019224A (ja) ペーパーホルダー
KR20110006867U (ko) 인덕션 렌지용 구이판
KR200427913Y1 (ko) 조리용기용 다점지지 손잡이 및 이를 갖는 조리용기
JP3184756U (ja) 裁断装置
KR101303835B1 (ko) 압력조리기의 뚜껑개폐 안전장치
JP3173513U (ja) 鍋類の蓋用折り畳み式スタンド
CN220032499U (zh) 一种快装石英保温器
JP6177038B2 (ja) コンロ用の温度検出装置
CN220287524U (zh) 一种电磁炉支架
US2595647A (en) Picture screen stand
US9655476B2 (en) Device for holding kitchen utensils, especially knives
KR101619137B1 (ko) 조리기구용 손잡이의 탈부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