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071B1 -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071B1
KR102104071B1 KR1020200009953A KR20200009953A KR102104071B1 KR 102104071 B1 KR102104071 B1 KR 102104071B1 KR 1020200009953 A KR1020200009953 A KR 1020200009953A KR 20200009953 A KR20200009953 A KR 20200009953A KR 102104071 B1 KR102104071 B1 KR 102104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unit
container
suppor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은교
Original Assignee
서은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은교 filed Critical 서은교
Priority to KR1020200009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2Galle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선, 선박 등에서 조리를 하는 경우 파도로 인한 배의 출렁임으로 조리용기가 화구에서 떨어지거나 엎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화구에 구비되는 지지유닛, 구동유닛 및 고정유닛을 통하여 화구에 안착되는 용기의 외면을 잡아 고정함으로서 사용 안정성을 높이고, 특히 구동유닛을 하나의 톱니기어와 이에 반대방향으로 연동되는 제1 및 제2구동바로 구성하고, 이 제1 및 제2구동바에 용기 외면을 잡는 제1 및 제2홀딩부재를 결합시킴으로서, 어느 하나의 홀딩부재를 통하여 화구에 안착된 용기의 전방과 후방을 함께 잡아 고정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SUPPORTER FOR FIXING COOKING VESSEL}
본 발명은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선, 선박 등에서 조리를 하는 경우 파도로 인한 배의 출렁임으로 조리용기가 화구에서 떨어지거나 엎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화구에 구비되는 지지유닛, 구동유닛 및 고정유닛을 통하여 화구에 안착되는 용기의 외면을 잡아 고정함으로서 사용 안정성을 높이고, 특히 구동유닛을 하나의 톱니기어와 이에 반대방향으로 연동되는 제1 및 제2구동바로 구성하고, 이 제1 및 제2구동바에 용기 외면을 잡는 제1 및 제2홀딩부재를 결합시킴으로서, 어느 하나의 홀딩부재를 통하여 화구에 안착된 용기의 전방과 후방을 함께 잡아 고정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선, 함선과 같은 조리실은 선원 또는 승객들에게 제공할 식량을 보관 및 조리하는 곳으로, 요리를 하기 위한 조리기구와 가스나 전기를 이용한 레인지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조리용기를 가열하기 위해 화구나 레인지를 사용할 경우, 파도에 의한 흔들림으로 인하여 용기가 떨어지거나 흔들려 화상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더 나아가 화재의 위험성이 높은 현실이다.
따라서 레인지에 용기를 고정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877394호 "조리용기 고정 가능한 전기레인지"를 들 수 있다.(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
상기 종래기술1은 가열체, 상기 가열체의 온도제어를 위한 온도제어부 및 상기 가열체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판을 구비하여, 상기 상판에 놓인 조리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전기레인지는, 상기 상판의 하부에는 상기 조리용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유닛이 구비되는 기술로서, 자력을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고정함에 따라, 인덕션에 사용될 수 없는 용기들, 즉 자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용기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으며, 가스를 이용하여 용기를 가열하는 화구가 구비된 선박에서는 더더욱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955494호 "전기 레인지용 거치대 및 조리용기"가 있는데,(이하 종래기술2라 함.)
상기 종래기술2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형성되며, 전기레인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기 전기레인지에 고정시키는 제1 및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전기레인지의 상면에 안착되는 조리용기의 바닥판에 형성된 거치홈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간 영역에 해당하고, 상기 전기레인지의 열원을 조리용기에 전달하는 재질의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레인지 또는 상기 조리용기의 열을 차단하거나 외부로 빨리 방출하는 재질의 차단바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끝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기레인지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및 제2 브라켓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서,
조리용기의 하부에 별도의 거치홈을 형성하여야 하며, 조리용기의 용량이 큰 경우에는 흔들림에 의해 쉽게 쓰러질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6-0114815호 "요리시 가스렌지 위에 위치가 고정되는 후라이팬"이 있는데,(이하 종래기술3이라 함.)
상기 종래기술3은 후라이팬의 바닥면 하부에 일정 크기의 원주를 따라 톱니형상의 돌기를 균등 간격으로 형성해서, 가스레인지의 상부에 장착된 지지대가 돌기 사이의 요부(凹部)에 삽입됨으로써 요리 시 손잡이를 손으로 잡아주지 않더라도 후라이팬이 흔들거리거나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되도록 해주는, 요리시 가스렌지 위에 위치가 고정되는 후라이팬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3 또한 앞서 언급한 종래기술2와 같이, 후라이팬의 하부에 별도의 돌기를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2와 종래기술3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용기의 하부를 레인지(렌지)의 상면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용기의 크기가 크고 파도가 거세 흔들림이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고정위치가 용기 하부에 있기 때문에 쉽게 흔들리는 등 고정력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화구 양측에 구비되는 지지유닛과,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유닛에 의해 연동되어 지지유닛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및 제2홀딩부재로 이루어지는 고정유닛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홀딩부재 사이에 화구에 안착되는 용기가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제1 및 제2홀딩부재가 용기 외면에 밀착되어 고정할 수 있는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홀딩부재가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서로 연동됨에 따라, 하나의 홀딩부재를 이용하여 손쉽게 제1 및 제2홀딩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용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고정이 가능한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록킹유닛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홀딩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용기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용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는
화구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유닛;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유닛에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톱니기어와, 상기 톱니기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동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구동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동유닛;
양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1구동바에 구비되는 제1홀딩부재와, 양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2구동바에 구비되는 제2홀딩부재로 이루어지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화구에 안착되는 용기는 제1홀딩부재와 제2홀딩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홀딩부재와 제2홀딩부재가 상기 용기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수평이동하여 화구에 안착되는 용기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는
화구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유닛과, 상기 지지유닛에 구비되는 구동유닛 및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유닛을 통하여, 화구에 안착되는 용기의 외면을 상기 고정유닛이 고정함에 따라 흔들리지 않도록 용기를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어선, 함선 등과 같은 배의 조리시설 내에서 용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함에 따라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편리하게 조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유닛은 용기 외면에 밀착되는 제1 및 제2홀딩부재로 구성되되, 이 제1 및 제2홀딩부재가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연동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홀딩부재를 동작하여 용기의 외면에 손쉽게 밀착시킬수 있으며, 용기의 크기에 따라 이 홀딩부재들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록킹유닛을 더 구비함으로서 홀딩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서 용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의 전체 사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의 확대사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의 측면 확대사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의 록킹유닛의 확대사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의 탈착유닛의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A)는 선박 내에서 조리할 때 용기를 화구(F) 위에 고정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구(F)는 화재의 위험성을 예방하기 위한 하이라이트, 인덕션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가스를 이용한 레인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화구(F)의 크기 및 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먼저, 본 발명은 상기 화구(F)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유닛(10)과, 이 지지유닛(10) 각각에 구비되는 구동유닛(20), 상기 구동유닛(20)에 연결되어 화구(F)에 안착되는 용기의 외면에 밀착되어 용기를 고정하는 고정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도2 및 도4를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유닛(10)은 상기 화구(F) 양측에 동일한 형상으로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서, 어느 하나의 지지유닛(10)에 대하여 설명하면, 화구(F)가 형성되는 화구(F)본체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지지판(11)과, 상기 지지판(11)의 전후 방향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 제1 및 제2가이드홀(113)(115)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판(11)의 높이는 화구(F)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상기 지지판(11)에는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개구된 제1가이드홀(113)과 제2가이드홀(115)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1가이드홀(113)과 제2가이드홀(115)은 상기 화구(F)본체로부터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구동유닛(20)과 고정유닛(30)을 설명할 때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유닛(10)에는 구동유닛(20)이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구동유닛(20)은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10) 각각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가이드홀(113)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1구동바(21)와, 상기 제2가이드홀(115)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2구동바(23) 및 상기 제1구동바(21)와 제2구동바(23)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동시키기 위한 톱니기어(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1구동바(21)와 제2구동바(23)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구동바(21)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구동바(21)는 상기 화구(F)본체의 상면과 평행을 이루는 수평부(211)와, 상기 수평부(211)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11)과 나란하게 이루어지는 수직부(213) 및 상기 수직부(213)에 구비되는 가이드휠(2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 가이드홀이 상기 제1가이드홀(113)에 위치하여 상기 제1가이드홀(113)을 따라 상기 가이드휠(215)이 회전하면서 상기 제1구동바(21)가 수평이동, 보다 정확하게는 전후 이동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휠(215)은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211)에는 일정간격 이격 형성된 복수의 끼움공(2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끼움공(211A)에 상기 톱니기어(25)가 결합되어 톱니기어(25)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구동바(21)가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톱니기어(25)는 외면에 톱니부(251)가 형성된 부재를 의미한다.
상기 톱니기어(25)는 상기 지지판(11)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보다 정확한 위치는 상기 지지판(11)의 중앙(전후방향의 중앙을 의미하며, 보다 정확하게는 화구(F)의 중앙에 대응되는 위치가 바람직하다.)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가이드홀(113)과 제2가이드홀(115) 사이에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톱니기어(25)의 하부에는 제1구동바(21)의 끼움홀이 맞물리게 되고, 상기 톱니기어(25)의 상부에는 제2구동바(23)의 끼움홀이 맞물리게 되며, 이러한 구조로 상기 톱니기어(25)가 공회전하면 상기 제1구동바(21)와 제2구동바(23)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보다 정확하게는 어느 하나의 구동바를 전후로 움직이면 상기 톱니기어(25)에 의해 또 다른 구동바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판(11)에는 상기 구동바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구동바를 지지하는 지지봉(111)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지지봉(111)의 위치 및 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구동바(21)와 제2구동바(23)가 상기 톱니기어(25)의 하부 및 상부에 결합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구동바(21)(23)가 이동하기 위한 제1 및 제2가이드홀(113)(115)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구현되는 것이며, 상기 톱니기어(25)의 크기에 따라 제1가이드홀(113)과 제2가이드홀(115)의 높이 차이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가이드홀(113) 방향이 사용자가 조리를 하는 방향으로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20)에는 용기의 외면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유닛(30)이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고정유닛(30)은 용기의 전방을 지지하도록 화구(F) 양측에 구비되는 제1구동바(21)들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제1홀딩부재(31)와, 상기 용기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화구(F) 양측에 구비되는 제2구동바(23)들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제2홀딩부재(33)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홀딩부재(31)와 제2홀딩부재(33)의 양 단부는 각각 제1구동바(21)와 제2구동바(23)의 수평부(211)에 볼트, 핀 등에 의해 고정되거나, 후술하는 탈착유닛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이 탈착유닛은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홀딩부재(31)와 제2홀딩부재(33)는 각각 용기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곡선형의 라인부(35)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제1홀딩부재(31)와 제2홀딩부재(33) 사이에 화구(F)에 놓여지는 용기가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바(21)와 제2구동바(23)가 서로 연동되되 반대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용기를 화구(F)에 올려 놓은 후에, 사용자가 제1홀딩부재(31)를 밀어 용기 외면에 밀착시키면, 상기 제2홀딩부재(33)는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용기 후면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톱니기어(25)가 상기 화구(F) 중앙과 동일선상에 위치함에 따라 용기가 화구(F) 중앙에 정위치되어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홀딩부재(31)의 동작 편의성을 위하여, 상기 제1홀딩부재(31)에는 손잡이부(311)가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제1홀딩부재(31)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도록 하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톱니기어(25)에 모터를 연결하여 자동으로 톱니기어(25)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도4는 본 발명에 구비되는 록킹유닛(40)을 확대한 사진도로서, 흔들림에 의해 상기 홀딩부재들이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록킹유닛(40)은 상기 제1가이드홀(113)에 구비되어 제1구동바(21)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서 제1홀딩부재(31)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먼저 상기 제1가이드홀(113) 하부에는 상기 록킹유닛(40)이 전후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록킹이동홀(1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이동홀(117)은 상기 제1가이드홀(113) 하부에 제1가이드홀(113)과 나란하게 형성되게 된다.
상기 록킹유닛(40)은 록킹바(41)와, 상기 록킹바(41) 후방 단부에서 상향 절곡된 스토핑부(4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록킹바(41)의 하부에는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록킹홈(411)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스토핑부(43)와 록킹바(41)의 절곡점에는 끼움부재(45)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끼움부재(45)가 상기 록킹이동홀(117)에 끼워져 상기 록킹이동홀(117)을 따라 상기 로킹유닛이 전후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록킹유닛(40)은 상기 절곡점에 구비되는 끼움부재(45)를 기준으로 힌지 운동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유닛(10)의 전방에는 상기 록킹유닛(40)이 끼워져 안착될 수 있는 거치홀(119A)이 형성된 거치부재(119)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핑부(43)는 상기 제1가이드홀(113)을 침범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록킹유닛(40)의 전방 단부에는 핸들부(4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고정유닛(30)을 통하여 용기 외면에 홀딩부재들을 밀착시킨 후, 상기 핸들부(413)를 들어 상기 록킹유닛(40)을 거치홀(119A)로부터 이탈시키고, 이 상태를 유지한 채 록킹유닛(40)을 후방으로 밀어 상기 스토핑부(43)가 상기 제1구동바(21)의 전방에 닿을 수 있도록 한 다음, 다시 상기 핸들부(413)를 내려 상기 록킹유닛(40)을 거치홀(119A)에 안착시키면, 상기 거치홀(119A) 하부가 상기 록킹홈(411)에 끼워짐으로서 상기 록킹유닛(40)의 전후 이동을 제한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제1구동바(21)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용기를 안정적으로 홀딩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사용 편의성을 위하여 상기 제1홀딩부재(31)의 양 단부를 제1구동바(21)에 결합함에 있어, 무거운 용기를 보다 손쉽게 화구(F)에 안착시키기 위해, 상기 제1홀딩부재(31)를 제1구동바(21)와 손쉽게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화구(F) 전방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구동바(21)와 제1홀딩부재(31)는 탈착유닛에 의해 쉽게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착유닛에 대하여 도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탈착유닛(5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바(21)의 수평부(211)에 구비되는 제1블록(51)과 제1홀딩부재(31)에 구비되는 제2블록(5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제1블록(51)과 제2블록(52)은 상호간에 슬라이딩 결합을 하기 위하여, 제1블록(51)에는 도브테일돌기(519)가 구비되고, 제2블록(52)에는 도브테일홈(523)이 형성되어 제1블록(51)과 제2블록(52)이 상호간에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블록(51)에는 중홈(5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홈(513) 하부에서 양측으로 각각 인출공(515) 및 안착홈(51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블록(52)에는 상기 제1블록(51)이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인출공(515)에 대응되는 고정홈(521)이 형성된다.
상기 중홈(513)에는 결속부재(53)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결속부재(53)는 상기 인출공(515)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단에 자석(532)이 형성된 몸체(531)와, 상기 몸체(531)에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중홈(513)을 통해 상기 제1블록(51) 상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바(5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안착홈(517)에는 인입방지부재(54)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인입방지부재(54)는 지지블록(541)과 상기 지지블록(541)으로부터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금속성 승하강블록(543) 및 상기 승하강블록(543)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상승유도스프링(54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블록(541) 또한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져 잇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블록(51)에 형성되는 중홈(513)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중홈(513)은 상기 제1블록(51)의 상부가 개구된 형상의 홈으로, 상기 중홈(513)의 저면의 일측(제1블록(51)과 결합되는 방향을 일측이라 한다.)에는 인출공(515)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몸체(531)의 인출입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중홈(513)의 저면 타측에는 인입방지부재(54)가 구비되는 안착홈(517)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결속부재(53)는 상기 중홈(513)에 구비되는 몸체(531)와, 상기 몸체(531)에 구비되는 손잡이바(533)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531)는 상기 중홈(513)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인출공(515)을 통하여 일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재이고, 상기 손잡이바(533)는 상기 몸체(531)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 가능한 직선형의 바 형상의 부재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돌출된 손잡이바(533)를 잡고 움직이면 상기 몸체(531)의 일단이 상기 인출공(515)을 통하여 제2블록(52)의 고정홈(521)에 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531)의 타측에는 자석(532)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는 하기 인입방지부재(54)를 끌어당기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개략적인 작동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제1블록(51)과 제2블록(52)은 도브테일 결합에 의해 상호 슬라이딩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블록(51) 상부에 노출된 손잡이바(533)를 조작하여 몸체(531)의 일단을 상기 고정홈(521)으로 이동시켜 제1블록(51)이 제2블록(52)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 때 상기 몸체(531)의 타단에 구비된 자석(532)이 상기 안착홈(517)에 수용된 인입방지부재(54)를 자력에 의해 끌어당기게 되며, 끌어당겨진 인입방지부재(54)의 승하강블록(543)이 상기 중홈(513) 내부에서 상승하여 중홈(513)의 내벽면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몸체(531)의 원위치 이동을 제한하여 임의로 결속부재(53)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블록(543)이 자력에 의해 끌어당겨지기 위해, 상기 승하강블록(543)은 금속성 소재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인입방지부재(54)는 상기 안착홈(517)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지지블록(541)과 상기 지지블록(541)으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하강블록(54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하강블록(543)과 지지블록(541) 사이에는 별도의 상승유도스프링(545)이 더 구비되어 상기 승하강블록(543)이 지지블록(541)으로부터 상승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받게 된다.
이 때 상기 상승유도스프링(545)은 양단부가 상기 지지블록(541) 및 승하강블록(543)에 형성된 홈부(546) 내벽면에 고정되는 일반형스프링,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그 결과, 상기 인입방지부재(54)가 안착호에 수용될 때에는 상기 안착홈(517)의 상부면에 의해 승하강블록(543)의 상승을 불허하지만, 상기 인입방지부재(54)가 결속부재(53)에 의해 중홈(513)으로 끌려 나오게 되면, 상기 승하강블록(543)의 상면을 지지하는 구성이 없어 탄성력에 의해 승하강블록(543)이 상승하여, 상기 승하강블록(543)의 타측이 중홈(513) 내벽면에 지지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블록(541)과 승하강블록(543)은 상호간에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운동을 하기 위하여 도브테일, 가이드레일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제1블록(51)과 제2블록(52)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홈(521)에 인입된 결속부재(53)의 몸체(531)를 원위치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중홈(513) 내에서 상승된 승하강블록(543)을 강제로 해정하기 위한 부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제1블록(51)의 중홈(513)에는 푸쉬부재(5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쉬부재(55)는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중홈(513) 내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저면은 상기 몸체(531)의 상부에 안착되는 부재이다.
즉 상기 승하강블록(543)이 상기 중홈(513) 내에서 상승하게 되면, 상기 푸쉬부재(55)의 하부를 밀어 푸쉬부재(55)의 상단부가 중홈(513) 밖으로 노출된 상태가 되며, 이 노출된 부분을 사용자가 누르면 승하강블록(543)이 하강하게 되어 결속부재(53)의 좌우 슬라이딩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푸쉬부재(55)가 중홈(513)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511)이 상기 중홈(513)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푸쉬부재(55)에는 상기 이탈방지턱(511)에 걸리는 걸림단턱(551)이 더 구비되며, 상기 푸쉬부재(55)가 중홈(513)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홈(513)의 내벽면에는 푸쉬부재(55)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탈방지돌기(51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보다 손쉬운 동작을 위해, 본 발명에는 탄성스프링(535)을 더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탄성스프링(535)의 양단은 상기 푸쉬부재(55)와 손잡이바(533)에 밀착되도록 구비ㅗ디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바(533)가 푸쉬부재(55)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결속부재(53)는 중홈(513) 내에서 도5[A]와 같이 위치하게 되고, 사용자가 상기 결속부재(53)를 움직여 몸체(531)를 고정홈(521)에 인입시키면, 도5[C]와 같이 탄성스프링(535)이 인장되어 결속부재(53)를 원위치 시키려고 하나, 앞서 승하강블록(543)이 상승함에 따라 이를 제한하고 있으며,
해정 시 사용자가 푸쉬부재(55)를 눌러 승하강블록(543)을 하강시키면, 상기 탄성스프링(535)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결속부재(53)가 원위치되어 몸체(531)의 일단이 고정홈(521)으로부터 빠져나오며, 이 동작과 함께 상기 인입방지부재(54)를 안착홈(517)으로 밀어넣어 원위치 시켜 손쉽게 제1블록(51)과 제2블록(52)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안착홈(517)에 수용되는 인입방지부재(54)가 안착홈(517) 내에서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홈(517)의 내측에는 별도의 완충부재(518)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
F : 화구
10 : 지지유닛 11 : 지지판
111 : 지지봉 113 : 제1가이드홀
115 : 제2가이드홀 117 : 록킹이동홀
119 : 거치부재 119A : 거치홀
20 : 구동유닛 21 : 제1구동바
211 : 수평부 211A : 끼움공
213 : 수직부 215 : 가이드휠
23 : 제2구동바 25 : 톱니기어
251 : 톱니부 30 : 고정유닛
31 : 제1홀딩부재 311 : 손잡이부
33 : 제2홀딩부재 35 : 라인부
40 : 록킹유닛 41 : 록킹바
411 : 록킹홈 413 : 핸들부
43 : 스토핑부 45 : 끼움부재
50 : 탈착유닛 51 : 제1블록
511 : 이탈방지턱 513 : 중홈
514 : 이탈방지돌기 515 : 인출공
517 : 안착홈 518 : 완충부재
519 : 도브테일돌기 52 : 제2블록
521 : 고정홈 523 : 도브테일홈
53 : 결속부재 531 : 몸체
532 : 자석 533 : 손잡이바
535 : 탄성스프링 54 : 인입방지부재
541 : 지지블록 543 : 승하강블록
545 : 상승유도스프링 546 : 홈부
55 : 푸쉬부재 551 : 걸림단턱

Claims (4)

  1. 화구(F)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유닛(10);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10)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유닛(10)에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톱니기어(25)와, 상기 톱니기어(25)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동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평이동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구동바(2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동유닛(20);
    양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1구동바(21)에 구비되는 제1홀딩부재(31)와, 양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2구동바(23)에 구비되는 제2홀딩부재(33)로 이루어지는 고정유닛(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화구(F)에 안착되는 용기는 제1홀딩부재(31)와 제2홀딩부재(33)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홀딩부재(31)와 제2홀딩부재(33)가 상기 용기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수평이동하여 화구(F)에 안착되는 용기를 고정하고,

    상기 지지유닛(10)에는 상기 제1구동바(21) 및 제2구동바(23)가 이동하는 제1 및 제2가이드홀(113)(115)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홀(113)에 구비되어, 상기 제1구동바(21)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록킹유닛(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바(21)는
    수평부(211)와, 상기 수평부(211)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수직부(213)와, 상기 수직부(213)에 구비되어 상기 제1가이드홀(113)에 위치하는 가이드휠(2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10)에는 록킹이동홀(117)이 더 구비되고,
    상기 록킹유닛(40)은
    상기 록킹이동홀(117)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 이동하는 록킹바(41)와, 이 록킹바(41)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홀(113)을 침범하여 제1구동바(21)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토핑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바(21)와 제1홀딩부재(31)는 탈착유닛(50)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탈착유닛(50)은
    제1구동바(21)에 구비되며 일측에 도브테일돌기(519)가 형성된 제1블록(51)과, 제1홀딩부재(31)에 구비되어 상기 도브테일돌기(519)에 끼움결합되는 도브테일홈(523)이 형성된 제2블록(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블록(51)에는 중홈(513)과, 이 중홈(513) 일측에는 인출공(515)이 형성되고, 상기 중홈(513) 타측에는 안착홈(517)이 형성되며,
    상기 제2블록(52)에는 상기 인출공(515)에 대응되는 고정홈(521)이 형성되며,
    상기 중홈(513)에 내삽되어 상기 인출공(515)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타단에 자석(532)이 구비되는 몸체(531)와, 상기 몸체(531)에 구비되어 상기 중홈(513)을 통해 상기 제1블록(51) 상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바(533)를 포함하는 결속부재(53)와,
    상기 안착홈(517)에 구비되는 것으로, 지지블록(541)과 상기 지지블록(541)으로부터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금속성 승하강블록(543) 및 상기 승하강블록(543)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5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입방지부재(54)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51)과 제2블록(52)을 슬라이딩 결합한 후, 상기 결속부재(53)를 제2블록(5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몸체(531)가 상기 인출공(515)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521)에 인입되어 제1블록(51)과 제2블록(52)을 고정하고,
    상기 몸체(531)가 고정홈(521)에 인입되면, 상기 자석(532)에 의해 상기 인입방지부재(54)가 상기 결속부재(53)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승하강블록(543)이 지지블록(541)으로부터 탄성스프링(545)의 의해 상승하여 상기 중홈(513) 내벽면을 지지함에 따라 결속부재(53)의 후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
KR1020200009953A 2020-01-28 2020-01-28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 KR102104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953A KR102104071B1 (ko) 2020-01-28 2020-01-28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953A KR102104071B1 (ko) 2020-01-28 2020-01-28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4071B1 true KR102104071B1 (ko) 2020-04-23

Family

ID=70472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953A KR102104071B1 (ko) 2020-01-28 2020-01-28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0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401B1 (ko) * 2022-01-25 2022-08-25 삼주이엔지 주식회사 해상 선박용 주방 인덕션 레인지
KR102474842B1 (ko) 2022-07-19 2022-12-06 주식회사 케이피 선박용 조리용기 고정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6288U (ko) * 1985-06-13 1986-12-26
JPS6271893U (ko) * 1985-10-25 1987-05-08
KR20170002454U (ko) * 2015-12-29 2017-07-07 (주)피스월드 인덕션용 고기구이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6288U (ko) * 1985-06-13 1986-12-26
JPS6271893U (ko) * 1985-10-25 1987-05-08
KR20170002454U (ko) * 2015-12-29 2017-07-07 (주)피스월드 인덕션용 고기구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401B1 (ko) * 2022-01-25 2022-08-25 삼주이엔지 주식회사 해상 선박용 주방 인덕션 레인지
KR102474842B1 (ko) 2022-07-19 2022-12-06 주식회사 케이피 선박용 조리용기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4071B1 (ko) 어선용 용기 고정용 지지대 어셈블리
AU2010230594B2 (en) Support for extractable baking trays and/or baking grids
US6789861B1 (en) Support system for cooking items in a baking oven
TWI357809B (en) Coffee maker having a height adjustable collecting
US4482181A (en) Grill lifter
US8875620B2 (en) Automated rack/basket lifting system for deep open vat frying system
ES2390413T3 (es) Aparato de cocción
US7942486B2 (en) Linear guide system for a sliding shelf
US20140238383A1 (en) Appliance with vertically adjustable rack
US4407189A (en) Roast spit
US3981044A (en) Receptacle handle assembly
EP0091666B1 (en) Support for extractable grid shelves
EP0901770B1 (en) Dishwashing machine with height-adjustable rack
CN106172563A (zh) 一种烤盘能自动移出的烤箱
JP2013059386A (ja) 簡易小型昇降装置、および、この簡易小型昇降装置を利用した調理用コンロ
KR200385021Y1 (ko) 취사기에 장착되는 취사용기의 받침대
EP0747640A2 (en) Oven for cooking foods
KR102131974B1 (ko) 조리용 레인지의 음식물 튐 방지 장치
ES2707861T3 (es) Dispositivo extractor de railes para un soporte para alimentos a cocinar
US6486451B1 (en) Toaster chassis assembly with improved safety device
EP1199017B1 (en) Toaster
KR20100107989A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CN113441705A (zh) 一种易于使用的铝合金重力铸造锅及其使用方法
CN111989523B (zh) 烘烤箱
CN1938473A (zh) 放置电熨斗的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