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637B1 -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 및 약제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 및 약제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637B1
KR102661637B1 KR1020197033379A KR20197033379A KR102661637B1 KR 102661637 B1 KR102661637 B1 KR 102661637B1 KR 1020197033379 A KR1020197033379 A KR 1020197033379A KR 20197033379 A KR20197033379 A KR 20197033379A KR 102661637 B1 KR102661637 B1 KR 102661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drug
injection
unit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8424A (ko
Inventor
마사토시 와라시나
다카시 우에노
메이 쟝
츠요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to KR1020247013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3165A/ko
Publication of KR20200078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69Trays for holding or distributing medic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4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all the articles being stored in individual compart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2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 G06V10/225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based on a marking or identifier characterising the are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xic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Abstract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200)는, 약제를 수용하는 m개의 카세트(Ca)를 보관하는 카세트 선반(110)과, 카세트에 수용된 약제에 대해 특정 처리를 행하기 위한 특정 처리부(120)와, 특정 처리를 받는 카세트를 n개(m>n≥2)까지 일시적으로 보유 지지 가능한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와, 카세트 선반과 카세트 보유 지지부 사이에서 카세트를 이송하는 카세트 이송부(14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 및 약제 불출 장치
본 발명은, 약제를 수용하는 카세트를 취급하는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 및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를 구비한 약제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반품(회수)된 약제를 분류하는 약제 분류 장치, 및 트레이에 수용된 약제를 불출하는 약제 불출 장치의 개발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약제 분류 장치의 일례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약제 분류 장치에서는, 분류 트레이 설치부에 설치된 분류 트레이로부터 취출한 약제의 종류를 판별한 후, 당해 약제를 수납 박스에 수납한다. 구체적으로는, 분류 트레이 설치부에는 복수의 분류 트레이를 보관 가능하고, 보관된 분류 트레이 중, 최상단에 보관된 분류 트레이 내의 약제가, 약제의 종류 판별 대상으로서 취출된다.
또한, 약제 불출 장치의 주변 장치(예: 프린터 장치)에 관한 기술이, 예를 들어 특허문헌 2∼5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51040호 공보(2015년 3월 19일 공개)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32565호 공보(2005년 5월 26일 공개)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3177호 공보(2015년 1월 22일 공개)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36240호 공보(2012년 7월 19일 공개) WO2011/138857호 공보(2011년 11월 10일 공개)
특허문헌 1의 약제 분류 장치에서는, 복수의 분류 트레이 중에서 하나의 분류 트레이를 약제의 취출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당해 분류 트레이로부터 종류 판별 대상의 약제를 취출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복수의 분류 트레이의 각각으로부터 약제를 취출한다고 하는 요구가 있는 경우라도, 분류 트레이를 하나씩 취출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분류 트레이를 취출 위치로 이동시켜 약제를 취출한다고 하는 전제에 있어서는, 당해 구성의 경우, 효율적으로 약제의 취출을 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약제의 불출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는, 약제를 수용하는 m개의 카세트를 보관하는 카세트 선반과, 상기 카세트에 수용된 약제에 대해 특정 처리를 행하기 위한 특정 처리부와, 상기 카세트 중, 상기 특정 처리를 받는 카세트를 n개(m>n≥2)까지 일시적으로 보유 지지 가능한 카세트 보유 지지부와, 상기 카세트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는 상기 카세트를 교체하기 위해, 상기 카세트 선반과 상기 카세트 보유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카세트를 이송하는 카세트 이송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에 의하면, 약제의 불출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사약 불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사약 불출 장치를 포함하는 주사약 불출 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사약 불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카세트 선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특정 처리부 및 카세트 보유 지지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카세트 보유 지지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특정 처리부 및 약제 분류부의, 도 3과는 다른 각도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특정 처리부 및 약제 분류부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약제 이동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a)는 카세트 이송부의, 도 3과는 다른 각도에서의 사시도이고, (b)는 (a)에 도시한 카세트 이송부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주사약 불출 장치의 전방면에 평행한 면에 있어서의 방향 정렬 카세트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대형 반품약 카세트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이고, (b)는 (a)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이고, (b)는 (a)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고, (c)는 (a)의 C-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주사약 불출 장치가 주사약을 불출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반품약에 대한 주사약 불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카세트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는 카세트의 배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형상 모델의 등록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a)는 당해 등록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b)는 형상 모델이 나타내는 주사약의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초기 설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각 좌표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의 (a)∼(c)는 좌표 변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카세트에 수용된 주사약의 흡착 위치를 결정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의 (a) 및 (b)는 화상에 있어서의 카세트의 검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a) 및 (b)는 렌즈 왜곡에 기인한 위치 어긋남의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주사약의 폭에 기인한 위치 어긋남의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의 (a)∼(c)는 투영에 관한 위치 어긋남의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카세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분할 부재를 장착 전의 상태, (b)는 분할 부재를 장착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의 (a) 및 (b)는 카세트 이송부의 상세도이다.
도 28은 주사약 불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9는 카세트의 보관 위치의 특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0의 (a) 및 (b)는 센서 및 반사판의 설치 위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은 이동 속도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32의 (a)는 약제 반송부의 이동 기구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b) 및 (c)는 약제 반송부의 흡착 기구의 동작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a) 및 (b)는 기한 판독용 카메라에 의한 화상 처리의 타이밍 조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의 (a)∼(f)는 불출 불가능한 주사약이 있는 경우의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소형 트레이가 반송 트레이에 적재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6의 (a)는 소형 트레이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소형 트레이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c)는 소형 트레이의 일례를 도시하는 A-A' 단면도이다.
도 37은 프린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8은 프린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9는 프린터 장치의 저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0은 반송 트레이 인자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1의 (a)는 수액 라벨 불출 장치 및 수액 라벨 반송 기구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 및 (c)는 수액 라벨 불출 장치가 구비하는 수액 라벨 수취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2는 수액 라벨 불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3의 (a)∼(d)는 수액 라벨 반송 기구에 의한 수액 라벨의 파지 동작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4의 (a)∼(d)는 수액 라벨 반송 기구에 의한 수액 라벨의 반송 동작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5의 (a) 및 (b)는 반송 트레이에 있어서의 수액 라벨의 적재 위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6은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b) 및 (c)는 주사 처방전 수취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7의 (a) 및 (b)는 주사 처방전 반송 기구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8의 (a)∼(d)는 주사 처방전 파지 기구에 의한 주사 처방전의 반송 동작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9의 (a) 및 (b)는 수액 라벨 반송 기구가 구비하는 수송 라벨 파지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0의 (a)는 분할 부재를 장착하였을 때의 카세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b)는 카세트를 2분할하여 사용할 때의 데이터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1은 다른 예의 카세트 보유 지지부를 구비한 주사약 불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2는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의 개략적인 분해 단면도이고, (b)는 구름 방지 시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c)는 광원이 점등된 상태에 있어서의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3은 조명 부재의 개략적인 배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4는 반품약에 대한 주사약 불출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5는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화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6은 다른 예의 수액 라벨 수취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 57의 (a)∼(d)는 수액 라벨의 반송 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는, 적어도 이하의 (1)∼(3) 중 어느 것을 가리키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1) 1환자에게 투여되는 약제에 관한 데이터(1환자 단위의 처방 데이터).
(2) 1환자에게 투여되는 1회분의 약제에 관한 데이터(1처방 단위의 처방 데이터).
(3) 1환자에게 투여되는 1회분의 약제에 대해 처방 시에 분류가 부여되어 있는 경우의, 그 분류에 관한 데이터(1RP(레시피) 단위의 처방 데이터).
또한, 약제란, 용기 등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약제 자체 외에, 용기 등에 수용된 상태의 약제(예: 앰플, 바이알, 주사 키트, 및 PTP(Press Through Pack) 시트)도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로, 약제가 주사약(주사약을 수용한 앰플 또는 바이알을 포함함)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주사약 불출 시스템의 개요〕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사약 불출 장치(100)(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를 포함하는 주사약 불출 시스템(1)(약제 불출 장치)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사약 불출 시스템(1)은, 공급 리프터(11)와, 주사약 불출 장치(100)와, 프린터 장치(13)와, 배출 리프터(14)를 구비한다. 주사약 불출 시스템(1)은, 의사 등의 처방에 기초하여 환자에게 투여되는 주사약의 종류 및 수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처방 데이터가 제공됨으로써 동작한다. 주사약 불출 시스템(1)에 제공되는 처방 데이터는, 주사약의 투여 대상이 되는 복수의 환자분의 주사약의 종류 및 수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처방 데이터는, 예를 들어 병동에 따라 관리되고 있고, 소정의 기일마다, 소정의 기간분의 처방 데이터가 병동으로부터 주사약 불출 시스템(1)으로 송신된다. 주사약 불출 시스템(1)은, 수신한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환자마다의 1회의 투여에 관한 주사약을 불출한다. 불출된 주사약을 받기 위한 반송 트레이(151a)(도 7 참조)가, 주사약 불출 시스템(1) 내를 통과한다.
공급 리프터(11)는, 처방 데이터의 제공에 맞추어 주사약 불출 시스템(1) 내를 통과하는 반송 트레이(151a)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주사약 불출 시스템(1)에 제공된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반송 트레이(151a)에 주사약을 불출하는 장치이다. 프린터 장치(13)는, 처방 데이터에 나타나 있는 주사약의 종류 등의 정보를 반송 트레이(151a)에 인자한다. 배출 리프터(14)는, 주사약의 불출 및 정보의 인자가 종료된 반송 트레이(151a)를 주사약 불출 시스템(1)으로부터 배출한다.
〔주사약 불출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내부를 가시화하기 위해, 도 2에 있어서 도시되어 있던 외장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카세트 선반(110)과, 특정 처리부(120)와,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와, 카세트 이송부(140)와, 약제 분류부(150)와, 기억부(180)와, 제어부(190)를 구비한다. 특히, 카세트 선반(110), 특정 처리부(120),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 및 카세트 이송부(140)를 총칭하여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200)라고 칭한다.
카세트 선반(110)은, 주사약(약제)을 수용하는 m개의 카세트(Ca)를 보관하는 선반이다. m은 3 이상의 정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세트 선반(110)은, 연직면 내에서 행렬상으로 카세트(Ca)를 보관하고 있다. m개의 카세트(Ca)의 각각에는, 미리 약종별로 주사약이 수용된다. 또한, 적어도 2개의 카세트(Ca)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주사약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m개의 카세트 전부가 반드시 카세트(Ca)일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m개의 카세트의 일부로서, 반품약을 취급하기 위한 카세트가 포함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카세트(Ca)가 카세트 선반(110)에 삽입되는 방향을 깊이 방향이라고 칭한다. 또한, 수평면에 평행한 면에 있어서 깊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칭한다.
도 4는, 카세트 선반(110)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 선반(110)은, 연직 방향에 평행, 또한 깊이 방향에 평행인 복수의 벽재(111)를 구비한다. 복수의 벽재(111)의 간격은, 카세트(Ca)의 폭보다 크다.
각각의 벽재(111)로부터는, 복수의 지지 부재(112)가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서로 인접하는 벽재(111)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있어서는, 각각의 지지 부재(112)의 높이는 서로 동등하다. 또한, 서로 대향하는 지지 부재(112)의 선단끼리의 간격은, 카세트(Ca)의 폭보다 작다. 이 때문에, 카세트 선반(110)에 있어서, 벽재(111)의 사이에 삽입된 카세트(Ca)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이 지지 부재(112)에 지지된 상태로 보관된다.
카세트(Ca)는, 깊이 방향의 앞쪽으로 안쪽을 향해 삽입된다. 지지 부재(112)의 앞쪽 단부의 상면에는, 돌기(113)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13)의 상단과, 돌기(113)의 상측의 지지 부재(112) 사이의 거리는, 카세트(Ca)의 두께(높이)보다 크다. 이 때문에, 카세트(Ca)는, 돌기(113)의 상측으로부터 카세트 선반(11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카세트 선반(110)에 보관되어 있는 카세트(Ca)가 앞쪽으로 수평 이동한 경우, 돌기(113)에 걸리므로, 카세트(Ca)가 카세트 선반(110)으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질 우려는 작다.
카세트(Ca)에 수용되는 주사약은, 앰플 또는 바이알과 같은 용기에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사약은, 정렬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카세트(Ca)에 수용되어 있다. 단, 주사약은, 정렬된 상태로 카세트(Ca)에 수용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카세트(Ca)에, 주사약 대신에 정제나 연고와 같은 약품이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카세트(Ca)에, 약제 이외의 물품이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앰플 및 바이알에는, 수용하는 주사약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한 형상을 갖는 것이 존재한다. 카세트(Ca)는, 당해 카세트(Ca)에 수용하는 앰플 또는 바이알의 형상에 따라서 상이한 형상(예를 들어 높이)을 갖고 있어도 된다. 카세트(Ca)는, 예를 들어 직경이 28㎜ 이하인 앰플 또는 바이알을 수용하는 소 카세트와, 직경이 28㎜를 초과하는 앰플 또는 바이알을 수용하는 대 카세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도 5는, 특정 처리부(120) 및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의 정면도이다. 도 5에는, 이해를 도울 목적으로, 카세트 선반(110)도 아울러 도시되어 있다.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는, 카세트 선반(110)에 보관되어 있는 카세트(Ca) 중, 특정 처리부(120)에 의한 특정 처리를 받는 카세트(Ca)를 n개까지 일시적으로 보유 지지 가능하다. n의 값은 2 이상 또한 m 미만(m>n≥2)이면 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n의 값은 4이다.
도 6은,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의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는, 4개의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130d)의 집합이다. 또한,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의 수는, 4개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n의 값, 즉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가 보유 지지 가능한 카세트(Ca)의 수와 동등하다. 카세트(Ca)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130d) 중 어느 것에 적재됨으로써 보유 지지된다. 또한,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130d)의 각각의 하측에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130d)를 깊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 기구(133a∼133d)가 마련되어 있다.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130d)에는, 카세트 이송부(140)로부터 카세트(Ca)를 수납하는 카세트 수납 위치(131)와, 카세트(Ca)가 특정 처리부(120)에 의한 특정 처리를 받기 위한 처리 위치(132)가 존재한다. 상세하게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130d)의 각각에 대해, 카세트 수납 위치(131a∼131d)와, 처리 위치(132a∼132d)가 존재한다.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130d)는, 구동 기구(133a∼133d)에 의해 깊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함으로써, 카세트 수납 위치(131a∼131d)와 처리 위치(132a∼132d) 사이에서 카세트(Ca)를 왕복 이동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는, 카세트(Ca)를 처리 위치(132)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6에서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b)가 처리 위치(132b)에 위치하고, 다른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 130c 및 130d)가 각각 카세트 수납 위치(131a, 131c 및 131d)에 위치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130d)의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카세트(Ca)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130d) 중, 2개 이상의 카세트 보유 지지부가, 대응하는 처리 위치(132a∼132d)에 위치해도 된다.
또한,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에는, 카세트(Ca)의 중량을 계측하기 위한 로드셀(134)이 마련되어 있다. 카세트(Ca) 자체의(즉, 주사약의 중량을 포함하지 않는) 중량, 및 카세트(Ca)에 수용되어 있는 주사약의 1개당의 중량은 기지이다. 이 때문에, 로드셀(134)에 의해 카세트(Ca) 전체의 중량을 계측함으로써, 카세트(Ca)에 수용되어 있는 주사약의 수, 즉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 있어서의 주사약의 재고를 산출할 수 있다. 이 산출 처리는, 예를 들어 어느 날의 저녁에 그 날의 주사약 불출 처리가 모두 완료되고, 각 카세트(Ca)에 주사약이 충전된 후, 다음날 아침에 주사약의 불출 처리가 개시될 때까지의 사이에 실행된다.
특정 처리부(120)는 카세트(Ca)에 수용된 주사약에 대해 특정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정 처리는, 불출 대상이 되는 주사약을 포함하는 카세트(Ca)를 카세트 선반(110)으로부터 취출하고, 주사약의 종류 및 유효 기한을 특정할 때까지의 처리를 적어도 포함한다. 또한, 특정 처리는, 후술하는 반품약을 포함하는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도 16 참조),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도 12 참조)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도 13 참조)를 카세트 선반(110)로부터 취출하고, 반품약의 종류 및 유효 기한을 특정할 때까지의 처리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특정 처리를 실현하기 위해, 특정 처리부(120)는, 약제 반송부(121)와,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제1 촬영부)와, 바코드 리더(123 및 124)(판독부)와, 기한 판독용 카메라(125)(제2 촬영부)와, 위치 변경부(126)와, 약제 회전부(127)와, 제1 판별 처리부(195)(후술)와, 제2 판별 처리부(196)(후술)를 포함한다.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는, 카세트 선반(110)의 하측에 마련된 카메라이다.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는, 카세트(Ca)로부터 취출하는 주사약을 특정하기 위한 촬영을 행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로서, 2개의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a 및 122b)를 구비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a)는, 처리 위치(132a 및 132b)의 경계선의 중앙 부근의 바로 위에 마련되고, 처리 위치(132a 및 132b)를 포함하는 촬영 영역(122c)을 촬영한다. 또한,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b)는, 처리 위치(132c 및 132d)의 경계선의 중앙 부근의 바로 위에 마련되고, 처리 위치(132c 및 132d)를 포함하는 촬영 영역(122d)을 촬영한다. 따라서, 2개의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a 및 122b)에 의해, 4개의 처리 위치(132a∼132d)에 위치하는 카세트(Ca)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도 7은, 특정 처리부(120) 및 약제 분류부(150)의, 도 3과는 다른 각도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7에 있어서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는 생략되어 있다. 도 8은, 특정 처리부(120) 및 약제 분류부(150)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위치 변경부(126)는, 수평면에 수직인 축의 주위로 회전 가능한 턴테이블이다. 위치 변경부(126)의 상면에는, 특정 처리부(120)가 수납한 약제를 탑재하기 위한 제1 탑재부(126a)(탑재부) 및 제2 탑재부(126b)(탑재부)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탑재부(126a) 및 제2 탑재부(126b)는, 위치 변경부(126)의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오목부이다.
위치 변경부(126)는, 제1 탑재부(126a) 및 제2 탑재부(126b)의 위치를, 약제 반송부(121)로부터 주사약을 수납하는 약제 수납 위치와, 주사약을 불출하기 위해 당해 주사약을 상술한 약제 이동부(153)에 전달하는 약제 전달 위치 사이에서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위치 변경부(126)가 상술한 축의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약제 수납 위치와 약제 전달 위치 사이에서 제1 탑재부(126a) 및 제2 탑재부(126b)의 위치가 변경된다. 도 8에 있어서는, 제1 탑재부(126a)가 약제 수납 위치에, 제2 탑재부(126b)가 약제 전달 위치에, 각각 존재하고 있다.
약제 회전부(127)는, 바코드 리더(123)에 의한 판독, 또는 기한 판독용 카메라(125)에 의한 촬영을 위해, 약제 반송부(121)에 의해 반송된 주사약을 수납하고, 수납한 주사약을 축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약제 회전부(127)는, 제1 탑재부(126a) 및 제2 탑재부(126b)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약제 회전부(127)는, 제1 탑재부(126a) 및 제2 탑재부(126b)의 저부에 마련된 벨트 컨베이어이며, 제1 탑재부(126a) 및 제2 탑재부(126b)에 탑재된 주사약을 축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1 탑재부(126a) 및 제2 탑재부(126b)는, 약제 회전부(127)가 수납한 주사약을 탑재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탑재부(126a) 및 제2 탑재부(126b) 중, 약제 수납 위치에 위치하는 탑재부가, 약제 반송부(121)에 의해 반송된 주사약을 탑재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탑재부(126a) 및 제2 탑재부(126b)의 양쪽이 약제 회전부(127)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탑재부(126a) 및 제2 탑재부(126b)의 위치가 고정이고, 또한 제2 탑재부(126b)가, 제2 탑재부(126b)에 적재된 주사약이 일정 배향이 되는 단면 형상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제1 탑재부(126a)에만 약제 회전부(127)가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단면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대략 V자 형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제1 탑재부(126a)로부터 제2 탑재부(126b)로 주사약을 반송하는 반송 기구를 갖는다. 또한, 후술하는 바코드 리더(124)는 불필요하다.
또한, 주사약 불출 장치(100)가 구비하는 탑재부의 수는 3개 이상이어도 되고, 1개여도 된다. 단, 탑재부의 수가 1개인 경우, 1개의 주사약의 특정이 완료될 때까지 다른 주사약의 탑재를 대기하는 시간이 발생하므로, 주사약의 불출에 요하는 시간이 증대된다. 이 점을 고려하면,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복수의 탑재부를 구비하고, 당해 탑재부의 위치를 약제 수납 위치와 약제 전달 위치 사이에서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제 반송부(121)는, 카세트(Ca)에 수용된 주사약을 불출하기 위해, 주사약을 카세트(Ca)로부터 취출하여 반송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제 반송부(12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착 기구(121a)와, 이동 기구(121b)와, 슬라이더(121c)를 갖는다. 흡착 기구(121a)는, 주사약을 흡착하는 흡착 기구이며, 연직 하방으로 연신 가능하다. 이동 기구(121b)는, 흡착 기구(121a)를 깊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자신이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기구이다. 이동 기구(121b)는, 슬라이더(121c)를 따라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바코드 리더(123)는, 주사약에 부여된, 당해 주사약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제1 식별 정보)를 판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사약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는, 바코드의 형태로 주사약에 부여되어 있다. 바코드 리더(123)는, 약제 수납 위치의 제1 탑재부(126a) 또는 제2 탑재부(126b)에 탑재되어 있는 주사약의 바코드를 판독한다.
바코드 리더(124)는, 바코드 리더(123)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바코드 리더(124)는, 약제 전달 위치의 제1 탑재부(126a) 또는 제2 탑재부(126b)에 탑재되어 있는 주사약에 대해, 자세를 확인하기 위해 바코드를 판독한다. 예를 들어 주사약의 단면이 타원형인 경우, 당해 주사약에는 흡착에 적합한 자세와 적합하지 않은 자세가 존재한다. 그래서 주사약이 흡착에 적합한 자세인 경우에 바코드 리더(124)에 의해 판독할 수 있는 위치에 바코드를 붙이고,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도록 주사약을 약제 회전부(127)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주사약을 흡착에 적합한 자세로 할 수 있다. 바코드의 판독의 가부에 의한 자세의 확인이 필요한 주사약을 나타내는 정보는, 기억부(180)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주사약의 자세를 다른 방법으로 확인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바코드를 상술한 위치에 부여할 필요는 없다.
기한 판독용 카메라(125)는, 주사약에 부여된, 당해 주사약의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제2 식별 정보)를 촬영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사약의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는, 문자로 주사약에 부여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200)에 있어서는, 카세트(Ca)가 카세트 선반(110)으로부터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로 카세트 이송부(140)에 의해 이송된다. 또한, 특정 처리부(120)에 의해, 카세트(Ca)에 수용된 주사약에 대해 특정 처리가 행해진다.
약제 분류부(150)는, 특정 처리부(120)에서의 처리가 종료된 주사약을 분류한다. 약제 분류부(15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이 보유 지지부(151)와, 비불출약 보관부(152)와, 약제 이동부(153)를 구비한다.
트레이 보유 지지부(151)는, 주사약이 불출되는 반송 트레이(151a)를 보유 지지한다. 트레이 보유 지지부(151)는, 주사약 불출 시스템(1)에 있어서 반송 트레이(151a)가 흐르는 경로의 일부로서 마련되어 있다.
비불출약 보관부(152)는, 불출 불가라고 판별된 주사약을 보관한다. 비불출약 보관부(152)는 주사약을 복수의 종류에 분류하여 보관한다. 구체적으로는, 비불출약 보관부(152)는, 예를 들어 종류가 적절하지 않았던 것과, 유효 기한이 적절하지 않았던 것의 각각에 대해, 대형의 것과 중형 또는 소형의 것으로 분류한다.
약제 이동부(153)는, 주사약의 종류 및 유효 기한에 대한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트레이 보유 지지부(151)에 보유 지지된 반송 트레이(151a), 또는 비불출약 보관부(152) 중 어느 것으로 주사약을 이동시킨다. 또한, 반송 트레이(151a)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영역마다 상이한 처방 데이터(예를 들어 1환자에 대한 시용분 등)의 주사약이 불출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특정 처리는, 종류 및 유효 기한이 특정된 주사약을, 반송 트레이(151a) 또는 비불출약 보관부(152)로 분류할 때까지의 처리를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특정 처리부(120)는 약제 분류부(150)를 포함한다.
도 9는, 약제 이동부(153)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약제 이동부(153)는, 흡착 기구(153a)와, 이동 기구(153b)와, 슬라이더(153c)를 갖는다. 흡착 기구(153a)는, 주사약을 흡착하는 흡착 기구이며, 연직 하방으로 연신 가능하다. 이동 기구(153b)는, 흡착 기구(153a)를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자신이 깊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기구이다. 이동 기구(153b)는, 슬라이더(153c)를 따라 깊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약제 이동부(153)는, 종류 및 유효 기한의 양쪽에 대해 적절하다고 판별된 주사약에 대해서는, 반송 트레이(151a)에 불출한다. 한편, 약제 이동부(153)는, 종류 및 유효 기한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해 부적절하다고 판별된 주사약에 대해서는, 비불출약 보관부(152)로 이동시킨다.
카세트 이송부(140)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에 보유 지지되는 카세트(Ca)를 교체하기 위해, 카세트 선반(110)과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 사이에서 카세트(Ca)를 이송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세트 이송부(140)는, 카세트(Ca)를 카세트 선반(110)으로부터 인출하고, 연직 방향으로 이송하여 카세트 수납 위치(131)에 있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에 적재한다. 특히, 카세트 이송부(140)는, 수신한 처방 데이터 중,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2종 이상의 주사약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당해 처방 데이터, 및 후술하는 대응 관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당해 주사약이 수용된 카세트(Ca)를 각각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로 이송한다.
또한,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는, 주사약 레시피(조합)가 복수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주사약을 레시피마다 불출하고, 복수 회의 불출로 불출된 복수의 상기 레시피 주사약을 모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카세트 이송부(140)는, 1개의 레시피에 2종 이상의 주사약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당해 주사약이 수용된 카세트(Ca)를 각각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로 이송하는 것이어도 된다.
도 10의 (a)는, 카세트 이송부(140)의, 도 3과는 다른 각도에서의 사시도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0에는 카세트 선반(110)도 아울러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b)는, 도 10의 (a)에 도시한 카세트 이송부(140)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0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 이송부(140)는, 클로부(141)와, 클로부 이동 기구(142)와, 빔부(143)과, 지주부(144)를 구비한다.
클로부(141)는, 연직 상방으로 돌출되는 클로 형상의 부재이다. 카세트(Ca)는,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에지에, 연직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다. 당해 결합부에 클로부(141)를 결합시킴으로써, 카세트 이송부(140)는 카세트 선반(110)으로부터 카세트(Ca)를 인출할 수 있다.
클로부 이동 기구(142)는, 클로부(141)를 깊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기구이다. 카세트(Ca)는, 카세트 선반(110)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 있어서, 클로부 이동 기구(142)의 하측에 위치한다. 빔부(143)는,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상부에 배치된, 폭 방향에 평행인 빔이다. 클로부 이동 기구(142)는, 빔부(143)를 따라, 폭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지주부(144)는,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전방면 근방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지주이다. 빔부(143)는, 양단이 지주부(144)에 지지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들의, (i) 깊이 방향으로의 클로부(141)의 이동, (ii) 폭 방향으로의 클로부 이동 기구(142)의 이동, 및 (iii) 연직 방향으로의 빔부(143)의 이동을 조합함으로써, 클로부(141)에 걸린 상태의 카세트(Ca)를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카세트 이송부(140)는, 클로부 이동 기구(142)의 하면에, 충격 흡수판(145)을 구비하고 있다. 충격 흡수판(145)은, 카세트(Ca)가 카세트 선반(110)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 있어서, 카세트(Ca)의 상측을 덮는다. 충격 흡수판(145)은, 충격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카세트(Ca)에 대해 가해진 충격에 의해 주사약이 튀어오른 경우, 당해 주사약은 충격 흡수판(145)에 충돌한다. 충격 흡수판(145)은, 주사약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상하 이동함으로써 완화시킨다. 이에 의해, 카세트(Ca)에 대해 가해진 충격에 의해 주사약이 파손될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카세트 이송부(140)는, 카세트 선반(110)으로부터 카세트(Ca)를 취출하는 경우, 카세트(Ca)의 전방측을 돌기(113)의 높이보다 띄운 상태에서 인출한다. 이 때문에, 카세트 이송부(140)는, 카세트(Ca)를 돌기(113)에 걸리게 하는 일 없이 카세트 선반(110)으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이송 제어부(191)와, 구동 제어부(192)와, 반송 제어부(193)와, 흡착 위치 결정부(194)와, 제1 판별 처리부(195)와, 제2 판별 처리부(196)와, 약제 위치 제어부(197)를 구비한다.
이송 제어부(191)는, 카세트 이송부(140)가 카세트(Ca)를 카세트 선반(110)으로부터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로 이송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구동 제어부(192)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의, 카세트(Ca)를 처리 위치와 카세트 수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동작을 제어한다. 반송 제어부(193)는, 약제 반송부(121) 및 약제 이동부(153)의 동작을 제어한다.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가 촬영한 화상을 해석하여, 카세트(Ca)로부터 주사약을 취출하기 위해 약제 반송부(121)가 주사약을 흡착하는 흡착 위치를 결정한다.
제1 판별 처리부(195)는, 바코드 리더(123)에 의해 판독된 주사약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주사약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주사약의 고유 정보)와 대조한 결과에 기초하여, 주사약의 불출의 가부를 판별한다. 제2 판별 처리부(196)는, 기한 판독용 카메라(125)에 의해 촬영된 주사약의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주사약의 불출의 가부를 판별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판별 처리부(196)는, 예를 들어 상기 유효 기한과 판별 처리를 행하는 일시를 대조한 결과에 기초하여, 주사약의 불출의 가부를 판별해도 된다. 또는, 제2 판별 처리부(196)는, 예를 들어 상기 유효 기한과 주사약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일시를 대조한 결과에 기초하여, 주사약의 불출의 가부를 판별해도 된다. 이 경우, 주사약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일시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제1 판별 처리부(195) 및 제2 판별 처리부(196)에 의한 처리는, 상술한 특정 처리의 일부이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처리부(120)는, 제1 판별 처리부(195) 및 제2 판별 처리부(196)를 포함한다.
약제 위치 제어부(197)는, 위치 변경부(126) 및 약제 회전부(127)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약제 위치 제어부(197)는, 위치 변경부(126)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탑재부(126a) 및 제2 탑재부(126b)의 위치를 제어한다. 또한, 약제 위치 제어부(197)는, 약제 회전부(127)를 동작시켜, 제1 탑재부(126a) 또는 제2 탑재부(126b) 내의 주사약을 회전시킨다.
또한, 제어부(190)는,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복수 종류의 주사약이 나타나 있는 경우에, 주사약의 불출 순서를 결정하는 불출 순서 결정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한다. 불출 순서 결정부는, 예를 들어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나타나 있는 순서를 주사약의 불출 순서로서 결정해도 된다. 또한, 불출 순서 결정부는, 예를 들어 주사약의 명칭에 기초하여 주사약의 불출 순서를 결정해도 된다. 주사약의 불출 순서, 및 후술하는 대응 관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세트 이송부(140)에 의해 이송되는 카세트(Ca)의 순서, 및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에 보유 지지된 카세트(Ca)가 카세트 수납 위치(131)로부터 처리 위치(132)로 이동하는 순서 등이 결정된다.
기억부(180)는,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기억한다. 기억부(180)는, 예를 들어 약제 반송부(121), 카세트 이송부(140), 및 약제 이동부(153) 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또한, 기억부(180)는, m개의 카세트(Ca)의 각각과, 당해 m개의 카세트(Ca)의 각각에 수용되어 있는 주사약과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대응 관계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또한, 기억부(180)는, 상술한, 바코드의 판독의 가부에 의한 자세의 확인이 필요한 주사약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또한, 기억부(180)에는, 각 주사약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약품 마스터가 기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약품 마스터에는, 각 주사약을 식별하기 위한 주사약 식별 정보(주사약 코드, 주사약 ID)에, 다양한 정보(예: 주사약의 폭을 나타내는 주사약 폭 정보)가 관련지어진 상태로 등록되어 있다.
또한, 약품 마스터, 및 상술한 다른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주사약 불출 장치(100)와 접속 가능한 서버(도시하지 않음)에 기억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반품약에 대해)
또한, 병원 업무에 있어서는, 일단 불출된 주사약이, 환자의 용태의 변화 등에 의해, 환자에게 투여되지 않고 반품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반품된 주사약(반품약)에 대해, 종류마다 카세트(Ca)로 복귀시키기에는 수고를 요한다. 그래서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반품약의 종류 및 유효 기한을 특정한 후 보관하고, 당해 반품약을 재이용하는 기능을 갖는다. 당해 기능을 실현하는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카세트 선반(110)은, 도 11∼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와, 방향 정렬 카세트(162)와,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와,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를 구비한다. 이들 카세트는, 예를 들어 카세트 선반(11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우측단의 열에 보유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는, 반품약을 처음에 수납하는 카세트이다. 유저는, 반품약을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에 투입하는 경우에, 반품약의 종류 또는 방향 등을 신경쓰지 않고 투입할 수 있다.
방향 정렬 카세트(162)는, 반품약의 배향을 일정 방향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카세트이다. 방향 정렬 카세트(162)는, 단면이 대략 V자 형상인 저면을 갖는다. 이 때문에,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에 투입된 반품약의 방향은, 저면의 형상을 따르는 일정 방향으로 정렬된다.
도 11은,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전방면에 평행인 면에 있어서의 방향 정렬 카세트(162)의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향 정렬 카세트(162)의 저면의 단면은, 단순한 V자 형상이 아니라, 위로 볼록한 곡선과, 아래로 볼록한 곡선이 조합된 형상을 갖는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품약에 대한 동작에는, 방향 정렬 카세트(162)의 내부를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가 촬영하는 스텝이 포함된다. 이때, 방향 정렬 카세트(162)의 저면의 단면이 완전한 V자 형상이면, 저면에서 반사된 광에 의해 촬영을 적절하게 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의 방향으로의 반사를 억제할 목적으로, 방향 정렬 카세트(162)의 저면의 단면을, 곡선을 조합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및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는, 모두 종류를 판별한 후의 주사약을 수용하는 카세트이다. 대형의 반품약은, 예를 들어 직경이 26㎜ 이상인 반품약이면 된다. 또한, 중형 이하의 반품약은, 예를 들어 직경이 26㎜ 미만인 반품약이면 된다. 또한, 중형과 소형의 경계가 되는 사이즈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설정되어도 되고, 또한 대형과 중형 이하의 경계가 되는 사이즈에 대해서도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는,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이고, (b)는 (a)의 A-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평면도이고, (b)는 (a)의 B-B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고, (c)는 (a)의 C-C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2의 (b), 도 13의 (b) 및 (c)에 있어서, 지면은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깊이 방향 및 연직 방향의 양쪽에 평행인 면이다.
도 12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의 저면에는, 복수의 오목부(163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3의 (a)∼(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의 저면에는, 오목부(163a)보다 얕은 오목부(164a)가, 오목부(163a)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164a)보다 짧고, 또한 얕은 오목부(164b)가, 오목부(164a)의 사이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대형의 반품약은,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내의, 어느 오목부(163a)의 위치에 수용된다. 중형의 반품약은,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 내의, 어느 오목부(164a)의 위치에 수용된다. 소형의 반품약은,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 내의, 오목부(164b)의 위치에 수용된다. 또한, 소형의 반품약은, 오목부(164a)의 위치에 수용되어도 된다.
또한, 방향 정렬 카세트(162),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및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는, 예를 들어 카세트(Ca)의 저부에, 상술한 형상의 저판을 배치함으로써 구성되어도 된다. 또는, 방향 정렬 카세트(162),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및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는, 각각 상술한 형상의 저부를 갖는 전용의 카세트여도 된다.
〔주사약 불출 시의 동작 예〕
도 14는, 주사약 불출 장치(100)가 주사약을 불출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주사약을 불출하는 경우의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주사약 불출 시스템(1)에 처방 데이터가 입력되고, 당해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는 주사약의 불출이 개시되면, 먼저, 이송 제어부(191)는, 카세트 이송부(140)에 의해, 불출하는 주사약의 종류에 대응하는 카세트(Ca)를, 카세트 선반(110)으로부터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의 카세트 수납 위치(131)로 이송한다(SA1). 구동 제어부(192)는, 카세트 수납 위치(131)의 카세트(Ca)를 처리 위치(132)로 이동시킨다(SA2).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에 의해 처리 위치의 카세트(Ca)의 내부의 화상을 촬영하고, 당해 화상으로부터 주사약의 위치 및 배향을 해석하여, 흡착 위치를 결정한다(SA3). 반송 제어부(193)는, 스텝 SA3에서 결정된 흡착 위치를 약제 반송부(121)에 의해 흡착하고, 주사약을 카세트(Ca)로부터 제1 탑재부(126a)로 반송한다(SA4).
제1 탑재부(126a)에 탑재된 주사약에 대해, 제1 판별 처리부(195) 및 제2 판별 처리부(196)가 종류 및 유효 기한을 특정한다(SA5). 구체적으로는, 제1 판별 처리부(195)가 바코드 리더(123)에 의해 종류를 판독하고, 제2 판별 처리부(196)가 유효 기한을 해석한다.
제1 판별 처리부(195)는, 주사약의 종류가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한다(SA6). 주사약의 종류가 적절한 경우(SA6에서 "예"), 제2 판별 처리부(196)는, 주사약의 유효 기한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별한다(SA7). 주사약의 유효 기한이 적절한 경우(SA7에서 "예"), 반송 제어부(193)는, 약제 이동부(153)에 의해, 당해 주사약을 반송 트레이(151a)에 불출한다(SA8). 한편, 주사약의 종류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SA6에서 "아니오"), 또는 주사약의 유효 기한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SA7에서 "아니오")에는, 반송 제어부(193)는, 약제 이동부(153)에 의해, 당해 주사약을 비불출약 보관부(152)로 이동시켜, 보관한다(SA9).
이상의 처리에 의해, 1개의 주사약이 반송 트레이(151a)에 불출되거나, 또는 비불출약 보관부(152)에 보관된다.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필요한 주사약이 모두 반송 트레이(151a)에 불출될 때까지, 상기한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스텝 SA6 및 SA7의 처리는 이 순서로 실행되었지만, 이들 스텝은 역순으로 실행되어도 되고, 병행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주사약이 취출된 후의 카세트(Ca)는, 스텝 SA3 이후의 처리가 실행되고 있는 동안의 임의의 타이밍에, 카세트 이송부(140)에 의해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로부터 카세트 선반(110)으로 복귀되어도 된다. 단, 상술한 스텝 SA6 또는 SA7에 있어서, 카세트(Ca)로부터 취출한 주사약의 종류 또는 유효 기한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 당해 카세트(Ca)로부터 다시 주사약을 취출할 필요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주사약을 취출한 후의 카세트(Ca)는, 스텝 SA7에서 "예"라고 판별된 후에 카세트 선반(110)으로 복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텝 SA6에 있어서, 복수 회 연속하여 "아니오"라고 판별되고, 또한 당해 복수 회의 주사약의 종류가 동일한 경우, 기억부(180)에 기억되어 있는 대응지음과는 상이한 주사약이 카세트(Ca)에 수용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제어부(190)는, 이러한 경우에 주사약 불출 시스템(1)의 관리자에 대해 상기 가능성을 통지하는 통지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상기한 처리를 카세트(Ca)마다 독립적으로 행할 필요는 없고, 병행하여 행해도 된다. 즉, 예를 들어 이송 제어부(191)는, 1개의 카세트(Ca)에 대해 스텝 SA1을 실행한 후, 구동 제어부(192)가 스텝 SA2를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카세트(Ca)에 대해 스텝 SA1을 실행해도 된다. 또한, 상기 다른 카세트(Ca)에 대해 반송 제어부(193)가 스텝 SA4를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 이미 스텝 SA4가 종료된 카세트(Ca)를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가 카세트 수납 위치(131)로 이동시키고, 카세트 이송부(140)가 카세트 선반(110)으로 복귀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카세트 선반(110)에 보관된 다수의 카세트(Ca) 중 일부에 대해, 병행하여 특정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특정 처리를 고속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행하여 특정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한 처리의 고속화는, 더 다수의 카세트(Ca)가 카세트 선반(110)에 보관되어 있을수록, 더 큰 효과를 발휘한다.
〔주사약 반품 시의 동작 예〕
도 15는, 반품약에 대한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에 보유 지지되는 카세트의 배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주사약이 반품되었을 때의 동작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이송 제어부(191)는, 카세트 이송부(140)에 의해,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 방향 정렬 카세트(162),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및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를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로 이송한다(SB1). 이들 카세트는,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치되어도 된다. 즉, 가장 위치 변경부(126)에 가까운 위치에 방향 정렬 카세트(162)가 배치되고,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및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의 순으로 위치 변경부(126)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단, 이 나열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구동 제어부(192)는,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 및 방향 정렬 카세트(162)를 처리 위치(132)로 이동시킨다(SB2).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에 의해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의 내부 화상을 촬영하고, 당해 화상으로부터 반품약의 위치(및 배향)를 해석하여, 약제 반송부(121)에 의한 흡착 위치를 결정한다(SB3). 반송 제어부(193)는, 흡착 위치 결정부(194)가 결정한 흡착 위치에서, 약제 반송부(121)에 의해 반품약을 흡착하고,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로부터 방향 정렬 카세트(162)로 반송한다(SB4).
방향 정렬 카세트(162)로 반송된 반품약은, 방향 정렬 카세트(162)의 저면의 형상 및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방향을 정렬시킬 수 있다.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에 의해 방향 정렬 카세트(162)의 내부 화상을 촬영하고, 반품약의 위치에 기초하여, 약제 반송부(121)에 의한 흡착 위치를 결정한다(SB5). 반송 제어부(193)는, 흡착 위치 결정부(194)가 결정한 흡착 위치에서, 약제 반송부(121)에 의해 반품약을 흡착하고, 방향 정렬 카세트(162)로부터 제1 탑재부(126a)로 반송한다(SB6).
제1 탑재부(126a)로 반송된 반품약에 대해, 상술한 스텝 SA5와 마찬가지로, 제1 판별 처리부(195) 및 제2 판별 처리부(196)가 종류 및 유효 기한을 특정한다(SB7). 제2 판별 처리부(196)는, 반품약의 유효 기한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별한다(SB8). 유효 기한이 적절한지 여부는, 예를 들어 당해 유효 기한과 스텝 SB8을 실행하고 있는 일시를 대조한 결과에 기초하여 판별된다.
유효 기한이 적절한 경우(SB8에서 "예"), 반송 제어부(193)는, 약제 반송부(121)에 의해, 반품약을 크기에 기초하여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로 반송한다(SB9). 그 후, 제1 판별 처리부(195)가 반품약의 종류를, 반송 제어부(193)가 반품약의 위치를, 각각 기억부(180)에 기억시킨다(SB10). 한편, 유효 기한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SB8에서 "아니오"), 반송 제어부(193)는, 당해 주사약을 비불출약 보관부(152)로 이동시켜, 보관한다(SB11).
이상의 처리에 의해, 1개의 반품약이, 위치와 종류의 대응 관계가 인식된 상태로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에 수용된다.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 내의 반품약이 없어질 때까지 이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처방 데이터가 주사약 불출 시스템(1)에 입력된 경우에 있어서, 당해 처방 데이터에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에 수용되어 있는 주사약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반품약을 재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 제어부(191)는, 당해 주사약이 수용되어 있는 카세트(Ca) 대신에, 당해 반품약이 수용되어 있는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를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로 이송한다. 반송 제어부(193)는, 기억부(180)에 기억되어 있는, 반품약의 종류와 위치의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반품약을 제1 탑재부(126a)로 반송한다. 그 후,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상술한 스텝 SA5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주사약의 취출에 관한 구체적 처리〕
다음으로, 도 17∼도 25를 사용하여, 카세트(Ca)로부터 주사약의 취출에 관한 구체적 처리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에 적재된 카세트(Ca)로부터 주사약을 취출하기 위해,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가 촬영한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카세트(Ca)에 수용된 주사약 중, 흡착 대상으로 하는 주사약을 특정한다. 그리고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특정한 주사약의 대략 중앙부(바이알이면, 원통 형상 부분의 대략 중앙부 부근)를 흡착 위치로서 결정한다. 반송 제어부(193)는, 약제 반송부(121)를 제어하여, 결정된 흡착 위치로 흡착 기구(121a)를 내려, 상기 주사약을 흡착한다.
먼저, 흡착 위치 결정부(194)에 의한 흡착 위치의 결정 처리에 있어서 필요해지는 형상 모델, 형상 모델의 등록 처리 및 초기 설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형상 모델)
먼저, 형상 모델에 대해 설명한다. 형상 모델은, 주사약의 형상 정보에 대해 복수의 조건을 적용함으로써 산출된 복수의 형상 패턴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형상 모델은,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가 촬영한 화상에 포함되는 주사약의 형상을 특정하기 위해, 흡착 위치 결정부(194)에 의해 참조되는 데이터이다.
형상 정보는, 각 주사약의 윤곽을 나타내는 윤곽 정보(에지 정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형상 정보는, 주사약의 윤곽을 나타내는, 인접하는 픽셀에 있어서의 위치 정보가 점열의 집합으로서 표현되어 있고, 서브 픽셀 정도의 정밀도를 갖는다.
복수의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의 (1)∼(5)를 들 수 있다.
(1) 형상 정보가 나타내는 주사약을 회전시키는 범위(예: 0° 이상 360° 미만).
(2) 당해 주사약을 회전시키는 피치.
(3) 당해 주사약을 X축 방향으로 신축시키기 위한 배율의 범위.
(4) 당해 주사약을 Y축 방향으로 신축시키기 위한 배율의 범위.
(5) 당해 주사약의 콘트라스트(주사약에 있어서의 전경 및 후경의 휘도 차).
형상 모델은, 각 주사약의 주사약 식별 정보에 결합하여, 약품 마스터에 등록되어 있다. 단, 약품 마스터가 아닌, 각 주사약 식별 정보와 형상 모델이 결합하여 등록된 약품 형상 마스터에 의해, 형상 모델이 관리되어도 상관없다. 또한, 형상 모델은 미리 작성되어, 약품 마스터에 등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형상 모델을 수시로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약품 마스터에는 최신의 형상 모델이 등록되어 있게 된다.
(형상 모델의 등록 처리)
다음으로, 도 17을 사용하여, 형상 모델의 등록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형상 모델의 등록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a)는 당해 등록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b)는 형상 모델이 나타내는 주사약의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유저는, 등록 대상으로 하는 주사약을 카세트(Ca)에 적재하여, 카세트 선반(110)에 적재한다. 카세트 이송부(140)는, 당해 카세트(Ca)를 카세트 선반(110)으로부터 취출하여, 카세트 수납 위치(131)에 있는 임의의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에 적재한다. 또한,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로의 카세트(Ca)의 적재까지 유저가 행해도 된다.
그 후, 도 1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제어부(193)가, 카세트(Ca)를 적재한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를 처리 위치(132)로 이송한 후,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는, 카세트(Ca)(즉, 카세트(Ca) 내의 주사약)를 촬영한다(SC1).
다음으로,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가 취득한 화상 내에 있어서, 주사약이라고 상정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주사약 영역을 검출한다(SC2).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예를 들어 화상에 대해 2치화 처리를 행하고, 소정 범위의 계조값을 갖는 화소를 포함하는 영역을 주사약 영역으로서 검출한다. 카세트(Ca)는 특정 색(예: 청색)이므로,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특정 색과 상이한 색을 갖는 영역을 검출하기만 하면 된다. 그 때문에,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간이하게 주사약 영역을 특정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특정 색의 카세트(Ca)를 사용함으로써 주사약 영역의 간이한 특정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주사약 영역의 윤곽에 대해 평활화 처리를 행한 후(SC3), 주사약의 배향(각도)을 검출한다(SC4).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검출한 주사약의 배향에 기초하여, 등록할 주사약의 배향을 일정 방향(각도 0°)으로 정렬시킨다(SC5: 정규화 처리). 또한, 이 배향은, 예를 들어 도 19에 나타내는 화상 Im1에 있어서 Y축 방향(좌표 ImgCol이 설정되는 방향)을 기준선으로 하였을 때의, 당해 기준선과, 주사약의 헤드부의 중심과 저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으로서 규정된다.
다음으로,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평활화 처리 및 정규화 처리 후의 주사약 영역의 형상을, 주사약의 형상을 나타내는 형상 정보로서 특정한 후, 당해 형상 정보에 대해 상기 (1)∼(5)의 조건을 적용함으로써 복수의 형상 패턴을 산출한다. 형상 모델이 나타내는 주사약의 형상 및 배향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면, 도 17의 (b)와 같이 된다. 그리고 이 복수의 형상 패턴을 상기 주사약의 형상 모델로서, 약품 마스터에 등록한다(SC6).
이에 의해,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흡착 위치의 결정 처리 시에,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에 의해 촬영된 화상으로부터 검출된 주사약 영역을, 약품 마스터에 등록된 형상 모델과 대조함으로써, 흡착 대상으로 하는 주사약의 형상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초기 설정)
다음으로, 도 18∼도 20을 사용하여, 초기 설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초기 설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각 좌표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의 (a)∼(c)는, 좌표 변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적어도 그 출하 당초에 초기 설정을 행한다. 초기 설정에는, 파라미터 설정 처리 및 좌표 변환 처리가 포함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파라미터 설정 처리가 행해진다. 파라미터 설정 처리는, 내부 파라미터 및 외부 파라미터를 설정(산출)하는 처리이다.
내부 파라미터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의 렌즈의 특성을 나타내는, 렌즈 고유(카메라 고유)의 파라미터이며, 카메라의 제조원에 의해 그 값이 공표되어 있다. 내부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렌즈의 왜곡의 종류(예: 술통형 왜곡 또는 실패형 왜곡), 및 왜곡 정도를 규정한다.
외부 파라미터는,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 설치된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의 자세(렌즈의 자세)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즉, 외부 파라미터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가 카세트 선반(110)에 설치되고, 또한 고정됨으로써 결정하는 값이다. 외부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세계 좌표계에 있어서의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의 위치(예: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의 x 좌표, y 좌표, z 좌표, x축에 대한 회전 각도, 및 y축에 대한 회전 각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약제 반송부(121)는, 파라미터 설정 플레이트가 고정된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를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의 화각 내에 존재하는 처리 위치(132)에 적재한다(SD1). 그 후,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는, 파라미터 설정 플레이트를 촬영함으로써, 파라미터 설정 화상을 취득한다(SD2).
파라미터 설정 플레이트는, 내부 및 외부 파라미터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레이트이며, 예를 들어 다수의 작은 흑색점(도트 패턴)이 인쇄되어 있다. 또한, SD1의 처리는 유저가 행해도 상관없다.
다음으로,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소정 횟수 촬영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D3). 소정 횟수 촬영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SD3에서 "아니오"), SD1의 처리로 복귀한다. 즉, 소정 횟수 촬영하지 않은 경우, 약제 반송부(121)는, 촬영된 파라미터 설정 플레이트에 인쇄된 도트 패턴과는 상이한 도트 패턴이 인쇄된 파라미터 설정 플레이트를, 처리 위치(132)에 적재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로 도트 패턴이 상이한 파라미터 설정 플레이트가 6∼10매 준비되어 있다. 내부 및 외부 파라미터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면, 준비되는 파라미터 설정 플레이트는, 5매 이하여도, 11매 이상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소정 횟수는, 준비된 파라미터 설정 플레이트의 수로 설정된다.
소정 횟수 촬영된 경우에는(SD3에서 "예"),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복수의 파라미터 설정 플레이트의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내부 및 외부 파라미터를 산출한다(SD4).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파라미터는 카메라의 제조원에 의해 공표되어 있는 일정한 값이지만, 렌즈의 개체 차에 의해, 동종의 렌즈라도 공표되어 있는 값으로부터 오차가 발생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내부 파라미터를 산출함으로써,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에 사용되고 있는 렌즈의 실제의 내부 파라미터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좌표 변환 처리가 행해진다. 좌표 변환 처리는, 화상에 있어서의 흡착 위치와, 카세트(Ca)에 있어서의 실제의 흡착 위치를 정합시키기 위한 좌표 변환을 행하기 위한 변환 행렬(Vector)을 산출하는 처리이다. 변환 행렬은, 화상 좌표계와 로봇 좌표계의 위치 관계를 특정하기 위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실제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촬상되는 화상에는 왜곡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봇 좌표계와, 화상 좌표계를 변환한, 왜곡이 없는 세계 좌표계의 위치 관계를 특정하기 위한 변환 행렬을 산출한다.
화상 좌표계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가 촬영한 화상에 설정되는 좌표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Im1의 1개의 코너부(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안쪽(처리 위치(132)측))을 원점(Img(0, 0))으로 하고,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안쪽으로부터 앞쪽(카세트 수납 위치(131)측)을 향해 X축이 규정되고, 좌표(ImgRow, ImgCol)가 규정된다.
로봇 좌표계는, 처리 위치(132)에 있어서의 흡착 기구(121a)의 위치를 규정하는 좌표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앞쪽을 원점(Robo(0, 0))으로 하고,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앞쪽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Y축이 규정되고, 좌표(RoboX, RoboY)가 규정된다.
세계 좌표계는,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 있어서의 절대적인 좌표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 있어서의 임의의 위치를 원점(World(0, 0))으로 하고,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안쪽으로부터 앞쪽을 향해 X축이 규정되고, 좌표(WorldX, WorldY)가 규정된다. 또한, 원점(World(0, 0))으로부터 보아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의 렌즈가 위치하는 방향이 Z축으로서 규정되고, 좌표(WorldZ)가 규정된다. 원점(World(0, 0))(기준 위치)은, 예를 들어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 및 130b)(또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c 및 130d))의 중심이다.
SD4의 처리 후, 도 2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 반송부(121)는, 로봇 원점 지그(501)가 고정된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 및 130b)(또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c 및 130d))를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a)(또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b))의 화각 내에 존재하는 처리 위치(132a 및 132b)(또는 처리 위치(132c 및 132d))에 적재한다(SD5). 2개의 로봇 원점 지그(501)는, 도 20의 (b)에 도시하는 좌표 변환 플레이트(502)를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 및 130b)에 적재하였을 때, 좌표 변환 플레이트(502)에 형성된 지그 구멍(502a)에 삽입되는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2개의 로봇 원점 지그(501)는, 흡착 기구(121a)의 압하 또는 흡착에 의해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고정된다. 또한, SD5의 처리는 유저가 행해도 상관없다.
이 상태에 있어서, 반송 제어부(193)는, 흡착 기구(121a)를 각 로봇 원점 지그(501)에 내려, 그 선단부를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로봇 좌표계에 있어서의, 2개의 로봇 원점 지그(501)의 위치를 특정한다.
좌표 변환 플레이트(502)에는, 도 2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봇 원점 지그(501)가 삽입되는 2개의 지그 구멍(502a)이 형성되어 있고, 9개의 타깃(흑색점)(503)이 인쇄되어 있다. 좌표 변환 플레이트(502)에 있어서의, 지그 구멍(502a)의 위치와 타깃(503)의 위치는, 미리 기억부(180)에 기억되어 있다. 즉, 이들 2개의 위치 관계는 미리 특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로봇 좌표계에 있어서의 로봇 원점 지그(501)의 위치를 특정함으로써, 좌표 변환 플레이트(502)를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 및 130b)에 적재하였을 때의, 로봇 좌표계에 있어서의 타깃(503)의 위치(RoboX, RoboY)도 특정할 수 있다.
SD5의 처리 후, 도 20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는, 좌표 변환 플레이트(502)에 형성된 지그 구멍(502a)에 로봇 원점 지그(501)가 삽입되도록, 좌표 변환 플레이트(502)를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 및 130b)를 적재한다(SD6). 적재후,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는, 좌표 변환 플레이트(502)를 촬영함으로써, 좌표 변환 화상을 취득한다(SD7).
다음으로,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좌표 변환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화상 좌표계에 있어서의 타깃(503)의 위치(ImgRow, ImgCol)를 검출한다(SD8).
다음으로,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좌표 변환 화상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화상 좌표계에 있어서의 타깃(503)의 위치를, 세계 좌표계에 있어서의 타깃(503)의 위치(WorldX, WorldY)로 변환한다(SD9). 구체적으로는,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SD4에서 산출한 내부 파라미터 및 외부 파라미터와, 타깃(503)의 높이를 나타내는 타깃 높이 정보를 사용하여, 화상 좌표계에 있어서의 타깃(503)의 위치로부터, 세계 좌표계에 있어서의 타깃(503)의 위치를 산출한다. 또한, 타깃 높이 정보는, 미리 기억부(180)에 기억되어 있다.
다음으로,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SD9에서 산출한 세계 좌표계에 있어서의 타깃(503)의 위치 좌표와, SD5에서 특정한 로봇 좌표계에 있어서의 타깃(503)의 위치 좌표를 사용하여, 변환 행렬을 산출한다(SD10).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는 2개 마련되어 있으므로, 각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a 및 122b)에 대해, 내부 파라미터 및 외부 파라미터의 산출, 및 변환 행렬의 산출이 행해진다. 또한, 외부 파라미터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의 설치 위치에 의존한다. 그 때문에,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는 카세트 선반(110)에 강고하게 고정됨과 함께, 설치 위치에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에는, 외부 파라미터는 다시 산출된다.
(흡착 위치의 결정 처리)
다음으로, 카세트(Ca)에 수용된 주사약의 흡착 위치를 결정하는 처리에 대해, 도 21 및 도 2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카세트(Ca)에 수용된 주사약의 흡착 위치를 결정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의 처리는, 도 14에 나타내는 SA3의 처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도 22의 (a) 및 (b)는, 화상에 있어서의 카세트(Ca)의 검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주사약 불출 시스템(1)에 제공된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주사약 식별 정보와, 약품 마스터에 포함되는 주사약 식별 정보를 대조한다. 이에 의해,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처리 위치(132)에 적재되는 카세트(Ca)에 수용된 주사약(촬영 대상이 되는 주사약)의 형상 모델을 판독한다(SE1).
다음으로,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는, 처리 위치(132)로 이송된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즉, 당해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에 적재된 카세트(Ca) 및 당해 카세트(Ca)에 수용된 주사약)를 촬영한다(SE2). 예를 들어, 촬영 대상이 되는 주사약이 수용된 카세트(Ca)가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b)에 적재되어 있는 경우,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a)에 의해, 도 2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화상 Im2가 촬영된다.
다음으로,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촬영된 화상으로부터, 당해 화상에 포함되는 카세트(Ca)를 검출한다(SE3). 카세트(Ca)는, 처리 위치(132)에 하우징의 색과는 상이한 특정 색을 갖는다. 그 때문에,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특정 색을 검출함으로써, 간이하게 카세트(Ca)를 검출할 수 있다. 특히, 특정 색이 청색인 경우, 카세트(Ca)를 검출하기 쉽다.
또한, 촬영 영역(122c 또는 122d)에 2개의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가 적재되어 있는 경우라도,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결정되어 있는 불출 순서에 기초하여, 촬영 대상이 되는 주사약을 특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촬영 영역(122c 또는 122d)에 적재된 2개의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 중, 촬영 대상이 되는 주사약을 포함하는 카세트(Ca)를 특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2의 (b)는, 카세트(Ca)를 상측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의 도면이다. 약제 반송부(121)는, 카세트(Ca) 내부의 단부 영역(측벽의 내측으로부터 폭 W2를 갖는 영역)에 존재하는 주사약을 흡착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카세트(Ca)의 측벽 부분(두께 W1)에 대해서도, 주사약을 흡착하는 영역으로서 특정할 수는 없다. 그 때문에,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화상에 있어서 카세트(Ca)로서 검출한 영역으로부터, 상기 측벽 부분 및 상기 단부 영역(카세트(Ca)의 외연으로부터의 두께 W1 및 폭 W2를 갖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주사약의 흡착 가능 영역 Ra로서 특정한다.
또한, 흡착 가능 영역 Ra 이외의 영역에 주사약이 존재하는 경우,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당해 주사약을 흡착 대상의 주사약으로서 결정하지 않는다. 즉, 흡착 가능 영역 Ra 내에 존재하는 주사약만을 흡착 대상의 주사약으로서 특정한다. 주사약이 흡착 가능 영역 Ra 이외의 영역에서밖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주사약을 흡착할 수 없는 취지의 통지(경고)를 행해도 상관없다. 또한, 카세트(Ca)가 복수 종류 준비되어 있는(예: 서로 높이가 다른 카세트(Ca)가 준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카세트(Ca)의 종류마다 흡착 가능 영역 Ra가 특정된다.
SE3의 처리 후,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화상 내에 있어서 주사약 영역을 강조하기 위한 전처리를 행한다(SE4). 예를 들어,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라벨이라고 상정되는 영역을 예를 들어 특정 색으로 변환함으로써, 화상에 있어서의 라벨을 소거하거나, 주사약의 외연을 규정하는 윤곽이라고 상정되는 영역(예: 인접하는 픽셀에 있어서 소정의 휘도차 또는 색차가 있는 영역)을 강조하는 처리를 행하거나 한다. 그 후,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화상으로부터, 당해 화상에 포함되는 주사약 영역을 검출한다(SE5). 예를 들어,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SE4에서 처리한 화상에 대해 2치화 처리를 행함으로써, 소정 범위의 계조값을 갖는 픽셀을 포함하는 영역(즉, 카세트(Ca)의 특정 색과는 상이한 색을 갖는 영역)을 주사약 영역으로서 특정한다. 그 후,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특정한 주사약 영역과, SE1에서 판독한 형상 모델의 대조를 행한다(SE6).
다음으로,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대조한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한다(SE7). SE6의 처리에서는, 주사약의 윤곽 부분을 특정하는 처리가 되므로, 복수의 주사약이 인접하고 있거나, 겹쳐 있거나 한 경우에는, 복수의 주사약을 1개의 주사약으로서 특정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정확한 흡착 위치를 특정할 수 없다.
예를 들어 2개의 주사약이 존재하는 경우, 2개의 주사약 사이의 영역에는, 배경으로서의 카세트(Ca)가 존재하게 된다. 그 때문에,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특정한 주사약 영역에 있어서, 주사약 영역을 관통하고, 또한 특정 색을 포함하는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주사약이 존재하는 것이라고 인정하고, 대조한 결과가 타당하지 않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대조 결과가 타당하다고 판정될 때까지, SE6의 처리가 행해진다.
SE7에 있어서, 대조한 결과가 타당하다고 판정한 경우, 화상 상의 주사약 영역에 있어서의 흡착 위치(흡착 좌표), 및 주사약 영역의 배향을 산출한다(SE8). 즉, 화상 좌표계에 있어서의 흡착 위치를 산출한다.
SE6에 있어서 대조를 행하였을 때, 화상에 있어서의 주사약의 헤드부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으므로, 주사약 영역의 배향을 특정할 수 있다. 이 배향은, 예를 들어 도 22의 (a)에 도시하는 화상 Im2에 있어서 Y축 방향(좌표 ImgCol이 설정되는 방향, 지면 좌우 방향)을 기준선으로 하였을 때의, 당해 기준선과, 주사약의 헤드부의 중심과 저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으로서 규정된다. 등록된 형상 모델(각도 0°)을 기준으로 하여 산출되어도 상관없다. 또한, 흡착 위치의 산출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의 렌즈의 왜곡, 및 당해 렌즈의 설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해, 산출한 화상 좌표계에 있어서의 흡착 위치를, 세계 좌표계에 있어서의 흡착 위치로 변환한다(SE9). 이 변환은, 도 18에 나타내는 SD9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도 19에 나타내는 SD4에서 산출한 내부 파라미터 및 외부 파라미터와, 주사약의 폭을 나타내는 주사약 폭 정보와 사용함으로써 행해진다.
다음으로,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변환한 세계 좌표계에 있어서의 흡착 위치를, 로봇 좌표계에 있어서의 흡착 위치로 변환한다(SE10). 이에 의해, 실제 공간에 있어서의 주사약에 대한 흡착 위치가 특정된다. 이 변환은, 세계 좌표계에 있어서의 흡착 위치에 대해, 도 18에 나타내는 SD10의 처리에서 산출된 변환 행렬을 적용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주사약이 반품되었을 때의 흡착 위치는, 예를 들어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 가능하다. 그 때문에, 그 구체적인 결정 방법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흡착 위치 결정에 관한 보정 처리)
다음으로, 흡착 위치 결정에 관한 보정 처리에 대해, 도 23∼도 2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3의 (a) 및 (b)는, 렌즈 왜곡에 기인한 위치 어긋남의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주사약의 폭에 기인한 위치 어긋남의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의 (a)∼(c)는, 투영에 관한 위치 어긋남의 보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서는, 구성의 제약상,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가 카세트 선반(110)의 저면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로부터, 처리 위치(132)(구체적으로는, 처리 위치(132)에 존재하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에 적재된 카세트(Ca))까지의 거리는,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천장에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가 마련되는 경우에 비해 짧아진다.
종래의 주사약 불출 장치에서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는 주사약 불출 장치의 천장에 마련되고, 그 바로 아래에 약종의 판별 대상이 되는 주사약이 적재되어 있었다. 즉,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서는, 상기 거리가 종래의 주사약 불출 장치의 경우보다 짧아지므로,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에 사용되는 렌즈의 시야각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서는 상기 거리가 465㎜ 정도인 것에 비해, 종래의 주사약 불출 장치에서는 상기 거리가 1.1∼1.2m 정도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렌즈의 시야각은, 렌즈 직경이 클수록 작아진다. 상기 거리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종래의 주사약 불출 장치에서는, 렌즈 직경이 비교적 큰 렌즈(예: 16㎜)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서 당해 렌즈를 사용한 경우, 상기 거리에 대해 시야각이 지나치게 작아, 처리 위치(132)에 적재된 카세트(Ca) 전체를 촬영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상기 거리를 고려하면,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의 렌즈로서는, 렌즈 직경이 비교적 작은 것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상기 거리가 465㎜ 정도인 경우, 렌즈 직경이 예를 들어 8㎜인 렌즈를 사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각 처리 위치(132a∼132d)의 전체를 촬영하려면, 각 처리 위치(132a∼132d)에 대해 1개씩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즉, 장치 전체적으로 총 4개의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를 요함).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렌즈 직경이 6㎜인 렌즈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처리 위치(132a 및 132b)에 대해 공통되는 1개의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a)를 마련하거나, 또는 처리 위치(132c 및 132d)에 대해 공통되는 1개의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b)를 마련하는(즉, 장치 전체적으로 총 2개의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를 마련하는) 것만으로, 각 처리 위치(132a∼132d)의 전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렌즈 직경이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촬영한 화상에 있어서 왜곡의 정도가 커진다. 이 왜곡은, 카세트(Ca)에 존재하는 주사약의 실제의 위치와, 화상에 있어서의 주사약의 위치 사이에 오차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 때문에, 이 왜곡을 보정하지 않고 주사약의 흡착 위치를 특정한 경우에는, 주사약의 실제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로, 흡착 기구(121a)를 내려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를 2개의 처리 위치(132)에 대해 공통이 되도록 마련하고 있으므로, 처리 위치(132)에 적재된 카세트(Ca)를 경사 방향에서 촬영하게 된다. 주사약은 어느 정도의 폭을 가지므로, 경사 방향에서 주사약의 촬영을 행한 경우에는, 화상에 있어서의 주사약의 위치가, 주사약의 실제의 위치와는 상이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실제의 주사약에 있어서 상정하고 있는 흡착 위치가, 화상에 있어서는, 당해 흡착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가 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이들의 가능성도 고려하지 않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주사약의 실제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로, 흡착 기구(121a)를 내려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가 촬영한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이하에 나타내는 화상 상의 위치 어긋남을 고려하여, 화상에 있어서의 흡착 위치(흡착 좌표)를 보정한다.
(렌즈 왜곡에 기인한 위치 어긋남의 보정)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에는 렌즈 고유의 왜곡이 존재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의 렌즈로서, 볼록 렌즈가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화상에는 술통형 왜곡이 발생한다.
도 23의 (a)는, 렌즈 왜곡이 발생되어 있지 않은 이상적인 화상 Ii를 나타낸다. 이 경우, 화상 Ir에 있어서의 각 타깃(도면 중에 4점의 동그라미 표시)의 위치 관계는, 실제 공간에서의 각 타깃의 위치 관계와 비례 관계가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술통형 왜곡이 발생한다. 이 경우, 도 2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화상 Ir이 촬영된다. 화상 Ir에 있어서는, 화상 Ir의 중심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는 타깃일수록 렌즈 왜곡의 영향을 받는다. 도 23의 (a)에 도시하는 화상 Ii와 비교한 경우, 당해 타깃일수록, 중심 위치측에 치우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때문에, 렌즈 왜곡에 기인한 위치 어긋남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화상에 있어서의 각 위치에 따라서, 당해 위치에 존재하는 상을 중심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보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파라미터는 렌즈 고유의 왜곡 정도를 규정한다. 즉, 내부 파라미터를 참조함으로써, 화상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왜곡 정도를 특정할 수 있으므로, 상을 중심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보정량을 위치마다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화상 Ir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의 렌즈 자세에 의존한다. 그 때문에, 당해 자세를 규정한 외부 파라미터를 참조함으로써, 화상 Ir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즉, 중심 위치를 특정한 후에 상기 보정량을 산출함으로써, 정확한 보정량을 산출할 수 있다.
도 21의 SE9의 처리에 있어서는,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화상 좌표계에 있어서의 흡착 위치를 상기 보정량 만큼 어긋나게 하기 위해, 산출한 내부 파라미터 및 외부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세계 좌표계에 있어서의 흡착 위치를 산출하고 있다.
(주사약의 폭에 기인한 위치 어긋남의 보정)
또한, 주사약의 폭(처리 위치(132)에 적재되었을 때의 주사약 높이)에 따라, 동일 위치에 적재한 주사약이라도, 화상에 있어서는 그 위치가 상이해진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로부터 바로 아래 이외의 위치에, 폭이 상이한 2개의 주사약 DA 및 DB가 적재된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주사약의 폭의 크기에 따라서, 주사약의, 적재면 Fa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에 대응하는, 화상에 있어서의 위치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사약 DA의, 적재면 Fa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 PA에 대응하는, 화상에 있어서의 위치 DAi는, 주사약 DA가 적재된 위치보다 거리 d(A)만큼 이격된 위치가 된다. 또한, 주사약 DB의, 적재면 Fa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 PB에 대응하는, 화상에 있어서의 위치 DBi는, 주사약 DB가 적재된 위치보다 거리 d(B)만큼 이격된 위치가 된다. 즉, 주사약의 폭이 커지면 커질수록,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위치가, 실제로 주사약이 적재되어 있는 위치보다 이격된 위치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때문에, 주사약의 폭에 기인한 위치 어긋남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화상에 있어서의 각 위치에 따라서, 당해 위치에 존재하는 상을 중심 위치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보정을 행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종류의 주사약의 각각에 대해, 주사약 폭 정보가 약품 마스터에 등록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당해 주사약 폭 정보가 나타내는 주사약의 폭, 및 화상에 있어서의 주사약의 위치를 사용하여, 상기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상을 중심 위치로부터 내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보정량을 위치마다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중심 위치에 대해서는, 외부 파라미터를 참조함으로써 특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당해 보정량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도 21의 SE9의 처리에 있어서는,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화상 좌표계에 있어서의 흡착 위치를 상기 보정량 만큼 어긋나게 하기 위해, 산출한 외부 파라미터, 및 등록된 주사약 폭 정보를 사용하여, 세계 좌표계에 있어서의 흡착 위치를 산출하고 있다.
이상으로부터, 세계 좌표계에 있어서의 흡착 위치는, 렌즈 왜곡에 기인한 위치 어긋남의 보정, 및 주사약의 폭에 기인한 위치 어긋남의 보정을 행한 결과로서의 흡착 위치라고 할 수 있다.
(투영에 관한 위치 어긋남의 보정)
또한, 처리 위치(132)의 어느 위치에 주사약이 적재되어 있는지에 따라서도, 주사약의, 적재면 Fa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에 대응하는, 화상에 있어서의 위치가 상이해진다. 도 2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로부터 바로 아래 이외의 위치에, 주사약 DC가 적재된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주사약 DC의, 적재면 Fa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 Pa에 대응하는, 화상에 있어서의 위치 Pr1은, 화상에 있어서의 주사약의 투영 상 DCi1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 Pr2와는 상이한 위치가 된다. 즉, 도 2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사약을 바로 위에서 보았을 때에는, 상기 위치 Pa는 주사약의 중심 위치이지만, 도 25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영 상 DCi1에 있어서는, 상기 위치 Pa는 주사약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가 된다.
주사약의 상기 위치 Pa는, 대향하는 흡착 기구(121a)에 가장 가까운 위치이므로, 당해 위치 Pa가 주사약의 흡착 위치로서 특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투영 상 DCi1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 Pr2를 주사약의 흡착 위치로서 특정해 버리면, 실제의 주사약의 중심 위치(즉, 상기 위치 Pa)로부터 어긋난 위치가 되어 버린다. 특히 그 어긋남이 큰 경우에는, 흡착 기구(121a)는, 주사약을 흡착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이 어긋남을 보정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도 2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영 상 DCi1을, 주사약 DC의 반경만큼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의 방향(연직 방향)으로 이동시킨 투영 상 DCi2로 변환한다. 주사약 DC의 폭은 주사약 폭 정보로서 약품 마스터에 등록되어 있으므로,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주사약 DC의 반경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약품 마스터에, 주사약의 반경을 나타내는 주사약 반경 정보가 등록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주사약 DC의 반경을 사용한, 투영 상 DCi1을 투영 상 DCi2로의 변환에 의해, 투영 상 DCi2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 Pc가 상기 위치 Pa와 대략 동일해진다. 즉, 상기 변환은, 도 25의 (c)에 도시하는 투영 상 DCi1을, 도 25의 (b)에 도시하는 주사약 DC와 대략 동일해지도록 회전시킨 결과로서의 투영 상 DCi2를 생성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 21의 SE8의 처리에 있어서의, 화상 좌표계에 있어서의 흡착 위치의 산출은, 상기 변환을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타)
또한,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에 비교적 고가의 렌즈를 사용한 경우, 렌즈 왜곡 및 주사약의 높이에 기인한 위치 어긋남은 발생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비교적 고가의 렌즈를 사용한 경우에는,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적어도 투영에 관한 위치 어긋남의 보정을 행하면 된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렌즈 왜곡 및 주사약의 높이에 기인한 위치 어긋남의 보정도 행함으로써, 비교적 저렴한 렌즈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렌즈 직경이 6㎜인 렌즈를 사용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처리 위치(132)에 적재된 카세트(Ca)의 전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렌즈 직경을 갖는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거리를 465㎜보다 크게 함으로써, 렌즈 직경이 8㎜인 렌즈의 사용도 가능해진다.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입력된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주사약의 종류 및 유효 기한을 자동적으로 판별하여 불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병원 등에 있어서의 주사약의 불출 업무를 효율화할 수 있다.
특히, 주사약 불출 장치(100)가 구비하는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200)에 있어서, 주사약은, 카세트(Ca)째 이동되거나, 또는 흡착 기구에 흡착되어 이동된다. 이 때문에,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 있어서는, 종래의 랜덤식의 주사약 불출 장치와 비교하여, 주사약이 불출되는 과정에서 당해 주사약이 파손될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 있어서는, 약제 반송부(121)와 약제 이동부(153)가 별개로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i) 카세트(Ca)로부터의 주사약의 취출과, (ii) 반송 트레이(151a)로의 주사약의 불출을 병행하여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 의하면, 주사약의 고속의 불출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다른 표현〕
상기 구성에 대해, 이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는, 약제를 수용하는 m개의 카세트를 보관하는 카세트 선반과, 상기 카세트에 수용된 약제에 대해 특정 처리를 행하기 위한 특정 처리부와, 상기 카세트 중, 상기 특정 처리를 받는 카세트를 n개(m>n≥2)까지 일시적으로 보유 지지 가능한 카세트 보유 지지부와, 상기 카세트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는 상기 카세트를 교체하기 위해, 상기 카세트 선반과 상기 카세트 보유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카세트를 이송하는 카세트 이송부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다수(m개)의 카세트가 보관된 카세트 선반에 있어서 특정 처리를 행하려고 하면, 카세트 선반의 각 카세트 보관 위치로, 약제의 취출 및 반송을 행하는 반송 기구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이 경우에는, 약제 카세트 취출 장치의 기구가 복잡해지는 동시에, 반송 기구를 이동시키기 위한 시간을 요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다수의 카세트 중 일부(n개)를 카세트 보유 지지부에 일시적으로 보유 지지시키고, 그 영역에 있어서 특정 처리를 집중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특정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카세트 보유 지지부는 2개 이상의 카세트를 보유 지지할 수 있으므로, 어느 카세트에 대해 특정 처리가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다른 카세트를 교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어느 카세트에 대한 특정 처리와, 다른 카세트에 대한 특정 처리 사이에 발생하는 대기 시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2]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에서는, 상기 카세트 보유 지지부는, 상기 카세트 이송부로부터 상기 카세트를 수납하는 카세트 수납 위치와, 상기 카세트가 상기 특정 처리를 받기 위한 처리 위치 사이에서 상기 카세트를 왕복 이동시켜도 상관없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특정 처리부의 동작과 카세트 이송부의 동작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3]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에서는, 상기 카세트 선반은, 연직면 내에서 행렬상으로 상기 카세트를 보관하고, 상기 카세트 이송부는, 상기 카세트를, 상기 카세트 선반으로부터 인출하고, 연직 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카세트 수납 위치에 있는 상기 카세트 보유 지지부에 적재하고, 상기 카세트 보유 지지부는, 상기 카세트를 상기 처리 위치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상관없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카세트의 이송 동작에 있어서 불필요한 동작이 발생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카세트의 교체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의 스페이스를 유효 활용할 수 있다.
[4]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불출 장치는, 상기 [1]∼[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이며, 상기 특정 처리부는, 상기 카세트에 수용된 약제를 불출하기 위해 상기 약제를 상기 카세트로부터 취출하여 반송하는 약제 반송부를 포함해도 상관없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에 의해 취출된 카세트 내의 약제를 취출하여, 다른 개소로 반송할 수 있다.
[5]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상기 특정 처리부는, 상기 카세트로부터 취출하는 약제를 특정하기 위한 촬영을 행하는 제1 촬영부를 포함해도 상관없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촬영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카세트로부터 취출하는 약제를 특정할 수 있다.
[6]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상기 특정 처리부는, 상기 약제에 부여된 제1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제1 식별 정보를, 입력된 약제의 고유 정보와 대조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의 불출의 가부를 판별하는 제1 판별 처리부를 포함해도 상관없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약제의 불출의 가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제1 식별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약제의 종류를 판독하기 위한 바코드를 들 수 있다.
[7]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상기 특정 처리부는, 상기 약제에 부여된 제2 식별 정보를 촬영하는 제2 촬영부와, 상기 제2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제2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의 불출의 가부를 판별하는 제2 판별 처리부를 포함해도 상관없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2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약제의 불출의 가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제2 식별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약제의 유효 기한을 들 수 있다.
[8]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상기 특정 처리부는, 상기 판독부에 의한 판독, 또는 상기 제2 촬영부에 의한 촬영을 위해, 상기 약제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약제를 수납하고, 수납한 약제를 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약제 회전부를 포함해도 상관없다.
판독부 또는 제2 촬상부가 제1 식별 정보 또는 제2 식별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약제에 있어서의, 제1 식별 정보 또는 제2 식별 정보가 부여된 위치를, 판독부 또는 제2 촬상부와 대향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약제 회전부에 의해 약제를 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판독부 또는 제2 촬상부에 의해 제1 식별 정보 또는 제2 식별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상기 위치를 판독부 또는 제2 촬상부와 대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9]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수납한 약제를 탑재하는 복수의 탑재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탑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약제 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특정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탑재부의 각각의 위치를, 상기 약제 반송부로부터 약제를 수납하는 약제 수납 위치와, 상기 약제를 불출하기 위해 약제를 전달하는 약제 전달 위치 사이에서 변경하는 위치 변경부를 포함해도 상관없다.
판독부 또는 제2 촬상부에 의해 제1 식별 정보 또는 제2 식별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카세트로부터 취출된 약제는, 탑재부에 반송됨으로써, 탑재부에 수납될 필요가 있다. 한편, 제1 식별 정보 또는 제2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불출 가부의 판별이 행해진 약제는, 탑재부로부터 다른 개소로 반송됨으로써, 다른 개소로 전달된다. 이 약제의 수납 동작 및 전달 동작의 대상이 되는 탑재부가 1개인 경우, 탑재부에 수납된 약제가 다른 개소로 반송된 후에, 다음 약제가 탑재부에 수납된다. 즉, 이 경우, 수납 동작과 전달 동작의 간섭이 발생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각 탑재부의 위치를, 약제 수납 위치와 약제 전달 위치 사이에서 변경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수납 동작과 전달 동작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간섭을 피할 수 있는 결과, 불출 동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10]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상기 m개의 카세트의 각각과, 상기 m개의 카세트의 각각에 수용된 약제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대응 관계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고, 상기 카세트 이송부는, 수신한 처방 데이터 중,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2종 이상의 약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당해 처방 데이터, 및 상기 대응 관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당해 약제가 수용된 카세트를 각각 상기 카세트 보유 지지부로 이송해도 상관없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2종 이상의 약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각 약제가 수용된 카세트를 각각 카세트 보유 지지부로 반송한 후, 각 카세트에 수용된 약제에 대해 특정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상기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는 약제의 불출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대응 관계 데이터는, m개의 카세트(Ca)의 각각과, m개의 카세트(Ca)의 각각에 수용된 약제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m개의 카세트가, 카세트(Ca)와,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및/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로 구성되는 경우, 대응 관계 데이터는, 카세트(Ca)와,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및/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로 구성되는 m개의 카세트의 각각과, 당해 m개의 카세트의 각각에 수용된 약제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면 된다.
≪그 밖의 구성≫
이하에, 주로,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또 다른 구성 및 처리 등에 대해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 또는 구체적으로 기재한 부분도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주사약 불출 시스템〕
도 2를 사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주사약 불출 시스템(1)은, 프린터 장치(13)가, 처방 데이터에 나타나 있는 주사약의 종류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반송 트레이(151a)에 인자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린터 장치(13)는, 수액 용기(수액 백)에 첩부되는 수액 라벨을 발행하는 수액 라벨 발행 장치로서 기능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주사약 불출 시스템(1)은, 주사약 불출 장치(100) 및 수액 라벨 발행 장치(프린터 장치(13))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공급 리프터(11)로부터 반송되는 반송 트레이(151a)에는, 수액 용기가 적재되는 경우도 있다. 수액 용기에는, 포도당액 혹은 생리 식염수 등의 액체, 또는 약제와 액체의 혼합약이 포함된다. 혼합약은, 튜브를 통해 환자의 체내로 주입된다. 액체와 혼합되는 약제는, 주사약 불출 장치(100) 이외의 장치로부터 불출되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단,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카세트(Ca)에 당해 약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사약 불출 장치(100)로부터 불출되는 약제라도 상관없다.
프린터 장치(13)는,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액 용기의 내용물을 특정함으로써, 당해 내용물에 관한 정보를 인자한 수액 라벨을 발행한다. 프린터 장치(13)는, 발행한 수액 라벨을, 당해 수액 라벨에 대응하는 수액 용기가 적재된 반송 트레이(151a)에 적재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송 트레이(151a)에 수액 라벨을 적재하는 수액 라벨 적재 영역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수액 라벨 적재 영역에 수액 라벨을 적재한다. 이 경우, 주사약 불출 장치(100) 및 프린터 장치(13)는 각 반송 트레이(151a)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수액 라벨 적재 영역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또한, 프린터 장치(13)는, 주사약의 종류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반송 트레이(151a)에 인자하는 기능, 및 수액 라벨을 발행하는 기능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갖고 있으면 된다.
〔주사약 불출 장치〕
다음으로, 주로,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카세트 이송 처리〕
<카세트의 특정 예>
먼저, 카세트(Ca)의 특정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은, 카세트(Ca)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분할 부재(SP)(구획판)를 장착 전의 상태, (b)는 분할 부재(SP)를 장착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의 (a) 및 (b)는, 카세트 이송부(140)의 상세도이다.
도 2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Ca)에는, 제1 바코드(BC1) 및 제2 바코드(BC2)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도 27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 이송부(140)에는, 카세트(Ca)에 부여된 제1 바코드(BC1)를 판독하기 위한 바코드 리더(146)가 마련되어 있다.
카세트 선반(110)에 보관되는 복수의 카세트(Ca)의 각각에는, 카세트(Ca)를 식별하기 위한 카세트 고유 정보(카세트 식별자)(예: 카세트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제1 바코드(BC1)는, 카세트(Ca)에 부여된 카세트 고유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1 바코드(BC1)는, 카세트(Ca)의 외측면 중, 카세트 선반(110)에 보관되었을 때, 카세트 이송부(140)와 대향하는 외측면(구체적으로는, 바코드 리더(146)에 의해 판독 가능한 위치)에 부여되어 있다.
또한, 카세트(Ca)의 카세트 고유 정보는, 카세트(Ca)에 수용된 주사약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주사약 식별 정보, 약제 고유 정보)와 연관되어, 기억부(180)에 기억된다. 제어부(190)는, 예를 들어 유저 입력에 따라서, 카세트(Ca)의 카세트 고유 정보와, 카세트(Ca)에 수용된 주사약의 주사약 식별 정보를 연관시킨다.
또한, 카세트(Ca)의 카세트 고유 정보와, 복수의 카세트(Ca)의 각각이 카세트 선반(110)에 보관되는 보관 위치(카세트 보관 위치)를 나타내는 보관 위치 정보가 연관되어, 기억부(180)에 기억되어 있다. 예를 들어, 카세트 이송부(140)는, 카세트 선반(110)을 주사함으로써, 보관 위치에 카세트(Ca)가 보관되어 있으면, 당해 카세트(Ca)의 제1 바코드(BC1)를 바코드 리더(146)로 판독한다. 구체적으로는, 카세트 이송부(140)의, 클로부(141), 클로부 이동 기구(142) 및 충격 흡수판(145)을 포함하는 카세트 취출 기구가 카세트 선반(110)을 주사함으로써, 바코드 리더(146)가 각 보관 위치에 보관된 카세트(Ca)의 제1 바코드(BC1)를 판독한다. 카세트 취출 기구의 위치와 보관 위치는, 미리 연관되어 기억부(180)에 기억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송 제어부(191)는, 제1 바코드(BC1)를 판독하였을 때의 카세트 취출 기구의 위치를 특정함으로써, 카세트(Ca)의 카세트 고유 정보와 보관 위치 정보를 연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억부(180)에는, 카세트(Ca)의 카세트 고유 정보, 당해 카세트(Ca)에 수용되어 있는 주사약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및 당해 카세트(Ca)의 보관 위치 정보가 연관되어 기억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임의의 카세트(Ca)에 임의의 주사약을 수용하고, 또한 당해 카세트(Ca)를 임의의 보관 위치에 보관해도, 각 정보의 연관을 행하면, 제어부(190)는, 기억부(180)를 참조함으로써, 임의의 카세트(Ca)에 수용된 주사약, 및 당해 카세트(Ca)의 보관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즉, 임의의 카세트(Ca)에 임의의 주사약을 자유롭게 수용하고, 또한 당해 카세트(Ca)를 임의의 보관 위치에 자유롭게 보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꾸어 말하면, 카세트(Ca)의, 카세트 선반(110)에 대한 격납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카세트 이송부(140)는, 바코드 리더(146)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바코드 리더(146)는, 카세트 선반(110)과 대향하는 위치(본 예에서는, 카세트 취출 기구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하와 같은 처리가 실현 가능하다.
이송 제어부(191)는, 수신한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억부(180)에 기억되어 있는, 당해 처방 데이터가 나타내는 주사약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에 연관된 카세트 고유 정보 및 보관 위치 정보를 판독한다. 이송 제어부(191)는, 판독한 보관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보관 위치로 카세트 취출 기구를 이동시킨다.
이송 제어부(191)는, 당해 보관 위치로의 카세트 취출 기구의 이동이 완료되면, 바코드 리더(146)로 제1 바코드(BC1)(즉, 카세트 고유 정보)를 판독한다. 이송 제어부(191)는, 판독한 카세트 고유 정보를, 카세트 취출 기구의 이동 전에 기억부(180)로부터 판독한 카세트 고유 정보와 대조한다.
이송 제어부(191)는, 카세트 고유 정보가 일치한 경우, 카세트 고유 정보를 판독한 카세트(Ca)가, 불출 대상의 주사약을 수용하고 있는 카세트(Ca)라고 특정하여, 당해 카세트(Ca)를 카세트 선반(110)으로부터 취출한다. 한편, 이송 제어부(191)는, 카세트 고유 정보가 불일치하면, 카세트 선반(110)으로부터 당해 카세트(Ca)를 취출하지 않고, 예를 들어 카세트 취출 기구를 다른 보관 위치로 이동시키고, 당해 보관 위치에 있는 카세트(Ca)의 카세트 고유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다시 대조를 행한다. 또한, 이송 제어부(191)는,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는 주사약이 수용된 카세트(Ca)를 취출할 수 없는 취지의 통지를 행해도 상관없다.
카세트 선반(110)으로의 카세트(Ca)의 보관의 자유도가 높아진 경우, 예를 들어 유저가 카세트(Ca)를 소정의 보관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보관해 버릴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즉, 자유도가 낮은 경우에 비해, 불출 대상의 주사약을 수용하고 있는 카세트(Ca)와는 상이한 카세트(Ca)를 취출해 버릴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세트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취출 대상의 카세트(Ca)에 수용된 주사약이 불출 대상의 주사약인지 여부(즉, 카세트(Ca)의 취출 가부)에 대해 판정을 행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가능성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즉, 카세트 선반(110)으로의 카세트(Ca)의 보관의 자유도를 보증할 수 있다.
또한, 도 2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Ca)에는, 당해 카세트(Ca)에 주사약을 충전할 때에 사용되는 제2 바코드(BC2)가 부여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제2 바코드(BC2)는, 카세트(Ca)가 주사약의 충전처로서 적절한지 여부를 대조하기 위한 것이다. 유저는, 제2 바코드(BC2)를 전용의 바코드 리더(도시하지 않음)로 판독함으로써 주사약의 충전처로서 적절한지에 대해 확인을 행한다.
또한, 카세트 고유 정보는 제1 바코드(BC1)의 형태로 카세트(Ca)에 부여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카세트(Ca)에 부여된 카세트 고유 정보를, 카세트 이송부(140)가 판독할 수 있는 형태로 부여되어 있으면 된다. 이 경우, 바코드 리더(146)를 대신하는, 카세트 고유 정보의 판독 부재가 카세트 이송부(140)에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도 26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Ca)는, 카세트(Ca)에 착탈 가능한 분할 부재(SP)(구획판)에 의해, 복수의 주사약 수용 영역으로 분할되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분할된 복수의 주사약 수용 영역의 각각에, 서로 다른 종류의 주사약을 수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카세트(Ca)의 사용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분할 부재(SP)에는, 제3 바코드(BC3)가 부여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제3 바코드(BC3)는, 제2 바코드(BC2)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것이다. 분할 부재(SP)에 제3 바코드(BC3)가 부여됨으로써, 복수의 주사약 수용 영역의 각각에 대한, 주사약의 충전 지원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카세트의 보관 위치의 특정 예>
다음으로, 카세트(Ca)의 보관 위치의 특정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8은,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9는, 카세트(Ca)의 보관 위치의 특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구성)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카세트의 보관 위치를 특정하는 처리를 행하는 경우, 보관 위치 판정부(198), 통지 제어부(199) 및 터치 패널(210)을 구비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임의의 카세트(Ca)의 카세트 고유 정보와 당해 카세트(Ca)의 보관 위치를 나타내는 보관 위치 정보가 연관되어, 기억부(180)에 기억되어 있다. 특히 본 예에서는, 카세트 고유 정보와 보관 위치 정보의 연관이 미리 행해져 있는 것으로 한다. 즉, 본 예에서는, 카세트(Ca)의 보관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카세트(Ca)에 제1 바코드(BC1)가 부여되어 있고, 카세트 이송부(140)에는 바코드 리더(146)가 마련되어 있다.
터치 패널(210)은, 각종 유저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부와,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터치 패널(210)은, 각종 유저 입력의 접수, 또는 각종 정보의 표시를 위해, 도 1에 도시하는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 구비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보관 위치 판정부(198)는, 보관 위치 정보와 카세트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카세트(Ca)의 각각이 소정의 보관 위치에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카세트 이송부(140)는, 보관 위치 판정부(198)가 소정의 보관 위치에 보관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카세트(Ca)에 대해서는, 당해 카세트(Ca)가 보관되어 있는 보관 위치로부터, 당해 카세트(Ca)가 원래 위치해야 할 보관 위치로 이송한다.
또한, 통지 제어부(199)는, 보관 위치 판정부(198)가 소정의 보관 위치에 보관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카세트(Ca)에 대해서는, 당해 카세트(Ca)가 원래 위치해야 할 보관 위치에 보관하도록, 터치 패널(210)로서의 통지부에 통지시킨다.
또한 본 예에서는, 원래 위치해야 할 보관 위치로의 카세트의 이송과, 원래 위치해야 할 보관 위치에 카세트를 보관하는 취지의 통지의 양쪽의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어느 한쪽의 기능만을 갖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보관 위치 판정부(198)는, 이송 제어부(191)에 의해, 카세트 선반(110)에 대해 카세트 이송부(140)의 카세트 취출 기구를 주사시킴으로써, 보관 위치의 각각에 있어서, 제1 바코드(BC1)의 판독을 행하게 한다.
보관 위치에 카세트(Ca)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바코드 리더(146)는 제1 바코드(BC1)를 판독한다. 보관 위치 판정부(198)는, 기억부(180)를 참조함으로써, 판독한 제1 바코드(BC1)가 나타내는 카세트 고유 정보에 연관된 보관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보관 위치를 특정한다. 보관 위치 판정부(198)는, 특정한 보관 위치가, 카세트 고유 정보를 판독한 카세트 취출 기구의 위치와 일치하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보관 위치 판정부(198)는, 불일치라고 판정한 경우, 카세트(Ca)가 미리 설정된 보관 위치에 보관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보관 위치 판정부(198)는, 기억부(180)를 참조함으로써, 당해 카세트(Ca)의 카세트 고유 정보에 연관된 보관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보관 위치를 특정한다. 이송 제어부(191)는, 특정한 보관 위치로 당해 카세트(Ca)를 이동시킨다. 한편, 일치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또한, 보관 위치 판정부(198)는, 임의의 보관 위치에서 카세트 고유 정보를 읽어내지 못한 경우, 당해 보관 위치에 카세트(Ca)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보관 위치 판정부(198)는, 기억부(180)를 참조함으로써, 당해 보관 위치에 카세트(Ca)가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당해 보관 위치에 카세트(Ca)가 보관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보관 위치 판정부(198)는, 다른 보관 위치에 당해 카세트(Ca)가 없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카세트 선반(110)에 당해 카세트(Ca)가 없다고 판정된 경우, 통지 제어부(199)는, 터치 패널(210)을 통해, 당해 보관 위치에 원래 보관되어야 할 카세트(Ca)를 보관하도록 통지한다.
또한, 보관 위치 판정부(198)는, 상기 불일치라고 판정한 경우, 이때에 판독한 카세트 고유 정보와 보관 위치 정보를 연관시켜, 잘못된 보관 위치에 있는 카세트(Ca)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기억부(180)에 기억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카세트(Ca)의 교체 동작 시에, 이송 제어부(191)는, 카세트 취출 기구를 모든 보관 위치에 대해 주사시킨 후에, 당해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잘못된 보관 위치에 있는 카세트(Ca)를 특정하고, 또한 취출하여, 정확한 보관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처리는, 임의의 타이밍에 행해지면 된다. 단, 본 처리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카세트(Ca)의 보관 위치에, 적절하게 카세트(Ca)가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함과 함께, 원래의 보관 위치에 카세트(Ca)를 보관시킨다고 하는 것이다. 그 점을 고려하면, 본 처리는, 주사약의 불출 처리를 행하지 않는 시간대(예: 1일 1회, 야간)에 행해지면 된다. 또한, 카세트(Ca)의 보관 위치의 확인을 행하는 취지의 유저 입력을 접수하였을 때, 본 처리가 행해져도 상관없다.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처리)
카세트(Ca)의 보관 위치를 특정하는 처리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본 처리를 행하게 된 경우, 이송 제어부(191)는, 카세트 취출 기구를 카세트 선반(110)에 대해 주사시킨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관 위치 판정부(198)는, 임의의 보관 위치에 있어서의 카세트(Ca)의 카세트 고유 정보를, 바코드 리더(146)가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F1).
보관 위치 판정부(198)는, 바코드 리더(146)가 카세트 고유 정보를 판독한 경우(SF1에서 "예"), 현재의 카세트 취출 기구의 위치가, 판독한 카세트 고유 정보에 연관된 보관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소정의 보관 위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F2).
보관 위치 판정부(198)는, 현재의 카세트 취출 기구의 위치가 소정의 보관 위치라고 판정한 경우(SF2에서 "예"), 당해 카세트(Ca)가 원래 위치해야 할 보관 위치에 있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보관 위치 판정부(198)는, 당해 보관 위치에 존재하는 카세트(Ca)에 대한 이동 처리는 행하지 않는다. 한편, 현재의 카세트 취출 기구의 위치가 소정의 보관 위치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SF2에서 "아니오"), 당해 카세트(Ca)가 원래 위치해야 할 보관 위치에 없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이송 제어부(191)는, 카세트 이송부(140)를 제어함으로써, 당해 카세트(Ca)의 카세트 고유 정보에 연관된 보관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보관 위치로, 당해 카세트(Ca)를 이동시킨다(SF3).
SF1에서 카세트 고유 정보를 읽어내지 못한 경우(SF1에서 "아니오"), 보관 위치 판정부(198)는, 카세트 고유 정보의 판독을 실시한 보관 위치에, 카세트(Ca)가 없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보관 위치 판정부(198)는, 당해 보관 위치에 카세트(Ca)가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보관 위치 판정부(198)는 카세트(Ca)가 보관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카세트 취출 기구를 주사시킴으로써, 당해 보관 위치를 나타내는 보관 위치 정보에 연관된 카세트 고유 정보를 갖는 카세트(Ca)가, 다른 보관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F4). 또한, 카세트 고유 정보의 판독을 실시한 보관 위치에, 원래 카세트(Ca)가 보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당해 보관 위치를 나타내는 보관 위치 정보에 카세트 고유 정보가 연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카세트 고유 정보의 판독을 실시한 보관 위치에 보관되어야 할 카세트(Ca)가 다른 보관 위치에 있는 경우(SF4에서 "예"), SF3의 처리가 행해진다. 한편, 당해 카세트(Ca)가 다른 보관 위치에도 없는 경우(SF4에서 "아니오"), 보관 위치 판정부(198)는 카세트(Ca)가 카세트 선반(110)으로부터 발취된 상태라고 판정한다. 이 경우, 통지 제어부(199)는, 당해 카세트(Ca)를 원래 위치해야 할 보관 위치에 보관하도록(반환하도록), 터치 패널(210)을 통해 통지한다(SF5).
또한, SF3에 있어서, 보관 위치 판정부(198)는, 카세트(Ca)(제1 카세트(Ca))의 이동처의 보관 위치(즉, 원래 위치해야 할 보관 위치)에 다른 카세트(Ca)(제2 카세트(Ca))가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해도 상관없다. 보관 위치 판정부(198)는, 제1 카세트(Ca)의 이동처의 보관 위치에 제2 카세트(Ca)가 보관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이송 제어부(191)는, 제2 카세트(Ca)를, 카세트 고유 정보와 보관 위치 정보의 연관이 행해져 있지 않은 카세트 선반(110) 내의 보관 위치(원래 카세트(Ca)가 들어 있지 않은 보관 위치)(퇴피 위치)로 일단 퇴피시킨다. 그 후, 이송 제어부(191)는, 제1 카세트(Ca)를 원래 위치해야 할 보관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1 카세트(Ca)의 이동처의 보관 위치에 제2 카세트(Ca)가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은, 제2 카세트(Ca)의 카세트 고유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지 여부에 의해 행해진다. 즉, 제2 카세트(Ca)를 퇴피시키는 경우, 퇴피 전에 제2 카세트(Ca)의 카세트 고유 정보가 판독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송 제어부(191)는, 당해 카세트 고유 정보를 사용하여, 제2 카세트(Ca)를 원래 위치해야 할 보관 위치로 이동시켜도 상관없다.
<지지 기구의 동작 예>
다음으로, 카세트 이송부(140)가 구비하는 지지 기구(147)의 동작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7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기구(147)는, 카세트 선반(110)과 대향하는 측에 마련되어 있고, 카세트(Ca)의 카세트 선반(110)으로부터의 취출 시, 또는 카세트 선반(110)으로의 보관 시에, 카세트(Ca)를 지지(보유 지지)한다. 또한, 지지 기구(147)는, 카세트(Ca)의 크기(높이)에 따라서 승강한다. 또한, 지지 기구(147)에는 롤러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 기구(147)에 있어서의 카세트(Ca)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카세트 선반(110)에는, 복수 종류의 카세트(Ca)가 보관되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카세트 선반(110)에는, 서로 다른 높이의 카세트(Ca)(예: 서로 높이가 다른 2종류의 카세트(Ca))가 보관된다. 지지 기구(147)가 승강하지 않는 경우, 높이가 비교적 높은 카세트(Ca)에 대해서는, 카세트(Ca)의 취출 시에 카세트 취출 기구와 충돌해 버려, 카세트 이송부(140)에 의해 카세트(Ca)를 보유 지지할 수 없다.
지지 기구(147)가 승강하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서로 높이가 다른 복수 종류의 카세트(Ca)를 카세트 이송부(140)로 보유 지지하여,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로 이송할 수 있다. 즉,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 있어서, 서로 높이가 다른 복수 종류의 카세트(Ca)를 사용할 수 있다.
이송 제어부(191)는, 카세트(Ca)의 종류에 따라서 지지 기구(147)를 승강시킨다. 예를 들어, 카세트 고유 정보에 연관시켜 지지 기구(147)의 승강량을 나타내는 승강량 정보가 기억부(180)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카세트 고유 정보에, 카세트(Ca)의 높이를 나타내는 카세트 높이 정보가 연관되어 있는 경우, 카세트 높이 정보에 승강량 정보가 연관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송 제어부(191)는, 취출하는 카세트(Ca)에 부여된 카세트 고유 정보가 바코드 리더(146)에 의해 판독되면, 기억부(180)를 참조함으로써, 판독된 카세트 고유 정보에 연관된 승강량 정보를 특정한다. 이송 제어부(191)는, 특정한 승강량 정보가 나타내는 승강량에 따라서, 지지 기구(147)를 승강시킨다.
〔주사약의 촬영으로부터 불출까지의 처리〕
<흡착 위치의 결정 예>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서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에 의해 카세트(Ca)로부터 취출하는 주사약을 특정함과 함께, 특정한 주사약을 흡착 기구(121a)에 의해 흡착한다.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가 촬영한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흡착 위치를 결정하고, 반송 제어부(193)는, 결정된 흡착 위치를 흡착하도록 흡착 기구(121a)를 제어한다.
여기서,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주사약의 무게 중심 위치를 흡착 위치로서 결정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약품 마스터에는, 주사약 식별 정보에 연관시켜, 주사약의 무게 중심 위치 및 전체 길이를 나타내는 각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주사약의 무게 중심 위치는, 예를 들어 주사약의 저부로부터의 거리로서 등록되어 있다.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상기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화상에 있어서의 주사약의 저부를 특정한다.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주사약 식별 정보에 연관된 주사약의 무게 중심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하여, 화상에 있어서의 주사약의 흡착 위치를 특정한다. 예를 들어,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약품 마스터에 기억된 저부로부터의 거리를, 화상에 있어서의 거리로 변환한 후, 화상에 있어서, 변환한 거리만큼 저부로부터 이격된 주사약 상의 위치를 흡착 위치로서 특정한다. 즉,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주사약의 무게 중심 위치, 또는 그 근방을 흡착 위치로서 결정한다. 또한, 이 흡착 위치의 결정 처리에서는, 주사약의 배향을 특정하는 처리까지는 행하지 않는다.
<센서에 의한 주사약의 적재 위치의 특정 예>
다음으로, 위치 변경부(126)의 제1 탑재부(126a) 및 제2 탑재부(126b)에 있어서의 주사약의 적재 위치의 특정 예에 대해 설명한다.
반송 제어부(193)는, 화상 해석 및 미리 등록되어 있는 주사약의 무게 중심 위치 또는 전체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에 있어서, 주사약의 저부 및 흡착 위치를 특정한다. 또한, 반송 제어부(193)는, 특정한 저부의 위치 및 흡착 위치를 고려하여, 흡착한 주사약을 제1 탑재부(126a) 또는 제2 탑재부(126b)에 적재한다. 반송 제어부(193)는, 예를 들어 주사약의 저부가 제1 탑재부(126a) 또는 제2 탑재부(126b)의 단부에 근접하도록, 흡착한 주사약을 적재한다.
여기서, 반송 제어부(193)는, 화상 해석의 결과, 주사약의 헤드부를 저부로서 오인식한 것으로 한다. 반송 제어부(193)는, 저부의 위치를 고려하여 주사약을 제1 탑재부(126a) 또는 제2 탑재부(126b)에 적재하므로, 저부의 오인식에 의해, 실제로 적재되어야 할 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주사약을 적재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 탑재부(126a) 또는 제2 탑재부(126b)로부터 비어져 나온 위치에, 주사약을 적재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주사약이 예를 들어 유리제의 바이알인 경우에는, 주사약이 제1 탑재부(126a) 또는 제2 탑재부(126b)에 충돌하고, 그 결과 깨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예에서는, 도 30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제1 탑재부(126a) 또는 제2 탑재부(126b)의 단부 E1 또는 E2에 충돌할 수 있는 주사약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171a 및 171b)와 반사판(172a 및 172b)을 구비하고 있다.
센서(171a 및 171b)는 각각, 주사약을 검지하기 위한 광을 출사함과 함께, 반사판(172a 및 172b)의 각각에서 반사한 당해 광을 받는 기구이다.
센서(171a) 및 반사판(172a)은, 도 30의 (b)에 나타내는 점선 L1 위를, 센서(171a)로부터 출사된 광, 및 반사판(172a)에서 반사한 광이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점선 L1은, 제1 탑재부(126a) 및 제2 탑재부(126b)의 외측이며, 또한 제1 탑재부(126a) 또는 제2 탑재부(126b)의 단부 E1 부근을 통과하는 직선을 나타내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센서(171b) 및 반사판(172b)은, 도 30의 (b)에 나타내는 점선 L2 위를, 센서(171b)로부터 출사된 광, 및 반사판(172b)에서 반사한 광이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점선 L2는, 제1 탑재부(126a) 및 제2 탑재부(126b)의 외측이며, 또한 제1 탑재부(126a) 또는 제2 탑재부(126b)의 단부 E2 부근을 통과하는 직선을 나타내는 것이다.
흡착 기구(121a)에 흡착된 주사약이 점선 L1 또는 L2 위를 통과하면, 당해 주사약에 의해 광의 진행이 차단되므로, 센서(171a 또는 171b)는, 자기가 출사한 광을 받을 수 없다. 이 경우, 반송 제어부(193)는, 흡착 기구(121a)를 제어함으로써, 센서(171a 및 171b)가 광을 받을 수 있게 될 때까지, 단부 E1 및 E2를 연결하는 직선 방향(Y축 방향)으로, 주사약의 위치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반송 제어부(193)는, 센서(171a 및 171b)가 광을 받고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반송 제어부(193)는, 센서(171a 및 171b)가 광을 받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흡착 기구(121a)가 흡착한 주사약을 제1 탑재부(126a) 또는 제2 탑재부(126b)에 적재한다. 한편, 반송 제어부(193)는, 센서(171a 또는 171b)가 광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주사약의 위치를 변경한다.
이와 같이, 센서(171a 및 171b), 그리고 반사판(172a 및 172b)을 배치함으로써, 제1 탑재부(126a) 또는 제2 탑재부(126b)의 단부 E1 또는 E2에 충돌할 수 있는 주사약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반송 제어부(193)는, 센서(171a 및 171b)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흡착 기구(121a)의 Y축 방향의 위치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제1 탑재부(126a) 또는 제2 탑재부(126b)의 단부 E1 또는 E2에 충돌시키는 일 없이, 주사약을 제1 탑재부(126a) 또는 제2 탑재부(126b)에 적재할 수 있다.
즉, 흡착 위치 결정부(194)가 주사약의 배향(헤드 방향)을 오인식한 경우라도(바꿔 말하면, 주사약의 배향이 +Y축 방향 및 -Y축 방향 중 어느 것이라도), 단부 E1 또는 E2로의 주사약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충돌에 의한 불출 동작의 정지를 피할 수 있으므로, 간헐적으로 주사약을 불출할 수 있다.
또한, 점선 L1 및 L2 위에 존재하는 주사약을 검지할 수 있으면,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센서(171a 또는 171b)의 위치에 발광 소자, 반사판(172a 및 172b)의 위치에 수광 소자를 적재해도 상관없다. 즉, 반사판(172a 및 172b)을 마련하지 않고,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로 이루어지는 센서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또한, 반사판(172a) 및 반사판(172b)의 X축 방향의 위치를 대략 일치시켜도 상관없다.
<흡착 기구의 동작 예>
다음으로, 흡착 기구(121a)의 동작 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흡착 기구(121a)의 이동 속도의 조정에 대해 설명한다.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서는, 예를 들어 카세트 이송부(140)에 의한 카세트(Ca)의 이송,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의 이동의 속도를 가능한 한 높이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약제 반송부(121)의 흡착 기구(121a) 및 이동 기구(121b)의 이동, 그리고 약제 이동부(153)의 흡착 기구(153a) 및 이동 기구(153b)의 이동의 각 속도를 가능한 한 높이고 있다. 이에 의해, 주사약의 불출 속도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주사약의 종류에 관계 없이 일률의 속도로 카세트(Ca) 또는 주사약을 이송 또는 이동시킨 경우, 주사약을 적절하게 운반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주사약의 길이가 길수록, 또한 중량이 가벼울수록, 흡착 기구(121a)를 위치 변경부(126) 상에서 정지시켰을 때에 주사약에 대해 관성이 작용하기 쉽다. 즉, 정지하였을 때의 주사약의 요동이 커진다. 당해 주사약에 대해 관성이 크게 작용한 경우, 주사약이 흡착 기구(121a)로부터 낙하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반송 제어부(193)는, 주사약의 종류에 따라서 흡착 기구(121a)의 이동 속도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주사약의 종류(예: 주사약의 길이, 직경, 중량, 또는 소재(예: 유리제, 플라스틱제))에 따라서, 흡착 기구(121a)의 X축 방향, Y축 방향 및/또는 Z축 방향의 이동 속도를 설정해 둔다. 즉, 기억부(180)에는, 상기 주사약의 종류에 관한 종류 정보에 연관시켜, 흡착 기구(121a)의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이동 속도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도 31은, 종류 정보에 연관된 이동 속도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31의 예에서는, 관성이 작용하기 쉬운 X축 방향의 이동 속도가, 주사약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반송 제어부(193)는, 예를 들어 기억부(180)를 참조함으로써,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주사약 식별 정보에 연관된 종류 정보를 판독한다. 주사약의 길이, 중량 및 소재 등을 나타내는 종류 정보는, 주사약 식별 정보에 연관시켜 약품 마스터에 등록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반송 제어부(193)는, 판독한 종류 정보에 연관된 이동 속도 정보가 나타내는 이동 속도로,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의 카세트(Ca)에서 흡착한 주사약(즉, 당해 주사약을 흡착한 흡착 기구(121a))을 위치 변경부(126)까지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이동 중 또는 정지 시의 주사약에 작용하는 관성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주사약의 안정된 이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흡착 기구(153a)의 이동 속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제어할 수 있다. 단, 흡착 기구(153a)에 대해서는, 주로, 위치 변경부(126)로부터 반송 트레이(151a)로의 이동에 있어서 안정된 이동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특히 Y축 방향의 이동 속도가, 주사약의 종류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카세트 이송부(140)에 의해 카세트(Ca)가 Z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 급정지하면, 중량이 가벼운 주사약일수록, 관성에 의해 튀어오르기 쉽다. 또한, X축 방향의 이동에 있어서도 급정지하면, 중량이 가벼운 주사약일수록, 또한 단면 형상이 대략 원 형상일수록, 카세트(Ca) 내에 있어서 주사약은 구르기 쉽다. 그 때문에, 주사약의 소재가 유리제인 경우에는, 카세트(Ca) 또는 다른 주사약과 충돌한 결과, 깨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카세트 이송부(140)에 의한 카세트(Ca)의 이송에 대해서도, 흡착 기구(121a)와 마찬가지로, 주사약의 종류에 따라서 이동 속도(특히 X축 방향 및/또는 Z축 방향의 이동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예를 들어 주사약이 깨져 버리는 것과 같은 사태의 발생을 피할 수 있다.
다음으로, 흡착 기구(121a)의 Z축 방향의 이동량의 조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2의 (a)는, 이동 기구(121b)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b) 및 (c)는 흡착 기구(121a)의 동작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이동 기구(121b)는, 포토 센서(121d) 및 플레이트(121e)를 구비하고 있다. 포토 센서(121d) 및 플레이트(121e)는, 소정의 직경(예: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주사약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주사약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물체를 검지하는 리미트 센서로서 기능한다. 즉, 포토 센서(121d) 및 플레이트(121e)는, 소정의 주사약 이외의 물체를 검지하기 위한 리미트 센서로서 기능한다. 또한, 볼 나사(121f)에 의해, 흡착 기구(121a)는 Z축 방향으로 승강한다.
포토 센서(121d)는, 예를 들어 홈형 포토 센서이다. 포토 센서(121d)의 홈부에 마련된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의 사이를 플레이트(121e)가 통과하였을 때,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수광 소자에서 받을 수 없게 된다. 이때, 반송 제어부(193)는, 흡착 기구(121a)가 소정의 주사약 이외의 물체를 검지하였다고 판정하고, 그 이동량을 조정한다.
여기서, 약품 마스터에는, 각 주사약 식별 정보에 연관시켜 주사약의 직경을 나타내는 직경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180)에는, 직경 정보에 연관시켜, 흡착 기구(121a)의 Z축 방향의 이동량을 나타내는 이동량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흡착 기구(121a)의 초기 위치(흡착 기구(121a)가 처리 위치(132)로부터 가장 이격되어 있을 때의 위치)와, 처리 위치(132) 사이의 거리(Z축 방향의 거리)는 불변이다. 그 때문에, 주사약의 직경 크기에 따라서, 처리 위치(132)를 향하게 할 때의 흡착 기구(121a)의 제1 이동량을, 처리 위치(132) 상의 주사약에 충돌하지 않도록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이 경우, 주사약마다 제1 이동량을 계산하는 일 없이, 주사약을 흡착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까지 흡착 기구(121a)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그 적절한 위치까지 고속으로, 흡착 기구(121a)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카세트(Ca)는, 미리 정해져 있다. 즉, 카세트(Ca)의 측벽의 높이는 미리 정해져 있다. 그 때문에, 처리 위치(132)로부터 위치 변경부(126)로 주사약을 반송할 때의 흡착 기구(121a)의 높이를, 반송 중인 주사약이 카세트(Ca)의 측벽에 충돌하지 않도록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따라서, 주사약을 흡착한 흡착 기구(121a)를 인상할 때의 흡착 기구(121a)의 제2 이동량을, 주사약의 직경의 크기에 따라서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이 경우, 주사약마다 제2 이동량을 계산하는 일 없이, 카세트(Ca)의 측벽에 충돌하지 않고, 또한 효율적으로 주사약을 반송할 수 있는 위치까지 흡착 기구(121a)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그 위치까지 고속으로, 흡착 기구(121a)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어부(190)는, 카세트(Ca)가 카세트 이송부(140)에 의해 취출되는 시점에서, 카세트(Ca)에 포함되는 주사약의 종류를 특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반송 제어부(193)는, 카세트(Ca)마다 이동량 정보를 특정하고 있다. 반송 제어부(193)는, 예를 들어 카세트(Ca)로부터 최초의 약제를 취출할 때에 약품 마스터를 참조함으로써,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주사약 식별 정보에 연관된 직경 정보를 특정한다. 반송 제어부(193)는, 기억부(180)를 참조함으로써, 특정한 직경 정보에 연관된 이동량 정보(제1 이동량 또는 제2 이동량을 나타내는 정보)를 특정한다. 또한, 특정한 이동량 정보는, 카세트 고유 정보와 연관시켜 기억부(180)에 기억해 두어도 상관없다.
반송 제어부(193)는, 카세트(Ca)마다, 특정한 제1 이동량만큼, 흡착 기구(121a)를 처리 위치(132)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반송 제어부(193)는, 카세트(Ca)마다, 특정한 제2 이동량만큼, 흡착 기구(121a)를 처리 위치(132)로부터 초기 위치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주사약 식별 정보에 직접, 이동량 정보가 연관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반송 제어부(193)는, 기억부(180)를 참조함으로써,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주사약 식별 정보에 연관된 이동량 정보를 특정한다.
도 3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처리 위치(132)에 적재된 카세트(Ca) 내의 주사약의 직경이 φa인 경우, 반송 제어부(193)는, 직경이 φa인 경우의 제1 이동량에 따라서, 흡착 위치 Ap(정지 위치)까지 흡착 기구(121a)를 이동시킨다. 그 후, 반송 제어부(193)는, 직경이 φa인 경우의 제2 이동량에 따라서, 흡착 기구(121a)를 거리 Da만큼 인상한다.
여기서, 도 3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Ca)에 수용되어 있다고 상정되는 주사약(직경: φa)과는 상이한 주사약(직경: φb>φa)이, 당해 카세트(Ca)에 포함되어 있었던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 직경 φb의 주사약이 반송 대상이 된 경우, 반송 제어부(193)는, 직경 φa의 주사약에 기초하는 제1 이동량으로 흡착 기구(121a)를 이동시키므로, 충돌 위치 Cp에서 직경 φb의 주사약에 충돌해 버린다.
이 반동을 받아, 흡착 기구(121a)는 +Z축 방향으로 이동(상승)함으로써, 플레이트(121e)가 포토 센서(121d)의 홈부로 들어간다. 이에 의해, 반송 제어부(193)는, 흡착 기구(121a)가 소정의 직경(φa)보다 큰 직경(φb)을 갖는 주사약이, 반송 대상이라고 판정한다.
이 경우, 반송 제어부(193)는, 직경 φa의 제2 이동량 대신에, 최대 직경(직경: φmax)을 갖는 주사약을 나타내는 주사약 식별 정보에 연관된 이동량 정보가 나타내는 제2 이동량에 따라서, 거리 Dmax만큼, 주사약을 인상한다. 또한, 거리 Dmax에 대응하는 제2 이동량은,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서 취급된다고 상정되는 주사약 중, 최대 직경을 갖는 주사약을, 카세트(Ca)의 측벽에 충돌시키는 일 없이, 처리 위치(132)로부터 위치 변경부(126)로 반송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흡착 대상이 되는 주사약이 직경 φa보다 큼에도 불구하고, 직경 φa의 제2 이동량에 따라서 주사약을 인상한 경우, 인상량이 부족하여, 주사약이 카세트(Ca)의 측벽에 충돌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반송 제어부(193)는, 직경 φa의 주사약을 수용하는 카세트(Ca)에 있어서, 직경 φa보다 큰 직경 φb의 주사약이 취출 대상이 된 경우에, 최대 직경의 주사약에 대응하는 제2 이동량에 기초하여 주사약을 인상하므로, 카세트(Ca)의 측벽과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취출 대상의 주사약이 상정하고 있는 주사약의 직경보다 큰 경우, 최대 직경의 주사약에 대응하는 제2 이동량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취출 대상의 주사약에 대응하는 제2 이동량을 사용하여 당해 주사약을 인상해도 상관없다.
다음으로, 흡착 기구(121a 및 153a)에 의한 주사약의 릴리스 완료를 특정할 때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약제 반송부(121) 및 약제 이동부(153)는, 주사약을 흡착하기 위한 진공원(도시하지 않음)을 갖는다. 반송 제어부(193)는, 주사약을 위치 변경부(126) 위, 또는 반송 트레이(151a) 위에서 릴리스하는 경우, 진공원을 오프로 한다.
반송 제어부(193)는, 주사약의 릴리스를 위해 진공원을 오프로 한 후, 다시 온으로 해도 상관없다. 반송 제어부(193)는, 진공원을 온으로 하였을 때, 진공원과 흡착 패드(121g)(도 32의 (a) 참조)를 연결하는 공기관 내의 부하(예: 공기관 내의 압력, 또는 공기관을 흐르는 공기량)가 변화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약제 반송부(121) 및 약제 이동부(153)의 흡착에 관한 구조는 동일하다.
부하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 반송 제어부(193)는, 흡착 패드(121g)에 있어서 아무것도 흡착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즉, 이 경우, 반송 제어부(193)는, 흡착 기구(121a 및 153a)가 주사약을 적절하게 릴리스하였다고 판정한다. 한편, 부하가 변화된 경우, 반송 제어부(193)는, 흡착 패드(121g)에 무엇인가가 흡착된 상태라고 판정한다. 즉, 이 경우, 반송 제어부(193)는, 흡착 기구(121a 및 153a)가 주사약을 적절하게 릴리스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이와 같이, 주사약의 릴리스 시에 진공원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함으로써, 흡착 기구(121a 및 153a)가 주사약을 적절하게 릴리스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화상 처리의 타이밍 조정 예>
다음으로, 기한 판독용 카메라(125)에 의한 화상 처리의 타이밍 조정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3의 (a) 및 (b)는, 기한 판독용 카메라(125)에 의한 화상 처리의 타이밍 조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약제 반송부(121)에 의해 제1 탑재부(126a)에 주사약이 적재된 경우, 약제 회전부(127)는 주사약을 회전시킨다. 이 회전에 의해, 주사약에 부여된 바코드가 바코드 리더(123)에 대향한 시점에서, 바코드 리더(123)가 당해 바코드를 판독한다. 이에 의해, 제1 판별 처리부(195)에 의한 주사약의 종류의 판별을 행할 수 있다.
바코드는, 주사약의 종류마다, 복수의 선의 각각의 굵기, 및 선끼리의 간격을 상이하게 하여 표현된 것이다. 그 때문에, 제1 판별 처리부(195)는, 바코드 리더(123)가 판독한 바코드를 해석함으로써, 바코드에 표시되는 숫자 또는 영문의 나열을 주사약 식별 정보로서 인식할 수 있다. 즉, 제1 판별 처리부(195)는, 바코드에 표시되는 숫자 또는 영문의 나열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당해 나열과 주사약의 배향(주사약의 적재 방향)을 연관시켜 둠으로써, 주사약의 헤드부 또는 저부가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2 판별 처리부(196)는, 기한 판독용 카메라(125)가 촬영한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주사약에 부여된 유효 기한을 인식한다.
여기서, 바코드는, 바코드 리더(123)에 의해 순시에 판독된다. 그 때문에, 바코드 판독 시에는, 약제 회전부(127)는, 어느 정도 고속으로 주사약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유효 기한은, 기한 판독용 카메라(125)가 촬영함으로써 판독된다. 그 때문에, 유효 기한 판독 시에는, 약제 회전부(127)는, 회전 속도를 바코드 판독 시보다 느리게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바코드 리더(123)에 의한 바코드의 판독 후, 약제 회전부(127)는 회전 속도를 낮춘 후, 기한 판독용 카메라(125)에 의한 주사약의 촬영을 개시한다. 기한 판독용 카메라(125)는, 주사약을 약 1바퀴 회전시키는 동안에 복수 회(예: 20회 정도)의 촬영을 행한다. 제2 판별 처리부(196)는, 복수 회에 걸쳐 촬영한 화상의 전부를 해석함으로써, 유효 기한을 인식한다. 이 경우, 유효 기한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화상도 해석 대상이 되므로, 당해 화상의 해석만큼, 불필요한 처리가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제2 판별 처리부(196)는, 주사약에 부여된 바코드의 위치 및 주사약의 배향에 기초하여, 주사약에 부여된 유효 기한을 인식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인식 영역(유효 기한 기재 영역)을 결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2 판별 처리부(196)는, 주사약에 부여된 바코드의 위치 및 주사약의 배향에 기초하여, 기한 판독용 카메라(125)가 유효 기한을 판독하기 위한 촬영을 행하는 기한 촬영 영역 Pha를 결정한다.
여기서, 약품 마스터에는, 주사약의 배향과 바코드의 배향(바코드에 부여된 영숫자의 나열순)이 연관되어, 주사약 식별 정보마다 등록되어 있다. 또한, 약품 마스터에는, 바코드가 부여된 위치로부터 유효 기한이 부여된 위치까지의, 주사약의 주위 방향 상의 제1 거리를 나타내는 제1 거리 정보가, 주사약 식별 정보마다 등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바코드 리더(123)가 주사약에 부여된 바코드를 판독하면, 제2 판별 처리부(196)는, 그 시점에서, 약제 회전부(127)의 회전을 일단 정지시킨다. 그 후, 제2 판별 처리부(196)는, 약품 마스터에 등록된 당해 주사약의 배향을 나타내는 정보 및 제1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기한 촬영 영역 Pha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판별 처리부(196)는, 판독한 바코드와 약품 마스터와 대조함으로써, 주사약의 배향을 특정한다. 또한, 제2 판별 처리부(196)는, 약품 마스터의 제1 거리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주사약의 배향에 따른 기한 촬영 영역 Pha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33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사약의 회전 방향이 화살표 방향인 경우에, 제2 판별 처리부(196)가, 도 3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사약의 배향을 특정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제2 판별 처리부(196)는, 제1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바코드가 부여된 위치 근방으로부터 유효 기한이 부여된 위치 근방까지의 영역을, 기한 촬영 영역 Pha로서 결정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도 3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판별 처리부(196)는, 촬영 개시 위치 Pha1(판독 개시 위치) 및 촬영 종료 위치 Pha2(판독 종료 위치)를 결정한다.
한편, 제2 판별 처리부(196)가, 도 3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사약의 배향을 특정한 경우도, 도 33의 (a)와 마찬가지로, 기한 촬영 영역 Pha로서 결정한다. 단, 도 3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판별 처리부(196)는, 촬영 개시 위치 Pha1 및 촬영 종료 위치 Pha2를 결정한다.
기한 촬영 영역 Pha의 결정 후, 약제 위치 제어부(197)는, 약제 회전부(127)를, 주사약을 촬영하는 경우의 회전 속도로 회전시킨다. 주사약이 회전한 상태에 있어서, 기한 판독용 카메라(125)는, 자기가 촬영 개시 위치 Pha1과 대향하였을 때에 촬영을 개시하고, 자기가 촬영 종료 위치 Pha2와 대향하였을 때에 촬영을 종료한다. 도 33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한 판독용 카메라(125)는,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기한 촬영 영역 Pha에 대해서는 촬영하고, 점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영역에 대해서는 촬영을 행하지 않는다.
즉, 기한 판독용 카메라(125)는, 결정된 기한 촬영 영역 Pha 내만(바꾸어 말하면, 주사약의 주위 방향 전체가 아니라, 그 일부의 영역만), 유효 기한을 판독하기 위해 촬영한다. 이와 같이, 유효 기한이 부여되어 있지 않다고 상정되는 영역(기한 촬영 영역 Pha 이외의 영역)을 촬영 대상 외로 함으로써, 촬영 매수를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효 기한의 인식을 위한 화상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한 판독용 카메라(125)가 촬영 개시 위치 Pha1과 대향할 때까지는, 약제 회전부(127)의 회전 속도를 바코드 판독 시의 회전 속도로 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유효 기한의 인식 처리를 더 효율적으로(고속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효 기한이 포함되도록 기한 촬영 영역 Pha가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그 때문에, 촬영 개시 위치 Pha1을 바코드가 부여된 위치 근방으로 설정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2 판별 처리부(196)는, 제1 거리 정보에 의해 유효 기한이 부여된 위치를 특정한 후, 당해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를 촬영 개시 위치 Pha1로 결정해도 상관없다. 단, 촬영 개시 위치 Pha1은, 기한 촬영 영역 Pha에 유효 기한이 포함되도록 결정될 필요는 있다.
또한, 제1 거리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기한 판독용 카메라(125)는, 그 주사약의 전체 주위에 걸쳐 촬영을 행한다. 제2 판별 처리부(196)는, 촬영된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당해 주사약에 부여된 유효 기한을 판독한다. 이때, 제2 판별 처리부(196)는, 당해 주사약에 부여된 바코드의 위치도 특정하고 있으므로, 촬영된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당해 바코드의 위치와 유효 기한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거리 정보(즉, 기한 촬영 영역 Pha의 위치)를 결정한다. 제2 판별 처리부(196)는, 결정한 제1 거리 정보를, 당해 주사약을 나타내는 주사약 식별 정보에 연관시켜 약품 마스터에 등록한다. 이에 의해, 다음 번의 유효 기한의 판독 시부터, 등록된 제1 거리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거리가 아닌, 기한 촬영 영역 Pha(촬영 개시 위치 Pha1 및 촬영 종료 위치 Pha2를 포함함)를 나타내는 촬영 영역 정보(유효 기한 기재 영역에 관한 정보)가, 약품 마스터에 등록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불출 불가능한 주사약이 있는 경우의 처리 예>
다음으로, 불출 불가능한 주사약이 있는 경우의 처리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4의 (a)∼(f)는, 불출 불가능한 주사약이 있는 경우의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판별 처리부(195) 또는 제2 판별 처리부(196)에 의해 불출 불가능한 주사약이라고 판정된 경우, 그 시점에서 주사약의 불출이 정지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서는, 주사약의 종류 및 유효 기한을 인식하기 위해, 위치 변경부(126)의 약제 반송부(121)측(처리 위치(132)측)에 있어서, 주사약에 부여된 바코드를 판독함과 함께, 주사약에 부여된 유효 기한을 촬영한다. 제1 판별 처리부(195)는, 판독된 바코드에 기초하는 주사약의 종류의 인식 처리를 행함과 함께, 제2 판별 처리부(196)는, 촬상된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유효 기한의 인식 처리를 행한다. 이들 처리(특히 유효 기한의 인식 처리)에는, 소정의 시간을 요한다.
그 때문에, 약제 위치 제어부(197)는, 약제 반송부(121)측에서 바코드의 판독 및 유효 기한의 촬영이 완료되면, 주사약의 종류 및 유효 기한의 인식 처리의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위치 변경부(126)를 회전시킨다. 그 결과, 주사약은, 약제 이동부(153)측(비불출약 보관부(152)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약제 반송부(121)측에, 주사약의 종류 및 유효 기한의 인식 처리의 대상이 되는 다음 주사약을 적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효율적으로 주사약의 불출을 행하는(즉, 주사약의 불출 속도를 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주사약의 종류 및 유효 기한의 인식 처리의 결과는, 당해 주사약이 약제 이동부(153)측에 위치하고 있는 동안에 행해진다.
즉, 효율적으로 순차 주사약을 불출해 가기 위해, 주사약은, 이하의 개소에서 불출을 대기하고 있다.
·약제 반송부(121)의 흡착 기구(121a)(위치 P1). 즉, 흡착 기구(121a)가 주사약을 흡착한 상태.
·위치 변경부(126)의 약제 반송부(121)측(위치 P2). 즉, 주사약에 부여된 바코드를 판독하고, 또한 주사약에 부여된 유효 기한을 촬영하는 위치에, 주사약이 있는 상태.
·위치 변경부(126)의 약제 이동부(153)측(위치 P3). 즉, 약제 이동부(153)가 반송 트레이(151a) 또는 비불출약 보관부(152)로 주사약을 이동시키기 전의 상태.
여기서,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1환자에 대한 불출 대상의 주사약을 동일한 반송 트레이(151a)에 수용하는 것으로 한다. 바꾸어 말하면, 임의의 불출 대상의 주사약과, 그 다음 불출 대상의 주사약이, 동일 환자에 대한 불출 대상의 주사약이 아닌 경우,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이들 주사약을 서로 다른 반송 트레이(151a)에 수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제1 판별 처리부(195) 또는 제2 판별 처리부(196)에 의해 주사약이 불출 불가라고 판정되고, 또한 당해 주사약과 그 다음 불출 대상의 주사약이 동일 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나타나는 주사약이 아니라고 판정되면, 당해 주사약을 불출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는, 이 경우, 불출 불가라고 판정된 주사약과 다음 불출 대상의 주사약은, 서로 다른 반송 트레이(151a)에 수용된다. 그 때문에, 불출 불가라고 판정된 주사약과 동종의 주사약이 불출되지 않는 한, 다음 불출 대상의 주사약을 불출할 수는 없다. 즉, 이 경우, 앞의 주사약을 앞질러 불출을 행할 수는 없다. 결과적으로, 주사약의 불출이 정지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불출 불가라고 판정된 주사약을 위치 P3으로부터 비불출약 보관부(152)로 이동시켰다고 해도, 그 다음 불출 대상의 주사약은 위치 P2 또는 P3, 또한 그 다음 불출 대상의 주사약은 위치 P1 또는 P2에서 체류해 버리게 된다.
특히, 주사약 불출 시스템(1)은, 주사약 불출 장치(100) 외에, 다양한 장치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그 때문에,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 의한 정지는, 주사약 불출 시스템(1)의 처리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불출 불가라고 판정된 주사약과 다음 불출 대상의 주사약이, 동일 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나타나는 주사약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동일한 반송 트레이(151a)에 수용된다. 그 때문에, 불출 불가라고 판정된 주사약과 동종의 불출을 기다리지 않고, 다음 불출 대상의 주사약을 불출해도 상관없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제1 판별 처리부(195) 및 제2 판별 처리부(196)는, 주사약을 불출 불가라고 판정한 경우, 불출 가능이라고 판정될 때까지, 당해 주사약과 동종의 약제를, 불출 가부의 판정 대상으로 하는 불출 가부 판정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반송 제어부(193)는, 주사약이 불출 불가라고 판정된 경우, 당해 주사약의 다음에 불출될 주사약의 불출을 대기하는 불출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판별 처리부(195) 및 제2 판별 처리부(196)가, 하기 (1) 및 (2)의 판정을 행한 경우, 반송 제어부(193)는, 제2 주사약을 대기시킨다.
(1) 주사약을 불출 불가라고 판정한 경우.
(2) 당해 주사약(제1 주사약)과, 당해 주사약의 다음에 불출될 주사약(제2 주사약, 다음 약제)이, 서로 다른 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나타나는 약제라고 판정한 경우.
상술한 처리를 실현하기 위해,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는, 제2 주사약을 임시 배치해 두는 임시 적재부가 구비되어 있다. 임시 적재부는, 예를 들어 비불출약 보관부(152)의 일부 영역에 마련되어도 상관없고, 비불출약 보관부(152)와는 별도로, 그 근방에 마련되어도 상관없다.
도 34를 사용하여, 주사약 MA, MB 및 MC가 불출되는 경우의 처리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도 34의 (a)에 있어서, 제1 판별 처리부(195) 및/또는 제2 판별 처리부(196)가 주사약 MA를 불출 불가능한 주사약이라고 판정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주사약 MA에 대해, 제1 판별 처리부(195)가, 판독한 바코드가 나타내는 주사약 식별 정보와, 처방 데이터가 나타내는 주사약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 있거나, 또는 제2 판별 처리부(196)가 그 유효 기한이 만료되었다고 판정하고 있다.
이 경우, 도 3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 이동부(153)는, 주사약 MA를 비불출약 보관부(152)로 이동시킨 후, 위치 변경부(126)가 회전함으로써, 주사약 MB를 위치 P2로부터 위치 P3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 있어서, 약제 반송부(121)는 주사약 MC를 위치 변경부(126)에 적재함으로써, 위치 P1로부터 위치 P2로 이동시킨다. 그 후, 약제 이동부(153)가 주사약 MB를 임시 적재부로 이동시킨 후, 위치 변경부(126)가 회전함으로써, 주사약 MC를 위치 P2로부터 위치 P3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도 34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 반송부(121)는, 불출 불가라고 판정된 주사약 MA와 동종의 주사약 MA(여기서는 주사약 MA'로 함)를 처리 위치(132)의 카세트(Ca) 내로부터 취출하여, 위치 변경부(126)에 적재한다. 즉, 주사약 MA'을 위치 P1로부터 위치 P2로 이동시킨다. 그 후, 주사약 MA'에 대해, 제1 판별 처리부(195) 및 제2 판별 처리부(196)에 의한 불출 가부의 판정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도 34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변경부(126)가 회전함으로써, 주사약 MA'을 위치 P2로부터 위치 P3으로(주사약 MC를 위치 P3으로부터 위치 P2로) 이동시킨다. 주사약 MA'이 불출 불가라고 판정된 경우, 약제 이동부(153)는, 주사약 MA'을 비불출약 보관부(152)로 이동시킨 후, 도 34의 (c)에 도시하는 처리로 복귀한다. 즉, 주사약 MA가 반송 트레이(151a)에 불출될 때까지, 다음에 불출될 주사약 MB 및 MC가 불출을 대기한 상태가 된다. 한편, 주사약 MA'이 불출 가능이라고 판정된 경우, 약제 이동부(153)는, 주사약 MA'을 반송 트레이(151a)로 이동시킨다.
주사약 MA'이 불출 가능이라고 판정된 경우, 주사약 MA'의 불출 후, 도 34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 이동부(153)는, 임시 적재부에서 주사약 MA의 불출을 대기하고 있던 주사약 MB를 위치 변경부(126)(구체적으로는 위치 P3)로 복귀시킨다. 그 후, 위치 변경부(126)가 회전함으로써, 주사약 MB를 위치 P3으로부터 위치 P2로(주사약 MC를 위치 P2로부터 위치 P3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주사약 MA의 다음 불출 대상인 주사약 MB에 대해, 제1 판별 처리부(195) 및 제2 판별 처리부(196)에 의한 불출 가부의 판정을 행할 수 있다.
위치 P2에서 주사약 MB에 부여된 바코드 및 유효 기한의 판독이 완료되면, 위치 변경부(126)가 회전함으로써, 주사약 MB를 위치 P2로부터 위치 P3으로(주사약 MC를 위치 P3으로부터 위치 P2로) 이동시킨다. 주사약 MB가 불출 가능이라고 판정된 경우, 약제 이동부(153)는, 주사약 MB를 반송 트레이(151a)로 이동시킨다. 그 후, 도 34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사약 MC에 대해 제1 판별 처리부(195) 및 제2 판별 처리부(196)에 의한 불출 가부가 행해져, 불출 가능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약제 이동부(153)는 주사약 MC를 반송 트레이(151a)로 이동시킨다.
한편, 도 34의 (e)에 있어서, 주사약 MB가 불출 불가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약제 이동부(153)는, 주사약 MB를 비불출약 보관부(152)로 이동시킨 후, 위치 변경부(126)가 회전함으로써, 주사약 MC를 위치 P2로부터 위치 P3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약제 반송부(121)는, 불출 불가라고 판정된 주사약 MB와 동종의 주사약 MB(여기서는 주사약 MB'로 함)를 처리 위치(132)의 카세트(Ca) 내로부터 취출하여, 위치 변경부(126)(구체적으로는 위치 P2)에 적재한다. 그리고 주사약 MB'에 대해 제1 판별 처리부(195) 및 제2 판별 처리부(196)에 의한 불출 가부가 행해진다. 주사약 MB가 불출될 때까지, 이 처리가 반복된다. 즉, 주사약 MB가 반송 트레이(151a)에 불출될 때까지, 다음에 불출될 주사약 MC가 불출을 대기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34의 (f)에 있어서, 주사약 MC가 불출 불가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약제 이동부(153)는, 주사약 MC를 비불출약 보관부(152)로 이동시킨다. 그 후, 약제 반송부(121)는, 불출 불가라고 판정된 주사약 MC와 동종의 주사약 MC(여기서는 주사약 MC'로 함)를 처리 위치(132)의 카세트(Ca) 내로부터 취출하여, 위치 변경부(126)(구체적으로는 위치 P2)에 적재한다. 그리고 주사약 MC'에 대해 제1 판별 처리부(195) 및 제2 판별 처리부(196)에 의한 불출 가부가 행해진다. 주사약 MC가 불출될 때까지, 이 처리가 반복된다.
주사약 MA, MB 및 MC까지의 불출 처리가 완료되면, 주사약 MC의 다음 주사약이 처방 데이터에 따라서 위치 변경부(126)로 반송된다. 그리고 주사약이 불출 불가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술한 처리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주사약이 불출 불가라고 판정된 경우, 다음 불출 대상의 주사약을 임시 적재부(퇴피 위치)로 일시적으로 퇴피시킴으로써, 불출 불가라고 판정된 주사약과 동종의 주사약의 재불출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그 때문에, 주사약의 불출을 계속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4의 예에서는, 주사약 MA, MB 및 MC가 각 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나타나는 주사약(주사약 MA, MB 및 MC가 다른 처방)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동일 환자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나타나는 주사약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불출 불가라고 판정된 주사약의 다음 주사약을 불출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에서는, 임의의 주사약이 반송 트레이(151a)로 불출될 때까지, 다음 주사약의 불출이 대기 상태로 되어 있다. 단, 임의의 주사약의 결함이 확정될 때까지(예: 주사약 MA를 수용하는 카세트(Ca)가 빌 때까지), 다음 주사약의 불출이 대기 상태여도 상관없다.
<반송 트레이로의 주사약의 적재 처리 예>
다음으로, 이종의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반송 트레이(151a)(소형 트레이(151b))로의 주사약의 적재 처리 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프린터 장치(13)가 수액 라벨 발행 장치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소형 트레이의 구조 예)
먼저, 주사약 적재 예의 전제가 되는 구성으로서, 반송 트레이(151a)에 적재되는 소형 트레이(151b)에 대해 설명한다. 도 35는, 소형 트레이(151b)가 반송 트레이(151a)에 적재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6의 (a)는, 소형 트레이(151b)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소형 트레이(151b)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c)는 소형 트레이(151b)의 일례를 도시하는 A-A'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사약 불출 시스템(1)에서는, 반송 트레이(151a)는, 공급 리프터(11)로부터, 주사약 불출 장치(100) 및 프린터 장치(13)를 통해, 배출 리프터(14)로 반송된다. 즉, 본 예의 반송 트레이(151a)는, 주사약 불출 장치(100)가 불출한 복수 종류의 주사약과, 프린터 장치(13)가 발행한 수액 라벨이 수용되는 트레이이다.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반송 트레이(151a)에는, 소형 트레이(151b)를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나타나는 주사약을, 주사약의 사용 시각마다(예: 아침, 점심, 저녁 및 취침 전)로 분할하여 불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5의 예에서는, 소형 트레이(151b)를, 반송 트레이(151a)가 반송되는 방향에 대해, 4개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36의 (a)∼(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형 트레이(151b)의 저부에는, 돌출부(151c)가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151c)는, 당해 저부를, 복수의 분할 영역(151d)으로 분할하는 것이다.
도 3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 영역(151d)의 폭(151w)은, 주사약의 배향이 돌출부(151c)의 연신 방향이 되도록 약제 이동부(153)가 주사약을 적재하는 경우, 예를 들어 1∼2개 적재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주사약이 비교적 굵은 바이알이면 1개 적재할 수 있고, 주사약이 비교적 가느다란 바이알이면 2개 적재할 수 있다.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서는, 약제 이동부(153)의 흡착 기구(153a)가 흡착한 주사약을 반송 트레이(151a)에 적재한다. 그 때문에, 반송 트레이(151a)에 있어서의 주사약의 위치를 특정하여 적재할 수 있다. 즉, 흡착한 주사약을, 소형 트레이(151b)의 각 분할 영역(151d)을 노려서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주사약의 배향을 정렬시켜 적재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분할 영역(151d)에 어느 정도 정연하게 주사약을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반송 트레이(151a)의 이동에 수반하여, 주사약은 폭 방향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 이동량이 큰 경우에는, 주사약끼리가 충돌하여, 그 결과 깨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분할 영역(151d)을 구비함으로써, 주사약의 폭 방향의 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주사약끼리의 충돌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충돌하였다고 해도 이동량이 작으므로, 주사약이 깨져 버릴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3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형 트레이(151b)의 저부는, 돌출부(151c)로부터 소형 트레이(151b)의 측벽을 향해(돌출부(151c)로부터 폭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151s)를 갖는다. 경사부(151s)는, 돌출부(151c)측보다 소형 트레이(151b)의 측벽측 쪽이 낮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3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51c) 부근에 주사약을 적재하면, 주사약의 자중에 의해, 소형 트레이(151b)의 측벽측으로부터 차례로 주사약을 적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소정의 분할 영역(151d)에 주사약을 적재할 수 있으면, 그 이상의 정밀한 적재 위치의 특정은 불필요해진다. 또한, 주사약의 적재 시에, 주사약끼리가 충돌하여 깨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형 트레이(151b)의 저부에는, 주사약의 이동 방지 기구가 마련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동 방지 기구로서는, 예를 들어 스펀지, 또는 미세한 대략 V자 형상을 갖는 부재를 들 수 있다. 이동 방지 기구에 의해, 예를 들어 반송 트레이(151a)의 이동에 수반하여 주사약이 충돌하여 깨져 버리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형 트레이(151b)에 있어서, 복수의 분할 영역(151d) 중 하나의 분할 영역(151d)의 적어도 일부에는, 프린터 장치(13)가 발행한 수액 라벨이 적재되는 수액 라벨 적재 영역(151r)이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사약 불출 장치(100) 및 프린터 장치(13)는, 각 소형 트레이(151b)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수액 라벨 적재 영역(151r)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그 때문에,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수액 라벨 적재 영역(151r) 이외의 영역에 주사약을 적재할 수 있음과 함께, 프린터 장치(13)는, 수액 라벨 적재 영역(151r)에 수액 라벨을 적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주사약 위에 수액 라벨이 적재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수액 라벨이 날려질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유저에 의한 수액 라벨의 확인이 용이해진다. 또한, 돌출부(151c)에 의해, 이동해 온 주사약에 의해, 수액 라벨이 소형 트레이(151b)의 밖으로 밀려 나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51c)를 마련하고, 또한 주사약과 수액 라벨을 서로 다른 영역에 적재할 수 있음으로써, 소형 트레이(151b)의 외부로 수액 라벨이 밀려 나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액 라벨 위에 누름돌로서 주사약을 적재할 필요는 없다. 그 때문에, 소형 트레이(151b)에, 주사약을 적재한 후에 수액 라벨을 적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소형 트레이(151b)를 사용함으로써, 반송 트레이(151a)가 반송되는 측으로부터 차례로, 주사약 불출 장치(100) 및 프린터 장치(13)를 마련한 주사약 불출 시스템(1)을 구축할 수 있다. 단, 주사약 불출 장치(100) 및 프린터 장치(13)의 설치 순서는 반대여도 상관없다.
또한, 본 예에서는, 소형 트레이(151b)에, 복수의 분할 영역(151d) 및 수액 라벨 적재 영역(151r)을 마련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반송 트레이(151a)에 직접 이들 구성이 마련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즉, 이 경우, 반송 트레이(151a) 자체가 소형 트레이(151b)의 기능을 갖고, 소형 트레이(151b)는 반송 트레이(151a)에 적재되지 않는다.
또한, 프린터 장치(13)는, 수액 라벨 적재 영역(151r)의 위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발행한 수액 라벨을 수액 라벨 적재 영역(151r)으로 반송하여 적재하는 수액 라벨 반송 기구를 갖고 있다. 수액 라벨 반송 기구는, 예를 들어 발행된 수액 라벨을 파지 또는 릴리스하는 파지 기구와, 수액 라벨을 발행하는 발행 기구와 반송 트레이(151a) 사이에서 파지 기구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구비한다.
(주사약의 적재 처리 예)
다음으로, 반송 트레이(151a)에 대한 주사약의 적재 처리 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소형 트레이(151b)에 주사약을 반송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반송 트레이(151a)에 직접 주사약을 반송해도 상관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90)는, 바코드 리더(123)가 바코드를 취득함으로써, 주사약의 배향을 특정할 수 있다. 동일한 원리로, 제어부(190)는, 바코드 리더(124)가 바코드를 취득함으로써, 주사약의 배향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약품 마스터에는, 주사약에 부여된 바코드의 위치로부터, 주사약명(약제명) 등이 기재된 주사약 라벨의 대략 중심 위치까지의, 주사약의 주위 방향 상의 제2 거리를 나타내는 제2 거리 정보가, 각 주사약 식별 정보에 연관되어 등록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약제 위치 제어부(197)는, 주사약의 배향과, 바코드 리더(124)가 바코드를 판독하였을 때의 바코드 위치와, 제2 거리 정보가 나타내는 제2 거리에 기초하여, 약제 회전부(127)의 회전량을 결정한다. 약제 위치 제어부(197)는, 결정된 회전량 만큼, 약제 회전부(127)를 회전시킴으로써, 주사약에 첩부된 주사약 라벨을 상향(+Z축 방향)으로 한다.
즉, 본 예에서는, 약제 위치 제어부(197)는, 주사약에 부여된 주사약 식별 정보(처방 데이터에 포함되는 주사약 식별 정보와 대조하기 위한 정보)의 위치에 기초하여, 주사약에 부여된 주사약명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 특정부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약제 위치 제어부(197)는, 약제 회전부(127)를 제어함으로써, 주사약명의 위치가 상향이 되도록, 주사약을 축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반송 제어부(193)는, 주사약 라벨이 상향이 된 주사약을 흡착한 후, 그 상태 그대로, 소형 트레이(151b)의 소정 위치에 적재한다. 즉, 반송 제어부(193)는, 약제 이동부(153)를 제어함으로써, 약제 회전부(127)가 회전한 주사약의 배향을 바꾸는 일 없이, 소형 트레이(151b)로 이송하여, 소형 트레이(151b)에 적재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주사약의 배향도 특정하고 있으므로, 반송 제어부(193)는, 주사약의 배향이 소정 방향을 향하도록, 소형 트레이(151b)에 주사약을 적재한다. 이 경우, 주사약 라벨에 부여된 문자의 배향을 일정 방향으로 정렬하여, 소형 트레이(151b)에 주사약을 적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형 트레이(151b)에 주사약을 적재함으로써, 유저는, 소형 트레이(151b)의 내용물에 대한 목시 감사를 행할 때, 주사약을 들어 올리거나, 회전시키거나 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목시 감사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주사약 불출 시스템(1)이, 소형 트레이(151b)의 내용물을 촬영하는 촬영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함으로써, 촬영 기구가 촬영한 화상을 사용한 목시 감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주사약 라벨을 상향으로 하여 소형 트레이(151b)에 주사약을 적재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바코드를 상향으로 하여 적재해도 상관없다. 유저가 휴대형 바코드 리더(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한 화상 감사를 행하기 쉬운 배향으로, 주사약을 적재할 수 있으면 된다.
또한, 바코드 리더(124)측에서, 주사약의 배향을 특정함과 함께 주사약을 상향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바코드 리더(123)측에서 이들 처리를 행해도 상관없다.
또한, 반송 제어부(193)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분할 영역(151d)에 주사약을 적재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주사약의 적재 대상이 되는 분할 영역(151d)의 순서, 및 임의의 분할 영역(151d) 내에서의 주사약의 적재 위치의 순서가 미리 정해져 있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약제 이동부(153)는, 그 순서에 따라서 주사약을 적재한다. 또한 예를 들어, 반송 제어부(193)는, 특정한 주사약의 종류 또는 형상마다 분류하여, 주사약의 적재 위치를 특정해도 상관없다.
또한, 바코드 리더(123 또는 124)로 바코드를 판독함으로써, 주사약의 배향을 특정할 수 있다. 이 주사약의 배향을 사용하여, 약제 이동부(153)가 주사약을 반송 트레이(151a)로 반송할 때의 흡착 위치를 결정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약품 마스터에, 주사약의 저부로부터의 거리로서의 주사약의 무게 중심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주사약의 저부가 제1 탑재부(126a) 또는 제2 탑재부(126b)의 단부 근방이 되도록, 제1 탑재부(126a) 또는 제2 탑재부(126b)에 주사약이 적재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주사약의 배향을 특정함으로써, 주사약의 저부가 위치하는 측의, 제1 탑재부(126a) 또는 제2 탑재부(126b)의 단부를 특정한다.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상기 주사약의 저부로부터의 거리에, 미리 설정된 단부와 저부 사이의 거리를 가산한 거리만큼, 당해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주사약의 무게 중심 위치로서 특정한다.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특정한 무게 중심 위치를 흡착 위치로서 결정한다.
〔반품 시의 동작에 대한 보족〕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반품 시의 동작 예에 대해서는, 도 15를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약제 반송부(121) 및 약제 이동부(153)는, 반송 트레이(151a)측으로부터 카세트(Ca)측으로 주사약을 이송함으로써, 주사약을 카세트(Ca)로 반품해도 상관없다.
여기서, 약제 반송부(121) 및 약제 이동부(153)는, 불출 시에는, 카세트(Ca)측으로부터 반송 트레이(151a)측으로 주사약을 이송한다. 즉, 상기한 예에서는, 불출 시의 주사약의 이송 순서와는 역순으로, 카세트(Ca)로 주사약을 반품한다. 불출 시의 모드를 제1 모드라고 칭하면, 반품 시의 모드를 제2 모드라고 칭할 수도 있다.
제2 모드에서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예를 들어, 약제 이동부(153)는, 유저에 의해 반송 트레이(151a)에 반품된 주사약(반품약)을 반송 트레이(151a)로부터 취출하여, 위치 변경부(126)에 적재한다. 바코드 리더(123)에 의한 바코드의 판독, 및 기한 판독용 카메라(125)에 의한 유효 기한의 촬영에 의해, 제어부(190)는, 주사약의 종류 및 유효 기한을 인식한다.
유효 기한이 만료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약제 이동부(153)는, 비불출약 보관부(152)에 반품약을 적재한다. 한편, 유효 기한 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카세트 이송부(140)는, 인식한 반품약의 종류에 기초하여, 당해 반품약과 동종의 주사약을 수용하고 있는 카세트(Ca)를 취출하여,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에 보유 지지한다. 약제 반송부(121)는, 위치 변경부(126)에 적재된 반품약을, 처리 위치(132)로 이동시킨 카세트(Ca)에 수용한다. 카세트 이송부(140)는, 반품약을 수용한 카세트(Ca)를 카세트 선반(110)에 다시 보관한다.
이러한 처리를 반품약의 전부에 대해 행한다. 또한, 반품약과 동종의 주사약을 수용한 카세트(Ca)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반품약을 빈 카세트(Ca)에 수용해도 상관없고, 비불출약 보관부(152)에 적재해도 상관없다.
<상기 구성의 다른 표현>
상기 구성에 대해, 이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A] <약제 취급 장치의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취급 장치(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각각 동종의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m개의 카세트를 보관하는 카세트 선반과,
상기 m개의 카세트 중 n개(m>n≥2)를 일시적으로 보유 지지 가능한 카세트 보유 지지부와,
약제를 일시적으로 보유 지지하면서, 당해 약제의 종류를 판별하는 약제 판별부와,
이종의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를 보유 지지하는 트레이 보유 지지부와,
상기 카세트 선반과 상기 카세트 보유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카세트를 이송하는 카세트 이송부와,
상기 카세트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된 카세트와 상기 약제 판별부 사이에서 약제를 이송하는 제1 약제 이송부와,
상기 약제 판별부와 상기 트레이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된 트레이 사이에서 약제를 이송하는 제2 약제 이송부를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다수(m개)의 카세트 중 일부(n개)의 카세트를 카세트 보유 지지부에 일시적으로 보유 지지시키고, 그 카세트에 수용된 약제를, 그 종류의 판별 대상 및 트레이로의 이송 대상으로 한다. 그 때문에, 다수의 카세트가 보관된 약제 취급 장치에 있어서, 약제의 종류의 판별 및 트레이로의 반송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의 약제 판별부로서는, 바코드 리더(123, 124), 기한 판독용 카메라(125), 위치 변경부(126), 제1 탑재부(126a), 제2 탑재부(126b) 및 약제 회전부(127)를 포함하는 기구를 들 수 있다. 또한, 제1 약제 이송부는 약제 반송부(121)에 상당하고, 제2 약제 이송부는 약제 이동부(153)에 상당한다. 트레이는, 반송 트레이(151a) 또는 소형 트레이(151b)에 상당한다.
또한, 상기한 구성은, 주로, 상기 ≪그 밖의 구성≫란보다 앞에서 설명한 사항에 기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취급 장치에서는,
상기 제1 약제 이송부 및 상기 제2 약제 이송부는, 상기 카세트측으로부터 상기 트레이측으로 약제를 이송하는 제1 모드에서 동작해도 상관없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모드의 경우, 카세트의 약제를 트레이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은, 주로, 상기 ≪그 밖의 구성≫란보다 앞에서 설명한 사항에 기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취급 장치에서는,
상기 제1 약제 이송부 및 상기 제2 약제 이송부는, 상기 트레이측으로부터 상기 카세트측으로 약제를 이송하는 제2 모드에서 동작해도 상관없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2 모드의 경우, 트레이에 수용된 약제를 카세트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B] <불출 불가능한 약제가 있는 경우의 처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불출 장치(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상기 약제를 불출 불가라고 판정한 경우, 불출 가능이라고 판정될 때까지, 당해 약제와 동종의 약제를, 불출 가부의 판정 대상으로 하는 불출 가부 판정부(제1 판별 처리부(195), 제2 판별 처리부(196))와,
상기 약제가 불출 불가라고 판정된 경우, 당해 약제의 다음으로 불출될 약제의 불출을 대기하는 불출 제어부(반송 제어부(193))를 구비한다.
약제 불출 장치는, 예를 들어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약제를 순차 불출해 간다. 그 때문에, 불출 불가능한 약제라고 판정된 경우, 그 시점에서 약제의 불출이 정지되어 버린다. 약제 불출 장치가 다른 장치와 연동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스템 전체의 처리가 정지되어 버리므로, 약제의 불출 정지의 영향은 커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약제를 불출 불가라고 판정한 경우, 당해 약제와 동종의 약제가 불출 가능이라고 판정될 때까지, 다음에 불출될 약제의 불출을 대기시킨다. 그 때문에, 불출 불가능한 약제가 있는 경우라도, 약제의 불출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상기 불출 가부 판정부가, (1) 상기 약제를 불출 불가라고 판정하고, 또한 (2) 당해 약제와, 당해 약제의 다음에 불출될 약제인 다음 약제가, 서로 다른 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나타나는 약제라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불출 제어부는, 당해 다음 약제를 대기시켜도 상관없다.
동일 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불출되는 약제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트레이에 수용된다. 그 때문에, 서로 다른 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나타나는 약제끼리의 순서를 바꾸는 것은, 트레이의 순서를 바꾸게 되는 것이므로 곤란하다. 한편, 동일 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나타나는 약제에 대해서는, 트레이의 순서를 바꿀 필요가 없으므로, 불출되는 순서는 임의여도 상관없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약제를 불출 불가라고 판정한 경우라도, 당해 약제와 다음 약제가, 동일 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나타나는 약제인 경우에는, 다음 약제를 대기시키지 않고 불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약제를 불출 불가라고 판정한 경우의, 불출 처리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C] <약제명의 위치를 상향으로 하여 트레이에 적재하는 경우의 처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취급 장치(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약제에 부여된 식별 정보의 위치에 기초하여, 약제에 부여된 약제명의 위치를 특정하는 위치 특정부(약제 위치 제어부(197))와,
상기 위치 특정부가 특정한 약제명의 위치가 상향이 되도록, 상기 약제를 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약제 회전부와,
상기 약제 회전부가 회전한 상기 약제의 배향을 바꾸는 일 없이, 당해 약제를, 이종의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로 이송하고, 당해 트레이에 적재하는 약제 이송부(약제 이동부(153))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트레이에 약제가 불출되는 경우, 트레이 내의 약제에 대해, 의사 또는 약사 등의 의료 종사자(즉, 유저)가 목시 감사를 행한다. 약제명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트레이에 약제를 랜덤하게 적재한 경우, 유저가 약제를 집어들고 약제명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약제에 부여된 약제명의 위치가 상향이 되도록, 트레이 내에 불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약제가 트레이에 적재되므로, 트레이 내의 약제를 촬영함으로써, 촬영한 화상을 목시 감사용의 화상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감사 이력을 남길 수 있다. 즉,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목시 감사 시의 유저의 수고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는, 주사약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제1 식별 정보)이다. 상기 식별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주사약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바코드를 들 수 있다.
[D] <카세트 위치의 확인>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주사약 불출 장치(100),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200))는,
복수의 카세트의 각각이 보관되는 보관 위치를 나타내는 보관 위치 정보와, 카세트를 식별하기 위한 카세트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복수의 카세트의 각각이 소정의 보관 위치에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보관 위치 판정부와,
상기 보관 위치 판정부가 소정의 보관 위치에 보관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카세트에 대해서는, 당해 카세트가 보관되어 있는 보관 위치로부터, 당해 카세트가 원래 위치해야 할 보관 위치로 이송하는 카세트 이송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는,
복수의 카세트의 각각이 보관되는 보관 위치를 나타내는 보관 위치 정보와, 카세트를 식별하기 위한 카세트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당해 복수의 카세트의 각각이 소정의 보관 위치에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보관 위치 판정부와,
상기 보관 위치 판정부가 소정의 보관 위치에 보관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카세트에 대해서는, 당해 카세트가 원래 위치해야 할 보관 위치에 보관하도록 통지하는 통지부(통지 제어부(199), 터치 패널(210))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해 각 카세트의 보관 위치가 미리 정해져 있는 경우, 카세트가 원래 위치해야 할 보관 위치에 보관되어 있지 않으면, 유저가 원하는 카세트를 취출할 때에 당해 카세트를 찾는 수고가 증가한다. 그 때문에, 카세트에의 약제의 충전 작업 등의 작업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원래 위치해야 할 보관 위치에 카세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도, 당해 카세트를 당해 보관 위치에 보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작업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E] <트레이의 구조>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트레이는,
약제를 불출하는 약제 불출 장치가 불출한 복수 종류의 약제와, 수액 용기에 첩부되는 수액 라벨을 발행하는 수액 라벨 발행 장치(프린터 장치(13))가 발행한 수액 라벨이 수용되는 트레이이며,
상기 트레이의 저부에는, 당해 저부를,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하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분할 영역 중 하나의 분할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액 라벨 발행 장치가 발행한 수액 라벨이 적재되는 수액 라벨 적재 영역이다.
트레이에 수액 용기가 적재되는 경우, 트레이에는, 유저가 수액 용기에 첩부하는 수액 라벨도 적재된다. 수액 라벨은 얇으므로, 트레이에 적재된 경우, 예를 들어 트레이의 이동에 수반하여, 트레이로부터 날리기 쉽다. 특히, 트레이에, 약제를 적재한 후에 수액 라벨을 적재한 경우에는, 약제 위에 수액 라벨이 적재되게 되는 것이므로, 트레이로부터 수액 라벨이 날리기 쉽다.
임의의 트레이로부터 다른 트레이로 수액 라벨이 들어가 버리면, 수액 용기의 내용물과 수액 라벨의 기재 내용이 일치하지 않아, 중대한 사고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수액 라벨을 트레이에 적재한 후에, 수액 라벨 위에 약제(구체적으로는 약제가 수용되는 용기. 바이알 등.)를 적재함으로써, 수액 라벨이 날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수액 라벨 적재 영역에 수액 라벨을 적재하고, 그 이외의 영역에 약제를 적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약제 위에 수액 라벨이 적재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수액 라벨이 날릴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약제가 수액 라벨 위에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저에 의한 수액 라벨의 확인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약제가 수액 라벨 위로 이동하는 것에 기인하여, 수액 라벨이 트레이의 밖으로 밀려나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액 라벨 적재 영역에 수액 라벨이 적재되므로, 수액 라벨 위에 반드시 누름돌로서 약제를 적재할 필요는 없다. 그 때문에, 트레이에 약제를 적재한 후에, 수액 라벨을 적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상기한 구성을 갖는 트레이를 사용함으로써, 트레이가 반송되는 측으로부터 차례로, 약제 불출 장치 및 수액 라벨 발행 장치를 마련한 약제 불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소형 트레이(151b)여도 상관없다. 이 경우, 복수 종류의 약제가 수용되는 대형 트레이(반송 트레이(151a))에, 상기 돌출부를 갖는 복수의 소형 트레이가 배치된다.
[F] <반품 기능>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불출 장치(주사약 불출 장치(100),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200))는,
약제가 수용되는 m개의 카세트를 보관하는 카세트 선반과,
상기 m개의 카세트 중, 복수 종류의 약제가 수용된 제1 카세트와, 종류가 판별된 약제를 수용하는 제2 카세트를 일시적으로 보유 지지 가능한 카세트 보유 지지부와,
상기 제1 카세트에 수용된 약제를 일시적으로 보유 지지하면서, 당해 약제의 종류를 판별하는 약제 판별부와,
상기 제1 카세트에 수용된 약제를 상기 약제 판별부로 이송함과 함께, 상기 약제 판별부에 의해 그 종류가 판별된 약제를, 상기 제2 카세트로 이송하는 약제 이송부를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 종류의 약제가 수용된 제1 카세트로부터, 종류가 판별된 약제를 수용하는 복수의 제2 카세트로 약제를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의 약제 판별부로서는, 바코드 리더(123, 124), 기한 판독용 카메라(125), 위치 변경부(126), 제1 탑재부(126a), 제2 탑재부(126b) 및 약제 회전부(127)를 포함하는 기구를 들 수 있다. 또한, 약제 이송부는, 약제 반송부(121)에 상당한다. 또한, 제1 카세트는,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에 상당하고, 제2 카세트는,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에 상당한다.
또한, 상기한 구성은, 주로, 상기 ≪그 밖의 구성≫란보다 앞에서 설명한 사항에 기초하는 것이다.
≪그 밖의 구성 2≫
이하에, 주로,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또 다른 구성 및 처리, 그리고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주변 장치인 프린터 장치(13)의 또 다른 구성 및 처리 등에 대해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 또는 구체적으로 기재한 부분도 있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주사약 불출 장치에 있어서의 처리의 다른 예〕
먼저,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 있어서의 처리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0의 (a)는, 분할 부재(SP)를 장착하였을 때의 카세트(Ca)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0의 (b)는, 카세트(Ca)를 2분할하여 사용할 때의 데이터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을 사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카세트(Ca)에 분할 부재(SP)를 장착함으로써, 카세트(Ca)를 2분할 할 수 있다. 도 5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부재(SP)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카세트(Ca)는, 제1 분할 영역(CaA) 및 제2 분할 영역(CaB)으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전방면측(카세트 이송부(140)가 배치되어 있는 측)의 분할 영역을 제1 분할 영역(CaA)이라고 칭한다.
여기서, 제1 분할 영역(CaA) 및 제2 분할 영역(CaB)의 크기는, 수용 대상이 되는 주사약 또는 용해액의 형상(크기) 또는 수용 수에 따라서, 분할 부재(SP)의 장착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변경되어도 상관없다.
또한, 각 카세트(Ca)에는, 카세트(Ca)를 일의적으로 식별 가능한 카세트 고유 정보가 부여되어 있다. 도 5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세트 고유 정보(카세트 바코드)에는, 주사약이 수용되는 영역을 특정하기 위한 카세트 영역 정보와, 카세트(Ca)에 수용되는 주사약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주사약의 종류를 일의적으로 식별 가능한 정보(약품 코드))가 연관되어 있다. 이송 제어부(191)는, 이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어느 카세트(Ca)의 어느 영역에, 어떠한 주사약이 수용되어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5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세트 영역 정보로서, 본 예에서는, 「0」, 「1」 및 「2」가 설정되어 있다. 「0」은, 카세트(Ca)의 전역이 주사약의 수용 대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1」은, 제1 분할 영역(CaA)이 주사약의 수용 대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2」는, 제2 분할 영역(CaB)이 주사약의 수용 대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카세트 영역 정보는, 이 3개의 수용 패턴을 특정할 수 있으면 어떠한 정보라도 상관없다. 또한, 카세트(Ca)의 분할 수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상이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카세트 영역 정보는, 분할한 영역 수에 따라서 수용 패턴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이면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카세트(Ca)를 2분할하고, 또한 상기 데이터 테이블을 갖고 있는 경우, 당해 카세트(Ca)에는, 이하와 같이 주사약 등을 수용할 수 있다.
(A) 상이한 종류의 주사약을 수용하는 패턴. 이 경우, 동종의 주사약마다 제1 분할 영역(CaA) 및 제2 분할 영역(CaB)으로 분할하여 수용한다.
(B) 동일 종류의 주사약을 수용하는 패턴. 이 경우,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제1 분할 영역(CaA) 및 제2 분할 영역(CaB)으로 분할하여 주사약을 수용한다.
(C) 용해액을 갖는 주사약을 수용하는 패턴. 이 경우, 용해액 및 주사약을 각각 분할하여 수용한다. 예를 들어, 주사약을 제1 분할 영역(CaA)에 수용한 경우, 용해액을 제2 분할 영역(CaB)에 수용한다.
<(A) 상이한 종류의 주사약을 수용하는 패턴>
본 패턴의 경우, 상기 데이터 테이블에는, 데이터 패턴 DP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태로 데이터가 보존된다. 즉, 제1 분할 영역(CaA)과 제2 분할 영역(CaB)에는 종류가 상이한 주사약이 수용되고(동일한 분할 영역 내에는 동종의 주사약이 수용되고), 그 수용 상태가 상기 데이터 테이블에 반영된다. 도 50의 (b)의 예에서는, 「00005」의 카세트(Ca)에 있어서, 제1 분할 영역(CaA)에 주사약 「CCC01」이 수용되어 있고, 제2 분할 영역(CaB)에 주사약 「DDD03」이 수용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주사약 불출 장치(100)가, 주사약 불출 시스템(1)의 전체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의 불출 지시를 수신한 경우, 이송 제어부(191)는, 당해 처방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 테이블에 기초하여 카세트(Ca)로부터 주사약을 취출한다. 상기한 예에 있어서, 상기 처방 데이터에 나타나는 주사약이 주사약 「CCC01」인 경우, 이송 제어부(191)는, 상기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주사약 「CCC01」이 「00005」의 카세트(Ca)의 제1 분할 영역(CaA)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정한다. 이 특정에 의해, 이송 제어부(191)는, 주사약 「CCC01」을 「00005」의 카세트(Ca)의 제1 분할 영역(CaA)으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판별 처리부(195)는, 위치 변경부(126)에 있어서, 바코드 리더(123)에 의해 판독된 주사약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주사약의 불출의 가부를 판별한다. 그 때문에, 불출해야 할 주사약과는 상이한 주사약이 취출되었다고 해도, 제1 판별 처리부(195)에 의한 판별에 의해 당해 주사약의 불출을 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로 제1 분할 영역(CaA) 및 제2 분할 영역(CaB)에 수용된 주사약과, 상기 데이터 테이블에 나타나는 정보 사이에서 불일치가 있는 경우라도, 잘못된 주사약의 불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세트(Ca)의 영역을 3개 이상으로 분할한 경우도, 동일한 분할 영역에는 동종의 주사약이 수용되고, 또한 복수의 분할 영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종류의 주사약이 수용되어 있으면 된다.
<(B) 동일 종류의 주사약을 수용하는 패턴>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경우, 주사약은,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제1 분할 영역(CaA) 및 제2 분할 영역(CaB)으로 분할하여 수용된다. 로드 번호 또는 제조 번호가 주사약마다 부여되어 있으므로, 이들 번호로부터 유효 기한을 특정해도 상관없다.
본 패턴의 경우, 상기 데이터 테이블에는, 데이터 패턴 DP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태로 데이터가 보존된다. 즉, 동종의 주사약이,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제1 분할 영역(CaA) 및 제2 분할 영역(CaB)으로 물리적으로 분할되어 수용되어 있지만, 상기 데이터 테이블 상에서는 분할되어 있지 않다. 도 50의 (b)의 예에서는, 「00003」의 카세트(Ca)에 주사약 「AAA03」이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분할하여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상기 데이터 테이블에서는, 제1 분할 영역(CaA) 및 제2 분할 영역(CaB)의 양쪽에 당해 주사약이 수용되어 있는 것만 나타난다.
이송 제어부(191)는, 상기 불출 지시에 기초하여 주사약을 카세트(Ca)로부터 취출한 경우, 당해 카세트(Ca)를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로 이송한다. 그 후,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에 적재된 카세트(Ca)는, 처리 위치(132)에 있어서,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에 의해 촬상된다.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카세트(Ca)가 분할되어 있는 것을 인식한다. 즉,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카세트(Ca)가 물리적으로 분할되어 있고, 또한 상기 데이터 테이블 상에서는 당해 카세트(Ca)의 카세트 영역 정보가 「0」인 것을 특정한 경우에 비로소, 유효 기한으로 분할하여 카세트(Ca)에 수용된 주사약의 취출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반송 제어부(193)는, 미리 결정된 순서로 카세트(Ca)로부터 주사약을 취출한다. 초기 상태에 있어서, 반송 제어부(193)에 의한 주사약의 취출 영역은, 제1 분할 영역(CaA)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반송 제어부(193)는, 제1 분할 영역(CaA)에 수용된 주사약으로부터 차례로 취출해 간다. 그 후, 제1 분할 영역(CaA)이 결품이 된 경우에, 반송 제어부(193)는, 제2 분할 영역(CaB)으로부터 주사약을 취출한다.
이와 같이, 카세트(Ca)를 분할하여, 유효 기한에 기초하여, 동종의 주사약을 제1 분할 영역(CaA) 및 제2 분할 영역(CaB)에 수용하고, 또한 취출 순서를 정해 둠으로써, 반송 제어부(193)는, 주사약을 수용한 순서대로 취출할 수 있다. 즉,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카세트(Ca)에 수용한 순서대로 불출할(소위 「선입 선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오래된 주사약을 제1 분할 영역(CaA)에 수용함과 함께, 비교적 새로운 주사약을 제2 분할 영역(CaB)에 수용함으로써, 반송 제어부(193)는, 오래된 주사약으로 차례로 취출해 가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분할 영역(CaA)이 결품이 되거나, 제1 분할 영역(CaA)에 주사약을 충전하거나 하는 경우, 제2 분할 영역(CaB)에 수용되어 있던 주사약을 제1 분할 영역(CaA)으로 옮긴 후, 제2 분할 영역(CaB)에, 옮긴 주사약보다 새로운 주사약을 수용(충전)한다. 또한 이때, 제어부(190)는, 상기 주사약의 취출 영역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에 의해, 다시 제1 분할 영역(CaA)으로부터의 주사약의 취출(오래된 주사약으로부터의 취출)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가 촬상한 화상에 기초하여, 제1 분할 영역(CaA)의 상태가 빈 상태로부터, 주사약이 수용된 상태로 변화된 것을 인식하였을 때, 상기 주사약의 취출 영역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 밖에, 제어부(190)는, 유저 입력에 의해 불출 처리가 중단되고, 또한 카세트(Ca)가 취출된 것을 검지하였을 때, 초기 상태로 복귀시켜도 상관없다.
여기서, 카세트에 주사약을 정렬시켜 수용하는 주사약 불출 장치에서는, 수용 시에 주사약을 오래된 순서대로 수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카세트에 랜덤으로(즉, 비정렬 상태로) 주사약을 수용하는 주사약 불출 장치의 경우, 하나의 카세트로부터 오래된 순서대로 주사약을 수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 및 주사약의 수용을 행함으로써,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 있어서는, 소위 「선입 선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카세트(Ca)의 영역을 3개 이상으로 분할한 경우도, 분할 영역마다 유효 기한이 상이한 동종의 주사약이 수용되면 된다. 이 경우도, 3개 이상의 분할 영역에 대해 취출 순서를 미리 정해 두고, 먼저 수용된 주사약부터 취출되도록, 각 분할 영역에 주사약을 수용함으로써, 소위 「선입 선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주사약의 취출 순서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약의 취출 순서가, 초기 상태에서는 제2 분할 영역(CaB)으로 설정되어 있고, 제2 분할 영역(CaB)에 결품이 발생한 경우에, 제1 분할 영역(CaA)으로부터 주사약을 취출하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C) 용해액을 갖는 주사약을 수용하는 패턴>
주사약 중에는, 용해액으로 용해하여 사용되는 용해액을 갖는 주사약이 존재한다. 이 경우, 주사약과 용해액이 서로 다른 용기에 보관되지만, 주사약 및 용해액은 세트로 반송 트레이(151a)에 불출될 필요가 있다.
본 패턴의 경우, 상기 데이터 테이블에는, 데이터 패턴 DP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태로 데이터가 보존된다. 즉, 제1 분할 영역(CaA) 및 제2 분할 영역(CaB) 중 어느 한쪽에 주사약이 수용되고, 다른 쪽에 용해액이 수용된다. 그리고 그 수용 상태가 상기 데이터 테이블에 반영된다. 예를 들어, 제1 분할 영역(CaA)에 주사약, 제2 분할 영역(CaB)에 용해액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도 50의 (b)의 예에서는, 「00005」의 카세트(Ca)에 있어서, 제1 분할 영역(CaA)에 주사약 「CCC01」이 수용되어 있고, 제2 분할 영역(CaB)에 용해액 「DDD03」이 수용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상기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상기 (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분할 영역(CaA)으로부터 주사약을, 제2 분할 영역(CaB)으로부터 용해액을 각각 취출할 수 있다.
주사약 및 용해액은, 납품 시 동일한 포장인 경우가 많고, 또한 반드시 세트로 불출되므로, 카세트(Ca)를 2분할로 하고, 또한 분할 영역마다 주사약 및 용해액을 분할하여 수용하기 쉽다. 또한, 이와 같이 분할하여 수용해 둠으로써, 한 번의 카세트(Ca)의 취출 동작으로, 주사약 및 용해액을 세트로 취출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카세트(Ca)에 주사약 및 용해액을 수용해 둠으로써, 주사약 및 용해액을 각각 제각기의 카세트(Ca)에 수용하는 경우에 비해, 효율적으로 주사약 및 용해액을 불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약제에는, 약제를 일의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약제 식별 정보가 부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주사약에는, 주사약 식별 정보(예: 주사약 코드로서의 GS1 코드)가 부여되어 있다. 한편, 용해액에는, 약제와 같이, 약제 식별 정보(예: GS1 코드)가 부여되어 있지 않다. 즉, 용해액이 보존된 용기에는, 바코드 리더(123)가 판독하는 가능한 바코드가 부여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상술한 제어 장치는, 상위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수신한 처방 데이터를 해석한 결과, 당해 처방 데이터에 용해액을 갖는 주사약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사약 및 용해액의 각각에 미리 정해진 약품 코드가 등록된, 약제에 관한 마스터 데이터를 참조한다. 그리고 처방 데이터에 이들의 약품 코드를 추가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테이블에, 당해 용해액에 대응하는 약품 코드와 카세트 고유 정보가 연관되어 기억되어 있다. 이에 의해,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처방 데이터를 해석함과 함께, 상기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주사약 및 용해액이 수용된 카세트(Ca)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주사약에 대해서는, 처방 데이터에 있어서, 주사약 식별 정보에 약품 코드가 연관되어 있다. 또한, 형상 모델에 대해서는, 당해 약품 코드에 연관시켜 등록되어 있다. 또한, 주사약에 대해서는 주사약 식별 정보를 그대로 사용하고, 용해액에 대해서는 당해 주사약 식별 정보에 연관된 약품 코드가 부여되어도 상관없다. 즉, 적어도 용해액에, 용해액을 식별하기 위한 용해액 식별 정보가 부여되어 있으면 된다.
여기서, 주사약에 대해서는 주사약 식별 정보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바코드 리더(123)로 판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판별 처리부(195)에 의해, 반송 트레이(151a)에 실제로 주사약을 불출하기 전에, 위치 변경부(126)에 적재된 주사약이 불출되어야 하는 주사약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용해액에는 바코드 리더(123)가 판독 가능한 정보가 부여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제1 판별 처리부(195)는, 바코드 리더(123)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위치 변경부(126)에 적재된 용해액이 불출되어야 하는 용해액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없다.
그래서 제1 판별 처리부(195)는, 수신한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용해액을 갖는 주사약이 포함되고, 또한 바코드 리더(123)로부터 소정 시간 판독 결과를 받지 못한 경우(즉, 주사약 식별 정보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물체라고 판단한 경우)에, 위치 변경부(126)에 적재된 물체를, 불출되어야 하는 용해액이다라고 판별한다. 이에 의해, 용해액에 대해서도 반송 트레이(151a)로 불출할 수 있다.
여기서,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처리 위치(132)에서 흡착 위치를 특정할 때에 형상 모델을 참조함으로써, 흡착 대상의 주사약(실제로는 주사약이 보존되어 있는 용기)의 형상을 특정한다. 또한, 약품 코드에 형상 모델이 연관되어 있으므로,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주사약과 마찬가지로 용해액에 대해서도, 흡착 대상의 용해액(실제로는 용해액이 보존되어 있는 용기)의 형상을 특정한다. 이와 같이,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약품 코드에 연관된 형상 모델에 기초하여, 흡착 대상의 용해액을 특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시점에서 불출 대상이 되는 용해액을 정확하게 특정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즉, 용해액에 대해,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서는,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 상기 데이터 테이블 및 형상 모델 등에 기초하여, 불출 대상이 되는 용해액을 위치 변경부(126)에 적재한다. 그 때문에, 제1 판별 처리부(195)에 의한, 바코드 리더(123)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는 판별이 행해지지 않아도, 상기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는 용해액의 불출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에서는, 제1 판별 처리부(195)는, 주사약에 대해서는 주사약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주사약의 불출 가부를 판별함과 함께, 용해액에 대해서는 주사약 식별 정보에 준하는 정보가 판독되는지 여부에 의해 용해액의 불출 가부를 판별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판별 처리부(195)는, 수신한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용해액을 갖는 주사약이 포함되는 경우이며, 주사약과 함께 불출 대상으로 되어 있는 물체에 대해 주사약 식별 정보에 준하는 정보가 판독되지 않은 경우, 당해 물체를 불출 대상의 용해액이라고 판별한다. 이에 의해, 용해액에 대해서도 용이한 방법으로 불출할 수 있다.
또한,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형상 모델 등에 기초하여, 카세트(Ca)로부터 취출하는 대상으로 하는 주사약 및 용해액을 특정한다. 그 때문에,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서는, 불출 대상이 되는 주사약 및 용해액에 대해, 형상 모델 등에 기초하는 특정과, 제1 판별 처리부(195)에 의한 판별의 2단계로 판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용해액을 갖는 주사약을 불출하는 경우, 적어도 형상에 기초하여 용해액의 불출 가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부와, 적어도 약종에 기초하여 주사약의 불출 가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부를 구비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용해액에 대해서는, 형상 모델에 기초하는 특정에 의해, 제1 판별 처리부(195)에 의한 판별을 보완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프린터 장치 개요〕
다음으로, 프린터 장치(13)에 대해 설명한다. 프린터 장치(13)는, 주사약(약제)을 반송하는 반송 트레이(151a)(트레이) 또는 소형 트레이(151b)(트레이)에 수용된 주사약에 관한 정보를 인자하는 인자 장치로서 기능한다. 상기에서는, 프린터 장치(13)가, 주사약의 종류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반송 트레이(151a)에 인자하는 기능, 및 수액 용기의 내용물을 나타내는 내용물 정보가 인자된 수액 라벨(라벨)을 발행하는(불출하는) 기능 중 적어도 어느 것을 갖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이후에서는, 프린터 장치(13)가, 이 2개의 기능 이외에, 수용물 정보를 인자한 수용물 인자 시트(처방전(예: 주사 처방전))를 불출하는 기능 및 비수용물 정보를 인자한 비수용물 인자 시트(예: 결품전)를 불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즉, 이후에서는, 프린터 장치(13)가 상기 4개의 기능을 갖는 구성(상기 4개의 기능의 각각을 갖는 4개의 장치를 하나의 하우징 내에 마련한 프린터 장치(13))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4개의 장치를 하나의 하우징 내에 마련함으로써, 주사약 불출 시스템(1)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4개의 장치 외에도, 수액 라벨 및 수용물 인자 시트의 각각을 반송하는 반송 기구를 배치함으로써, 프린터 장치(13)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37은, 프린터 장치(13)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8은, 프린터 장치(13)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37 및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터 장치(13)는, 반송 트레이 인자 장치(300)(트레이 기입부),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라벨 불출부, 수액 라벨 불출부),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제1 시트 불출부) 및 결품전 불출 장치(600)(제2 시트 불출부)를 구비한다. 또한, 프린터 장치(13)는, 수액 라벨 반송 기구(700)(라벨 반송부), 주사 처방전 반송 기구(800), 및 트레이 반송 기구(900)를 구비한다. 또한,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터 장치(13)는, 이들의 각 장치 또는 각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1000)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각 장치 및 각 기구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프린터 장치(13)에 있어서의 동작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수용물 인자 시트가 주사 처방전이고, 비수용물 인자 시트가 결품전인 것으로서 설명한다.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의 동작〕
프린터 장치(13)에 있어서의 동작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9는, 프린터 장치(13)에 있어서의 동작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39는, 반송 트레이(151a)가 반송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프린터 장치(13)의 저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프린터 장치(13)에서는, 전단에 마련된 주사약 불출 장치(100)로부터 반송된 반송 트레이(151a)는, 트레이 반송 기구(900)에 의해, 후단에 마련된 배출 리프터(14)까지 반송된다. 트레이 반송 기구(900)는, 먼저, 주사약 불출 장치(100)로부터 제1 위치 P101까지 반송된 반송 트레이(151a)를 제2 위치 P102로 이동시킨다. 즉, 제1 위치 P101은, 주사약 불출 장치(100)로부터 반송 트레이(151a)를 수납하는 트레이 수납 위치이다.
반송 트레이 인자 장치(300)는,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2 위치 P102에 배치된 반송 트레이(151a)에 대해 반송처 정보를 기입한다. 반송처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환자명 및 병동명을 들 수 있다. 반송처 정보에는, 주사약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상관없다. 또한, 수액 라벨 반송 기구(700)는,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에 의해 불출된 수액 라벨을, 제2 위치 P102에 배치된 반송 트레이(151a)까지 반송하여 적재한다. 즉, 제2 위치 P102는, 반송 트레이(151a)에 반송처 정보가 기입되고, 또한 반송 트레이(151a)에 수액 라벨이 적재되는 위치이다.
제2 위치 P102의 상방에는, 2개의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a 및 400b)가 배치되어 있고, 그 사이에 관통 구멍(400h)이 형성되어 있다(도 42 참조). 구체적으로는, 관통 구멍(400h)은, 제2 위치 P102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a 및 400b)로부터 불출된 수액 라벨은, 수액 라벨 반송 기구(700)에 의해, 관통 구멍(400h)을 통해 반송 트레이(151a)에 적재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위치 P102의 1개소에서 반송처 정보의 인자 및 수송 라벨의 적재를 행하고 있으므로, 이들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프린터 장치(13)에 있어서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위치 P101로부터 제2 위치 P102로 반송 트레이(151a)를 이동시키고 있지만, 주사약 불출 시스템(1)의 설계상 가능하면, 제2 위치 P102가 제1 위치 P101(트레이 수납 위치)로서 기능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프린터 장치(13)는, 프린터 장치(13)의 전방면으로부터, 주사약 불출 장치(100)로부터 반송된 반송 트레이(151a)를 수납하여, 당해 반송 트레이(151a)를 제2 위치 P102까지 이동시켜도 상관없다. 이 구성의 경우, 주사약을 불출한 후에 수액 라벨 및 주사 처방전 등의 인쇄물을 불출하는 주사약 불출 시스템(1)에 있어서,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배출 리프터(14)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구성의 경우, 당해 주사약 불출 시스템(1)에 있어서, 반송 트레이 인자 장치(300)에 의한 반송 트레이(151a)의 측면으로의 인자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위치 P102에서의 반송처 정보의 인자, 및 수송 라벨의 적재가 완료되면, 트레이 반송 기구(900)는, 제3 위치 P103까지 반송 트레이(151a)를 이동시킨다. 주사 처방전 반송 기구(800)는,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에 의해 불출된 주사 처방전을, 제3 위치 P103에 배치된 반송 트레이(151a)까지 반송하여 적재한다.
또한, 제3 위치 P103의 상방에는, 결품전 불출 장치(600)가 배치되어 있다. 결품전 불출 장치(600)는, 반송 트레이(151a)에 수용되어야 할 주사약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그 주사약을 나타내는 결품 정보를 인자한 결품전을, 당해 반송 트레이(151a)에 불출한다.
제3 위치 P103에 있어서 주사 처방전의 적재, 경우에 따라서는 결품전의 적재가 완료되면, 트레이 반송 기구(900)는, 반송 트레이(151a)를 배출 리프터(14)로 반송한다.
이와 같이, 본 예의 프린터 장치(13)는, 반송 트레이(151a)에 적재되는(또는 적재된) 수액 용기에 대응하는 수액 라벨, 및 반송 트레이(151a)에 적재된 주사약에 대응하는 주사 처방전을, 당해 반송 트레이(151a)에 불출한다. 또한, 프린터 장치(13)는, 반송 트레이(151a)에 적재된 주사약 등에 대응하는 환자의 환자명 등을, 당해 반송 트레이(151a)에 기입한다. 또한, 프린터 장치(13)는, 경우에 따라서는 결품전을 당해 반송 트레이(151a)에 불출한다.
상기한 예에서는, 주사 처방전이 반송 트레이(151a)의 최상면이 되도록 적재된다. 주사 처방전의 적재는, 반송처 정보의 인자 후, 및 수액 라벨의 적재 후에 행해진다. 주사 처방전의 최상면으로의 배치에 의해, 주사약 등의 목시 감사를 행하는 유저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단, 이 점을 고려하지 않으면, 인자 및 적재 순서는,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반송처 정보의 인자, 그리고 수액 라벨 및 주사 처방전(경우에 따라서는 결품전)의 불출 순서(인자 또는 불출 위치)는, 상기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어부(1000)는, 예를 들어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 의해 주사약의 불출이 완료된,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를, 주사약 불출 시스템(1)의 전체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당해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를 수신할 때, 당해 주사약이 불출된 반송 트레이(151a)를 주사약 불출 장치(100)로부터 수취한다.
예를 들어,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나타난 주사약의 불출이 완료되면, 당해 불출의 완료를 나타내는 불출 완료 정보를 제어 장치에 송신한다. 또한, 당해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나타난 주사약의 결품이 발생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결품의 주사약을 나타내는 결품 정보를 불출 완료 정보에 연관시켜, 제어 장치에 송신한다. 제어 장치는, 이 불출 완료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불출이 완료된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경우에 따라서는 결품 정보)를 프린터 장치(13)에 송신한다. 또한, 제어 장치는, 이 확인에 의해, 당해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나타난 주사약이 적재된 반송 트레이(151a)를 프린터 장치(13)에 반송하도록,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 지시한다.
이에 의해, 제어부(1000)는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는 반송처 정보를, 인자 대상이 되는 반송 트레이(151a)를 오인하는 일 없이, 당해 반송 트레이(151a)에 인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0)는, 당해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는 수액 라벨 및 주사 처방전(경우에 따라서는 결품전)을, 불출 대상이 되는 반송 트레이(151a)를 오인하는 일 없이, 당해 반송 트레이(151a)에 불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0)는, 불출 완료 정보로서, 불출이 완료된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를, 주사약 불출 장치(100)로부터 직접 수신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불출 완료 정보를 송신할 때, 반송 트레이(151a)를 프린터 장치(13)에 반송한다.
〔트레이 반송 기구〕
트레이 반송 기구(900)는,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000)의 제어에 기초하여, 주사약 불출 장치(100)로부터 제1 위치 P101까지 반송된 반송 트레이(151a)를, 제2 위치 P102 및 제3 위치 P103을 통해, 배출 리프터(14)로 반송하는 것이다. 트레이 반송 기구(900)는, 반송 트레이(151a)를 반송하기 위해, 프린터 장치(13)의 저부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트레이 반송 기구(900)는, 제1 위치 P101과 제2 위치 P102 사이에서 반송 트레이(151a)를 이동시키는 제1 이동 기구와, 제1 위치 P101과 제3 위치 P103 사이에서 반송 트레이(151a)를 이동시키는 제2 이동 기구를 갖는다.
제어부(1000)는, 트레이 반송 기구(900)를 제어함으로써,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에 제1 위치 P101로 반송된 반송 트레이(151a)를, 제1 위치 P101로부터 제2 위치 P102로 이동시킨다.
제어부(1000)는,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에 의해 불출된 수액 라벨의, 반송 트레이(151a)로의 반송이 완료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트레이 반송 기구(900)를 제어함으로써, 반송 트레이(151a)를 제3 위치 P103까지 반송시킨다. 제어부(1000)는, 예를 들어 수액 라벨 반송 기구(700)가 수액 라벨을 반송 트레이(151a)로 적재한 후, 수액 라벨 파지부(701)를 대기 위치(후술)까지 복귀시켰을 때, 상기 반송이 완료되었다고 판정해도 상관없다.
그 후, 제어부(1000)는,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에 의해 불출된 주사 처방전의, 반송 트레이(151a)로의 반송이 완료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트레이 반송 기구(900)를 제어함으로써, 반송 트레이(151a)를 배출 리프터(14)로 반송시킨다. 제어부(1000)는, 예를 들어 주사 처방전 반송 기구(800)가 주사 처방전을 반송 트레이(151a)로 적재한 후,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대기 위치(후술)까지 복귀시켰을 때, 상기 반송이 완료되었다고 판정해도 상관없다.
또한, 프린터 장치(13)의 전방면으로부터 반송 트레이(151a)를 수취하는 상술한 구성의 경우, 제어부(1000)는, 제2 위치 P102에서 수취한 반송 트레이(151a)로의 반송처 정보의 인자, 및 수액 라벨의 수용이 완료된 후, 제1 위치 P101을 경유하여, 제3 위치 P103으로 반송 트레이(151a)를 이동시킨다. 즉, 이 경우, 트레이 반송 기구(900)는, 제어부(1000)의 제어에 기초하여, 주사약 불출 장치(100)로부터 제2 위치 P102까지 반송된 반송 트레이(151a)를, 제1 위치 P101 및 제3 위치 P103을 통해, 배출 리프터(14)로 반송하는 것이다.
〔반송 트레이 인자 장치〕
다음으로, 반송 트레이 인자 장치(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0은, 반송 트레이 인자 장치(300)의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반송 트레이 인자 장치(300)는, 반송 트레이(151a)의 반송처를 나타내는 반송처 정보(예: 환자명 및 병동명)를, 반송 트레이(151a)의 소정 위치에 인자한다. 제어부(1000)는, 제2 위치 P102에 반송 트레이(151a)가 적재된 것을 인식하면, 반송 트레이 인자 장치(300)를 제어함으로써, 수신한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포함되거나, 또는 처방 데이터에 연관된 반송처 정보를 반송 트레이(151a)에 인자한다. 반송 트레이 인자 장치(300)는, 반송 트레이 인자 장치(300) 전에 반송된 반송 트레이(151a)의 일 측면의 대략 중앙 부근에, 반송처 정보를 인자한다.
또한, 예를 들어 반송 트레이(151a)의 경로 상에 복수의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해 둔다. 이에 의해, 제어부(1000)는, 각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제1 위치 P101, 제2 위치 P102 및 제3 위치 P103 중 어느 것에 반송 트레이(151a)가 배치되어 있는지를 인식해도 상관없다.
반송 트레이 인자 장치(300)는, 반송 트레이(151a)에 비접촉으로 반송처 정보를 인자 가능한 장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 트레이 인자 장치(300)는, 레이저 Ls를 출사함으로써 대상물에 정보를 인자하는 레이저 마커이다.
단, 반송 트레이 인자 장치(300)는, 레이저 마커에 한정되지 않고, 반송 트레이(151a)에 반송처 정보를 기입 가능한 반송 트레이 기입 장치이면 된다. 예를 들어, 반송 트레이 기입 장치는, 반송처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함과 함께, 반송 트레이(151a)에는, 전자 카드(또는 전자 페이퍼), 및 반송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마련된다. 이에 의해, 반송 트레이 기입 장치가 송신한 반송처 정보를 전자 카드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반송 트레이(151a)에 자기 카드를 분리 가능하게 마련하고, 반송 트레이 기입 장치는, 당해 자기 카드에 반송처 정보를 기입 가능한 장치여도 상관없다. 또한, 반송 트레이 기입 장치는, 열을 사용하여 반송처 정보를 반송 트레이(151a)에 기입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자기 카드를 사용한 경우, 분리한 상태로 자기 카드에 반송처 정보를 기입하게 된다. 이 경우, 자기 카드를 반송 트레이(151a)로부터 분리할 때, 자기 카드가 반송 트레이(151a)의 일부에 걸려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전자 카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는 일어나지 않지만, 비용이 비교적 높아져 버린다.
반송 트레이 인자 장치(300)로서 레이저 마커를 사용함으로써, 저렴하고, 또한 자기 카드와 같은 수고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반송 트레이(151a)에 반송처 정보를 인자할 수 있다.
〔수액 라벨 불출 장치 및 수액 라벨 반송 기구〕
다음으로,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 및 수액 라벨 반송 기구(7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1의 (a)는,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 및 수액 라벨 반송 기구(700)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b) 및 (c)는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가 구비하는 수액 라벨 수취부(403)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2는,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는, 수액 용기에 첩부되는 수액 라벨을 불출하는 것이다. 또한, 수액 라벨 반송 기구(700)는,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가 불출한 수액 라벨을 파지하여, 반송 트레이(151a)로 반송하는 것이다.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 및 수액 라벨 반송 기구(700)는, 수액 라벨을 반송 트레이(151a)에 불출하는 라벨 불출 장치로서 기능한다.
<수액 라벨 불출 장치의 상세>
도 41의 (a) 및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로서 2개의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a 및 400b)를 구비한다.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a 및 400b)는, 제2 위치 P102의 상방에 마련된 받침대(450)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받침대(450)의, 제2 위치 P102와 대향하는 위치(제2 위치 P102에 반송된 반송 트레이(151a)와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400h)이 형성되어 있다.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는, 도 4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자 시트 보관부(401), 제1 본체부(402), 수액 라벨 수취부(403), 및 수취부 회동 기구(404)를 구비한다. 인자 시트 보관부(401)는, 내용물 정보의 인자 대상이 되는 인자 시트를 보관하는 것이다. 제1 본체부(402)는, 수신한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나타나는 내용물 정보를, 인자 시트 보관부(401)에 보관된 인자 시트에 인자함으로써, 수액 라벨을 발행하는 것이다.
수액 라벨 수취부(403)는, 제1 본체부(402)에서 발행된 수액 라벨을 수취하여, 일시적으로 수용해 두는 것이다. 도 4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부(403b)로부터 기립 설치된 측벽(403c)에 의해, 수액 라벨 수취부(403)에 수액 라벨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403c)에 의해, 제1 본체부(402)로부터 수액 라벨을 수취하고, 또한 수액 라벨 반송 기구(700)의 수액 라벨 파지부(701)가 수액 라벨을 발취하기 위한 개구부(40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403c)에 의해, 수액 라벨 파지부(701)가 구비하는 한 쌍의 클로부(702)의 개폐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간극부(403d)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클로부(702)는, 도 4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액 라벨 수취부(403)에 수용된 수액 라벨을 파지할 때에 개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벽(403c)은, 그 중앙에 간극부(403d)를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한 쌍의 클로부(702)는, 수액 라벨을 파지할 때, 측벽(403c)에 충돌하는 일 없이, 간극부(403d)를 통해 개폐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간극부(403d)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수액 라벨을 파지할 때, 수액 라벨 수취부(403)의 내부에서 한 쌍의 클로부(702)를 개방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형성해 두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 경우, 두께 W10을, 당해 공간을 형성할 정도의 두께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수액 라벨은 얇고, 또한 한 번에 수용되는 수액 라벨의 수는 수매 정도(예: 1∼5매 정도)이므로, 두께 W10을 그다지 두껍게 할 필요는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측벽(403c)이 간극부(403d)를 가짐으로써, 수액 라벨 수취부(403)를 비교적 작게 할 수 있다. 이 점을 감안하지 않으면, 수액 라벨 수취부(403)는 간극부(403d)를 갖고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수액 라벨 수취부(403)는, 개구부(403a)의 방향이 변경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액 라벨 수취부(403)는, 라벨 수취 위치(도 43의 (a)의 상태)에서는, 개구부(403a)를 제1 본체부(402)측을 향하게 한 상태로 고정된다. 라벨 수취 위치는, 수액 라벨 수취부(403)가 제1 본체부(402)로부터 발행된 수액 라벨을 수취할 때의 수액 라벨 수취부(403)의 위치이다. 한편, 수액 라벨 수취부(403)는, 라벨 파지 위치(도 43의 (b) 및 (c)의 상태)에서는, 개구부(403a)를 수액 라벨 파지부(701)측(Z축 방향; 상측 방향)을 향하게 한 상태로 고정된다. 라벨 파지 위치는, 수액 라벨 파지부(701)가 수액 라벨 수취부(403)에 수용된 수액 라벨을 파지할 때의 수액 라벨 수취부(403)의 위치이다.
또한, 수액 라벨 수취부(403)에는, 도 4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403e)가 설치되어도 상관없다. 어태치먼트(403e)는, 수액 라벨 수취부(403)의 저부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며, 개구부(403a)로부터 수액 라벨 수취부(403)의 내부에 끼워 맞추어진다. 어태치먼트(403e)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비교적 작은 수액 라벨이 수액 라벨 수취부(403)에 수용되면, 수액 라벨 파지부(701)가 수액 라벨을 파지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수액 라벨 수취부(403)에 어태치먼트(403e)를 설치함으로써, 수액 라벨 수취부(403)의 저부를 높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수액 라벨이 불출된 경우라도, 수액 라벨 파지부(701)에 의한 당해 수액 라벨의 파지가 가능해진다.
수취부 회동 기구(404)는, Y축 방향으로 연신되는 축부와, 축부를 회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축부에 수액 라벨 수취부(403)(예: 측벽(403c))가 설치되어 있다. 수취부 회동 기구(404)는, 구동 기구에 의해 축부를 회동시킴으로써, 수액 라벨 수취부(403)를 당해 축부의 주위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수액 라벨 수취부(403)는, 라벨 수취 위치 및 라벨 파지 위치의 각각에 있어서 개구부(403a)의 방향이 상술한 방향이 되도록, 라벨 수취 위치와 라벨 파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4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라벨 수취 위치에 있어서, 수액 라벨 수취부(403)의 개구부(403a)와, 제1 본체부(402)의, 수액 라벨을 불출하는 라벨 불출구(402a)(또는 그 근방)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로 되어 있다. 즉, 라벨 수취 위치에 있어서, 당해 위치 관계가 되도록, 수액 라벨 수취부(403) 및 수취부 회동 기구(404)가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수액 라벨 수취부(403)는, 회동함으로써, 라벨 불출구(402a)(또는 그 근방)에 대향하는 위치하는 것이 가능한 부재이다.
또한, 수액 라벨 수취부(403)의 근방 또는 제1 본체부(402)의 라벨 불출구(402a)에는, 수액 라벨 수취부(403)에 수용되는 수액 라벨(제1 본체부(402)가 불출한 수액 라벨)을 계수하는 라벨 계수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라벨 계수부(예: 센서)로부터의 통지에 의해, 제어부(1000)는, 규정된 매수의 수액 라벨이 불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수액 라벨 반송 기구의 상세>
다음으로, 수액 라벨 반송 기구(7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9의 (a) 및 (b)는, 수액 라벨 파지부(701)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액 라벨 반송 기구(700)는, 수액 라벨 파지부(701a, 701b)(총칭하여 수액 라벨 파지부(701)라고도 칭함), 제1 지지부(711), 제2 지지부(712) 및 제3 지지부(713)를 구비한다.
수액 라벨 파지부(701)는, 수액 라벨 수취부(403)에 불출된 수액 라벨을 파지(끼움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수액 라벨 파지부(701)는, 파지한 수액 라벨을 반송 트레이(151a)에 적재하기 위해, 반송 트레이(151a) 상에서 수액 라벨을 릴리스한다. 수액 라벨 파지부(701a 및 701b)는, 이 파지 및 릴리스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그 선단부에 각각, 개폐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한 쌍의 클로부(702a 및 702b)를 구비한다(도 49의 (a) 및 (b)도 참조). 또한, 한 쌍의 클로부(702a 및 702b)는, 총칭하여 한 쌍의 클로부(702)라고도 칭한다.
또한, 수액 라벨 파지부(701)는, 도 49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구(703)와, 한 쌍의 클로부(702)를 개폐시키는 파지부 구동 기구(704)와, 파지부 구동 기구(704)에 지지됨과 함께, 고정구(703)를 지지하는 지주(705)를 구비한다.
고정구(703)는, 지주(705)를 통해 파지부 구동 기구(704)와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고정구(703)는, 한 쌍의 클로부(702) 중 한쪽(여기서는 한쪽의 클로부(7021)라고 칭함)의, 수액 라벨을 파지하는 측과 반대측의 표면에 대향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고정구(703)는, 지주(705)로 지지됨으로써, 파지부 구동 기구(704)가 한 쌍의 클로부(702)의 개폐 동작을 실행해도, 그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한 쌍의 클로부(702)와 함께 이동하는 일이 없다.
고정구(703)에는, 한쪽의 클로부(7021)를 향해 연신되는 봉상 부재(703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클로부(7021)에는, 봉상 부재(703a)가 관통하는 것이 가능한 개구부(7021a)가 마련되어 있다. 봉상 부재(703a)는, 한 쌍의 클로부(702)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는, 개구부(7021a)를 관통하지 않는 위치(봉상 부재(703a)의 전체가 상기 반대측의 표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봉상 부재(703a)는, 한 쌍의 클로부(702)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는, 도 49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선단부가 개구부(7021a)로부터 한 쌍의 클로부(702)의 내측으로 돌출된 위치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클로부(702)가 개방되었을 때, 파지하고 있던 수액 라벨이, 정전기 등에 의해 한쪽의 클로부(7021)에 부착되어 있었다고 해도, 개구부(7021a)로부터 돌출된 봉상 부재(703a)에 의해, 한쪽의 클로부(7021)로부터 수액 라벨을 물리적으로 박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고정구(703)를 마련함으로써, 한 쌍의 클로부(702)가 개방되었을 때, 파지하고 있던 수액 라벨을 확실하게 릴리스할 수 있다. 즉, 고정구(703)는, 한 쌍의 클로부(702)에 부착된 수액 라벨을 박리하는 라벨 박리부로서 기능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쪽의 클로부(7022)에 고정구(703)가 마련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즉, 고정구(703)는, 한쪽의 클로부(7021) 및/또는 다른 쪽의 클로부(7022)에 마련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수액 라벨 파지부(701)는,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3 지지부(713)에 설치되어 있다. 즉, 제3 지지부(713)는, 수액 라벨 파지부(701)를 지지하고, 또한 수액 라벨 파지부(701)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이다.
제3 지지부(713)는, 대기 위치와, 라벨 파지 위치의 수액 라벨 수취부(403) 사이에 있어서 수액 라벨 파지부(701)를 이동시킨다. 또한, 제3 지지부(713)는, 반송 트레이(151a)의 상방의 위치(대기 위치와 동등한 높이의 위치)와, 반송 트레이(151a)의 근방 위치(라벨 릴리스 위치) 사이에 있어서 수액 라벨 파지부(701)를 이동시킨다. 또한, 대기 위치는, 수액 라벨 수취부(403)의 상방이며, 수액 라벨 수취부(403)에 수용된 수액 라벨의 파지를 대기하는 위치이다.
제1 지지부(711)는, 수액 라벨 파지부(701)를 지지하고, 또한 수액 라벨 파지부(701)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지지부(711)에는, 수액 라벨 파지부(701)가 설치된 제3 지지부(713)가,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액 라벨 파지부(701)는, 대기 위치와, 제1 지지부(711)의 중앙 부근 사이에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제2 지지부(712)는, 수액 라벨 파지부(701)를 지지하고, 또한 수액 라벨 파지부(701)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지지부(712)에는, 제3 지지부(713)가 설치된 제1 지지부(711)가,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액 라벨 파지부(701)는, 제1 지지부(711)의 중앙 부근과, 반송 트레이(151a)의 상방의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수액 라벨 불출 장치 및 수액 라벨 반송 기구의 동작>
다음으로, 수액 라벨 반송 기구(700)에 의한 수액 라벨의 파지 동작 및 반송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3의 (a)∼(d)는, 수액 라벨 반송 기구(700)에 의한 수액 라벨 La의 파지 동작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4의 (a)∼(d)는, 수액 라벨 반송 기구(700)에 의한 수액 라벨 La의 반송 동작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에서는, 제어부(1000)의 제어에 기초하여 제1 본체부(402)가 수액 라벨 La를 불출하면, 수액 라벨 La는 수액 라벨 수취부(403)에 수용된다. 제어부(1000)는, 수액 라벨 La가 규정된 매수 수용되었다고 판정하면, 도 4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액 라벨 La가 수용된 수액 라벨 수취부(403)의 개구부(403a)가 수액 라벨 파지부(701)측을 향하도록, 수액 라벨 수취부(403)를 회동시킨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어부(1000)는, 수액 라벨 파지부(701)를, 대기 위치로부터 수액 라벨 수취부(403)까지 이동시킨다.
도 4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000)는, 라벨 파지 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클로부(702)를 개방한 후, 도 43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클로부(702)를 폐쇄함으로써, 수액 라벨 수취부(403)에 수용된 수액 라벨 La를 파지한다. 도 43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000)는, 수액 라벨 La를 파지한 상태에서, 수액 라벨 파지부(701)를 대기 위치까지 인상한다. 또한 이때, 제어부(1000)는, 수액 라벨 La가 발취된 후, 개구부(403a)가 원래의 방향(제1 본체부(402)측)을 향하도록, 수액 라벨 수취부(403)를 회동시킨다.
또한, 수액 라벨 수취부(403)의 내부에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해 둠으로써, 제어부(1000)는, 그 내부에 수액 라벨 La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한 쌍의 클로부(702)(도시하지 않음)에 센서를 마련해 둠으로써, 제어부(1000)는, 한 쌍의 클로부(702)가 수액 라벨 La를 파지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제어부(1000)는 수액 라벨 수취부(403)에 마련된 센서와, 상술한 라벨 불출구(402a)에 마련된 라벨 계수부로부터의 통지를 받은 것을 트리거로 하여, 수액 라벨 파지부(701)에 의한 파지 동작을 개시시켜도 상관없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00)는, 제1 본체부(402)로부터 규정된 매수의 수액 라벨 La가 불출되고, 또한 수액 라벨 수취부(403)에 수액 라벨 La가 존재하는 것을 인식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상기 파지 동작을 개시시켜도 상관없다. 또한 이때, 제어부(1000)는, 개구부(403a)가 수액 라벨 파지부(701)측을 향하도록 수액 라벨 수취부(403)를 회동시킨다. 이 구성의 경우,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로부터 수액 라벨 La의 불출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받아 상기 파지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비해, 당해 파지 동작의 개시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도 44의 (a)는, 대기 위치에서, 수액 라벨 파지부(701)가 수액 라벨 La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도 4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000)는, 각 대기 위치까지 이동한 수액 라벨 파지부(701)를 제1 지지부(711)의 중앙 부근까지 이동시킨다. 제어부(1000)는, 수액 라벨 파지부(701)를 중앙 부근까지 이동시킨 후, 제1 지지부(711)를 관통 구멍(400h)의 상방(즉, 반송 트레이(151a)가 적재된 제2 위치 P102)까지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00)는, 수액 라벨 파지부(701)가 파지한 수액 라벨 La를, 당해 수액 라벨 La를 배치해야 할 반송 트레이(151a) 내의 위치(수액 라벨 적재 영역)의 상방까지 이동시킨다.
그 후, 도 44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000)는, 수액 라벨 La를 파지한 수액 라벨 파지부(701)를 강하시켜, 라벨 릴리스 위치에서 한 쌍의 클로부(702)를 개방함으로써 수액 라벨 La를 반송 트레이(151a)에 적재한다.
다음으로, 반송 트레이(151a)에 있어서의 수액 라벨 La의 적재 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5의 (a) 및 (b)는, 반송 트레이(151a)에 있어서의 수액 라벨 La의 적재 위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 트레이(151a)의 내부에는 소형 트레이(151b)가 4개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각 소형 트레이(151b)에는, 주사약이 불출되지 않고, 또한 수액 라벨 La가 불출되는 영역인 수액 라벨 적재 영역(151r)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수신한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나타난 내용물 정보에는, 아침 투여분, 점심 투여분, 저녁 투여분, 및 취침 전 투여분의 4개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도 4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4개의 소형 트레이(151b)를, 반송 트레이(151a)의 반송 방향으로부터 차례로, 소형 트레이(151b1, 151b2, 151b3 및 151b4)라고 칭한다. 또한, 소형 트레이(151b1, 151b2, 151b3 및 151b4)에는, 각각 아침 투여분, 점심 투여분, 저녁 투여분, 및 취침 전 투여분의 주사약이 불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수신한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는, 반송 트레이(151a)에 있어서의 주사약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연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어부(1000)는, 당해 처방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소형 트레이(151b1, 151b2, 151b3 및 151b4)로의 상기한 바와 같은 불출(주사약의 소정 위치로의 불출)을 실현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수신한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나타난 내용물 정보에 대해,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a 및 400b) 중 어느 것에서 인자하여 수액 라벨 La를 불출하는 것인지를 특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0)는, 아침 투여분 및 저녁 투여분의 수액 라벨 La를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a)로부터 불출시키고, 점심 투여분 및 취침 전 투여분의 수액 라벨 La를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b)로부터 불출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a)로부터 불출된 수액 라벨 La는, 소형 트레이(151b1)(반송 트레이(151a)의 1번째의 구획), 및 소형 트레이(151b3)(3번째의 구획)로 불출된다.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b)로부터 불출된 수액 라벨 La는, 소형 트레이(151b2)(2번째의 구획), 및 소형 트레이(151b4)(4번째의 구획)에 불출된다.
또한, 제어부(1000)는, 1번째의 불출 시에,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a)로부터 아침 투여분의 수액 라벨 La를 소형 트레이(151b1)에 불출시킴과 함께,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b)로부터 점심 투여분의 수액 라벨 La를 소형 트레이(151b2)에 불출시킨다. 도 4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번째의 불출 시에,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a)로부터 불출된 아침 투여분의 수액 라벨 La는, 수액 라벨 파지부(701a)에 의해 소형 트레이(151b1)의 수액 라벨 적재 영역(151r)으로 불출된다. 또한,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b)로부터 불출된 점심 투여분의 수액 라벨 La는, 수액 라벨 파지부(701b)에 의해 소형 트레이(151b2)의 수액 라벨 적재 영역(151r)에 불출된다.
또한, 제어부(1000)는, 2번째의 불출 시에,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a)로부터 저녁 투여분의 수액 라벨 La를 소형 트레이(151b3)에 불출시킴과 함께,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b)로부터 취침 전 투여분의 수액 라벨 La를 소형 트레이(151b4)에 불출시킨다. 도 4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번째의 불출 시에,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a)로부터 불출된 저녁 투여분의 수액 라벨 La는, 수액 라벨 파지부(701b)에 의해 소형 트레이(151b3)의 수액 라벨 적재 영역(151r)에 불출된다. 또한,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b)로부터 불출된 취침 전 투여분의 수액 라벨 La는, 수액 라벨 파지부(701b)에 의해 소형 트레이(151b4)의 수액 라벨 적재 영역(151r)에 불출된다.
또한, 상술한 수액 라벨 La의 불출 방법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어떠한 순서로 불출되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a)로부터 점심 투여분 및 취침 전 투여분의 수액 라벨 La가 불출되고,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b)로부터 아침 투여분 및 저녁 투여분의 수액 라벨 La가 불출되어도 상관없다. 또한, 1번째의 불출과 2번째의 불출이 반대여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의 각각에 대해 수액 라벨 파지부(701)와, 수액 라벨 파지부(701)를 반송하기 위한 제1 지지부(711) 및 제3 지지부(7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액 라벨 파지부(701)를 반송하기 위한 제2 지지부(712)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한 번의 불출에 있어서, 복수의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를 병행하여 동작시킴과 함께, 각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로부터 불출된 수액 라벨 La를, 반송 트레이(151a)의 소정의 위치(구획)로 반송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수액 라벨 La를 효율적으로 불출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 장치(13)는, 복수의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임의의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가 수액 라벨 La를 불출할 수 없게 되었다(당해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해도, 나머지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로, 임의의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의 불출분의 수액 라벨 La도 불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a)가 고장나거나, 또는 인자 시트가 없어지거나 하여 수액 라벨 La를 지불할 수 없게 된 경우라도,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a)의 불출분의 수액 라벨 La를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b)로부터 불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0)는, 수신한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나타나는 내용물 정보에 포함되는 각 정보(예: 상기 4개의 투여분)를 인자 시트에 차례로 인자함으로써, 각 정보에 관한 수액 라벨 La를,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b)로부터 불출시킨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의 효율화, 또는 장애 발생 시의 대체 처리에 대해 고려하지 않으면,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는 1대여도 상관없다. 또한,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는 3대 이상이어도 상관없다. 단 이 경우, 개개의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에 대응하여 수액 라벨 파지부(701) 등이 마련된다.
또한, 수액 라벨 반송 기구(700)에서는, 수액 라벨 파지부(701)가 수액 라벨 La를 파지함과 함께, 수액 라벨 파지부(701)를 제1 지지부(711), 제2 지지부(712) 및 제3 지지부(713)를 따라 이동시킨다. 그 때문에, 반송 트레이(151a)의 소정의 위치(예: 각 소형 트레이(151b)의 수액 라벨 적재 영역(151r))에 고정밀도로 적재할 수 있다.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 및 주사 처방전 반송 기구〕
다음으로,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6은,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의 일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b) 및 (c)는 주사 처방전 수취부(512)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의 상세>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는, 반송 트레이(151a)에 수용된 주사약을 나타내는 수용물 정보를 인자한 주사 처방전을 불출하는 것이다. 도 4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는, 제2 본체부(511) 및 주사 처방전 수취부(512)를 구비한다.
제2 본체부(511)는, 수신한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나타나는 주사약을 나타내는 수용물 정보를, 보관되어 있는 용지에 인자함으로써, 주사 처방전을 발행하는 것이다. 결품 정보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결품 정보에 나타나는 주사약에 대해서는, 주사약 불출 장치(100)로부터 반송 트레이(151a)에 불출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제2 본체부(511)는, 상기 처방 데이터에 나타나는 주사약 중, 결품 정보에 나타나는 주사약을 제외한 주사약에 관한 정보를, 수용물 정보로서 용지에 인자해도 상관없다. 또한, 제2 본체부(511)는, 주사 처방전을 주사 처방전 수취부(512)로 불출하는 주사 처방전 불출구(511a)를 갖는다.
주사 처방전 수취부(512)는, 제2 본체부(511)에서 발행된 주사 처방전을 수취하여, 당해 주사 처방전이 일시적으로 적재되는 개소이다. 도 4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사 처방전 수취부(512)는, 융기부(512a) 및 절결부(512b)를 갖는다.
융기부(512a)는, 제2 본체부(511)에서 발행된 주사 처방전을, 주사 처방전 수취부(512)의 저부(받침판)로부터 들어 올린 상태에서 수취하기 위한 것이다. 융기부(512a)는, 도 4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볼록형의 형상(만곡 형상)을 갖는 복수의 판상 부재이다.
판상 부재의, 주사 처방전 불출구(511a)측의 높이는, 주사 처방전 불출구(511a)로부터 불출된 주사 처방전이 판상 부재에 충돌하지 않을 정도로 낮게 되어 있다. 또한, 융기부(512a)의 중앙 부근보다 주사 처방전 불출구(511a)측에 있어서, 판상 부재의 높이가 최대로 되어 있다.
상기 높이가 최대로 되는 위치는, 주사 처방전 반송 기구(800)의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가 절결부(512b)측으로부터 주사 처방전을 파지하는 위치(또는 그 근방 위치)이다. 그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형상의 판상 부재를 융기부(512a)로서 마련함으로써,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의 파지가 용이해진다. 또한, 주사 처방전은, 도 4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융기부(512a)에 적재된다.
융기부(512a)는,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에 의한 주사 처방전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도록 주사 처방전을 들어 올리는 형상이면 된다. 예를 들어, 융기부(512a)는 복수의 판상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판상 부재와 마찬가지의 단면 형상을 갖는 하나의 부재여도 상관없다.
절결부(512b)는,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가 접근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는, 주사 처방전 수취부(512)에 접근하였을 때, 주사 처방전 수취부(512)와 접촉(충돌)하지 않고 주사 처방전을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는 2대 마련되어 있다. 제어부(1000)는, 수신한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의 일부에 나타나는 주사약(예: 소형 트레이(151b1 및 151b2)에 불출된 주사약)을 나타내는 주사 처방전을, 한쪽의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로부터 불출시킨다. 또한, 제어부(1000)는, 상기 처방 데이터의 나머지에 나타나는 주사약(예: 소형 트레이(151b3 및 151b4)에 불출된 주사약)을 나타내는 주사 처방전을, 다른 쪽의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로부터 불출시킨다. 또한,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는, 2대에 한정되지 않고, 1대여도 상관없고, 3대 이상이어도 상관없다.
<주사 처방전 불출 반송 기구의 상세>
다음으로, 주사 처방전 반송 기구(8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7의 (a) 및 (b)는, 주사 처방전 반송 기구(800)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주사 처방전 반송 기구(800)는, 도 4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 파지부 회동 기구(803), 제4 지지부(811) 및 제5 지지부(812)를 구비한다.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는, 주사 처방전 수취부(512)에 불출된 주사 처방전을 파지(끼움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는, 파지한 주사 처방전을 반송 트레이(151a)에 적재하기 위해, 반송 트레이(151a) 상에서 주사 처방전을 릴리스한다.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는, 이 파지 및 릴리스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개폐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한 쌍의 클로부(802)를 구비한다.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는, 한 쌍의 클로부(802)의 방향이 변경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는, 파지부 회동 기구(803)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파지부 회동 기구(803)는, X축 방향으로 연신되는 축부와, 축부를 회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축부에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파지부 회동 기구(803)는, 구동 기구에 의해 축부를 회동시킴으로써, 한 쌍의 클로부(802)를 당해 축부의 주위로 회동시킨다.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는, 예를 들어 주사 처방전 파지 위치 P201 및 주사 처방전 승강 위치 P202에서는, 도 4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클로부(802)를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의 주사 처방전 수취부(512)를 향하게 하고 있는(+Y축 방향을 향하게 하고 있는) 상태이다. 주사 처방전 파지 위치 P201은,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가 주사 처방전 수취부(512)에 적재된 주사 처방전을 파지할 때의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의 위치이다. 또한, 주사 처방전 승강 위치 P202는, 제5 지지부(812)가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Z축 방향으로 이동(승강)시킬 때의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의 위치이다.
예를 들어 이 상태로부터, 한 쌍의 클로부(802)가 비스듬히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회동시킨 상태가, 도 47의 (b)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로의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의 회동은, 예를 들어 주사 처방전 승강 위치 P202에서 행해진다. 또한,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는, 주사 처방전 불출 위치에서는, 도 48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클로부(802)가, 제3 위치 P103에 적재된 반송 트레이(151a)를 향하도록(-Z축 방향을 향하도록) 회동된다. 주사 처방전 불출 위치는,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가 파지하고 있는 주사 처방전을 릴리스하여 반송 트레이(151a)에 적재할 때의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의 위치이다.
이와 같이, 파지부 회동 기구(803)는, +Y축 방향과 -Z축 방향 사이에서 한 쌍의 클로부(802)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회동시킨다.
제4 지지부(811)는, 파지부 회동 기구(803)를 통해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지지하는 것이다. 제4 지지부(811)는,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이다. 제4 지지부(811)는, 주사 처방전 수취부(512)에 적재된 주사 처방전을 파지할 때,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 및 파지부 회동 기구(803)를 주사 처방전 파지 위치 P201까지 이동시킨다. 한편, 제4 지지부(811)는, 주사 처방전을 파지한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반송 트레이(151a) 근방까지 강하시킬 때,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 및 파지부 회동 기구(803)를 주사 처방전 승강 위치 P202까지 이동시킨다.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는, 한 쌍의 클로부(802) 외에, 한 쌍의 클로부(802)의 개폐 동작을 실행하는 개폐 동작 기구 등을 구비한다. 또한, 파지부 회동 기구(803)는,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회동시키는 구동 기구 등을 구비한다. 그 때문에, 제4 지지부(811)에 설치되는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 및 파지부 회동 기구(803)를 포함하는 부재는, 어느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 및 파지부 회동 기구(803)를 주사 처방전 파지 위치 P201로부터 그대로 반송 트레이(151a)측으로 강하시킨 경우,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 또는 파지부 회동 기구(803)가 주사 처방전 수취부(512)와 접촉(충돌)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 및 파지부 회동 기구(803)의 승강 시에, 주사 처방전 파지 위치 P201로부터 주사 처방전 승강 위치 P202로 이동시킴으로써,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 또는 파지부 회동 기구(803)와 주사 처방전 수취부(512)의 접촉을 피할 수 있다.
제5 지지부(812)는,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지지하는 제4 지지부(811)를 지지하는 것이다. 제5 지지부(812)는, 제4 지지부(811)(즉,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이다. 제5 지지부(812)는,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터 장치(13)의 제3 위치 P103의 근방에서 기립 설치되어 있고, 제3 위치 P103의 근방과,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의 상방에 마련된 2대의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 사이에서의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즉,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대의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는, 제5 지지부(812)를 따라,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의 상방에 마련되어 있다.
<주사 처방전 반송 기구의 동작>
다음으로, 주사 처방전 반송 기구(800)에 의한 주사 처방전 Pr의 반송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8의 (a)∼(d)는, 주사 처방전 반송 기구(800)에 의한 주사 처방전 Pr의 반송 동작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는, 주사 처방전 Pr의 반송 동작을 행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도 48의 (c)에 도시하는 위치(하단의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와 제3 위치 P103 사이의 위치; 대기 위치)에 대기하고 있다.
제2 위치 P102에서, 반송 트레이(151a)에 대한 인자, 및 수액 라벨의 적재가 완료되면, 제어부(1000)는, 트레이 반송 기구(900)를 제어함으로써, 반송 트레이(151a)를 제3 위치 P103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제어부(1000)는,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에 수용물 정보를 인자한 주사 처방전 Pr을 불출시킨다. 또한, 제어부(1000)는, 제3 위치 P103으로 반송 트레이(151a)가 반송되기 전에(예를 들어, 반송 트레이(151a)가 제2 위치 P102에 적재되고, 상기 인자 및 수송 라벨의 적재가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에 주사 처방전 Pr을 불출시켜도 상관없다.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에 의한 주사 처방전 Pr의 불출이 완료되면, 제어부(1000)는, 제5 지지부(812)를 제어함으로써, 대기 위치로부터 주사 처방전 Pr을 불출한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까지,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이동시킨다.
또한, 제2 본체부(511)의 주사 처방전 불출구(511a)에는, 주사 처방전 수취부(512)에 불출되는 주사 처방전 Pr을 계수하는 주사 처방전 계수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주사 처방전 계수부(예: 센서)로부터의 통지에 의해, 제어부(1000)는, 규정된 매수의 주사 처방전 Pr이 불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0)는, 이 통지를 받은 것을 트리거로 하여, 대기 위치로부터 주사 처방전 Pr을 불출한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까지의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의 이동(즉,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에 의한 주사 처방전 Pr의 파지 동작)을 개시시켜도 상관없다. 이 구성의 경우,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로부터 주사 처방전 Pr의 불출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받아 상기 이동을 행하는 경우에 비해, 당해 이동의 개시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주사 처방전 Pr을 불출한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로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이동시킨 후, 도 4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지지부(811)를 제어함으로써, 주사 처방전 승강 위치 P202로부터 주사 처방전 파지 위치 P201로 이동시킨다. 제어부(1000)는,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제어함으로써, 주사 처방전 수취부(512)에 적재되어 있는 주사 처방전 Pr을 파지한다. 또한, 제어부(1000)는, 예를 들어 한 쌍의 클로부(802)에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해 둠으로써, 한 쌍의 클로부(802)가 주사 처방전 Pr을 파지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1000)는, 주사 처방전 Pr을 파지한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제3 위치 P103까지 반송하기 위해, 도 4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지지부(811)를 제어함으로써,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주사 처방전 파지 위치 P201로부터 주사 처방전 승강 위치 P202로 이동시킨다.
제어부(1000)는, 주사 처방전 Pr을 파지한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주사 처방전 승강 위치 P202로 이동시킨 후, 도 48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5 지지부(812)를 제어함으로써,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대기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대기 위치에서 일단 정지(감속)시킨다. 이 위치에서 일단 감속함으로써,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가 반송 트레이(151a)에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제어부(1000)는, 도 48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5 지지부(812)를 제어함으로써,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대기 위치로부터 제3 위치 P103에 적재된 반송 트레이(151a)의 근방까지 이동시킨다. 그 후, 제어부(1000)는, 파지부 회동 기구(803)를 제어함으로써, 한 쌍의 클로부(802)가 반송 트레이(151a)측을 향하도록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회동시킴과 함께,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제어함으로써, 주사 처방전 Pr을 파지하고 있는 한 쌍의 클로부(802)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반송 트레이(151a)에 주사 처방전 Pr을 적재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클로부(802)를 회동시키면서 개방함으로써, 반송 트레이(151a)에 주사 처방전 Pr을 가만히(즉, 확실하게) 적재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000)는, 파지부 회동 기구(803)를 제어함으로써, 한 쌍의 클로부(802)를 Y축 방향을 향하게 한 후, 제5 지지부(812)를 제어함으로써,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대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가 주사 처방전 Pr을 불출할 때까지 대기 상태가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지부 회동 기구(803)는, 주사 처방전 승강 위치 P202에 있어서, 한 쌍의 클로부(802)가 비스듬히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회동시킨다. 그 후, 제5 지지부(812)가, 주사 처방전 승강 위치 P202로부터 대기 위치까지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강하시킨다. 즉, 주사 처방전 Pr을 비스듬히 하향으로 한 상태에서 강하시킨다.
주사 처방전 Pr은, 일반적으로, A4 사이즈 정도의 용지이다. 주사 처방전 Pr을 파지하였을 때의 상태에서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그대로 강하시킨 경우, 주사 처방전 Pr의 표면 전체에서 공기압을 받게 된다. 그 때문에, 받은 공기압에 기인하여 주사 처방전 Pr이 구부러질 가능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사 처방전 Pr을 비스듬히 하향으로 한 상태에서 강하시킴으로써, 강하 시의 공기압에 의해 주사 처방전 Pr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린터 장치(13)는, 주사 처방전 반송 기구(800)를 구비함으로써,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가 불출한 주사 처방전을, 제3 위치 P103에 적재된 반송 트레이(151a)에 적재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를 구비하는 경우라도, 복수의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가 마련된 각각의 위치에 반송 트레이(151a)를 이동시키는 일 없이, 주사 처방전을 불출할 수 있다.
또한,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를 구비함으로써, 임의의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가 주사 처방전을 불출할 수 없게 되었다고 해도, 나머지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로, 임의의 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의 불출분의 주사 처방전도 불출할 수 있다.
또한, 주사 처방전 반송 기구(800)에서는,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가 주사 처방전을 파지함과 함께, 주사 처방전 파지부(801)를 제4 지지부(811) 및 제5 지지부(812)를 따라 이동시킨다. 그 때문에, 주사 처방전을 반송 트레이(151a)에 확실하게 적재할 수 있다.
〔결품전 불출 장치〕
결품전 불출 장치(600)는, 제어부(1000)의 제어에 기초하여, 결품전을 반송 트레이(151a)에 불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결품전 불출 장치(600)는, 반송 트레이(151a)에 수용되어야 할 주사약이 반송 트레이(151a)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당해 주사약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비수용물 정보를 인자한 결품전을, 반송 트레이(151a)에 불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품전 불출 장치(600)는 서멀 프린터이지만, 결품전을 불출하는 것이 가능하면, 어떠한 프린터여도 상관없다.
결품전 불출 장치(600)는, 예를 들어 수신한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결품 정보가 연관되어 있는 경우에, 비수용물 정보로서 결품 정보를 인자한 결품전을 낙하시킴으로써, 제3 위치 P103으로 반송된 반송 트레이(151a)에 결품전을 적재한다.
〔상기 구성의 다른 표현〕
상기 구성에 대해, 이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A]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라벨 불출 장치는, 약제(주사약)를 반송하는 트레이(반송 트레이(151a), 소형 트레이(151b))에 라벨(수액 라벨 La)을 불출하는 라벨 불출 장치이며,
상기 라벨을 불출하는 라벨 불출부(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와,
상기 라벨 불출부가 불출한 라벨을 파지하여, 상기 트레이로 반송하는 라벨 반송부(수액 라벨 반송 기구(700))를 구비한다.
약제 불출 장치에 의해 트레이에 불출되는 약제가 주사약인 경우, 당해 주사약과 함께 수액 용기가 사용된다. 그 때문에, 당해 주사약이 불출되는 트레이에는, 수액 용기의 내용물을 나타내는 내용물 정보를 인자한 수액 라벨이 불출된다. 이러한 수액 라벨을 불출하는 라벨 불출 장치를 포함하는 프린터 장치의 일례가, 예를 들어 특허문헌 2∼5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기술에서는, 제1 프린터는, 인쇄한 첩부 라벨을 트레이에 낙하 투입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프린터로부터 불출된 첩부 라벨은, 트레이에 직접 수용된다. 또한, 특허문헌 3의 기술에서는, 트레이를 보유 지지하는 트레이 보유 지지부와 라벨에 인자하는 인자부 사이에 분배부를 구비한다. 분배부는, 복수의 라벨 수용부를 구비하고, 또한 소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당해 기술에서는, 인자된 라벨을 라벨 수용부에 공급하는 공급 동작과, 트레이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된 트레이 내의 구획에 낙하시키는 불출 동작을 행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구획으로 구획된 트레이에 대해, 고효율로 라벨을 불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약제 정보 인쇄물을 불출하는 프린터(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에 상당)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약제 정보 인쇄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의 하부에 마련되고, 약제 정보 인쇄물을 수취하는 받침판의 지지부를 요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약제 정보 인쇄물을 파지한 파지 부재의 승강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특허문헌 5의 기술에서는, 약품 자동 불출 장치는, 인쇄물을 인쇄하고, 또한 트레이에 투입하는 프린터 유닛의 하부에, 트레이에 마련된 전자 카드에 환자 정보를 기입하는 전자 카드 기입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린터 유닛이 인쇄물을 트레이에 투입하는 동안에, 환자 정보를 전자 카드에 기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기술에서는, 첩부 라벨을 낙하 투입하므로, 트레이의 소정 위치에 첩부 라벨을 적재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특허문헌 3의 기술에서는, 복수의 구획의 각각에 라벨을 불출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각 구획의 소정 위치에 라벨을 적재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문헌 4 및 5에는, 라벨의 불출에 관한 기재는 없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라벨 불출 장치는, 라벨의 불출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라벨 불출 장치는, 라벨 불출부가 불출한 라벨을 파지하여 트레이로 반송하는 라벨 반송부를 구비한다. 라벨을 파지하여 반송하므로, 트레이의 소정 위치(예: 트레이에 있어서 규정된 라벨 적재 영역)에 라벨을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라벨 반송부를 마련하지 않고, 라벨 불출부(라벨 인자부)에 대해 트레이를 이동시킴으로써, 트레이의 소정 위치로 라벨을 불출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경우, 트레이를 이동시키므로,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기구는 복잡한 기구가 된다. 그 때문에, 당해 기구의 제조 또는 메인터넌스에 수고를 요할 가능성이 있다. 라벨 반송부는, 트레이와 비교하여 작고 또한 가벼운 라벨을 트레이까지 반송 가능한 구성이면 되므로,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기구보다 간이한 구조가 된다. 그 때문에,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경우보다, 간이한 구조로 트레이의 소정 위치에 라벨을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개시된 바와 같이, 라벨 불출 장치와 연동하는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약제 이동부는, 약제를 흡착하는 흡착 기구를 갖고 있고, 흡착한 약제를, 트레이의 소정 위치에 고정밀도로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트레이에 라벨 적재 영역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약제 불출 장치는, 라벨 적재 영역을 마련할 수 있도록, 약제를 트레이로 불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는 복수의 구획(소형 트레이)으로 분할되어 있고, 당해 구획 내에 라벨 적재 영역이 마련되어 있다. 즉, 라벨 적재 영역은, 라벨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을 정도의 비교적 좁은 영역이다. 그 때문에, 라벨을 고정밀도로 트레이에 적재할 필요가 있다.
즉, 라벨 불출 장치는, 본 실시 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와 같이, 트레이의 소정 위치에 고정밀도로 약제를 불출하는 장치와 연동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게 기능한다.
[B]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인자 장치(프린터 장치(13))는, 약제(주사약)를 반송하는 트레이(반송 트레이(151a), 소형 트레이(151b))에 수용된 약제에 관한 정보를 인자하는 인자 장치이며,
상기 트레이의 반송처를 나타내는 반송처 정보를, 상기 트레이의 소정 위치에 기입하는 트레이 기입부(반송 트레이 인자 장치(300))와,
수액 용기에 첩부되는 수액 라벨을 상기 트레이에 불출하는 수액 라벨 불출부(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와,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약제를 나타내는 수용물 정보를 인자한 수용물 인자 시트(주사 처방전 Pr)를 불출하는 제1 시트 불출부(주사 처방전 불출 장치(500))와,
상기 트레이에 수용되어야 할 약제가 상기 트레이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당해 약제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비수용물 정보(결품 정보)를 인자한 비수용물 인자 시트(결품전)를 불출하는 제2 시트 불출부(결품전 불출 장치(600))를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트레이 기입부, 수액 라벨 불출부, 제1 시트 불출부 및 제2 시트 불출부를 하나의 하우징 내에 마련하고 있으므로, 약제 불출 시스템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특허문헌 2∼5의 기술에서는, 이들 4개의 구성을 하나의 하우징에 마련하는 것에 대한 개시는 없다.
또한, 트레이 기입부, 수액 라벨 불출부 및 제1 시트 불출부 외에도, 제2 시트 불출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전단에 마련된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불출 대상이 된 약제가 결품인 것을, 트레이 내에 수용된 약제를 감사하는 유저에게 통지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 3≫
이하에, 주로,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또 다른 구성 및 처리, 그리고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주변 장치인 프린터 장치(13)의 또 다른 구성 및 처리 등에 대해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 또는 구체적으로 기재한 부분도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주사약 불출 장치의 다른 예〕
<카세트 보유 지지부의 다른 예>
먼저, 도 51 및 도 52를 사용하여, 카세트 보유 지지부(135)에 대해 설명한다. 도 51은, 카세트 보유 지지부(135)를 구비한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2는,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2의 (a)는,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의 개략적인 분해 단면도이고, (b)는 구름 방지 시트(136c)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c)는 광원(136d)이 점등된 상태에 있어서의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예의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서는, 도 5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 대신에, 카세트 보유 지지부(135)가 마련되어 있다. 카세트 보유 지지부(135)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130c), 및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를 구비하고 있다. 즉, 카세트 보유 지지부(135)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d)(도 6 참조)를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로 바꾼 것이다.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130c), 및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와 마찬가지로, 각각 카세트 수납 위치(131a∼131d)와 처리 위치(132a∼132d) 사이를 이동한다.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는, 카세트(Ca)를 보유 지지함과 함께, 주사약(반품약)을 보유 지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는, 주사약의 불출 동작 시에, 불출 대상의 주사약이 수용된 카세트(Ca)를 보유 지지하는 한편, 주사약의 반품 동작 시에,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도 16 참조)로부터 취출된 반품약을 보유 지지한다. 즉, 주사약 반품 시의 동작에 있어서, 방향 정렬 카세트(162)를 사용하는 대신에,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가 사용된다.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는, 도 5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136a), 편광 시트(136b) 및 구름 방지 시트(136c)가 하방으로부터 차례로 적층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즉, 구름 방지 시트(136c)의 표면에 있어서, 카세트(Ca) 또는 반품약이 보유 지지된다.
기판(136a)에는, 복수의 광원(136d)(백라이트)이 배치되어 있다. 기판(136a) 및 광원(136d)은 광 출사층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136d)은, 적색광을 출사하는 적색 광원이다. 또한, 광원(136d)은,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로 실현된다.
또한, 광원(136d)으로부터의 광을 구름 방지 시트(136c)의 표면 전체로부터 대략 균일하게 출사할 수 있는 것이면, 광원(136d)의 수는 1개여도 된다. 또한, 광 출사층이, 예를 들어 (1) 복수의 광원(136d)과, (2) 복수의 광원(136d)을 측면에 구비하고, 광원(136d)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상면에 적재된 편광 시트(136b)로 유도하는 도광로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편광 시트(136b)는, 광원(136d)으로부터 수광한 광을 소정 방향(예: 편광 시트(136b)의 표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정렬시켜, 구름 방지 시트(136c)측으로 출사하는 것이다.
구름 방지 시트(136c)는, 그 표면에 적재된 반품약이 구르지 않도록 하기 위한 시트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52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름 방지 시트(136c)에는, 대략 반구상의 복수의 돌기부(136c1)가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 돌기부(136c1)에 의해, 적재된 반품약의 구름이 방지된다. 복수의 돌기부(136c1)는, 반품약의 구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떻게 배치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구름 방지 시트(136c) 및 돌기부(136c1)는, 편광 시트(136b)를 투과한 광원(136d)으로부터의 광을 투과 가능한 재질(예: 아크릴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광원(136d)은, 반품약이 적재된 상태에서 점등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b)는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를 촬상한다. 그 결과, 도 52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품약 MD의 윤곽이 선명한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즉,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b) 및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는, 반품약 MD의 윤곽을 검출하는 윤곽 검출부(에지 검출부)로서 기능한다.
광원(136d)이 적색 광원인 경우, 예를 들어 백색광을 출사하는 백색 광원을 사용한 경우보다,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 주사약과 그 주위의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반품약의 하방으로부터 광을 조사하고, 또한 편광 시트(136b)에서 그 광의 진행 방향을 정렬시켜 출사시킴으로써,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 반품약의 윤곽을 더 명료하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136c1)가 대략 반구상이고, 또한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촬상한 화상에는, 화상 처리로 소거할 수 있을 정도의 돌기부(136c1)의 그림자밖에 비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반품약의 윤곽이 선명한 화상을 취득할 수 있는 결과, 반품약의 형상 모델을 고정밀도로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는, 주사약의 불출 동작 시에, 불출 대상의 주사약을 수용한 카세트(Ca)가 적재되는 적재대이며, 주사약의 반품 동작 시에, 반품약의 형상 등을 취득하기 위해 반품약이 적재되는 적재대이다.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는, 이 2개의 기능을 공유하는 부재이다.
또한, 반품약의 윤곽이 선명한 화상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처리 위치(132)에 있어서,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의 하방으로부터 광이 조사되면 된다. 그 때문에, 광원(136d)이, 반드시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에 마련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처리 위치(132d)에 마련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d) 대신에 마련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130d) 중 적어도 어느 것 대신에 마련되어도 상관없다.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가 복수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반품약을 각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에 적재한 상태에서 촬상하고, 반품약의 윤곽이 가장 선명하게 취득된 화상을 형상 모델 작성을 위한 화상으로서 채용해도 상관없다. 또한, 각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에 있어서, 광원(136d)의 종류 또는 출력 등을 변경해도 상관없다.
또한, 형상 모델을 고정밀도로 작성할 것을 고려하지 않으면, 반드시 상기한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을 필요는 없다.
이 경우,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에 적재된 반품약의 촬상 시에, 반품약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을 정도의 조도를 갖는 광이 조사되면 된다. 그 때문에, 광원(136d)은 적색 광원이 아니라, 다른 색의 광을 출사하는 광원(예: 백색광원)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광원(136d)은, 예를 들어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의 표면의 단부에 마련되어도 상관없고,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 이외의 개소(예: 처리 위치(132d) 및 위치 변경부(126)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기판(136a) 및 편광 시트(136b)는 불필요하고, 구름 방지 시트(136c)는 광 투과성을 갖고 있을 필요는 없다. 따라서 이 경우,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d)에 돌기부(136c1)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돌기부(136c1)의 형상은, 대략 반구상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의 표면의 중앙 부근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봉상이어도 상관없다.
<조명 부재>
다음으로, 도 6 및 도 53을 사용하여, 처리 위치(132)에서의 촬상 시에 사용되는 조명 부재(128 및 129)의 배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3은, 조명 부재(128 및 129)의 개략적인 배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5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의 근방에는, 조명 부재(128 및 129)가 마련되어 있다.
조명 부재(128)는, 주사약의 불출 동작 시에, 처리 위치(132)에 있어서 카세트(Ca)를 촬상할 때, 카세트(Ca)에 광을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조명 부재(128)는, 주사약의 반품 동작 시에, 처리 위치(132)에 있어서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도 12 참조)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도 13 참조)를 촬상할 때, 이들 카세트에 광을 조사하는 것이다. 조명 부재(128)는, 도 6 및 도 5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a 및 122b)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조명 부재(129)는, 주사약의 반품 동작 시에, 처리 위치(132)에 있어서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를 촬상할 때,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에 광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c)에 의해 보유 지지된다. 그 때문에, 조명 부재(129)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b)의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조명 부재(128 및 129)의 배치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를 구비하는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 있어서도, 카세트 보유 지지부(135)를 구비하는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 있어서도 동일해도 된다.
<카세트 보관 예>
다음으로, 카세트 선반(110)에 있어서의 카세트 보관 예에 대해,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카세트 선반(110)에, 카세트(Ca),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 및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가 보관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카세트가 카세트 선반(110)에 보관되어 있는 경우(즉, 방향 정렬 카세트(162)가 보관되어 있지 않은 경우),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로서 카세트 보유 지지부(135)를 구비하고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카세트 선반(110)의 최하단에,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 및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가 보관되어 있고, 그 1단 위의 최단부에,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가 보관되어 있다. 그리고 그 이외의 개소에 카세트(Ca)가 보관되어 있다. 도 5에서는, 각종 카세트의 개수 및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고, 각종 카세트의 개수 및 배치는, 주사약 불출 장치(100)가 설치되는 병원의 결정(운용)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되면 된다.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는,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에 수용된 주사약 중, 불출 불가(또는 재이용 불가)라고 판별된 주사약 또는 물품을 수납한다.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는, 불출 대상으로서 카세트 선반(110)(고내)에 도입하지 않는 주사약 또는 물품을 수용하는 카세트라고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는, 반품약으로서, 불출 대상으로 할 수 없는 주사약, 또는 주사약의 형상과는 상이한 형상을 갖는 물품을 수납한다. 불출 대상으로 할 수 없는 주사약으로서는, 예를 들어 냉소 보존을 필요로 하는 주사약(냉소 보존 요약제), 약품 마스터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주사약(예: 신약), 및 유효 기한 만료의 주사약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주사약이 수용된 상자(상자에 들어있는 약제), 및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에 격납 불가능한 크기를 갖는 주사약 또는 물품을 들 수 있다.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는,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반품약 또는 물품을 수납 가능하도록, 특별의 칸막이 등이 없는 구성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카세트 선반(110)에는, 그 용도에 따른 복수 종류의 카세트가 보관된다. 구체적으로는, 카세트 선반(110)에는, 적어도, 동종의 약제를 수용하는 특정 약제 수용 카세트와, 2종류 이상의 약제를, 그 배치 위치를 특정한 상태에서 수용하는 혼합 약제 수용 카세트가 보관된다. 특정 약제 수용 카세트는, 불출 대상이 될 수 있는 주사약이 수용되는 카세트(Ca)이다. 혼합 약제 수용 카세트는, 배치 위치를 특정하고, 또한 정렬된 상태로 반품약을 수용하는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및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세트(Ca)의 카세트 고유 정보와, 카세트(Ca)에 수용된 주사약의 종류를 나타내는 주사약 식별 정보는, 연관되어 기억부(180)에 기억되어 있다. 그 때문에,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처방 데이터에 나타나는 주사약의 종류에 기초하여, 불출 대상이 되는 주사약이 수용된 카세트(Ca)를 특정함과 함께, 당해 주사약의 형상 마스터에 기초하여, 카세트(Ca)에 수용된 주사약의 흡착 위치를 특정한다.
한편,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에 수용된 반품약에 대해서는, 그 배치 위치 및 종류가 연관되어 기억부(180)에 기억되어 있다. 그 때문에,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처방 데이터에 나타나는 주사약의 종류에 기초하여, 불출 대상이 되는 반품약이 수용된 카세트, 및 그 배치 위치를 특정하고, 당해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흡착 위치를 특정한다.
그 때문에,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처방 데이터에 나타나는 주사약의 종류에 기초하여, 카세트(Ca),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에 수용된 주사약(반품약)을 불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주사약의 불출 동작 시에는, 카세트(Ca),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및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 중 적어도 어느 것을 카세트 선반(110)으로부터 취출하고, 카세트 보유 지지부(135)에 일시적으로 보유 지지한다. 그 후, 처리 위치(132) 및 위치 변경부(126)에 있어서 주사약 불출을 위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술한 특정 처리는, 카세트(Ca),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를 카세트 선반(110)으로부터 취출하여, 주사약(반품약을 포함함)의 종류 및 유효 기한을 특정할 때까지의 처리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특정 처리는,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를 카세트 선반(110)으로부터 취출하여, 반품약의 형상을 특정할 때까지의 처리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카세트 선반(110)의 수용 대상이 되는 카세트로서는, 방향 정렬 카세트(162)도 들 수 있다. 이 경우, 카세트 보유 지지부로서는, 적재 대상이 카세트 뿐인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가 마련되어 있어도 상관없고, 광원(136d)을 구비하고, 적재 대상이 카세트 및 반품약인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를 구비하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5)가 마련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카세트 선반(110)에 보관되는 카세트로서는, 카세트(Ca),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 방향 정렬 카세트(162),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 및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를 들 수 있다. 즉, 카세트 선반(110)에 보관되는 m개의 카세트는, 카세트(Ca)에만 한정되지 않고, (1) 카세트(Ca)와, (2)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 방향 정렬 카세트(162),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 및/또는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로 구성되어도 상관없다.
<주사약 반품 시의 동작의 다른 예>
다음으로, 주사약 반품 시의 동작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4는, 반품약에 대한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이송 제어부(191)는, 카세트 이송부(140)에 의해,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및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를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로 이송한다(SG1). 본 예에서는,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및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는 각각, 카세트 수납 위치(131c)에 존재하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c), 카세트 수납 위치(131b)에 존재하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b), 카세트 수납 위치(131a)에 존재하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에 적재된다. 단, 이 나열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구동 제어부(192)는,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 및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를 처리 위치(132)로 이동시킨다(SG2). 그 후, 제어부(190)는,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및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를 촬상하기 위해, 조명 부재(128)를 점등시킨다. 제어부(190)는, 조명 부재(128)를 점등시킨 상태에서 이들 카세트를 촬상한 후, 조명 부재(128)를 소등한다.
여기서,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130c)에 있어서, 카세트(Ca),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및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의 위치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130c)에 적재될 때마다 다소 어긋난다. 그 때문에, 제어부(190)는, 이들 카세트가 적재될 때마다, 처리 위치(132)에 있어서 당해 카세트의 화상을 촬상하고, 각 카세트의 소정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화상 좌표계(화상 좌표계를 변환한 세계 좌표계)와 로봇 좌표계의 위치 관계를 규정한다. 이에 의해, 각 카세트의 위치 어긋남을 보상할 수 있으므로,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정확한 흡착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반송 제어부(193)는,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및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의 소정 위치에, 주사약을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방향 정렬 카세트(162)가 사용되는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위치 관계를 규정함으로써,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d)에 대한 방향 정렬 카세트(162)의 위치 어긋남을 보상해도 상관없다. 또한,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및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로부터 반품약을 불출할 때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b)에 의해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의 내부를 촬상하고, 당해 내부를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반품약의 위치(및 배향)를 해석하여, 약제 반송부(121)에 의한 흡착 위치를 결정한다(SG3).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당해 화상의 촬상을 위해 조명 부재(129)를 점등하고, 촬상 완료 후에 소등한다. 조명 부재(129)로부터 출사된 광은 반품약에서 반사된다. 그 때문에,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의 백색 영역(광의 반사가 반영된 영역)을 반품약으로 추정할 수 있다.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의 백색 영역의 대략 중심을 흡착 위치로서 특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세트(Ca)에 수용된 주사약의 흡착 위치의 결정에 있어서는, 화상의 보정 처리가 행해진다. 카세트(Ca)의 경우, 수용되어 있는 주사약의 종류는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당해 주사약의 주사약 폭 정보를 사용하여 흡착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에는, 복수 종류의 반품약이 혼재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또한,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로부터 반품약을 취출하는 시점에 있어서는, 당해 반품약의 종류는 불분명하다. 그 때문에, 주사약 폭 정보를 사용하여 상술한 위치 어긋남의 보정을 행한 후의 흡착 위치를 산출할 수 없으므로,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로부터 반품약을 취출할 때에는, 반품약의 종류에 의하지 않고 소정의 폭 정보(예: 폭 20㎜)를 사용하여 흡착 위치를 산출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처리는, 도 15의 SB3 및 SB5에 있어서 마찬가지로 행해져도 상관없다.
반송 제어부(193)는, 흡착 위치 결정부(194)가 결정한 흡착 위치에서, 약제 반송부(121)에 의해 반품약을 흡착하여,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로부터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로 반송한다(SG4).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로 반품약이 반송되면, 제어부(190)는, 광원(136d)을 점등시킨 후,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b)에 의해,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에 적재된 반품약을 촬상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원(136d)을 점등시킴으로써, 당해 반품약의 윤곽이 선명한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어부(190)는, 당해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약품의 배향(각도 0°∼360), 형상 및 크기를 고정밀도로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90)는, 스텝 SG3에서의 촬상 시보다, 흡착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사약 불출 장치(100)에서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b)라고 하는 하나의 카메라로 촬상된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반품약의 취출 및 반품약의 형상 특정이 행해진다.
제어부(190)는, 특정한 반품약의 형상이, 미리 기억부(180)에 기억된 규정 형상에 준한 형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G5). 규정 형상이라 함은, 주사약(예: 앰플, 바이알)으로서 일반적으로 상정되는 대강의 형상을 가리킨다. 제어부(190)는, 특정한 반품약의 형상과 규정 형상을 대조하여, 그 일치도가 소정값 이상이면, 당해 반품약의 형상이 규정 형상에 준한 형상이라고 판정한다. 여기서는, 적재된 반품약이, 명백하게 주사약과는 상이한 물품(예: 주사약이 수용된 상자)인지 여부가 판정되면 되고, 상기 소정값은, 당해 물품과 주사약을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190)는, 스텝 SG5에 있어서,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에 적재된 반품약이, 주사약 자체인지, 주사약과는 상이한 물품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190)가, 특정한 반품약의 형상이 규정 형상에 준한 형상이라고 판정한 경우(SG5에서 "예"), 반송 제어부(193)는, 제어부(190)(구체적으로는 흡착 위치 결정부(194))가 특정한 흡착 위치에서, 약제 반송부(121)에 의해 반품약을 흡착한다. 그리고 반송 제어부(193)는,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로부터 제1 탑재부(126a)로 반송한다(SG6).
반송 제어부(193)는, 약제 반송부(121)를 제어함으로써, 반품약의 배향이 소정 방향(예: 반품약의 헤드부가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앞쪽)이 되도록, 제1 탑재부(126a)에 반품약을 적재한다. 반송 제어부(193)는,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에 주사약이 적재되었을 때에 특정된 반품약의 배향에 기초하여, 반품약의 반송 중에, 반품약의 헤드부가 상기 소정 방향을 향하도록 조정한다.
한편, 제어부(190)가, 특정한 반품약의 형상이 규정 형상에 준한 형상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SG5에서 "아니오"), 당해 반품약은 주사약과는 상이한 물품이므로,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에 수용되는 대상이 된다. 당해 반품약은, 제1 탑재부(126a)에 적재할 수 없거나, 적재할 수 있다고 해도, 그 종류 및 유효 기한을 특정할 수 없으므로, 제1 탑재부(126a)로 반송되는 일 없이,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에 수용된다.
그 때문에, 스텝 SG5에서 "아니오"인 경우, 구동 제어부(192)는, 처리 위치(132)에 존재하는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를, 카세트 수납 위치(131)로 이동시킨다. 그 후, 이송 제어부(191)는, 카세트 수납 위치(131)로 이동해 온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를 카세트 선반(110)으로 복귀시키고,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를 카세트 선반(110)으로부터 카세트 수납 위치(131)(대형 반품약 카세트(163)가 적재되어 있는 카세트 수납 위치(131b)에 존재하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b))로 이송한다. 그 후, 구동 제어부(192)는,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를, 카세트 수납 위치(131)로부터 처리 위치(132)로 이동시킨다(SG11).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의 처리 위치(132)로의 이동이 완료되면, 반송 제어부(193)는, 흡착 위치 결정부(194)가 특정한 흡착 위치에서, 약제 반송부(121)에 의해 반품약을 흡착하여,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로부터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로 반송한다(SG12). 반송 제어부(193)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a)에 의해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의 내부를 촬상하고, 촬상한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빈 영역을 특정한다. 반송 제어부(193)는,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에 있어서 특정한 빈 영역에, 반품약을 적재한다.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로의 반품약의 반송이 완료되면, 이송 제어부(191) 및 구동 제어부(192)에 의해,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가 카세트 선반(110)으로 복귀된다. 그 후,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가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로 이송되고, 처리 위치(132)까지 이동된다(SG13). 즉, 스텝 SG11의 처리 전 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스텝 SG11에 있어서,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는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와 교환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와 교환되어도 상관없다.
스텝 SG13의 처리 후, 흡착 위치 결정부(194)는, 위치 특정용 카메라(122b)에 의해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의 내부를 촬상하고, 촬상한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의 내부에 반품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G10). 흡착 위치 결정부(194)가,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의 내부에 반품약이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SG10에서 "예"), 스텝 SG3의 처리로 복귀된다. 한편,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의 내부에 반품약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SG10에서 "아니오"), 본 처리가 종료된다.
또한, 스텝 SG5에서 "예"인 경우, 스텝 SG6의 처리 후, 제1 판별 처리부(195) 및 제2 판별 처리부(196)는, 반품약을 불출 대상으로 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G7).
구체적으로는, 제1 판별 처리부(195)는, 제1 탑재부(126a)로 반송된 반품약의 종류를 판별한다. 제1 판별 처리부(195)는, 바코드 리더(123)가 판독한 반품약(주사약)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약품 마스터의 주사약 식별 정보와 대조한다. 제1 판별 처리부(195)는, 당해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가 약품 마스터의 주사약 식별 정보와 일치한 경우, 반품약의 종류를 당해 주사약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종류로 특정한다.
다음으로, 제1 판별 처리부(195)는, 종류를 특정한 반품약이, 약품 마스터에 있어서, 불출 대상으로 할 수 없는 주사약(예: 냉소 보존요 약제)으로서 지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제1 판별 처리부(195)는, 약품 마스터에 있어서, 불출 대상으로 할 수 없는 주사약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반품약을 불출 대상으로 할 수 있는 주사약이라고 판별한다. 한편, 제1 판별 처리부(195)는, 약품 마스터에 있어서, 불출 대상으로 할 수 없는 주사약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반품약을 불출 대상으로 할 수 없는 주사약이라고 판별한다.
또한, 제1 판별 처리부(195)는, 상기한 대조에 있어서, 반품약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가 약품 마스터의 주사약 식별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반품약이 신약인 경우)에 대해서도, 반품약을 불출 대상으로 할 수 없는 주사약이라고 판별한다.
또한, 불출 대상으로 할 수 없는 주사약(예: 냉소 보존요 약제)을, 약품 마스터에 등록해 두지 않아도 상관없다. 이 경우, 제1 판별 처리부(195)는, 반품약이 신약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반품약이 약품 마스터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반품약을 불출 대상으로 할 수 없는 주사약이라고 판별한다.
또한, 스텝 SG7에 있어서, 제2 판별 처리부(196)는, 기한 판독용 카메라(125)에 의해 촬상된 반품약의 유효 기한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별한다. 제2 판별 처리부(196)는, 반품약의 유효 기한이 적절한 경우, 반품약을 불출 대상으로 할 수 있는 주사약이라고 판별하는 한편, 반품약의 유효 기한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반품약을 불출 대상으로 할 수 없는 주사약이라고 판별한다. 유효 기한이 적절한지 여부는, 예를 들어 당해 유효 기한과 스텝 SG7을 실행하고 있는 일시를 대조한 결과에 기초하여 판별된다.
제1 판별 처리부(195) 및 제2 판별 처리부(196)는,
(1) 반품약이 약품 마스터에 등록되어 있고,
(2) 약품 마스터에 있어서, 불출 대상으로 할 수 없는 주사약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고, 또한,
(3) 유효 기한이 적절하다
고 판별한 경우에, 반품약을 불출 대상으로 할 수 있다고 판별한다. 제1 판별 처리부(195) 및 제2 판별 처리부(196)가 이와 같이 판별한 경우(SG7에서 "예"), 반송 제어부(193)는, 약제 반송부(121)에 의해, 반품약을 크기에 기초하여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로 반송한다(SG8). 그 후, 제1 판별 처리부(195)가 반품약의 종류를, 반송 제어부(193)가 반품약의 위치(배치 위치)를, 각각 기억부(180)에 기억한다(SG9). 그 후, 스텝 SG10의 처리로 이행한다.
또한, 스텝 SG8에 있어서,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에 반품약을 적재할 때, 반품약에 부여된 바코드를 상향으로 해 둘 필요는 없다. 반품약의 불출 동작 시에는,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로부터 반품약을 취출할 때에 반품약의 종류를 확인하지 않고, 제1 탑재부(126a)에 있어서 그 확인이 행해지기 때문이다.
한편, 제1 판별 처리부(195) 및 제2 판별 처리부(196)는,
(1) 반품약이 약품 마스터에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2) 반품약이 약품 마스터에 등록되어 있다고 해도, 약품 마스터에 있어서, 불출 대상으로 할 수 없는 주사약으로 지정되어 있거나, 또는
(3) 유효 기한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별한 경우에, 반품약을 불출 대상으로 할 수 없다고 판별한다. 제1 판별 처리부(195) 및 제2 판별 처리부(196)가 이와 같이 판별한 경우(SG7에서 "아니오"), 스텝 SG11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스텝 SG7에 있어서의 판별 처리에 의해, 반품약이 주사약이라고 해도, 상기한 바와 같은 불출 대상으로 할 수 없는 반품약을 불출하지 않도록,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에 수용할 수 있다. 즉,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1) 반품약이 주사약 자체가 아닌 경우에는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에 있어서, (2) 반품약이 주사약이라도, 불출 대상으로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1 탑재부(126a)에 있어서, 당해 반품약을 불출 대상으로부터 제외하기 위해,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에 있어서의 반품약의 배치 위치(적재 위치)의 특정은, 공지의 방법이 사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반송 제어부(193)는, 지금까지 배치한 반품약의 배치 위치, 당해 반품약의 크기 및 형상을 나타내는, 각 카세트에 있어서의 반품약의 격납 정보와, 금회 배치 대상으로 하는 반품약의 크기 및 형상에 기초하여, 금회 배치 대상으로 하는 반품약의 배치 위치를 특정한다. 지금까지 배치한 반품약의 배치 위치로부터 가능한 한 가까운 빈 영역을, 금회 배치 대상으로 하는 주사약의 배치 위치로서 특정해도 상관없다. 반품약의 크기 및 형상으로서는,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에 주사약이 적재되었을 때에 특정된 정보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에 있어서의 반품약의 배치 위치의 특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행해져도 상관없다.
또한, 스텝 SG2에서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a∼130c)에 적재된 모든 카세트, 및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를 카세트 수납 위치(131)로부터 처리 위치(132)로 이동시키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5를 사용하여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로, 스텝 SG2에 있어서는,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 및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만을 처리 위치(132)로 이동시켜도 상관없다. 이 경우, 스텝 SG8에 있어서, 반품약의 적재 대상이 되는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를 처리 위치(132)로 이동시켜도 된다.
<반품약의 불출 동작>
또한, 도 15의 설명에 있어서 부언한 바와 같이, 처방 데이터에,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에 수용되어 있는 주사약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반품약을 재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억부(180)에는,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와, 당해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에 수용된 반품약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대응 관계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응 관계 데이터는,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와,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에 수용된 반품약의 종류(및 그 배치 위치)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즉, 기억부(180)에는, 하나의 혼합 약제 수용 카세트에 복수 종류의 반품약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 당해 혼합 약제 수용 카세트를 나타내는 카세트 고유 정보와, 수용된 복수 종류의 반품약의 각각을 나타내는 주사약 식별 정보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다.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반품약을 불출하는 경우, 이송 제어부(191)는, 기억부(180)에 기억되어 있는 대응 관계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불출 대상의 반품약을 수용하는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를 일의적으로 특정한다. 그 때문에, 이송 제어부(191)는, 불출 대상의 반품약을 수용하는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를 카세트 선반(110)으로부터 취출하여, 카세트 보유 지지부(135)(또는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로 이송한다. 또한, 반송 제어부(193)는, 예를 들어 대응 관계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불출 대상의 반품약의,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에 있어서의 배치 위치를 일의적으로 특정하여, 당해 반품약을 제1 탑재부(126a)로 반송한다. 그 후,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상술한 스텝 SA5 이후의 처리(도 14 참조)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반품약을 불출하는 경우, 불출 대상이 되는 반품약의 종류마다, 당해 반품약이 수용된 혼합 약제 수용 카세트를 특정함과 함께, 특정한 혼합 약제 수용 카세트에 있어서의 배치 위치를 특정한다. 즉, 기억부(180)에는, 반품약을 불출하기 위해, 혼합 약제 수용 카세트에 수용된 반품약의 종류와 배치 위치를 정보로서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한편, 카세트(Ca)에는 미리 결정된 종류의 주사약이 수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주사약을 불출하는 경우, 불출 대상의 주사약이 수용된 카세트(Ca)를 특정하면, 당해 카세트(Ca)에 수용된 복수의 주사약 중, 어느 주사약을 취출해도 상관없다. 즉, 기억부(180)에는, 주사약을 불출하기 위해, 특정 약제 수용 카세트에 수용된 주사약의 종류를 정보로서 기억해 두면 되고, 특정 약제 수용 카세트에 있어서의 주사약의 배치 위치를 정보로서 기억해 둘 필요는 없다.
또한, 카세트(Ca)와,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에 동종의 주사약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 카세트(Ca)에 수용된 주사약을 불출할지,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에 수용된 주사약(반품약)을 불출할지에 대해서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예를 들어 카세트(Ca)가 결품이라고 판별한 경우에,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에 수용된 반품약을 불출해도 상관없다. 또한,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에 수용된 반품약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당해 반품약을 우선적으로 불출 대상으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불출 대상이 되는 주사약을 수용 가능한 카세트(Ca)에 관한 설명을, 불출 대상이 되는 반품약을 수용 가능한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에 관한 설명으로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한, 미리 결정된 주사약이 수용된 카세트(Ca)로부터 주사약을 불출하는 경우의 처리는,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로부터 반품약을 불출하는 경우의 처리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주사약의 취출에 관한 구체적 처리〕에 있어서 설명한, 카세트(Ca)로부터의 주사약의 취출에 관한 처리는, 반품약의 불출 시에 있어서의,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로부터의 반품약의 취출에 관한 처리에도 적용 가능하다.
<기타>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 및 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에는, 카세트(Ca)와 마찬가지로, 이들 카세트를 식별하기 위한 카세트 고유 정보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카세트 고유 정보와, 이들 카세트가 카세트 선반(110)에 보관되는 보관 위치를 나타내는 보관 위치 정보가 연관되어 있다. 또한, 이들 카세트에는, 카세트(Ca)와 마찬가지로, 카세트 고유 정보를 나타내는 제1 바코드(BC1)가 부여되어 있다(도 26 참조).
그 때문에, 카세트의 취출 시에, 바코드 리더(146)(도 27 참조)가, 제1 바코드(BC1)가 나타내는 카세트 고유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이송 제어부(191)는, 상기 카세트가 적절한 위치에 보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반품약 반품 동작 또는 불출 동작의 도중에,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를 유저가 누락시켜 버린 경우, 당해 카세트에 대응시켜 기억된 주사약에 관한 정보(예: 주사약의 종류, 배치 위치)의 신뢰도는 저하된다. 그 때문에, 제어부(190)는,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가 발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당해 카세트에 대한 반품약에 관한 정보를 리셋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당해 카세트에 수용되어 있는 주사약을 취출하는 취지의 지시 화상을, 터치 패널(210)(도 28 참조)에 표시한다. 또한, 카세트의 발출 삽입은, 카세트 이송부(140)에 마련된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특정할 수 있다.
유저는,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로부터 반품약을 취출하여, 카세트 선반(110)으로 복귀시킨 후, 사용 가부 판정을 행하기 위한 유저 입력을 행한다. 제어부(190)는, 당해 카세트를 카세트 선반(110)으로부터 카세트 보유 지지부(130)로 이동시키고, 처리 위치(132)에 있어서 당해 카세트를 촬상한다. 당해 카세트의 내부에 반품약이 적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당해 카세트가 사용 가능한 상태라고 판정한다.
또한, 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로부터 취출된 반품약은, 반품약 수납 카세트(161)로 복귀됨으로써, 다시 반품의 대상이 된다.
<방향 정렬 카세트(162)를 사용한 경우의 주사약 반품 시의 동작의 다른 예>
또한, 상술해 온 처리는, 카세트 겸 약제 보유 지지부(136)에 반품약을 직접 적재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방향 정렬 카세트(162)를 사용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상기한 처리는, 도 15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의 다른 예라고도 할 수 있다.
<표시 화상 예>
다음으로, 표시 화상 예에 대해, 도 5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5는, 터치 패널(210)(도 28 참조)에 표시되는 화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터치 패널(210)에는, 예를 들어 카세트 선반(110)에 보관되어 있는 카세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상 Img1이 표시된다.
화상 Img1에는, 예를 들어 카세트 선반(110)에 있어서의 카세트의 수용 상황을 표시하는 수용 상황 표시 영역 Ar1이 포함된다.
수용 상황 표시 영역 Ar1은, 카세트 선반(110)에 수용되어 있는 카세트의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고, 카세트 선반(110)의 각 위치에, 어느 종류의 카세트가 할당되어 있는지에 대해, 시각적인 인식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55에 있어서, 일부의 카세트를 나타내는 화상에는, 「반」, 「S」, 「L」 및 「NG」와 같은 아이콘이 부여되어 있다. 「반」은, 반품된 주사약을 수용하는 카세트(반품약 수납 카세트(161))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S」는, 소형 또는 중형의 주사약을 수용하는 카세트(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L」은, 대형의 주사약을 수용하는 카세트(대형 반품약 카세트(163))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NG」는, 불출 불가라고 판별된 주사약 또는 물품을 수용하는 카세트(비불출약 수납 카세트(165))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또한, 아이콘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카세트를 나타내는 화상은, 미리 결정된, 불출 대상이 될 수 있는 주사약이 수용되는 카세트(카세트(Ca))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화상 Img1에는, 예를 들어 각 카세트에 포함되는 주사약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카세트 정보 표시 영역 Ar2가 포함된다.
카세트 정보 표시 영역 Ar2는, 카세트(Ca)에 수용되어 있는 단일의 종류의 주사약의 명칭 및 수용 수(재고 수) 등에 대해, 시각적인 인식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카세트 정보 표시 영역 Ar2는, 분할 부재(SP)에 의해 카세트(Ca)가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에는(도 26 및 도 50 참조), 각 분할 영역에 수용되어 있는 주사약의 명칭 및 수용 수 등에 대해, 시각적인 인식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55에 있어서는, 선반 No.4 및 5에 보관된 카세트(Ca)에는 2개의 분할 영역이 존재하고 있고, 각 분할 영역에 대해, 수용되어 있는 주사약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카세트에 수용되어 있는 주사약의 수에 따라서, 수용 상황 표시 영역 Ar1에 표시된 카세트의 화상을 구분하여 나타내도 된다. 이 경우, 유저는, 각 카세트에 수용되어 있는 주사약의 수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55에 있어서는, 색 구분의 예가, 색 구분 표시 영역 Ar3에 나타나 있다.
〔수액 라벨 불출 장치의 다른 예〕
다음으로,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의 다른 예에 대해, 도 56 및 도 5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6은,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가 구비하는 수액 라벨 수취부(403)의 다른 예인 수액 라벨 수취부(413)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 57의 (a)∼(d)는, 수액 라벨의 반송 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6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액 라벨 수취부(413)는, 저부(413b)로부터 기립 설치된 측벽(413c)에 의해, 수액 라벨 수취부(413)에 수액 라벨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413c)에 의해, 제1 본체부(402)로부터 수액 라벨을 수취하고, 또한 수액 라벨 반송 기구(700)의 수액 라벨 파지부(701)가 수액 라벨을 발취하기 위한 개구부(41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413c)에 의해, 수액 라벨 파지부(701)가 구비하는 한 쌍의 클로부(702)의 개폐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간극부(413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본체부(402), 수액 라벨 반송 기구(700)의 수액 라벨 파지부(701) 및 클로부(702)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도 41 및 도 43을 참조하기 바란다.
저부(413b)는,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수액 라벨 수취부(413)에 수용되는 수액 라벨의 폭 방향을 따라,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는 점에서 수액 라벨 수취부(403)의 저부(403b)와 상위하다. 또한, 수액 라벨 수취부(413)는, 경사가 없는 저부의 내측에, 경사를 갖게 하기 위한 어태치먼트가 배치된 구성을 갖고 있어도 상관없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는, 주사약 불출 시스템(1)에서 사용되는 수액 용기의 크기에 맞추어, 소형의 수액 라벨 LS 및 대형의 수액 라벨 LL 중 어느 것을 불출한다. 수액 라벨 LS 및 수액 라벨 LL의, 횡방향(수액 라벨을 불출하는 방향과 대략 수직인 방향; 폭 방향)의 길이는 동일하지만, 종방향(수액 라벨을 불출하는 방향)의 길이는 상이하다. 또한, 수액 라벨 파지부(701)가, 반송 트레이(151a) 위에서 수액 라벨을 릴리스하는 위치(클로부(702)를 개방함으로써 파지를 해제하는 위치)는, 수액 라벨의 크기에 의하지 않고 일정한 것으로 한다.
도 57의 (a)는, 수액 라벨 수취부(403)에 수용된 수액 라벨 LS를 수액 라벨 파지부(701)가 발취하고, 반송 트레이(151a) 내의 소형 트레이(151b)에 적재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수액 라벨 수취부(403)의 저부(403b)는 경사져 있지 않으므로, 수액 라벨 파지부(701)는 수액 라벨 LS의 하단이 소형 트레이(151b)의 저면에 대략 평행인 상태에서, 당해 수액 라벨 LS를 수액 라벨 수취부(403)로부터 발취한다. 그 후, 수액 라벨 파지부(701)는, 소형 트레이(151b)의 상방으로 이동하고, 그 위치에 있어서 수액 라벨 LS를 릴리스함으로써 당해 수액 라벨 LS를 낙하시켜, 소형 트레이(151b)에 적재한다. 또한, 수액 라벨 LL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소형 트레이(151b)에 적재된다.
도 57의 (a)에는, 수액 라벨 파지부(701)에 의해 소형 트레이(151b)의 상방에서 파지된 상태의 수액 라벨 LL이, 파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5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액 라벨 LS를 소형 트레이(151b)에 적재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수액 라벨 LS의 하단에서 소형 트레이(151b)의 저면까지의 거리 h1은, 수액 라벨 LL을 소형 트레이(151b)에 적재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수액 라벨 LL의 하단에서 소형 트레이(151b)의 저면까지의 거리 h2보다 길어진다. 그 때문에, 수액 라벨 LS를 소형 트레이(151b)에 적재하는 경우에는, 수액 라벨 LL을 소형 트레이(151b)에 적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수액 라벨 LS가 낙하하는 과정에서 적재 위치에 어긋남이 발생하거나, 또는 뒤집힐 우려가 커진다.
도 57의 (b)는, 수액 라벨 수취부(413)에 수용된 수액 라벨 LS를 수액 라벨 파지부(701)가 발취하고, 반송 트레이(151a) 내의 소형 트레이(151b)에 적재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수액 라벨 수취부(413)의 저부(413b)는, 수평면에 대해 각도 α분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수액 라벨 파지부(701)는, 수액 라벨 LS의 하단이 소형 트레이(151b)의 저면에 대해 각도 α분 경사진 상태에서, 수액 라벨 LS를 수액 라벨 수취부(413)로부터 발취하여, 소형 트레이(151b)에 적재한다.
각도 α는, 도 5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형 트레이(151b)의 상방에 있어서 수액 라벨 파지부(701)에 파지된 상태의 수액 라벨 LS의 하단으로부터 소형 트레이(151b)의 저면까지의 거리가, 상술한 거리 h2와 동등해지도록 결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수액 라벨 LS를 소형 트레이(151b)에 적재하는 경우에, 수액 라벨 파지부(701)가 수액 라벨 LS를 수액 라벨 수취부(403)로부터 발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낙하 과정에서 적재 위치에 어긋남이 발생하거나, 또는 뒤집힐 우려가 저감된다.
도 57의 (c) 및 (d)는, 각도 α의 결정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7의 (c)에는, 긴 변이 수평면에 대해 각도 α만큼 경사진 상태의 수액 라벨 LS가 실선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긴 변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지 않은 상태의 수액 라벨 LS가, 파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5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액 라벨 LS가 수액 라벨 수취부(413)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 수액 라벨 LS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는, 수액 라벨 LS가 수액 라벨 수취부(403)에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당해 거리와 비교하여, 거리 h3만큼 길어진다. 수액 라벨 파지부(701)에 파지된 상태의 수액 라벨 LS의 하단에서 소형 트레이(151b)의 저면까지의 거리가, 도 57의 (a)에 있어서의 거리 h2와 동등해지기 위해서는, 거리 h3이, 거리 h1과 h2의 차와 동등해지도록, 각도 α를 결정하면 된다.
도 57의 (d)에는, 긴 변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지 않은 상태의 수액 라벨 LL과, 긴 변이 수평면에 대해 각도 α만큼 경사진 상태의 수액 라벨 LS가 중첩되어 도시되어 있다. 수액 라벨 LS의 긴 변 및 짧은 변의 길이를 각각 a 및 b로 한 경우,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수액 라벨 LS의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의 거리 c는, c=a×sinα+b×cosα로 표시된다. 거리 h3이, 거리 h1과 h2의 차와 동등해지기 위해서는, 도 57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수액 라벨 LS의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의 거리가, 수액 라벨 LL의 짧은 변의 길이와 동등해지면 된다. 예를 들어 수액 라벨 LS의 크기가 54㎜×81㎜, 수액 라벨 LL의 길이가 78㎜×81㎜인 경우에는, α를 약 20°로 하면 된다.
또한, 수액 라벨 LL에 대해서도, 수액 라벨 불출 장치(400)로부터 불출되면, 수액 라벨 수취부(413)에 수용되고, 수평면에 대해 각도 α만큼 경사진 상태에서, 발취된 후, 소형 트레이(151b)에 적재된다. 그 때문에, 수액 라벨 LL은, 수액 라벨 수취부(403)를 사용한 경우보다 낮은 위치로부터 낙하하므로, 수액 라벨 LL에 대해서도 더 확실하게, 소형 트레이(151b)의 소정 위치에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액 라벨 LS의 릴리스 위치가, 수액 라벨 수취부(403)를 사용한 경우의 수액 라벨 LL의 릴리스 위치가 되도록, 수액 라벨 수취부(413)의 저부(413b)에 경사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수액 라벨 수취부(403)를 그대로 사용하여, 수액 라벨 LS의 릴리스 위치가, 수액 라벨 수취부(403)를 사용한 경우의 수액 라벨 LL의 릴리스 위치가 되도록, 수액 라벨 파지부(701)의 높이 방향의 위치를 조정해도 상관없다. 즉, 수액 라벨의 크기에 따라서, 수액 라벨 파지부(701)의 높이 방향의 위치가 조정 가능한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수액 라벨 LS의 릴리스 위치는, 수액 라벨 수취부(403)를 사용한 경우의 수액 라벨 LL의 릴리스 위치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즉,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수액 라벨 LS의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의 거리가, 수액 라벨 LL의 짧은 변의 길이와 반드시 동등하게 설정될 필요는 없다.
수액 라벨 LS의 릴리스 위치는, 소형 트레이(151b)(또는 반송 트레이(151a))의 소정 위치에 수액 라벨 LS를 확실하게 적재할 수 있는 것이면, 상기 수액 라벨 LL의 릴리스 위치보다 상방이어도 상관없다. 당연히, 수액 라벨 LS의 릴리스 위치는, 상기 수액 라벨 LL의 릴리스 위치보다 하방이어도 상관없다.
〔상기 구성의 다른 표현〕
상기 구성에 대해, 이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A]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주사약 불출 장치(100))는,
약제를 수용하는 m개의 카세트를 보관하는 카세트 선반과,
상기 카세트에 수용된 약제에 대해 특정 처리를 행하기 위한 특정 처리부와,
상기 카세트 중, 상기 특정 처리를 받는 카세트를 n개(m>n≥2)까지 일시적으로 보유 지지 가능한 카세트 보유 지지부와,
상기 카세트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는 상기 카세트를 교체하기 위해, 상기 카세트 선반과 상기 카세트 보유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카세트를 이송하는 카세트 이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세트 선반에 보관되는 m개 중 일부의 카세트는, 동종의 약제를 수용하는 특정 약제 수용 카세트(카세트(Ca))이고, 그 밖의 카세트는, 2종류 이상의 약제를, 그 배치 위치를 특정한 상태에서 수용하는 혼합 약제 수용 카세트(대형 반품약 카세트(163) 또는 중소형 반품약 카세트(164))이다.
일반적으로, 주사약(예: 앰플 또는 바이알)을 수용하는 카세트로부터 주사약을 불출하는 주사약 불출 장치에 있어서는, 불출 대상이 될 수 있는 동종의 약제가 수용되는 카세트만(예를 들어, 동종의 약제가 정렬된 상태로 수용되는 카세트만)이 카세트 선반에 보관된다. 그 때문에, 2종류 이상의 주사약을 하나의 카세트로부터 불출하는 것에 대해서는 상정되어 있지 않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특정 약제 수용 카세트에 수용된 약제, 및 혼합 약제 수용 카세트에 수용된 약제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특정 처리(예: 불출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혼합 약제 수용 카세트에 있어서는, 수용되는 약제의 배치 위치가 특정되어 있으므로,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는, 특정 처리의 대상으로 하는 약제에 대해 선택적으로 특정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는, 상기한 각 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세트 선반에 수용되는 m개의 카세트는, 동종의 약제만을 수용하는 것을 규정한 카세트(특정 약제 수용 카세트)와, 다종의 약제를 혼합하면서 개별로 액세스 가능하도록 수용한 카세트(혼합 약제 수용 카세트)를 포함한다고도 규정할 수 있다.
또한, 혼합 약제 수용 카세트는, 주사약의 크기 및 형상에 따른 주사약의 수용 개소가 복수 마련된 카세트이다. 바꾸어 말하면, 혼합 약제 수용 카세트는, 당해 수용 개소를 규정하는 부분(예: 볼록부)을 갖는 저면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특정 약제 수용 카세트는, 동종의 약제가 수용 가능하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바꾸어 말하면, 특정 약제 수용 카세트는, 당해 수용 개소를 규정하는 부분을 갖고 있지 않은 저면을 구비하고 있는 카세트여도 상관없고, 당해 부분을 갖는 저면을 구비하고 있는 카세트여도 상관없다. 전자의 카세트로서는, 동종의 약제를 비정렬 상태로 수용하는 카세트(예: 카세트(Ca))를 들 수 있고, 후자의 카세트로서는, 동종의 약제를 정렬 상태로 수용하는 카세트를 들 수 있다.
≪보족≫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액 라벨 반송 기구(700)가 구비하는 수액 라벨 파지부(701)의 한 쌍의 클로부(702)(도 49 참조)는, 한 번에 완전 개방 상태가 되어도 상관없고, 완전 개방 상태가 될 때까지 단계적으로 개방해 가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1종의 주사약에 대해, 하나의 형상 모델이 준비되어 있어도 상관없고, 복수의 형상 모델이 준비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일반적인 바이알 또는 앰플의 경우, 단면 형상이 원형이므로, 형상 모델 취득 시에 바이알 또는 앰플이 어떠한 상태로 적재되었다고 해도,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는 그 형상은 동일하다. 따라서, 적재된 주사약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어떠한 적재 상태라도 일의적으로 형상을 특정할 수 있는 주사약에 대해서는, 1종의 주사약에 대해, 하나의 형상 모델이 준비되어 있으면 된다.
한편, 단면 형상이 원형이 아닌 주사약의 경우(예: 단면 형상이 타원형인 플라스틱 앰플의 경우), 적재 방법에 따라, 촬상한 화상에 있어서 그 형상이 상이해진다. 따라서, 적재된 주사약을 상방에서 보았을 때, 적재 상태에 따라 일의적으로 형상을 특정할 수 없는 주사약에 대해서는, 1종의 주사약에 대해, 복수의 형상 모델이 준비된다. 예를 들어, 적재 상태를 변경할 때마다 취득되는 복수의 형상 모델이 준비된다.
≪소프트웨어에 의한 실현 예≫
주사약 불출 장치(100)의 제어 블록(특히 이송 제어부(191), 구동 제어부(192), 반송 제어부(193), 흡착 위치 결정부(194), 제1 판별 처리부(195), 제2 판별 처리부(196), 약제 위치 제어부(197), 보관 위치 판정부(198), 및 통지 제어부(199))은, 집적 회로(IC 칩) 등에 형성된 논리 회로(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되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또한, 프린터 장치(13)의 제어 블록(특히 제어부(100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논리 회로(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되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후자의 경우, 주사약 불출 장치(100) 및 프린터 장치(13)는, 각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인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하는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컴퓨터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을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로서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로서는, 「일시적이 아닌 유형의 매체」,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등 외에, 테이프, 디스크, 카드, 반도체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논리 회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당해 프로그램을 전송 가능한 임의의 전송 매체(통신 네트워크나 방송파 등)를 통해 상기 컴퓨터에 공급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기 프로그램이 전자적인 전송에 의해 구현화된, 반송파에 매립된 데이터 신호의 형태에서도 실현될 수 있다.
〔부기 사항〕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서로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주사약 불출 시스템
100: 주사약 불출 장치(약제 불출 장치)
110: 카세트 선반
120: 특정 처리부
122: 위치 특정용 카메라(제1 촬영부)
123, 124: 바코드 리더(판독부)
125: 기한 판독용 카메라(제2 촬영부)
126: 위치 변경부
126a: 제1 탑재부(탑재부)
126b: 제2 탑재부(탑재부)
127: 약제 회전부
130, 130a∼130d: 카세트 보유 지지부
131, 131a∼131d: 카세트 수납 위치
132, 132a∼132d: 처리 위치
140: 카세트 이송부
195: 제1 판별 처리부
196: 제2 판별 처리부
200: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
Ca: 카세트

Claims (10)

  1. 주사약인 약제를 수용하는 m개의 카세트를 보관하는 카세트 선반과,
    상기 카세트에 수용된 약제에 대해 특정 처리를 행하기 위한 특정 처리부와,
    상기 카세트 중, 상기 특정 처리를 받는 카세트를 일시적으로 보유 지지 가능한 n개(m>n≥2)의 카세트 보유 지지부와,
    상기 카세트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는 상기 카세트를 교체하기 위해, 상기 카세트 선반과 상기 카세트 보유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카세트를 이송하는 카세트 이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세트를 이송할 때의 이송 속도는, 이송하는 카세트에 수용된 약제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보유 지지부는, 상기 카세트 이송부로부터 상기 카세트를 수납하는 카세트 수납 위치와, 상기 카세트가 상기 특정 처리를 받기 위한 처리 위치 사이에서 상기 카세트를 왕복 이동시키는,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선반은, 연직면 내에서 행렬상으로 상기 카세트를 보관하고,
    상기 카세트 이송부는, 상기 카세트를, 상기 카세트 선반으로부터 인출하고, 연직 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카세트 수납 위치에 있는 상기 카세트 보유 지지부에 적재하고,
    상기 카세트 보유 지지부는, 상기 카세트를 상기 처리 위치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이며,
    상기 특정 처리부는, 상기 카세트에 수용된 약제를 불출하기 위해 상기 약제를 상기 카세트로부터 취출하여 반송하는 약제 반송부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처리부는, 상기 카세트로부터 취출하는 약제를 특정하기 위한 촬영을 행하는 제1 촬영부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처리부는,
    상기 약제에 부여된 제1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제1 식별 정보를, 입력된 약제의 고유 정보와 대조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의 불출의 가부를 판별하는 제1 판별 처리부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처리부는,
    상기 약제에 부여된 제2 식별 정보를 촬영하는 제2 촬영부와,
    상기 제2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제2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약제의 불출의 가부를 판별하는 제2 판별 처리부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처리부는, 상기 판독부에 의한 판독, 또는 상기 제2 촬영부에 의한 촬영을 위해, 상기 약제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약제를 수납하고, 수납한 약제를 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약제 회전부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수납한 약제를 탑재하는 복수의 탑재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탑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약제 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특정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탑재부의 각각의 위치를, 상기 약제 반송부로부터 약제를 수납하는 약제 수납 위치와, 상기 약제를 불출하기 위해 약제를 전달하는 약제 전달 위치 사이에서 변경하는 위치 변경부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m개의 카세트의 각각과, 상기 m개의 카세트의 각각에 수용된 약제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대응 관계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고,
    상기 카세트 이송부는, 수신한 처방 데이터 중, 1환자에 대한 투여에 관한 처방 데이터에 2종 이상의 약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당해 처방 데이터, 및 상기 대응 관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당해 약제가 수용된 카세트를 각각 상기 카세트 보유 지지부로 이송하는, 약제 불출 장치.
KR1020197033379A 2017-11-08 2018-11-08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 및 약제 불출 장치 KR102661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7013329A KR20240063165A (ko) 2017-11-08 2018-11-08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 및 약제 불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15497 2017-11-08
JP2017215497 2017-11-08
JPJP-P-2018-017638 2018-02-02
JP2018017638 2018-02-02
JPJP-P-2018-048555 2018-03-15
JP2018048555 2018-03-15
JPJP-P-2018-208333 2018-11-05
JP2018208333 2018-11-05
PCT/JP2018/041453 WO2019093413A1 (ja) 2017-11-08 2018-11-08 薬剤カセット取扱装置、及び薬剤払出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3329A Division KR20240063165A (ko) 2017-11-08 2018-11-08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 및 약제 불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424A KR20200078424A (ko) 2020-07-01
KR102661637B1 true KR102661637B1 (ko) 2024-05-02

Family

ID=664378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3329A KR20240063165A (ko) 2017-11-08 2018-11-08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 및 약제 불출 장치
KR1020197033379A KR102661637B1 (ko) 2017-11-08 2018-11-08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 및 약제 불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3329A KR20240063165A (ko) 2017-11-08 2018-11-08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 및 약제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7376786B2 (ko)
KR (2) KR20240063165A (ko)
CN (1) CN110662522B (ko)
WO (1) WO20190934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8803B2 (ja) * 2018-10-15 2022-06-21 Ph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薬品向き判定装置、薬品向き判定方法、および薬品向き判定プログラム
MX2022000542A (es) * 2019-07-18 2022-02-10 Amgen Inc Sistema de administracion de farmacos con tiempo de inyeccion ajustable y metodo de uso.
US11591161B2 (en) * 2020-03-23 2023-02-28 Omnicell,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storage and dispensing of articles
JP7100382B2 (ja) * 2020-09-03 2022-07-13 株式会社セントギア 薬剤管理システム
CN112830138B (zh) * 2020-12-25 2023-05-05 北京旷视机器人技术有限公司 处理异常的方法、装置和机器人
CN112972131B (zh) * 2021-04-09 2021-12-14 苏州大学附属儿童医院 一种带有指纹识别的便携式转运药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9498A1 (en) 1997-12-05 2004-12-09 William Jeffrey P. Pill dispensing system
US20130340390A1 (en) 2012-06-21 2013-12-26 Omnicar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ed filling of packagings with medications
JP2014221134A (ja) * 2013-05-14 2014-11-27 ファルメディコ株式会社 一包化薬剤鑑査装置
JP2016504241A (ja) * 2012-11-22 2016-02-12 ブイエムアイ ホランド ベスローテン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固体物質を調剤及び包装する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1903B2 (ja) 2003-10-30 2008-09-17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薬剤払出機用印刷装置
JP5044906B2 (ja) * 2005-08-25 2012-10-1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JP4546946B2 (ja) * 2006-09-12 2010-09-2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し装置
CN102307558B (zh) 2009-02-06 2014-01-29 株式会社汤山制作所 标签发放装置
JP5507098B2 (ja) * 2009-03-09 2014-05-28 株式会社タカゾノ 調剤装置
US9082250B2 (en) 2010-05-07 2015-07-14 Panasonic Healthcare Co., Ltd. Automatic drug dispenser
JP5389006B2 (ja) 2010-12-24 2014-01-15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薬剤情報印刷投入装置
KR102049273B1 (ko) * 2013-02-13 2020-01-08 (주)제이브이엠 약제 불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WO2014162857A1 (ja) * 2013-04-02 2014-10-09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調剤システム
JP6190672B2 (ja) 2013-09-05 2017-08-30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薬品仕分装置、薬品仕分装置のための仕分けトレイ
JP6297428B2 (ja) * 2014-06-27 2018-03-20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JP5862847B1 (ja) * 2014-07-01 2016-02-1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JP6690541B2 (ja) 2014-09-24 2020-04-2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EP3199139A4 (en) * 2014-09-25 2018-05-30 Yuyama Mfg. Co., Ltd. Inspection assistance system and tablet packag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9498A1 (en) 1997-12-05 2004-12-09 William Jeffrey P. Pill dispensing system
US20130340390A1 (en) 2012-06-21 2013-12-26 Omnicar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ed filling of packagings with medications
JP2016504241A (ja) * 2012-11-22 2016-02-12 ブイエムアイ ホランド ベスローテン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固体物質を調剤及び包装する装置及び方法
JP2014221134A (ja) * 2013-05-14 2014-11-27 ファルメディコ株式会社 一包化薬剤鑑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093413A1 (ja) 2020-11-19
CN110662522A (zh) 2020-01-07
KR20200078424A (ko) 2020-07-01
KR20240063165A (ko) 2024-05-09
JP2023143989A (ja) 2023-10-06
CN110662522B (zh) 2023-08-08
JP7376786B2 (ja) 2023-11-09
WO2019093413A1 (ja)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1637B1 (ko) 약제 카세트 취급 장치 및 약제 불출 장치
JP7307373B2 (ja) 薬剤認識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薬剤仕分装置
JP7147925B2 (ja) 薬剤仕分装置及び薬剤仕分方法
JP2023155420A (ja) 薬剤向き登録装置、プログラム、及び、薬剤搬送装置
WO2020158579A1 (ja) カセット取扱装置及び薬剤取扱装置
JP2023009248A (ja) 薬品仕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