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0762B1 - 단위패턴을 가지는 패턴형성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 Google Patents

단위패턴을 가지는 패턴형성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0762B1
KR102660762B1 KR1020210190795A KR20210190795A KR102660762B1 KR 102660762 B1 KR102660762 B1 KR 102660762B1 KR 1020210190795 A KR1020210190795 A KR 1020210190795A KR 20210190795 A KR20210190795 A KR 20210190795A KR 102660762 B1 KR102660762 B1 KR 102660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shape
tire
uni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1041A (ko
Inventor
장희성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0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762B1/ko
Priority to US18/087,495 priority patent/US20230202242A1/en
Publication of KR20230101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01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2Arrangement of grooves or r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이드 월에 기 설정된 형상의 문양을 표시하는 패턴형성영역을 가지며, 상기 패턴형성영역은, 육각형 형태로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패턴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되, 상기 패턴형성영역의 경계부에 걸친 단위패턴은 상기 패턴형성영역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잘린 형상을 가지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위패턴을 가지는 패턴형성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Tire Including a Pattern Forming Area Having a Unit Pattern}
본 발명은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 월에 기 설정된 형상의 문양을 표시하도록 복수 개의 단위패턴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패턴형성영역이 형성됨에 따라,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고 주행 시 발생하는 타이어 오염이 외관상 감소되도록 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고무로 만들어진 변형 가능한 링 형태의 물체로서, 자동차 등의 운송수단의 바퀴에 장착하여 공기를 주입함에 따라 운송수단과 노면 사이에 접지부를 형성하여 고르지 않은 노면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타이어는 자동차 등의 운송수단에 없어서는 안 되는 매우 중요한 부품으로, 엔진, 안전장치와 함께 안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타이어가 없다면 승차감은 물론, 안정성도 제대로 확보할 수 없다.
한편 타이어는 일반적으로 측부의 사이드 월에 상표, 스펙 정보 등을 나타내기 위한 소정의 문양이 각인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의 사이드 월 상에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의 형태로 소재를 일정량만큼 깎아 거친 표면을 형성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문양 각인 방식은 거친 표면이 노출됨으로 인해 타이어의 외관 품질이 전체적으로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거친 표면 상에 오염물질이 쉽게 부착됨에 따라 타이어의 오염 속도가 빠르며, 이에 따라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외관 품질을 향상시켜 심미성을 제고하고, 주행에 따른 타이어 표면 오염이 외관상 저하되도록 하는 타이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이드 월에 기 설정된 형상의 문양을 표시하는 패턴형성영역을 가지며, 상기 패턴형성영역은, 육각형 형태로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패턴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되, 상기 패턴형성영역의 경계부에 걸친 단위패턴은 상기 패턴형성영역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잘린 형상을 가지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단위패턴은, 기 설정된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패턴은 제1변의 양측 꼭지점으로부터 제1변의 반대측에 위치된 제2변 상의 서로 이격된 지점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가상 연장선을 기준으로 중심부의 센터영역 및 상기 센터영역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센터영역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영역에 걸쳐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센터영역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영역의 경계에서 상기 단위패턴의 외곽 형상을 따라 꺾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센터영역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영역의 경계에서 상기 단위패턴의 외곽 형상을 따라 꺾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복수 개의 함몰부는, 상기 단위패턴의 제1변 측에서 제2변 측으로 진행할수록 상기 센터영역과 상기 사이드영역에서 꺾인 각도가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위패턴은 상기 함몰부보다 돌출된 외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턴은 상기 외곽부가 서로 연속하여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의 사이드 월에 육각형 형태로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패턴이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기 설정된 형상의 문양을 표시하는 패턴형성영역이 형성됨에 따라, 외관 품질을 향상시켜 심미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으로 발생하는 타이어 오염이 외관상 눈에 띄지 않도록 하고, 더 나아가 시각적으로 발패턴형성영역의 표면이 미려하게 형성되므로, 오염물질이 부착이 쉽게 일어나지 않아 차량 주행에 따른 표면 오염 속도를 크게 저하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타이어에 각인된 문양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사이드 월에 형성된 패턴형성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사이드 월에 형성된 패턴형성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및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사이드 월에 형성된 패턴형성영역의 단위패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5)의 사이드 월에 형성된 패턴형성영역(10)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5)의 사이드 월에 형성된 패턴형성영역(10)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및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5)는 사이드 월 부분에 기 설정된 형상의 문양을 표시하는 패턴형성영역(10)이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이때 패턴형성영역(10)을 제외한 타이어(5)의 일반적인 구조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패턴형성영역(10)은, 육각형 형태로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패턴(100)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패턴형성영역(10)은 빈틈없이 단위패턴(100)이 채워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각 단위패턴(100)은 정육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패턴형성영역(10)의 경계부에 걸친 단위패턴(100)은, 패턴형성영역(10)의 외곽 형태에 대응되도록 잘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는 패턴형성영역(10)의 전체 형상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평면적 명암 대비에 의한 문양의 표시 형태를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패턴형성영역(10)을 제공함에 따라, 외관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위패턴(10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사이드 월에 형성된 패턴형성영역(10)의 단위패턴(100)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단위패턴(100)은 기 설정된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함몰부(110)를 포함하며, 이와 같이 복수 개의 함몰부(110)가 형성됨에 따라 서로 인접한 한 쌍의 함몰부(110) 사이에는 돌출부(130)가 형성된다.
또한 이와 더불어, 단위패턴(100)은 함몰부(110)보다 돌출된 외곽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단위패턴(100)은 외곽부(120)에 의해 둘레가 닫힌 상태를 가지며, 복수 개의 함몰부(110)는 외곽부(12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와 달리 외곽부(120)가 함몰부(11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단위패턴(100)의 형상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단위패턴(100)은 6개의 각 변 중 어느 하나인 임의의 제1변(101)의 양측 꼭지점으로부터, 제1변(101)의 반대측에 위치된 제2변(102) 상의 서로 이격된 지점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가상 연장선을 기준으로 중심부의 센터영역(R1)과, 이와 같은 센터영역(R1)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영역(R2)으로 구분된다.
이때 함몰부(110)는, 센터영역(R1) 및 한 쌍의 사이드영역(R2)에 걸쳐 길게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함몰부(110)는 센터영역(R1)과 한 쌍의 사이드영역(R2)의 경계에서 단위패턴(110)의 외곽 형상을 따라 꺾인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함몰부(110)의 형상에 따라, 착시 현상으로 입체적인 패턴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함몰부(110)는, 단위패턴(100)의 제1변(101) 측에서 제2변(102) 측으로 진행할수록 센터영역(R1)과 사이드영역(R2)에서 꺾인 각도가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위패턴(100)에는 빈틈없이 복수 개의 함몰부(110)가 채워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단위패턴(100)은 복수 개가 패턴형성영역(10) 내에 다양한 방향성을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즉 의도하는 바에 따라 복수 개의 단위패턴(100)의 각 함몰부(110)가 서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배열하거나, 복수 개의 단위패턴(100)의 각 함몰부(110)가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배열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턴(100)은 외곽부(120)가 서로 연속하여 단차 없이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턴(100)은 서로의 외곽부(120)를 공유하는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심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에서는 외곽부(120)가 함몰부(110)보다 돌출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다른 형상으로, 예컨대 외곽부(120)가 함몰부(11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 타이어
10: 패턴형성영역
100: 단위패턴
101: 제1변
102: 제2변
110: 함몰부
120: 외곽부
130: 돌출부
R1: 센터영역
R2: 사이드영역

Claims (7)

  1. 사이드 월에 기 설정된 형상의 문양을 표시하는 패턴형성영역을 가지며,
    상기 패턴형성영역은,
    육각형 형태로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패턴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되, 상기 패턴형성영역의 경계부에 걸친 단위패턴은 상기 패턴형성영역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잘린 형상을 가지고,
    상기 단위 패턴은,
    기 설정된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패턴은 제1변의 양측 꼭지점으로부터 제1변의 반대측에 위치된 제2변 상의 서로 이격된 지점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가상 연장선을 기준으로 중심부의 센터영역 및 상기 센터영역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센터영역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영역에 걸쳐 길게 형성되는,
    타이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센터영역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영역의 경계에서 상기 단위패턴의 외곽 형상을 따라 꺾인 형상을 가지는,
    타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함몰부는,
    상기 단위패턴의 제1변 측에서 제2변 측으로 진행할수록 상기 센터영역과 상기 사이드영역에서 꺾인 각도가 점점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타이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패턴은 상기 함몰부보다 돌출된 외곽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7. 제6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단위패턴은 상기 외곽부가 서로 연속하여 연결된 형태를 가지는,
    타이어.

KR1020210190795A 2021-12-29 2021-12-29 단위패턴을 가지는 패턴형성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KR102660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795A KR102660762B1 (ko) 2021-12-29 2021-12-29 단위패턴을 가지는 패턴형성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US18/087,495 US20230202242A1 (en) 2021-12-29 2022-12-22 Tire including a pattern forming area with a unit patte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795A KR102660762B1 (ko) 2021-12-29 2021-12-29 단위패턴을 가지는 패턴형성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041A KR20230101041A (ko) 2023-07-06
KR102660762B1 true KR102660762B1 (ko) 2024-04-26

Family

ID=86898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795A KR102660762B1 (ko) 2021-12-29 2021-12-29 단위패턴을 가지는 패턴형성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202242A1 (ko)
KR (1) KR10266076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1978A (ja) 2012-12-21 2014-07-03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2014136487A (ja) 2013-01-16 2014-07-28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KR101760875B1 (ko) 2016-03-17 2017-07-2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차량용 타이어의 사이드월
JP2017136958A (ja) 2016-02-03 2017-08-1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6298349B2 (ja) 2014-04-25 2018-03-2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WO2018059758A1 (de) 2016-09-27 2018-04-05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reifen
JP2020508929A (ja) * 2017-03-06 2020-03-26 コンパニー ゼネラール デ エタブリッスマン ミシュラン 側壁にテクスチャが与えられた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25419A1 (de) * 2015-12-16 2017-06-22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reifen
DE102019219311A1 (de) * 2019-12-11 2021-06-17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zeugreifens und Fahrzeugreifen
JP2023032836A (ja) * 2021-08-27 2023-03-09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1978A (ja) 2012-12-21 2014-07-03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2014136487A (ja) 2013-01-16 2014-07-28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6298349B2 (ja) 2014-04-25 2018-03-2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17136958A (ja) 2016-02-03 2017-08-1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KR101760875B1 (ko) 2016-03-17 2017-07-2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차량용 타이어의 사이드월
WO2018059758A1 (de) 2016-09-27 2018-04-05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reifen
JP2020508929A (ja) * 2017-03-06 2020-03-26 コンパニー ゼネラール デ エタブリッスマン ミシュラン 側壁にテクスチャが与えられたタイヤ
JP7204655B2 (ja) 2017-03-06 2023-01-16 コンパニー ゼネラール デ エタブリッスマン ミシュラン 側壁にテクスチャが与えられた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041A (ko) 2023-07-06
US20230202242A1 (en)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71004U (ja) 通年使用型空気入りタイヤ
US20140238566A1 (en) Pneumatic tire
RU2690791C1 (ru) Шина для колес большегрузн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WO2014174851A1 (ja) タイヤ
JP2012236455A (ja) 空気入りタイヤ
JP6093637B2 (ja) タイヤ
US10688833B2 (en) Tyre tread
JP2009161112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3018309A (ja) タイヤ
JP2017210170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4141163A (ja) 不整地走行用の自動二輪車用タイヤ
KR102660762B1 (ko) 단위패턴을 가지는 패턴형성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CN105667219A (zh) 充气轮胎
CN103350617A (zh) 子午线轮胎胎面结构
JP5529998B1 (ja) タイヤ
CN105383224A (zh) 新型泥地花纹轮胎
JP5876227B2 (ja) タイヤ
KR102651111B1 (ko) 공력 개선용 패턴형성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JP5160242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546825B2 (ja) タイヤ
JP2016215980A (ja) タイヤ
CN106183647B (zh) 冰雪路面轿车轮胎
JP2007015655A (ja) 空気入りタイヤ
JP4517756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H03186406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