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111B1 - 공력 개선용 패턴형성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력 개선용 패턴형성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111B1
KR102651111B1 KR1020210185623A KR20210185623A KR102651111B1 KR 102651111 B1 KR102651111 B1 KR 102651111B1 KR 1020210185623 A KR1020210185623 A KR 1020210185623A KR 20210185623 A KR20210185623 A KR 20210185623A KR 102651111 B1 KR102651111 B1 KR 102651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formation area
shape
pattern 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6285A (ko
Inventor
이명중
손수진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5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111B1/ko
Publication of KR20230096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01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2Arrangement of grooves or r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이드 월에 기 설정된 형상의 패턴을 표시하는 패턴형성영역을 가지며, 상기 패턴형성영역은, 다이아몬드 형태로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패턴이 격자 형태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되, 상기 패턴형성영역의 경계부에 걸친 단위패턴은 상기 패턴형성영역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잘린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차량의 주행 시 항력을 저감시키도록 형성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력 개선용 패턴형성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Tire Including a Pattern Forming Area for Improving Aerodynamics}
본 발명은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 월에 기 설정된 형상의 문양을 표시하도록 복수 개의 단위패턴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패턴형성영역이 형성됨에 따라, 공력을 개선하여 차량의 주행 시 항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고무로 만들어진 변형 가능한 링 형태의 물체로서, 자동차 등의 운송수단의 바퀴에 장착하여 공기를 주입함에 따라 운송수단과 노면 사이에 접지부를 형성하여 고르지 않은 노면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타이어는 자동차 등의 운송수단에 없어서는 안 되는 매우 중요한 부품으로, 엔진, 안전장치와 함께 안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타이어가 없다면 승차감은 물론, 안정성도 제대로 확보할 수 없다.
한편 타이어는 일반적으로 측부의 사이드 월에 상표, 스펙 정보 등을 나타내거나, 또는 공기 저항 및 난류를 저감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소정의 문양 또는 패턴이 각인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종래에는 차량의 주행 시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타이어의 사이드 월에 원형 등의 형태로 함몰된 홈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와 같은 단순한 패턴의 형태만으로는 그 효과가 미약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사이드 월에 형성되는 패턴의 형태를 개량함에 따라 공력을 개선하고, 차량의 주행 시 항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이드 월에 기 설정된 형상의 패턴을 표시하는 패턴형성영역을 가지며, 상기 패턴형성영역은, 다이아몬드 형태로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패턴이 격자 형태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되, 상기 패턴형성영역의 경계부에 걸친 단위패턴은 상기 패턴형성영역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잘린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차량의 주행 시 항력을 저감시키도록 형성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단위패턴은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단위패턴의 연결 지점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단위패턴의 내측에는 잘린 구 형상으로 함몰된 함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함몰홈의 중심점은 상기 단위패턴의 4개의 모서리가 형성하는 한 쌍의 대각선의 교차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형성영역의 경계부에 걸친 상기 함몰홈은 상기 단위패턴과 함께 상기 패턴형성영역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잘린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의 사이드 월에 다이아몬드 형태로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패턴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패턴형성영역이 형성되어, 공력을 개선함에 따라 차량의 주행 시 항력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더불어 본 발명은 패턴형성영역을 통해 외관 품질을 향상시켜 심미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사이드 월에 형성된 패턴형성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사이드 월에 형성된 패턴형성영역에 포함된 단위패턴의 구조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실제 제품 사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사이드 월에 형성된 패턴형성영역에 포함된 단위패턴의 구조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실제 제품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타이어(5)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타이어(5)의 사이드 월에 형성된 패턴형성영역(10)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타이어(5)는 사이드 월 부분에 기 설정된 형상의 문양을 표시하는 패턴형성영역(10)이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이때 패턴형성영역(10)을 제외한 타이어(5)의 일반적인 구조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패턴형성영역(10)은, 타이어(5)의 측부에서 사이드 월 부분을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다이아몬드 형태로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패턴(100)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패턴형성영역(10)은 빈틈없이 단위패턴(100)이 채워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패턴형성영역(10)의 경계부에 걸친 단위패턴(100)은, 패턴형성영역(10)의 외곽 형태에 대응되도록 잘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는 패턴형성영역(10)의 전체 형상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패턴형성영역(10)은 타이어(5)의 사이드 월에 소정의 중심각을 가지는 원호 궤적을 따라 배열되며, 총 2개소가 타이어(5)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점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 제시된 것이며, 패턴형성영역(10)의 개수 및 길이 등은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단위패턴(10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타이어(5)의 사이드 월에 형성된 패턴형성영역(10)에 포함된 단위패턴(100)의 구조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단위패턴(100)은 타이어(5)의 측부에서 사이드 월 부분을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다이아몬드 형태를 가지며, 이와 같은 단위패턴(100)은 복수 개가 격자 형태로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패턴형성영역(10)의 경계부에 걸친 단위패턴(100)은 패턴형성영역(10)의 외곽 형태에 대응되도록 잘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단위패턴(100)은 사이드 월과 수평한 면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단위패턴(100) 사이의 연결부에 단차(110)가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단위패턴(100)의 4개의 변에 각각 인접한 다른 단위패턴(100)과의 사이에는 삼각형 형태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실시예의 경우 단위패턴(100)의 내측에는 잘린 구 형상으로 함몰된 함몰홈(120)이 형성된다. 여기서 함몰홈(120)은 잘린 구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므로, 외측에서 내측으로 진행할수록 그 지름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함몰홈(120)의 지름, 전체 구에서 잘린 영역의 크기 등은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함몰홈(120)의 중심점은, 단위패턴(100)의 4개의 모서리가 형성하는 한 쌍의 대각선의 교차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함몰홈(120)을 중심으로 하여, 단위패턴(100)의 서로 맞은편에 위치된 변은 서로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함몰홈(120)이 패턴형성영역(100)의 경계부에 걸쳐 있을 경우, 해당 함몰홈(120)은 단위패턴(100)과 함께 패턴형성영역(10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잘린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타이어(5)의 사이드 월에 다이아몬드 형태로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패턴(100)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패턴형성영역(10)이 형성되며, 이와 같은 단위패턴(100)의 형태는 종래 일반적인 단순 형상의 반복 패턴에 비해 공력을 크게 개선할 수 있어 차량의 주행 시 항력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실제 제품 사진을 나타낸 도면으로, 해당 사진에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단위패턴(100)의 형태와 일치하는 형태의 단위패턴(100)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타이어(5)의 사이드 월에 형성된 패턴형성영역(10)에 포함된 단위패턴(100)의 구조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단위패턴(100)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타이어(5)의 측부에서 사이드 월 부분을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다이아몬드 형태를 가지며, 이와 같은 단위패턴(100)은 복수 개가 격자 형태로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다만, 본 실시예는 단위패턴(100)의 내측에 함몰홈이 별도로 형성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각 단위패턴(100)의 다이아몬드 형상 및 경사각을 유지한 상태로 함몰홈을 생략할 경우에도 종래 일반적인 단순 형상의 반복 패턴에 비해 공력을 크게 개선할 수 있어 차량의 주행 시 항력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실제 제품 사진을 나타낸 도면으로, 해당 사진에는 전술한 제2실시예의 단위패턴(100)의 형태와 일치하는 형태의 단위패턴(100)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 타이어
10: 패턴형성영역
100: 단위패턴
110: 단차
120: 함몰부

Claims (5)

  1. 사이드 월에 기 설정된 형상의 패턴을 표시하는 패턴형성영역을 가지며,
    상기 패턴형성영역은,
    다이아몬드 형태로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패턴이 격자 형태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되, 상기 패턴형성영역의 경계부에 걸친 단위패턴은 상기 패턴형성영역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잘린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차량의 주행 시 항력을 저감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위패턴은,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서로 인접한 단위패턴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단차, 및 내측에 잘린 구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홈을 포함하며,
    하나의 상기 단위패턴의 4개의 변들 중 적어도 일부에 각각 인접한 다른 단위패턴과의 사이에는 삼각형 형태의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홈의 중심점은 상기 단위패턴의 4개의 모서리가 형성하는 한 쌍의 대각선의 교차 지점에 위치되는,
    타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형성영역의 경계부에 걸친 상기 함몰홈은 상기 단위패턴과 함께 상기 패턴형성영역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잘린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타이어.

KR1020210185623A 2021-12-23 2021-12-23 공력 개선용 패턴형성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KR102651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623A KR102651111B1 (ko) 2021-12-23 2021-12-23 공력 개선용 패턴형성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623A KR102651111B1 (ko) 2021-12-23 2021-12-23 공력 개선용 패턴형성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285A KR20230096285A (ko) 2023-06-30
KR102651111B1 true KR102651111B1 (ko) 2024-03-25

Family

ID=8695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623A KR102651111B1 (ko) 2021-12-23 2021-12-23 공력 개선용 패턴형성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11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1155A (ja) 2005-09-30 2007-04-12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およびタイヤ成形用金型
JP4892889B2 (ja) 2005-08-18 2012-03-0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364556B2 (ja) 2009-12-15 2013-12-1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2019104384A (ja) * 2017-12-12 2019-06-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装飾体
JP2020131903A (ja) * 2019-02-19 2020-08-3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US20200376901A1 (en) 2017-12-12 2020-12-03 Bridgestone Corporation Decorative bod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2889B2 (ja) 2005-08-18 2012-03-0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07091155A (ja) 2005-09-30 2007-04-12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およびタイヤ成形用金型
JP5364556B2 (ja) 2009-12-15 2013-12-1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2019104384A (ja) * 2017-12-12 2019-06-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装飾体
US20200376901A1 (en) 2017-12-12 2020-12-03 Bridgestone Corporation Decorative body
JP2020131903A (ja) * 2019-02-19 2020-08-3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285A (ko) 202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2095B2 (ja) タイヤ
CN104417280B (zh) 充气轮胎
US9409447B2 (en) Pneumatic tire
JP6589885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130118663A1 (en) Pneumatic Tire
JPH0571004U (ja) 通年使用型空気入りタイヤ
US202101295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tering tire noise
US11648805B2 (en) Pneumatic tire
EP3698987B1 (en) Tire
JP6848641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7088098A (ja) 空気入りタイヤ
JP5368180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8001941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8052198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573264B2 (ja) 重荷重用ラジアルタイヤ
JP2014213686A (ja) タイヤ
KR102651111B1 (ko) 공력 개선용 패턴형성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JP2008189165A (ja) 空気入りタイヤ
JP5876227B2 (ja) タイヤ
JP7358936B2 (ja) タイヤ
CN106347031B (zh) 全地形车用充气轮胎
JP2014213687A (ja) タイヤ
KR102660762B1 (ko) 단위패턴을 가지는 패턴형성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JP2020196281A (ja) タイヤ
US10857840B2 (en)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