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136B1 - 공기 조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136B1
KR102658136B1 KR1020180172479A KR20180172479A KR102658136B1 KR 102658136 B1 KR102658136 B1 KR 102658136B1 KR 1020180172479 A KR1020180172479 A KR 1020180172479A KR 20180172479 A KR20180172479 A KR 20180172479A KR 102658136 B1 KR102658136 B1 KR 102658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air
area
information
adsorptio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2165A (ko
Inventor
김지연
정용원
김새미
김성원
박희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2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136B1/ko
Priority to EP19902672.5A priority patent/EP3867577A4/en
Priority to PCT/KR2019/018388 priority patent/WO2020138910A1/en
Priority to CN201980085626.8A priority patent/CN113227661B/zh
Priority to US16/728,831 priority patent/US11648504B2/en
Publication of KR20200082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54Controlling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80Chemical processes for the removal of the retained particles, e.g. by burning
    • B01D46/84Chemical processes for the removal of the retained particles, e.g. by burning by heat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01D2253/108Zeo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20Organic adsorbents
    • B01D2253/202Polymeric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20Organic adsorbents
    • B01D2253/204Metal organic frameworks (M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25Coated, impregnated or composite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08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cleaning air in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42Mobile autonomous air conditioner, e.g. rob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공기 조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공기 조화 장치는, 공기 조화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착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재생부, 및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팬을 제어하고, 공기 조화 장치가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주행부를 제어하며, 환기 가능한 영역에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필터 재생부를 구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Air conditio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공기 조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한 이동형 공기 조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내 공기에는 다양한 기체가 존재한다. 특히, 실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는 실내공기 오염 지표로 사용되고 있으며, 실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으면 인체에 영상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진다. 예로, 실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질수록 졸림을 느끼는 등 컨디션이 악화되거나, 어깨결림, 두통, 현기증과 같은 증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가 농도가 높아질수록 수면 중 움직임이 많아져 수면질이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연구결과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실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여 적정 농도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실내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환기가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 조화 장치가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필터 재생부를 구동하는 공기 조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 조화 장치는 상기 공기 조화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fan);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착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열 또는 빛을 발생시키는 필터 재생부; 및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팬을 제어하고, 상기 공기 조화 장치가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고, 상기 환기 가능한 영역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 재생부를 구동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임계농도 이상이면,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팬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상기 임계농도 이상이면, 상기 감지된 이산화탄소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공기 정화부의 구동을 안내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이산화탄소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산화탄소에 대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임계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영역이 감지되면, 상기 임계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며, 상기 임계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영역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팬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시간, 계절, 사용자 생활 습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상기 실내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도록 상기 공기 정화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계절에 따른 공기질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기 가능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의 창문 및 문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실내 환기가 진행되는지 여부 및 환기 가능한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온도가 제1 임계값 이상의 온도인 경우, 태양열을 이용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환기 가능한 영역 중 태양광이 입사되는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며, 현재 온도가 제2 임계값 이하의 온도인 경우, 상기 필터 재생부가 열 또는 빛을 발생시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날씨가 맑은 날의 경우,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환기 가능한 영역 중 태양광이 입사되는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며, 현재 날씨가 흐린 날씨의 경우, 상기 필터 재생부가 열 또는 빛을 발생시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는, 제올라이트, MOF (Metal Organic Framework), COF (Covalent Organic Framework), COP (Covalent Organic Polymer)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구현되며, 상기 소재 상에 Amine 계열, KOH, Li 중 적어도 하나로 코팅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착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열 또는 빛을 발생시키는 필터 재생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팬을 구동하는 단계; 상기 공기 조화 장치를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환기 가능한 영역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 재생부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을 구동하는 단계는, 센서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상기 임계농도 이상이면,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팬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상기 임계농도 이상이면, 상기 감지된 이산화탄소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공기 정화부의 구동을 안내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거하는 단계는, 외부 장치로부터 이산화탄소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산화탄소에 대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임계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영역이 감지되면, 상기 임계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임계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영역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팬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하는 단계는, 현재 시간, 계절, 사용자 생활 습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상기 실내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계절에 따른 공기질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기 가능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창문 및 문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환기가 진행되는지 여부 및 환기 가능한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재생부를 구동하는 단계는, 현재 온도가 제1 임계값 이상의 온도인 경우, 태양열을 이용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환기 가능한 영역 중 태양광이 입사되는 영역으로 이동하고, 현재 날씨가 제2 임계값 이하의 온도이거나 흐린 날씨의 경우, 상기 필터 재생부에 열 또는 빛을 가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재생부를 구동하는 단계는, 현재 날씨가 맑은 날의 경우,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환기 가능한 영역 중 태양광이 입사되는 영역으로 이동하고, 현재 날씨가 흐린 날씨의 경우, 상기 필터 재생부가 열 또는 빛을 발생시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
그리고,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는, 제올라이트, MOF (Metal Organic Framework), COF (Covalent Organic Framework), COP (Covalent Organic Polymer)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구현되며, 상기 소재 상에 Amine 계열, KOH, Li 중 적어도 하나로 코팅 처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실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더욱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가 실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블럭도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4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실외로 배출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가 실내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가 실내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가 실내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가 실내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이용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공기 조화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가 실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100)는 이동이 가능한 로봇형 공기 청정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공기 청정 기능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예로, 에어컨, 냉난방기, 가습기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우선, 공기 조화 장치(100)는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실내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는 제올라이트, MOF (Metal Organic Framework), COF (Covalent Organic Framework), COP (Covalent Organic Polymer)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구현되며, 상기 소재 상에 Amine 계열, KOH, Li 중 적어도 하나로 코팅 처리된 필터일 수 있다.
특히, 공기 조화 장치(100)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실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임계농도 이상이라고 감지되면, 공기 조화 장치(100)는 실내 공기가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부로 유입되도록 팬을 가동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통해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시킴으로써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공기 조화 장치(100)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임계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임계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영역이 감지되면, 공기 조화 장치(100)는 임계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실내 공기가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부로 유입되도록 팬을 가동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통해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는 댁 내에 존재하는 IoT 장치로서, 댁 내의 실내 환경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복수의 센서(예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가스 센서,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 등)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는 외부 장치는 댁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IoT 장치로부터 실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허브 장치(또는 홈 게이트웨이 장치)일 수 있다.
또는, 공기 조화 장치(100)는 사용자 설정 또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바탕으로 팬을 가동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통해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예로, 사용자가 오전 시간대에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도록 설정한 경우, 공기 조화 장치(100)는 사용자가 설정한 오전 시간대에 팬을 가동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통해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공기 조화 장치(100)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학습하고, 학습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바탕으로 팬을 가동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통해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공기 조화 장치(100)는 현재 시간, 계절, 사용자 생활 습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실내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예로, 현재 시간이 잠자는 시간대(예로, AM01:00~AM02:00)인 경우, 공기 조화 장치(100)는 사용자의 쾌적한 수면을 위해 실내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계절에 따라 상이한 시간대(예를 들어, 여름에는 AM03:00~AM04:00, 겨울에는 AM 06:00~AM07:00)에 이산화 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공기 조화 장치(100)는 사용자 생활 습관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PM06:00~PM07:00까지 저녁 식사를 준비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시간대에 공기 정화를 위한 이산화탄소 제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임계값 이하로 판단되면, 공기 조화 장치(100)는 팬의 가동을 중단하여 실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한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공기 조화 장치(100)는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 주위(예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 양 극단)에 흡착된 이산화탄소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고,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 양을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의 재생 여부를 안내할 수 있다. 즉,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 양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공기 조화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의 재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공기 조화 장치(100)는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상에 흡착된 이산화탄소에 따라 색이 변하는 소재(예로, triethanolamine-based, polydiacetylene-based,benzobisimidazolium-based 등)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 상에 구비된 소재의 색 변화에 따라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의 재생 시점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이산화탄소가 흡착되어 있는 동안 공기 조화 장치(100)는 실내에 환기가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 장치(100)는 외부 장치로부터 창문이 열려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실내 환기가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공기 조화 장치(100)는 공기 조화 장치(100) 내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창문이 위치한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창문이 열려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공기 조화 장치(100)는 다양한 센서(예를 들어,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미세먼지 센서 등)를 통해 창문이 열려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공기 조화 장치(100)는 열려있는 창문에 대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환기 가능한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예로, 열려있는 창문이 거실에 위치하는 창문인 경우, 공기 조화 장치(100)는 거실 창문이 위치한 영역을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창문이 열려있어 실내에 환기가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 조화 장치(100)는 창문이 열려 있는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 장치(100)는 기저장된 맵(map)을 이용하여 창문이 열려 있는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공기 조화 장치(100)는 기저장된 맵을 이용하여 최단 거리를 가지는 경로를 판단하고 판단된 경로를 바탕으로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공기 조화 장치(100)는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하는 동안 외부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영역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바탕으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임계값 이상인 영역을 거쳐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임계값 이상인 영역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100)가 이동하는 동안 카메라나 센서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면, 공기 조화 장치(100)는 장애물을 회피하여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100)는 외부에 존재하는 장치 중 창문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에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즉, 공기 조화 장치(100)는 창문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에 창문을 열라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창문이 열려 있는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100)는 계절에 따른 공기질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기 가능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 장치(100)는 복수의 계절에 따른 공기질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각의 계절에 따른 환기 가능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공기 조화 장치(100)는 각각의 계절에 따른 공기질 데이터를 바탕으로 계절마다 공기질이 좋은 시간대(예로, 미세먼지, 초미세먼지가 적은 시간대 또는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해 가스의 농도가 적은 시간대 등)와 공기질이 나쁜 시간대(예로, 미세먼지, 초미세먼지가 많은 시간대 또는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해 가스의 농도가 높은 시간대 등)를 판단하고, 공기질이 좋은 시간대를 환기 가능한 시점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š, 복수의 계절에 대한 공기질 데이터는 과거부터 계절별로 수집된 공기질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학습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계절마다 환기가 가능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환기를 수행함으로써, 공기 조화 장치(100)는 더욱 효율적으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재생할 수 있다.공기 조화 장치(100)는 환기 가능한 영역에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필터 재생부를 구동할 수 있다. 이때, 필터 재생부는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의 주위(예로, 측면)에 구비되어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열 또는 빛을 발생시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때, 공기 조화 장치(100)는 기설정된 시간(예로, 1시간)동안 필터 재생부를 구동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 양에 따라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 장치(100)는 환기 가능한 영역에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함으로써,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100)는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부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함으로써, 다른 영역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도록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100)는 현재 온도, 날씨 및 계절에 따라 필터 재생부를 구동하지 않고, 외부에서 제공되는 열 또는 빛을 바탕으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재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온도가 제1 임계값 이상의 온도인 경우, 공기 조화 장치(100)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환기 가능한 영역 중 태양광이 입사되는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현재 온도가 제2 임계값 이하의 온도인 경우, 공기 조화 장치(100)는 필터 재생부가 열 또는 빛을 발생시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날씨가 맑은 날의 경우, 공기 조화 장치(100)는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환기 가능한 영역 중 태양광이 입사되는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현재 날씨가 흐린 날씨의 경우, 공기 조화 장치(100)는 필터 재생부가 열 또는 빛을 발생시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현재 계절이 여름인 경우, 공기 조화 장치(100)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환기 가능한 영역 중 태양광이 입사되는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현재 계절이 겨울인 경우, 공기 조화 장치(100)는 필터 재생부가 열 또는 빛을 발생시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100)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학습하여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재생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일정한 시간대에 환기하는 것으로 학습되면, 공기 조화 장치(100)는 학습된 시간대에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재생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 장치(100)는 주행부(110), 공기 정화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 조화 장치의 유형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주행부(110)는 공기 조화 장치(100)를 이동시키는 구성이며, 모터 및 복수 개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부(11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이산화탄소 농도가 임계농도 이상인 공간 또는 환기 가능한 공간 또는 태양광이 입사되는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공기 정화부(120)는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한 후 토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공기 정화부(120)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 및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 청정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이때, 공기 청정 필터는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프리 필터, 기능성 필터, 헤파 필터, 탈취 필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정화부(120)는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열 또는 빛을 발생시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재생시키는 필터 재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정화부(120)에 대해서는 추후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세서(130)는 공기 조화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를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실내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도록 공기 정화부(120)를 제어하고, 환기가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30)는 공기 조화 장치(100)가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주행부(110)를 제어하고, 환기 가능한 영역에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필터 재생부를 구동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열 또는 빛을 발생시키도록 필터 재생부를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 장치(100) 내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상기 임계농도 이상이면, 프로세서(130)는 임계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영역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도록 공기 정화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상기 임계농도 이상이면, 프로세서(130)는 감지된 이산화탄소에 대한 정보 및 공기 정화부(110)의 구동을 안내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외부 장치로부터 이산화탄소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이산화탄소에 대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임계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영역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30)는 임계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주행부(110)를 제어하며, 임계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영역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도록 공기 정화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현재 시간, 계절, 사용자 생활 습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실내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도록 공기 정화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계절에 따른 공기질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기 가능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기학습된 계절에 따른 공기질 데이터를 바탕으로 바탕으로 봄,여름,가을,겨울 각각에 가장 바람직한 환기 가능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외부의 창문 및 문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실내 환기가 진행되는지 여부 및 환기 가능한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창문이나 문에 부착되거나 주위에 부착된 외부의 센싱 장치로부터 창문 개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실내 환기가 진행되는지 여부 및 환기 가능한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현재 온도 정보 또는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상이한 방법으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온도가 제1 임계값 이상의 온도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환기 가능한 영역 중 태양광이 입사되는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주행부(1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현재 온도가 제2 임계값 이하의 온도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필터 재생부가 열 또는 빛을 발생시키도록 구동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날씨가 맑은 날의 경우, 프로세서(130)는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환기 가능한 영역 중 태양광이 입사되는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주행부(1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현재 날씨가 흐린 날씨의 경우, 프로세서(130)는 필터 재생부가 열 또는 빛을 발생시키도록 구동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 장치(100)는 주행부(110), 공기 정화부(120), 통신 인터페이스(130), 센서(150), 메모리(160), 디스플레이(170), 스피커(180), 사용자 인터페이스(19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 도 3에 도시된 구성 중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인터페이스(130)가 외부 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것은 제3 기기(예로, 중계기, 허브, 액세스 포인트, 서버 또는 게이트웨이 등)를 거쳐서 통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이 수행되는 네트워크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외부 전자 장치로 다양한 정보(예로,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정보, 공기 조화 장치가 수행하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로부터 다양한 정보(예로,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정보, 창문 개폐에 대한 정보, 환기 가능한 영역에 대한 정보 등)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150)는 공기 조화 장치(100) 주위에 다양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특히, 센서(150)는 실내 공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로,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센서(150)는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가스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150)는 공기 조화 장치(100) 외부를 촬영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또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공기 조화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6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액세스되며, 프로세서(13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메모리라는 용어는 메모리(160), 프로세서(130)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공기 조화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0)에는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사용 패턴, 사용자의 생활 습관 패턴 등을 학습하기 위한 인공지능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 또는 구동하기 위한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공지능 에이전트는 기존의 범용 프로세서(예를 들어, CPU) 또는 별도의 AI 전용 프로세서(예를 들어, GPU, NPU 등)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현재 공기 조화 장치(100)가 위치하는 공간에 대한 맵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로, 공기 조화 장치(100)가 위치하는 공간이 가정인 경우, 메모리(16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맵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맵 정보는 외부 장치(예로, 홈 게이트웨이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170)는 현재 실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정보 또는 현재 공기 조화 장치(100)가 수행 중인 동작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90)에 포함된 터치 패널과 함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피커(180)는 오디오 처리부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스피커(180)는 현재 실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정보 또는 현재 공기 조화 장치(100)가 수행 중인 동작에 대한 정보를 자연어 형태의 음성 메시지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은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90)는 공기 조화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190)는 사용자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한 사용자 터치를 입력받기 위한 터치 패널,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 사용자 인터페이스(190)는 다른 입력 장치(예로, 키보드, 마우스, 모션 입력부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정화부(120)는 프리 필터(121), 탈취 필터(122), 헤파 필터(123),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리 필터(121)는 실내 공기 중 생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이며, 탈취 필터(122)는 실내 공기 중 각종 악취 및 유해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이며, 헤파 필터(123)는 실내 공기 중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이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124)는 실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일 수 있다. 이때,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는 제올라이트, MOF (Metal Organic Framework), COF (Covalent Organic Framework), COP (Covalent Organic Polymer)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구현되며, 상기 소재 상에 Amine 계열, KOH, Li 중 적어도 하나로 코팅 처리된 필터일 수 있다.
또한, 공기 정화부(120)는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124)를 재생시키기 위한 필터 재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재생부는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124)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 주위(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 측면 또는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 상부)에 구비되어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열 또는 빛을 가할 수 있다. 이때, 필터 재생부는 LED(Light-Emitting Diode), 램프, 히터 등과 같은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프리 필터(121), 탈취 필터(122), 헤파 필터(123),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124)는 입자가 큰 순서대로 먼지나 유해 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가 흡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예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흡입되는 경우, 공기 정화부(120)는 좌측에서부터 프리 필터(121), 탈취 필터(122), 헤파 필터(123),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124)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아래에서 위로 흡입되는 경우, 공기 정화부(120)는 밑에서부터 프리 필터(121), 탈취 필터(122), 헤파 필터(123),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124)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필터 재생부는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124)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팬(125)이 공기 조화 장치(100)의 최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공기 조화 장치(100)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센싱할 수 있다(S510).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 장치(100)는 센서를 통해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0)는 센싱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제1 임계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20). 예를 들어, 공기 조화 장치(100)는 센싱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1000ppm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싱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제1 임계농도 이상이면(S520-Y), 공기 조화 장치(100)는 임계 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감지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530). 이때, 공기 조화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70) 또는 스피커(180)를 통해 임계 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감지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임계 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감지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정보를 시각적,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임계 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감지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공기 조화 장치(100) 주변에 있지 않더라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임계 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감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0)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공기 정화부(120)를 구동할 수 있다(S540). 즉, 공기 조화 장치(100)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제1 임계농도 이상인 영역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팬(125)을 구동시킬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0)는 센싱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제2 임계농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50). 이때, 제1 임계농도는 제2 임계농도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700ppm과 같이 제1 임계농도보다 작을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0)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제2 임계농도 미만으로 판단되면(S550-Y), 공기 조화 장치(100)는 이산화탄소 제거를 위한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S560). 즉, 공기 조화 장치(100)는 팬(125)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 임계 농도 미만의 이산화탄소가 감지된 경우, 이산화탄소 제거를 위한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기설정된 시간(예로, 1분 등)동안 팬이 동작하다가 중단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외부 장치(600)는 외부 장치(600)가 위치한 영역에 제1 임계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 감지할 수 있다(S610). 이때, 외부 장치(600)는 댁 내의 복수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예로, 외부 장치(600)는 거실, 안방, 화장실, 부엌, 작은 방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외부 장치(600)는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정보를 공기 조화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620). 이때, 외부 장치(600)는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외부 장치(600)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0)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농도 및 외부 장치(600)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장치(600)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S630).
공기 조화 장치(100)는 임계 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감지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640). 이때, 공기 조화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70) 또는 스피커(180)를 통해 임계 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감지된 정보 및 외부 장치(600)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임계 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감지된 정보 및 외부 장치(600)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0)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공기 정화부(120)를 구동할 수 있다(S650). 즉, 공기 조화 장치(100)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제1 임계농도 이상인 영역, 즉 외부 장치(600)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팬(125)을 구동시킬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0)가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동안 외부 장치(600)는 제2 임계농도 미만의 이산화탄소를 감지할 수 있다(S660). 이때, 제1 임계농도는 제2 임계농도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700ppm과 같이 제1 임계농도보다 작을 수 있다.
외부 장치(600)는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정보를 공기 조화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670). 그리고, 공기 조화 장치(100)는 이산화탄소 제거를 위한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S680). 즉, 공기 조화 장치(100)는 팬(125)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실외로 배출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외부 장치(700)는 창문 열림을 감지할 수 있다(S710). 이때, 외부 장치(700)는 다양한 센서(예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미세먼지 센서 등)를 통해 창문 열림을 감지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창문 열림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장치(700)는 창문 열림에 대한 정보를 공기 조화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720). 이때, 외부 장치(700)는 열린 창문의 위치 정보 또는 외부 장치(700)의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0)는 외부 장치(7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S730). 즉, 공기 조화 장치(100)는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124)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공기 조화 장치(100)는 기저장된 맵(map)을 이용하여 창문이 열려 있는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 장치(100)는 기저장된 맵을 이용하여 최단 거리를 가지는 경로를 판단하고 판단된 경로를 바탕으로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공기 조화 장치(100)는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하는 동안 외부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영역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바탕으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임계값 이상인 영역을 거쳐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임계값 이상인 영역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공기 조화 장치가 안방에 위치하고 환기 가능한 영역이 거실이며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임계값 이상인 영역이 부엌인 경우, 공기 조화 장치(100)는 안방에서 부엌으로 이동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부엌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도록 팬을 구동하며, 부엌에서 거실로 이동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0)는 현재 계절 및 날씨를 판단할 수 있다(S740). 즉, 공기 조화 장치(100)는 현재 계절이 여름인지 겨울인지, 현재 날씨가 맑은지 흐린지, 온도가 임계온도(예로, 25도) 이상인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0)는 판단된 현재 계절 및 날씨를 바탕으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한 공기 정화부(120)를 구동할 수 있다. 예로, 현재 계절이 여름이 아니거나, 현재 날씨가 흐리거나, 임계온도 이하인 경우, 공기 조화 장치(100)는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공기 정화부(120)를 구동할 수 있다. 즉, 공기 조화 장치(100)는 공기 정화부(120)를 구동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열 또는 빛을 가해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제거된 이산화탄소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만, 현재 계절이 여름이고, 날씨가 맑음이고, 임계온도 초과인 경우, 공기 조화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100)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환기 여부 및 환기 가능한 영역을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공기 조화 장치(100)가 직접 카메라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환기 여부 및 환기 가능한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 장치(10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창문이 포함된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환기 여부 및 환기 가능한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공기 조화 장치(100)는 각종 센서(예를 들어,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바람 센서 등)를 바탕으로 수집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환기 여부 및 환기 가능한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 장치(100)가 이동하는 동안 복수의 센서를 통해 센싱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정보에 기설정된 변화가 감지되면, 기설정된 변화가 감지된 영역을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가 실내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공기 조화 장치(10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실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안방에 위치한 제1 센싱 장치(810)는 안방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임계농도 이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싱 장치(810)는 공기 조화 장치(100)로 안방의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0)는 제1 센싱 장치(8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부(110)를 이용하여 안방으로 이동하고, 안방에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때, 공기 조화 장치(100)는 기저장된 맵(map)을 이용하여 최단거리로 안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안방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흡착시킨 후, 제2 센싱 장치(820)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실에 위치하는 창문이 열렸음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센싱 장치(820)는 공기 조화 장치(100)로 창문 열림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0)는 수신된 창문 열림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실의 창문이 위치하는 영역으로 이동하고, 이동된 영역에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재생하여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 장치(100)는 환기 가능한 영역인 거실의 창문이 위치하는 영역으로 이동하고, 필터 재생부를 구동하여 빛 또는 열을 발생시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재생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공기 조화 장치(100)는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실내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S910). 이때, 공기 조화 장치(100)는 센서를 통해 획득된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정보 또는 외부의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된 이산화탄소 농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임계 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영역에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0)는 환기 진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20).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 장치(100)는 외부의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된 창문 열림에 대한 정보 또는 공기 조화 장치(100)가 촬영한 이미지를 바탕으로 환기 진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0)는 환기 진행 여부를 바탕으로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S930).
공기 조화 장치(100)는 필터 재생부를 이용하여 환기 가능한 영역에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다(S940). 즉, 공기 조화 장치(100)는 필터 재생부에 의해 발생된 열 또는 빛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여 외부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이용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메모리(140)는 학습부(1010) 및 판단부(10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학습부(1010)를 실행함으로써, 인공지능 에이전트가 응답을 제공하는 기준을 갖도록 학습시킬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에 따른 학습부(1010)는 사용자 사용 패턴 또는 생활 습관 패턴을 획득하기 위한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판단부(1020)를 실행함으로써,인공지능 에이전트가 입력 데이터(예로, 이미지 데이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 사용 패턴 또는 생활 습관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020)는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소정의 입력 데이터로부터 사용자 사용 패턴 또는 생활 습관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1020)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소정의 입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입력 데이터를 입력 값으로 하여 인공지능 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소정의 입력 데이터에 기초한 사용자 사용 패턴 또는 생활 습관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또는, 추정(estimate)할 수 있다). 또한, 획득된 입력 데이터를 입력 값으로 인공지능 모델에 적용하여 출력된 결과 값은, 인공지능 모델을 갱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학습부(1010)의 적어도 일부 및 판단부(1020)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되어 공기 조화 장치(100)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부(1010) 및 판단부(1020)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기존의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예: GPU)의 일부로 제작되어 전술한 서버에 탑재될 수도 있다. 이때, 인공 지능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은 확률 연산에 특화된 전용 프로세서로서, 기존의 범용 프로세서보다 병렬처리 성능이 높아 기계 학습과 같은 인공 지능 분야의 연산 작업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학습부(1010) 및 판단부(1020)가 소프트웨어 모듈(또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모듈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소프트웨어 모듈은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거나,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중 일부는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고, 나머지 일부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학습부(1010) 및 판단부(1020)는 하나의 서버에 탑재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별개의 서버들에 각각 탑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학습부(1010) 및 판단부(1020) 중 하나는 제1 서버에 포함되고, 나머지 하나는 제2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학습부(1010) 및 판단부(10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하여, 학습부(1010)가 구축한 모델 정보를 판단부(1020)로 제공할 수도 있고, 판단부(1020)로 입력된 데이터가 추가 학습 데이터로서 학습부(1010)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델은 인식 모델의 적용 분야, 학습의 목적 또는 장치의 컴퓨터 성능 등을 고려하여 구축될 수 있다. 응답 제공 모델은, 예를 들어, 신경망(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일 수 있다. 응답 제공 모델은 인간의 뇌 구조를 컴퓨터 상에서 모의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응답 제공 모델은 인간의 신경망의 뉴런(neuron)을 모의하는, 가중치를 가지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뉴런이 시냅스(synapse)를 통하여 신호를 주고 받는 시냅틱(synaptic) 활동을 모의하도록 각각 연결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응답 제공 모델은, 일 예로, 신경망 모델, 또는 신경망 모델에서 발전한 딥 러닝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딥 러닝 모델에서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서로 다른 깊이(또는, 레이어)에 위치하면서 컨볼루션(convolution) 연결 관계에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컨대, DNN(Deep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과 같은 모델이 응답 제공 모델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공기 조화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공기 조화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기의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기에서의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공기 조화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110: 주행부 120: 공기 정화부
130: 프로세서 140: 통신 인터페이스
150: 센서 160: 메모리
170: 디스플레이 180: 스피커
190: 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20)

  1.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fan);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착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열 또는 빛을 발생시키는 필터 재생부; 및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팬을 제어하고,
    공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센싱 정보의 기 설정된 변화가 감지되는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공기 센싱 정보의 기 설정된 변화가 감지된 영역을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식별하여 상기 공기 조화 장치가 상기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고,
    상기 환기 가능한 영역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 재생부를 구동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센싱 정보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또는 바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온도가 제1 임계값 이상의 온도인 경우, 태양열을 이용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환기 가능한 영역 중 태양광이 입사되는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며,
    현재 온도가 제2 임계값 이하의 온도인 경우, 상기 필터 재생부가 열 또는 빛을 발생시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공기 조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공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임계농도 이상이면,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팬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상기 임계농도 이상이면, 상기 감지된 이산화탄소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구동을 안내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이산화탄소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산화탄소에 대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임계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영역이 감지되면, 상기 임계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며,
    상기 임계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영역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팬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시간, 계절, 사용자 생활 습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상기 실내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도록 상기 공기 조화 장치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계절에 따른 공기질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기 가능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공기 조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의 창문 및 문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실내 환기가 진행되는지 여부 및 환기 가능한 영역을 판단하는 공기 조화 장치.
  8. 삭제
  9.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fan);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착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열 또는 빛을 발생시키는 필터 재생부; 및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팬을 제어하고,
    공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센싱 정보의 기 설정된 변화가 감지되는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공기 센싱 정보의 기 설정된 변화가 감지된 영역을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식별하여 상기 공기 조화 장치가 상기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고,
    상기 환기 가능한 영역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 재생부를 구동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센싱 정보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또는 바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날씨가 맑은 날의 경우,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환기 가능한 영역 중 태양광이 입사되는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주행부를 제어하며,
    현재 날씨가 흐린 날씨의 경우, 상기 필터 재생부가 열 또는 빛을 발생시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공기 조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는,
    제올라이트, MOF (Metal Organic Framework), COF (Covalent Organic Framework), COP (Covalent Organic Polymer)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구현되며,
    상기 소재 상에 Amine 계열, KOH, Li 중 적어도 하나로 코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11.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착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열 또는 빛을 발생시키는 필터 재생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팬을 구동하는 단계;
    공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센싱 정보의 기 설정된 변화가 감지되는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공기 센싱 정보의 기 설정된 변화가 감지된 영역을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식별하여 상기 공기 조화 장치를 상기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환기 가능한 영역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 재생부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센싱 정보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또는 바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재생부를 구동하는 단계는,
    현재 온도가 제1 임계값 이상의 온도인 경우, 태양열을 이용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환기 가능한 영역 중 태양광이 입사되는 영역으로 이동하고,
    현재 날씨가 제2 임계값 이하의 온도이거나 흐린 날씨의 경우, 상기 필터 재생부에 열 또는 빛을 가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제어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을 구동하는 단계는,
    센서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임계농도 이상이면,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팬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상기 임계농도 이상이면, 상기 감지된 이산화탄소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구동을 안내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하는 단계는,
    외부 장치로부터 이산화탄소에 대한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산화탄소에 대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임계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영역이 감지되면, 상기 임계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임계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영역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팬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하는 단계는,
    현재 시간, 계절, 사용자 생활 습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상기 실내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제어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계절에 따른 공기질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기 가능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외부의 창문 및 문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센싱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환기가 진행되는지 여부 및 환기 가능한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삭제
  19.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착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열 또는 빛을 발생시키는 필터 재생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도록 상기 팬을 구동하는 단계;
    공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센싱 정보의 기 설정된 변화가 감지되는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공기 센싱 정보의 기 설정된 변화가 감지된 영역을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식별하여 상기 공기 조화 장치를 상기 환기 가능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환기 가능한 영역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 재생부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센싱 정보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또는 바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재생부를 구동하는 단계는,
    현재 날씨가 맑은 날의 경우, 태양광 및 태양열을 이용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환기 가능한 영역 중 태양광이 입사되는 영역으로 이동하고,
    현재 날씨가 흐린 날씨의 경우, 상기 필터 재생부가 열 또는 빛을 발생시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에 흡착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제어 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흡착 필터는,
    제올라이트, MOF (Metal Organic Framework), COF (Covalent Organic Framework), COP (Covalent Organic Polymer)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구현되며,
    상기 소재 상에 Amine 계열, KOH, Li 중 적어도 하나로 코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80172479A 2018-12-28 2018-12-28 공기 조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658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479A KR102658136B1 (ko) 2018-12-28 2018-12-28 공기 조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19902672.5A EP3867577A4 (en) 2018-12-28 2019-12-24 AIR CONDITIONING AND CONTROL PROCEDURES FOR IT
PCT/KR2019/018388 WO2020138910A1 (en) 2018-12-28 2019-12-24 Air conditio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980085626.8A CN113227661B (zh) 2018-12-28 2019-12-24 空调设备和其控制方法
US16/728,831 US11648504B2 (en) 2018-12-28 2019-12-27 Air conditio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479A KR102658136B1 (ko) 2018-12-28 2018-12-28 공기 조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165A KR20200082165A (ko) 2020-07-08
KR102658136B1 true KR102658136B1 (ko) 2024-04-18

Family

ID=71123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479A KR102658136B1 (ko) 2018-12-28 2018-12-28 공기 조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48504B2 (ko)
EP (1) EP3867577A4 (ko)
KR (1) KR102658136B1 (ko)
CN (1) CN113227661B (ko)
WO (1) WO20201389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73636A1 (en) * 2019-09-06 2021-03-11 Vigilent Corporation Optimal control with deep learning
USD927668S1 (en) * 2019-10-29 2021-08-10 Xiaozhou Huang Air purifier
KR102372178B1 (ko) 2020-09-07 2022-03-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절약형 이산화탄소 흡착시스템 및 흡착방법
EP4214450A1 (en) * 2020-09-16 2023-07-26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Systems and methods to mitigate infection risk using air purification
US11231192B1 (en) * 2020-09-30 2022-01-25 Varun A. Shah Cooling and heating methodology and systems
USD927658S1 (en) * 2021-03-08 2021-08-10 Ruochen Fu Heating and cooling fan
CN115218331A (zh) * 2021-04-16 2022-10-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室内的除二氧化碳模块、控制方法及空调室内机
CA3188855A1 (en) * 2021-05-05 2022-11-10 Kevin L. Thomas Capital LLC Capturing atmospheric gas with a distributed system
CN113432272A (zh) * 2021-06-09 2021-09-24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调节室内二氧化碳浓度的方法及装置、空调器
CN113405227A (zh) * 2021-06-09 2021-09-17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调节室内二氧化碳浓度的方法及装置、空调器
CN113405228A (zh) * 2021-06-09 2021-09-17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调节室内二氧化碳浓度的方法及装置、空调器
CN113405164B (zh) * 2021-06-16 2022-08-19 重庆海尔空调器有限公司 用于控制二氧化碳吸附模块的方法、装置和智能空调
CN113865026A (zh) * 2021-09-29 2021-12-31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二氧化碳收集装置的控制方法及装置、空调器和存储介质
CN113865048A (zh) * 2021-09-29 2021-12-31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二氧化碳收集装置的控制方法及装置、空调器和存储介质
US11612853B1 (en) * 2022-01-02 2023-03-28 AirMyne, Inc. Fully automated direct air capture carbon dioxide processing system
US20230213246A1 (en) 2022-01-02 2023-07-06 AirMyne, Inc. Using Carbon Dioxide From A Direct Air Capture System As A Low Global Warming Car And Industrial Refrigerant
US11801476B2 (en) 2022-01-02 2023-10-31 AirMyne, Inc. Efficient and fully automated catalytic direct carbon dioxide capture from air system
CN114811899B (zh) * 2022-03-14 2024-04-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水洗空调及其控制方法
US11976847B2 (en) 2022-03-22 2024-05-07 Danvita Thermal LLC Air purification system
US20230308467A1 (en) * 2022-03-24 2023-09-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Home Gateway Monitoring for Vulnerable Home Internet of Things Devices
CN114777277A (zh) * 2022-04-19 2022-07-2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的除二氧化碳控制方法
JP7301255B1 (ja) * 2022-07-15 2023-06-30 三菱電機株式会社 二酸化炭素回収システム
CN116078062A (zh) * 2023-02-10 2023-05-09 山东大学 一种二氧化碳和氧气平衡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1113A1 (en) * 2003-05-13 2004-11-25 Oy Hydrocell Ltd Filtration method and a filter device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the air of a limited space and an apparatus for removing carbon dioxide from the air of an air-raid shelter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0344A (en) * 1987-11-10 1990-02-13 Jvj Enterprises, Inc. Portable room air filter
US5226256A (en) * 1989-05-12 1993-07-13 Aug. Winkhaus Gmbh & Co., Kg Window system for a building
US5428964A (en) * 1994-01-10 1995-07-04 Tec-Way Air Quality Products Inc. Control for air quality machine
KR100533829B1 (ko) * 2003-07-29 2005-12-0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로봇 및 그 시스템
US7840308B2 (en) * 2004-09-10 2010-11-23 Honda Motor Co., Ltd. Robot device control based on environment and position of a movable robot
KR100631536B1 (ko) * 2004-09-22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정화 로봇 및 그의 운전방법
KR100714719B1 (ko) * 2004-12-03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하면서 공기를 청정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7183032A (ja) 2006-01-05 2007-07-19 Toshiba Corp 環境制御用ロボット装置及びシステム
KR20080001872U (ko) 2006-12-13 2008-06-18 동양매직 주식회사 이산화탄소 농도 표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기
KR100856709B1 (ko) 2007-02-12 2008-09-04 주식회사 애니텍 이산화탄소 및 유해가스 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장치
US20110203174A1 (en) 2008-08-11 2011-08-25 Lackner Klaus S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carbon dioxide from air
US8496737B2 (en) * 2010-05-06 2013-07-30 Moneual Inc. Movable air purification robot system
KR20130096597A (ko) 2012-02-22 2013-08-3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지능형 축사 환기 시스템과 그 방법
EP2692412A1 (de) 2012-07-31 2014-02-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Wärmenutzung zur CO2-Abscheidung
CN102944048B (zh) * 2012-10-12 2014-08-20 江苏大学 一种工作模式自动切换的空气净化机及其净化方法
CN104797323B (zh) 2012-11-15 2017-11-14 恩沃德系统公司 适用于减少室内空气中的有害气体的方法和系统
KR101439523B1 (ko) 2013-09-27 2014-09-15 주식회사 애니텍 자동개폐형 이산화탄소 흡착필터 모듈 및 흡착제를 구비한 지능형 환기시스템
CN105939773B (zh) * 2014-02-21 2019-01-11 夏普株式会社 二氧化碳浓度控制装置和电子设备
JP6351729B2 (ja) * 2014-08-20 2018-07-04 シャープ株式会社 二酸化炭素濃度制御システムおよび二酸化炭素濃度制御装置
KR101622556B1 (ko) * 2014-09-25 2016-05-31 주식회사 애니텍 자동개폐형 이산화탄소 흡착필터 모듈 및 흡착제를 구비한 에너지 절감형 환기시스템
MX2017008228A (es) * 2014-12-24 2017-10-06 Koninklijke Philips Nv Arreglo y metodo de manejo de aire de una habitacion.
CN205002259U (zh) * 2015-08-27 2016-01-27 北京米微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机器人
CN105258241A (zh) * 2015-11-20 2016-01-20 上海安居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可移动室内空气净化装置
DE102016100489A1 (de) * 2016-01-13 2017-07-1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ystem und Verfahren zur Luftreinigung an mindestens zwei verschiedenen Orten
KR20170086246A (ko) * 2016-01-18 2017-07-26 코웨이 주식회사 이동형 공기청정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7206145A (ja) 2016-05-19 2017-11-24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US20180290104A1 (en) * 2017-04-10 2018-10-11 Fuh-Cheng Jong Intelligent air purifier
CN106891349A (zh) * 2017-05-07 2017-06-27 黄国彬 一种多用途智能机器人
KR101808116B1 (ko) 2017-05-10 2017-12-13 주식회사 구펜 공기청정 시스템
CN108105901A (zh) * 2017-05-11 2018-06-01 上海美桥科材料科技有限公司 带有移动式控制箱的空气优化交换系统
KR20180127595A (ko) * 2017-05-19 2018-11-29 강삼태 복합 환경제어용 공기조화기
KR101835320B1 (ko) 2017-07-28 2018-03-09 (주)코노텍 이산화탄소 농도 조절기능을 가진 실내환경조절장치
JP2019090546A (ja) 2017-11-10 2019-06-13 三菱電機株式会社 送風装置、空気調和装置および換気システム
CN108826488B (zh) * 2018-05-07 2019-11-08 大连理工大学 一种自动寻源式的室内污染净化去除装置及方法
KR102580543B1 (ko) 2018-10-30 202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1113A1 (en) * 2003-05-13 2004-11-25 Oy Hydrocell Ltd Filtration method and a filter device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the air of a limited space and an apparatus for removing carbon dioxide from the air of an air-raid she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67577A4 (en) 2021-12-15
US11648504B2 (en) 2023-05-16
EP3867577A1 (en) 2021-08-25
CN113227661B (zh) 2023-11-07
CN113227661A (zh) 2021-08-06
WO2020138910A1 (en) 2020-07-02
KR20200082165A (ko) 2020-07-08
US20200206675A1 (en)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8136B1 (ko) 공기 조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797204B2 (ja) 空気質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分析サーバー
US1121411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vehicle HVAC control using portable devices
CN112066528A (zh) 一种空调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空调
US11933514B2 (en) Air conditioner using gas sensing data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213577931U (zh) 空气清净装置以及智能管理系统
KR102040505B1 (ko) 인공지능 기반의 공기 청정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시스템
JP2017528788A (ja) 空気品質警報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033988A (zh) 空调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11344523B (zh) 空气净化监测系统、空气净化装置、相应的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WO2023035678A1 (zh) 用于控制空调的方法及装置、空调、存储介质
KR20180105451A (ko) 가축의 사육 환경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02140879B (zh) 家庭宜居空气质量调整控制装置及方法
KR20160073569A (ko) 자동 환기시스템
CN110023687A (zh) 用于空气处理装置的控制设备和操作方法
CN104000595A (zh) 通信装置及其控制方法、被控制装置及通信系统
CN106765948A (zh) 一种空气净化控制系统
CN104833388A (zh) 空气净化设备的测试系统及测试方法
JP2005009847A (ja) 遠隔環境条件模擬方法及びシステム
US20230333075A1 (en) Air quality sensors
CN110941189A (zh) 智能家居系统及其控制方法、可读存储介质
KR20230117336A (ko) Ai 기반의 비접촉식 수면분석 방법 및 실시간 수면환경 조성 방법
KR20210046212A (ko) 공기 청정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N206771586U (zh) 智能空气净化装置和系统
US202203259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oor Air Quality Pur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