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310B1 -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 - Google Patents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310B1
KR102657310B1 KR1020220079946A KR20220079946A KR102657310B1 KR 102657310 B1 KR102657310 B1 KR 102657310B1 KR 1020220079946 A KR1020220079946 A KR 1020220079946A KR 20220079946 A KR20220079946 A KR 20220079946A KR 102657310 B1 KR102657310 B1 KR 102657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lor
color pigment
weigh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3037A (ko
Inventor
이동헌
차현수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보
Priority to KR1020220079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310B1/ko
Priority to PCT/KR2023/008975 priority patent/WO2024005517A1/ko
Publication of KR20240003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3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 구조를 가지며, 제1층으로서의 펄과 색상안료를 포함한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층, 제2층으로서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 제3층으로서의 탑코팅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은 바람직하게는 감압성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을 보호하기 위해 점착층에 박리 라이너가 박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층은 열경화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경화제,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에 혼입되는 펄과 색상안료를 포함하되 평균입자직경이 상이한 펄과 색상안료가 원활하게 분산되어 가시광을 충분히 차폐하면서도 적절한 범위의 가시광 반사와 변색 성능을 가지는 단일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Color Film for Paint Protection}
본 발명은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 구조를 가지며, 제1층으로서의 펄과 색상안료를 포함한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층, 제2층으로서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 제3층으로서의 탑코팅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은 바람직하게는 감압성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을 보호하기 위해 점착층에 박리 라이너가 박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층은 열경화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경화제,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에 혼입되는 펄과 색상안료를 포함하되 평균입자직경이 상이한 펄과 색상안료가 원활하게 분산되어 가시광을 충분히 차폐하면서도 적절한 범위의 가시광 반사와 변색 성능을 가지는 단일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에 대한 것이다.
선박, 자동차 등의 운송수단 표면에는 색상안료와 용매 등을 혼합하여 형성한 페인트가 도포되어 운송수단의 표면을 보호하게 된다. 페인트가 손상되어 벗겨지는 경우 페인트의 방식, 방습 기능이 약화된다. 종래 개발된 페인트 도장 보호필름(Paint protection Film)은 주로 선박/항공기/헬리콥터 등의 표면을 모래나 날아다니는 파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개발되어왔으며, 페인트가 운송수단의 표면에서 벗겨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에 주 목적을 두고 개발이 이루어져왔다.
이러한 필름들은 근래에 그 사용분야가 차량, 가구, 가전과 같은 생활제품 분야로 확대 됨으로써 도장면 보호 기능 외에 보호필름에 심미적 효과를 얻으려는 움직임이 있고 필름에 펄이나 색상 안료를 혼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색상과 반짝거리는 외관을 가진 도장 보호필름들이 개발 되었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펄을 넣은 색상필름의 경우 색상층에 펄을 혼합하여 반투명하게 만든 형태로 도장의 색상에 펄의 스파클링 효과를 더하는 제품들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들은 펄의 스파클링 효과가 도장면의 색상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장면의 색상에 따른 차이를 줄이고자 색상안료를 혼입시키는 경우 색상안료가 도장면을 가려 색상안료의 색상을 기반으로 펄의 스파클링 효과를 재현할 수는 있지만, 색상안료의 혼입을 위해 별도의 층을 만들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색상안료를 펄과 같은 층에 혼입하려고 하는 경우, 색상안료 또는 펄 입자와 수지 사이의 상용성 문제로 인해 펄과 색상안료가 분산되지 못하여 색상필름으로 분화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경화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경화제,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에 혼입되는 펄과 색상안료를 포함하는 제1층을 포함하며, 상기 펄과 색상안료는 평균입자직경이 상이하도록 하여 상이한 입자가 하나의 필름층에 원활하게 분산된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 이상 60,000 이하, 유리전이온도가 20℃ 이상 60℃ 이하이며, 상기 제1층에 혼입되는 펄의 입자직경은 5㎛ 이상 45㎛ 이하이고, 상기 제1층에 혼입되는 색상안료의 입자직경은 1㎛ 이상 5㎛ 이하이도록 하여 펄과 색상안료의 분산이 원활하면서도 분산 중 응집 발생하지 않는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우레탄 수지와 함께 펄 1 내지 3 중량부, 색상안료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색상안료를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중량부 포함하여 펄과 색상안료의 분산에 따라 안료에 의한 가시광선 차폐효율이 뛰어나면서도 펄에 의한 시각적 효과가 우수한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1층은 상기 제1층에 혼입된 펄에 의해 각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도록 구비되어 필름을 보는 각도에 따라 필름의 색상이 변하는 변색효과가 있는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1층의 일면에 형성되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제2층, 상기 제2층의 일면에 형성되어 제2층을 보호하는 제3층, 상기 제1층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층은 제2층과 점착층 사이에 형성되는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은 열경화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경화제,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에 혼입되는 펄과 색상안료를 포함하는 제1층을 포함하며, 상기 펄과 색상안료는 평균입자직경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 이상 60,000 이하, 유리전이온도가 20℃ 이상 60℃ 이하이며, 상기 제1층에 혼입되는 펄의 입자직경은 5㎛ 이상 100㎛ 이하이고, 상기 제1층에 혼입되는 색상안료의 입자직경은 1㎛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층에 혼입되는 펄의 입자직경은 5㎛ 이상 45㎛ 이하이고, 상기 제1층에 혼입되는 색상안료의 입자직경은 1㎛ 이상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층은 폴리우레탄 수지와 함께 펄 1 내지 3 중량부, 색상안료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층은 상기 색상안료를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층은 상기 제1층에 혼입된 펄에 의해 각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층의 일면에 형성되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제2층, 상기 제2층의 일면에 형성되어 제2층을 보호하는 제3층, 상기 제1층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층은 제2층과 점착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은 380 내지 780nm 파장의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과율이 3% 이하, 반사율이 5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층의 일면에 형성되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제2층, 상기 제1층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층을 보호하는 제3층, 상기 제2층의 일측에 형성되는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층은 제1층과 점착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열경화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경화제,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에 혼입되는 펄과 색상안료를 포함하는 제1층을 포함하며, 상기 펄과 색상안료는 평균입자직경이 상이하도록 하여 상이한 입자가 하나의 필름층에 원활하게 분산된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 이상 60,000 이하, 유리전이온도가 20℃ 이상 60℃ 이하이며, 상기 제1층에 혼입되는 펄의 입자직경은 5㎛ 이상 45㎛ 이하이고, 상기 제1층에 혼입되는 색상안료의 입자직경은 1㎛ 이상 5㎛ 이하이도록 하여 펄과 색상안료의 분산이 원활하면서도 분산 중 응집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준다.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수지와 함께 펄 1 내지 3 중량부, 색상안료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색상안료를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중량부 포함하여 펄과 색상안료의 분산에 따라 안료에 의한 가시광선 차폐효율이 뛰어나면서도 펄에 의한 시각적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층은 상기 제1층에 혼입된 펄에 의해 각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도록 구비되어 필름을 보는 각도에 따라 필름의 색상이 변하는 변색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층의 일면에 형성되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제2층, 상기 제2층의 일면에 형성되어 제2층을 보호하는 제3층, 상기 제1층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층은 제2층과 점착층 사이에 형성되는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층의 일면에 형성되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제2층, 상기 제1층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층을 보호하는 제3층, 상기 제2층의 일측에 형성되는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층은 제1층과 점착층 사이에 형성되는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1)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4, 실시예 6에 따른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1)의 표면을 실내 광원 하에서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1, 실시예 13에 따른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1)의 표면을 실내 광원 하에서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5 내지 18에 따른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1)의 표면을 실내 광원 하에서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9 내지 22에 따른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1)의 표면을 현미경 광원 하에서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3 내지 26에 따른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1)의 표면을 현미경 광원 하에서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7 내지 30에 따른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1)의 표면을 현미경 광원 하에서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1)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1)의 표면의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1)의 표면의 사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1)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1)은 다층 구조를 가지며, 제1층으로서의 펄과 색상안료를 포함한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층(11), 제2층으로서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TPU, 13), 제3층으로서의 탑코팅층(15)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1)은 바람직하게는 감압성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층(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17)을 보호하기 위해 점착층(17)에 박리 라이너가 박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층으로서의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은 후술하는 기재층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층(13)의 일면 상에 라미네이트되어 형성된다.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은 디올 또는 폴리올과 용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혼합하여 형성되며, 반응지연제가 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은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에 펄과 색상안료가 혼입되어 있으며,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 내에서 평균입자직경이 상이한 펄과 색상안료가 우수하게 분산되는 특성을 가진다.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 내에 혼입되는 펄(11a) 및 색상안료(11b)는 안료(pigment)의 일종으로, 용제에 용해되지 않고 소정 색상을 가지는 미립자상의 무기 또는 유기화합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펄(11a)은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반사하여 필름에 빛나거나 스파클링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필름을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변색 펄이 사용될 수 있다. 색상안료(11b)는 필름에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펄과 색상안료의 특성으로 인해, 수지 내에서 펄의 분산이 양호한 경우 가시광선에 대한 반사율(VLR)이 양호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수지 내에서 색상안료의 분산이 양호한 경우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VLT)이 낮게 나타날 수 있다. 즉 수지와 펄의 상용성이 양호한 경우 반사율(VLR)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수지와 색상안료의 상용성이 양호한 경우 투과율(VLT)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상기 펄(11a)은 플레이크(Flake)라고 불리는 판상의 미립자에 금속산화물이 코팅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보는 각도에 따라 컬러감이 다르게 느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펄은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부 이상 3 중량부 이하로 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펄은 0.5 중량부 이하일 경우 변색 및 반사에 의한 스파클링효과가 떨어지며, 3중량부 이상일 경우 필름의 기본성능인 시인성이 떨어진다. 또한 상기 색상안료(11b)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기준으로 10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로 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색상안료(11b)의 혼입량이 적은 경우 필름의 차폐성능이 떨어져 피착면의 도장 색상이 비쳐보이게 되며, 혼입량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 비경제적이며 과량 혼입된 색상안료에 의해 펄(11a)의 반사 효과가 오히려 떨어지게 된다.
상기 펄(11a)과 색상안료(11b)가 혼입됨에 따른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은 380 내지 780nm 파장의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과도(VLT)가 3% 이하, 반사도(VLR)가 5 내지 15%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 내에 혼입되는 펄(11a) 및 색상안료(11b)는 상이한 평균입자직경을 가진다. 상기 펄(11a)의 입자직경은 바람직하게는 5㎛ 이상 45㎛ 이하로 평균입경이 약 25㎛일 수 있다. 입경이 5㎛보다 작은 경우 너무 작은 입도 사이즈로 인하여 차폐 및 색상필름의 원래 목적인 차폐 및 변색효과가 미비하게 구현되며, 100㎛ 이상의 펄의 경우 너무 큰 입도로 인하여 코팅시 이물로 보이거나 시인성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색상안료(11b)의 입자직경은 바람직하게는 1㎛ 이상 5㎛ 이하로 평균입경이 약 2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색상안료 또한 입경이 1㎛보다 작은 경우 작은 입도 사이즈로 인하여 빛의 차폐 및 색상효과가 떨어지며, 입경이 10㎛보다 큰 경우 분산이 어렵고 시인성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펄(11a) 및 색상안료(11b)가 동일한 수지에 분산됨에 따라, 소정 재료의 입경 변화에 의해 다른 재료의 분산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색상안료(11b)의 입경에 따라 펄(11a)의 분산성이 달라진다. 동일한 층 내에서 펄(11a) 및 색상안료(11b)가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에 분산되는 경우, 입자직경이 5㎛ 이상 45㎛ 이하인 펄(11a)에 대해 색상안료(11b)의 입경은 1㎛ 이상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크릴계, 폴리에테르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알킬렌계 및 이중 1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혼입되는 펄과 색상안료가 수지 내에서 원활하게 분산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소정 범위의 분자량과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내에서 펄과 색상안료가 원활하게 분산됨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 이상 60,000 이하이고, 유리전이온도는 20℃ 이상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자량 및 유리전이온도 범위 내에서 상이한 입경의 펄(11a)과 색상안료(11b)가 동시에 원활하게 수지 내에 분산될 수 있다.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30중량% 내지 40중량% 사용될 수 있다.
수지의 분자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펄(11a)과 색상안료(11b)가 수지 내에 원활하게 분산되지 않는다. 즉 펄(11a)과 색상안료(11b)의 수지에 대한 상용성이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지 못한다. 또한 수지의 분자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펄과 색상안료의 분산이 일정하지 않으며, 이에 의해 가시광선에 대한 필름의 투과율(VLT)이 높게 나타난다.
용제로는 MEK(메틸에틸케톤), 톨루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용제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의 중량을 기준으로 50중량부 내지 70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다.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 및 에폭시, 금속킬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의 중량 기준 3중량부 내지 5중량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가 3중량부 내지 5중량부 사용됨에 따라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이 연신 시 늘어나는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을 피착면에 원활하게 부착 또는 시공할 수 있다.
반응지연제로는 아세틸아세톤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을 기준으로 0.1 내지 1중량부 사용될 수 있다.
제2층 및 기재층으로서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층(13)은 폴리카보네이트계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등의 공지된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경화제를 혼합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수성 분산액 또는 용액 혼합물을 박리가능한 캐리어 웹 또는 라이너 상에 캐스팅하거나 달리 코팅하여 폴리우레탄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제3층으로서의 상기 탑코팅층(15)은 기재층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13)의 일면상에 도포되어 기재층을 보호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흙이나 모래, 아스팔트 파편 등의 이물질과의 충돌로부터 기재층을 보호한다. 상기 탑코팅층(15)은 열경화성, 열가소성 또는 광경화성 수지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페녹시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플루오로에틸비닐에테르(FEVE) 수지 등이 열경화성 수지로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롤 수지 등이 열가소성 수지로 사용될 수 있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의 수지가 광경화성 수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탑코팅층(15)은 자가복원성을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점착층(17)으로는 박리라이너 상의 아크릴릭 감압성 점착제 등을 열을 통해 라미네이션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박리라이너(19)로는 공지된 구성으로서의 이형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유리전이온도(Tg) 20~60℃, 중량평균분자량 40,000~60,000의 폴리에스터계 폴리우레탄 수지 35중량%(일본 도요잉크페인트사 우레탄수지), 용제로서 MEK(메틸에틸케톤) 37중량%(한국 삼전순약공업), 용제로서 톨루엔 20중량%(한국 삼전순약공업), 경화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3중량%(일본 Tosoh사 Coronate HX), 반응지연제로서 아세틸아세톤 1중량%(한국 대정화금)를 혼합하고, 여기에 입자직경이 5㎛ 이상 45㎛ 이하인 변색 펄이 2중량%(독일 BASF사 Gemtone Radiant Nude G016), 카본 블랙 색상을 띄는 입자직경이 10nm 이상 100nm 이하인 색상안료 1중량%(한국 OCI 카본블랙)가 분산된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 분산액을 형성하였다.
기재층(13)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혼합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미국 SWM사 49510-60DV) 용액을 사용하고, 탑코팅층(15)으로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일본 AICA사 열경화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였다. 점착층(17)으로는 박리 라이너 상의 아크릴릭 감압성 점착제(일본 AICA사 op-3510-2)를 사용하였다.
이들 용액을 막 형태로 적층하여 페인트 보호필름을 형성하였다. 상기 기재층(13)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용액은 박리가능한 캐리어 웹 또는 라이너 상에 캐스팅하거나 코팅하여 형성되고,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 탑코팅층(15)은 기재층(13)의 일면상에 캐스팅하여 형성되었다. 점착층(17)은 이형필름에 코팅층을 도포한 후 전사코팅하여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5중량% 분산되고, 용제인 MEK 함량이 색상안료 함량의 증분만큼 감소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이하 실시예들에서도 색상안료의 함량 변화에 대응하도록 용제의 함량을 변화시켰다.
실시예 1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8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10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12.5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15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17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의 입자직경이 1㎛ 이상 5㎛ 이하가 되도록 하고, 상기 색상안료가 1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8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5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8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8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8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10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8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12.5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8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15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8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17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 및 반사 시험
실시예 1 내지 14에 의해 형성된 필름에 대해 가시광선 투과 및 반사 비율을 수행하였다. 색상안료의 입경과 함량에 따라 아래 표 1 및 표 2와 같은 가시광선 투과율(VLT) 및 반사율(VLR)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때 투과율은 필름의 탑코팅층 측에 조사된 가시광선대비 필름의 이면에서 측정 되는 가시광선의 광량이고 반사율은 필름의 일측면에서 탑코팅층 측에 조사된 가시광선 대비 반사되는 가시광선의 광량이다. 이를 분광계(Spectrometer) Jasco社 V-770으로 측정하였다. 표 1은 색상안료의 함량(중량%) 및 입경에 따른 가시광선 투과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며, 표 2는 색상안료의 함량(중량%) 및 입경에 따른 가시광선 반사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함량/입경 1 5 8 10 12.5 15 17
10~100㎚ 27.04 10.84 7.58 5.47 2.97 0.545 0.39
1~5㎛ 32.04 9.38 4.47 2.76 1.13 0.35 0.17
함량/입경 1 5 8 10 12.5 15 17
10~100㎚ 20.2 11.86 9.77 8.87 6.34 5.24 4.38
1~5㎛ 22.03 16.72 14.25 13.02 11.16 9.15 7.33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색상안료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투과율이 비례적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를 통해 색상안료가 수지 내에 양호하게 분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표 2에 나타난 반사율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내 광원 하에서 필름의 현미경 관찰 사진을 참고하면 펄의 분산성은 색상안료의 입경에 따라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펄과 함께 nm 단위 입경을 가진 색상안료의 혼합 시 색상안료의 함량 증가에 따라 펄의 분산성이 양호하지 않은 것이 나타난다. 도 2에 표시된 부분에서 안료의 뭉침 현상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색상안료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뭉침현상이 적어져 펄의 분산성이 양호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안료의 함량 증가 시 안료가 펄의 입자사이에 배치되어 펄의 분산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반해 도 3에서는 색상안료 10 내지 15중량% 사이에서 펄의 분산이 양호하게 나타나 검은색 표면 상에 백색 펄 색상이 균일하게 분산됨을 확인할 수 있다.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수지에 대해 색상안료 2종 모두 상용성이 양호하나 가시광선 투과율이 1% 이하 일 때 nm단위의 색상안료를 사용한 경우 가시광선 반사율은 약 5%, um단위의 색상안료를 사용한 경우 가시광선 반사율은 약 9%로 nm 단위의 경우 펄의 반사가 육안으로 잘 확인되지 않았나, um단위 색상안료의 경우 펄의 반사 정도가 육안으로 관찰가능하였으며, 각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color shift 현상도 무리 없이 확인 가능하였다. 상기 데이터를 참고할 때 가시광선 투과율이 1% 미만일 때 가시광 반사율 9% 이상인 경우 단일층 제품 제작의 재료 및 배합비로 사용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1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대신 아크릴 수지(일본 AICA사 op-3510-2)를 사용하였다. 상기 아크릴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 400,000 내지 800,000, 유리전이온도 -45℃ 내지 -15℃이다. 색상안료는 입자직경이 입자직경이 10nm 이상 100nm 이하가 되도록 하고, 상기 색상안료가 1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펄의 입경과 함량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15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5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5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10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5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15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5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의 입자직경이 1㎛ 이상 5㎛ 이하가 되도록 하고, 상기 색상안료가 1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9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5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9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10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9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15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 및 반사 시험
실시예 15 내지 22에 의해 형성된 필름에 대해 가시광선 투과 및 반사 비율을 수행하였다. 색상안료의 입경과 함량에 따라 아래 표 3 및 표 4와 같은 가시광선 투과율(VLT) 및 반사율(VLR) 결과가 도출되었다. 표 3은 색상안료의 함량(중량%) 및 입경에 따른 가시광선 투과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며, 표 4는 색상안료의 함량(중량%) 및 입경에 따른 가시광선 반사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함량/입경 1 5 10 15
10~100㎚ 16.84 4.7 0.05 0.02
1~5㎛ 28.68 32.7 32.08 25.79
함량/입경 1 5 10 15
10~100㎚ 17.05 8.86 5.93 5.52
1~5㎛ 27.2 22.3 18.7 12.55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색상안료의 입경이 nm 단위인 경우 색상안료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투과율이 비례적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를 통해 nm 단위 입경을 가진 색상안료가 수지 내에 양호하게 분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색상안료의 입경이 ㎛단위인 경우 색상안료 함량 증가에 따라 가시광선 투과율이 비례하여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실내 광원 하 현미경 관찰 사진을 참고하면, 색상안료의 입경이 nm 단위인 경우 펄이 응집되어 분산되지 않은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색상안료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펄의 분산성은 양호해지는데, 펄의 분산이 양호해지더라도 분산된 색상안료가 증가함에 따라 가시광 반사율이 낮아지는 것을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입경이 ㎛단위인 색상안료가 사용된 필름에 대해 현미경 광원을 조사한 후 이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이를 참고하면 색상안료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흑색 입자가 응집된 것이 증가하여 관찰된다. 이는 색상안료의 분산이 원활하지 못하여 응집이 발생한 것으로, 표 3의 색상안료 함량 증가에 따라 투과율이 감소하지 않는 현상을 설명한다.
아크릴 수지에 대하여, 펄과 함께 nm 단위 입경을 가진 색상안료의 혼합 시 색상안료의 함량 10중량부 이상에서 펄과 색상안료의 분산성이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펄과 색상안료의 분산성이 양호하더라도 가시광선 반사율(VLR)은 5 내지 6%로, 펄의 반사되는 색상 판별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 15 내지 22의 아크릴 수지의 경우 제1층의 수지로는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 1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을 10,000~30,000으로 변경(일본 도요잉크페인트사 저분자량 우레탄수지)하여 폴리우레탄 층(11) 분산액을 형성하였다. 색상안료 및 펄의 입경과 함량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23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5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3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10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3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15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3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의 입자직경이 1㎛ 이상 5㎛ 이하가 되도록 하고, 상기 색상안료가 1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7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5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7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10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7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는 색상안료가 15중량% 분산된 필름을 형성하였다.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 및 반사 시험
실시예 23 내지 30에 의해 형성된 필름에 대해 가시광선 투과 및 반사 비율을 수행하였다. 색상안료의 입경과 함량에 따라 아래 표 5 및 표 6와 같은 가시광선 투과율(VLT) 및 반사율(VLR) 결과가 도출되었다. 표 5는 색상안료의 함량(중량%) 및 입경에 따른 가시광선 투과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며, 표 6은 색상안료의 함량(중량%) 및 입경에 따른 가시광선 반사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함량/입경 1 5 10 15
10~100㎚ 23.5 28 12 6.95
1~5㎛ 32.1 27.9 12.5 0.32
함량/입경 1 5 10 15
10~100㎚ 19.6 16.2 12.7 6.98
1~5㎛ 22.8 9.5 7.4 5.1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지의 분자량이 적은 경우 색상안료의 입경과 함량 증가에 관계없이 가시광선 투과율 감소가 일정하지 않고, 색상안료의 함량이 10중량%인 경우 가시광선 투과율이 약 12% 정도로, 타 실시예에서 색상안료의 함량이 10중량부인 경우에 비해 가시광선 투과율이 약 8%가량 높게 측정된다.
10 내지 100nm 입경을 가지는 색상안료의 함량이 15중량%인 경우 가시광선 투과율이 약 6%정도로 동일한 색상안료 함량의 타 실시예 대비 높게 나타나며, 가시광선 투과율을 1% 미만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색상안료를 과량 혼입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시광선 반사율의 경우에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가시광 투과율을 보이는 색상안료 함량에서 가시광선 반사율을 다른 실시예들과 비교하면, 1 내지 5㎛의 입경을 가지는 색상안료가 5중량% 혼입된 실시예 9(VLT 9.38%, VLR 16.72%)에 비해 색상안료가 10중량% 혼입된 실시예 29(VLT 12.5%, VLR 7.4%)에서 반사율이 현저하게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는 낮은 분자량의 수지에서는 펄과 색상안료의 분산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설명하며, 도 6 및 도 7의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한 실시예 23 내지 30을 현미경 광원 하에서 촬영한 현미경 관찰 사진에서 색상안료의 응집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23 내지 30에서는 필름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1% 이하로 낮추려는 경우 색상안료가 과량 혼입되어야 하며, 이때 가시광선 반사율이 5% 이하로 낮아지는 바 저분자량의 수지는 상이한 입경을 가지는 펄과 색상안료의 분산을 위한 재료로 부적합하다.
실시예 1 내지 30의 실험결과를 참고하면, 각 수지에 따라 펄과 색상안료의 상용성 차이는 있으나 색상안료 10 내지 15 중량%를 사용하는 경우 가시광선 투과율(VLT) 1% 미만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 가시광 차폐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펄과 색상안료를 단일층에 혼입하기 위해서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1% 미만일 때 펄의 반사 및 변색현상이 관찰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의 가시광선 투과율과 반사율을 비교할 때, 중량평균분자량 40,000 내지 60,000, 유리전이온도 20℃ 내지 60℃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와 1 내지 5㎛의 입경을 가지는 색상안료 10 내지 15중량%, 5 내지 45㎛의 입경을 가지는 펄 1 내지 3중량%를 사용하여 가시광을 충분히 차폐하면서도 적절한 범위의 가시광 반사와 변색 성능을 가지는 단일층을 가지는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펄과 색상안료를 포함하는 제1층으로서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이 제2층으로서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층(13)과 제3층으로서의 탑코팅층(15)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펄과 색상안료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층(13) 및 탑코팅층(15) 사이에 형성되는 경우, 가시광이 통과하는 매질의 거리가 짧아진다. 하지만, 기재층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층(13) 상에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코팅한 이후 탑코팅층(15)을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 상에 코팅하는 제조과정 상에서, 탑코팅층(15) 용액에 포함된 용제와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의 일부 사이의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여 가시광 반사율 및 광택도 상에서 불리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 중 하나인 실시예 11과 같이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을 구성하되, 각 층의 구조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층으로서의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층(11)이 제2층으로서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층(13)과 제3층으로서의 탑코팅층(15)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11에 따른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의 외관이 도 9에 표시되며, 실시예 31에 따른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의 외관이 도 10에 표시된다.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의 광택도 측정을 위하여, ISO2813에 따라 광택도 측정 각도에 따른 광원 대비 glossmeter로 들어온 빛의 양을 측정하여 표 7에 개시하였다. 이와 같이 실시예 11에 따른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이 실시예 31의 경우보다 우수하며, 외관상으로도 실시예 31은 난반사로 인해 매트한 표면이 관찰된다.
측정각도에 따른 광택도 20 60 85
실시예11 83 92 99
실시예31 50 88 91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열경화성 폴리우레탄계 수지, 경화제,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에 혼입되는 펄과 색상안료를 포함하는 제1층을 포함하되,
    상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 이상 60,000 이하, 유리전이온도가 20℃이상 60℃이하이며,
    상기 제1층에 혼입되는 펄의 입자직경은 5㎛ 이상 100㎛ 이하이고, 상기 제1층에 혼입되는 색상안료의 입자직경은 1㎛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에 혼입되는 펄의 입자직경은 5㎛ 이상 45㎛ 이하이고, 상기 제1층에 혼입되는 색상안료의 입자직경은 1㎛ 이상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폴리우레탄 수지와 함께 상기 제1층의 중량 기준 펄 1 내지 3 중량부, 색상안료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상기 색상안료를 상기 제1층의 중량 기준 10 내지 15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상기 제1층에 혼입된 펄에 의해 각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
  7.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일면에 형성되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제2층, 상기 제2층의 일면에 형성되어 제2층을 보호하는 제3층, 상기 제1층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층은 제2층과 점착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은 380 내지 780nm 파장의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과율이 3% 이하, 반사율이 5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
  9.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일면에 형성되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제2층, 상기 제1층의 다른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층을 보호하는 제3층, 상기 제2층의 일측에 형성되는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층은 제1층과 점착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은 380 내지 780nm 파장의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과율이 3% 이하, 반사율이 5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

KR1020220079946A 2022-06-29 2022-06-29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 KR102657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946A KR102657310B1 (ko) 2022-06-29 2022-06-29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
PCT/KR2023/008975 WO2024005517A1 (ko) 2022-06-29 2023-06-27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946A KR102657310B1 (ko) 2022-06-29 2022-06-29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037A KR20240003037A (ko) 2024-01-08
KR102657310B1 true KR102657310B1 (ko) 2024-04-17

Family

ID=89381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946A KR102657310B1 (ko) 2022-06-29 2022-06-29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57310B1 (ko)
WO (1) WO202400551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8683A (ja) 2008-03-25 2011-06-3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塗装フィルム複合体並びにその製造及び使用方法
KR101767453B1 (ko) * 2016-12-29 2017-08-24 주식회사 이엔비 자동차 및 인테리어용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419B1 (ko) * 1996-08-23 1999-06-15 한형수 광투과 및 반사형 필름
CN101228030B (zh) * 2005-04-29 2011-04-20 3M创新有限公司 多层聚氨酯保护膜
WO2013078190A1 (en) * 2011-11-21 2013-05-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 paint protective film comprising nanoparticles
KR20150086664A (ko) * 2014-01-20 2015-07-29 주식회사 넥센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칼라 골프공 커버용 조성물 및 칼라 골프공 커버의 제조방법
KR101877782B1 (ko) * 2016-04-28 2018-07-16 (주)필링크 페인트 보호 필름
KR102271456B1 (ko) * 2020-11-24 2021-07-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 또는 마이크로 입자로 구현되는 페인트 도막층을 포함하는 복사 냉각 소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8683A (ja) 2008-03-25 2011-06-3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塗装フィルム複合体並びにその製造及び使用方法
KR101767453B1 (ko) * 2016-12-29 2017-08-24 주식회사 이엔비 자동차 및 인테리어용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037A (ko) 2024-01-08
WO2024005517A1 (ko)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94809B (zh) An adhesive composition for a polyester-based film, and an optical film using the same
TW388802B (en) Reflection type projection screen
CA2999119C (en) Powder coating and method for preparing a powder coating
KR101108907B1 (ko) 방현 필름
KR101877782B1 (ko) 페인트 보호 필름
US20040071957A1 (en) Heat radiation shielding component dispersion,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heat radiation shielding film forming coating liquid, heat radiation shielding film and heat radiation shielding resin form which are obtained using the dispersion
JP7061991B2 (ja) 黒色シート及び黒色粘着テープ
KR102657310B1 (ko) 페인트 보호용 색상필름
JP7075713B2 (ja) 分散体、着色層、着色膜、着色基材、着色合わせ基材、およびインク
KR100761646B1 (ko) 파장 선택 흡수 필터
WO2000024580A1 (en) Thermoplastic article which exhibits angular metamerism
CN107924000A (zh) 光扩散透射片
JP2005001301A (ja) 着色ガラス用着色シート及び着色ガラス
JPH10301207A (ja) 反射型映写スクリーン
KR102578783B1 (ko) 펄 질감을 갖는 비산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092196A (ja) 波長選択吸収フィルム
CN114262576B (zh) 一种漫反射型激光扫描标贴胶带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505747B (zh) 防止飞散的装饰薄膜及包含其的层叠体
KR102527596B1 (ko) 열변색성 데코레이션 및 비산방지 필름,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505962A (ja) 効果顔料が添加された粉末状の被覆材料、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JP2024006199A (ja) 隠蔽層用組成物及び隠蔽層を有する磁気記録媒体
JPH0843608A (ja) 光拡散フィルム
KR20240011308A (ko) 자가복원성 페인트 보호필름
JP2000351904A (ja) 熱線遮蔽性グレージング材およびその成形体
JP3736566B2 (ja) 近赤外線吸収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