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117B1 -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 및 섀시 부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 및 섀시 부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117B1
KR102656117B1 KR1020217004354A KR20217004354A KR102656117B1 KR 102656117 B1 KR102656117 B1 KR 102656117B1 KR 1020217004354 A KR1020217004354 A KR 1020217004354A KR 20217004354 A KR20217004354 A KR 20217004354A KR 102656117 B1 KR102656117 B1 KR 102656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wheel suspension
sleeve
chassis part
receiv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2757A (ko
Inventor
만프레트 지베
필립 브론스빅
얀 팝스트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210072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4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of the joint being open on two s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85Manufacture of ball-joints and parts thereof, e.g. assembly of ball-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95Mounting of ball-joints, e.g. fixing them to a connecting r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1Mounting of sensors thereon
    • B60G2204/116Sensors coupled to the suspension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6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having a U profile and/or made of a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1Shaping by casting
    • B60G2206/81012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G2401/17Magnetic/Electro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33/00Monitoring condition, e.g. temperature, load,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된 횡단면 형상을 갖는 프로파일로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트럿(2)을 갖는 스트럿 배열체를 포함하는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1)에 관한 것이며, 하나 이상의 스트럿(2)은 하나의 프로파일 베이스(3) 및 그로부터 인출되는 2개의 벽 섹션들(4)을 포함하고, 스트럿(2)의 하나 이상의 단부에는 가동식으로 서로 연결된 2개의 조인트부들(15, 24, 27), 즉 구형 조인트 몸체(16, 28)를 갖는 제1 조인트부(15, 27)와; 조인트 몸체(16, 28)를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또는 선회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 조인트부(24);의 수용을 위한 조인트 지점(5)이 제공되며, 벽 섹션들(4)은 하나 이상의 조인트 지점(5)의 영역에서 서로 대향 배치된 상태로 제1 조인트 수용 개구(6) 및 제2 조인트 수용 개구(7)를 갖고, 제1 조인트 수용 개구(6)와 제2 조인트 수용 개구(7) 사이에는 서로 대향되는 벽 섹션들(4)을 서로 이격시키는 원통형 슬리브(12)가 압입된다.

Description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 및 섀시 부품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개방된 횡단면 형상을 갖는 프로파일부로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트럿을 갖는 스트럿 배열체를 포함하는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에 관한 것이며, 하나 이상의 스트럿은 하나의 프로파일 베이스 및 그로부터 인출되는 2개의 벽 섹션들을 포함하고, 스트럿의 하나 이상의 단부에는 가동식으로 서로 연결된 2개의 조인트부들, 즉 구형 조인트 몸체를 갖는 제1 조인트부와; 조인트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또는 선회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 조인트부;의 수용을 위한 조인트 지점이 제공되며, 벽 섹션들은 하나 이상의 조인트 지점의 영역에서 서로 대향 배치된 상태로 제1 조인트 수용 개구 및 제2 조인트 수용 개구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개방된 횡단면 형상을 갖는 프로파일부로서 제조되는, 하나 이상의 스트럿을 갖는 스트럿 배열체를 포함하는 섀시 부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하나 이상의 스트럿은 하나의 프로파일 베이스 및 그로부터 인출되는 2개의 벽 섹션들을 포함하고, 스트럿의 하나 이상의 단부에는 가동식으로 서로 연결된 2개의 조인트부들, 즉 구형 조인트 몸체를 갖는 제1 조인트부와; 조인트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또는 선회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 조인트부;의 수용을 위한 조인트 지점이 제공되며, 벽 섹션들은 하나 이상의 조인트 지점의 영역에서 서로 대향 배치된 상태로 제1 조인트 수용 개구 및 제2 조인트 수용 개구를 갖는다.
도입부에 언급한 유형의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은 DE 10 2013 002 285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섀시 부품의 제조, 특히 가동식으로 서로 연결된 조인트부들의 제공은 높은 조립 복잡성을 필요로 한다. 프로파일부는, 선행하는 분리 단계, 특히 스템핑으로부터 얻어지는 판금 반제품으로부터 제조 가능한 판금 성형 부품이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조립의 단순화를 특징으로 하는, 특히 조립 중의 공정 안전성을 개선시키는 섀시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장치 기술적 관점에서, 청구항 제1항을 특징짓는 특징들과 함께 제1항의 전제부를 토대로 해결되고, 방법 기술적 관점에서, 청구항 제14항을 특징짓는 특징들과 함께 제14항의 전제부를 토대로 해결된다. 이에 각각 후속하는 종속 청구항들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을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라, 개방된 횡단면 형상을 갖는 프로파일부로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트럿을 갖는 스트럿 배열체를 포함하는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이 제안되며, 하나 이상의 스트럿은 하나의 프로파일 베이스 및 그로부터 인출되는 2개의 벽 섹션들을 포함하고, 스트럿의 하나 이상의 단부에는 가동식으로 서로 연결된 2개의 조인트부들, 즉 구형 조인트 몸체를 갖는 제1 조인트부와; 조인트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또는 선회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 조인트부;의 수용을 위한 조인트 지점이 제공되며, 벽 섹션들은 하나 이상의 조인트 지점의 영역에서 서로 대향 배치된 상태로 제1 조인트 수용 개구 및 제2 조인트 수용 개구를 갖는다. 조립의 단순화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1 조인트 수용 개구와 제2 조인트 수용 개구 사이에는 서로 대향되는 벽 섹션들을 서로 이격시키는 원통형 슬리브가 압입된다.
제1 조인트 수용 개구와 제2 조인트 수용 개구 사이에 압입된 슬리브는 이러한 영역 내에서 섀시 부품에 증가된 강성을 부여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슬리브를 통하여, 프로파일부는 프로파일부의 제조 공정에서의 제조 공차를 보상하기 위해 제1 조인트 수용 개구와 제2 조인트 수용 개구 사이에서, 필요한 축방향 간격 크기를 갖게 된다. 또한, 이러한 사전 조립을 통하여, 조인트 하우징의 제조를 위한 인서트 성형 시 하나 이상의 조인트 지점의 영역에서의 벽 섹션들의 의도치 않은 확대가 방지된다.
바람직하게, 압입된 슬리브 내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 및 조인트 몸체가 삽입 가능하고, 슬리브,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 및 조인트 몸체는, 인서트 성형을 통해 제조된, 제2 조인트부를 형성하는 조인트 하우징에 통합된다.
이 경우, 제2 조인트부로서 형성된 조인트 하우징은, 인서트 성형을 통해 제조되는 동안 제1 조인트부 및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를 수용한다. 이로 인해, 제1 조인트부를 조인트 하우징 내로 압입하는 조립 단계가 생략된다.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를 배열하기 위한 추가의 조립 단계가 생략된다. 동시에, 제2 조인트부는 제1 조인트부의 구형 조인트 몸체의 직접적인 지지에 사용되므로, 구형 셸의 사용이 생략될 수 있다.
슬리브에는 종축이 할당될 수 있고, 이러한 종축은 제1 조인트부 및 조인트 지점의 종축도 형성한다. 이러한 종축에 횡으로 연장되는 방향은 특히 반경 방향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종축 주위로 연장되는 방향 및/또는 슬리브 또는 제1 조인트부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은 특히 원주 방향이라고 불린다.
바람직하게, 슬리브의 재킷 표면은, 섹션별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개구는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를 통과시키는데 사용된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는 조인트 몸체의 표면에 이를 때까지 접근될 수 있다. 특히 실린더형 개구는 적어도 센서 소자의 외부 치수에 상응하는 연장부를 갖는다. 조인트 수용 개구들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향되는 벽 섹션들의 판금 내 통로로서 각각 형성된다. 이 경우, 각각의 통로 내에는 슬리브의 재킷 표면 내 개구의 진행 곡선에 상응하는 형태를 갖는 축방향 홈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는 두 조인트부들 서로의 상대적 위치의 결정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두 조인트부들의 각도 위치의 결정은 레벨 측정에 사용될 수 있다. 레벨 측정에 의해, 예를 들어 자동차의 전조등 범위 조정이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는 조인트 몸체의 표면에 직접 접할 때까지 접근될 수 있다. 조인트 몸체의 표면과 센서 소자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을 최소화하는 것은, 두 조인트부들의 각도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상이한 측정 방법들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는 자기 저항 센서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가 자기 저항 센서로서 형성될 때, 조인트 몸체의 표면 상의 수용부 내에는 센서 소자에 할당되는 위치 자석이 끼워질 수 있다. 인서트 성형을 통해 제조되는 조인트 하우징 내에서의 조인트 몸체의 직접적인 지지를 통해 구형 셸을 생략하는 것은, 센서 소자와 위치 자석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위치 자석의 표면과 센서 소자의 센서 헤드 사이의 1mm 미만의 반경 방향 간격,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0.5mm 이하의 간격이 달성 가능하다.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센서 소자는 리세스 및 그 내부에 배열된 위치 자석의 밀봉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인트 하우징의 제조를 위한 인서트 성형 시에 조인트 몸체의 리세스 내에 그리고 위치 자석과 센서 소자 사이에 재료가 도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리세스의 밀봉을 위해, 센서 소자에는, 리세스 위쪽에 위치 설정되는 커버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커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리세스의 형태에 상응하는 윤곽을 갖는다. 이에 따라, 커버 부재는 리세스의 테두리들에서 리세스를 오버랩할 수 있고,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커버 부재를 구비한 센서 소자는 인서트 성형 이전에 조인트 몸체의 표면에 접근된다. 센서 소자의 정렬은 조인트 몸체 내의 리세스에 수직으로 실행되므로, 커버 부재는 리세스를 완전히 밀봉할 수 있다.
조인트 하우징이 조인트 몸체의 직접적인 베어링으로서 형성되는 것의 추가 장점은, 대안적인 센서 컨셉들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인서트 성형을 통해 제조되고, 제1 조인트부의 조인트 몸체 상에 직접적으로 제공되는 조인트 하우징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자기 저항 센서 소자의 사용에 대한 대안으로서, 증분식 인코더(incremental encoder)로서 형성된 센서 소자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증분식 인코더로서 형성된 센서 소자는 광전식 스캐닝 또는 자기식 스캐닝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전식 스캐닝을 위해 구성된 증분식 인코더는 이미징 측정 원리 또는 간섭 측정 원리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조인트 몸체의 표면에 대한 간섭은, 증분식 인코더로서 형성된 센서 소자의 사용 시에 최소화될 수 있다. 특히, 위치 자석의 수용에 사용되는, 조인트 몸체의 표면 상의 리세스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조인트 몸체는, 조인트 몸체의 표면을 센서 소자에 대해 특정하게 위치 설정할 것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슬리브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인서트 성형 이전에 제1 조인트부를 슬리브 내로 삽입하는 것이 단순화된다.
바람직하게, 조인트 몸체의 표면 상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정 기준부가 제공될 수 있다. 측정 기준부는, 증분식 인코더의 구성 또는 사용된 측정 원리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측정 기준부는 실질적으로 테이프 또는 스트립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측정 기준부는 적어도 섹션별로 원주 방향으로 조인트 몸체의 표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측정 기준부가 조인트 몸체의 표면 상에 불규칙부를 거의 또는 전혀 발생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측정 기준부가 조인트 몸체 상에 또는 조인트 몸체 내에 제공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의 위치 설정은, 자기 저항 센서에서의 경우보다, 특히 이러한 자기 저항 센서가 동시에 위치 자석의 리세스를 밀봉하는데 사용될 때보다 더 감소된 반경 방향 간격을 갖도록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측정 기준부는 자기 휠(magnet wheel),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또는 바코드(bar code)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기 테이프는 조인트 몸체의 표면 상에 가공된 그루브 내에 끼워질 수 있다. 자기 테이프 또는 자기 휠을 조인트 몸체의 표면 상에 접착시키는 것도 고려 가능하다. 바코드로서 형성된 측정 기준부는 마찬가지로 그루브 내에 끼워지거나, 조인트 몸체의 표면 상에 접착될 수 있다. 이 경우, 그루브의 깊이는 측정 기준부가 작동면의 인접 표면과 동일 평면에서 또는 거의 동일 평면에서 단부를 형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테이프 또는 스트립 형태로 형성된 바코드는 널링(knurling), 인그레이빙(engraving) 또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적어도 섹션별로 주연부를 둘러싸도록 조인트 몸체의 표면 내에 가공될 수 있다. 그루브의 깊이는 위치 자석의 수용을 위한 리세스의 깊이에 비해 훨씬 더 얕으므로, 조인트 몸체의 약화가 더 적게 나타난다.
특히, 제1 조인트부 및 제2 조인트부는 볼 슬리브 조인트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섀시 부품은 링크, 특히 트랜스버스 링크(transverse link)일 수 있다.
또한, 도입부에 제시된 과제는 청구항 제14항의 특징들을 갖는 섀시 부품의 제조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제14항에 따라, 개방된 횡단면 형상을 갖는 프로파일부로서 제조되는, 하나 이상의 스트럿을 갖는 스트럿 배열체를 포함하는 섀시 부품의 제조 방법이 제안되고, 하나 이상의 스트럿은 하나의 프로파일 베이스 및 그로부터 인출되는 2개의 벽 섹션들을 포함하고, 스트럿의 하나 이상의 단부에는 가동식으로 서로 연결된 2개의 조인트부들, 즉 구형 조인트 몸체를 갖는 제1 조인트부와; 조인트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또는 선회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 조인트부;의 수용을 위한 조인트 지점이 제공되며, 벽 섹션들은 하나 이상의 조인트 지점의 영역에서 서로 대향 배치된 상태로 제1 조인트 수용 개구 및 제2 조인트 수용 개구를 갖고, 제1 조인트 수용 개구와 제2 조인트 수용 개구 사이에는 서로 대향되는 벽 섹션들을 서로 이격시키는 원통형 슬리브가 우선 압입된다.
바람직하게, 압입된 슬리브 내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 및 조인트 몸체가 삽입되고, 이어서 슬리브,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 및 조인트 몸체는, 인서트 성형을 통해 제조된, 제2 조인트부를 형성하는 조인트 하우징에 통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필요한 조립 단계들의 수가 감소된다. 특히, 슬리브를 통하여, 프로파일부는 프로파일부의 제조 공정에서의 제조 공차를 보상하기 위해 제1 조인트 수용 개구와 제2 조인트 수용 개구 사이에서, 필요한 축방향 간격 크기를 갖게 된다. 또한, 슬리브의 사전 조립을 통하여, 조인트 하우징의 제조를 위한 인서트 성형 시 하나 이상의 조인트 지점의 영역에서의 벽 섹션들의 의도치 않은 확대가 방지된다.
하기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프로파일링된 섀시 부품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프로파일링된 섀시 부품 내에 슬리브가 삽입될, 도 1에 따른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슬리브가 압입되어 있고, 제1 조인트부가 삽입될, 도 2에 따른 섀시 부품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슬리브 내에 삽입되어 있는 제1 조인트부 및 센서 소자를 구비한, 도 3에 따른 섀시 부품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제2 조인트 부품이 인서트 성형을 통해 제조되어 있는, 도 4에 따른 섀시 부품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6은 추가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인트부의 사시도이며,
도 7은 측정 기준부가 배열되어 있는, 도 6에 따른 제1 조인트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하나의 센서 소자가 할당되어 있는, 도 7에 따른 제1 조인트부의 사시도이다.
도 1에는 프로파일링된 섀시 부품(1)의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섀시 부품(1)은 2점식 링크 또는 트랜스버스 링크로서 형성된다. 섀시 부품(1)은, 개방된 횡단면 형상을 갖는 프로파일부로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트럿(2)을 갖는 스트럿 배열체를 포함한다. 프로파일부는, 선행하는 분리 단계, 특히 스템핑으로부터 얻어지는 판금 반제품으로부터 제조 가능한 판금 성형 부품이다. 하나 이상의 스트럿(2)은 하나의 프로파일 베이스(3) 및 그로부터 인출되는 2개의 벽 섹션들(4)을 포함한다. 프로파일부는 실질적으로 U-자형인 횡단면을 적어도 섹션별로 포함할 수 있다. 스트럿(2)의 하나 이상의 단부에는 가동식으로 서로 연결된 2개의 조인트부들의 수용을 위한 조인트 지점(5)이 제공된다.
조인트 지점(5) 내에서, 스트럿(2)은 제1 조인트 수용 개구(6) 및 제2 조인트 수용 개구(7)를 포함한다. 조인트 지점(5)에는 종축(L)이 할당된다. 종축(L)에 횡으로 또는 축방향(11)에 횡으로 연장되는 방향은 특히 반경 방향이라고 불린다. 조인트 수용 개구들(6, 7)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두 벽 섹션들(4)의 판금 내 통로(8, 9)로서 형성된다. 이 경우, 섀시 부품(1)의 벽 섹션들(4)의 통로들(8, 9)의 자유 단부들은 프로파일부의 내부를 향해 배향된다. 제1 조인트 수용 개구(6) 및 제2 조인트 수용 개구의 통로들(8, 9)은 원주 방향으로 볼 때, 대략 닫힌 재킷 표면을 갖는다. 통로들(8, 9)은 각각 하나의 지점에서 축방향 홈(10)을 통해 중단되고, 도 1의 도면에서는 사시도에 의해 제2 조인트 수용 개구(7)의 통로(9) 내의 홈(10)만을 볼 수 있다. 제1 조인트 수용 개구(6)의 통로(8) 내의 홈(10)은 거울 대칭으로 형성된다.
도 2에는 프로파일링된 섀시 부품(1) 내에 슬리브(12)가 삽입될, 도 1에 따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슬리브(12)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재킷 표면(13)을 갖는다. 슬리브(12)의 재킷 표면(13) 내에는 하나 이상의 실린더형 개구(14)가 배열된다. 이러한 개구(14)는 섹션별로 슬리브(12)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슬리브(12)의 원주 방향으로의 개구(14)의 윤곽은 통로들(8, 9) 내의 홈들(10)의 각각의 윤곽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슬리브(12)는 축방향(11)으로 조인트 지점(5) 내에 삽입되고, 벽 섹션들(4) 사이에 압입된다. 이로 인해, 공차가 있는 프로파일부는 제1 조인트 수용 개구 및 제2 조인트 수용 개구(6, 7)의 축방향 간격과 관련하여 원하는 크기를 갖게 된다. 또한, 조인트 지점(5)의 영역에서의 프로파일부의 보강이 달성된다. 슬리브(12)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제조된다.
도 3에는, 슬리브(12)가 압입되어 있고, 슬리브(12) 내로 제1 조인트부(15)가 삽입될, 도 2에 따른 섀시 부품(1)의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조인트부(15)는 각각 하나의 실린더형 핀(17)이 단부측에 배열되는 구형 조인트 몸체(16)를 포함하고, 이러한 조인트 몸체 및 핀들은 종축(L)에 동축으로 연장된다. 조인트 몸체(16) 및 핀들(17)은 종축(L)에 동축인 관통 보어(18)를 포함한다. 조인트 몸체(16)의 표면에는 위치 자석(20)이 끼워지는 원형 실린더형 리세스(19)가 제공된다. 제1 조인트부(15)는 축방향(11)으로 슬리브(12) 내로 삽입된다. 이 경우, 조인트부(15)는, 리세스(19) 또는 위치 자석(20)에 반경 방향으로 자유롭게 접근 가능하도록 리세스 또는 위치 자석이 실질적으로 슬리브(12) 내의 개구(14) 아래쪽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위치 설정된다. 제1 조인트부(15)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제조된다.
도 4에는 슬리브(12) 내에 삽입되어 있는 제1 조인트부(15) 및 센서 소자(21)를 구비한, 도 3에 따른 섀시 부품(1)의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센서 소자(21)는 위치 자석(20)에 할당된 자기 저항 센서로서 형성된다. 센서 소자(21)는 외부로부터, 통로들 내의 홈들(10)과, 그에 상응하게 형성된 슬리브(12) 내 개구(14)를 통해 조인트 몸체(16)의 표면에 접근한다. 센서 소자(21)는 위치 자석(20)에 수직으로 정렬된다. 센서 소자(21)는 자신의 자유 단부에 신호 라인(26)과의 연결을 위한 단자(22)를 포함한다. 센서 소자(21)의 반대편 단부에는 커버 부재(23)가 배열된다. 커버 부재(23)는 조인트 몸체(16) 상의 리세스(19) 위쪽에 위치 설정되고, 리세스(19)를 완전히 덮는다. 센서 소자(21)의 센서 헤드와 위치 자석(20)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은 이러한 영역 내의 커버 부재(23)의 재료 두께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반경 방향 간격은 특히 1mm 미만이고, 특히 바람직하게 이러한 반경 방향 간격은 약 0.5mm일 수 있다.
도 5에는 제2 조인트 부품(24)이 인서트 성형을 통해 제조되어 있는, 도 4에 따른 섀시 부품(1)의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조인트 부품(24)은 조인트 몸체(16)가 내부에 직접 지지되는 조인트 하우징(25)으로서 형성된다. 조인트 지점(5) 내의 벽 섹션들(4)의 외측면들 사이에서의 그리고 그러한 외측면들에서의 제1 조인트 부품(15), 센서 소자(21) 및 슬리브(12)의 적어도 섹션별 인서트 성형은 어셈블리 사출 성형 공정(assembly injection molding process)으로 실행된다. 조인트 하우징(25)의 제조를 위한 인서트 성형 시 하나 이상의 조인트 지점(5)의 영역에서의 벽 섹션들(4)의 확대는 슬리브(12)에 의해 방지된다. 커버 부재(23)를 통하여, 조인트 몸체(16)의 표면 내의 불완전한 영역, 즉 리세스(19)는 사출 성형 시의 재료의 침투로부터 밀봉된다. 이로 인해, 일반적으로 불완전부(imperfection)를 커버하고 조인트 하우징 내에서의 조인트 몸체의 지지에 사용되는 구형 셸을 사전에 조인트 몸체(16) 상에 배열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센서 소자(21)의 단자(22)에는, 센서 소자(21)에 의해 생성된 신호들이 섀시 부품(1)이 설치된 차량의 상위 제어 장치로 송신될 수 있도록 하는 신호 라인(26)이 접속된다.
도 6의 도면에는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조인트부(27)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조인트부(27)는 2개의 핀들(29)과 그들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의 구형 조인트 몸체(28)를 포함한다. 제1 조인트부(27)는 금속으로 제조된다. 위치 자석의 수용을 위한 리세스 대신, 조인트 몸체(28)는 자신의 표면에 주연부를 둘러싸는 그루브(31)을 포함하며, 이러한 그루브 내에는 측정 기준부(32)가 배열된다.
도 7에는 측정 기준부(32)가 배열되어 있는, 도 6에 따른 제1 조인트부(27)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측정 기준부(32)는 그루브(31) 내에 끼워진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인트 몸체(28) 내의 주연부를 둘러싸는 그루브(31)는, 조인트 몸체(28)의 표면 상에 불완전부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방식으로 측정 기준부(32)를 통해 채워질 수 있다.
도 8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33)가 조인트 몸체(28) 또는 측정 기준부(32)에 대해 위치 설정되어 있는, 도 7에 따른 제1 조인트부(27)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센서 소자(33)의 하나의 단부는 신호 라인과의 연결을 위한 단자(34)를 포함한다. 센서 소자(33)는, 인서트 성형을 통해 제조된 조인트 하우징(25)에 적어도 제1 조인트부(27)의 조인트 몸체(28) 및 센서 소자(33)가 통합되기 이전에, 조인트 몸체(28)의 표면에 대해 최소 간격을 갖도록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서트 성형 이전에 슬리브(12) 내에 조인트 몸체(28)를 배열하는 것은, 자기 저항 센서로서 형성된 센서 소자(21)에서의 경우보다, 조인트 몸체(28)의 표면을 센서 소자(33)에 대해 특정하게 위치 설정하는 것으로부터 보다 더 독립적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서트 성형을 통한 조인트 하우징(25)에 통합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33)는 증분식 인코더로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증분식 인코더로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33)는 자기식 스캐닝 또는 광전식 스캐닝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필요한 측정 기준부(32)는 자기 휠이나 자기 테이프로서 또는 바코드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정 기준부(32)의 배열은 조인트 몸체(28)의 표면 상의, 주연부를 둘러싸는 그루브(31) 내에서 실행된다. 그루브(31)는 조인트 몸체(28)의 가장 큰 외경의 영역 내에서 종축(L)에 동축으로 연장된다. 그루브(31)의 깊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몸체(16) 내의 위치 자석(20)을 위한 리세스(19)에 비해 훨씬 더 얕으므로, 조인트 몸체(28)의 약화가 더 적게 나타난다.
바코드로서의 측정 기준부(32)는 조인트 몸체(28)의 표면 상의 널링, 인그레이빙 또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바코드부가 그루브(31) 내에 제공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바코드부가 조인트 몸체(28) 상에 접착될 수 있다. 측정 기준부(32)의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조인트 몸체(28)의 표면 윤곽에 대한 최소의 간섭만이 나타난다.
1 섀시 부품
2 스트럿
3 프로파일 베이스
4 벽 섹션
5 조인트 지점
6 조인트 수용 개구
7 조인트 수용 개구
8 통로
9 통로
10 홈
11 축방향
12 슬리브
13 12의 재킷 표면
14 개구
15 제1 조인트부
16 조인트 몸체
17 핀
18 관통 보어
19 리세스
20 위치 자석
21 센서 소자
22 단자
23 커버 부재
24 제2 조인트부
25 조인트 하우징
26 신호 라인
27 제1 조인트부
28 조인트 몸체
29 핀
30 관통 보어
31 그루브
32 측정 기준부
33 센서 소자
34 단자
L 종축

Claims (15)

  1. 개방된 횡단면 형상을 갖는 프로파일로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트럿(2)을 갖는 스트럿 배열체를 포함하는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1)으로서, 하나 이상의 스트럿(2)은 하나의 프로파일 베이스(3) 및 그로부터 인출되는 2개의 벽 섹션들(4)을 포함하고, 스트럿(2)의 하나 이상의 단부에는 가동식으로 서로 연결된 2개의 조인트부들(15, 24, 27), 즉 구형 조인트 몸체(16, 28)를 갖는 제1 조인트부(15, 27)와; 조인트 몸체(16, 28)를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또는 선회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 조인트부(24);의 수용을 위한 조인트 지점(5)이 제공되며, 벽 섹션들(4)은 하나 이상의 조인트 지점(5)의 영역에서 서로 대향 배치된 상태로 제1 조인트 수용 개구(6) 및 제2 조인트 수용 개구(7)를 갖는,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에 있어서,
    제1 조인트 수용 개구(6)와 제2 조인트 수용 개구(7) 사이에는 서로 대향되는 벽 섹션들(4)을 서로 이격시키는 원통형 슬리브(12)가 압입되고,
    압입된 슬리브(12) 내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21, 33) 및 조인트 몸체(16, 28)가 삽입되고, 슬리브(12), 센서 소자(21, 33) 및 그 내부에 삽입된 조인트 몸체(16, 28)는, 인서트 성형을 통해 제조된, 제2 조인트부(24)를 형성하는 조인트 하우징(25)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1).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슬리브(12)의 재킷 표면(13)은, 섹션별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14)를 포함하고, 이러한 개구는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21, 33)를 통과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1).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21, 33)는 두 조인트부들(15, 24, 27) 서로의 상대적 위치의 결정을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1).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21, 33)는 조인트 몸체(16, 28)의 표면에 직접 접할 때까지 접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1).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21)는 자기 저항 센서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1).
  7. 제6항에 있어서, 조인트 몸체(16)의 표면의 수용부(19) 내에는 센서 소자(21)에 할당되는 위치 자석(20)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1).
  8. 제7항에 있어서, 센서 소자(21)는 리세스(19) 및 그 내부에 배열된 위치 자석(20)의 밀봉을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1).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센서 소자(33)는 증분식 인코더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1).
  10. 제9항에 있어서, 증분식 인코더로서 형성된 센서 소자(33)는 광전식 스캐닝 또는 자기식 스캐닝을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1).
  11. 제9항에 있어서, 조인트 몸체(28)의 표면 상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정 기준부(3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1).
  12. 제11항에 있어서, 측정 기준부(32)는 자기 테이프 또는 바코드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1).
  13.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1 조인트부(15, 27) 및 제2 조인트부(24)는 볼 슬리브 조인트의 구성 요소이고, 섀시 부품(1)은 링크, 트랜스버스 링크(transverse lin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1).
  14. 개방된 횡단면 형상을 갖는 프로파일부로서 제조되는, 하나 이상의 스트럿(2)을 갖는 스트럿 배열체를 포함하는 섀시 부품(1)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스트럿(2)은 하나의 프로파일 베이스(3) 및 그로부터 인출되는 2개의 벽 섹션들(4)을 포함하고, 스트럿(2)의 하나 이상의 단부에는 가동식으로 서로 연결된 2개의 조인트부들(15, 24, 28), 즉 구형 조인트 몸체(16, 28)를 갖는 제1 조인트부(15, 27)와; 조인트 몸체(16, 28)를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또는 선회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 조인트부(24);의 수용을 위한 조인트 지점(5)이 제공되며, 벽 섹션들(4)은 하나 이상의 조인트 지점(5)의 영역에서 서로 대향 배치된 상태로 제1 조인트 수용 개구(6) 및 제2 조인트 수용 개구(7)를 갖는, 섀시 부품(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 조인트 수용 개구(6)와 제2 조인트 수용 개구(7) 사이에는 서로 대향되는 벽 섹션들(4)을 서로 이격시키는 원통형 슬리브(12)가 우선 압입되고,
    압입된 슬리브(12) 내에는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21, 33) 및 조인트 몸체(16, 28)가 삽입되고, 슬리브(12), 하나 이상의 센서 소자(21, 33) 및 조인트 몸체(16, 28)는, 인서트 성형을 통해 제조된, 제2 조인트부(24)를 형성하는 조인트 하우징(25)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부품(1)의 제조 방법.
  15. 삭제
KR1020217004354A 2018-10-15 2019-09-16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 및 섀시 부품의 제조 방법 KR102656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17642.6 2018-10-15
DE102018217642.6A DE102018217642A1 (de) 2018-10-15 2018-10-15 Fahrwerkbauteil für eine Radaufhäng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werkbauteils
PCT/EP2019/074638 WO2020078630A1 (de) 2018-10-15 2019-09-16 Fahrwerkbauteil für eine radaufhäng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werkbautei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757A KR20210072757A (ko) 2021-06-17
KR102656117B1 true KR102656117B1 (ko) 2024-04-12

Family

ID=67988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354A KR102656117B1 (ko) 2018-10-15 2019-09-16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 및 섀시 부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24539B2 (ko)
EP (1) EP3867084B1 (ko)
KR (1) KR102656117B1 (ko)
CN (1) CN112867614B (ko)
DE (1) DE102018217642A1 (ko)
WO (1) WO2020078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17642A1 (de) * 2018-10-15 2020-04-16 Zf Friedrichshafen Ag Fahrwerkbauteil für eine Radaufhäng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werkbauteils
DE102019216371A1 (de) * 2019-10-24 2021-04-29 Zf Friedrichshafen Ag Fahrwerkbauteil mit einer Mess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Fahrwerkbauteils
DE102021205621B3 (de) 2021-06-02 2022-09-29 Zf Friedrichshafen Ag Fahrwerkbauteil und mit einem Strukturteil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Fahrwerkbautei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29343A2 (de) 2002-01-22 2003-07-23 REMPEL Stanztechnik GmbH & Co. KG Konstruktionselement, insbesondere für die Lenkgeometrie von Strassenfahrzeugen
US20040067096A1 (en) 2001-12-14 2004-04-08 Metin Ersoy Ball-and-socket joint for a motor vehicle
US20110033230A1 (en) * 2008-04-14 2011-02-10 Zf Friedrichshafen Ag Joint and/or bearing arrangement
US20160075201A1 (en) * 2014-09-12 2016-03-17 Edai Technical Unit, A.I.E. Method for obtaining an arm for multi-link suspensions of automotive vehicles and a suspension arm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1348A (en) 1961-11-28 1964-02-18 Paul J Reed Torque rod
DE4309226A1 (de) * 1993-03-23 1994-09-29 Hella Kg Hueck & Co Fahrzeugniveaugeber
DE10110738C5 (de) 2001-03-01 2008-06-05 ZF Lemförder GmbH Kugelgelenk, Vorrichtung zum Steuern von Betriebsparametern eines Kraftfahrzeuges, Lenkgestänge, Spurstang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gelgelenks
DE10134259A1 (de) * 2001-07-18 2003-02-06 Zf Lemfoerder Metallwaren Ag Kugelgelenk mit integriertem Winkelsensor
DE102004008957B4 (de) 2004-02-24 2019-01-17 Volkswagen Ag Federlenker für eine Radaufhäng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04039781B4 (de) 2004-08-16 2007-03-29 Zf Friedrichshafen Ag Kugelgelenk für ein Kraftfahrzeug
JP2006144945A (ja) * 2004-11-22 2006-06-08 Rhythm Corp ボールジョイント固定構造
US7506444B2 (en) * 2005-04-14 2009-03-24 Benteler Automotive Corporation Vehicle suspension control arm and method
DE102006039863B4 (de) 2006-08-25 2009-07-09 Zf Friedrichshafen Ag Gelenkeinheit, vorzugsweise zur Lagerung des Fahrwerklenkers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9025429A1 (de) 2009-06-16 2011-01-05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Lenkeranord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enkeranordnung
DE102010041306A1 (de) * 2010-09-24 2012-03-29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ugelhülsengelenks
EP2502764B1 (en) * 2011-03-22 2014-01-15 Edai Technical Unit, A.I.E. Stabilizer link for a vehicle suspension and method for obtaining it
DE102012012994A1 (de) 2012-06-29 2014-01-02 Audi Ag Lenker einer Radaufhängung
DE102012213664A1 (de) * 2012-08-02 2014-02-06 Zf Friedrichshafen Ag Strebe
DE102012223829A1 (de) * 2012-12-19 2014-06-26 Zf Friedrichshafen Ag Gelenk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3002285B4 (de) 2013-02-08 2024-03-14 Volkswagen Ag Achslenker für eine Achse eines Kraftfahrzeugs, Achse mit einem derartigen Achslenker und Fahrzeug mit einer solchen Achse
CN103727911B (zh) * 2013-12-20 2017-08-25 北京中力智研物联科技有限公司 基于mems阵列的组装式深部位移监测设备及系统
DE102014214824A1 (de) * 2014-07-29 2016-02-04 Zf Friedrichshafen Ag Kugelgelenk für ein Fahrwerk
DE102015200352A1 (de) 2015-01-13 2016-07-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enker für eine Radaufhängung eines Fahrzeugs
US10520012B1 (en) * 2015-04-14 2019-12-31 Roller Bearing Company Of America, Inc. Rod end having wear mitigation features for an augmenter nozzle on a jet engine turbine
DE102015220756A1 (de) * 2015-10-23 2017-04-27 Zf Friedrichshafen Ag Kugelgelenk für ein Fahrzeug
US20170368552A1 (en) * 2016-06-27 2017-12-28 Jacobs Corporation Spherical Joint for Hammer Mills
DE102016220438A1 (de) * 2016-10-19 2018-04-19 Zf Friedrichshafen Ag Hülsengelenk,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
CN106739895B (zh) * 2017-02-28 2019-05-07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下摆臂
DE102017208410B3 (de) 2017-05-18 2018-08-16 Zf Friedrichshafen Ag Kugelgelenk
DE102018210913A1 (de) * 2018-07-03 2020-01-09 Zf Friedrichshafen Ag Gelenkbauteil
DE102018217643A1 (de) * 2018-10-15 2020-04-16 Zf Friedrichshafen Ag Gelenk, Lenker für eine Radaufhängung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s Gelenks
DE102018217641A1 (de) * 2018-10-15 2020-04-16 Zf Friedrichshafen Ag Fahrwerkbauteil für eine Radaufhäng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werkbauteils
DE102018217642A1 (de) * 2018-10-15 2020-04-16 Zf Friedrichshafen Ag Fahrwerkbauteil für eine Radaufhäng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werkbauteils
CN110497755A (zh) * 2019-08-29 2019-11-2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控制臂、悬架和控制臂的制造方法
DE102020206438A1 (de) * 2020-05-25 2021-11-25 Zf Friedrichshafen Ag Fahrwerkbautei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Fahrwerkbauteil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67096A1 (en) 2001-12-14 2004-04-08 Metin Ersoy Ball-and-socket joint for a motor vehicle
EP1329343A2 (de) 2002-01-22 2003-07-23 REMPEL Stanztechnik GmbH & Co. KG Konstruktionselement, insbesondere für die Lenkgeometrie von Strassenfahrzeugen
US20110033230A1 (en) * 2008-04-14 2011-02-10 Zf Friedrichshafen Ag Joint and/or bearing arrangement
US20160075201A1 (en) * 2014-09-12 2016-03-17 Edai Technical Unit, A.I.E. Method for obtaining an arm for multi-link suspensions of automotive vehicles and a suspension a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67084A1 (de) 2021-08-25
CN112867614B (zh) 2024-05-14
WO2020078630A1 (de) 2020-04-23
CN112867614A (zh) 2021-05-28
EP3867084B1 (de) 2022-11-02
DE102018217642A1 (de) 2020-04-16
US11524539B2 (en) 2022-12-13
KR20210072757A (ko) 2021-06-17
US20210323366A1 (en)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6117B1 (ko)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 및 섀시 부품의 제조 방법
KR102656036B1 (ko) 조인트, 휠 서스펜션용 링크, 및 조인트의 조립 방법
US20170254710A1 (en) Torque sensor device
JP4487851B2 (ja) 車両用回転検出装置の製造方法
KR102462779B1 (ko) 각도 측정 장치의 배치 구조
EP1686381A1 (en) Rotational speed detecting sensor
EP3324167B1 (en) Torque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407364B2 (en) Thin-walled camera module housing with integrated connector fabricated by metal powder injection molding process and camera module f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2624879B1 (ko) 휠 서스펜션용 섀시 부품 및 섀시 부품의 제조 방법
US20200114716A1 (en) Multipoint control arm
EP1860444A1 (en) Rotation sensor
US20020192016A1 (en) Ball joint
JP4135493B2 (ja) 回転検出センサ
US7121757B2 (en) Process and device for mounting ball and socket joints with at least one connecting piece
KR20230015344A (ko) 섀시 부품 및 이러한 유형의 섀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US11168733B2 (en) Ball joint, in particular for a chassis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fitting such a ball joint
US11198201B2 (en) Positioning device
CN112839832B (zh) 用于车轮悬架的连杆及装配接头的方法
CN114747097B (zh) 插接件组件,这种插接件组件的插接件和用于装配插接件组件的方法
JPH0862234A (ja) 電磁発電式回転センサ
KR20210118359A (ko) 볼 조인트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른 볼 조인트
JP2019176678A (ja) 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