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5344A - 섀시 부품 및 이러한 유형의 섀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섀시 부품 및 이러한 유형의 섀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5344A
KR20230015344A KR1020227040403A KR20227040403A KR20230015344A KR 20230015344 A KR20230015344 A KR 20230015344A KR 1020227040403 A KR1020227040403 A KR 1020227040403A KR 20227040403 A KR20227040403 A KR 20227040403A KR 20230015344 A KR20230015344 A KR 20230015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ection
sensor housing
sensor element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르투어 베르거
제바스티안 마인들
팀 홀트하우스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230015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1Mounting of sensors thereon
    • B60G2204/116Sensors coupled to the suspension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1Mounting of sensors thereon
    • B60G2204/116Sensors coupled to the suspension arm
    • B60G2204/1162Sensors coupled to the suspension arm directly mounted on the suspension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a radius or track or torque or steering rod or stabiliser end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05Attitude
    • B60G2400/051Angle
    • B60G2400/0516Angular position of a suspension element
    • B60G2400/05162Angular position of a suspension element the element being a suspension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90Other conditions or f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G2401/17Magnetic/Electromagnetic
    • B60G2401/172Hall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6Suspen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단부 섹션(2) 및 제2 단부 섹션(3); -이들 두 단부 섹션(2, 3) 사이에 연결 섹션(4)이 배치됨-; 상기 두 단부 섹션(2, 3) 중 하나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9, 10); 및 센서 장치(13); -센서 하우징(14, 33)이 상기 센서 장치(13)의 제1 센서 요소(16)를 가짐-;를 포함하는 섀시 부품(1, 32)에 관한 것이다. 섀시 부품(1, 32) 상의 센서 장치(13) 및/또는 센서 하우징(14)의 배치를 개선하고 그리고/또는 가능케 하기 위해, 섀시 부품(1, 32)은, 양측 단부 섹션(2, 3)과 연결 섹션(4)이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한쪽이 개방된 일체형 프로파일부(5)로서 형성되고, 개방형 프로파일부(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어 있는 내부 공간(17)을 형성하며, 제1 센서 요소(16)가 상기 내부 공간(17) 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섀시 부품 및 이러한 유형의 섀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은, 제1 단부 섹션 및 제2 단부 섹션;-이들 두 단부 섹션 사이에 연결 섹션이 배치됨-; 상기 두 단부 섹션 중 하나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및 센서 장치; -센서 하우징이 상기 센서 장치의 제1 센서 요소를 가짐-;를 포함하는 섀시 부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유형의 섀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형의 섀시 부품은 DE 10 2019 201 521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센서 장치는 섀시 부품의 블라인드 홀 타입 리세스에 삽입되는 핀형 센서 스트럿을 갖는다.
그러나 모든 섀시 부품이 블라인드 홀 타입 리세스의 형성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판금으로 형성된 섀시 부품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가능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센서 장치 및/또는 센서 하우징을 섀시 부품, 특히 판금 컨트롤 암(sheet metal control arm)에 부착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개발하거나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섀시 부품에서 센서 장치 및/또는 센서 하우징의 배치가 개선되도록 그리고/또는 가능하도록, 도입부에 언급된 유형의 섀시 부품 및/또는 방법을 더 개발하는 것이다. 특히 대안적인 실시예를 제공해야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섀시 부품 및/또는 청구항 제9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항 및 하기의 설명부를 참조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섀시 부품에 관련된다. 특히, 섀시 부품은 차량,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섀시에 배치된다. 섀시 부품은 일반적으로 섀시 캐리어, 크로스 멤버, 차축 캐리어, 플랜지 조인트, 휠 캐리어 또는 섀시 컨트롤 암일 수 있다. 섀시 부품은 제1 단부 섹션 및 제2 단부 섹션을 갖는다. 특히, 상기 두 단부 섹션은 섀시 부품의, 서로 반대편을 향하는 2개의 단부에 형성된다. 섀시 부품은 스트럿 형태로 그리고/또는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 단부 섹션 사이에 연결 섹션이 배치된다. 연결 섹션은 실질적으로 스트랜드(strand)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섀시 부품은 센서 장치를 갖는다. 센서 하우징은 센서 장치의 제1 센서 요소를 갖는다. 특히, 센서 장치는 각도 측정 장치로서 형성된다. 베어링의 회전축에 대한 섀시 부품의 상대 회전은 바람직하게 센서 장치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측정될 수 있다. 두 단부 섹션과 연결 섹션은 길이 연장부에 걸쳐서 한쪽이 개방되어 있는 일체형 프로파일부로서 형성되며, 이 개방형 프로파일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어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이 경우, 제1 센서 요소는 내부 공간 안에 배치된다.
여기서 적어도 제1 센서 요소는 개방형 프로파일부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외부 영향에 대해 충분히 보호되는 점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1 센서 요소는 이에 의해 베어링상에 그리고/또는 베어링 내에 배치된 제2 센서 요소에 가능한 한 가깝게 위치하거나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섀시 부품은 특히 연결 섹션의 영역에서 U자형 또는 C자형 단면을 갖는다. 특히 개방형 프로파일부는 실질적으로 U자형 또는 C자형 단면을 갖는다. 또한, 섀시 부품이 2점 컨트롤 암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섀시 부품은 바람직하게 판금 컨트롤 암, 특히 판금 횡단 컨트롤 암으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단부 섹션들과 연결 섹션은 성형된 판금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판금의 재료로서 강 또는 알루미늄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단부 섹션 및/또는 제2 단부 섹션에는 베어링을 배치하거나 압입하기 위한 베어링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 개선예에 따라, 센서 하우징은 특히 별도의 그리고/또는 독자적인 고정 수단에 의해 개방형 프로파일부의 벽부에 고정된다. 고정 수단은 리벳 또는 나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센서 하우징은 고정 수단을 부분적으로 삽입하기 위한 관통 개구 및/또는 보어를 가질 수 있다. 특히, 개방형 프로파일부 또는 개방형 프로파일부의 벽부는 고정 수단의 삽입, 압입 또는 나사 결합을 위한 고정 개구를 갖는다. 특히, 센서 하우징은 고정 수단에 의한 고정으로 인해 개방형 프로파일부와 관련하여 위치 고정 방식으로 섀시 부품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고정 수단은 고정 개구 및/또는 개방형 프로파일부의 벽부와 형상 결합 방식으로 그리고/또는 강제 결합 방식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또 다른 한 실시예에 따라, 센서 하우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내부 공간 안에 배치된다. 특히, 제1 센서 요소를 갖는 센서 하우징의 섹션이 내부 공간 안에 배치된다. 센서 하우징은 개방형 프로파일부의 벽부의 외면 및/또는 내면에 접할 수 있다. 센서 하우징이 완전히 내부 공간 안에 배치되면, 전체 센서 하우징이 센서 하우징을 둘러싸는 개방형 프로파일부에 의해 외부 영향으로부터 특히 잘 보호된다.
센서 하우징은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특히 센서 하우징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제조된다. 이 경우, 제1 센서 요소는 센서 하우징의 재료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센서 요소가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된다.
한 개선예에 따라, 개방형 프로파일부의 벽부는 관통 개구를 갖는다. 이 경우, 센서 하우징은 벽부 외면으로부터 관통 개구를 통해 내부 공간 내로 연장된다. 특히, 제1 센서 요소를 갖는 센서 하우징의 섹션이 내부 공간 안에 배치된다. 제1 센서 요소를 갖는 센서 하우징의 상기 섹션은 바람직하게 베어링 및/또는 제2 센서 요소 쪽을 향한다. 센서 하우징의 또 다른 섹션은 내부 공간의 외부에, 특히 개방형 프로파일부의 벽부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관통 개구의 가장자리는 바람직하게 제1 플러그인 섹션을 갖는다. 제1 플러그인 섹션은 제1 플러그인 섹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센서 하우징의 제2 플러그인 섹션과 형상 결합 방식으로 상호작용한다. 따라서 센서 하우징은 제2 플러그인 섹션을 갖는다. 상기 두 플러그인 섹션은 관통 개구를 가진 개방형 프로파일부의 벽부와 센서 하우징 사이의 형상 결합식 연결을 구현한다. 제1 플러그인 섹션은 홈 형태의 리세스로서 관통 개구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 개구의 가장자리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자리의 한 섹션은 추가로 홈 형태의 리세스를 갖는다. 특히, 상기 홈 형태의 리세스는 가장 가까운 베어링에 인접한 관통 개구의 가장자리 섹션에 형성된다. 홈 형태의 리세스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센서 하우징의 협착부가 제2 플러그인 섹션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센서 하우징의 이러한 협착부는 홈 형태의 리세스 내에 형상 결합 방식으로 삽입된다. 협착부는 바람직하게, 센서 하우징의 부분적으로 형성된 직경 감소부로 인해 형성된다. 협착부를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센서 하우징의 웨브 형태의 섹션은 서로 반대편을 향하는 측면들에 배치된 2개의 홈을 가질 수 있다.
한 개선예에 따라, 센서 하우징은 단차부가 적어도 1회 형성된 윤곽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센서 하우징은 단차부가 2회 또는 3회 형성된 윤곽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단차부가 1회 또는 수회 형성된 윤곽은 센서 하우징의 측면도에서 확인된다. 이러한 단차형 윤곽은 센서 하우징이 개방형 프로파일부의 벽부에 있는 관통 개구를 통해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센서 하우징의 한 섹션은 개방형 프로파일부의 벽부 외면에 배치되고 센서 하우징의 다른 섹션은 벽부 내면에 배치되는, 전체적으로 비교적 평평한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윤곽은 제1 센서 요소가 베어링 또는 제2 센서 요소에 가능한 한 가깝게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제1 센서 요소는 바람직하게 센서 하우징의 제1 단부에 배치된다. 센서 하우징의 상기 제1 단부는 바람직하게 베어링 또는 제2 센서 요소 쪽을 향한다. 센서 하우징의 제2 단부에 하나의 플러그인 섹션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이 플러그인 섹션 및/또는 센서 하우징의 제2 단부는 센서 하우징의 제1 단부로부터 먼 쪽을 향한다. 상기 플러그인 섹션은 바람직하게 평가 유닛과의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베어링은 센서 장치의 제2 센서 요소를 갖는다. 이 경우, 제1 센서 요소가 제2 센서 요소와 상호작용한다. 특히, 제1 센서 요소는 자기장 감지 센서로서 구성되고, 제2 센서 요소는 자석으로서 구성된다. 제1 센서 요소는 바람직하게 홀 센서로서 구성된다. 베어링 및 이와 더불어 제2 센서 요소의 운동 시, 제1 센서 요소와 관련된 자기장의 변화가 나타나며, 이는 제1 센서 요소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도 및/또는 각도 변화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베어링에 대해 베어링의 적어도 하나 또는 정확히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섀시 부품의 상대 회전이 센서 장치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한 개선예에 따라, 베어링은 고무 베어링으로서 형성된다. 특히 개방형 프로파일부 및/또는 섀시 부품은 판금 컨트롤 암으로서 형성된다. 고무 베어링은 외부 슬리브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외부 슬리브는 개구를 갖는다. 이 경우, 제1 센서 요소는 외부 슬리브의 외부에 그리고 개구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센서 장치의 제2 센서 요소는 외부 슬리브 내에 그리고 개구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센서 요소 및 제2 센서 요소는 외부 슬리브의 개구를 통해 서로 상호작용한다. 특히, 외부 슬리브의 개구는 외부 슬리브의 벽부 재료 내에 오목부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섀시 부품의 제조 방법은 특히 바람직하며, 이 방법에서는 제1 센서 요소가 내부 공간 안에 배치된다. 그 결과, 제1 센서 요소는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베어링 및/또는 제2 센서 요소에 가능한 한 근접한 배치가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센서 하우징은 개방형 프로파일부의 벽부에 있는 관통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이로써 제1 센서 요소를 갖는 센서 하우징의 섹션이 내부 공간 안에 배치된다. 센서 하우징의 또 다른 섹션은 내부 공간 밖에 남겨질 수 있다. 특히 그에 이어서, 센서 하우징의 제2 플러그인 섹션이 형상 결합을 생성하기 위해 관통 개구의 가장자리에 있는 제1 플러그인 섹션에 삽입된다. 그로 인해 센서 하우징은 적어도, 2개의 공간 방향과 관련하여 유지되고 그리고/또는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런 다음 센서 하우징이 고정 수단에 의해 프로파일부의 벽부에 고정된다. 특히, 이를 통해 센서 하우징은 제3 공간 방향과 관련하여 고정된다. 3개의 공간 방향은 바람직하게 3차원 데카르트 좌표계에 걸쳐 있다.
전체적으로, 2개의 플러그인 섹션 사이의 고정 수단 및/또는 형상 결합으로 인해, 섀시 부품상에 센서 하우징이 위치 고정식으로 배치된다. 센서 하우징의 배치 전 또는 배치 후에 베어링은 섀시 부품의 베어링 수용부 내에 배치된다. 특히 베어링은 제2 센서 요소를 가지며, 이때 베어링은 지정된 대로 베어링 수용부 내에 배치된다. 특히, 제2 센서 요소를 갖는 베어링은, 제2 센서 요소가 제1 센서 요소로부터 가능한 한 최소 거리로 정렬되는 방식으로 베어링 수용부 내에 배치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섀시 부품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섀시 부품이다.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른 섀시 부품과 관련하여 설명된 구성에 따라 개선된다. 또한, 여기에 기술된 섀시 부품은 상기 방법과 관련하여 설명된 구성에 따라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여기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품 또는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섀시 부품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본원 섀시 부품의 또 다른 측면도의 부분 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본원 섀시 부품의 구성요소로서 센서 하우징 및 베어링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본원 섀시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1 조립 위치에 있는 센서 하우징의 제1 사시도의 부분 투시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본원 섀시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2 조립 위치에 있는 센서 하우징의 제2 사시도의 부분 투시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본원 섀시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3 조립 위치에 있는 센서 하우징의 제3 사시도의 부분 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섀시 부품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섀시 부품(1)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섀시 부품(1)은 이 실시예에서 판금 컨트롤 암으로서 형성된다. 섀시 부품(1)은 제1 단부 섹션(2) 및 제2 단부 섹션(3)을 갖는다. 상기 두 단부 섹션(2, 3) 사이에 이들 단부 섹션(2, 3)을 연결하는 연결 섹션(4)이 배치된다. 상기 두 단부 섹션(2, 3)과 연결 섹션(4)은 단일 부재형 또는 일체형 프로파일부(5)로서 형성된다. 여기에서 프로파일부(5)는 길이 방향 연장부에 걸쳐 한쪽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프로파일부(5) 또는 적어도 연결 섹션(4)은 실질적으로 U자형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프로파일부(5)는 서로에 대해 U자형으로 배열된 3개의 벽부(6, 7, 8)를 갖는다. 여기서, 벽부(6, 8)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벽부(7)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또는 횡방향으로, 상기 벽부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섀시 부품(1)은 베어링(9) 및 베어링(10)을 갖는다. 여기서 베어링(9, 10)은 각각 고무 베어링으로서 형성된다. 베어링(9)은 제1 단부 섹션(2)에 배치되고, 베어링(10)은 제2 단부 섹션(3)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제1 단부 섹션(2) 및 제2 단부 섹션(3)은 각각 하나의 베어링 수용부(11)를 가지며, 이 베어링 수용부 내로 본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9 또는 10)이 압입된다. 베어링(9 또는 10)에 의해 각각 하나의 회전축(12)이 정의되거나 미리 결정되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섀시 부품(1)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섀시 부품(1)은 센서 장치(13)를 갖는다. 센서 장치(13)는 센서 하우징(14)을 갖는다. 센서 하우징(14)은 고정 수단(15)에 의해 프로파일부(5)의 벽부(6) 외면에 고정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본원 섀시 부품(1)의 또 다른 측면도의 부분 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수단(15)은 나사로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고정 수단(15)은 리벳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센서 하우징(14)은 제1 센서 요소(16)를 갖는다. 제1 센서 요소(16)는 본 실시예에서 자기장 감지 센서로서 또는 홀 센서로서 구성된다. 센서 하우징(14)은 본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으로서 제조된다. 또한, 본 예시에 따르면, 제1 센서 요소(16)는 센서 하우징(14)의 재료 내에 완전히 매립된다. 달리 말하면, 제1 센서 요소(16)는 센서 하우징(13)의 재료 내에 캡슐화되며, 그로 인해 제1 센서 요소(16)가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된다.
개방형 프로파일부(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어 있는 내부 공간(17)을 형성한다. 이 경우, 제1 센서 요소(16)는 내부 공간(17) 안에 배치된다. 센서 하우징(14)은 제1 단부(18) 및 상기 제1 단부(18)의 반대편을 향한 제2 단부(19)를 갖는다. 제1 센서 요소(16)는 센서 하우징(14)의 제1 단부(18)에 배치된다. 제2 단부(19)는 본 실시예에서 플러그인 섹션으로서 구현된다. 플러그인 섹션으로서 구현된 제2 단부(19)는, 여기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평가 유닛에 센서 장치(13)를 연결하는, 여기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라인과의 연결에 이용된다.
제1 단부(18) 또는 제1 센서 요소(16)는 베어링(9) 쪽을 향한다. 여기서 센서 하우징(14)은, 한편으로 제1 단부(18) 또는 제1 센서 요소(16)와 다른 한편으로 베어링(9) 사이의 거리가 가능한 한 짧도록 프로파일부(5)에 부착된다.
센서 하우징(14)은 본 실시예에 따라 다단형 윤곽을 갖는다. 여기서 센서 하우징(4)은 단차부가 3회 형성된 윤곽을 갖는다. 이러한 다단형 윤곽으로 인해, 기능적이면서도 충분히 평평한 센서 하우징(14)의 구성이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본원 섀시 부품(1)의 구성요소로서 센서 하우징(14) 및 베어링(9)의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더 나은 명확성을 위해 개방형 프로파일부(5)를 생략하였다. 베어링(9)은 제2 센서 요소(20)를 갖는다. 제2 센서 요소(20)는 센서 장치(13)의 구성요소이다. 제2 센서 요소(20)는 본 실시예에서 자석 또는 영구 자석으로서 베어링(9)의 고무 재료 내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센서 요소(20)는 신호 발생기로 해석될 수 있고, 제1 센서 요소(16)는 신호 수신기로 해석될 수 있다. 이에 상응하게, 제1 센서 요소(16)와 제2 센서 요소(20)가 상호작용한다.
베어링(9)은 외부 슬리브(21)를 갖는다. 외부 슬리브(21)는 개구(22)를 갖는다. 이 경우, 개구(22)는 외부 슬리브(21)의 벽부 재료 내의 오목부로서 구현된다. 또한, 베어링(9)은, 개구(22)가 제1 센서 요소(16)를 향하도록 정렬되거나 배치된다. 이로써, 제1 센서 요소(16)는 외부 슬리브(21)의 외부에 그리고 개구(22)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2 센서 요소(20)는 외부 슬리브(21) 내에 그리고 개구(22)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1 센서 요소(16)와 제2 센서 요소(20)는 서로 가능한 한 최소 거리로 배치되거나 정렬된다. 이 경우, 제1 센서 요소(16)와 제2 센서 요소(20)는 개구(22)를 통해 서로 작동 연결된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본원 섀시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1 조립 위치에 있는 센서 하우징(14)의 제1 사시도의 부분 투시도이다. 개방형 프로파일부(5)의 벽부(6)는 관통 개구(23)를 갖는다. 관통 개구(23)는 제1 단부 섹션(2)의 베어링 수용부(11)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관통 개구(23)를 통해, 프로파일부(5)의 벽부(6, 7, 8)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17)에 접근할 수 있다. 관통 개구(23)는, 본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가장자리(24)를 갖는다. 관통 개구(23)의 직경은, 센서 하우징(14)의 적어도 제1 단부(18) 또는 제1 센서 요소(16)가 먼저 관통 개구(23)를 통해 내부 공간(17) 안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관통 개구(23)의 가장자리(24)는 제1 플러그인 섹션(25)을 갖는다. 센서 하우징(14)은 제2 플러그인 섹션(26)을 갖는다. 후행 도면을 토대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플러그인 섹션(25)과 제2 플러그인 섹션(26)은 형상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센서 하우징(14)은 개구(27)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개구(27)는 2개의 단부(18, 19) 사이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다. 또한, 프로파일부(5) 또는 벽부(6)가 고정 개구(28)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라 개구(27) 및 고정 개구(28)는 모두 고정 수단(15)의 관통 안내를 위해 사용되며, 그에 따라 센서 하우징(14)을 도 1 및 도 2에 따른 프로파일부(5)에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본원 섀시 부품(1)을 제조하기 위한 제2 조립 위치에 있는 센서 하우징(14)의 제2 사시도의 부분 투시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조립 위치에서, 센서 하우징(14)은, 센서 하우징(14)의 제2 플러그인 섹션(26)이 개구(23) 내에 배치될 정도로, 관통 개구(23)를 통해 내부 공간(17) 안으로 삽입된다. 달리 말하면, 이 조립 위치에서는 가장자리(24)가 센서 하우징(14)의 제2 플러그인 섹션(26)을 둘러싼다. 이 실시예에서, 제2 플러그인 섹션(26)은 센서 하우징(14)의 일종의 협착부로서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센서 하우징(14)이 제2 플러그인 섹션(26)을 형성하기 위해 2개의 홈(29, 30)을 갖는다. 이들 홈(29, 30)은 센서 하우징(14)의 서로 반대편을 향하는 측면에 형성된다. 이를 통해, 협착부로서 형성된 제2 플러그인 섹션(26)은 센서 하우징(14)의 부분적으로 형성된 직경 감소부로 인해 구현된다.
제1 플러그인 섹션(25)은 본 실시예에서 홈 형태의 리세스로서 관통 개구(23)의 가장자리(24)에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플러그인 섹션(25) 또는 홈형 리세스는 베어링 수용부(11) 쪽을 향하는 가장자리(24)의 섹션에 형성된다.
제1 플러그인 섹션(25)과 제2 플러그인 섹션(26) 사이의 형상 결합식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센서 하우징(14)은 여기에 도시된 조립 위치에서 시작하여 베어링 수용부(11)의 방향으로 변위된다. 그 결과, 센서 하우징(14)의 제2 플러그인 섹션(26)은 형상 결합식으로 가장자리(24)의 제1 플러그인 섹션(25) 내로 압입된다. 이러한 형상 결합으로 인해 센서 하우징(14)은 2개의 공간 방향과 관련하여 이미 프로파일부(5)에 보유된다.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본원 섀시 부품(1)을 제조하기 위한 제3 조립 위치에 있는 센서 하우징(14)의 제3 사시도의 부분 투시도이다. 여기서는 제2 플러그인 섹션(26)이 제1 플러그인 섹션(25) 내에 삽입된 후, 선행하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 하우징(14)이 고정 수단(15)에 의해 최종적으로 프로파일부(5)에 고정된다. 이 경우, 고정 수단(15)에 의해 센서 하우징(14)이 적어도 제3 공간 방향과 관련하여 프로파일부(5)에 고정된다. 특히 전술한 총 3개의 공간 방향은 3차원 데카르트 공간에 걸쳐 있다.
베어링 수용부(11)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단부 섹션(2) 내 베어링(9)이 없이 도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센서 하우징(14)의 제1 단부(18) 또는 제1 센서 요소(16)가 베어링 수용부(11)의 자유 공간(31) 내에 배치된 점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제1 센서 요소(16)를 도 1, 도 2 및 도 3에 따른 베어링(9) 또는 베어링(9)의 제2 센서 요소(20)로부터 가능한 한 최소 거리에 배치할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따라 베어링 수용부(11) 내에 베어링(9)이 장착되지 않은 프로파일부(5)에 대한 센서 하우징(14)의 조립이 도시되었긴 하나, 그러한 조립은 베어링 수용부(11) 내에 이미 베어링(9)이 장착된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섀시 부품(32)의 부분 측면도이다. 이전과 동일한 특징부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되었다. 또한, 이와 관련해서는 선행 설명을 참조한다. 여기서는 도 1 내지 도 6에 따른 센서 하우징(14) 대신 센서 하우징(33)이 사용된다. 센서 하우징(33)은 완전히 내부 공간(17) 안에 배치된다. 센서 하우징(14)과 유사하게, 센서 하우징(33)도 제1 센서 요소(16)를 갖는 제1 단부(18)를 갖는다. 그러나 여기에 도시된 센서 하우징(33)은 센서 하우징(14)과 달리 다단형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그 대신, 센서 하우징(33)은 센서 하우징(14)에 비해 더 평평하다. 센서 하우징(33)은 고정 수단(15)에 의해 프로파일부(5)의 벽부(6)에 고정된다.
1 섀시 부품
2 제1 단부 섹션
3 제2 단부 섹션
4 연결 섹션
5 프로파일부
6 가장자리
7 가장자리
8 가장자리
9 베어링
10 베어링
11 베어링 수용부
12 회전축
13 센서 장치
14 센서 하우징
15 고정 수단
16 제1 센서 요소
17 내부 공간
18 제1 단부
19 제2 단부
20 제2 센서 요소
21 외부 슬리브
22 개구
23 관통 개구
24 가장자리
25 제1 플러그인 섹션
26 제2 플러그인 섹션
27 개구
28 고정 개구
29 홈
30 홈
31 자유 공간
32 섀시 부품
33 센서 하우징

Claims (10)

  1. 제1 단부 섹션(2) 및 제2 단부 섹션(3); -이들 두 단부 섹션(2, 3) 사이에 연결 섹션(4)이 배치됨-; 상기 두 단부 섹션(2, 3) 중 하나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9, 10); 및 센서 장치(13); -센서 하우징(14, 33)이 상기 센서 장치(13)의 제1 센서 요소(16)를 가짐-;를 포함하는 섀시 부품에 있어서,
    두 단부 섹션(2, 3)과 연결 섹션(4)은 길이 연장부에 걸쳐서 한쪽이 개방되어 있는 일체형 프로파일부(5)로서 형성되고, 이 개방형 프로파일부(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어 있는 내부 공간(17)을 형성하며, 제1 센서 요소(16)가 상기 내부 공간(17) 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센서 하우징(14, 33)은 고정 수단(15), 특히 리벳 또는 나사에 의해 개방형 프로파일부(5)의 벽부(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부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센서 하우징(14, 3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내부 공간(17) 안에 배치되고, 특히 센서 하우징(14)은 개방형 프로파일부(5)의 벽부(6)의 외면에 그리고/또는 내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부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방형 프로파일부(5)의 벽부(6)가 관통 개구(23)를 갖고, 센서 하우징(14)은 상기 벽부(6)의 외면에서부터 관통 개구(23)를 통해 내부 공간(17) 안으로 연장되며, 특히 제1 센서 요소(16)를 갖는 센서 하우징(14)의 섹션이 내부 공간(17) 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부품.
  5. 제4항에 있어서, 관통 개구(23)의 가장자리(24)가 제1 플러그인 섹션(25)을 가지며, 제1 플러그인 섹션(25)은 제1 플러그인 섹션(25)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센서 하우징(14)의 제2 플러그인 섹션(26)과 형상 결합 방식으로 상호작용하고, 특히 제1 플러그인 섹션(25)은 관통 개구(23)의 가장자리(24) 내의 홈형 리세스로서 형성되며, 홈형 리세스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제2 플러그인 섹션(26)을 형성하는 센서 하우징(14)의 협착부가 상기 홈형 리세스 내로 삽입되고, 바람직하게는 이 협착부가 센서 하우징(14)의 부분적으로 형성된 직경 감소부로 인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부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 하우징(14)은 단차부가 적어도 1회 형성되거나, 2회 형성되거나, 또는 3회 형성된 윤곽을 가지며, 특히 제1 센서 요소(16)는 센서 하우징(14, 33)의 제1 단부(18)에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센서 하우징(14, 33)의 제2 단부(19)에 플러그인 섹션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부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어링(9)은 센서 장치(13)의 제2 센서 요소(20)를 갖고, 제1 센서 요소(16)는 제2 센서 요소(20)와 상호작용하며, 특히 제1 센서 요소(16)는 자기장 감지 센서로서 구성되고 제2 센서 요소(20)는 자석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부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어링(9, 10)은 고무 베어링으로서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개방형 프로파일부(5)는 판금 컨트롤 암으로서 형성되며, 특히 고무 베어링은 개구(22)를 갖는 외부 슬리브(21)를 가지며, 제1 센서 요소(16)는 외부 슬리브(21)의 외부에서 개구(22)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센서 장치(13)의 제2 센서 요소(20)는 외부 슬리브(21) 내에서 개구(22)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부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섀시 부품(1, 32)의 제조 방법이며, 제1 센서 요소(16)가 내부 공간(17) 안에 배치되는, 섀시 부품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센서 하우징(14)은 개방형 프로파일부(5)의 벽부(6) 내 관통 개구(23)를 통해 삽입되고, 그로 인해 제1 센서 요소(16)를 갖는 센서 하우징(14)의 섹션이 내부 공간(17) 안에 배치되며, 특히 그에 이어서 센서 하우징(14)의 제2 플러그인 섹션(26)이 형상 결합을 생성하기 위해 관통 개구(23)의 가장자리(24)에 있는 제1 플러그인 섹션(25) 내에 삽입되고, 바람직하게는 그 이후에 센서 하우징(14)이 고정 수단(15)에 의해 개방형 프로파일부(5)의 벽부(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섀시 부품 제조 방법.
KR1020227040403A 2020-05-25 2021-04-21 섀시 부품 및 이러한 유형의 섀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KR202300153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206438.5 2020-05-25
DE102020206438.5A DE102020206438A1 (de) 2020-05-25 2020-05-25 Fahrwerkbautei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Fahrwerkbauteils
PCT/EP2021/060291 WO2021239336A1 (de) 2020-05-25 2021-04-21 Fahrwerkbautei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fahrwerkbautei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344A true KR20230015344A (ko) 2023-01-31

Family

ID=75728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0403A KR20230015344A (ko) 2020-05-25 2021-04-21 섀시 부품 및 이러한 유형의 섀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99213B2 (ko)
KR (1) KR20230015344A (ko)
CN (1) CN115666974A (ko)
DE (1) DE102020206438A1 (ko)
WO (1) WO20212393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17642A1 (de) * 2018-10-15 2020-04-16 Zf Friedrichshafen Ag Fahrwerkbauteil für eine Radaufhäng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werkbauteils
DE102021205621B3 (de) 2021-06-02 2022-09-29 Zf Friedrichshafen Ag Fahrwerkbauteil und mit einem Strukturteil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Fahrwerkbauteil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05354A1 (de) 2005-02-05 2006-08-10 Bosch Rexroth Aktiengesellschaft Kraftmessvorrichtung und Dehnungsmesselement
DE102007026702B4 (de) 2007-06-06 2014-04-17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Achskomponente
DE102014223654A1 (de) * 2014-11-20 2016-05-25 Zf Friedrichshafen Ag Mechanisches Bauteil mit einem Kraftsensor
DE102017211396A1 (de) * 2017-07-04 2019-01-10 Zf Friedrichshafen Ag Anordnung einer Winkelmesseinrichtung
DE102018216061A1 (de) 2018-09-20 2020-03-26 Zf Friedrichshafen Ag Fahrwerkbauteil,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werkbauteils sowie Radaufhängung
DE102018217641A1 (de) * 2018-10-15 2020-04-16 Zf Friedrichshafen Ag Fahrwerkbauteil für eine Radaufhäng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werkbauteils
DE102018217643A1 (de) * 2018-10-15 2020-04-16 Zf Friedrichshafen Ag Gelenk, Lenker für eine Radaufhängung sowie Verfahren zur Montage eines Gelenks
DE102019201521A1 (de) 2019-02-06 2020-08-06 Zf Friedrichshafen Ag Fahrwerkbauteil mit einer Messeinrichtung
DE102020208490A1 (de) * 2020-07-07 2022-01-13 Zf Friedrichshafen Ag Fahrwerkbauteil mit einem Gelenkinnente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9336A1 (de) 2021-12-02
DE102020206438A1 (de) 2021-11-25
EP4157652A1 (de) 2023-04-05
CN115666974A (zh) 2023-01-31
US11999213B2 (en) 2024-06-04
US20230173867A1 (en)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15344A (ko) 섀시 부품 및 이러한 유형의 섀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US20120210786A1 (en) Sensor Arrangement for a Vehicle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Producing such a Sensor Arrangement
CN106441377B (zh) 机动车辆底盘传感器
US20130341961A1 (en) Door frame of a motor vehicle door
CN112839832B (zh) 用于车轮悬架的连杆及装配接头的方法
US20220363100A1 (en) Suspension component with a measur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suspension component of this kind
KR102022233B1 (ko) 각 위치 센서
CN110831792B (zh) 角度测量装置的布置方式
US20170315004A1 (en) Torque Detector
EP2678640A1 (de) Sensoreinheit für ein fahrzeug
CN112867614B (zh) 车轮悬架的底盘构件和制造底盘构件的方法
CN112839831B (zh) 车轮悬架的底盘构件和制造底盘构件的方法
US7683609B2 (en) Method of producing a rotation detection sensor
US20160011011A1 (en) Rotation detector
US20110273854A1 (en) Magnetic Field Sensor
CN107560532B (zh) 行程传感器以及骑乘型车辆
CN115398184A (zh) 用于旋转电机的定子单元的转子位置测量设备
CN106891850B (zh) 安全带带扣组件及座椅总成
US20140102225A1 (en) Sensor device
JP3366102B2 (ja) 磁気式回転位置検出器
US11828623B2 (en) Steering apparatus
KR200404625Y1 (ko) 자동차용 스피드 센서
WO2018003651A1 (ja) ストロークセンサ
CN113924232B (zh) 用于商用车的车轮转数传感器
KR101773757B1 (ko) 차량 시트를 장착하기 위한 방법 및 부착 요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