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586B1 -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586B1
KR102653586B1 KR1020237004748A KR20237004748A KR102653586B1 KR 102653586 B1 KR102653586 B1 KR 102653586B1 KR 1020237004748 A KR1020237004748 A KR 1020237004748A KR 20237004748 A KR20237004748 A KR 20237004748A KR 102653586 B1 KR102653586 B1 KR 102653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ngine
cell motor
cell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4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5646A (ko
Inventor
아키히로 이시야마
히로유키 나리타
겐타로 마키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코 메이키 엔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코 메이키 엔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코 메이키 엔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35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62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al power supply means, e.g. batt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7Details of the switching means in starting circuits, e.g. relays or electronic swi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는,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셀 모터 급전 단자와 셀 모터 사이에 접점이 마련되며, 제어 ECU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셀 모터 급전 단자와 셀 모터 사이에 마련된 접점을 폐쇄 작동하는 셀 모터 릴레이와, 배터리 셀과 셀 모터 급전 단자 사이에 접점이 마련되며, 제어 ECU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배터리 셀과 셀 모터 급전 단자 사이에 마련된 접점을 폐쇄 작동하는 배터리 보호 릴레이를 구비하고, 제어 ECU는 엔진 스위치가 온이 되었을 때의 배터리 전압이 미리 정해진 소정값을 상회하는 경우에,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의 시동 조작에 의해, 배터리 보호 릴레이에 접점의 폐쇄 작동을 지시하는 동시에, 셀 모터 릴레이에 접점의 폐쇄 작동을 지시한다.

Description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
본 개시는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0년 12월 25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 2020-216466 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특허문헌 1에는, 소형 엔진 시동 장치의 소형 전동 모터 구동용 배터리 팩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배터리 팩 내에는, 적어도 2개의 셀로 이루어지는 리튬계 2차 전지와, 동일 전지에 접속된, 자기 방전 방지 회로, 과전류 방지 회로 외에, 과충전 방지 회로, 과방전 억제 회로, 스타트 스위치용 릴레이 회로 등의 전자 회로로 이루어지는 보호 회로가 내장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엔진 스위치용 릴레이 회로는 트랜지스터 회로에 의해 구성되며, 시동 스위치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은, 트랜지스터는 저항이 무한대가 되어 회로에 전류는 흐르지 않으며, 시동 스위치를 온으로 하면, 배터리(리튬 이온계 2차 전지)로부터 방전되는 전류는 트랜지스터를 거쳐서 전동 모터측의 대전류와 방전 억제 회로측의 미소 전류로 나누어져 도통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6-258090 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문헌 1이 나타내는 종래의 구성에서는, 리튬계 2차 전지가 열화 상태에 있는 경우에, 리튬계 2차 전지에 배터리를 병렬로 연결하여 엔진을 시동(점핑 스타트)하려고 하면, 리튬계 2차 전지에 과전류가 흘러, 리튬계 2차 전지(리튬 이온 배터리)가 발화·폭발할 우려가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열화 상태에 있는 엔진 시동용 배터리에 점핑 스타트용 배터리를 병렬로 연결하여 엔진을 시동하려고 하여도,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발화·폭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에 따른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는,
엔진을 크랭킹시키는 셀 모터의 전원이 되는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에 있어서,
엔진 스위치 및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엔진 시동용 배터리를 구성하는 배터리 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ECU와,
상기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셀 모터 급전 단자와 상기 셀 모터 사이에 접점이 마련되며, 상기 제어 ECU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상기 셀 모터 급전 단자와 상기 셀 모터 사이에 마련된 접점을 폐쇄 작동하는 셀 모터 릴레이와,
상기 배터리 셀과 상기 셀 모터 급전 단자 사이에 접점이 마련되며, 상기 제어 ECU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상기 배터리 셀과 상기 셀 모터 급전 단자 사이에 마련된 접점을 폐쇄 작동하는 배터리 보호 릴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ECU는, 상기 엔진 스위치가 온이 되었을 때의 배터리 전압이 미리 정해진 소정값을 상회하는 경우에, 상기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의 시동 조작에 의해, 상기 배터리 보호 릴레이에 접점의 폐쇄 작동을 지시하는 동시에, 상기 셀 모터 릴레이에 접점의 폐쇄 작동을 지시한다.
본 개시의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에 의하면, 엔진 스위치가 온이 되었을 때의 배터리 전압이 미리 정해진 소정값 이하의 경우에, 엔진 시동용 배터리에 점핑 스타트용 배터리를 병렬로 연결하여도, 점핑 스타트용 배터리의 과전류가 엔진 시동용 배터리에 흐르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열화 상태에 있는 엔진 스타트용 배터리에 점핑 스타트용 배터리를 병렬로 연결하여 엔진을 시동하려고 하여도,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발화·폭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가 채용된 엔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엔진의 제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엔진에 탑재되는 배터리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배터리 유닛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배터리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배터리 유닛의 제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의 탑재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회로도이며, 점핑 스타트용 배터리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단, 실시형태로서 기재되어 있는 또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것으로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가 채용된 엔진(1)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엔진(1)의 제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는, 엔진(1) 또는 엔진(1)이 탑재된 작업 기계(도시하지 않음)에 탑재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서는, 엔진(1)에 탑재된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엔진(1)이 탑재된 작업 기계에 채용된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도 포함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은 단기통 또는 2기통으로 배기량이 80cc 내지 800cc 클래스의 공냉의 가솔린 엔진이며, 예를 들면 이양기, 관리기, 경운기, 펌프, 발전기 등의 작업 기계에 탑재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은 리코일 스타터(12) 외에 셀 모터(3)(도 2 참조)를 구비한다. 리코일 스타터(12)는, 엔진(1)을 시동하려고 하는 사람이 스타터 그립(121)을 잡고 풀리에 감긴 로프를 당기는 것에 의해 엔진(1)의 크랭크 샤프트에 회전을 부여하여, 엔진(1)을 시동하는 장치이다. 셀 모터(3)는 리코일 스타터(12)를 대신하여 엔진(1)의 크랭크 샤프트에 회전을 부여하는 모터이며,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가 탑재되는 엔진(1)에서는 배터리 유닛(6)(도 2 참조)이 셀 모터(3)를 포함하는 보조 기계류의 전기 공급원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은, 엔진 스위치(21) 및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를 구비한다. 엔진 스위치(21)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에서는 엔진(1)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 스위치(21)는, 예를 들면 로커 스위치(시소 스위치라고도 함)로 구성되며, 엔진(1)을 시동할 때에 온이 되고, 엔진(1)의 운전을 정지할 때에 오프가 된다.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는 엔진(1)을 시동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에서는 엔진(1)의 측면에 엔진 스위치(21)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는, 예를 들면 모멘터리 푸쉬 스위치로 구성되며, 셀 모터(3)에 의해 엔진(1)을 시동할 때에 압하 조작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은, 추가로 외부 기기용의 스위치(23)를 구비한다. 외부 기기용의 스위치(23)는, 예를 들면 초크 전환 스위치(231)이며,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에서는 엔진(1)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초크 전환 스위치(231)는, 예를 들면 로커 스위치로 구성되며, 오토 초크/메뉴얼 초크의 전환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은, 또한 셀 모터 릴레이(4) 외에 차지 코일(13) 및 점화 코일(15)을 구비한다. 셀 모터 릴레이(4)는 배터리 유닛(6)과 셀 모터(3) 사이에 마련된 접점(41)을 개폐하는 릴레이(마그네틱 릴레이 스위치)이며, 접점(41)이 폐쇄된 경우에 배터리 유닛(6)으로부터 셀 모터(3)에 전기가 공급된다. 차지 코일(13)은 플라이 휠의 내측에 마련되며, 플라이 휠의 회전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용의 코일이며, 차지 코일(13)에서 발전된 전기는 레귤레이터(14)를 거쳐서 배터리 유닛(6)에 공급되고 충전된다. 차지 코일(13)은 엔진(1)이 회전하고 있을 때, 반드시 발전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배터리 유닛(6)에 있어서, 발전의 유무를 감시하는 것에 의해, 엔진(1)의 운전 상태를 파악하는 기능을 갖게 하여도 좋다. 이 기능에 의해, 엔진(1)의 시동을 안전하게 실행하는 등이 가능해진다. 점화 코일(15)은 플라이 휠의 외측에 마련되며, 플라이 휠의 회전에 의해 점화 코일(15)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고 전압의 전기로 변환하는 발전기·변압기 일체 장치이며, 점화 코일(15)에서 변환된 고 전압의 전기는 점화 플러그(16)에서 방전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셀 모터(3)를 포함하는 보조 기계류의 전기 공급원이며, 엔진(1)의 시동시에 셀 모터(3)에 전기를 공급하는 한편, 엔진(1)(차지 코일(13))에서 발전된 전기를 충전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엔진(1)에 탑재되는 배터리 유닛(6)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배터리 유닛(6)의 좌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배터리 유닛(6)의 우측 측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배터리 유닛(6)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은 가로로 긴 대략 직방체형상이며,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부(6a)를 갖는다. 배터리 유닛(6)은, 예를 들면 돌기부(6a)를 제외하면, 길이 220㎜, 높이 75㎜, 폭 45㎜의 대략 직방체형상이며, 그 중량은 800g 이하로 억제되어 휴대성이 뛰어나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은 배터리 팩(61) 및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도 6 참조)를 구비하고, 이들은 가로로 긴 대략 직방체형상이며,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부(62a)를 갖는 하우징(62)에 수용되어 있다.
배터리 팩(61)은, 예를 들면 리튬 이온 배터리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에서는, 배터리 팩(61)은, 1개 또는 2개 이상의 배터리 셀(611)로 구성된다. 배터리 셀(611)의 단체 전압은 3.0V 내지 4.2V이며, 총 용량은 배터리 유닛(6)으로서 휴대성이 확보되는 6000mAH 내지 20000mAH이며,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에서는, 예를 들면 4개의 배터리 셀(611)로 구성된다.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는, 배터리 팩(61)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ECU(Electronic Control Unit)(71)로 구성된다. 제어 ECU(71)는, 예를 들면 제어 장치 및 연산 장치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ROM(Read Only Memory)이나 RAM(Random Acsess Memory) 등의 메모리가 탑재된 제어 기판으로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1)의 시동 제어 장치(7)에서는, 제어 ECU(71)에 있어서, 배터리 팩(61)의 온도(배터리 온도), 배터리 팩(61)의 전압(전체 전압) 및 배터리 셀마다의 전압(셀 전압)이 관리된다. 또한, 제어 ECU(71)에는 배터리 셀(611)마다 보호 회로(711)에 의해, 배터리 셀(611)의 과방전으로부터 배터리 셀(611)을 보호하고 있다. 보호 회로(711)는, 예를 들면 보호 IC(집적 회로)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에서는, 배터리 유닛(6)에 배선 커플러(63)가 접속된다. 배선 커플러(63)에는, 쌍이 되는 배선 커플러(24)(도 2 참조)가 착탈 가능하며, 쌍이 되는 배선 커플러(24)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배터리 유닛(6)과 배터리 유닛(6)의 외부에 마련된 입출력 기기가 접속된다. 배터리 유닛(6)의 외부에 마련된 입출력 기기는, 예를 들면 상술한 엔진 스위치(21)나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 셀 모터 릴레이(4) 등이며, 컨트롤 하네스(25)에 포함되는 2개 이상의 와이어 하네스를 거쳐서 상술한 쌍이 되는 배선 커플러(24)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술한 배선 커플러(63)에 당해 배선 커플러(63)와 쌍이 되는 배선 커플러(24)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엔진 스위치(21)나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 셀 모터 릴레이(4) 등의 복수의 입출력 기기가 배터리 유닛(6)에 한번에 접속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에서는, 엔진 충전 입력 단자(712), 전원 검지 단자(713), 엔진 시동 조작 검지 단자(714), 셀 모터 릴레이 제어 단자(715), 외부 기기 출력 단자(716) 및 상시 전압 출력 단자(717)가 배터리 유닛(6)에 마련된다. 엔진 충전 입력 단자(712), 전원 검지 단자(713), 엔진 시동 조작 검지 단자(714), 셀 모터 릴레이 제어 단자(715) 및 외부 기기 출력 단자(716)는 제어 ECU(71)에 접속되며, 이들 단자로부터의 충방전 전류는 제어 ECU(71)에서 관리된다. 상시 전압 출력 단자(717)는 배터리 팩(61)에 직접 접속되며, 상시 전압 출력 단자(717)에는 배터리 팩(61)의 배터리 전압(전체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이들 단자가 각각 접속된 배선 커플러(63)가 하우징(62)의 방수/방진 구조가 채용된 돌기부(62a)(도 3 참조)에 설치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 유닛(6)에 접속되는 입출력 기기는, 차지 코일(13)에 접속된 레귤레이터(14), 엔진 스위치(21),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 셀 모터 릴레이(4), 밸브 컨트롤 유닛(51) 및 초크 밸브(52) 등의 외부 기기(5), 및 엔진 스위치(21)(배터리 전압 상시 인가)이며, 이들은 엔진 충전 입력선(251), 엔진 스위치 조작 검지선(252), 엔진 시동 조작 검지선(253), 셀 모터 릴레이 제어선(254), 밸브 기기 출력선(255) 및 배터리 전압 상시 인가선(256)을 거쳐서 각각 쌍이 되는 배선 커플러(24)에 접속된다.
그리고,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에서는, 차지 코일(13)에 접속된 레귤레이터(14)로부터 엔진 충전 입력선(251)을 통하여 제어 ECU(71)에 전기가 공급되며, 제어 ECU(71)는 배터리 팩(61)의 온도 및 전압, 및 배터리 셀(611)마다의 전압을 관리하면서 배터리 셀(611)에 균등하게 전기가 충전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에서는, 배터리 유닛(6)의 하우징(62)에 셀 모터 급전 단자(64)가 마련되어 있다. 셀 모터 급전 단자(64)는, 배터리 팩(61)으로부터 셀 모터(3)(셀 모터 릴레이(4))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제 1 전력선)(641)의 착탈이 가능한 단자이며, 예를 들면 배터리 유닛(6)의 하우징(62)의 좌측면에 설치되고(도 5 참조), 고무제의 커버에 의해 방수/방진 대책이 실시되어 있다.
셀 모터 급전 단자(64)와 셀 모터 릴레이(4)를 연결하는 전력선(641)에는 휴즈(642)가 마련되어 있다. 휴즈(642)는 배터리 팩(61)의 과방전에 의해 전력선(641)에 정격 이상의 과전류가 흐른 경우에, 용단되는 것에 의해, 셀 모터 릴레이(4) 및 셀 모터(3)를 보호한다. 이에 의해, 휴즈(642)가 과전류에 의해 용단되여도 전력선(641)을 교환하는 것에 의해, 셀 모터 릴레이(4) 및 셀 모터(3)를 간단히 복구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 모터 급전 단자(64)와 배터리 팩(61) 사이에는 배터리 보호 릴레이(65)가 마련되어 있다. 배터리 보호 릴레이(65)는, 배터리 팩(61)과 셀 모터 급전 단자(64) 사이에 접점이 마련되며, 제어 ECU(71)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배터리 팩(61)과 셀 모터 급전 단자(64) 사이에 마련된 접점이 폐쇄 작동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에서는, 배터리 유닛(6)의 하우징(62)에 외부 충전 입력 단자(66)가 마련된다. 외부 충전 입력 단자(66)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배터리 유닛(6)에 충전용의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제 2 전력선)(도시하지 않음)의 착탈이 가능한 단자이며, 예를 들면 배터리 유닛(6)의 하우징(62)의 우측면에 설치되며(도 4 참조), 고무제의 커버에 의해 방수/방진 대책이 실시되어 있다.
외부 전원은, 예를 들면 가정용 전원이나 자동차의 배터리이다. 예를 들면, 외부 전원이 가정용 전원의 경우에는 전용의 충전기의 전력선이 외부 충전 입력 단자(66)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가정용 전원으로부터 외부 충전 입력 단자(66)에 충전용의 전기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제어 ECU(71)가 대기 상태로부터 기동하고, 배터리 팩(61)의 온도 및 전압, 및 배터리 셀(611)마다의 전압을 관리하면서 배터리 셀(611)에 균등하게 전기가 충전된다. 또한, 예를 들면 외부 전원이 자동차의 배터리의 경우에는 자동차의 시가 소켓에 접속된 전력선이 외부 충전 입력 단자(66)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자동차의 배터리로부터 외부 충전 입력 단자(66)에 충전용의 전기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제어 ECU(71)가 대기 상태로부터 기동되고, 배터리 팩(61)의 온도 및 전압, 및 배터리 셀(611)마다의 전압을 관리하면서 배터리 셀(611)에 균등하게 전기가 충전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에서는, 외부 충전 입력 단자(66)는 제어 ECU(71)에 접속되며, 외부 충전 입력 단자(66)에 공급된 충전용의 전기는 제어 ECU(71)로 충전 제어되며, 배터리 팩(61)을 구성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배터리 셀(611)이 균등하게 충전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에서는, 제어 ECU(71)에 충전 출력 단자(67)가 접속된다. 충전 출력 단자(67)는, 휴대 기기에 마련된 충전 입력 단자의 착탈이 가능한 단자이며, 휴대 기기에 마련된 충전 입력 단자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배터리 유닛(6)의 내부에 마련된 제어 ECU(71)와 하우징 외부에 마련된 휴대 기기가 접속되며, 제어 ECU(71)를 거쳐서 배터리 팩(61)으로부터 휴대 기기에 전기가 공급된다. 휴대 기기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등의 휴대전화이며, 충전 출력 단자(67)는, 예를 들면 USB 출력 단자(671)이며, TYPE A, B 또는 C 중 어느 하나의 메스 단자이며, 최대 2A의 출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이용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에서는, 충전 출력 단자(67)는, 배터리 유닛(6)의 하우징(62)에 마련된 돌기부(62a)로부터 배터리 유닛(6)의 외부에 연장되도록 마련되며, 방수/방진 대책이 실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에서는, 배터리 유닛(6)의 하우징 전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인디케이터(68)와, 충전 잔량 확인 버튼(69)을 구비하고 있다. 1개 또는 2개 이상의 인디케이터(68)와 충전 잔량 확인 버튼(69)은 제어 ECU(71)에 접속되어 있다. 1개 또는 2개 이상의 인디케이터(68)는, 예를 들면 잔충전량 표시등 및 제어 ECU(71) 상태 표시등을 구성한다.
잔충전량 표시등은, 예를 들면 3개 내지 5개의 LED 램프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3개 내지 5개의 LED 램프는, 2개 내지 4개의 동색계의 LED 램프와 1개가 상이한 색의 LED 램프로 구성되며, 배터리 팩(61)의 잔충전량이 줄어듬에 따라서 동색계의 LED 램프의 점등수가 줄어듬에 따라서, 최후에 상이한 색의 LED 램프가 점등되도록 제어되며, 제어 ECU(71)가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충전 잔량 확인 버튼(69)이 압하된 경우에, 제어 ECU(71)가 대기 상태로부터 기동되며, 1개 또는 2개 이상의 인디케이터(68)에 그 때의 배터리 팩(61)의 충전 잔량을 표시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제어 ECU(71) 상태 표시등은, 1개 내지 3개가 상이한 색의 LED 램프로 구성되며, 제어 ECU(71) 상태에 기초하여 임의의 LED 램프를 점등하도록 제어된다. 예를 들면, 엔진 스위치(21)가 온이 되고, 엔진(1)의 시동 조작이 가능한 상태의 경우에는 시동 조작 가능을 통지하는 LED 램프가 점등되고, 엔진(1)의 시동 후는 엔진(1)이 운전 중인 것을 통지하는 LED 램프가 점등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의 탑재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커버(9)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의 탑재 구조에서는, 배터리 유닛(6)은 엔진(1)의 측면에 탑재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엔진(1)이 탑재된 작업 기계의 임의의 위치에 탑재되는 것이 포함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가 채용되는 엔진(1)에 탑재되는 배터리 유닛(6)의 탑재 구조는, 상술한 배터리 유닛(6) 외에, 케이스(8) 및 커버(9)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8)는 엔진(1) 또는 엔진(1)이 탑재된 작업 기계에 장착된다. 케이스(8)는, 예를 들면 엔진(1)의 전면에 장착된다. 케이스(8)는 전면이 개구된 상자형상이며, 배터리 유닛(6)이 수용된다. 케이스(8)는, 예를 들면 전면이 개구된 가로로 긴 대략 직방체형상의 상자형상이며, 그 하방역(下方域)에 배터리 유닛(6)이 수용되는 수용 영역이 마련되며, 그 상방역(上方域)에 배선 커플러(24, 63)의 접속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수용 영역은 배터리 유닛(6)의 체적보다 약간 큰 용적을 가지며, 배터리 유닛(6)은 수용 영역에 끼워지도록 수용된다. 접속 공간은 배선 커플러(63)와 당해 배선 커플러(63)와 쌍이 되는 배선 커플러(24)를 접속하는데 충분한 용적을 가지며, 접속 공간의 우측에는 상술한 엔진 스위치(21) 및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가 설치되며, 접속 공간의 좌측에는 상술한 외부 기기용의 스위치(23), 예를 들면 초크 전환 스위치(231)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9)는 케이스(8)에 장착되며 배터리 유닛(6)이 수용된 케이스(8)의 개구를 폐색한다. 커버(9)는, 예를 들면 후면이 개구된 상자형상이며, 배터리 유닛(6)이 수용된 케이스(8)와 조립되어 케이스(8)의 전면 개구를 폐색한다. 커버(9)는, 예를 들면 케이스(8)보다 케이스(8)의 길이방향으로 한 사이즈 크고, 케이스(8)의 우측 영역에 배터리 유닛(6)(셀 모터 급전 단자(64))과 셀 모터 릴레이(4)를 접속하는 전력선(641)(도 2 참조)의 배선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커버(9)는, 예를 들면 상술한 엔진 스위치(21) 및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에 대응하는 영역이 노치되어 있으며, 커버(9)를 케이스(8)에 장착한 상태에서 엔진 스위치(21) 및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가 커버(9)의 외부에 노출된다. 또한, 커버(9)는, 예를 들면 외부 기기용의 스위치(23)에 대응하는 영역에 직사각형의 창(9a)이 마련되어 있으며, 커버(9)를 케이스(8)에 장착한 상태로 외부 기기용의 스위치(23)가 커버(9)의 외부에 노출된다.
또한, 커버(9)는, 예를 들면 1개 또는 2개 이상의 인디케이터(68)와 충전 잔량 확인 버튼(69)에 대응하는 영역에 직사각형의 창(9b)이 마련되어 있으며, 커버(9)를 케이스(8)에 장착한 상태에서 1개 또는 2개 이상의 인디케이터(68)와 충전 잔량 확인 버튼(69)이 커버(9)의 외부에 노출된다.
또한, 커버(9)는 길이방향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으며, 당해 관통 구멍을 삽통한 볼트(91)가 케이스(8)에 마련된 나사 구멍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케이스(8)에 커버(9)가 장착된다. 관통 구멍을 삽통한 볼트(91)는, 예를 들면 코인이 끼워지는 슬롯 홈이 마련된 볼트 또는 나비 볼트가 채용되어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터리 유닛(6)의 탑재 구조에서는, 상술한 배터리 유닛(6)은, 커버(9)에 대향하는 전면에 완충재(6b)가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엔진(1)이나 작업 기계로부터 배터리 유닛(6)에 전달되는 진동을 억제해, 배터리 유닛(6)을 보호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회로도이며, 점핑 스타트용 배터리(BT)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는, 엔진(1)을 크랭킹시키는 셀 모터(3)의 전원이 되는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이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 시동용 배터리는, 배터리 유닛(6)이 구비하는 배터리 팩(61)이며,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는 제어 ECU(71), 셀 모터 릴레이(4) 및 배터리 보호 릴레이(65)에 의해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에서는, 제어 ECU(71)는, 엔진 스위치(21)가 온이 되었을 때의 배터리 전압(배터리 팩(61)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소정값을 상회하는 경우에,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의 시동 조작에 의해, 배터리 보호 릴레이(65)에 접점의 폐쇄 작동을 지시하는 동시에, 셀 모터 릴레이(4)에 접점(41)의 폐쇄 작동을 지시한다. 미리 정해진 소정값은, 예를 들면 셀 모터(3)에 의해 엔진(1)의 크랭킹을 실행하게 할 수 없는 전압값이다.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에 의하면, 엔진 스위치(21)가 온이 되었을 때의 배터리 전압이 미리 정해진 소정값 이하의 경우에, 배터리 팩(61)에 점핑 스타트용의 배터리(BT)를 병렬로 연결하여도, 점핑 스타트용 배터리(BT)의 과전류가 배터리 팩(61)에 흐르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열화 상태에 있는 배터리 팩(61)에 점핑 스타트용 배터리(BT)를 병렬로 연결하여 시동하려고 해도 배터리 팩(61)의 발화·폭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에서는, 제어 ECU(71)는, 배터리 보호 릴레이(65)에 접점의 폐쇄 작동을 지시한 후, 미리 정해진 작동 지연 시간의 경과 후에, 셀 모터 릴레이(4)에 접점(41)의 폐쇄 작동을 지시한다. 미리 정해진 작동 지연 시간은, 예를 들면 0.1초 내지 1초의 사이에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에 의하면, 배터리 보호 릴레이(65)의 접점의 폐쇄 작동과 셀 모터 릴레이(4)의 접점(41)의 폐쇄 작동이 동시에 실행된 경우와 같은 셀 모터(3)로의 돌입 전류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엔진(1)의 시동성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보호 릴레이(65)와 셀 모터 릴레이(4) 사이에 마련되는 전력선 상에 정격 전류를 초과하는 과전류에 의해 용단되는 휴즈(642)를 더 구비한다.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에 의하면, 배터리 보호 릴레이(65)의 접점이 폐쇄된 상태로 고착된 상태에서, 배터리 팩(61)에 점핑 스타트용 배터리(BT)를 병렬로 연결하여도, 점핑 스타트용의 배터리로부터 흐르는 과전류에 의해 휴즈(642)가 용단되므로, 점핑 스타트용 배터리(BT)의 과전류가 배터리 팩(61)에 장시간에 걸쳐서 흐르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비록 배터리 보호 릴레이(65)의 접점이 폐쇄 상태로 고착되어 있어도, 열화 상태에 있는 배터리 팩(61)에 점핑 스타트용 배터리(BT)를 병렬로 연결하여 엔진(1)을 시동하려고 하여도 배터리 팩(61)의 발화·폭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일은 없으며, 상술한 실시형태에 변형을 더한 형태나, 이러한 형태를 적절히 조합한 형태도 포함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기재된 내용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
[1]의 태양에 따른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는,
엔진(1)을 크랭킹시키는 셀 모터(3)의 전원이 되는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에 있어서,
엔진 스위치(21) 및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엔진 시동용 배터리(배터리 팩(61))를 구성하는 배터리 셀(611)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ECU(71)와,
상기 엔진 시동용 배터리(배터리 팩(61))의 셀 모터 급전 단자(64)와 상기 셀 모터(3) 사이에 접점(41)이 마련되며, 상기 제어 ECU(71)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상기 셀 모터 급전 단자(64)와 상기 셀 모터(3) 사이에 마련된 접점(41)을 폐쇄 작동하는 셀 모터 릴레이(4)와,
상기 배터리 셀(611)과 상기 셀 모터 급전 단자(64) 사이에 접점이 마련되며, 상기 제어 ECU(71)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상기 배터리 셀(611)과 상기 셀 모터 급전 단자(64) 사이에 마련된 접점을 폐쇄 작동하는 배터리 보호 릴레이(65)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ECU(71)는, 상기 엔진 스위치(21)가 온이 되었을 때의 배터리 전압이 미리 정해진 소정값을 상회하는 경우에, 상기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22)의 시동 조작에 의해, 상기 배터리 보호 릴레이(65)에 접점의 폐쇄 작동을 지시하는 동시에, 상기 셀 모터 릴레이(4)에 접점(41)의 폐쇄 작동을 지시한다.
본 개시에 따른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에 의하면, 엔진 스위치(21)가 온이 되었을 때의 배터리 전압이 미리 정해진 소정값 이하의 경우에, 엔진 시동용 배터리(배터리 팩(61))에 점핑 스타트용 배터리(BT)를 병렬로 연결하여도, 점핑 스타트용 배터리(BT)의 과전류가 엔진 시동용 배터리(배터리 팩(61))에 흐르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열화 상태에 있는 엔진 시동용 배터리(배터리 팩(61))에 점핑 스타트용 배터리(BT)를 병렬로 연결하여 엔진(1)을 시동하려고 하여도 엔진 시동용 배터리(배터리 팩(61))의 발화·폭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2] 다른 태양에 따른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는, [1]에 기재된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ECU(71)는, 상기 배터리 보호 릴레이(65)에 접점의 폐쇄 작동을 지시한 후, 미리 정해진 작동 지연 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셀 모터 릴레이(4)에 접점(41)의 폐쇄 작동을 지시한다.
또한, 셀 모터 릴레이(4)의 통전 시간을 어떠한 경우여도 미리 정한 최대 시간(예를 들면, 5초) 이하로 하는 제어와 조합하는 것에 의해, 엔진 시동용 배터리(배터리 팩)의 과방전 등에 의한 발열, 발화의 리스크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배터리 보호 릴레이(65)의 접점의 폐쇄 작동과 셀 모터 릴레이(4)의 접점(41)의 폐쇄 작동이 동시에 실행된 경우와 같은 셀 모터(3)로의 돌입 전류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엔진(1)의 시동성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3] 다른 태양에 따른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보호 릴레이(65)와 상기 셀 모터 릴레이(4) 사이에 마련되는 전력선 상에 정격 전류를 초과하는 과전류에 의해 용단되는 휴즈(642)를 더 구비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배터리 보호 릴레이(65)의 접점이 폐쇄 상태로 고착된 상태에서, 엔진 시동용 배터리(배터리 팩(61))에 점핑 스타트용 배터리(BT)를 병렬로 연결하여도, 점핑 스타트용 배터리(BT)로부터 흐르는 과전류에 의해 휴즈(642)가 용단되므로, 점핑 스타트용 배터리(BT)의 과전류가 엔진 스타트용 배터리(배터리 팩(61))에 장시간에 걸쳐서 흐르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배터리 보호 릴레이(65)의 접점이 폐쇄된 상태로 고착되어 있어도, 열화 상태에 있는 엔진 시동용 배터리(배터리 팩(61))에 점핑 스타트용 배터리(BT)를 병렬로 연결해 엔진(1)을 시동하려고 해도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발화·폭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1: 엔진 12: 리코일 스타터
121: 스타터 그립 13: 차지 코일
14: 레귤레이터 15: 점화 코일
16: 점화 플러그 21: 엔진 스위치
22: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 23: 외부 기기용의 스위치
231: 초크 전환 스위치 24: 배선 커플러
25: 컨트롤 하네스 251: 엔진 충전 입력선
252: 엔진 스위치 조작 검지선 253: 엔진 시동 조작 검지선
254: 셀 모터 릴레이 제어선 255: 밸브 기기 출력선
256: 배터리 전압 상시 인가선 3: 셀 모터
4: 셀 모터 릴레이 41: 접점
5: 외부 기기 51: 밸브 컨트롤 유닛
52: 초크 밸브 6: 배터리 유닛
6a: 돌기부 6b: 완충재
61: 배터리 팩 611: 배터리 셀
62: 하우징 62a: 돌기부
63: 배선 커플러 64: 셀 모터 급전 단자
641: 전력선(제 1 전력선) 65: 배터리 보호 릴레이
66: 외부 충전 입력 단자 67: 충전 출력 단자
671: USB 출력 단자 68: 인디케이터
69: 충전 잔량 확인 버튼 7: 시동 제어 장치
71: 제어 ECU 711: 보호 회로
712: 엔진 충전 입력 단자 713: 전원 검지 단자
714: 엔진 시동 조작 검지 단자 715: 셀 모터 릴레이 제어 단자
716: 외부 기기 출력 단자 717: 상시 전압 출력 단자
8: 케이스 9: 커버
9a, 9b: 창 91: 볼트
BT: 점핑 스타트용 배터리

Claims (3)

  1. 엔진을 크랭킹시키는 셀 모터의 전원이 되는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에 있어서,
    엔진 스위치 및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엔진 시동용 배터리를 구성하는 배터리 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ECU와,
    상기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셀 모터 급전 단자와 상기 셀 모터 사이에 접점이 마련되며, 상기 제어 ECU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상기 셀 모터 급전 단자와 상기 셀 모터 사이에 마련된 접점을 폐쇄 작동하는 셀 모터 릴레이와,
    상기 배터리 셀과 상기 셀 모터 급전 단자 사이에 접점이 마련되며, 상기 제어 ECU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상기 배터리 셀과 상기 셀 모터 급전 단자 사이에 마련된 접점을 폐쇄 작동하는 배터리 보호 릴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ECU는, 상기 엔진 스위치가 온이 되었을 때의 배터리 전압이 미리 정해진 소정값을 상회하는 경우에, 상기 엔진 시동 조작 스위치의 시동 조작에 의해, 상기 배터리 보호 릴레이에 접점의 폐쇄 작동을 지시하는 동시에, 상기 셀 모터 릴레이에 접점의 폐쇄 작동을 지시하는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ECU는, 상기 배터리 보호 릴레이에 접점의 폐쇄 작동을 지시한 후, 미리 정해진 작동 지연 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셀 모터 릴레이에 접점의 폐쇄 작동을 지시하는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보호 릴레이와 상기 셀 모터 릴레이 사이에 마련되는 전력선 상에 정격 전류를 초과하는 과전류에 의해 용단되는 휴즈를 더 구비한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
KR1020237004748A 2020-12-25 2021-12-16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 KR102653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216466 2020-12-25
JP2020216466A JP7444768B2 (ja) 2020-12-25 2020-12-25 エンジン始動用バッテリーの保護装置
PCT/JP2021/046414 WO2022138414A1 (ja) 2020-12-25 2021-12-16 エンジン始動用バッテリーの保護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646A KR20230035646A (ko) 2023-03-14
KR102653586B1 true KR102653586B1 (ko) 2024-04-01

Family

ID=82159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748A KR102653586B1 (ko) 2020-12-25 2021-12-16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444768B2 (ko)
KR (1) KR102653586B1 (ko)
WO (1) WO2022138414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5138A (ja) 2000-12-25 2002-07-10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エンジンの始動方法および装置
US20170338678A1 (en) 2016-05-20 2017-11-23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electrical power system for jumpstarting
JP2019036507A (ja) 2017-08-22 2019-03-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パック
JP2019041486A (ja) 2017-08-25 2019-03-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パック
JP2020067054A (ja) 2018-10-26 2020-04-30 三菱重工メイキエンジン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装置およびバッテリ
JP2020114079A (ja) 2019-01-09 2020-07-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充電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039A (ko) * 1997-07-26 1999-02-25 양재신 자동차의 시동 제한장치
JP4549258B2 (ja) 2004-10-08 2010-09-22 ハスクバーナ・ゼノア株式会社 小型エンジン始動装置の電動モーター駆動用バッテリーパック、同パックにより駆動されるエンジン始動装置及び同始動装置を搭載した手作業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5138A (ja) 2000-12-25 2002-07-10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エンジンの始動方法および装置
US20170338678A1 (en) 2016-05-20 2017-11-23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electrical power system for jumpstarting
JP2019036507A (ja) 2017-08-22 2019-03-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パック
JP2019041486A (ja) 2017-08-25 2019-03-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パック
JP2020067054A (ja) 2018-10-26 2020-04-30 三菱重工メイキエンジン株式会社 エンジン始動装置およびバッテリ
JP2020114079A (ja) 2019-01-09 2020-07-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充電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44768B2 (ja) 2024-03-06
JP2022102011A (ja) 2022-07-07
KR20230035646A (ko) 2023-03-14
WO2022138414A1 (ja)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7865B2 (en) Method for detecting a discharge condition fault in an electrical system of a vehicle or piece of machinery
US7525287B2 (en) Battery pack for driving electric motor of compact engine starting device, engine starting device driven by the battery pack, and manual working machine having the engine starting device
US4004208A (en) Starting aid and reserve light for vehicles
JP3102496U (ja) 二次電池回路装置
KR102653586B1 (ko)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
KR102661183B1 (ko) 엔진의 시동 제어 장치
WO2022138408A1 (ja) エンジンの始動制御装置
WO2022138412A1 (ja) エンジン始動用バッテリーの保護制御装置
KR102653585B1 (ko) 엔진의 시동 제어 장치
JP7482770B2 (ja) エンジンの始動制御装置
WO2022138424A1 (ja) エンジンの始動制御装置
KR20230035649A (ko) 배터리 유닛의 탑재 구조 및 배터리 유닛
JP2017188972A (ja) ジャンプスタータ、及びジャンプスタータの充電方法
CN217691574U (zh) 一种动力电池镇流保护器
JP6727908B2 (ja) 電源装置および車両
KR200178370Y1 (ko) 자동차의 전원 공급장치
RU20475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аккумуляторной батареи тепловоза от токов короткого замыкания
KR20060062368A (ko) 하이브리드 이차 전지
KR19980047679U (ko) 배터리 과충전 방지장치
JP2002027676A (ja) 充電式電動リール用バッテリー装置
GB2039390A (en) Voltage regulation
JPH03277138A (ja) バッテリ用充放電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