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756B1 -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756B1
KR102646756B1 KR1020190102779A KR20190102779A KR102646756B1 KR 102646756 B1 KR102646756 B1 KR 102646756B1 KR 1020190102779 A KR1020190102779 A KR 1020190102779A KR 20190102779 A KR20190102779 A KR 20190102779A KR 102646756 B1 KR102646756 B1 KR 102646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signal
power supply
supply device
sta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3089A (ko
Inventor
박종규
유한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Priority to KR102019010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756B1/ko
Priority to PCT/KR2020/010058 priority patent/WO2021033947A1/ko
Publication of KR20210023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089A/ko
Priority to US17/572,406 priority patent/US2022013139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1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with introduction of pulses during the charging proce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6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ICE-powered 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차량 내부에 포함되는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전원을 제한하는 스위칭 회로를 대신하여 스위칭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차량의 시동 신호의 상태 변화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시동 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시동 상태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원의 공급을 중단한다.

Description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Apparatus of system for supplying power}
본 개시는 차량 내부에 포함되는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전원을 제한하는 스위칭 회로를 대신하여 스위칭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부에 포함된 전자 부품들은 차량 내부에 포함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한다. 이러한 전자 부품들 중에서 표시 장치, 램프 등의 경우,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함께 꺼지고, 시계나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 등의 경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도 암전류를 이용하여 항상 동작할 수 있다.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도 장치가 암전류를 이용하여 항상 동작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FET, BJT 등과 같은 물리적 소자로 구성된 스위치 회로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위치 회로는 PCB 등과 같은 기판 상에서 넓은 면적을 차지하므로, 소형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개시는 스위칭 소자를 대신하는 로직을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을 소형화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시스템이 온으로 결정된 이후에 차량의 시동이 꺼지더라도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차량 안전성을 최대화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개시는 차량의 시동이 꺼진 경우에도 동작 가능한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시스템의 컨트롤러와 내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수신된 시동 신호의 상태 변화 및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통신 신호의 수신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시스템의 시동 상태를 결정하는 온오프 결정부 및 시스템 온이 되는 경우에 전원을 공급하고, 시스템 오프가 되는 경우에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는 전원 출력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차량의 시동 상태에 의존하여 동작하는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시동 신호가 수신되면, 시동 신호의 상태 변화에 기초하여 시스템의 시동 상태를 결정하는 온오프 결정부 및 시스템 온이 되는 경우에 전원을 공급하고, 시스템 오프가 되는 경우에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는 전원 출력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하면, 본 개시는 스위칭 소자를 대신하는 로직을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을 소형화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본 개시는 시스템이 온으로 결정된 이후에 차량의 시동이 꺼지더라도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차량 안전성을 최대화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라 배터리 전원과 시동 신호가 시스템에 공급되는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라 배터리 전원과 시동 신호가 시스템에 공급되는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제1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시동 신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시동 신호가 펄스 신호일 때 제1 전원 공급 장치가 시스템 온을 결정하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시동 신호가 펄스 신호일 때 제1 전원 공급 장치가 시스템 온을 결정하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시동 신호가 펄스 신호일 때 제1 전원 공급 장치가 시스템 온을 결정하는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시동 신호가 펄스 신호일 때 제1 전원 공급 장치가 시스템 오프를 결정하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시동 신호가 펄스 신호일 때 제1 전원 공급 장치가 시스템 오프를 결정하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시동 신호가 비펄스 신호일 때 제1 전원 공급 장치가 시스템 온을 결정하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시동 신호가 비펄스 신호일 때 제1 전원 공급 장치가 시스템 온을 결정하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시동 신호가 비펄스 신호일 때 제1 전원 공급 장치가 시스템 오프를 결정하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시동 신호가 비펄스 신호일 때 제1 전원 공급 장치가 시스템 오프를 결정하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에 따른 제2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9는 시동 신호가 펄스 신호일 때 제2 전원 공급 장치가 시스템의 시동 상태를 결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시동 신호가 비펄스 신호일 때 제2 전원 공급 장치가 시스템의 시동 상태를 결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라 배터리 전원과 시동 신호가 시스템(30)에 공급되는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개시에 따라 배터리 전원과 시동 신호가 시스템(30)에 공급되는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차량(미도시)의 내부에는 배터리 모듈(10)과 시동 신호 발생기(20)와, 시스템(30), 저항(41, 42) 및 스위치(51, 5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0)은 전원(전압 또는 전류)을 시스템(3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모듈(10)은 에너지 저장부, 시스템(30)에서 배터리 모듈(10)로 역기전력을 방지하는 다이오드, 전원을 안정화하도록 인덕터(Inductor), 캐패시터(Capacitor) 등으로 구현된 전원 안정화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동 신호 발생기(20)는 차량의 시동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시동 신호를 시스템(30)에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탑승자와 같은 사용자가 차량에 배치된 시동 버튼을 입력하면, 시동 신호 발생기(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반응하여 시동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시동 신호의 패턴 또는 종류는 설계 공정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시동 신호의 구체적인 형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시스템(30)은 배터리 모듈(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의 주변을 감지하거나, 차속, 조향각 등과 같은 주행 정보를 검출하거나, 차량을 제어하거나, 탑승자에게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30)은 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등과 같은 센서에 대응되는 물체 감지 시스템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 디지털 계기판 등과 같은 표시 장치에 대응되는 표시 시스템일 수 있으며, 차량의 주행, 제동 등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시스템(30)은 전원 공급 장치(31)와 컨트롤러(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31)는 배터리 모듈(10)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시스템(30)에 포함된 컨트롤러(32) 및 다른 부품 등에 적절한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공급 장치(31)는 IC 칩(Integrated Circuit Chip)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32)는 전원 공급 장치(3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데이터를 처리하여 명령을 수행하거나, 시스템(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32)는 예를 들어, MCU(Micro Controller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혹은 Digital Signal Processor), FPGA(Field-Programmable Logic Array) 등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30)은 배터리 모듈(10)의 에너지 효율성 및 차량의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차량이 시동이 꺼진 경우에 시스템(30)도 함께 오프(OFF)되고, 차량이 시동이 켜진 경우에 시스템(30)도 함께 온(ON)되거나, 차량의 시동이 꺼진 경우에도 배터리 모듈(10)의 암전류를 이용하여 동작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시동 상태에 의존하여 동작하는 시스템(30)은 표시 시스템이고, 차량의 시동이 꺼진 경우에도 동작 가능한 시스템(30)은 레이더 등과 같은 물체 감지 시스템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30)이 차량의 시동이 꺼진 경우에도 배터리 모듈(10)의 암전류를 이용하여 동작하거나 차량의 시동 상태에 의존하여 동작하기 위해, 시스템(30)은 저항(41, 42), 스위치(51, 52) 등을 통해 시동 신호를 모니터링(Monitoring)하고 시스템(30)의 시동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30)에 포함된 전원 공급 장치(31)는 전원 공급 핀을 통해 배터리 모듈(10), 제1 저항(41)의 일단 및 제2 저항(42)의 일단과 연결되고, 인에이블 핀을 통해 제1 저항(41)의 타단 및 제1 스위치(51)의 일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시스템(30)에 포함된 컨트롤러(32)는 제2 스위치(52)와 연결된다. 시스템(30)은 제1 스위치(51) 및 제2 스위치(52)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시동 신호를 모니터링한다.
시스템(30)은 저항(41, 42), 스위치(51, 52) 등을 이용해 시동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배터리 모듈(10)의 전원을 제한하여 운영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저항(41, 42), 스위치(51, 52)는 PCB 등 기판 상에서 넓은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소형화된 시스템(30)이 구현되기 위해, 저항(41, 42), 스위치(51, 52) 등을 포함하는 스위치 회로는 시스템(30) 상에서 신호의 로직(Logic)적 측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차량(미도시)의 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저항(41, 42), 스위치(51, 52) 등을 포함하는 스위치 회로 대신에 전원 공급 장치(31)와 컨트롤러(32) 사이에 내부 통신 가능하도록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 장치(31)와 컨트롤러(32) 사이에 배치된 버스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I2C(Inter-Integrated Circuit) 등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시스템(30)에 포함된 전원 공급 장치(31)는 시동 신호의 패턴 및 시동 신호의 상태 변화를 직접적으로 인식하고, 컨트롤러(32)와 내부 통신을 수행하여 컨트롤러(32)로부터 응답 신호 등을 수신함으로써 시스템(30)의 시동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의 시동이 꺼진 경우에도 동작 가능한 시스템(30)은 시동 신호를 인에이블 핀(Enable pin)을 이용해 수신하고, 시동 신호의 상태 변화 및 컨트롤러(32)로부터 출력된 통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시스템(30)의 시동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의 시동 상태에 의존하여 동작하는 시스템(30)은 시동 신호를 인에이블 핀(Enable pin)을 이용해 수신하고, 시동 신호의 상태 변화에 기초하여 시스템(30)의 시동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의 시동이 꺼진 경우에도 동작 가능한 시스템(30)의 전원 공급 장치(31)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제1 전원 공급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제1 전원 공급 장치(100)는 신호 수신부(110)와, 통신부(120)와, 온오프 결정부(130) 및 전원 출력부(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110)는 차량의 시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시스템(30)의 컨트롤러(32)와 내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통신부(120)는 SPI, I2C 버스 등을 통해 컨트롤러(32)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신호는 예를 들면, 부팅이 완료됨을 알리는 응답 신호, 시스템(30)이 오프되는 것을 요청하는 오프 요청 신호, 컨트롤러(32)의 상태가 비정상이거나 컨트롤러(32)가 고장난 것을 알리는 동작 불가 신호 등을 의미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온오프 결정부(130)는 수신된 시동 신호의 상태 변화 및 컨트롤러(32)로부터 출력되는 통신 신호의 수신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시스템(30)의 시동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동 신호의 상태 변화만으로 시스템 오프에서 온으로 결정하거나, 시동 신호의 상태 변화로 시스템 온을 예비적으로 결정한 뒤에 컨트롤러(32)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최종적으로 확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동 신호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전원 출력부(140)는 시스템 온이 되는 경우에 전원을 공급하고, 시스템 오프가 되는 경우에 전원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시스템(30)이 온으로 결정된 경우에 전원 출력부(140)는 배터리 모듈(1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컨트롤러(32)의 요구 전원에 맞게 변경하여, 변경된 전원을 컨트롤러(32)에 공급하고, 시스템(30)이 오프로 결정된 경우에 전원 출력부(140)는 컨트롤러(32)에 공급되는 전원을 중단한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본 개시에 따른 제1 전원 공급 장치(100)는 스위칭 소자를 대신하는 로직을 수행함으로써 시스템(30)을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제1 전원 공급 장치(100)는 시동 신호의 상태 변화를 이용하여 시스템 온 또는 시스템 오프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시동 신호의 패턴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시동 신호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시동 신호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a>를 참조하면, 시동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펄스 신호일 수 있다. 즉, 시동 신호는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시동 버튼을 누를 때마다 발생될 수 있는 펄스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펄스 신호는 제1 상태(예를 들어, 로우(Low) 상태)에서 제2 상태(예를 들어, 하이(High) 상태)로 전환되고, 전환된 제2 상태가 일정 기간 동안 유지된 후 다시 제1 상태로 전환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펄스 신호의 펄스 폭(D)은 특정 상태가 유지되는 기간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펄스 신호의 펄스 폭(D)은 제2 상태가 유지되는 기간에 대응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상태는 예를 들어 로우 상태이고, 제2 상태는 예를 들어 하이 상태인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동 신호가 전술한 예시 대비 반전되는 경우, 제1 상태는 예를 들어 하이 상태이고, 제2 상태는 로우 상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본 개시의 내용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한정이 없는 경우에 설명의 편의상 제1 상태는 예를 들어 로우 상태이고, 제2 상태는 하이 상태인 것으로 하여 본 개시를 설명한다.
펄스 신호인 시동 신호가 발생될 때마다 차량의 시동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4 <a>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시동 신호가 펄스 신호인 경우, 처음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오프, OFF)에서 시동 신호가 발생하면, 차량의 시동이 켜지게 된다. 반대로, 차량의 시동이 켜진 상태(온, ON)에서 시동 신호가 발생하면, 차량의 시동이 꺼지게 된다.
한편, 도 4 <b>를 참조하면, 시동 신호는 물리적 스위치와 같이 비펄스 신호일 수 있다. 즉, 시동 신호는 제1 상태(예를 들어, 로우(Low)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제2 상태(예를 들어, 하이(High) 상태)로 유지되고 제2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제1 상태로 유지되는 비펄스 신호일 수 있다.
도 4 <b>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시동 신호가 비펄스 신호인 경우,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면 차량의 시동이 켜지게 된다. 반대로, 시동 신호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면 차량의 시동이 꺼지게 된다.
한편, 시동 신호의 종류는 온오프 결정부(130)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오프 결정부(130)는 제1 상태인 시동 신호가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2 상태가 유지되는 유지 기간을 측정하여, 유지 기간과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을 비교한다.
유지 기간이 기준 기간 미만이면,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동 신호가 비펄스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며, 유지 기간이 기준 기간 이상이면,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동 신호가 펄스 신호인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동 신호의 제2 상태가 제1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측정된 유지 기간을 초기화할 수 있다.
도 5는 시동 신호가 펄스 신호일 때 제1 전원 공급 장치(100)가 시스템 온을 결정하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스템 오프 상태에서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시스템 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동 신호가 펄스 신호인 경우, 시스템 오프 상태에서 제1 시동 신호(21)가 발생하면, 제1 시동 신호(21)의 상태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고, 다시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온오프 결정부(130)는 제1 시동 신호(21)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 또는 구간(A)부터 시스템 온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시스템(30)이 온으로 결정된 이후에는 시동 신호가 발생되어 차량의 시동이 꺼지더라도 시스템(30)은 계속 온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스템 온이 결정된 이후에 시동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시스템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시동 신호(21)가 발생된 이후에 제2 시동 신호(22)가 수신되더라도, 온오프 결정부(130)는 제2 시동 신호(22)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 또는 구간(B)에서 시스템 오프로 결정하지 않고 계속 시스템 온으로 유지한다.
다른 예를 들면, 제2 시동 신호(22)가 발생된 이후에 제3 시동 신호(23)가 수신되더라도, 온오프 결정부(130)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 또는 구간(C)에서도 계속 시스템 온으로 유지한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본 개시에 따른 제1 전원 공급 장치(100)는 시스템(30)이 온으로 결정된 이후에 차량의 시동이 꺼지더라도 시스템(30)이 지속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차량 안전성을 최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적상적인 시동 신호 이외에 노이즈(Noise), 외란 등에 의해 발생되는 스파크도 펄스 신호와 동일한 형태일 수 있고, 이러한 스파크도 신호 수신부(110)에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노이즈 신호와 시동 신호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도 6은 시동 신호가 펄스 신호일 때 제1 전원 공급 장치(100)가 시스템 온을 결정하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온오프 결정부(130)는 펄스 폭과 미리 설정된 기준 폭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시스템 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폭은 스파크성 신호를 방지하기 위해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파크성 신호의 펄스 폭은 200μs이므로, 기준 폭은 200μs 이상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트롤러(32)와의 통신을 통하여 가변될 수 있다.
또한, 펄스 신호로 설계된 시동 신호가 발생할 때마다 시동 신호의 펄스 폭이 항상 일정한 경우, 기준 폭은 시동 신호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노이즈 신호는 제2 상태가 유지되는 기간을 제1 펄스 폭(D1)으로 하는 제1 펄스 신호(24)인 경우, 온오프 결정부(130)는 제1 펄스 폭(D1) 기준 폭보다 작으면, 시스템 오프로 결정 또는 유지한다.
다른 예를 들면, 시동 신호는 제2 상태가 유지되는 기간을 제2 펄스 폭으로 하는 제2 펄스 신호(25)인 경우, 온오프 결정부(130)는 제2 펄스 폭이 미리 설정된 기준 폭 이상이면, 시스템 온으로 결정한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본 개시에 따른 제1 전원 공급 장치(100)는 노이즈 신호와 시동 신호를 명확히 구분함으로써 시스템(30)의 시동 상태를 정확히 결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펄스 신호인 시동 신호의 상태 변화와 펄스 폭을 이용하여 시스템(30)이 온으로 결정되더라도, 컨트롤러(32)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32)가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도 7 및 도 8은 시동 신호가 펄스 신호일 때 제1 전원 공급 장치(100)가 시스템 온을 결정하는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스템 오프 상태에서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 및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된 이후 미리 설정된 부팅 응답 시간(Tboot)에 컨트롤러(32)로부터 출력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에 기초하여 시스템 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스템 오프 상태에서 펄스 신호인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고 펄스 폭이 기준값 이상이면, 시스템 온으로 결정한다. 그 다음,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 이후부터 부팅 응답 시간(Tboot) 내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스템 온으로 확정한다.
여기서, 부팅 응답 시간(Tboot)은 온오프 결정부(130)가 컨트롤러(32)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대기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부팅 응답 시간(Tboot)은 예를 들어, 펄스 신호인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부터 정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응답 신호는 컨트롤러(32)가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 이후부터 부팅 응답 시간(Tboot) 내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스템 오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면 시스템 오프에서 시스템 온으로 결정하되, 시스템 온 상태에서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시스템 온에서 시스템 오프로 결정한다.
여기서, 온오프 결정부(130)가 시스템 온에서 시스템 오프로 결정하는 시점은 바람직하게는 부팅 응답 시간(Tboot)이 경과한 때를 의미할 수 있으나, 설계 공정이나 컨트롤러(32)로부터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시동 신호는 펄스 신호인 경우, 온오프 결정부(130)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부팅 응답 시간 경과 후에 시스템 온에서 시스템 오프로 결정한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본 개시에 따른 제1 전원 공급 장치(100)는 컨트롤러(32)로부터 출력되는 응답 신호의 수신 여부를 이용하여 시스템(30)이 온인지 여부를 확정함으로써 시스템(30)의 시동 상태를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제1 전원 공급 장치(100)에 의해 시스템(30)이 온으로 결정된 이후에는, 시동 신호가 발생되어 차량의 시동이 꺼지더라도 시스템(30)은 계속 온으로 유지되므로, 온오프 결정부(130)가 시동 신호의 상태 변화만으로 시스템 오프를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예측 불가능한 시스템(30) 오류나 컨트롤러(32)의 고장 등으로 인해 시스템(30)이 오프인 경우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제1 전원 공급 장치(100)가 시스템 오프를 결정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시동 신호가 펄스 신호일 때 제1 전원 공급 장치(100)가 시스템 오프를 결정하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시동 신호가 펄스 신호일 때 제1 전원 공급 장치(100)가 시스템 오프를 결정하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컨트롤러(32)가 기능을 일시적으로 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컨트롤러(32)는 시스템(30) 리셋(System Reset)을 위해 시스템 오프를 전원 공급 장치에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온오프 결정부(130)는 차량의 시동 상태, 즉 시동 신호의 상태 변화와 무관하게 시스템 온 상태에서 컨트롤러(32)로부터 출력된 오프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시스템 온에서 시스템 오프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스템 온 상태에서 오프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오프 요청 신호의 수신이 종료될 때 시스템 온에서 시스템 온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오프 요청 신호는 컨트롤러(32)가 시스템 오프를 요청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시스템 오프 이후에 시동 신호가 다시 수신되면, 온오프 결정부(130)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스템 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시스템(30) 리셋으로도 컨트롤러(32)의 고장을 해결할 수 없는 경우, 컨트롤러(32)는 동작 불가 신호를 전원 공급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스템 온 상태에서 컨트롤러(32)에 의해 출력되는 동작 불가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불가 신호가 수신되면,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스템 온에서 시스템 오프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시스템 오프가 결정된 이후에 시동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스템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본 개시에 따른 제1 전원 공급 장치(100)는 스위칭 소자를 대신하는 로직을 수행함으로써 시스템(30)을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시동 신호가 비펄스 신호일 때, 제1 전원 공급 장치(100)가 시스템(30)의 상태를 결정하는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시동 신호가 비펄스 신호일 때 제1 전원 공급 장치(100)가 시스템 온을 결정하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비펄스 형태의 시동 신호의 경우, 시동 신호의 상태가 제1 상태(예를 들어, 로우(Low))이면 차량의 시동은 꺼지고(오프), 시동 신호의 상태가 제2 상태(예를 들어, 하이(High))이면 차량의 시동은 켜진다(온).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1 시동 신호(26)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 또는 구간(A1)에서 차량의 시동이 켜지고, 제1 시동 신호(26)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 또는 구간(A2)에서 차량의 시동이 꺼진다. 이는 제2 시동 신호(27)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구간(B1) 및 제2 시동 신호(27)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는 구간(B2)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스템 오프 상태에서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면 시스템 온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오프 결정부(130)는 제1 시동 신호(26)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 또는 구간(A1)에서 시스템 오프에서 시스템 온으로 결정한다.
시스템 온이 결정된 이후, 온오프 결정부(130)는 비펄스 신호인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시스템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시동 신호(26)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 또는 구간(A2) 이후에 다시 제2 시동 신호(27)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더라도(B1),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스템 온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시동 신호가 비펄스 신호인 경우에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컨트롤러(32)가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시동 신호가 비펄스 신호일 때 제1 전원 공급 장치(100)가 시스템 온을 결정하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스템 오프 상태에서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 및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된 이후 부팅 응답 시간(Tboot)에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에 기초하여 시스템 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부딩 응답 시간(Tboot)은 바람직하게는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구간부터 진행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동 신호가 전환될 때 시스템 온으로 결정하고, 시동 신호 전환 시점부터 부팅 응답 시간(Tboot) 내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시스템 온으로 유지할 수 있다.
만약,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온오프 결정부(130)는 부팅 응답 시간(Tboot)이 경과한 때 시스템 온에서 시스템 오프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시동 신호가 비펄스 신호인 경우에도 시스템(30)이 오프로 결정될 필요가 있다.
도 14 및 도 15는 시동 신호가 비펄스 신호일 때 제1 전원 공급 장치(100)가 시스템 오프를 결정하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온오프 결정부(130)는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컨트롤러(32)로부터 오프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로 시스템 오프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 요청 신호는 시스템(30)이 온이고, 시동 신호가 제2 상태인 경우에,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온오프 결정부(130)는 오프 요청 신호의 수신이 종료된 시점에서 시스템 온에서 시스템 오프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동 신호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추가로 인식하고, 시동 신호가 전환된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오프 응답 시간(Toff) 내에 오프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로 시스템 오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스템 온 상태에서 시동 신호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 및 시동 신호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된 이후 미리 설정된 오프 응답 시간(Toff)에 오프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시스템 온에서 시스템 오프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프 응답 시간(Toff)은 차량이 시동이 꺼진 경우에, 시스템(30)도 필요에 따라 꺼질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오프 응답 시간(Toff)은 설계 공정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컨트롤러(32)와 내부 통신을 통해 조절될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온오프 결정부(130)는 시동 신호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된 때부터 오프 응답 시간(Toff) 내 오프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시스템 온으로 유지하고, 오프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시스템 온에서 시스템 오프로 결정한다.
여기서, 시스템 온에서 시스템 오프가 결정되는 시점은 오프 응답 시간(Toff) 이후이기만 하면 된다. 전술한 시점은 바람직하게는 오프 응답 시간(Toff)이 경과한 때일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시동 신호가 비펄스 신호일 때 제1 전원 공급 장치(100)가 시스템 오프를 결정하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온오프 결정부(130)는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 불가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시스템 오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스템 온에서 시스템 오프로 결정되는 시점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불가 신호의 수신이 종료된 시점일 수 있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 신호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 공정이나, 주행 상황, 컨트롤러(32)와 내부 통신에 따라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시점보다 더 지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본 개시에 따른 제1 전원 공급 장치(100)는 물리적 스위칭 소자, 구조, 회로를 신호의 상태 변화 등 로직으로 대체함으로써 시스템(30)의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차량의 시동 상태에 의존하여 동작하는 시스템(30)의 전원 공급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8은 본 개시에 따른 제2 전원 공급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제2 전원 공급 장치(200)는 신호 수신부(210)와, 온오프 결정부(220) 및 전원 출력부(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210) 및 전원 출력부(230)는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신호 수신부(210) 및 전원 출력부(230)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온오프 결정부(220)는 시동 신호가 수신되면, 시동 신호의 상태 변화에 기초하여 시스템(30)의 시동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시동 신호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펄스 신호 또는 비펄스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온오프 결정부(220)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시동 신호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즉, 온오프 결정부(220)는 시동 신호의 상태가 특정 상태로 유지되는 유지 기간을 측정하고, 유지 기간과 기준 기간을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따라 시동 신호를 비펄스 신호 또는 펄스 신호로 구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온오프 결정부(220)가 시스템(30)의 시동 상태를 결정하는 방법을 시동 신호 별로 설명한다.
도 19는 시동 신호가 펄스 신호일 때 제2 전원 공급 장치(200)가 시스템(30)의 시동 상태를 결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온오프 결정부(220)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 및 펄스 폭에 기초하여, 시스템 온 또는 시스템 오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오프 결정부(220)는 시스템 오프 상태에서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고, 제2 상태가 유지되는 기간에 대응되는 펄스 폭이 미리 설정된 기준 폭 이상이면, 시스템 온으로 결정한다.
다른 예를 들면, 온오프 결정부(220)는, 시스템 온 상태에서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고, 제2 상태가 유지되는 기간에 대응되는 펄스 폭이 미리 설정된 기준 폭 이상이면, 시스템 오프로 결정한다.
도 20은 시동 신호가 비펄스 신호일 때 제2 전원 공급 장치(200)가 시스템(30)의 시동 상태를 결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온오프 결정부(220)는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면, 시스템 온으로 결정하고, 시동 신호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면, 시스템 오프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오프 결정부(220)는 제1 시동 신호(28)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 또는 구간(A1)에서 시스템 오프에서 시스템 온으로 결정하고, 제1 시동 신호(28)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 또는 구간(A2)에서 시스템 온에서 시스템 오프로 결정하며, 제2 시동 신호(29)의 상태 변화 구간(B1, B2)에서도 동일하게 시스템(30)의 상태를 결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하면, 본 개시는 스위칭 소자를 대신하는 로직을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을 소형화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본 개시는 시스템이 온으로 결정된 이후에 차량의 시동이 꺼지더라도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차량 안전성을 최대화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과제 해결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전원 공급 장치 110, 210: 신호 수신부
120: 통신부 130, 220: 온오프 결정부
140, 230: 전원 출력부

Claims (22)

  1. 차량의 시동이 꺼진 경우에도 동작 가능한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시스템의 컨트롤러와 내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수신된 상기 시동 신호의 상태 변화 및 상기 시스템의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통신 신호의 수신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시스템의 시동 상태를 결정하는 온오프 결정부; 및
    시스템 온이 되는 경우에 전원을 공급하고, 시스템 오프가 되는 경우에 상기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는 전원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오프 결정부는,
    시스템 오프 상태에서 상기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시스템 온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시동 신호는,
    상기 제2 상태가 유지되는 기간을 펄스 폭으로 하는 펄스 신호이고,
    상기 온오프 결정부는,
    상기 펄스 폭과 미리 설정된 기준 폭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시스템 온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펄스 신호이거나, 제1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제2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상기 제1 상태로 유지되는 비펄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결정부는,
    상기 펄스 폭이 미리 설정된 기준 폭 이상이면, 상기 시스템 온으로 결정 하고,
    상기 펄스 폭이 상기 기준 폭보다 작으면, 상기 시스템 오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결정부는,
    상기 시스템 온이 결정된 이후에 상기 시동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시스템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결정부는,
    시스템 오프 상태에서 상기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 및 상기 시동 신호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된 이후 미리 설정된 부팅 응답 시간에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시스템 온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결정부는,
    상기 시동 신호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시스템 오프에서 상기 시스템 온으로 결정하되,
    시스템 온 상태에서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부팅 응답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시스템 온에서 상기 시스템 오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결정부는,
    시스템 온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오프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시스템 온에서 상기 시스템 오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신호는 비펄스 신호이고,
    상기 온오프 결정부는,
    시스템 온 상태에서 상기 시동 신호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 및 상기 시동 신호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된 이후 미리 설정된 오프 응답 시간에 상기 오프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시스템 온에서 상기 시스템 오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결정부는,
    상기 시동 신호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된 때부터 상기 오프 응답 시간 내 상기 오프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시스템 온에서 상기 시스템 오프로 결정하고,
    상기 오프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시스템 온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결정부는,
    시스템 온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출력되는 동작 불가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동작 불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시스템 온에서 상기 시스템 오프로 결정하고,
    상기 시스템 오프가 결정된 이후에 상기 시동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시스템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결정부는,
    제1 상태인 상기 시동 신호가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2 상태가 유지되는 유지 기간을 측정하여, 상기 유지 기간과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을 비교하고,
    상기 유지 기간이 상기 기준 기간 미만이면, 상기 시동 신호가 비펄스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유지 기간이 상기 기준 기간 이상이면, 상기 시동 신호가 펄스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결정부는,
    상기 시동 신호의 상기 제2 상태가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측정된 상기 유지 기간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5. 차량의 시동 상태에 의존하여 동작하는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시동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시동 신호의 상태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시스템의 시동 상태를 결정하는 온오프 결정부; 및
    상기 시스템 온이 되는 경우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시스템 오프가 되는 경우에 상기 전원의 공급을 중단하는 전원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오프 결정부는,
    시스템 오프 상태에서 상기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시스템 온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시동 신호는,
    상기 제2 상태가 유지되는 기간을 펄스 폭으로 하는 펄스 신호이고,
    상기 온오프 결정부는,
    상기 펄스 폭과 미리 설정된 기준 폭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시스템 온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펄스 신호이거나, 제1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제2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상기 제1 상태로 유지되는 비펄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7. 삭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결정부는,
    시스템 오프 상태에서 상기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2 상태가 유지되는 기간에 대응되는 상기 펄스 폭이 미리 설정된 기준 폭 이상이면, 상기 시스템 온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결정부는,
    시스템 온 상태에서 상기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2 상태가 유지되는 기간에 대응되는 상기 펄스 폭이 미리 설정된 기준 폭 이상이면, 상기 시스템 오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신호는 비펄스 신호이고,
    상기 온오프 결정부는,
    상기 시동 신호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시스템 온으로 결정하고,
    상기 시동 신호가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시스템 오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결정부는,
    제1 상태인 상기 시동 신호가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2 상태가 유지되는 유지 기간을 측정하여, 상기 유지 기간과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을 비교하고,
    상기 유지 기간이 상기 기준 기간 미만이면, 상기 시동 신호가 비펄스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유지 기간이 상기 기준 기간 이상이면, 상기 시동 신호가 펄스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결정부는,
    상기 시동 신호의 상기 제2 상태가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측정된 상기 유지 기간을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KR1020190102779A 2019-08-22 2019-08-22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KR102646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779A KR102646756B1 (ko) 2019-08-22 2019-08-22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PCT/KR2020/010058 WO2021033947A1 (ko) 2019-08-22 2020-07-30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US17/572,406 US20220131399A1 (en) 2019-08-22 2022-01-10 Power supply device of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779A KR102646756B1 (ko) 2019-08-22 2019-08-22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089A KR20210023089A (ko) 2021-03-04
KR102646756B1 true KR102646756B1 (ko) 2024-03-13

Family

ID=7466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779A KR102646756B1 (ko) 2019-08-22 2019-08-22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31399A1 (ko)
KR (1) KR102646756B1 (ko)
WO (1) WO202103394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64531A (ja) * 2017-10-04 2019-04-25 アンデン株式会社 始動検出装置および電源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585Y1 (ko) * 1993-10-14 1995-11-08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시동스위치 오프시 라디오/카세트 전원 자동 차단장치
JP4378200B2 (ja) * 2004-03-26 2009-12-0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車載機器制御装置
FR2876196B1 (fr) * 2004-10-06 2006-12-01 Renault Sas Dispositif de gestion de l'alimentation du systeme multimedia d'un vehicule automobile
JP4500215B2 (ja) * 2005-06-01 2010-07-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の始動判定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遠隔制御装置
KR101756420B1 (ko) * 2013-03-14 2017-07-10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전자제어유닛에 시동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어유닛의 구동 방법
JP2015139349A (ja) * 2014-01-24 2015-07-30 シャープ株式会社 接続システム
KR102001509B1 (ko) * 2018-02-13 2019-07-18 주식회사 에코파워팩 차량용 전원 공급 시스템,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64531A (ja) * 2017-10-04 2019-04-25 アンデン株式会社 始動検出装置および電源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31399A1 (en) 2022-04-28
WO2021033947A1 (ko) 2021-02-25
KR20210023089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6630B2 (en) Integrated circuit in a control unit, and a control unit for activating a passenger protection arrangement
US7890232B2 (en) Airbag system
US8566631B2 (en) Serially shutting down extension units to time extend power to CPU from charging backup supply
WO2011034053A1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CN114365064B (zh) 电子控制装置
KR102646756B1 (ko)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KR20140056537A (ko) 리셋 기능을 체크하는 전자제어장치 및 방법
US9083384B2 (en) Microcomputer system
WO2022186374A1 (ja) 電圧測定装置、及び組電池システム
JP2002351501A (ja) 駆動制御装置
US9796275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JP4730356B2 (ja) 電源制御装置
JP4412141B2 (ja) 電源起動停止制御回路
JP2002341978A (ja) 電子制御装置
JP2011081449A (ja) 処理システム及びスイッチ状態判定装置
KR200338737Y1 (ko) 차량용컴퓨터 전원제어장치
US6252312B1 (en) Direct-voltage power pack
US1104832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low consumption mode of an electronic circuit unit, control device, and motor vehicle
CN104937852B (zh) 用于对移动装置进行外部控制的方法和设备
JP4507777B2 (ja) 電源制御装置
JP2007084057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405905B1 (ko) 파워 온 리셋의 전압 범위가 다른 두 ic간의 불필요한 리셋을 회피하는 방법
JP2000338005A (ja) 車両用制御装置
KR20170116823A (ko) 차량용 제어기기 및 그의 ig 상태를 인식하는 방법
KR101022628B1 (ko) 차량용 퓨즈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