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509B1 - 차량용 전원 공급 시스템,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원 공급 시스템,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509B1
KR102001509B1 KR1020180017801A KR20180017801A KR102001509B1 KR 102001509 B1 KR102001509 B1 KR 102001509B1 KR 1020180017801 A KR1020180017801 A KR 1020180017801A KR 20180017801 A KR20180017801 A KR 20180017801A KR 102001509 B1 KR102001509 B1 KR 102001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auxiliary battery
state signal
vehicl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파워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파워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파워팩
Priority to KR1020180017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0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generators driven by a machine different from the vehicle mo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전원 공급 시스템,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전원 공급 시스템은 차량의 시동 온 시 구동되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발전기; 발전기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되는 메인 배터리; 발전기에 메인 배터리와 병렬로 연결되어 발전기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되며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와 전자 기기 사이에 연결되어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자 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제어 모듈은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상태를 나타내는 시동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전자 기기로 전달하되 시동 상태 신호가 온(ON)에서 오프(OFF)로 변경된 시점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시동 상태 신호를 온(ON)으로 생성하여 전자 기기로 출력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원 공급 시스템,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Power Supply System for vehicle,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충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시동시에는 배터리 전압을 이용하게 되고 자동차의 실내 램프 등이나 계기류, 에어컨장치와 같은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와 발전기가 장착되어 있다.
차량의 배터리는 시동을 걸 때 스타터 모터를 회전시켜 엔진을 구동하게 되면 엔진에 팬 벨트로 접속되어 있는 교류발전기가 발전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나,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용량에는 한계가 있어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배터리가 방전되어 차량의 시동을 걸 수 없거나 또는 지속적인 충전 및 방전에 의해 배터리의 용량과 수명이 단축되어 배터리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그에 따라, 차량에서 필요로 하는 전기에너지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메인 배터리와 별도로 보조 배터리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내비게이션(Navigation)이나 블랙박스(Black box)와 같이 차량에 별도로 장착된 전자 기기에 보조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 차량이 이동중이거나 정지 간에도 전자 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보조 배터리는 차량의 메인 배터리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릴레이를 통해 연결되어, 메인 배터리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공급받아 충전하게 된다.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보조 배터리가 메인 배터리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 메인 배터리의 전압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도 보조 배터리가 지속적으로 충전되어, 메인 배터리가 방전될 우려가 있다.
한편, 보조 배터리가 릴레이를 통해 메인 배터리에 연결되어 시동이 켜진 상태에서만 보조 배터리로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보조 배터리의 충전효율에 따라 보조 배터리가 충분히 충전되지 않아, 주차시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블랙박스 등의 전자 기기가 장시간 동작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블랙박스로의 전원 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차량의 주차 시간이 길어지면 차량의 사고 등과 같은 돌발 상황을 기록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에 구비되는 메인 배터리를 전원 공급을 위한 충분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보조 배터리가 블랙박스 등의 전자 기기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시스템,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구비된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시스템은, 차량의 시동 온 시 구동되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발전기; 상기 발전기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되는 메인 배터리; 상기 발전기에 상기 메인 배터리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발전기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되며, 상기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와 상기 전자 기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상기 전자 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상태를 나타내는 시동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자 기기로 전달하되, 상기 시동 상태 신호가 온(ON)에서 오프(OFF)로 변경된 시점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시동 상태 신호를 온(ON)으로 생성하여 상기 전자 기기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 장치는, 차량에 구비된 보조 배터리와 전자 기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상기 전자 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며,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상태를 나타내는 시동 상태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부; 상기 입력되는 시동 상태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신호출력부; 상기 시동 상태 신호가 온(ON)에서 오프(OFF)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 시점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전자 기기로 전달될 시동 상태 신호를 온(ON)으로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상기 전자 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전원출력부;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전자 기기로 전달될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상기 기준 전압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승압 회로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 방법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상태를 나타내는 시동 상태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시동 상태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상기 기준 전압 이상으로 증가시켜 상기 전자 기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되는 시동 상태 신호가 온(ON)에서 오프(OFF)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 시점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시동 상태 신호가 온(ON)으로 생성되어 상기 전자 기기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되거나, 똔느 프로그램 자체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구비된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인 보조 배터리를 메인 배터리와 병렬로 발전기에 연결시키고, 차량의 시동 온/오프 상태에 따라 발전기 및 메인 배터리와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보조 배터리에 내장시킴으로써, 메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높게 유지하는 동시에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여 블랙박스 등의 전자 기기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시동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온(ON)에서 오프(OFF)로 변경되는 경우 일정 시간 경과후 해당 신호를 온(ON)으로 생성하여 전자 기기로 전달하여, 장시간 주차 시에도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자 기기로 원할하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여 전자 기기로 공급함으로써, 전자 기기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 공급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차량 시동 상태 신호를 전자 기기로 전달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휘발성 저장부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 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시스템(1)은 발전기(20), 메인 배터리(22), 보조 배터리(26), 전원 공급 제어 장치(100) 및 전자 기기(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배터리(22) 및 보조 배터리(26)는 발전기(20)와 병렬로 연결되고, 보조 배터리(26)와 전자 기기(28) 사이에 전원 공급 제어 장치(100)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발전기(20)는 차량의 시동 온 시 구동되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차량에 구비되는 메인 배터리(22)로 충전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발전기(20)는 차량의 시동 온 시에 보조 배터리(26)로 충전 전원을 공급한다.
메인 배터리(22)는 발전기(20)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 상태가 되어 퓨즈(미도시)를 통해 차량 내 장치들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배터리(22)는 보조 배터리(26)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으므로, 발전기(2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완전 충전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보조 배터리(26)는 발전기(20)에 메인 배터리(22)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발전기(22)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되며, 전자 기기(28)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전자 기기(28)는 차량의 시동 온 또는 오프 시에 보조 배터리(2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도록 차량에 구비되는, 예를 들어, 블랙박스일 수 있다.
전원 공급 제어 장치(100)는 보조 배터리(26)와 전자 기기(28) 사이에 연결되어, 보조 배터리(26)로부터 전자 기기(28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상태를 나타내는 시동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전자 기기(280)로 전달하되, 상기 시동 상태 신호가 온(ON)에서 오프(OFF)로 변경된 시점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시동 상태 신호를 온(ON)으로 생성하여 전자 기기(28)로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제어 장치(100)는 차량에 구비된 퓨즈 박스로부터 차량의 시동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시동 상태 신호를 공급받으며, 상기 시동 상태 신호는 퓨즈 박스의 ACC 단자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 제어 장치(100)는 보조 배터리(26)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전자 기기(28)로 전달하되, 보조 배터리(26)의 출력 전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에는 승압 회로를 이용해 보조 배터리(26)의 출력 전압을 기준 전압 이상으로 증가시켜 전자 기기(28)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시동 온 시에, 발전기(20)와 메인 배터리(22)가 연결된 메인 전원 공급 경로에 보조 배터리(22)가 병렬로 연결된 회로가 구성된다. 이에 따라, 발전기(20)를 통해 메인 배터리(22) 및 보조 배터리(26)가 지속적으로 충전되면서 보조 배터리(26)로부터 전자 기기(28)로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차량의 시동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온(ON)에서 오프(OFF)로 변경되는 경우 일정 시간 경과후 해당 신호를 온(ON)으로 생성하여 전자 기기로 전달하여, 장시간 주차 시에도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자 기기로 원할하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여 전자 기기로 공급함으로써, 전자 기기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배터리(26)는, 발전기(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충전되며 차량에 구비된 전자 기기(28)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방전되는 충전지를 구비할 수 있다.
충전지는 이미 방출된 전류를 다시 외부로부터 유입시켜 전압이 회복되는 전지로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류에 의해 충전된 전압을 다른 전자 기기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충전지의 종류로는 니켈 카드뮴(Ni-Cd), 알카라인 전지, 니켈 수소(Ni-Mh), 밀폐형 납산(SLA), 리튬 이온(Li-ion), 리튬 폴리머(Li-polymer) 등과 같이 전기 화학 반응의 가역적 특성을 이용하는 전지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 공급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전원 공급 제어 장치(100)는 신호 입력부(110), 제어부(120), 신호 출력부(130), 신호 생성부(140), 전원 입력부(150), 전원 출력부(160) 및 승압 회로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신호 입력부(110)는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상태를 나타내는 시동 상태 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신호 입력부(110)는 상기 시동 상태 신호로서 차량에 구비된 퓨즈 박스의 ACC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전원 공급 제어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 및 이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들을 제어한다.
신호 출력부(130)는 상기 신호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시동 상태 신호를 전자 기기(28)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퓨즈 박스의 ACC 단자로부터 신호 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시동 상태 신호가 온(ON)인 경우, 즉 현재 차량에 시동이 켜져있는 상태인 경우, 상기 온(ON)인 시동 상태 신호가 신호 출력부(130)를 통해 전자 기기(28)로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시동 상태 신호가 온(ON)에서 오프(OFF)로 변경되는 경우, 즉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경우, 제어부(120)는 시동 상태 신호가 온(ON)에서 오프(OFF)로 변경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상기 변경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신호 생성부(140)가 시동 상태 신호를 온(ON)으로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시동 상태 신호가 온(ON)에서 오프(OFF)로 변경된 후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차량의 시동이 꺼져있는 상태라도, 온(ON)으로 생성된 시동 상태 신호가 신호 출력부(130)를 통해 전자 기기(28)로 전달될 수 있다.
전원 입력부(150)는 보조 배터리(26)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으며, 전원 출력부(160)는 상기 보조 배터리(26)의 출력 전압을 전자 기기(28)로 출력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보조 배터리(26)의 출력 전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보조 배터리(26)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전원 출력부(160)를 통해 그대로 전자 기기(28)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보조 배터리(26)의 출력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에는, 제의 제어에 따라 승압 회로부(170)에서 보조 배터리(26)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으로 증가된 후 전원 출력부(160)를 통해 전자 기기(28)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제어 방법을 도 2에 도시된 전원 공급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제어 방법 중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신호 입력부(110)는 퓨즈 박스 ACC 단자로부터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상태를 나타내는 시동 상태 신호를 입력받고(S300 단계), 신호 출력부(130)는 상기 입력된 시동 상태 신호를 전자 기기(28)로 전달한다(S310 단계).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동이 켜진 상태로, 퓨즈 박스의 ACC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시동 상태 신호가 온(ON)인 경우, 제어부(120)는 온(ON)인 시동 상태 신호가 신호 출력부(130)를 통해 전자 기기(28)로 그대로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차량의 시동이 꺼져, 시동 상태 신호가 온(ON)에서 오프(OFF)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 시점으로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하기 전까지는, 오프(OFF)인 시동 상태 신호가 신호 출력부(130)를 통해 전자 기기(28)로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변경 시점으로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20)는 시동 상태 신호를 온(ON)으로 생성하도록 신호 생성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온(ON)으로 생성된 시동 상태 신호가 전자 기기(28)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 박스로부터 전원 공급 제어 장치(100)로 입력되는 시동 상태 신호(ACCin)가 온(ON)에 상응하는 전압(V1)인 경우, 전원 공급 제어 장치(100)로부터 전자 기기(28)로 출력되는 시동 상태 신호(ACCout)도 온(ON)에 상응하는 전압(V1)을 가질 수 있다.
차량의 시동이 커지면, 퓨즈 박스로부터 전원 공급 제어 장치(100)로 입력되는 시동 상태 신호(ACCin)가 오프(OFF)에 상응하는 전압(V2)으로 변경되고, 그에 따라 전원 공급 제어 장치(100)로부터 전자 기기(28)로 출력되는 시동 상태 신호(ACCout)도 오프(OFF)에 상응하는 전압(V2)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28), 예를 들어 블랙박스의 동작 모드가 상시 녹화 모드에서 주차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변경 시점(t1)으로부터 제1 시간(Tref1)이 경과되면, 신호 생성부(140)에서 온(ON)에 상응하는 전압(V1)을 가지는 시동 상태 신호(ACCout)가 생성되어, 전원 공급 제어 장치(100)로부터 전자 기기(28)로 출력되는 시동 상태 신호(ACCout)가 온(ON)을 나타내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공급 제어 장치(100)의 신호 생성부(140)는, 보조 배터리(26)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시동 상태 신호(ACCout)를 온(ON)에 상응하는 전압(V1)을 가지도록 생성할 수 있다.
전자 기기(28)가 블랙박스인 경우를 예로 들어, 블랙박스가 차량의 시동이 꺼진 시점부터 5시간이 경과하면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꺼지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전원 차단 설정된 상기 5시간 이내의 시간(예를 들어, 4시간)을 제1 시간(Tref1)으로 설정하여, 시동 상태 신호(ACCin)가 오프(OFF)로 변경된 시점(t1)부터 제1 시간(Tref1)이 경과한 시점(t2)에서 온(ON)으로 생성된 시동 상태 신호(ACCout)가 블랙 박스로 출력되도록 하여, 주차 중 블랙박스로의 전원이 자동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전자 기기(28)인 블랙박스는, 차량에 구비된 메인 배터리(22)가 아닌, 보조 배터리(2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므로, 주차 중 블랙박스의 전원 차단이 이루어지지 않아 메인 배터리(22)가 방전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시동 상태 신호(ACCout)를 온(ON)으로 생성하기 위한 제1 시간(Tref1)을 4시간으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전자 기기(28), 예를 들어 블랙박스의 전원 차단 설정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온(ON)으로 생성된 시동 상태 신호(ACCout)가 전자 기기(28)로 출력되는 시점(t2)부터 제2 시간(Tref2)이 경과한 시점(t3)부터, 다시 전원 공급 제어 장치(100)로 입력되는 시동 상태 신호(ACCin)의 오프(OFF) 전압(V2) 그대로 전자 기기(28)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28), 예를 들어 블랙박스의 동작 모드는, 제2 시간(Tref2) 동안 잠시 상시 녹화 모드로 변경된 후, 다시 주차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오프(OFF) 전압(V2)의 시동 상태 신호(ACCout)가 전자 기기(28)로 전달된 시점(t3)부터 다시 제1 시간(Tref1)이 경과한 시점(t4)에서 온(ON)으로 생성된 시동 상태 신호(ACCout)가 전자 기기(28)로 출력되고, 그 후 제2 시간(Tref2)이 경과하면 오프(OFF) 전압(V2)을 가지는 시동 상태 신호(ACCout)가 전자 기기(28)로 출력된다.
상기 시동 상태 신호(ACCout)가 온(ON)에서 다시 오프(OFF)로 변경되는 제2 시간(Tref2)은 약 5초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전자 기기(28)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 후, 차량의 시동이 켜져 퓨즈 박스로부터 전원 공급 제어 장치(100)로 입력되는 시동 상태 신호(ACCin)가 온(ON) 전압(V1)으로 변경되면, 전원 공급 제어 장치(100)로부터 전자 기기(28)로 출력되는 시동 상태 신호(ACCout)도 온(ON)에 상응하는 전압(V1)으로 증가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전원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보조 배터리(26)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여(S320 단계), 상기 검출된 보조 배터리(26)의 출력 전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Vref)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30 단계).
상기 확인 결과, 보조 배터리(26)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Vref) 미만인 경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승압 회로부(170)는 보조 배터리(26)의 출력 전압을 기준 전압(Vref) 이상으로 증가시켜 전자 기기(28)로 출력되도록 한다(S340 단계).
전자 기기(28)가 블랙박스인 경우를 예로 들어, 블랙박스의 전원으로 입력되는 전압이 11.8V 미만으로 떨어지면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꺼지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상기 11.8V 보다 높은 전압(예를 들어, 12.4V)을 상기 기준 전압(Vref)으로 설정하여, 보조 배터리(26)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Vref) 미만이면 부스트 회로 등과 같은 승압 회로부(170)를 이용해 블랙박스로 입력되는 전압이 기준 전압(Vref)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여, 주차 중 블랙박스로의 전원이 자동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해당 전자 기기(28)인 블랙박스는 보조 배터리(2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므로, 주차 중 메인 배터리(22)가 방전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보조 배터리(26)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Vref) 이상인 경우에는, 보조 배터리(26)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그대로 전자 기기(28)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보조 배터리(26)의 출력 전압이 승압되는 기준 전압(Vref)을 12.4V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전자 기기(28), 예를 들어 블랙박스의 전원 차단 설정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시동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시동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차량의 시동 온/오프 상태에 따라 보조 배터리(26)의 발전기(20) 및 메인 배터리(22)와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부가 전원 공급 시스템(1)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시스템(1)은 발전기(20), 메인 배터리(22), 퓨즈(24), 보조 배터리(26), 전자 기기(28), 전원 공급 제어 장치(100) 및 스위칭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성들 중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배터리(22) 및 보조 배터리(26)는 발전기(20)와 병렬로 연결되고, 발전기(20)와 보조 배터리(26) 사이에 스위칭부(500)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위칭부(500)는 차량의 시동 온/오프 상태에 따라, 보조 배터리(26)의 발전기(20) 및 메인 배터리(22)와의 연결을 제어한다.
스위칭부(500)는 차량의 시동 온 시에 보조 배터리(26)가 발전기(20)와 연결되도록 스위칭되어, 발전기(20)로부터 보조 배터리(26)로 전기 에너지가 제공되어, 발전기(2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보조 배터리(26)가 충전되고, 보조 배터리(26)로부터 전자 기기(28)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부(500)는 차량의 시동 오프 시에 보조 배터리(26)가 메인 배터리(22) 및 메인 배터리(22)와 연결되지 않도록 스위칭되어, 메인 배터리(22)와 보조 배터리(26) 사이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칭부(500)는 차량에 구비된 퓨즈 박스로부터 차량의 시동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시동 상태 신호를 공급받는다. 여기서, 시동 상태 신호는 퓨즈 박스의 ACC 단자로부터 출력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시동 온 시에, 발전기(20)와 메인 배터리(22)가 연결된 메인 전원 공급 경로에 보조 배터리(22)가 병렬로 연결된 회로가 구성된다. 이에 따라, 발전기(20)를 통해 메인 배터리(22) 및 보조 배터리(26)가 지속적으로 충전되면서 보조 배터리(26)로부터 전자 기기(28)로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차량의 시동 오프 시에는, 발전기(20)와 메인 배터리(22)가 연결된 메인 전원 공급 경로와 보조 배터리(22)와 전자 기기(28)가 연결된 보조 전원 공급 경로가 서로 분리된 회로가 구성된다. 이에 따라, 메인 배터리(22)에 충전된 전원이 보조 배터리(26)로 공급되지 않으면서, 보조 배터리(26)로부터만 전자 기기(28)로 전원이 공급된다.
한편, 발전기(20)와 메인 배터리(22)의 마이너스(-) 단자들은 각각 차량의 차체에 접지되어 있다. 또한, 보조 배터리(26)와 전자 기기(28)의 마이너스(-) 단자들은 차량의 차체에 접지되지 아니한 상태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에 따라, 차량의 시동 오프 시, 보조 배터리(26)와 전자 기기(22)는 메인 배터리(22)와 분리된 회로를 구성한다.
차량의 시동 온 시에는, 발전기(20)로부터 메인 배터리(22)로 충전을 위한 전원이 공급되고, 스위칭부(500)가 온(ON) 됨으로써 발전기(20)로부터 보조 배터리(26)로도 충전을 위한 전원이 공급된다.
이 경우, 메인 배터리(22)는 보조 배터리(26)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 메인 배터리(22)는 차량 내 다른 구성요소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충분한 충전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발전기(20)로부터 보조 배터리(26)로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되면서, 보조 배터리(26)는 전자 기기(28)(예를 들어, 차량 내 블랙박스)로 전원을 공급하여, 블랙박스가 녹화 동작 등을 수행하게 된다.
차량의 시동 오프 시에는, 스위칭부(500)가 오프(OFF) 됨으로써, 메인 배터리(22)로부터 보조 배터리(26)로의 전원 공급 또는 보조 배터리(26)로부터 메인 배터리(22)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배터리(26)는 차량의 시동 온 중에 지속적으로 충전된 공급 전원을 가진 상태에서, 시동이 오프 되어도, 전자 기기(28)(예를 들어, 차량 내 블랙박스)로 전원을 공급하여, 블랙박스가 녹화 동작 등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시스템에서는, 메인 배터리(2)로부터 보조 배터리(26)로 공급 전원이 소모되지 않아 메인 배터리(2)의 충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스탑 앤 고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내 블랙박스 등의 전자 기기(28)에 전원을 공급할 때에 차량의 시동 오프 시에 보조 배터리(26)가 충전 완료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상기 전자 기기(28)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차량 내 장치들 간의 연결 구성에 대한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보조 배터리(600)의 연결잭에 5개의 연결선들을 포함하여 구성된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보조 배터리(600) 케이블의 "1번" 연결선(IN +)은 차량 메인 배터리(610)의 + 단자에 연결되며, 보조 배터리(600) 내부에서 충전지의 + 단자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보조 배터리(600) 케이블의 "2번" 연결선(IN -)은 메인 배터리(610)의 - 단자에 연결되며, 보조 배터리(600) 내부에서 충전지의 - 단자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메인 배터리(610)와 보조 배터리(600)는 서로 병렬로 발전기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보조 배터리(600) 케이블의 "3번" 연결선(IN ACC)은 퓨즈 박스(620)의 ACC 단자에 연결되며, 그와 함께 전원 공급 제어 모듈(640)의 ACCin 단자와 연결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퓨즈 박스(620)의 ACC 단자와의 연결되는 별도의 선이 "3번" 연결선의 중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3번" 연결선은 보조 배터리(600)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회로 기판에 형성된 스위칭부(500)와 연결될 수 있다.
퓨즈 박스(620)의 ACC 단자에서는 차량의 시동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시동 상태 신호(ACC)가 출력되어, 상기 시동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ACC)가 보조 배터리(600)와 전원 공급 제어 모듈(640)로 입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보조 배터리(600)의 스위칭부(500)는, 퓨즈 박스(620)의 ACC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ACC)를 이용해,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동 온/오프 상태에 따라 보조 배터리(600)의 발전기 및 메인 배터리(610)와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 제어 모듈(640)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퓨즈 박스(620)로부터 시동 상태 신호(ACC)를 입력받아 블랙박스(630)로 전달하되, 상기 시동 상태 신호(ACC)가 온(ON)에서 오프(OFF)로 변경된 시점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시동 상태 신호(ACC)를 온(ON)으로 생성하여 블랙박스(630)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블랙박스(630)는, 시동 상태 신호(ACC)를 이용해, 차량의 시동 온/오프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을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량의 시동 온 시에는 "상시녹화모드(또는 주행모드)"로 동작하여 동영상 촬영 및 저장을 계속하다가 차량의 시동 오프 시에는 "주차모드"로 동작하여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에만 동영상 촬영 및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보조 배터리(600) 케이블의 "4번" 연결선(OUT -)은 전원 공급 제어 모듈(640)을 통해 블랙박스(630)의 - 단자에 연결되고, "5번" 연결선(OUT +)은 전원 공급 제어 모듈(640)을 통해 블랙박스(630)의 +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제어 모듈(640)은, 보조 배터리(600)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보조 배터리(600)의 출력 전압을 블랙박스(630)로 전달하고, 보조 배터리(600)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에는 부스트 회로(641)를 이용해 보조 배터리(600)의 출력 전압을 기준 전압 이상으로 증가시켜 블랙박스(630)로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 중 적어도 일부 단계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차량에 구비된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 온 시 구동되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발전기;
    상기 발전기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되는 메인 배터리;
    상기 발전기에 상기 메인 배터리와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발전기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충전되며, 상기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와 상기 전자 기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상기 전자 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상태를 나타내는 시동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자 기기로 전달하되, 상기 시동 상태 신호가 온(ON)에서 오프(OFF)로 변경된 시점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시동 상태 신호를 온(ON)으로 생성하여 상기 전자 기기로 출력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상태 신호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퓨즈 박스의 ACC 단자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제어 모듈로 입력되는 차량용 전원 공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시동 상태 신호를 온(ON)으로 생성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시동 상태 신호를 온(ON)으로 생성하여 상기 전자 기기로 출력한 시점부터 제2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오프(OFF)로 입력되는 시동 상태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달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상기 전자 기기로 전달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에는 승압 회로를 이용해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상기 기준 전압 이상으로 증가시켜 상기 전자 기기로 출력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보조 배터리의 상기 발전기 및 상기 메인 배터리와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시동 상태 신호가 온(ON)인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가 상기 발전기와 연결되도록 스위칭되어 상기 발전기로부터 상기 보조 배터리로 전기 에너지가 제공되도록 하며, 상기 시동 상태 신호가 오프(OFF)인 경우에는 상기 보조 배터리가 상기 메인 배터리와 연결되지 않도록 스위칭되어 상기 메인 배터리와 상기 보조 배터리 사이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차량용 전원 공급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블랙박스인 차량용 전원 공급 시스템.
  9. 차량에 구비된 보조 배터리와 전자 기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상기 전자 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상태를 나타내는 시동 상태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부;
    상기 입력되는 시동 상태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신호출력부;
    상기 시동 상태 신호가 온(ON)에서 오프(OFF)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 시점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전자 기기로 전달될 시동 상태 신호를 온(ON)으로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상기 전자 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전원출력부;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전자 기기로 전달될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상기 기준 전압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승압 회로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상태 신호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퓨즈 박스의 ACC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전원 공급 제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생성부는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시동 상태 신호를 온(ON)으로 생성하는 전원 공급 제어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부는
    상기 신호생성부에서 온(ON)으로 생성된 시동 상태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출력한 시점부터 제2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신호입력부를 통해 오프(OFF)로 입력되는 시동 상태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달하는 전원 공급 제어 장치.
  13. 차량에 구비된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자 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 온/오프(ON/OFF) 상태를 나타내는 시동 상태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시동 상태 신호를 상기 전자 기기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기준 전압 미만인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상기 기준 전압 이상으로 증가시켜 상기 전자 기기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되는 시동 상태 신호가 온(ON)에서 오프(OFF)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 시점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시동 상태 신호가 온(ON)으로 생성되어 상기 전자 기기로 출력되는 전원 공급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상태 신호는
    상기 보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온(ON)으로 생성되는 전원 공급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온(ON)으로 생성된 시동 상태 신호가 상기 전자 기기로 출력된 시점부터 제2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오프(OFF)로 입력되는 시동 상태 신호가 상기 전자 기기로 전달되는 전원 공급 제어 방법.
KR1020180017801A 2018-02-13 2018-02-13 차량용 전원 공급 시스템,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01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801A KR102001509B1 (ko) 2018-02-13 2018-02-13 차량용 전원 공급 시스템,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801A KR102001509B1 (ko) 2018-02-13 2018-02-13 차량용 전원 공급 시스템,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509B1 true KR102001509B1 (ko) 2019-07-18

Family

ID=67469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801A KR102001509B1 (ko) 2018-02-13 2018-02-13 차량용 전원 공급 시스템,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5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3947A1 (ko) * 2019-08-22 2021-02-25 주식회사 만도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CN113696840A (zh) * 2021-07-14 2021-11-26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配电方法、系统及汽车
CN115313550A (zh) * 2022-08-09 2022-11-08 基洛智能(深圳)有限公司 一种车载电子设备的智能供电方法
CN117068072A (zh) * 2023-09-19 2023-11-17 浙江天通电子信息材料研究院有限公司 基于互联网的机动车启动辅助系统及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5975A (ko) * 2006-09-19 2008-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KR20100095248A (ko) * 2009-02-20 2010-08-30 박영한 차량용 전력 관리 장치
KR20130063617A (ko) * 2011-12-07 2013-06-1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의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KR101421506B1 (ko) * 2013-01-28 2014-07-22 주식회사 동남 차량용 블랙박스 전원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5975A (ko) * 2006-09-19 2008-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KR20100095248A (ko) * 2009-02-20 2010-08-30 박영한 차량용 전력 관리 장치
KR20130063617A (ko) * 2011-12-07 2013-06-1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의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KR101421506B1 (ko) * 2013-01-28 2014-07-22 주식회사 동남 차량용 블랙박스 전원공급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3947A1 (ko) * 2019-08-22 2021-02-25 주식회사 만도 시스템의 전원 공급 장치
CN113696840A (zh) * 2021-07-14 2021-11-26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配电方法、系统及汽车
CN115313550A (zh) * 2022-08-09 2022-11-08 基洛智能(深圳)有限公司 一种车载电子设备的智能供电方法
CN117068072A (zh) * 2023-09-19 2023-11-17 浙江天通电子信息材料研究院有限公司 基于互联网的机动车启动辅助系统及其方法
CN117068072B (zh) * 2023-09-19 2024-02-09 浙江天通电子信息材料研究院有限公司 基于互联网的机动车启动辅助系统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509B1 (ko) 차량용 전원 공급 시스템,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8063469B (zh) 电池过放电防止装置
KR102308656B1 (ko) 배터리 팩, 배터리 팩의 관리 방법, 및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차량
KR20180045954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70727B1 (ko) 차량용 보조 전원 공급 장치, 그를 이용한 차량 배터리 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07024A (ko) 차량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JP2009033843A (ja) 充電装置および充電方法
JP5532859B2 (ja) 電源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異常判定方法
JP2005160233A (ja) 組電池及び電池パック
CN107399287B (zh) 用于助推启动的车辆电力系统
KR100584324B1 (ko) 복합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JP2010239860A (ja) 電池パック及び充電器システム
JP5339961B2 (ja)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制御装置及びバッテリシステム
CN103339818B (zh) 充电器
WO2020153199A1 (ja) 電源システム
US9923397B2 (en) Battery pack,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battery
JP2017197117A (ja) 電源制御装置
JP4435000B2 (ja) 電池制御回路、該電池制御回路を備えた電子機器、充電制御プログラム、充電制御方法
WO2017191818A1 (ja) 電源装置
JP2004260909A (ja) 多入力電源の充電装置
JP2009033795A (ja) 充電装置およびこの充電装置を備えた充電式電動器具セット
JP5288435B2 (ja) 二次電池パック
JP2022047802A (ja) 電子機器、電池パック、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287092A (ja) 充電装置及びこの充電装置を備えてなる充電式電動器具セット
JP2006311799A (ja) 電池パック充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