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433B1 - 가향커피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향커피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433B1
KR102646433B1 KR1020230065399A KR20230065399A KR102646433B1 KR 102646433 B1 KR102646433 B1 KR 102646433B1 KR 1020230065399 A KR1020230065399 A KR 1020230065399A KR 20230065399 A KR20230065399 A KR 20230065399A KR 102646433 B1 KR102646433 B1 KR 102646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coffee beans
water
beans
dr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5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선
Original Assignee
윤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선 filed Critical 윤기선
Priority to KR1020230065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 A23F5/46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coffee flavour or coffee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6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 A23F5/267Extraction of water-soluble constituents using additives, specific extraction media or specific coffee ble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렌딩 원두를 분쇄하는 분쇄단계, 분쇄된 원두를 드립퍼에 배치하는 원두배치단계, 드립퍼에 가향재료를 배치하는 가향재배치단계, 드립서버에 드립퍼를 배치하고, 소정 양의 물을 드립퍼에 1차로 붓는 1차드립핑단계, 및 드립퍼에 소정 양의 물을 복수 회 나눠 붓는 2차드립핑단계를 포함하여, 커피와 과일의 맛과 향을 입체적으로 제공하여 더욱 풍성한 맛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향커피 제조 방법{THE MAKING METHOD FOR FLAVORED COFFEE}
본 발명은 가향커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풍성한 맛을 제공하는 가향커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두커피는 로스팅된 원두커피(roasted coffee beans)로 원두를 배전하여 분쇄한 다음 뜨거운 물로 추출해서 먹는 커피인데, 향미가 우수한 것이 특징이어서 개인의 취향에 따라 원두의 종류를 선택하여 즐길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커피 애호가의 사랑을 받고 있다. 커피는 기본적으로 기호 식품이기 때문에 영양가나 기능성보다는 향미를 즐기기 위하여 마시며, 배전된 원두커피가 이런 목적에 잘 어울려 여러 나라에서 많은 양이 소비되고 있다.
커피는 그 자체로 단맛, 신맛, 쓴맛, 바디감 등 여러가지 맛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사람들이 존재하는 바, 사람에 따라 다양한 기호가 존재한다. 특히, 커피와 이에 어떤 향을 더하여 새로운 풍미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 커피를 로스팅하고, 이를 추출하는 기술 만이 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원두의 풍미에 가향하여 풍성한 맛을 제공하는 가향커피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향커피 제조 방법은, 블렌딩 원두를 분쇄하는 분쇄단계, 분쇄된 원두를 드립퍼에 배치하는 원두배치단계, 드립퍼에 가향재료를 배치하는 가향재배치단계, 드립서버에 드립퍼를 배치하고, 소정 양의 물을 드립퍼에 1차로 붓는 1차드립핑단계, 및 드립퍼에 소정 양의 물을 복수 회 나눠 붓는 2차드립핑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원두와 제2원두를 블렌딩하여 블렌딩 원두를 만드는 블렌딩단계를 더 포함하며, 블렌딩단계에서, 제1원두는 콜롬비아 후일라산이며, 제2원두는 에티오피아 예가체프 모모라산이고, 블렌딩 원두는 60%의 제1원두와 40%의 제2원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향재배치단계에서, 가향재료는 녹차와 샤인머스캣농축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쇄단계에서, 20g의 블렌딩 원두가 분쇄되며, 1차드립핑단계에서, 20g의 물을 나선형으로 붓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1차드립핑단계와 2차드립핑단계 사이에 25초간 시간을 경과시키는 퍼미에이팅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2차드립핑단계에서, 드립서버에 130g의 커피가 추출될 때까지, 물은 3회로 나눠 나선형으로 붓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피와 가향 재료의 맛과 향을 입체적으로 제공하여 더욱 풍성한 맛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향커피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가향커피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향커피 제조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향커피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향커피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핵심 구성과 관련이 없는 경우 및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구성과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향커피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향커피 제조 방법(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가향커피 제조 방법(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향커피 제조 방법은 분쇄단계(S10), 원두배치단계(S20), 가향재배치단계(S30), 1차드립핑단계(S40) 및 2차드립핑단계(S50)를 포함한다. 분쇄단계(S10)에서 블렌딩 원두는 분쇄된다. 블렌딩 원두는 드립커피 크기로 분쇄될 수 있다.
원두배치단계(S20)에서 분쇄된 원두는 드립퍼(2)에 배치된다. 즉, 분쇄된 원두를 드립퍼(20)에 넣는다. 드립퍼(2)는 하리오 회사에서 제작된 드립퍼(2)일 수 있다. 가향재배치단계(S30)에서 드립퍼(2)에 가향재료가 배치된다. 가향재료는 분쇄된 원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가향재료를 분쇄된 원두 상에 뿌린다.
1차드립핑단계(S40)에서 드립서버(3)에 드립퍼(2)를 배치하고, 소정 양의 물을 드립퍼(2)에 1차로 붓는다. 물은 나선형으로 붓는다. 바람직하게 물의 온도는 섭씨 91도 일 수 있다. 드립서버(3)는 얼음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섭씨 91도의 물이 블렌딩 원두와 가향재료와 접촉하여, 블렌딩 원두와 가향재료의 향을 충분히 녹여 흡수할 수 있다. 이후, 물이 드립될 시, 드립서버(3)의 얼음에 낙하하여 차갑게 온도 저하될 수 있다.
2차드립핑단계(S50)에서 드립퍼(2)에 소정 양의 물을 복수 회 나눠 붓는다. 이에 의해, 커피 향에 가향재료의 향이 어우러져, 커피와 과일의 맛과 향을 입체적으로 제공하여 더욱 풍성한 맛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향커피 제조 방법(1)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향커피 제조 방법(1)은 블렌딩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렌딩단계(S60)에서, 제1원두와 제2원두를 블렌딩하여 블렌딩 원두를 만들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제1원두는 콜롬비아 후일라산이며, 제2원두는 에티오피아 예가체프 모모라산일 수 있다. 또한, 블렌딩 원두는 60%의 제1원두와 40%의 제2원두를 포함한다.
가향재배치단계(S30)에서, 가향재료는 녹차와 샤인머스캣농축분말을 포함한다. 녹차는 녹차 분말일 수 있다. 샤인머스캣농축분말은 샤인머스캣착즙액, 백포도농축액, 덱스트린, 아라비아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향재료는 효소처리스테비아, 수크랄로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향커피 제조 방법(1)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향커피 제조 방법(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향커피 제조 방법(1)은 퍼미에이팅단계(S70)를 더 포함한다. 퍼미에이팅단계(S70)에서 1차드립핑단계(S40)와 2차드립핑단계(S50) 사이에 25초간 시간이 경과된다. 즉, 1차로 물을 드립퍼(2)에 부은 후 25초 후에 2차로 물을 드립퍼(2)에 붓는다. 따라서, 1차로 드립퍼(2)에 부어진 물이 가향재료를 거쳐 분쇄된 원두 입자에 함유된다. 이에 의해, 1차로 부어진 물이 허니컴 형태의 원두 입자에 흡수되어, 퍼미에이팅을 통해 커피의 향 등이 충분히 획득될 수 있다.
2차드립핑단계(S50)에서, 드립서버(3)에 130g의 커피가 추출될까지 물은 3회로 나눠 나선형으로 붓는다. 드립서버(3)는 질량계 상에 배치되어, 질량이 측정될 수 있다. 130g의 커피로 최적의 농도와 향을 가지는 커피를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첫번째 물은 1차드립핑단계 후 25초 경과 시에 나선형으로 부어질 수 있다. 두번째 물은 첫번째 물을 부은 후 15초 내지 25초 경과 후 나선형으로 부어질 수 있다. 세번째 물은 두번째 물을 부은 후 15초 내지 25초 경과 후 나선형으로 부어질 수 있다.
한편, 분쇄단계(S10)에서, 20g의 블렌딩 원두가 분쇄된다. 1차드립핑단계(S40)에서, 20g의 물을 나선형으로 붓는다. 블렌딩 원두와 동일한 양의 물이 1차로 드립핑되어, 드립핑된 물 전체가 블렌딩 원두에 함유되게 된다. 즉, 물이 블렌딩 원두에 함유되어 드립서버(3)에 낙하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블렌딩 원두의 맛과 향을 최대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두 로스팅 방법은 드럼가열단계, 생두투입단계, 제1화력증가단계, 제1로스팅단계, 제1화력감소단계, 제2로스팅단계, 제2화력증가단계, 배출단계 및 냉각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화력증가단계는 첫번째 화력 증가 단계이며, 제1화력감소단계는 첫번째 화력 감소 단계이고, 제2화력증가단계는 두번째 화력 증가 단계이다.
드럼가열단계에서, 로스터기의 드럼의 내부온도는 제1화력으로 섭씨 220도까지 가열될 수 있다. 제1화력은 25% 화력일 수 있다. 생두투입단계에서, 드럼에 생두가 투입된다. 생두는 케냐산 생두, 브라질산 생두, 콜롬비아산 생두, 과테말라산 생두, 인도네시아산 생두, 베트남 생두, 에티오피아 생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화력증가단계에서, 제1화력이 제2화력으로 증가될 수 있다. 제2화력은 90% 화력일 수 있다. 제1로스팅단계에서, 생두는 제2화력으로 로스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생두는 섭씨 200도 이상으로 가열되어 로스팅될 수 있다. 제1화력감소단계에서, 생두 투입(시점)으로부터 제1시간 경과 후, 제2화력이 제3화력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제2로스팅단계에서, 생두는 제3화력으로으로 로스팅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시간은 10분 5초 내지 10분 10초 일 수 있다. 제1시간은 10분 5초 내지 10분 10초의 범위에서 생두의 종류(원산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스팅된 생두(원두)는 제1시간 경과 시 1차 크랙이 시작된다. 바람직하게 제3화력은 50% 화력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2로스팅단계에서, 생두는 1분 동안 로스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폭발(1차 크랙) 시간이 약 1분 이상 지연되어, 원두가 향을 머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향 및 향미가 오랜 시간 보존될 수 있다.
제2화력증가단계에서, 제3화력에서 제2화력으로 증가될 수 있다. 즉, 생두(원두)는 50% 화력으로 1분 동안 로스팅된 후, 90% 화력으로 증가된다. 이에 의해, 원두에 대한 전체적인 1차 크랙이 확보될 수 있다. 배출단계(S80)에서, 로스팅된 원두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된다. 일 실시 예로, 로스팅된 원두는 생두 투입(시점)으로부터 제2시간 경과 후 배출될 수 있다. 제2시간은 12분 내지 12분 10초 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원두의 2차 크랙의 발생 전 로스팅을 마치거나, 2차 크랙이 깊게 발생되지 않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너무 깊은 2차 크랙으로 인한 쓴맛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원두의 풍미는 물론, 신맛, 단맛 및 적당한 바디감이 확보될 수 있다. 냉각단계에서, 배출된 원두는 냉각된다.
드럼가열단계는 제1예열단계, 감열단계 및 제2예열단계를 포함한다. 제1예열단계에서, 드럼의 내부온도는 제1화력으로 섭씨 250도까지 예열될 수 있다. 감열담계에서, 드럼의 내부온도는 0% 화력으로 섭씨 250도에서 섭씨 175도까지 감열될 수 있다. 제2예열단계에서, 드럼의 내부온도는 제1화력으로 섭씨 175도에서 섭씨 220도까지 예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드럼의 내부온도를 과열없이 신속하게 로스팅 온도로 예열할 수 있다. 또한, 드럼 뿐만 아니라 드럼의 내부까지 전체적으로 로스팅 온도로 예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두 로스팅 방법은 생두예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생두예열단계에서, 생두 투입(시점) 후 25% 화력으로 1분 동안 생두가 예열될 수 있다. 소정 양의 생두가 섭씨 220도 드럼에 투입된 시점에, 드럼의 내부 온도는 220도이나, 소정 양의 생두들은 드럼 외부 보관 장소의 온도를 가진다. 즉, 생두들 대부분은 드럼과 달리 섭씨 20도(보관 장소 온도) 정도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드럼과 생두들 온도가 다른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을 수행하면, 생두들에 대한 1차 크랙이나, 2차 크랙에 대한 발생 시점, 정도 등이 달려져 커피 원두의 풍미가 확보될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에서 로스터기는 드럼 내부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관과 배기관에 배치된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는 배기관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댐퍼는 80%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댐퍼는 소정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화력만을 조절하여 로스팅할 수 있다. 따라서, 로스팅 방법이 용이하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라 로스팅된 제1원두와 제2원두를 6:4 비율로 블렌딩 하였다. 제1원두는 콜럼비아 후일라산이며, 제2원두는 에티오피아 예가체프 모모라산이다. 20g의 블렌딩 원두를 분쇄하여 드립퍼(2)에 넣고, 가향재료를 블렌딩 원두 상에 배치하였다. 가향재료는 녹차와 샤인머스캣농축분말을 포함한다. 20g의 물을 1차로 나선형으로 부었다. 25초 후, 드립서버(3)에 130g의 커피가 추출될 때까지, 물을 3회로 나눠 나선형으로 부었다.
비교예1
실시예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나, 비교예2에서는 콜럼비아산 원두 하나만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본 발명에 따라 커피를 추출하고, 평소 커피를 즐기는 일반소비자 20명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원두풍미, 가향풍미 및 어울림정도를 조사하였으며, 20명의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5점 만점으로 조사되었다.
시험예의 결과
구분 원두풍미 가향풍미 어울림정도
실시예 4.6 4.7 4.4
비교예1 4.0 - -
시험예의 결과와 같이, 원두풍미에서 실시 예는 비교예1과 비교하여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즉, 실시 예에 의한 커피가 원두의 풍미가 더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가향재료에 의한 가향풍미도 4.7로 비교적 잘 획득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원두와 가향의 어울림정도도 4.4로 원두와 가향의 어울림도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가향커피 제조 방법
2 : 드립퍼
3 : 드립서버
S10 : 분쇄단계
S20 : 원두배치단계
S30 : 가향재배치단계
S40 : 1차드립핑단계
S50 : 2차드립핑단계

Claims (6)

  1. 블렌딩 원두를 분쇄하는 분쇄단계;
    분쇄된 원두를 드립퍼에 배치하는 원두배치단계;
    드립퍼에 가향재료를 배치하는 가향재배치단계;
    드립서버에 드립퍼를 배치하고, 소정 양의 물을 드립퍼에 1차로 붓는 1차드립핑단계; 및
    드립퍼에 소정 양의 물을 복수 회 나눠 붓는 2차드립핑단계를 포함하며,
    제1원두와 제2원두를 블렌딩하여 블렌딩 원두를 만드는 블렌딩단계를 더 포함하며,
    블렌딩단계에서,
    제1원두는 콜롬비아 후일라산이며,
    제2원두는 에티오피아 예가체프 모모라산이고,
    블렌딩 원두는 60%의 제1원두와 40%의 제2원두를 포함하고,
    가향재배치단계에서,
    가향재료는 녹차와 샤인머스캣농축분말을 포함하며,
    분쇄단계에서,
    20g의 블렌딩 원두가 분쇄되며,
    1차드립핑단계에서,
    20g의 물을 나선형으로 붓고,
    1차드립핑단계와 2차드립핑단계 사이에 25초간 시간을 경과시키는 퍼미에이팅단계를 더 포함하며,
    2차드립핑단계에서,
    드립서버에 130g의 커피가 추출될 때까지, 물을 3회로 나눠 붓되, 첫번째 물은 1차드립핑단계 후 25초 경과 후 나선형으로 부어지며, 두번째 물은 첫번째 물을 부은 후 15초 내지 25초 경과 후 나선형으로 부어지고, 세번째 물은 두번째 물을 부은 후 15초 내지 25초 경과 후 나선형으로 부어지며,
    원두를 로스팅하는 로스팅단계를 더 포함하며,
    로스팅단계는,
    로스터기의 드럼의 내부온도를 제1화력으로 섭씨 220도까지 가열하는 드럼가열단계;
    생두를 드럼에 투입하는 생두투입단계;
    제1화력을 제2화력으로 증가시키는 제1증가단계;
    생두를 제2화력으로 로스팅하는 제1로스팅단계;
    생두 투입으로부터 제1시간 경과 후, 제2화력을 제3화력으로 감소시키는 제1감소단계;
    생두를 제1화력 보다 크고, 제2화력 보다 작은 제3화력으로 로스팅하는 제2로스팅단계;
    제3화력을 제2화력으로 증가시키는 제2증가단계; 및
    로스팅된 원두를 생두 투입으로부터 12분 내지 12분 10초 경과 후 드럼으로부터 배출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가향 커피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30065399A 2023-05-22 2023-05-22 가향커피 제조 방법 KR102646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399A KR102646433B1 (ko) 2023-05-22 2023-05-22 가향커피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399A KR102646433B1 (ko) 2023-05-22 2023-05-22 가향커피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433B1 true KR102646433B1 (ko) 2024-03-11

Family

ID=90248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5399A KR102646433B1 (ko) 2023-05-22 2023-05-22 가향커피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43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607A (ko) * 2003-04-01 2004-10-08 (주)현덕비엔티 녹차 추출물과 커피 추출물로 이루어진 녹차커피
KR20140137199A (ko) * 2013-05-22 2014-12-02 여주현 커피추출액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50173390A1 (en) * 2012-06-29 2015-06-25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Aromatization of coffee
KR20150101842A (ko) * 2014-02-27 2015-09-04 김혜진 허브 더치커피 제조방법
KR20170001028A (ko) * 2015-06-25 2017-01-04 주식회사 파라모네 한라봉 분말을 함유하는 커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커피
KR20200069949A (ko) * 2018-12-07 2020-06-17 박영희 드립커피의 제조방법
KR20210123000A (ko) * 2020-04-02 2021-10-13 신민식 핸드드립 커피의 제조방법
KR20230029493A (ko) * 2021-08-24 2023-03-03 최정현 커피 원액을 단계적으로 추출하여 맛과 성분을 분리하는 추출방법
KR20230043456A (ko) * 2021-09-24 2023-03-31 김병규 과일 분말을 함유하는 캡슐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607A (ko) * 2003-04-01 2004-10-08 (주)현덕비엔티 녹차 추출물과 커피 추출물로 이루어진 녹차커피
US20150173390A1 (en) * 2012-06-29 2015-06-25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Aromatization of coffee
KR20140137199A (ko) * 2013-05-22 2014-12-02 여주현 커피추출액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101842A (ko) * 2014-02-27 2015-09-04 김혜진 허브 더치커피 제조방법
KR20170001028A (ko) * 2015-06-25 2017-01-04 주식회사 파라모네 한라봉 분말을 함유하는 커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커피
KR20200069949A (ko) * 2018-12-07 2020-06-17 박영희 드립커피의 제조방법
KR20210123000A (ko) * 2020-04-02 2021-10-13 신민식 핸드드립 커피의 제조방법
KR20230029493A (ko) * 2021-08-24 2023-03-03 최정현 커피 원액을 단계적으로 추출하여 맛과 성분을 분리하는 추출방법
KR20230043456A (ko) * 2021-09-24 2023-03-31 김병규 과일 분말을 함유하는 캡슐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812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artially roasted coffee beans and a combination roasting and brewing device
TWI660677B (zh) 提升口味與香味之飲料及其製造方法
KR101850603B1 (ko) 커피 생두의 로스팅 방법
KR101722361B1 (ko) 커피 원두의 로스팅 방법
WO2016038479A1 (en) Process for making coffee beverages with less bitterness, and apparatus for making caffè depurato
KR102646433B1 (ko) 가향커피 제조 방법
JP5324617B2 (ja) コーヒーの抽出方法及びコーヒー抽出装置
KR20210022336A (ko) 대두콩을 함유한 커피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11432A (ko) 원두커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140137199A (ko) 커피추출액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99108B1 (ko) 커피생두의 초저온 로스팅에 의한 클로로겐산 함량이 증진된 그린 커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95695B1 (ko) 드립커피의 제조방법
JP2000175623A (ja) コーヒー飲料の製造方法
KR20190095069A (ko)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798969B (zh) 研磨冲调咖啡包的制作工艺
JP2008295398A (ja) コーヒーの抽出方法及びコーヒー抽出装置
KR20160006070A (ko) 저온 추출법을 이용한 저카페인 커피원두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캡슐 커피의 제조 방법
KR101061557B1 (ko) 기호성이 우수한 원두커피 제조 방법 및 그 제품
JP2007252376A (ja) 風味の消失を低減可能なコーヒー製造方法およびそのコーヒーアイスブロック
KR101851369B1 (ko) 흑삼화 가공 커피원두의 제조 방법
JP6777990B2 (ja) コーヒー飲料の製造方法およびコーヒー飲料の品質改善方法
JP2021023258A (ja) 焙煎コーヒー豆の製造方法
KR102432726B1 (ko) 맥문동 커피 제조방법
JPH1118738A (ja) 豆類焙煎健康飲料
KR102289191B1 (ko) 에스프레소 룽고큐브를 이용한 에스프레소 샤케라토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