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5069A -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5069A
KR20190095069A KR1020180075897A KR20180075897A KR20190095069A KR 20190095069 A KR20190095069 A KR 20190095069A KR 1020180075897 A KR1020180075897 A KR 1020180075897A KR 20180075897 A KR20180075897 A KR 20180075897A KR 20190095069 A KR20190095069 A KR 20190095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s
coffee
tea
coffee composi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현숙
Original Assignee
양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1394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21013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4484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46929A/ko
Application filed by 양현숙 filed Critical 양현숙
Publication of KR20190095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2Treating green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8Methods of grinding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 A23F5/46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coffee flavour or coffee oi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와 콩을 혼합한 커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콩을 가공하여 커피와 함께 로스팅 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든 다음, 커피와 콩의 혼합물을 추출한 커피를 마심으로써 콩의 영양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고, 전체적인 풍미가 개선된 커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ffee composi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커피와 콩을 함께 로스팅하여 제조되는 커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콩을 가공하여 커피와 함께 로스팅 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든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대표적 기호식품인 커피는 볶음으로 생성되는 특유의 향과 맛으로 전세계에 걸쳐 널리 애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피는 쓴맛, 신맛, 단맛, 떫은맛 등 다양한 맛을 가지고 있는데, 커피의 쓴맛은 카페인, 떫은맛은 탄닌, 신맛은 지방산, 단맛은 당질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커피에 다량 함유된 카페인은 중추 신경계를 자극하여 정신을 맑게 하고, 심장의 기능을 촉진하며 이뇨제의 작용을 하여 소변의 양을 늘리는 등의 이로운 효과도 있지만, 과다 섭취시에는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거나 두통 발생의 원인이 되거나 수면 장애를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어린이와 임산부 및 기타 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들에게 커피를 기피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카페인의 부작용을 해소하면서 커피 특유의 맛과 향을 즐기기 위한 노력으로 커피에 다른 부재료를 혼합하여 커피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이 고안되고 있다. 일례로 이탈리아에선 보리를 강하게 볶음으로서 얻는 보리추출분말을 이용한 오르조 차(茶)가 예로부터 커피의 대체음료로서 자리를 잡고 있었으며, 보리를 활용한 커피대체 음료에 관한 연구로는 ‘맥주 보리를 이용한 대용커피의 제조방법 (국내 등록특허 제10-0031633호)’이 제안된 바 있다.
콩은 다량의 단백질뿐만 아니라, 비타민 B. 식이섬유, 무기질 등을 포함하고 있어 영양식품으로 많은 사람들이 섭취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을 낮추며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고밀도지방단백질(HDL) 콜레스테롤을 높인다는 결과가 보고 되었으며, 이외에도 체중 감량, 골밀도 증강, 유방암 발병률 감소 등의 건강 효과를 지니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별도로 가공되지 않은 콩은 본래의 딱딱한 성질 때문에, 단순히 커피와 콩을 혼합하여 일반적인 커피 로스팅 과정을 거치는 것만으로는 콩의 특유한 맛과 영양분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현대인들이 매일 즐겨 마시는 커피에 콩을 첨가하여 콩의 영양분을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카페인 함량을 줄이고, 풍미를 개선하여 기호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킨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커피 원두 및 콩을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커피 원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콩 25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콩의 영양분을 쉽게 섭취할 수 있고 풍미가 증진된 커피 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조성물은, 커피 원두와 콩을 혼합하여 한 번에 추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콩의 영양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해준다. 뿐만 아니라, 콩과 커피가 함께 로스팅 됨으로써 기존의 커피 원두만을 로스팅한 커피에서는 느낄 수 없었던 풍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조성물은 커피 원두에 콩이 포함됨으로써 카페인으로 인한 불면증 현상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조성물은 차를 포함함으로써, 커피 조성물을 추출한 음료의 색을 보다 아름답게 만들 뿐만 아니라, 차의 풍미가 더해져서 맛과 향이 개선되고, 카페인에 의한 위장장애를 막을 수 있는 효능이 더해진 커피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라비카 원두와 뻥튀기 기계 및 방앗간 기계를 이용하여 가공한 강낭콩을 혼합한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라비카 원두, 팥, 메리골드 잎을 혼합하여 추출한 커피 음료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라비카 원두, 쥐눈이 콩, 링곤베리를 혼합하여 추출한 커피 음료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리비카 원두, 검은콩을 혼합하여 추출한 커피 음료의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조성물은 상기 커피 원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콩 25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조성물의 각 성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커피 원두
커피 원두는 크게 아라비카 원두, 로부스타 원두, 리베리카 원두 3가지로 분류된다. 원두의 종류에 따라 커피 맛을 평가하는 요소인 신맛, 단맛, 쓴맛, 바디감, 아로마, 플레이버가 달라진다.
현재 가장 많은 생산량을 차지하고 있는 원두는 아라비카 원두이다. 해발 800m 이상의 고산지나 고원에서 생산되는 고급 품종 커피를 통틀어 아라비카라고 한다. 아라비카 원두로부터 추출된 커피는 다른 품종의 원두로부터 추출된 커피보다 맛이 부드러우며, 단맛과 신맛이 골고루 베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다른 커피 원두에 비하여 카페인의 함유량이 적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조성물은 아라비카 원두, 로부스타 원두 및 리베리카 원두가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라비카 원두가 포함될 수 있다.
농작물 중 하나인 콩은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고 불릴 정도로 단백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식품으로, 구체적으로 40%의 지방, 33%의 단백질 및 27% 탄수화물의 영양소로 구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콩은 비타민 B군을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별도로 가공되지 않은 콩은 본래의 딱딱한 성질 때문에 날 것 자체로는 쉽게 섭취하지 못하고, 오랜 시간 물에 불려놓은 다음 콩밥, 두부, 두유, 비지 등의 형태로 흔히 섭취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콩을 고온 및 고압에서 익힘으로써 콩 속의 영양분이 쉽게 추출될 수 있는 형태로 만들고, 이후 상기 익힌 콩을 으깸으로써 커피 원두와 함께 추출될 수 있는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콩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검은콩, 쥐눈이콩, 울타리콩, 병아리콩, 팥, 완두콩 및 강낭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조성물은 상기 커피 원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콩 25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피 원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기재한 콩의 함량보다 많은 양이 포함되는 경우 커피 본연의 맛을 잃게 하는 문제점이 생기고, 상기 기재한 콩의 함량보다 적은 양이 포함되는 경우 콩의 풍미를 느끼게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이하에서는 상기 커피 조성물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성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차나무의 잎을 따서 만든 음료를 말한다. 차에는 항산화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차 추출물은 20%의 폴리페놀, 50%의 조 다당류, 3%의 카페인, 1%의 아미노산 등을 포함하며, 이중 폴리페놀과 아미노산이 차 맛에 주로 영향을 주는 성분이다. 통상적으로 차 추출물은 건조한 차 잎을 80℃ 이상의 고온에서 1시간 이상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여 제조한다.
차는 찻잎에 따라 분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대인들이 흔히 찾고 있는 차에는 녹차, 우롱차, 황차, 보이차, 홍차 등이 있다. 이 외에 찻잎의 형태에 따라서 엽차, 말차, 병차, 긴압차, 조리차 등으로 나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차는 커피와 콩의 혼합물에 포함되어 콩의 비린내를 잡아줌으로써 커피 조성물의 향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포함되는 찻잎의 색깔에 따라 최종 제조된 커피의 색깔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조성물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차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메리골드, 금준미, 루이보스, 수국, 목련화 및 매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조성물에 포함되는 차의 함량은 예를 들어, 커피 원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차가 상기 기재된 범위일 경우, 커피 본연의 맛과 향을 유지하면서, 차의 향을 가미하여 향미가 개선된 커피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커피 원두와 콩의 혼합물에 건조 과일을 더 포함시켜 함께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건조 과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건조된 형태의 딸기, 링곤베리, 아로니아베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건조되지 않은 과일은 다량의 액체가 추출됨으로써, 커피의 농도를 약화시키고 커피 고유의 맛을 저하시킬 수 있으나 건조된 형태의 과일은 커피 맛을 유지하면서 향을 맑고 진하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상기 커피 조성물은 복합베리시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복합베리시럽은 블루베리, 링곤베리 및 아로니아베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시럽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조성물에 포함되는 건조 과일의 함량은 예를 들어, 커피 원두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건조 과일이 상기 기재된 함량보다 적게 포함되는 경우 건조 과일의 맛과 향을 전혀 느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기재된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커피 본연의 맛을 저해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기재된 차와 건조 과일을 더 포함하는 경우,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추출된 커피 음료의 색감을 변화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커피 원두만을 추출한 커피 음료는 물의 함량에 따라 검은색 또는 갈색만을 가질 수 있었으나, 차와 건조 과일을 더 포함한 커피 조성물을 추출하는 경우, 차 또는 건조 과일의 색이 우러나와 기존 커피 음료에서는 볼 수 없었던 화려한 색감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또한 건조 과일 추출물이 포함되어 커피 음료가 비타민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수요자의 구매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조성물은, 커피 원두와 콩을 혼합한 후 추출한 형태를 이용할 수도 있고, 커피 원두와 콩을 각각 추출한 후 그 추출물을 혼합한 형태로 이용할 수도 있다. 커피 원두와 콩을 각각 추출한 후 그 추출물을 혼합한 경우에는 커피 원두와 콩의 비율을 보다 정확하게 맞추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커피 원두와 콩을 혼합한 후, 한번에 같이 분쇄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커피 원두로부터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커피 원두를 고온에서 가공하는 과정이 별도로 필요하다. 커피 원두가 열에 의해 조직이 팽창되고 화학 변화를 일으키면서 커피의 특유한 맛과 향을 내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로스팅(Roasting)이라 한다. 커피 생원두의 맛과 향이 원두의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나, 품종에 따른 차이보다는 커피 생원두를 볶는 과정이나 볶는 온도 및 시간에 따라 그 맛과 향이 크게 좌우된다.
본 발명은 커피 원두와 콩을 혼합하여 로스팅하고, 이를 한꺼번에 추출함으로써 커피의 맛과 콩의 구수한 향이 어우러짐으로써 감칠맛을 낼 수 있고, 또한 콩의 영양분을 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커피 원두와 달리 콩은 매우 단단하여 일반적인 커피 원두 로스팅 단계를 거치는 것만으로는, 추출이 용이한 형태의 콩을 만들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커피 원두와 콩을 혼합하기에 앞서 우선적으로 콩을,
(a) 750 내지 850℃ 및 0.7 내지 0.9MPa에서 12 내지 20분간 콩을 익히는 단계;
(b) 콩의 지름이 0.5cm 내지 1cm이 되도록 으깨는 단계; 및
(c) 으깬 콩을 100℃ 내지 120℃에서 5 내지 10분동안 볶는 단계:
로 가공함으로써 커피 원두와 함께 추출될 수 있는 형태의 콩을 제공한다.
(a)단계에서 750 내지 850℃의 고온 및 0.7 내지 0.9MPa의 고압 환경에서 콩이 튀겨지면, 콩 속에 공간이 생기면서 부피가 커지게 된다. 상기 (a)단계에서 이용할 수 있는 조리 도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례로 뻥튀기 기계일 수 있다.
이후 (b)단계에서 콩을 으깨면 커피 원두와 같이 분쇄될 수 있는 형태의 콩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콩의 지름은 0.5cm 내지 1cm이 되도록 으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단계에서 이용할 수 있는 조리 도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례로 방앗간 기계를 이용하여 콩을 으깰 수 있다.
(c)단계는 (a) 및 (b)단계 가공 이후, 콩을 별도로 5 내지 10분동안 볶아 콩 비린내를 제거함으로써, 콩이 커피 향과 잘 어우러질 수 있게 해준다. 상기 콩은 두께가 약 1cm 내지 2cm 정도의 두꺼운 철판에서 볶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으로 콩을 볶는 경우, 콩이 타지 않으면서도 잘 익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후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라비카 원두와 병아리콩이 혼합된 커피음료.
(a) 800℃ 및 0.8MPa에서 15분동안 병아리콩 200g을 익힌다.
(b) 상기 (a)단계를 거친 병아리콩을 콩의 지름이 0.5cm 내지 1cm이 되도록 으깬다.
(c) 상기 (b)단계를 거친 병아리콩을 100℃에서 7분동안 볶는다.
(d) 상기 (c)단계를 거친 병아리콩을 아라비카 원두 600g과 혼합한 후 100℃에서 3분간 볶는다.
(e) 상기 (d)단계에서 획득한 아라비카 원두과 병아리 콩의 혼합물을 0.5 내지 1mm 입자크기로 분쇄한다.
(f) 상기 (e)단계에서 획득한 분쇄된 혼합물을 커피 추출 기계(밀리타社)를 사용해 추출하여 커피음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2. 아라비카 원두, 병아리콩 및 메리골드 차가 혼합된 커피음료.
(a) 800℃ 및 0.8MPa에서 15분동안 병아리콩 200g을 익힌다.
(b) 상기 (a)단계를 거친 병아리콩을 콩의 지름이 0.5cm 내지 1cm이 되도록 으깬다.
(c) 상기 (b)단계를 거친 병아리콩을 100℃에서 7분동안 볶는다.
(d) 상기 (c)단계를 거친 병아리콩을 아라비카 원두 600g과 혼합한 후 100℃에서 3분간 볶는다.
(e) 상기 (d)단계에서 획득한 아라비카 원두과 병아리콩의 혼합물을 0.5 내지 1mm 입자크기로 분쇄한다.
(f) 상기 (e)단계에서 획득한 분쇄된 혼합물에 메리골드 잎 20g을 첨가한 후 커피 추출 기계(밀리타社)를 사용해 추출하여 커피음료를 제조한다.
실시예 3. 아라비카 원두, 병아리콩 및 목련화 차가 혼합된 커피음료.
상기 실시예 2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 메리골드 잎을 대신하여 목련화 잎 20g을 첨가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단계를 진행하여 커피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아라비카 원두, 병아리콩, 메리골드 차 및 건조된 딸기가 혼합된 커피음료.
상기 실시예 2에 있어서, 상기 (f)단계에서 메리골드 잎 20g과 건조된 딸기 40g을 같이 첨가한 후 추출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단계를 진행하여 커피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아라비카 원두 및 가공하지 않은 병아리콩을 혼합한 커피 음료.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별도로 콩을 가공하는 (a) 내지 (c)단계를 거치지 않고, 병아리콩 200g과 아라비카 원두 600g을 혼합한 후 (d) 내지 (f)단계를 진행하여 커피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커피 원두만을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음료의 제조방법
(a) 아라비카 원두 600g를 100℃에서 3분간 볶는다.
(b) 상기 (a)단계에서 볶은 아라비카 원두를 0.5 내지 1mm 입자크기로 분쇄한다.
(c) 상기 (b)단계에서 획득한 분쇄된 커피 원두를 커피 추출 기계(밀리타社)를 사용해 추출하여 커피음료를 제조한다.
실험예 1. 커피 조성물의 맛, 향 및 기호도에 대한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커피음료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검사요원은 실험에 대한 관심도와 검사요원으로서 적합성이 인정된 일반인 10명을 선정하여 실험의 목적을 설명하고 10단계 평점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검사요원들에게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를 통해 제조된 커피음료와,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커피 원두만을을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음료를 각각 100㎖씩 제공하여 시음하도록 하였으며, 맛, 향, 기호도에 대하여 하기의 10단계 평점법(매우 나쁘다: 1점, 매우 우수하다: 10점)에 따라 점수를 매기도록 한 다음에 평균점수로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기호도
실시예 1 8.4 8.4 8.5
실시예 2 8.8 9.2 9.0
실시예 3 8.7 8.4 8.5
실시예 4 9.0 9.2 9.2
실시예 5 7.8 7.8 7.8
비교예 1 7.4 7.2 7.5
상기 표 1의 실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와 같이 커피 원두와 콩을 혼합하여 추출한 커피음료의 맛과 향이 커피 원두만을 추출하여 제조한 비교예 1의 커피 음료보다 높은 점수를 얻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콩이 함유되면 이로 인해 감칠맛이 향상되고 구수한 향이 증대되어 전체적인 풍미가 개선되어 기호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콩을 가공하지 않은 실시예 5의 경우에는 콩을 가공한 후 커피 원두와 같이 추출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비해서 맛, 향 및 기호도 항목에서 낮은 점수을 받았다. 대체로 검사요원들은 실시예 5의 커피의 경우, 커피 원두만을 추출한 커피 음료보다 맛과 향은 좋았으나, 콩의 비린맛이 조금 남아있어 아쉽다고 응답하였다.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조성물의 숙면 효과 실험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조성물의 숙면 효과를 실험하기 위하여, 실제 검사요원 50명을 선정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검사요원들은 평소 커피 음료의 카페인 성분으로 인하여 일반적인 커피 음료를 섭취하는 경우, 숙면을 쉽게 취할 수 없는 인원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상기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선정된 50명의 검사요원을 대상으로 하루 200ml의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의 커피 조성물을 추출한 커피 음료를 각각 1주일 동안 섭취하게 한 후, 숙면에의 도움 여부를 하기와 같이 항목을 나누어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매우 안됨 약간 안됨 보통 약간 잘됨 매우 잘됨
실시예 1 6 7 18 15 4
실시예 2 5 2 15 20 8
실시예 3 1 1 15 21 12
실시예 4 2 1 14 19 14
실시예 5 8 9 23 8 2
비교예 1 33 14 3 0 0
상기 표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조성물을 이용하여 추출된 커피음료를 실시한 결과, 비교예 1과 같이 커피 원두만을 이용하여 추출한 커피 음료와는 달리 카페인의 숙면을 방해하는 효과가 저해되고, 오히려 커피 음료를 마신 경우에 숙면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와 같이 목련화 차 및 메리골드 차가 커피 원두와 콩의 혼합물에 더 포함되는 경우 숙면에 가장 많은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0)

  1. 커피 원두 및 콩을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커피 원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콩 25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원두는 아라비카 원두, 로부스타 원두 및 리베리카 원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은 검은콩, 쥐눈이콩, 울타리콩, 병아리콩, 팥, 완두콩 및 강낭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원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차 1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는 메리골드, 금준미, 루이보스, 수국, 목련화 및 매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된 형태의 딸기, 링곤베리, 아로니아베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블루베리, 링곤베리 및 아로니아베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제조된 복합베리시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은
    (a) 750℃ 내지 850℃ 및 0.7 내지 0.9 MPa에서 12 내지 20분간 콩을 익히는 단계;
    (b) 콩의 지름이 0.5cm 내지 1cm이 되도록 으깨는 단계; 및
    (c) 으깬 콩을 100℃ 내지 120℃에서 5 내지 10분동안 볶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공단계로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조성물.
  9. 커피 원두와 콩을 혼합한 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콩은
    (a) 750℃ 내지 850℃ 및 0.7 내지 0.9 MPa에서 12 내지 20분간 콩을 익히는 단계;
    (b) 콩의 지름이 0.5cm 내지 1cm이 되도록 으깨는 단계; 및
    (c) 으깬 콩을 100℃ 내지 120℃에서 5 내지 10분동안 볶는 단계:
    로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커피 원두와 콩의 혼합물에 메리골드, 금준미, 루이보스, 수국, 목련화 및 매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차를 더 포함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80075897A 2018-02-05 2018-06-29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950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940 2018-02-05
KR1020180013940A KR20180021013A (ko) 2018-02-05 2018-02-05 잠자는 숲속 미녀 커피
KR1020180044843A KR20180046929A (ko) 2018-04-18 2018-04-18 두엔빈 커피
KR1020180044843 2018-04-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069A true KR20190095069A (ko) 2019-08-14

Family

ID=67622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897A KR20190095069A (ko) 2018-02-05 2018-06-29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50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666A (ko) * 2019-12-02 2021-06-10 김현웅 찻잎 및 꽃잎이 함유된 커피의 제조방법
KR20220075983A (ko) * 2020-11-30 2022-06-08 백희순 커피원두 및 땅콩 로스팅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8666A (ko) * 2019-12-02 2021-06-10 김현웅 찻잎 및 꽃잎이 함유된 커피의 제조방법
KR20220075983A (ko) * 2020-11-30 2022-06-08 백희순 커피원두 및 땅콩 로스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132B1 (ko) 헛개나무열매를 포함하는 라떼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A2571602C (en) Compositions containing a nopal cactus isolate and method for making same
CN102524485B (zh) 一种白咖啡的制作方法
KR20190083380A (ko) 숙성 커피의 제조방법
CN109566800A (zh) 馥郁香料茶底及制备方法
KR20190095069A (ko)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86811B1 (ko) 감귤과즙을 이용한 감귤커피의 제조방법
KR20210022336A (ko) 대두콩을 함유한 커피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2059080B1 (ko) 항비만 기능성을 가지는 팥차의 제조방법
JP2007082460A (ja) コーヒー様飲食用組成物、及びコーヒー様飲食用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169806B1 (ko) 3,7-디메틸옥타-1,6-디엔-3-올에 의해 제공되는 향미 강화커피
KR102380679B1 (ko) 누룽지 가래떡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69791A (ko) 커피 음료 및 그 제조방법
McGee et al. Cooking
US20220015385A1 (en) Herbal combination to be used as a coffee replacement and/or as a coffee flavor enhancer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2290884B1 (ko) 커피제조용 메밀 및 그 제조방법
JPH1118738A (ja) 豆類焙煎健康飲料
KR102583021B1 (ko) 헴프씨드를 이용한 헴프우유 음료의 제조방법
KR102329716B1 (ko) 원지 분말, 흰 민들레 분말, 팥 분말 및 검정콩 분말을 포함하는 커피 대용 식품 조성물
KR102059622B1 (ko) 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콩 카페 라떼 음료의 제조방법
KR102614234B1 (ko) 침향을 함유한 커피차 조성물
KR20170001028A (ko) 한라봉 분말을 함유하는 커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커피
KR20220125999A (ko) 대마씨를 함유한 커피차 조성물
KR102131710B1 (ko) 라이스 밀크를 이용한 블렌딩 티의 제조 방법
KR102146066B1 (ko) 곤포, 로즈힙 및 마테를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