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432A - 원두커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 Google Patents

원두커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432A
KR20160011432A KR1020140092491A KR20140092491A KR20160011432A KR 20160011432 A KR20160011432 A KR 20160011432A KR 1020140092491 A KR1020140092491 A KR 1020140092491A KR 20140092491 A KR20140092491 A KR 20140092491A KR 20160011432 A KR20160011432 A KR 20160011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syrup
mixed
product
m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1020140092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1432A/ko
Publication of KR20160011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Abstract

본 발명은 알래스카 커피 제조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 것으로, 로스팅하여 분쇄한 커피분말로부터 워터드립을 통해 추출한 커피원액에 시럽을 혼합한 다음 커피원액의 상부층에 유제품 혼합물이 떠 있는 구조로 커피를 제조함으로써 새로운 커피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a) 커피 생두를 180∼250℃의 온도 조건하에서 직화 또는 열풍을 통해 20∼30분 동안 로스팅하는 단계; (b) 단계(a) 과정에서 로스팅된 로스팅 커피 원두를 24∼72 시간 동안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단계; (c) 단계(b) 과정에서 숙성된 커피 원두를 미세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d) 단계(c) 과정에서 분쇄된 원두커피 분말을 핸드드립을 통해 내려 커피원액을 제조하는 단계; (e) 단계(d) 과정에서 제조된 커피원액에 얼음을 채우는 단계; (f) 단계(e) 과정에서 얼음이 채워진 커피원액에 시럽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및 (g) 단계(f) 과정에서 시럽이 혼합된 커피의 상부층에 일정량의 유제품을 띄워 커피 상부층에 유제품이 떠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알래스카 커피 제조방법 및 그 제품{Alaska Coffee production process and the product}
본 발명은 냉커피인 알래스카 커피의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워터드립을 통해 추출한 커피원액에 시럽을 혼합한 다음 커피원액의 상부층에 유제품 혼합물이 떠 있도록 한 냉커피의 한 종류인 알래스카 커피 제조방법 및 그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는 주로 열대성 기후의 강우량이 많은 곳에서 재배되며, 고산지대에서 좋은 상품이 생산되는 편이다. 이러한 커피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애용되는 다류 식품의 일종으로, 원두커피 또는 인스턴트 커피 형태로 마시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원두커피는 사용자가 건조 상태의 커피원두를 로스팅(roasting)하고 분쇄한 다음 미분 커피를 온수로 추출하여 마시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커피원두 고유의 맛과 향을 즐길 수 있으나, 원두의 보관이나 분쇄 및 추출과정을 사용자가 직접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인스턴트 커피는 통상적으로 분쇄하여 로스팅한 원두로 채워진 셀을 통해 추출액을 여과시켜 수득한 커피 추출액을 증발시킨 다음 동결건조 등의 방법으로 제조한 것으로, 사용자는 분말형상으로 성형된 인스턴트 커피를 온수에 용해시켜 마신다.
한편, 전술한 커피의 맛을 내는 주성분은 카페인으로, 식물성 알칼로이드로 무색 및 무취이고 쓴맛을 내는 침상의 결정이다. 이러한 카페인은 중추신경계를 자극하여 정신을 맑게 깨우고, 심장의 기능을 촉진하며, 이뇨제의 역할을 하여 소변의 양을 늘리고, 위를 자극하여 위산의 분비를 촉진하는 등의 효과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카페인도 적정량 이상을 섭취하게 되면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카페인의 부작용으로는 중추신경계와 교감신경계의 자극으로 인한 불면증, 칼슘과 철분 흡수를 저하시킴은 물론, 과다 섭취시에 골다공증이나 빈혈 및 위궤양 또는 위염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원두 커피는 추출 방법에 따라 드립식(drip) 커피와 에스프레소(espresso)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온수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근래에는 냉수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도 이용되고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피는 제조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맛과 향을 낼 수 있으며, 커피의 향미를 더욱 개선하려는 다양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1026호(2006.10.02.자 공고)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101350호(2013.09.13.자 공개)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05690호(2010.09.29.자 공개) 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86601호(2014.07.08.자 공개) 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77534호(2014.06.24.자 공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로스팅하여 분쇄한 커피분말로부터 워터드립을 통해 추출한 커피원액에 시럽을 혼합한 다음 커피원액의 상부층에 유제품 혼합물이 떠 있는 구조로 커피를 제조함으로써 새로운 커피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알래스카 커피 제조방법 및 그 제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로스팅하여 분쇄한 커피분말로부터 워터드립을 통해 추출한 커피원액에 시럽을 혼합한 다음 커피원액의 상부층에 유제품 혼합물이 떠 있는 구조로 커피를 제조함으로써 식음자로 하여금 다양한 방법으로 식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로스팅하여 분쇄한 커피분말로부터 워터드립을 통해 추출한 커피원액에 시럽을 혼합한 다음 커피원액의 상부층에 유제품 혼합물이 떠 있는 구조로 커피를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맛과 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알래스카 커피 제조방법은 (a) 커피 생두를 180∼250℃의 온도 조건하에서 직화 또는 열풍을 통해 20∼30분 동안 로스팅하는 단계; (b) 단계(a) 과정에서 로스팅된 로스팅 커피 원두를 24∼72 시간 동안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단계; (c) 단계(b) 과정에서 숙성된 커피 원두를 미세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d) 단계(c) 과정에서 분쇄된 원두커피 분말을 핸드드립을 통해 내려 커피원액을 제조하는 단계; (e) 단계(d) 과정에서 제조된 커피원액에 얼음을 채우는 단계; (f) 단계(e) 과정에서 얼음이 채워진 커피원액에 시럽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및 (g) 단계(f) 과정에서 시럽이 혼합된 커피의 상부층에 일정량의 유제품을 띄워 커피 상부층에 유제품이 떠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단계(a) 과정은, (a-1) 커피 생두를 180∼200℃의 온도 조건하에서 5∼10분 동안 1차로 로스팅하는 단계; 및 (a-2) 단계(a-1) 과정의 1차 로스팅 후 230∼250℃의 온도 조건하에서 15∼20분 동안 2차로 로스팅하는 단계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단계(d) 과정에서 커피원액의 제조는 원두커피 분말 70∼100g에 85∼95℃의 온수 200∼250ml 기준으로 핸드드립을 통해 내려 원액을 제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단계(f) 과정에서 얼음이 채워진 커피원액에 혼합되는 시럽은 메이플시럽과 설탕시럽을 6 : 4 의 비율로 혼합하여 커피원액 대비 5∼30 부피%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단계(g) 과정의 유제품은 우유와 생크림 및 연유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하되 2종의 선택인 경우에는 5 : 5 의 비율로 혼합하고, 3종의 선택인 경우에는 우유와 생크림 및 연유 3종을 3 : 3 : 4 의 비율로 혼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앞서와 같은 알래스카 커버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알래스카 커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로스팅하여 분쇄한 커피분말로부터 워터드립을 통해 추출한 커피원액에 시럽을 혼합한 다음 커피원액의 상부층에 유제품 혼합물이 떠 있는 구조로 커피를 제조함으로써 새로운 커피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로스팅하여 분쇄한 커피분말로부터 워터드립을 통해 추출한 커피원액에 시럽을 혼합한 다음 커피원액의 상부층에 유제품 혼합물이 떠 있는 구조로 커피를 제조함으로써 식음자로 하여금 다양한 방법으로 식음이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로스팅하여 분쇄한 커피분말로부터 워터드립을 통해 추출한 커피원액에 시럽을 혼합한 다음 커피원액의 상부층에 유제품 혼합물이 떠 있는 구조로 커피를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맛과 향을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알래스카 커피의 제조방법에 따른 블록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래스카 커피 제조방법 및 그 제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알래스카 커피의 제조방법에 따른 블록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출원인은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원두커피에 "알래스카 커피"라는 명칭을 부여하였다. 이하에서 완제품으로 제조된 커피는 알래스카 커피로 이름하기로 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래스카 커피 제조방법에 따른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알래스카 커피는 (a) 세척이 완료되어 건조된 커피 생두를 일정 온도 조건하에서 직화 또는 열풍을 통해 로스팅하는 과정(S100), (b) 단계(a) 과정(S100)에서 로스팅된 로스팅 커피 원두를 일정 시간 동안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과정(S110), (c) 단계(b) 과정(S110)에서 숙성된 커피 원두를 미세분말로 분쇄하는 과정(S120), (d) 단계(c) 과정(S120)에서 분쇄된 원두커피 분말을 핸드드립을 통해 내려 커피원액을 제조하는 과정(S130), (e) 단계(d) 과정(S130)에서 제조된 커피원액에 얼음을 채우는 과정(S140), (f) 단계(e) 과정(S140)에서 얼음이 채워진 커피원액에 시럽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는 과정(S150) 및 (g) 단계(f) 과정(S150)에서 시럽이 혼합된 커피의 상부층에 일정량의 유제품을 띄워 커피 상부층에 유제품이 떠 있도록 하는 과정(S160)을 통해 제조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냉커피의 한 종류인 알래스카 커피는 먼저, 커피 생두를 깨끗한 물에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물기를 건조시킨다. 이어서, 건조된 커피 생두를 직화 또는 열풍을 통해 일정 온도 조건하에서 일정 시간 동안 로스팅 한다(S100). 이때, 커피 생두의 로스팅은 강배전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피 생두를 로스팅한 다음에는 로스팅 커피 원두를 일정 시간 동안 상온에서 숙성시킨다(S110). 이때, 상온에서 로스팅 커피 원두를 숙성시키는 과정에서 로스팅된 커피 원두는 밀폐용기지만 내외로 공기가 통하는 형태의 밀폐용기에 담아 일정 시간 동안 숙성시킨다. 이러한 숙성과정에서 로스팅 커피 원두로부터 가스 등이 제거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으 로스팅 커피 원두를 일정 시간 동안 숙성시킨 다음에는 숙성된 커피 원두를 분쇄기를 통해 미세분말로 분쇄한다(S120).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숙성된 커피 원두를 분쇄기를 통해 미세분말로 분쇄한 다음에는 분쇄된 원두커피 분말을 핸드드립을 통해 커피원액을 내리는 과정을 실해한다(S130). 물론, 커피원액의 제조시 핸드드립 이외에도 더치커피 제조방식을 통해 건피원액을 제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드드립이나 더치커피 방식을 통해 커피원액을 제조한 다음에는 일정량의 커피원액을 잔에 부은 뒤에 커피원액에 일정량의 얼음을 채운다(S140).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피원액에 일정량의 얼음을 채운 다음에는 커피 원액에 일정량의 시럽을 혼합한다(S150). 이때, 시럽으로는 메이플시럽과 설탕시럽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이플시럽과 설탕시럽을 6 : 4 의 비율로 혼합하여 커피원액 대비 5∼30 부피%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은 시럽은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메이플시럽과 설탕시럽 중 어느 하나의 시럽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얼음이 채워진 커피원액에 시럽을 일정 비율로 혼합g한 다음에는 시럽이 혼합된 커피의 상부층에 일정량의 유제품을 띄워 커피 상부층에 유제품이 떠 있도록 하여 제조한다(S160). 이처럼 최종적으로 커피 상부층에 유제품이 떠 있도록 하여 제조된 커피가 본 발명에서 제조하고자 하는 알래스카 커피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피 상부층에 유제품이 떠 있도록 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유제품으로는 우유와 생크림 및 연유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알래스카 커피는 주문한 손님에게 전달되었을 때, 주문자는 알래스카 커피의 상부층을 이루는 유제품을 먼저 먹고난 다음 커피를 마실 수도 있음른 물론, 유제품을 휘저어 커피와 유제품이 혼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마실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래스카 커피 제조방법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계(a) 과정은 커피 생두를 로스팅하는 과정으로, 이러한 단계(a) 과정에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하여 물기가 건조된 커피 생두를 일정 온도 조건하에서 직화 또는 열풍을 통해 일정 시간 동안 로스팅한다(S100).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a) 과정(S100)에서 사용되는 커피 생두로는 콜롬비아, 탄쟈니아, 에디오피아 및 과테말라 커피 생두를 사용한다. 이러한 콜롬비아, 탄쟈니아, 에디오피아 및 과테말라 커피 생두는 모두 동일한 조건하에서 로스팅하되 4종의 로스팅 커피 원두 중 선택된 1종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2종 이상 혼합하는 경우에는 동일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a) 과정(S100)에서 로스팅은 180∼250℃의 온도 조건하에서 20∼30분 동안 로스팅한다. 이때, 단계(a) 과정(S100)의 로스팅 과정은 커피 생두를 예열하는 과정과 본격적으로 로스팅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커피 생두의 로스팅은 (a-1) 커피 생두를 180∼200℃의 온도 조건하에서 5∼10분 동안 1차로 로스팅하는 과정 및 (a-2) 단계(a-1) 과정의 1차 로스팅 후 230∼250℃의 온도 조건하에서 15∼20분 동안 2차로 로스팅하는 과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로스팅은 강배전으로, 커피 생두의 로스팅시 20∼30분 동안의 로스팅을 통해 커피 생두의 수분 증발이 많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강배전 방식으로 커피 생두를 로스팅하게 되면 로스팅하는 과정에서 커피 생두로부터 오일이 많이 배어 나옴은 물론, 가루의 고형물이 많이 녹아 나와서 깊은 바디감과 향미가 풍부해진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a) 과정에서는 단계((a-1) 과정을 통해 커피 생두를 180∼200℃의 온도 조건하에서 5∼10분 동안 1차로 로스팅하여 커피 생두가 본격적으로 로스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예열을 시킨 다음, 단계(a-2) 과정을 통해 온도를 230∼250℃로 올려 15∼20분 동안 2차로 로스팅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열풍을 통해ㅔ 로스팅하였지만 직화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계(b) 과정은 로스팅한 커피 원두를 숙성시키는 과정으로, 이러한 단계(b) 과정에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스팅된 로스팅 커피 원두를 상온에서 숙성시켜 숙성된 커피 원두로부터 가스 등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깊은 커피향과 깊은 맛이 배일 수 있도록 한다(S110).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b) 과정(S110)에서 로스팅 커피 원두를 숙성시킬 때는 밀폐용기지만 내외로 공기가 통하는 형태의 밀폐용기에 담아 24∼72 시간 동안 숙성시킨다. 이러한 숙성과정에서 로스팅 커피 원두로부터 가스 등이 제거되어 깊은 커피향과 깊은 맛이 배이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계(c) 과정은 숙성된 커피 원두를 분쇄하는 과정으로, 이러한 단계(c) 과정에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스팅되어 숙성과정을 거친 커피 원도를 분쇄기를 통해 분쇄한다(S120).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c) 과정의 커피 원두 분쇄과정에서는 보다 미세한 가루로 분쇄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계(d) 과정은 분쇄된 커피 분말을 통해 커피원액을 제조하는 과정으로, 이러한 단계(d) 과정에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된 커피 분말을 핸드드립을 통해 내려 커피원액을 제조한다(S130).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d) 과정(S130)에서 커피원액의 제조는 커피 분말 70∼100g에 85∼95℃의 온수 200∼250ml 기준으로 핸드드립을 통해 내려 원액을 제조하게 된다. 이때, 커피원액의 제조시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핸드드립 이외에도 더치커피 제조방식을 통해 건피원액을 제조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계(e) 과정은 제조된 커피원액에 얼음을 채우는 과정으로, 이러한 단계(e) 과정에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드립 또는 더치커피 방식을 통해 제조된 커피원액에 일정량의 얼음을 채운다(S140).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e) 과정(S140)에서 커피원액에 일정량의 얼음을 채운 다음에는 커피원액에 시럽을 혼합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계(f) 과정은 앞서와 같이 얼음이 채워진 커피원액에 시럽을 혼합하는 과정으로, 이러한 단계(f) 과정에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이 채워진 커피원액에 시럽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커피원액에 단맛을 가미하게 된다(S150).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f) 과정(S150)에서 얼음이 채워진 커피원액에 혼합되는 시럽으로는 메이플시럽 또는 설탕시럽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메이플시럽과 설탕시럽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f) 과정(S150)에서 메이플시럽 또는 설탕시럽은 커피원액 대비 5∼30 부피%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고, 메이플시럽과 설탕시럽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메이플시럽과 설탕시럽을 6 : 4 의 비율로 혼합하여 커피원액 대비 5∼30 부피%의 비율로 혼합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계(g) 과정은 시럽이 혼합된 커피의 상부층에 유제품을 띄우는 과정으로, 이러한 단계(g) 과정에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럽이 혼합된 커피의 상부층에 일정량의 유제품을 띄워 커피 상부층에 유제품이 떠 있도록 하는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g) 과정(S160)에서 유제품은 우유와 생크림 및 연유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유제품 중 2종의 선택인 경우에는 5 : 5 의 비율로 혼합하고, 3종의 선택인 경우에는 우유와 생크림 및 연유 3종을 3 : 3 : 4 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알래스카 커피를 20대, 30대 및 40대 각각 50 명을 선별하여 시식하게 한 다음, 설문지의 내용에 성실히 답변한 답변서만을 취합하여 관능평가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알래스카 커피는 메이플시럽과 설탕시럽을 6 : 4의 비율로 혼합한 시럽을 커피원액 대비 5부피%(표 1)와 20 부피%(표 2)를 혼합하고, 우유와 생크림 및 연유 3종을 3 : 3 : 4 의 비율로 혼합한 유제품을 커피원액에 띄웠다.
제품명 연령대 관능검사문항 결과(점/5점) 검사자
(명)
비고
커피향 쓴맛 담백한 맛 기호도
본 발명에 따른 알래스카 커피 20대 4.5 3.0 4.1 4.7 50
30대 4.8 2.3 4.5 4.3 50
40대 4.7 2.7 4.7 4.1 50
평균 4.67 2.67 4.43 4.67 150
표 1 은 메이플시럽과 설탕시럽을 6 : 4의 비율로 혼합한 시럽을 커피원액 대비 5부피% 혼합한 알래스카 커피이다.
전술한 표 1 의 관능평가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알래스카 커피의 향기 면에서 전 열령대에 만족할 만한 평가를 얻을 수 있었음은 물론, 알래스카 커피의 쓴맛 및 담백한 정도에서도 전 연령대의 만족할 만한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기호도 평가에서도 시럽과 유제품이 첨가된 사실에 기인하여 기호도 면에서도 매우 만족할 만한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제품명 연령대 관능검사문항 결과(점/5점) 검사자
(명)
비고
커피향 쓴맛 담백한 맛 기호도
본 발명에 따른 알래스카 커피 20대 4.2 2.5 4.3 4.7 50
30대 4.5 2.1 4.6 4.5 50
40대 4.3 1.8 4.9 4.2 50
평균 4.33 2.13 4.6 4.46 150
표 2 는 메이플시럽과 설탕시럽을 6 : 4의 비율로 혼합한 시럽을 커피원액 대비 20부피% 혼합한 알래스카 커피이다.
전술한 표 2 의 관능평가 결과 역시 알래스카 커피의 향기 면에서 전 열령대에 만족할 만한 평가를 얻을 수 있었음은 물론, 알래스카 커피의 쓴맛 및 담백한 정도에서도 전 연령대의 만족할 만한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다만, 건강을 생각하는 40대에서는 기호도 면에서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낮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단계(a) 과정(S100)으로부터 단계(g)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시럽이 혼합된 커피원액 상층에 유제품이 떠 있도록 제조되어진다. 이처럼 최종적으로 제조된 커피가 본 발명에서 제조하고자 하는 알래스카 커피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S100. 커피 생두 로스팅 과정
S110. 로스팅된 커피 원두 숙성 과정
S120. 숙성된 커피 원두 분쇄 과정
S130. 핸드드립 또는 더치커피 방식으로 내려 커피원액을 제조하는 과정
S140. 커피원액에 얼음을 채우는 과정
S150. 얼음이 채워진 커피원액에 시럽을 혼합하는 과정
S160. 시럽이 혼합된 커피원액의 상부층에 유제품을 띄우는 과정

Claims (6)

  1. (a) 커피 생두를 180∼250℃의 온도 조건하에서 직화 또는 열풍을 통해 20∼30분 동안 로스팅하는 단계;
    (b) 단계(a) 과정에서 로스팅된 로스팅 커피 원두를 24∼72 시간 동안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단계;
    (c) 단계(b) 과정에서 숙성된 커피 원두를 미세분말로 분쇄하는 단계;
    (d) 단계(c) 과정에서 분쇄된 원두커피 분말을 핸드드립을 통해 내려 커피원액을 제조하는 단계;
    (e) 단계(d) 과정에서 제조된 커피원액에 얼음을 채우는 단계;
    (f) 단계(e) 과정에서 얼음이 채워진 커피원액에 시럽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 및
    (g) 단계(f) 과정에서 시럽이 혼합된 커피의 상부층에 일정량의 유제품을 띄워 커피 상부층에 유제품이 떠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알래스카 커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 과정은,
    (a-1) 커피 생두를 180∼200℃의 온도 조건하에서 5∼10분 동안 1차로 로스팅하는 단계; 및
    (a-2) 단계(a-1) 과정의 1차 로스팅 후 230∼250℃의 온도 조건하에서 15∼20분 동안 2차로 로스팅하는 단계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래스카 커피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 과정에서 커피원액의 제조는 원두커피 분말 70∼100g에 85∼95℃의 온수 200∼250ml 기준으로 핸드드립을 통해 내려 원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래스카 커피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f) 과정에서 얼음이 채워진 커피원액에 혼합되는 시럽은 메이플시럽과 설탕시럽을 6 : 4 의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커피원액 대비 5∼30 부피%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래스카 커피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g) 과정의 유제품은 우유와 생크림 및 연유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하되 2종의 선택인 경우에는 5 : 5 의 비율로 혼합하고, 3종의 선택인 경우에는 우유와 생크림 및 연유 3종을 3 : 3 : 4 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래스카 커피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알래스카 커피.
KR1020140092491A 2014-07-22 2014-07-22 원두커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1600114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491A KR20160011432A (ko) 2014-07-22 2014-07-22 원두커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491A KR20160011432A (ko) 2014-07-22 2014-07-22 원두커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432A true KR20160011432A (ko) 2016-02-01

Family

ID=5535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491A KR20160011432A (ko) 2014-07-22 2014-07-22 원두커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143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441B1 (ko) * 2017-05-10 2018-08-28 김수아 로스팅 정점 온도가 상이한 커피 원두를 블렌딩 후 로스팅하는 방법
KR102003635B1 (ko) * 2018-02-06 2019-07-24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당귀와 초석잠을 사용한 약초 추출 방법
KR20200069949A (ko) * 2018-12-07 2020-06-17 박영희 드립커피의 제조방법
KR20210123000A (ko) * 2020-04-02 2021-10-13 신민식 핸드드립 커피의 제조방법
WO2023027498A1 (ko) * 2021-08-24 2023-03-02 최정현 분리드립 커피 및 분리드립 커피 오마카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026B1 (ko) 2005-05-30 2006-10-02 안명규 원두커피의 제조방법
KR20100105690A (ko) 2007-12-20 2010-09-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아이스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기기
KR20130101350A (ko) 2012-03-05 2013-09-13 김영식 원두커피의 제조방법
KR20140077534A (ko) 2012-12-14 2014-06-24 최준식 커피의 제조 방법
KR20140086601A (ko) 2012-12-28 2014-07-08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커피의 제조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026B1 (ko) 2005-05-30 2006-10-02 안명규 원두커피의 제조방법
KR20100105690A (ko) 2007-12-20 2010-09-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아이스 커피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기기
KR20130101350A (ko) 2012-03-05 2013-09-13 김영식 원두커피의 제조방법
KR20140077534A (ko) 2012-12-14 2014-06-24 최준식 커피의 제조 방법
KR20140086601A (ko) 2012-12-28 2014-07-08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커피의 제조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441B1 (ko) * 2017-05-10 2018-08-28 김수아 로스팅 정점 온도가 상이한 커피 원두를 블렌딩 후 로스팅하는 방법
KR102003635B1 (ko) * 2018-02-06 2019-07-24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당귀와 초석잠을 사용한 약초 추출 방법
KR20200069949A (ko) * 2018-12-07 2020-06-17 박영희 드립커피의 제조방법
KR20210123000A (ko) * 2020-04-02 2021-10-13 신민식 핸드드립 커피의 제조방법
WO2023027498A1 (ko) * 2021-08-24 2023-03-02 최정현 분리드립 커피 및 분리드립 커피 오마카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0098C1 (ru) Кофей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стоящая из кофе растворимого сублимированного и натурального жареного тонкого помола, обладающая вкусом и ароматом свежезаваренного натурального кофе,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KR20160011432A (ko) 원두커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1314132B1 (ko) 헛개나무열매를 포함하는 라떼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AU2017382039A1 (en) Roast and ground coffee powder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EP2566342B1 (en) Instant powder form turkish coffee mixture not requiring cooking and its production method
EP1052906B1 (en) Alimentary product based on coffee, cocoa and guarana
KR101169806B1 (ko) 3,7-디메틸옥타-1,6-디엔-3-올에 의해 제공되는 향미 강화커피
WO2007116350A1 (en) Instant turkish coffee
KR100886811B1 (ko) 감귤과즙을 이용한 감귤커피의 제조방법
KR20170094605A (ko) 천연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커피의 제조방법
KR20110009686A (ko) 가용성 커피-기재 조성물 및 인스턴트 음료
KR101657348B1 (ko) 저온 추출법을 이용한 저카페인 커피원두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캡슐 커피의 제조 방법
KR101500694B1 (ko) 커피추출액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54668B1 (ko) 스티밍 처리 커피 추출액과 저온 추출 커피 추출액을 포함하는 커피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301259B1 (ko) 풍미 및 용해도가 증진된 비즈 커피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85483B1 (ko) 보리원두 커피믹스
KR100903909B1 (ko) 대두를 이용한 커피맛음료의 제조방법
KR101855181B1 (ko) 콜드브루 유자커피의 제조방법
KR102016953B1 (ko) 신맛을 갖는 투명커피 제조방법
KR101884223B1 (ko) 커피 비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커피 비드
KR20160006069A (ko) 저온 추출법에 의해 제조되며 생두의 유효성분을 다량 함유한 저카페인 커피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 커피
KR102292102B1 (ko) 워터프레스 방식을 이용한 커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910257B1 (ko) 커피 원두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190095069A (ko)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9144B1 (ko) 더치커피를 함유하는 기정떡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