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986B1 -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 - Google Patents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986B1
KR102639986B1 KR1020230024161A KR20230024161A KR102639986B1 KR 102639986 B1 KR102639986 B1 KR 102639986B1 KR 1020230024161 A KR1020230024161 A KR 1020230024161A KR 20230024161 A KR20230024161 A KR 20230024161A KR 102639986 B1 KR102639986 B1 KR 102639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ch
weight
cup holder
base
anhyd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경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디자인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디자인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디자인랜드
Priority to KR1020230024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4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located on side of seat, e.g. on armres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원이나 놀이터 등의 휴식처에 착석상태로 팔을 걸치면서 다양한 형태의 음료 컵을 꽂아 고정하여 벤치의 기능성과 함께 편의성을 개선하며, 벤치 사용자에게 안락한 휴식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구조로서, 좌우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하며 받침다리 및 지지대를 구비하는 한 쌍의 벤치프레임과, 상기 벤치프레임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지지대 상에 등간격으로 배열 배치하여 착석 또는 등받이 가능하게 설치하는 좌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벤치에 있어서, 착석 측부에 대응하여 상기 좌판부재 상에 고정 설치하고, 상부에 수직 관통된 관통구를 형성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하되 전후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연통하게 관통된 컵홀을 형성하는 암레스트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 {Bench Having Arm Rest of Cup Holder Type}
본 발명은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원이나 놀이터 등의 휴식처에 착석상태로 팔을 걸치면서 다양한 형태의 음료 컵을 꽂아 고정하여 벤치의 기능성과 함께 편의성을 개선하며, 벤치 사용자에게 안락한 휴식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놀이터, 등산로 등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공공장소에는 이용객이나 보행자가 잠시 휴식을 취하거나 기다릴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벤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벤치는 대부분 등받이가 없거나 등받이와 시트가 일체형인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등받이가 없는 벤치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착석할 수 있지만 허리를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등받이가 구비된 벤치가 선호되고 있다.
나아가, 기존에는 단순히 시트와 등받이를 결합한 벤치에 디자인을 부가하여 디자인적으로 강조한 벤치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벤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기능이 부가된 기능성 벤치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벤치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55호(2011.01.05.)에는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좌판부재와; 의자의 측부 형상으로 형성되되, 측면에는 상기 좌판부재의 일측이 삽입체결되는 슬롯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롯홈의 저면에는 체결나사가 관통하는 나사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좌판부재와 좌판부재의 측면 사이의 간극에 상당하는 두께로서 그 외표면에는 탄성부재가 부착되어 상기 슬롯홈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좌판부재의 너비에 상당하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간극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조립 작업속도가 현저하게 빨라지면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이 용이한 벤치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기능성 벤치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945281호(2019.01.29.)에는 나란히 배치된 복수개의 길이부재로 이루어지는 착석부와, 나란히 이격 배치되어 상기 착석부를 착석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여 주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후방으로 젖혀지는 형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회전하여 수직 상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고정되어 테이블의 상판으로 기능할 수 있는 등받이부와, 상기 착석부를 이루는 복수개의 길이부재를 가로지르며 결합되는 판형부재로서 상기 복수개의 길이부재가 일체화된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게 해주는 벤치조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벤치조이너는, 상기 착석부와 접하지 않는 타면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제1지지부의 체결수단 삽입홈에 걸쳐지며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제1지지부의 체결수단 삽입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제1지지부의 체결수단 삽입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제1지지부의 체결수단 삽입홈과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착석부를 결합시켜주는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체결수단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벤치 또는 테이블로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 겸용 벤치가 공지되어 있다.
또, 등록특허공보 제2137797호(2020.07.20.)에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폭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착석 바(bar)와, 상기 복수의 착석 바의 양단을 고정하는 복수의 측면프레임을 갖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지지대하는 지지대와; 상기 측면프레임 또는 상기 지지대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회동돌기와, 상기 측면프레임 또는 상기 지지대의 측면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회동돌기가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회동돌기홈을 포함하여, 상기 착석부를 착석이 가능한 사용위치와 상부로 젖혀진 접철위치 사이에서 회동이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와; 바(bar) 형상을 가지며, 하중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인접한 상기 착석부의 후방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착석부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자중에 의하여 상기 착석부가 상기 접철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하중부;를 포함하되, 상기 착석 바는 길이 방향으로 2 이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각 착석 바 사이에 마련된 중간프레임에 의해 일렬로 연결되고, 상기 각 착석 바는 중공의 금속관의 외부에 목재 재질을 포함하는 도포층이 도포되며 마련되며, 상기 하중부는 상기 착석부의 후방에 마련된 후방프레임의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하중부의 하중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됨을 포함하게 구성됨에 따라 다양한 설치환경에의 적용이 가능하며 외관이 심플하고 경제적인 자동 접이식 벤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들의 경우에는 모두 벤치의 착석 측부가 개방된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잦은 낙상의 위험이 있어 안전성이 떨어지고, 사용자가 휴식 중 마시는 음료를 착석부에 올려놓거나 사용자가 계속 음료를 들고 마셔야만 하여 휴식 도중에도 불편함을 초래함은 물론 음료가 잦은 쏟음 현상으로 벤치의 오염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007755호 (2011.01.05.) KR 등록특허공보 제10-1945281호 (2019.01.29.) KR 등록특허공보 제10-2137797호 (2020.07.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석 양쪽 측부에 팔걸이를 구비하면서 다양한 음료 컵을 꽂아 고정할 수 있는 홀더를 구성하므로 벤치 사용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높이면서 음료를 쏟는 상황을 방지한 채 벤치의 청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는 좌우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하며 받침다리 및 지지대를 구비하는 한 쌍의 벤치프레임과, 상기 벤치프레임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지지대 상에 등간격으로 배열 배치하여 착석 또는 등받이 가능하게 설치하는 좌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벤치에 있어서, 착석 측부에 대응하여 상기 좌판부재 상에 고정 설치하고, 상부에 수직 관통된 관통구를 형성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하되 전후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연통하게 관통된 컵홀을 형성하는 암레스트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암레스트플레이트를 접촉 지지하며 전후 직선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는 수평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의 전후단에 외측 하향 경사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는 경사지지부와, 상기 경사지지부의 하단에 내측으로 연장 형성하고 상기 좌판부재에 면 접촉 상태로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하는 받침고정부를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합금강, 철강 중 어느 하나의 금속 소재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외부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토록 유무기하이브리드 수성 도료를 도포 형성한다.
상기 유무기하이브리드 수성 도료는, 수성 에폭시수지 베이스 A제와; 세라믹수지 베이스 B제와; 표면개질 실리카 베이스 C제와; 아크릴에멀젼 베이스 D제와; 충전제 및 첨가제 베이스 E제와; 경화제 베이스 F제;를 포함하되, 상기 A제, B제, C제, D제, E제를 순서대로 1 : 0.1~0.5 : 0.1~0.5 : 0.1~0.5 : 0.1~0.2의 중량비로 혼합 조성되어 친환경적이고, 부착력이 우수하며 장기 방청성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수성 에폭시수지 베이스 A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에테르폴리올과, 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헥사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 숙시닉안하이드라이드 및 트리멜리틱안하이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무수산을 1:1.5 내지 3의 몰비로 혼합하고 130 내지 140 ℃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반응시켜 얻은 반응물과 Diglycidylether of bisphenol A 에폭시수지를 2:8 내지 3:7 중량비로 혼합하고 130℃로 승온 반응시켜 에폭시 당량이 630 g/mol에서 반응을 종료하여 얻은 반응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EO)-프로필렌옥사이드(PO)-에틸렌옥사이드(EO) 유화제 7~15중량부, 프로필렌옥사이드(PO)-에틸렌옥사이드(EO)-프로필렌옥사이드(PO) 분산제 0.1~1중량부를 조성한다.
상기 세라믹수지 베이스 B제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30~50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0~30중량부,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Si(OC2H5)4) 30~40중량부를 넣고 균일하게 교반, 분산시키면서 30 ~ 65℃에서 아세트산 3~7중량부를 적하하고 2시간 동안 가수분해시켜 여과하여 얻은 반응물인 것을 사용하여 조성한다.
상기 표면개질 실리카 베이스 C제는,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Si(OC2H5)4)을 에탄올과 증류수 95:5중량비 혼합 공용매에 희석하고, 아세트산을 가한 후, pH를 4.0으로 고정하여 1시간 동안 가수분해한 가수분해용액에 실리카를 0.5~1시간 함침시키고 여과하여 증류수로 3회 세척한 다음 120 ℃에서 3 시간 및 상온에서 1일 완전 건조한다.
상기 아크릴에멀젼 베이스 D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및 농도 0.1 ∼ 10 중량% 암모니아수가 1:1중량비로 혼합한다.
상기 충전제 및 첨가제 베이스 E는 아연분말, 산화아연, 이산화티타늄, 탄산칼슘, 황산바륨, 카본블랙, 탈크, 클레이, 마이카, 유리플레이크, 탄산칼슘, 벤토나이트, 카오린, 규석분 및 착색 안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조성한다.
상기 경화제 베이스 F제는 에폭시 경화제인 4,4’-diaminodiphenylmethane(DDM) 및 아크릴 경화제인 Benzoyl Peroxide(BPO)으로 조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에 의하면 벤치의 착석 측부에 대응하여 휴식 중 음료 컵을 꽂을 수 있는 팔걸이 형태의 컵 홀더를 구성하므로, 사용시 낙상을 방지한 채 안전성을 도모하면서 휴식 중 음료를 편리하게 마실 수 있음은 물론 음료를 쏟는 상황을 방지하여 벤치를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는 금속 소재를 갖는 베이스프레임의 외부 표면에 유무기하이브리드 수성 도료를 도포 형성하여 친환경적이면서 부착력이 우수하며 장기 방청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좌우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하며 받침다리 및 지지대를 구비하는 한 쌍의 벤치프레임과, 상기 벤치프레임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지지대 상에 등간격으로 배열 배치하여 착석 또는 등받이 가능하게 설치하는 좌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벤치에 있어서, 착석 측부에 대응하여 상기 좌판부재 상에 고정 설치하고, 상부에 수직 관통된 관통구를 형성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하되 전후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연통하게 관통된 컵홀을 형성하는 암레스트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벤치프레임(10)과 좌판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벤치(B)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100)과, 암레스트플레이트(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벤치프레임(10)은 좌우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하여 벤치(B)의 주요 기술구성인 좌판부재(20)를 장착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벤치프레임(10)에는 받침다리(11) 및 지지대(13)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받침다리(11)는 상기 좌판부재(2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게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하고, 지반에 고정 가능한 구조로 하부가 플랜지 형태를 이루게 구성한다.
상기 지지대(13)는 상기 받침다리(11)의 상단부에 소정의 면적을 갖으며, 상기 좌판부재(20)를 접촉 지지하게 구성한다.
상기 지지대(13)는 단순히 착석 가능한 벤치 형태를 이루는 골격을 형성하게 전후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일자형 구조로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도 1 및 도 2에서처럼 착석 및 등받이 가능한 벤치 형태를 이루는 골격을 이루게 수평방향에 이어 상향 경사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좌판부재(20)는 벤치(B)의 전체 폭 방향에 대응하여 연장 형성하고, 상기 벤치프레임(10)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지지대(13) 상에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배열 배치하게 설치 구성한다.
상기 좌판부재(20)는 상기 벤치프레임(10) 상에 착석 또는 등받이 가능하게 설치 구성한다. 즉, 상기 벤치프레임(10)의 지지대(13) 중 수평 연장된 지지대(13) 상에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벤치(B)의 착석부(1)를 조성하며, 상기 벤치프레임(10)의 지지대(13) 중 후방에서 상향 경사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대(13) 상에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벤치(B)의 등받이부(2)를 조성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암레스트플레이트(200)는 기본적으로 팔걸이 기능을 발휘함과 동시에 컵 홀더 기능을 발휘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벤치(B) 중 착석부(1)를 이루는 상기 좌판부재(20)의 착석 측부에 대응하여 상기 좌판부재(20) 상에 고정 설치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상기 좌판부재(20)로부터 상기 암레스트플레이트(200)가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게 지지한다. 즉,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에서 상기 암레스트플레이트(200)를 접촉 지지하며 전후 직선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는 수평지지부(110)와, 상기 수평지지부(110)의 전후 양단에 외측 하향 경사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는 경사지지부(120)와, 상기 경사지지부(120)의 하단에 내측으로 연장 형성하고 상기 좌판부재(20)에 면 접촉 상태로 체결수단(135)에 의해 고정 설치하는 받침고정부(130)를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는 상부에 수직 관통된 관통구(115)를 형성한다. 즉,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수평지지부(110) 상에 상기 관통구(115)를 형성하여 음료 컵을 유입 수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상기 암레스트플레이트(200)을 장착 지지하며 소정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는 금속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합금강, 철강 중 어느 하나의 금속 소재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벤치(B)의 설치유형 상 실외의 자연환경에 노출되기 때문에 스테인리스강 또는 알루미늄 합금강으로 조성하여 강성은 물론 충분한 내식성을 확보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는 외부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토록 유무기하이브리드 수성 도료를 도포 형성한다. 특히,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철강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유무기하이브리드 수성 도료를 도포함에 따라 내식성을 보강한다.
상기 유무기하이브리드 수성 도료는, 수성 에폭시수지 베이스 A제와; 세라믹수지 베이스 B제와; 표면개질 실리카 베이스 C제와; 아크릴에멀젼 베이스 D제와; 충전제 및 첨가제 베이스 E제와; 경화제 베이스 F제;를 포함하되, 상기 A제, B제, C제, D제, E제를 순서대로 1 : 0.1~0.5 : 0.1~0.5 : 0.1~0.5 : 0.1~0.2의 중량비로 혼합 조성한다.
여기서, 에폭시 수지는 아민이나 산 등과 쉽게 반응하여 강인한 경화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특히,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는 내화학성, 내열성, 고경도, 유연성 등의 특징으로 인해 많은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지속적인 환경규제로 인해 도료 분야에서 사용되던 유성(油性) 수지들이 수성(水性) 수지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에폭시 수지 또한 물과 같은 용매에 분산되는 수성의 성질을 갖게 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었는데, 예를 들면 유화제로 에폭시 수지를 분산시키거나 에폭시 수지에 친수성 치환기를 도입하고 물에 분산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방법들을 통해 얻어진 수성 에폭시 수지 분산액은 시장에서 요구되는 물성을 갖는 도막을 얻는데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수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분산액은 도막의 내충격성을 현저하게 떨어뜨려 중방식 도장용 도료 또는 철강 도장용 도료에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무수산의 반응물을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와 반응시켜 수성 에폭시수지 베이스를 얻는다.
즉, 상기 수성 에폭시수지 베이스 A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에테르폴리올과, 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헥사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 숙시닉안하이드라이드 및 트리멜리틱안하이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무수산을 1:1.5 내지 3의 몰비로 혼합하고 130 내지 140 ℃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반응시켜 얻은 반응물과 Diglycidylether of bisphenol A 에폭시수지를 2:8 내지 3:7 중량비로 혼합하고 130℃로 승온 반응시켜 에폭시 당량이 630 g/mol에서 반응을 종료하여 얻은 반응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EO)-프로필렌옥사이드(PO)-에틸렌옥사이드(EO) 유화제 7~15중량부, 프로필렌옥사이드(PO)-에틸렌옥사이드(EO)-프로필렌옥사이드(PO) 분산제 0.1~1중량부를 포함하여 조성된다.
상기 수성 에폭시 수지 베이스는 철재표면의 방청성, 부착성과 더불어 내충격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Diglycidylether of bisphenol A 에폭시수지는 다음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또한, 상기 에틸렌옥사이드(EO)-프로필렌옥사이드(PO)-에틸렌옥사이드(EO) 유화제는 다음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식 중, x, y 및 z 는 각각 각각의 반복 단위의 평균 개수를 나타냄)
여기서, 상기 에틸렌옥사이드(EO)-프로필렌옥사이드(PO)-에틸렌옥사이드(EO) 유화제는 분자량이 8,000 내지 13,000 g/mol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세라믹수지 베이스 B제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30~50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0~30중량부,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Si(OC2H5)4) 30~40중량부를 넣고 균일하게 교반, 분산시키면서 30 ~ 65℃에서 아세트산 3~7중량부를 적하하고 2시간 동안 가수분해시켜 여과하여 얻은 반응물인 것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세라믹수지 베이스는 상기 수성 에폭시 수지 베이스와 하기에서 후술하는 표면개질 실리카 베이스와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복합 결합에 의하여 도막의 방청성능을 향상, 우수한 접착강도 및 도막경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철강재의 내구성 확보에 유리하다.
특히, 상기 세라믹수지 베이스와 무기결합을 이루는 표면개질 실리카 베이스 C제는,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Si(OC2H5)4)을 에탄올과 증류수 95:5중량비 혼합 공용매에 희석하고, 아세트산을 가한 후, pH를 4.0으로 고정하여 1시간 동안 가수분해한 가수분해용액에 실리카를 0.5~1시간 함침시키고 여과하여 증류수로 3회 세척한 다음 120 ℃에서 3 시간 및 상온에서 1일 완전 건조한 것이다.
즉, 실리카 표면을 친수성기로 변환하고 상기 친수성기에 실란작용기를 결합하여 상기 세라믹수지 베이스와 무기결합하도록 표면개질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실리카 표면을 실란처리를 함으로써 실리카와 매트릭스 수지 간 계면결합력이 증진되어 물리, 화학적으로 안정한 결합을 이룰수 있고, 실리카 표면에 도입된 비극성 관능기로 인해 실리카의 표면자유에너지의 비극성요소가 증가되어 실리카 입자 간의 상호작용을 감소시켜 매트릭스 내에 분산정도가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실리카를 충전한 수성 에폭시 수지의 접착박리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에멀젼 베이스 D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및 농도 0.1 ∼ 10 중량% 암모니아수가 1:1중량비로 혼합 포함한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에멀젼은 무색투명한 액체모노머로서 경화되면 경질 타입이면서 유연성이 있고, 저온에서 라디칼 중합하면 고분자 사슬구조가 연속된 규칙성을 나타내는 신디오탁틱(Syndiotactic) 구조의 비율이 증가하는 특성을 나타내므로 내구성, 내열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UV안전성 등 물성이 뛰어나며, 햇빛 등의 날씨 및 기후에 견디는 성질인 내후성이 우수하여 외부 환경 변화(날씨 및 기후 변화)에 의한 부식 등을 억제함과 동시에 부착강도 및 인성을 개선하고, 안료 등에 의한 착색성이 좋은 특성이 있으며, 높은 열팽창 계수를 갖지만, 안정성이 매우 높은 수지이므로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를 알칼리 수용액에 용해시켜 경화시키면 빗물 등에 의해서 도막이 녹지 않고 상기와 같은 방수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특성이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충전제 및 첨가제 베이스 E는 아연분말, 산화아연, 이산화티타늄, 탄산칼슘, 황산바륨, 카본블랙, 탈크, 클레이, 마이카, 유리플레이크, 벤토나이트, 카오린, 규석분 및 착색 안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아연은 철보다 이온화경향이 더 커서 부식환경에서 먼저 부식이 일어남에 따라 철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방청효과가 우수하므로, 방식성이 요구되는 철강구조용 도료에 적합하며, 이때, 상기 아연분말의 평균 입경은 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입자크기 3~5㎛의 TiO2광촉매 분말(Titanium dioxide)로서, 상기 이산화티타늄(TiO2) 광촉매를 사용하는 광촉매 산화 기술은 최근 사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새로운 고급 산화 기술이다. 이산화티타늄은 고에너지 광자에 의하여 여기 된 후 광유도 된 전자와 정공을 생성한다. 이러한 전자와 정공은 물속의 산소 및 수산기와 반응하여 다양한 활성 산소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활성 산소들은 강력한 산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기성오염물질들을 분해 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 베이스 F제는 에폭시 경화제인 4,4’-diaminodiphenylmethane(DDM) 및 아크릴 경화제인 Benzoyl Peroxide(BPO)인 것을 사용한다.
즉 상기와 같이 금속 소재를 갖는 베이스프레임(100)의 외부 표면에 유무기하이브리드 수성 도료를 도포 형성하게 되면, 친환경적이면서 부착력이 우수하며 장기 방청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암레스트플레이트(20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판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 즉 상기 수평지지부(110) 상에 고정 설치한다.
상기 암레스트플레이트(200)는 상기 좌판부재(20)와 마찬가지로 나무(천연목 또는 합성목 등)나 플라스틱의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암레스트플레이트(200)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수평지지부(110) 상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115)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연통하게 관통된 컵홀(210)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컵홀(210)은 상기 암레스트플레이트(200) 상에 기본적으로 수직 직선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벽면을 형성토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컵홀(210)은 상기 암레스트플레이트(200) 상에 상광하협의 단면형상을 갖는 경사면을 형성토록 구성하므로, 보다 다양한 규격의 음료 컵을 거치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에 의하면, 벤치의 착석 측부에 대응하여 휴식 중 음료 컵을 꽂을 수 있는 팔걸이 형태의 컵 홀더를 구성하므로, 사용시 낙상을 방지한 채 안전성을 도모하면서 휴식 중 음료를 편리하게 마실 수 있음은 물론 음료를 쏟는 상황을 방지하여 벤치를 청결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벤치프레임 11 : 받침다리
13 : 지지대 20 : 좌판부재
100 : 베이스프레임 110 : 수평지지부
115 : 관통구 120 : 경사지지부
130 : 받침고정부 135 : 체결수단
200 : 암레스트플레이트 210 : 컵홀

Claims (11)

  1. 좌우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하며 받침다리 및 지지대를 구비하는 한 쌍의 벤치프레임과, 상기 벤치프레임에 고정 설치하되 상기 지지대 상에 등간격으로 배열 배치하여 착석 또는 등받이 가능하게 설치하는 좌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벤치에 있어서,
    착석 측부에 대응하여 상기 좌판부재 상에 고정 설치하고, 상부에 수직 관통된 관통구를 형성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하되 전후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연통하게 관통된 컵홀을 형성하는 암레스트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합금강, 철강 중 어느 하나의 금속 소재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철강 금속 소재인 경우, 외부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토록 유무기하이브리드 수성 도료를 도포 형성하되,
    상기 유무기하이브리드 수성 도료는, 수성 에폭시수지 베이스 A제와; 세라믹수지 베이스 B제와; 표면개질 실리카 베이스 C제와; 아크릴에멀젼 베이스 D제와; 충전제 및 첨가제 베이스 E제와; 경화제 베이스 F제;를 포함하되, 상기 A제, B제, C제, D제, E제를 순서대로 1 : 0.1~0.5 : 0.1~0.5 : 0.1~0.5 : 0.1~0.2의 중량비로 혼합 조성되어 친환경적이고, 부착력이 우수하며 장기 방청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세라믹수지 베이스 B제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30~50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0~30중량부,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Si(OC2H5)4) 30~40중량부를 넣고 균일하게 교반, 분산시키면서 30 ~ 65℃에서 아세트산 3~7중량부를 적하하고 2시간 동안 가수분해시켜 여과하여 얻은 반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암레스트플레이트를 접촉 지지하며 전후 직선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는 수평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의 전후단에 외측 하향 경사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는 경사지지부와, 상기 경사지지부의 하단에 내측으로 연장 형성하고 상기 좌판부재에 면 접촉 상태로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하는 받침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성 에폭시수지 베이스 A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부틸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폴리에테르폴리올과, 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헥사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메틸헥사하이드로프탈릭안하이드라이드,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 숙시닉안하이드라이드 및 트리멜리틱안하이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무수산을 1:1.5 내지 3의 몰비로 혼합하고 130 내지 140 ℃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반응시켜 얻은 반응물과 Diglycidylether of bisphenol A 에폭시수지를 2:8 내지 3:7 중량비로 혼합하고 130℃로 승온 반응시켜 에폭시 당량이 630 g/mol에서 반응을 종료하여 얻은 반응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옥사이드(EO)-프로필렌옥사이드(PO)-에틸렌옥사이드(EO) 유화제 7~15중량부, 프로필렌옥사이드(PO)-에틸렌옥사이드(EO)-프로필렌옥사이드(PO) 분산제 0.1~1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 실리카 베이스 C제는,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Si(OC2H5)4)을 에탄올과 증류수 95:5중량비 혼합 공용매에 희석하고, 아세트산을 가한 후, pH를 4.0으로 고정하여 1시간 동안 가수분해한 가수분해용액에 실리카를 0.5~1시간 함침시키고 여과하여 증류수로 3회 세척한 다음 120 ℃에서 3 시간 및 상온에서 1일 완전 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에멀젼 베이스 D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및 농도 0.1 ∼ 10 중량% 암모니아수가 1:1중량비로 혼합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 및 첨가제 베이스 E는 아연분말, 산화아연, 이산화티타늄, 탄산칼슘, 황산바륨, 카본블랙, 탈크, 클레이, 마이카, 유리플레이크, 탄산칼슘, 벤토나이트, 카오린, 규석분 및 착색 안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 베이스 F제는 에폭시 경화제인 4,4’-diaminodiphenylmethane(DDM) 및 아크릴 경화제인 Benzoyl Peroxide(BP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
KR1020230024161A 2023-02-23 2023-02-23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 KR102639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161A KR102639986B1 (ko) 2023-02-23 2023-02-23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161A KR102639986B1 (ko) 2023-02-23 2023-02-23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986B1 true KR102639986B1 (ko) 2024-02-26

Family

ID=90058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4161A KR102639986B1 (ko) 2023-02-23 2023-02-23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98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823U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용 컵 홀더
KR200229584Y1 (ko) * 2001-01-17 2001-07-19 한림하이캐스트(주) 벤치
KR20090004413U (ko) * 2007-11-06 2009-05-11 (주)우퍼디자인 프로그래시브벤치
KR101007755B1 (ko) 2010-07-12 2011-01-14 (주) 현대산업 조립이 용이한 벤치
KR101945281B1 (ko) 2017-02-21 2019-02-08 권기병 테이블 겸용 벤치
KR102044524B1 (ko) * 2017-09-01 2019-11-14 주식회사 케이씨씨 수성 에폭시 수지 분산액 및 이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KR102088839B1 (ko) * 2019-09-18 2020-05-26 지유건설(주) 금속표면 보호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2137797B1 (ko) 2020-02-14 2020-07-24 지비케이건설 유한회사 자동 접이식 벤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6823U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용 컵 홀더
KR200229584Y1 (ko) * 2001-01-17 2001-07-19 한림하이캐스트(주) 벤치
KR20090004413U (ko) * 2007-11-06 2009-05-11 (주)우퍼디자인 프로그래시브벤치
KR101007755B1 (ko) 2010-07-12 2011-01-14 (주) 현대산업 조립이 용이한 벤치
KR101945281B1 (ko) 2017-02-21 2019-02-08 권기병 테이블 겸용 벤치
KR102044524B1 (ko) * 2017-09-01 2019-11-14 주식회사 케이씨씨 수성 에폭시 수지 분산액 및 이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KR102088839B1 (ko) * 2019-09-18 2020-05-26 지유건설(주) 금속표면 보호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2137797B1 (ko) 2020-02-14 2020-07-24 지비케이건설 유한회사 자동 접이식 벤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4313B2 (en) Surfactant-free cleansing and multifunctional liquid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nonreactive abrasive solid particles and an organosilane quaternary compound and methods of using
US7754004B2 (en) Thickened surfactant-free cleansing and multifunctional liquid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nonreactive abrasive solid particles and an organosilane quaternary compound and methods of using
AU2004285098B8 (en) Cleaning and Multifunctional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an Organosilane Quaternary Compound and Hydrogen Peroxide
JP4248255B2 (ja) 無機ポリシラザン含有防汚コーティング液
JP2920140B2 (ja) 防汚性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コーティング材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防汚性塗装品
CN106243966A (zh) 一种复合多功能双组份水性木器白面漆及其制备方法
KR101395078B1 (ko) 가수분해 저항성 유기변성 트리실록산 계면활성제들
WO1998041589A1 (fr) Composition pour revetement antisalissures a emulsion de silicone, procede pour produire de revetement et article antisalissures recouvert de ce revetement
KR102639986B1 (ko)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
CN1436104A (zh) 改性硬表面的长效涂料与涂布该涂料的方法
JP2006515641A (ja) ポリシラザン含有コーティング液
JP6522308B2 (ja) 親水撥油剤、表面被覆材、塗布膜、樹脂組成物、油水分離濾材及び多孔質体
CN107746590A (zh) 一种有机‑无机复合隔热涂料及其制备方法
US20100209612A1 (en) Silyl-functional linear prepolymers, production and use thereof
JPWO2014196108A1 (ja) 常温硬化型光触媒塗料、常温硬化型塗料組成物及び内装材
JP2011189273A (ja) 塗膜製造方法及び塗装物
WO2006126521A1 (ja) 防汚塗膜の構造
WO2011118494A1 (ja) 水廻り住宅設備用成形材料とそれを用いた水廻り住宅設備
JP5232496B2 (ja) 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これを含有する成形材料及び成形品
JP4817596B2 (ja) 光触媒組成物、それから形成される光触媒体
JP4540876B2 (ja) 硬化性組成物、塗料組成物、その塗膜およびその用途
JP2008238767A (ja) 低汚染性屋外工作物
WO2019188412A1 (ja) プライマー組成物、機能性部材及び機能性部材の製造方法
JP2001123077A (ja) 人工大理石とそれを用いたキッチンカウンターまたは浴槽または洗い場
JP7121356B2 (ja) 抗菌・抗ウイルスコーティング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