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797B1 - 자동 접이식 벤치 - Google Patents

자동 접이식 벤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797B1
KR102137797B1 KR1020200018396A KR20200018396A KR102137797B1 KR 102137797 B1 KR102137797 B1 KR 102137797B1 KR 1020200018396 A KR1020200018396 A KR 1020200018396A KR 20200018396 A KR20200018396 A KR 20200018396A KR 102137797 B1 KR102137797 B1 KR 102137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load
support
seating portion
automatic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연
Original Assignee
지비케이건설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비케이건설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지비케이건설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8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 A47C7/566Resiliently mounted seat or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1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having tipping-up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접이식 벤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지지대하는 지지대와; 상기 착석부를 착석이 가능한 사용위치와 상부로 젖혀진 접철위치 사이에서 회동이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와; 상기 착석부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자중에 의하여 상기 착석부가 상기 접철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하중부;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하중부를 바(bar) 형태로 장착하여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극소화하여 다양한 설치환경에의 적용이 가능하며, 구조를 단순화하고, 하중부의 하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접이식 벤치{AUTOMATIC FOLDABLE BENCH}
본 발명의 목적은 벤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중부를 바(bar) 형태로 장착하여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극소화하여 다양한 설치환경에의 적용이 가능하며, 구조를 단순화하고, 하중부의 하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자동 접이식 벤치에 관한 것이다.
공원이나 등산로 또는 횡단보도의 신호등 주변 등에는 이용객이나 보행자가 잠시 쉴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벤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벤치도 1인 또는 2인 이상이 동시에 앉을 수 있도록 설치환경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벤치는 그 설치를 위하여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벤치가 공원의 산책로나 좁은 등산로 또는 보행자가 많은 횡단보도 등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벤치가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접이식 벤치가 제공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9347호에는 정류장이나 공원등에 설치되며 중량센서,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등을 이용하여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에만 의자를 펼쳐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인체 접근시 작동되는 자동 접이식 의자 및 작동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센서 또는 모터와 같은 동력구성을 이용하는 경우 센서의 오감지에 따른 오동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센서 또는 동력구성에 고장이 있는 경우 의자 사용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동력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자중에 의해 미사용시 후방으로 회동되는 벤치가 개시된 바 있으나, 이러한 벤치의 경우 하중부가 충분한 무게를 가져야 하므로 벤치의 후방으로 크게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설치공간에 제약이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의 벤치는 설치된 하중을 변경하거나 조절할 수 없어 사용에 따른 위험 및 불편이 있다. 즉, 하중부의 무게가 필요 이상으로 큰 경우에는 착석부의 회전속도가 빨라져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할 뿐 아니라 착석부와 등받이가 충돌하여 파손의 우려가 있고, 반대로 하중부의 무게가 적은 경우에는 착석부의 회동속도가 너무 느려지거나 사용기간 등 외부조건에 따라 회동 자체가 수행되지 않는 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934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Bar) 형상의 하중부를 착석부의 후방 단부에 마련함으로써, 접철상태는 물론 사용상태에서도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극소화하여 다양한 설치환경에의 적용이 가능하며, 외관이 심플하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는 자동 접이식 벤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모터나 유압장치 등과 같은 복원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간단한 구조에 따른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자동 접이식 벤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중부의 하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착석부가 접철위치로 회동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하중부를 착탈 가능하게 마련하거나, 복수의 하중부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설치환경이나 사용자에 따른 기호를 용이하게 충족시킬 수 있으며, 또한, 하중부 자체를 추가 또는 변경하지 않더라도 회동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하중 증감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즉시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 미세한 하중조절도 가능한 자동 접이식 벤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벤치'는 특별한 예외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는 한 통상 사람이 걸터 앉는데 쓰이는 기구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벤치는 등받이가 있는 것과 등받이가 없는 것을 모두 포함하며, 1인만 앉을 수 있는 것과 2인 이상의 여러 명이 앉을 수 있는 것(공원과 같이 야외에 설치되거나 교회 등과 같이 실내에 설치되는 벤치 등)을 모두 포함한다.
각 경우에 있어서, 상기 벤치의 착석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는 상기 착석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그 개수에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1개로 마련될 수도 있고, 2 이상의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지지대하는 지지대와; 상기 착석부를 착석이 가능한 사용위치와 상부로 젖혀진 접철위치 사이에서 회동이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와; 상기 착석부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자중에 의하여 상기 착석부가 상기 접철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하중부;를 포함하는 자동 접이식 벤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착석부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폭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착석 바(bar)와, 상기 복수의 착석 바의 양단을 고정하는 복수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하중부는 상기 지지대에 인접한 상기 착석부의 후방 단부에 바(bar)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착석부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 그 크기는 물론 형상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중부는 하중 조절이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고, 복수 개가 동시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하중부의 크기나 길이는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그 장착위치나 방법은 모두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하중부는 양단이 상기 양 측면프레임으로 연장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하중부는 상기 착석부의 후방프레임의 기능을 동시에 보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석 바는 예를 들어, 중공의 금속관의 외부에 목재 재질을 포함하는 도포층이 도포되며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부는 상기 하중부의 하중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측면프레임의 전후방 방향 및 상기 전후방방향의 수직인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의 위치조절 구성은 공지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측면프레임 또는 상기 지지대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회동돌기와, 상기 측면프레임 또는 상기 지지대의 측면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회동돌기가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회동돌기홈으로 마련되고, 상기 회동돌기는 상기 전후방 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사용위치에서 상기 측면프레임의 후방 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착석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불구하고 상기 착석부가 상기 사용위치 이상으로 하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사용위치 고정부가 마련된다. 상기 사용위치 고정부는 착석부의 전방이 사용위치 이상으로 하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착석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로 마련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지지대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착석부가 자중에 위해 상기 접철위치로 회동될 때 상기 측면프레임의 후방 단부와 접촉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댐핑부가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접이식 벤치에 의하면, 바(Bar) 형상의 하중부를 착석부의 후방 단부에 마련함으로써, 접철상태는 물론 사용상태에서도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극소화하여 다양한 설치환경에의 적용이 가능하며, 외관이 심플하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접이식 벤치는 구동모터나 유압장치 등과 같은 복원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간단한 구조에 따른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접이식 벤치는 하중부의 하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착석부가 접철위치로 회동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하중부를 착탈 가능하게 마련하거나, 복수의 하중부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설치환경이나 사용자에 따른 기호를 용이하게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중부 자체를 추가 또는 변경하지 않더라도 회동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하중 증감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즉시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 미세한 하중조절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접이식 벤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착석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 및 착석부 측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접이식 벤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자동 접이식 벤치의 접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접이식 벤치(1)는 착석부(10)와, 지지대(20)와, 회동부(30)와, 착석부(1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자중에 의하여 착석부(10)가 접철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하중부(40)를 포함한다.
이하,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착석부(1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1인용 또는 2인 이상이 동시에 앉을 수 있는 벤치와 같이 다양한 크기와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착석부(1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착석 바(11)와 측면프레임(13)을 포함할 수 있다.
착석 바(11)는 각각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복수개로 마련되어 도 2와 같이 폭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착석 바(11)는 모두 동일한 길이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길이로 마련될 수도 있고, 길이 방향으로 2 이상의 착석 바(11)가 별도의 중간프레임(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 도 2의 수직인 방향을 포함한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가 가능하다.
착석 바(11)는 사이 공간이 없이 밀착되어 마련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사이 간격으로 오물이나 빗물 등이 흘러 나갈 수 있으므로 착석부(10)의 상면을 상대적으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후술할 측면프레임(13)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체결공(131)이 형성되어 있어서 착석 바(11) 사이의 간격을 임의대로 조정하여 측면프레임(13)에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착석 바(11)는 예를 들어, 동일한 형상의 목재,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금속관(111)의 외부에 목재 재질을 포함하는 도포층(113)을 가지며 마련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금속관(111)은 착석자의 하중이나 외력에 의해 착석 바(11)가 변형되지 않으면서 제조가 용이하기 장점이 있는 바, 금속이외의 재질이라도 동일한 강도를 보유한 것이면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착석 바(11)를 중공(中空)의 관형상으로 마련하는 경우, 착석부(10) 전체의 무게가 감소하기 때문에, 후술할 하중부(4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착석 바(11)를 중실(中實, Solid core) 형상으로 마련하는 것에도 아무런 제한이 없다.
도포층(113)은 목재 재질을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하여 마련될 수 있다. 목재재질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천연재질이라는 심리적 안정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도포액은 목재 분말 또는 목재 색깔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분말을 도포액에 첨가하여 분사 등의 방법으로 도포할 수 있다.
측면프레임(13)은 복수의 착석 바(11)의 양단을 고정하도록 마련된다.
측면프레임(13)은 착석 바(11)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내부형상을 가지며, 착석부(1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측면프레임(13)은 착석부(10)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중간의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1인용 의자의 경우에는 지지대(20)가 착석부(10)의 중앙에 1개로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여 측면프레임(13)도 1개로 마련될 수도 있는 등 착석부(10)의 크기에 따라 그 위치 및 개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대(20)에 인접한 착석부(10)의 후방에 하중부(40)가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후방프레임(미도시)은 별도로 마련하고, 상기 후방프레임의 배면에 하중부(40)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부(10)의 상부에는 지지대(20)에 의해 지지되는 등받이(5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등받이(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부(1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다수의 등받이 바(51)의 양단을 고정하는 등받이 프레임(53)을 이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20)는 착석부(10)를 고정지지면에 대해 지지한다.
상기 고정지지면은 설치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는 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일 수도 있고 또는 벽면일 수도 있다.
지지대(20)의 상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 상단 개구를 덮으며 등받이 프레임(53)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대 상판(21)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 상판(21)은 별도로 제작하여 용접이나 체결 등의 방법으로 지지대(20) 상단에 결합할 수도 있으나, 지지대(20)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사용위치 고정부(23)는 지지대(20)의 상단 일측에 상기 사용위치에서 측면프레임(13)의 후방 단부와 접촉되어 착석부(10)에 가해지는 외력에 불구하고 착석부(10)가 상기 사용위치 이상으로 하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위치 고정부(23)는 지지대(20)의 상단 후방에 측면프레임(13)을 향해 돌출형성되는데, 측면프레임(13)의 후단의 회동반경 내부로 마련되어 측면프레임(13)이 접철위치에서 사용위치로 회동될 때 사용위치 이상으로 초과하여 회동되지 않도록 한다.
사용위치 고정부(23)는 착석부(10)에 가해지는 착석자의 하중을 유지할 수 있는 크기 및 강도를 갖도록 다양한 크기와 형상 및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위치 고정부(2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대 상판(21)이 마련되는 경우에는 지지대 상판(21)의 후방 측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별도로 제작하여 지지대 상판(21)에 단단히 고정할 수도 있다.
또는, 도 3에서는 사용위치 고정부(23)가 지지대(20)측에 마련되는 것을 일예로 도시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부(10)가 사용위치 상태 이상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착석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한 그 위치나 형상등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사용위치 고정부(23)와 측면프레임(13) 후방의 접촉지점에는 접촉시 파손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격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방지부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탄성재질의 패드나 후술할 댐핑부(25)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댐핑부(25)는 지지대(20)의 하단 일측에 마련되어 착석부(10)가 자중에 의해 상기 접철위치로 회동될 때 측면프레임(13)의 후방 단부와 접촉되어 충격을 완화하도록 마련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댐핑부(25)는 지지대(20)의 내부 또는 측면프레임(13)을 향하는 외부 내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댐핑부(25)가 지지대(20)의 내부에 마련되는 경우, 도 5의 확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프레임(13)의 후방 단부에는 댐핑부(25)를 향하여 연장된 연장부(133)를 더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장부(133)의 회동반경에 해당하는 지지대(20)의 측면 또는 후면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댐핑부(25)가 지지대(20)의 외부에 측면프레임(13)의 후방 단부의 회동반경 내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연장부(133)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지지대(20)의 측면 일부를 개방시키지 않을 수 있다.
회동부(30)는 착석부(10)를 착석이 가능한 사용위치와 상부로 젖혀진 접철위치 사이에서 회동이 가능하게 한다.
회동부(3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프레임(13) 또는 지지대(20)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회동돌기(31)와, 상기 측면프레임(13) 또는 지지대(20)의 측면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회동돌기(31)가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회동돌기홈(33)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형상은 회동부(30)의 일예를 도시한 것일 뿐, 착석부(10)를 지지대(2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하는 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회동구조가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접이식 벤치(1)에 있어서, 하중부(40)의 무게는 착석부(1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착석부(10)를 상기 접철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무게 이상으로 마련되어야 하나, 필요이상으로 하중부(40)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에는 착석부(10)의 회동속도가 빨라져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 아니라 착석부(10)와 등받이(50)가 충돌하여 파손의 우려가 있다. 또한, 하중부(40)의 무게를 늘리면 그만큼 비용이 증가하고, 지지대(20)등 다른 구조물의 강성에 영향을 주게되어 설계변경이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반면, 하중부(40)의 무게가 착석부(10)의 회동에 필요한 최소하중에 인접한 경우에는 착석부(10)의 회동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사용기간 등 외부조건에 따라 회동 자체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접이식 벤치(1)는 하중부(40)의 하중 자체를 필요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게 하고, 또는 하중부(40)의 하중을 변경하지 않더라도 회동부(30)의 위치를 변경하여 하중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중 하나로서, 회동부(30)는 하중부(40)의 하중 조절이 가능하도록 측면프레임(13)의 전후방 방향(도 2의 A방향) 및 상기 전후방 방향의 수직인 상하방향(도 2의 B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있다.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30)는 회동돌기(31)와 회동돌기홈(33)으로 마련되는 경우에 회동돌기(31)는 상기 전후방 방향(A방향) 또는 상하방향(B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측면프레임(13)에 회동돌기(31)가 결합될 수 있는 다수의 삽입홈을 마련함으로써 회동돌기(31)의 위치에 따라 하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들어, 회동돌기(31)의 위치가 A방향을 따라 착석부(10)의 전방으로 이동하면 이에 따라 회동돌기(31) 후방에 하중이 증가하게 되어 착석부(10)의 회동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회동돌기(31)의 위치가 B방향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하중부(40) 측 하중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전후방 방향 및 상하방향은 각각 하중부(40)의 하중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측면프레임(13) 쪽의 회동돌기홈(33)의 위치를 전후방 또는 상하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전술한 회동돌기 삽입형 조절방식 이외에 착석부(10)와 지지대(20)를 분해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조그다이얼과 같은 방법으로 용이하게 회동부(3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부(30)의 위치를 변경하여 하중부(40)의 하중을 조절하는 방법은 하중부(40) 자체를 변경하지 않으므로 추가적인 교체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다는 장점이 있고, 필요에 따라 착석부의 회동속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중부(40)는 착석부(1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자중에 의하여 착석부(10)가 상기 접철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하중부(4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에 인접한 착석부(10)의 후방 단부에 바(bar)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중부(40)는 하중 조절이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착석부(10)의 회동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더 큰 하중을 갖는 하중부(40)로 교체할 수 있고 그 반대도 물론 가능하다.
하중부(40)는 복수 개가 동시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 하중부(40)의 배면에 또 다른 하중부(40)를 부착함으로써 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경우, 각 하중부(40)에는 또 다른 하중부(4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성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하중부(40)는 다양한 형상이나 크기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하중부(40)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위치를 서로 달리하여 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하중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양 측면프레임(13)으로 연장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중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착석부(10)의 후방 프레임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접이식 벤치는 바(Bar) 형상의 하중부를 착석부의 후방 단부에 마련함으로써, 접철상태는 물론 사용상태에서도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극소화하여 다양한 설치환경에의 적용이 가능하며, 외관이 심플하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접이식 벤치는 구동모터나 유압장치 등과 같은 복원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간단한 구조에 따른 유지보수 문제를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접이식 벤치는 하중부의 하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착석부가 접철위치로 회동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중부를 착탈가능하게 마련하거나, 복수의 하중부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설치환경이나 사용자에 따른 기호를 용이하게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중부 자체를 추가 또는 변경하지 않더라도 회동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하중 증감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즉시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 미세한 하중조절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1 : 자동 접이식 벤치
10 : 착석부 11 : 착석 바
111 : 금속관 113 : 도포액
13 : 측면프레임 131 : 체결공
133 : 연장부
20 : 지지대 21 : 지지대 상판
23 : 사용위치 고정부 25 : 댐핑부
30 : 회동부 31 : 회동돌기
33 : 회동돌기 홈
40 : 하중부
50 : 등받이 51 : 등받이 바
53 : 등받이 프레임

Claims (10)

  1.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폭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착석 바(bar)와, 상기 복수의 착석 바의 양단을 고정하는 복수의 측면프레임을 갖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지지대하는 지지대와;
    상기 측면프레임 또는 상기 지지대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회동돌기와, 상기 측면프레임 또는 상기 지지대의 측면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회동돌기가 회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회동돌기홈을 포함하여, 상기 착석부를 착석이 가능한 사용위치와 상부로 젖혀진 접철위치 사이에서 회동이 가능하게 하는 회동부와;
    바(bar) 형상을 가지며, 하중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인접한 상기 착석부의 후방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착석부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자중에 의하여 상기 착석부가 상기 접철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하중부;를 포함하되,
    상기 착석 바는 길이 방향으로 2 이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각 착석 바 사이에 마련된 중간프레임에 의해 일렬로 연결되고,
    상기 각 착석 바는 중공의 금속관의 외부에 목재 재질을 포함하는 도포층이 도포되며 마련되며,
    상기 하중부는 상기 착석부의 후방에 마련된 후방프레임의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하중부의 하중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자동 접이식 벤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부는 복수 개로 마련되는 자동 접이식 벤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부는 양단이 상기 양 측면프레임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자동 접이식 벤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하중부의 하중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측면프레임의 전후방 방향 및 상기 전후방방향의 수직인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자동 접이식 벤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사용위치에서 상기 측면프레임의 후방 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착석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불구하고 상기 착석부가 상기 사용위치 이상으로 하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사용위치 고정부가 마련되는 자동 접이식 벤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하단 일측에는 상기 착석부가 자중에 위해 상기 접철위치로 회동될 때 상기 측면프레임의 후방 단부와 접촉되어 충격을 완화하는 댐핑부가 마련되는 자동 접이식 벤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18396A 2020-02-14 2020-02-14 자동 접이식 벤치 KR102137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396A KR102137797B1 (ko) 2020-02-14 2020-02-14 자동 접이식 벤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396A KR102137797B1 (ko) 2020-02-14 2020-02-14 자동 접이식 벤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797B1 true KR102137797B1 (ko) 2020-07-24

Family

ID=71892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396A KR102137797B1 (ko) 2020-02-14 2020-02-14 자동 접이식 벤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79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281A (ko) 2020-10-07 2022-04-14 조규열 좌판과 등판을 서로 전환할 수 있는 벤치
EP4062798A1 (en) * 2021-03-22 2022-09-28 2724889 Ontario Inc. Modular furniture
KR20230042842A (ko) 2021-09-23 2023-03-3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벤치
KR200497022Y1 (ko) 2022-11-07 2023-07-05 주식회사 이원캐스팅거성금속 벤치
KR102639986B1 (ko) 2023-02-23 2024-02-26 주식회사디자인랜드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
USD1040587S1 (en) 2021-03-22 2024-09-03 2724889 Ontario Inc. Side frame for modular furniture
USD1043212S1 (en) 2021-03-22 2024-09-24 2724889 Ontario Inc. Side frame for modular furnitu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9564U (ko) * 1985-07-16 1987-03-27
JP2001149180A (ja) * 1999-12-01 2001-06-05 Kazuyoshi Wakabayashi 折り畳み椅子
KR200298303Y1 (ko) * 2002-07-15 2002-12-18 임익재 다이어트 의자
KR100880886B1 (ko) * 2008-05-30 2009-01-30 (주)자움 벤치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39347A (ko)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나라씨앤티 인체 접근시 작동되는 자동 접이식 의자 및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9564U (ko) * 1985-07-16 1987-03-27
JP2001149180A (ja) * 1999-12-01 2001-06-05 Kazuyoshi Wakabayashi 折り畳み椅子
KR200298303Y1 (ko) * 2002-07-15 2002-12-18 임익재 다이어트 의자
KR100880886B1 (ko) * 2008-05-30 2009-01-30 (주)자움 벤치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39347A (ko)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나라씨앤티 인체 접근시 작동되는 자동 접이식 의자 및 작동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281A (ko) 2020-10-07 2022-04-14 조규열 좌판과 등판을 서로 전환할 수 있는 벤치
EP4062798A1 (en) * 2021-03-22 2022-09-28 2724889 Ontario Inc. Modular furniture
USD1040587S1 (en) 2021-03-22 2024-09-03 2724889 Ontario Inc. Side frame for modular furniture
USD1043212S1 (en) 2021-03-22 2024-09-24 2724889 Ontario Inc. Side frame for modular furniture
KR20230042842A (ko) 2021-09-23 2023-03-3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벤치
KR200497022Y1 (ko) 2022-11-07 2023-07-05 주식회사 이원캐스팅거성금속 벤치
KR102639986B1 (ko) 2023-02-23 2024-02-26 주식회사디자인랜드 컵 홀더형 팔걸이를 구비한 벤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797B1 (ko) 자동 접이식 벤치
DE59707201D1 (de) Sitzmöbelelement mit einer gekoppelten Rückenlehnen- und Sitzverstellung
JP5976747B2 (ja) ティルティングタイプ椅子
WO2006138523A3 (en) Reversible lounge chair
US20080012404A1 (en) Seating and/or reclining furniture, in particular a chair
AU2001242093B2 (en) Chair and table assembly
AU745182B2 (en) Gliding seating unit with hinged gliding members
US7367627B2 (en) Armchair folding system
CA2964511A1 (en) Balance joint for furniture
CA2375579C (en) A stadium seat
AU2001242093A1 (en) Chair and table assembly
US6196632B1 (en) Chair, especially an office chair
US20100213745A1 (en) Folding armchair for conference halls
US6293621B1 (en) Gravity lift chair
KR101678446B1 (ko) 휴대용 의자
EP0680713B1 (en) Relaxation chair
KR100428434B1 (ko) 등받이폭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 지지구
KR100998448B1 (ko) 접이식 의자가 구비된 휀스
JP2006152544A (ja) 防護柵兼用収納ベンチ
KR200477254Y1 (ko) 가변 벤치
US7159935B2 (en) Structure of a chair
KR102277152B1 (ko) 실내 및 실외에서 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의자 겸용 테이블
KR102172282B1 (ko) 접이식 의자를 구비한 기둥조립체
KR200227496Y1 (ko) 이동식 좌변기
KR200360239Y1 (ko) 지하철 승강대용 접철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