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671B1 - 에스컬레이터의 이동난간용 안내레일의 심봉유지지그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의 이동난간용 안내레일의 심봉유지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671B1
KR102638671B1 KR1020237042254A KR20237042254A KR102638671B1 KR 102638671 B1 KR102638671 B1 KR 102638671B1 KR 1020237042254 A KR1020237042254 A KR 1020237042254A KR 20237042254 A KR20237042254 A KR 20237042254A KR 102638671 B1 KR102638671 B1 KR 102638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mandrel
groove
holding jig
individu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2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71481A (ko
Inventor
타쿠야 카와무라
사토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71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6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4Guiding means for carry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B66B31/02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for handrail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이동 난간(83)의 개별 안내레일(91)을 교체할 때에, 경사진 개별 안내레일(91)의 홈(96)에 있어서 심봉(93)의 활락을 방지할 수 있는 유지지그(10)를 제공한다. 에스컬레이터(80)의 이동 난간(83)의 개별 안내레일(91)을 교체할 때에, 개별 안내레일(91)에 따라서 형성된 홈(9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심봉(93)을 개별 안내레일(91)에서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유지지그(10)로서, 선단측이 폐쇄되도록 가압되어서 개별 안내레일(91)에 끼워서 고정되는 1쌍의 레버(11)와, 한쪽 레버(11A)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홈(96)에 삽입되는 유지편(12)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의 이동난간용 안내레일의 심봉유지지그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이동난간의 안내레일을 교체할 때에, 안내레일을 따라서 형성된 홈(groove)에 삽입된 심봉(cored bar)의 안내레일 내에서의 활락(滑落; slipping out)을 방지하는 심봉유지지그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는, 상층과 하층 사이를 순환하는 계단 형태의 발판과, 발판의 양측에 설치되는 난간과, 난간의 상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발판과 연동해서 이동하는 이동난간을 구비한다. 이동난간은 안내레일에 의해서 안내된다. 귀로 측의 안내레일은 경사진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의 기판 트러스(トラス/truss)에 고정되어 있다.
안내레일에는 안내레일을 따라서 홈이 형성되고, 홈에는 안내레일의 연장 방향으로 자유롭게 위치를 선택 가능한 복수의 심봉이 삽입되고, 심봉에는 부착앵글을 개재해서 안내레일을 기판 트러스에 나사체결 고정하기 위한 너트를 형성하고 있다.
기판 트러스에는 안내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부착앵글이 설치되고, 안내레일은 볼트에 의해서 심봉이 부착앵글에 체결됨으로써 기판 트러스에 고정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안내레일이 마모 등에 의해 열화된 경우에는, 새로운 안내레일로 교체할 필요가 있다. 안내레일을 교체할 때에는, 심봉으로부터 볼트를 떼어내서 부착앵글로부터 안내레일을 떼어낼 필요가 있다.
JP 2016-169058 A
전술한 안내레일의 교체작업에 있어서, 안내레일을 떼어낼 때에, 심봉으로부터 볼트를 떼어내면, 심봉이 홈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미끄러 떨어져 버린다. 또한, 안내레일을 부착할 때에는, 심봉을 안내레일 속에서 부착앵글에 대응하는 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안내레일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심봉을 안내레일 속에서 소정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와 같이 안내레일의 교체작업에서는, 경사진 안내레일의 홈 속에서 심봉을 유지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난간의 안내레일을 교체할 때에, 경사진 안내레일로부터의 활락을 방지하고, 또 안내레일의 홈의 소망의 위치에 심봉을 유지할 수 있는 심봉유지지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심봉유지지그는, 에스컬레이터의 이동난간의 안내레일을 교체할 때에, 안내레일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 심봉의 안내레일 내에서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유지지그로서, 선단측이 폐쇄되도록 가압되어서 상기 안내레일에 끼워서 고정되는 1쌍의 레버와, 한쪽 레버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홈에 삽입되는 유지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봉유지지그에 있어서, 안내레일의 홈 내에서 유지편을 심봉에 접촉한 위치에서 안내레일에 끼워서 고정한 때에, 유지편의 노출 길이는, 레버가 안내레일을 기판 트러스에 고정하기 위한 부착앵글에 접촉하지 않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심봉유지지그에 따르면, 이동난간의 안내레일을 교체할 때에, 경사진 안내레일의 홈에 있어서 심봉을 고정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동난간의 안내레일을 교체할 때의 심봉의 활락을 방지하고, 또 안내레일의 홈의 소망의 위치에 심봉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에스컬레이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에스컬레이터의 귀로 측의 안내레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귀로 측의 개별 안내레일의 부착앵글과의 고정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귀로 측의 개별 안내레일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일례인 유지지그를 나타내는 안내레일의 신장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일례인 유지지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의 일례인 유지지그의 사용예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의 일례인 유지지그의 사용예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구체적인 형상, 재료, 방향, 수치 등은,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로서, 용도, 목적, 사양 등에 맞춰서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이용해서, 실시형태에 따른 에스컬레이터(80)에 대해서 설명한다.
에스컬레이터(80)는, 상층과 하층 사이를 순환하는 복수의 발판(81)과, 발판(81)의 양측에 설치되는 난간(82)과, 난간(82)의 상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발판(81)과 연동해서 이동하는 이동난간(83)을 포함한다.
발판(81)은 무단 형태의 발판 체인(85)에 부착되어 있다. 발판 체인(85)은, 상하의 스프로킷(86, 87)에 건너지르고 있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 스프로킷(86)이 회전 구동된다. 이것에 의해, 발판 체인(85)은, 각 스프로킷(86, 87)의 사이에서 움직이고, 발판 체인(85)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발판(81)이 상층 측의 승강구(88)와 하층 측의 승강구(89) 사이를 순환한다.
이동난간(83)은, 난간(82)에 설치된 후술하는 안내레일(90)에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어 있다. 이동난간(83)은, 도시하지 않은 난간구동유닛에 의해서 발판(81)의 이동과 연동하도록 구동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이용해서, 귀로 측의 안내레일(9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귀로 측의 안내레일(90)은, 경사져서 배치되는 동시에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복수의 개별 안내레일(91)과, 연결된 개별 안내레일(91)의 양단부에 각각 접속되는 가요성 안내레일(92)로 구성된다.
개별 안내레일(91)은, 강제(鋼製)로서 직선 형태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심봉(93)에 의해서 에스컬레이터(80)의 기판 트러스에 설치되는 부착앵글(95)에 고정된다. 또한, 귀로 측의 안내레일(90)에서는, 복수의 개별 안내레일(91)이 후술하는 연결용 심봉(94)(도 4 참조)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가요성 안내레일(92)은, 수지제로서 만곡 형태로 구성된다. 안내레일(90)은, 가요성 안내레일(92)의 부착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전체 길이가 조정된다.
도 3 및 도 4를 이용해서, 귀로 측의 안내레일(90)의 고정구조 및 연결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개별 안내레일(91)을 심봉(93)을 이용해서 부착앵글(95)에 고정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개별 안내레일(91)과 연결용 심봉(94)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개별 안내레일(9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심봉(93)에 의해서 부착앵글(95)에 고정되는 동시에 돌출 가이드(97)에 의해 이동난간(83)을 안내한다. 개별 안내레일(91)은, 심봉(93)이 삽입되는 홈(96)과, 이동난간(83)이 걸어맞춤하는 돌출 가이드(97)를 구비한다. 심봉(93)은, 단척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홈(96)으로부터 들여다보는 볼트 구멍(93A)이 형성된 너트이다. L형의 부착앵글(95)은, 세로벽(95A)이 에스컬레이터(80)의 기판 트러스에 고정되어 있다.
개별 안내레일(91)을 부착앵글(95)에 고정할 때에는, 홈(96)에 삽입된 심봉(93)을 볼트(98)에 의해서 부착앵글(95)의 횡벽(95B)에 체결한다.
안내레일(90)은, 복수의 개별 안내레일(91)을 연결해서 긴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2 참조). 이하에서는, 도 4를 이용해서, 귀로 측의 안내레일(90)의 연결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별 안내레일(9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용 심봉(94)에 의해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결된다. 연결용 심봉(94)은, 심봉(93)보다도 긴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홈(96)으로부터 들여다보는 볼트 구멍(94A)이 복수(본 예에서는 4개) 형성된다. 인접 배치된 개별 안내레일(91)을 연결할 때에는, 홈(96)에 삽입된 연결용 심봉(94)의 양단부를 볼트(98)에 의해서 각각의 개별 안내레일(91)에 체결한다.
그런데, 개별 안내레일(91)이 마모 등에 의해 열화된 경우에는, 새로운 개별 안내레일(91)로 교체할 필요가 있다. 개별 안내레일(91)을 교체할 때에는, 심봉(93)으로부터 볼트(98)를 떼어내고, 부착앵글(95)로부터 개별 안내레일(91)을 떼어낼 필요가 있다. 동시에, 연결용 심봉(94)으로부터 볼트(98)를 떼어내고, 개별 안내레일(91)끼리의 연결을 떼어낼 필요가 있다. 이때, 후술하는 유지지그(10)에 의해서, 개별 안내레일(91)로부터 심봉(93) 또는 연결용 심봉(94)이 빠져서 낙하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이용해서, 유지지그(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지지그(10)는, 이동난간(83)의 귀로 측의 개별 안내레일(91)을 교체할 때에, 개별 안내레일(91)을 따라서 형성된 홈(96)에 삽입된 심봉(93) 또는 연결용 심봉(94)을 개별 안내레일(91)의 홈(96) 내에 유지하는 지그이다. 유지지그(10)에 따르면, 심봉(93) 또는 연결용 심봉(94)을 경사진 개별 안내레일(91)의 홈(96) 속에 유지함으로써 개별 안내레일(91)의 교체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지지그(10)는, 선단측이 폐쇄되도록 가압된 1쌍의 레버(11)(한쪽 레버(11A) 및 다른 쪽 레버(11B))와, 한쪽 레버(11A)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개별 안내레일(91)의 홈(96)에 삽입되는 유지편(12)과, 1쌍의 레버(11)의 기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13)와, 1쌍의 레버(11) 사이에 설치되는 동시에 1쌍의 레버(11)의 선단측이 폐쇄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14)을 포함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레버(11)는, 개별 안내레일(91)의 한쪽 측벽부(91A)를 사이에 유지해서, 개별 안내레일(91)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유지지그(10)가 개별 안내레일(91)의 임의 위치에서 고정 유지된다. 1쌍의 레버(11)는, 긴 형태의 한쪽 레버(11A)와 다른 쪽 레버(11B)가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중앙부의 회동축(11C)에 있어서 서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쪽 레버(11A)의 선단측은,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굴절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1쌍의 레버(11)의 선단측이 폐쇄된 상태이어도, 유지편(12)을 1쌍의 레버(11) 사이에 배치할 수 있도록, 1쌍의 레버(11)의 선단측이 소정 폭만큼 개구된 상태로 된다.
유지편(12)은, 개별 안내레일(91)의 홈(96)에 삽입되어, 심봉(93) 또는 연결용 심봉(94)을 홈(96) 내에 유지해서 심봉(93) 또는 연결용 심봉(94)의 낙하를 방지한다. 유지편(12)은, 한쪽 레버(11A)의 선단부의 내측에 고정되어, 개별 안내레일(91)의 홈(96)의 경사 아래쪽에서 개별 안내레일(9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결정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편(12)의 레버(11A)로부터 노출되는 길이방향의 길이(L1)는, 길이(l1)에 심봉(93)의 전체 길이의 절반(L2)을 더한 길이가 전술한 부착앵글(95)의 길이방향의 길이의 1/2(L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유지지그(10)에 의해서 심봉(93)을 유지할 때에 유지지그(10)가 부착앵글(95)에 간섭하는 일은 없다.
바꾸어 말하면, 유지지그(10)는, 개별 안내레일(91)의 홈(96) 내에서 유지편(12)을 심봉(93)에 접촉한 위치에서 유지지그(10)를 개별 안내레일(91)에 끼워서 고정한 때에, 유지편(12)의 노출 길이는, 1쌍의 레버(11)가 개별 안내레일(91)을 기판 트러스에 고정하기 위한 부착앵글(95)에 접촉하지 않는 길이를 갖는다.
유지편(12)은, 완충 고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개별 안내레일(91)의 홈(96)에 있어서 유지편(12)에 심봉(93) 또는 연결용 심봉(94)이 낙하된 경우에라도, 심봉(93) 또는 연결용 심봉(94)을 낙하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손잡이부(13)는, 유지지그(10)의 선단측을 개방할 때에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집는 부분으로서, 수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14)은, 전술한 바와 같이, 1쌍의 레버(11)의 기단 측에 있어서 1쌍의 레버(11) 사이에 설치되어, 1쌍의 레버(11)의 선단측이 폐쇄되도록 가압된다. 본 예에서는, 스프링(14)은, 비틀림 스프링이 적합하게 이용되어, 1쌍의 레버(11)의 기단 측이 개방되도록 가압된다.
도 7 및 도 8을 이용해서, 유지지그(10)를 이용한 개별 안내레일(91)의 교체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유지지그(10)에 의해서 심봉(93)을 개별 안내레일(91)의 홈(96) 내에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유지지그(10)에 의해서 심봉(93)을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별 안내레일(91)을 떼어낼 때에는, 심봉(93)으로부터 볼트(98)를 떼어내고, 부착앵글(95)로부터 개별 안내레일(91)을 떼어낸다. 우선, 심봉(93)으로부터 볼트(98)를 떼어내기 전에, 유지지그(10)에 의해서 각각의 심봉(93)을 현재의 설치 위치에서 유지한다.
이때, 개별 안내레일(91)의 홈(96)에 유지지그(10)의 유지편(12)을 심봉(93)의 경사방향 아래쪽으로부터 삽입하고, 유지편(12)의 선단부를 심봉(93)의 경사방향 하단측에 접촉시켜서, 1쌍의 레버(11)에 의해서 개별 안내레일(91)의 한쪽 측벽부(91A)를 사이에 유지한다.
그리고, 유지지그(10)에 의해서 심봉(93)을 유지한 상태에서, 심봉(93)으로부터 볼트(98)를 떼어내고, 부착앵글(95)로부터 개별 안내레일(91)을 떼어낸다.
또, 유지편(12)을 심봉(93)에 접촉시키는 없이, 심봉(93)의 경사방향 하단의 임의 위치에 있어서, 유지지그(10)를 개별 안내레일(91)에 끼워서 고정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심봉(93)으로부터 볼트(98)를 떼어냈을 때에, 심봉(93)이 홈(96)을 낙하해서 유지지그(10)의 유지편(12)의 선단부에 받아들여진다.
한편, 새로운 개별 안내레일(91)을 부착할 때에는, 심봉(93)에 볼트(98)를 체결하고, 부착앵글(95)에 개별 안내레일(91)을 부착한다. 우선, 개별 안내레일(91)의 부착앵글(95)에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에 유지지그(10)에 의해서 각각의 심봉(93)을 유지한다.
이때, 개별 안내레일(91)의 홈(96)에 유지지그(10)의 유지편(12)을 삽입하고, 유지편(12)의 선단부를 심봉(93)에 접촉시켜서, 심봉(93)이 부착앵글(95)과 정확하게 위치결정된 위치에서 1쌍의 레버(11)에 의해서 개별 안내레일(91)의 한쪽 측벽부(91A)를 사이에 유지한다.
그리고, 유지지그(10)에 의해서 심봉(93)을 유지한 상태에서, 심봉(93)에 볼트(98)를 체결하고, 유지지그(10)를 개별 안내레일(91)로부터 떼어내고, 부착앵글(95)에 개별 안내레일(91)을 부착한다.
전술한 개별 안내레일(91)의 교체작업에서는, 유지지그(10)에 의해서 심봉(93)을 유지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유지지그(10)에 의해서 연결용 심봉(94)을 유지할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나 개량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유지지그 11: 1쌍의 레버
11A: 한쪽 레버 11B: 다른 쪽 레버
11C: 회동축 12: 유지편
13: 손잡이부 14: 스프링
80: 에스컬레이터 81: 발판
82: 난간 83: 이동난간
85: 발판 체인 86: 스프로킷
87: 스프로킷 88: 승강구
89: 승강구 90: 안내레일
91: 개별 안내레일 92: 가요성 안내레일
93: 심봉 94: 연결용 심봉
95: 부착앵글 96: 홈
97: 돌출 가이드 98: 볼트

Claims (2)

  1. 에스컬레이터의 이동난간의 안내레일을 교체할 때에, 상기 안내레일에 형성된 홈(groove)에 삽입된 심봉(cored bar)의 상기 안내레일 내에서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심봉유지지그로서,
    선단측이 폐쇄되도록 가압되어서 상기 안내레일에 끼움으로써 상기 안내레일에 고정되는 1쌍의 레버; 및
    한쪽의 상기 레버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심봉을 상기 홈 내에 있어서 유지하는 유지편
    을 포함하는, 심봉유지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의 상기 홈 내에서 상기 유지편을 상기 심봉에 접촉한 위치에서 상기 안내레일에 끼워서 고정한 때에,
    상기 유지편의 상기 레버로부터의 노출 길이는, 상기 레버가 상기 안내레일을 기판 트러스에 고정하기 위한 부착앵글에 접촉하지 않는 길이를 갖는, 심봉유지지그.
KR1020237042254A 2021-05-28 2021-05-28 에스컬레이터의 이동난간용 안내레일의 심봉유지지그 KR102638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20373 WO2022249440A1 (ja) 2021-05-28 2021-05-28 エスカレーターの移動手摺用案内レールの芯金保持治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481A KR20230171481A (ko) 2023-12-20
KR102638671B1 true KR102638671B1 (ko) 2024-02-21

Family

ID=84228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2254A KR102638671B1 (ko) 2021-05-28 2021-05-28 에스컬레이터의 이동난간용 안내레일의 심봉유지지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91272B2 (ko)
KR (1) KR102638671B1 (ko)
CN (1) CN117355477B (ko)
WO (1) WO202224944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6083A (ja) 2009-07-28 2011-02-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ンコンベアのレール接続装置用治具
JP2020117342A (ja) 2019-01-22 2020-08-0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ーの手摺の保守用具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0612B2 (ja) * 1994-03-11 1998-11-05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の移動手摺案内ローラ調整治具
JPH07252878A (ja) * 1994-03-15 1995-10-03 Kubota Corp ポンプ装置
JP3611465B2 (ja) * 1998-07-13 2005-01-19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スカレータのハンドレール取替方法
JP2010120132A (ja) * 2008-11-20 2010-06-0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保持工具
JP6305235B2 (ja) * 2014-06-17 2018-04-04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手摺ガイド調整装置
JP2016169058A (ja) 2015-03-11 2016-09-23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移動手摺用ガイドレールの長さ調整器具
JP6671251B2 (ja) * 2016-06-15 2020-03-25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チェーン位置決め治具
JP6832820B2 (ja) * 2017-09-22 2021-02-24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ステップ持上げ支援装置
CN111792503A (zh) * 2020-05-11 2020-10-20 森赫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扶梯扶手导向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6083A (ja) 2009-07-28 2011-02-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ンコンベアのレール接続装置用治具
JP2020117342A (ja) 2019-01-22 2020-08-0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ーの手摺の保守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91272B2 (ja) 2023-12-04
CN117355477A (zh) 2024-01-05
KR20230171481A (ko) 2023-12-20
WO2022249440A1 (ja) 2022-12-01
JPWO2022249440A1 (ko) 2022-12-01
CN117355477B (zh) 2024-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84288B (zh) 重新定位对于训练器具的促动点
US10561896B2 (en) Exercise machine with multiple platforms
ITTO950117A1 (it) Barra porta-bagagli per autoveicoli.
EP1864769B1 (en) Automated Truss Assembly Jig Setting System
DE602005003932D1 (de) Zusammenschiebbare Leiter mit Verriegelungsvorrichtung
EP2308637A2 (de) Werkzeug-Kettenmagazin
KR102638671B1 (ko) 에스컬레이터의 이동난간용 안내레일의 심봉유지지그
DE20212222U1 (de) Laufrollenträger für Schiebetüren
CN101468408A (zh) 用于切割机的滑动台面
SE449196B (sv) Drivanordning for forflyttning av endbeslaget i ett passivt sekerhetsbelte
DE202010003769U1 (de) Umlenkrollenkette für die Handlaufführung in der Umlenkung oben und unten an Fahrtreppen und Fahrsteigen
KR20110134238A (ko) 완 력 기
CN201880956U (zh) 一种万向钻台
CN219295216U (zh) 一种快捷式接触网接地靴
JP2009191534A (ja) 建設機械の伸縮アーム
CN211248172U (zh) 一种链锯自动化设备的坦克链前进机构
WO2022230174A1 (ja) 乗客コンベア用移動手摺の案内ローラ取替治具
KR200485279Y1 (ko) 안전 난간
DE20002500U1 (de) Energieführungskette
KR20230162688A (ko) 드라이브 체인 교체 지그
DE4213753C2 (de) Steigklammer zum Erklettern eines Baumes entlang des astfreien Baumstammes
DE102016106902A1 (de) Abdominales Trainingsgerät
DE10004679A1 (de) Vorrichtung für eine Zugentlastung dynamisch beanspruchter Leitungen in einer Energieführungskette
DE20307975U1 (de) Werbeträgeraufnahmevorrichtung
DE115434C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