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659B1 - 수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 - Google Patents

수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659B1
KR102637659B1 KR1020197035283A KR20197035283A KR102637659B1 KR 102637659 B1 KR102637659 B1 KR 102637659B1 KR 1020197035283 A KR1020197035283 A KR 1020197035283A KR 20197035283 A KR20197035283 A KR 20197035283A KR 102637659 B1 KR102637659 B1 KR 102637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roe
aqueous
roe extract
extract
lipophi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7847A (ko
Inventor
다니엘 슈탕글
베른하르트 두들러
Original Assignee
라 프레리 그룹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 프레리 그룹 아게 filed Critical 라 프레리 그룹 아게
Publication of KR20200007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2Reproductive organs; Embryos,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5Extraction with lipophilic solvents, e.g. Hexane or petrol e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5Liquid-liquid separation; Phase s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를 플럼핑시키고/거나; 지방 세포에서 트리글리세리드의 혼입을 증가시키거나; 라미닌, 바람직하게는, 라미닌-5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라미닌-5 β 서브유닛의 발현을 증가시키고/거나; 인간 피부의 피부 탄력성 및/또는 회복성을 유지하기 위한, 수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
본 발명은 수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에 관한 것이다.
많은 여성 및 남성에게 흔한 골칫거리는 피부, 특히, 얼굴 피부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볼륨 및 단단함을 잃는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어떤 상황에서는 얼굴의 윤곽이 눈에 띄게 변할 수 있다. 한 결과로는 바람직하지 않은 주름 형성이 있다.
인간의 피부 구조에 있어서, 피하 조직은 가장 깊은 피부층을 형성한다. 신체 부위에 따라, 피하 조직은 상이한 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이마는 특히 얇은 반면, 엉덩이는 상당히 두껍다. 전체적으로, 피하 조직은 체중의 15 내지 30%를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피하 조직은 한 쪽의 결합 조직 및 다른 한 쪽의 지방 세포로 이루어진다. 후자는 유기체에 필요하지 않은 과잉의 영양분을 저장하는 예비 세포 역할을 한다. 특히, 트리글리세리드와 같은 지방의 저장이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예비 세포 또는 지방 세포(fat cell)는 지방 세포(adipocyte)로 불린다. 지방 세포의 형성은 인생의 단지 3 스테이지에서만 큰 정도로 발생한다: 임신 마지막 3개월, 출생 첫 해 및 사춘기 초기.
과학적 연구는 지방생성에 의한 지방 세포의 형성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감소함을 시사한다(문헌 [Djian P, Roncari AK, Hollenberg CH 1983. Influence of anatomic site and age on the replication and differentiation of rat adipocyte precursors in culture. J Clin Invest 72: 1200-1208; Kirkland JL, Hollenberg CH, Gillon WS 1990. Age, anatomic site, and the replication and differentiation of adipocyte precursors. Am J Physiol 258: C206-C210; Schipper BM, Marra KG, Zhang W, Donnenberg AD, Rubin JP 2008. Regional anatomic and age effects on cell function of 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s. Ann Plastic Surg 60: 538-544; and Cartwright MJ, Schlauch K, Lenburg ME, Tchkonia T, Pirtskhalava T, Cartwright A, Thomou T, Kirkland JL 2010. Aging, depot origin, and preadipocyte gene expression.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65: 242-251] 참조). 따라서, 연령에 따른 피부 지방 조직의 감소는 지방 세포의 전구 세포가 손실되거나 이들의 활동성이 손실됨을 나타낸다. 여기서, 논리적 귀결 또한 주름 형성인데, 피부의 단단함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지방 세포의 능력 중 하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저장이며, 이는 아마도 피부 층을 플럼핑(plumping)시킬 것이다. 많은 트리글리세리드가 저장되는 경우, 플럼핑된 피부는 더욱 이완된다. 신체 영역에 따라, 이는 더욱 또는 덜 바람직하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얼굴의 피하 조직은 비교적 작은 층 두께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트리글리세리드의 특히 효과적인 저장은 이러한 신체 부위에서 피부의 효과적인 플럼핑으로 이어진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플럼핑은 주름의 깊이를 눈에 띄게 감소시킴으로써 달성된다.
그러나, 문제는 선택적으로, 트리글리세리드의 증가된 저장으로 이어지는, 단지 소수의 활성 화장품 성분만이 공지되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특히, 효과적인 방식으로 피부를 플럼핑시키고/거나 지방 세포 중 트리글리세리드의 저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화장용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이다. 특히, 얼굴 피부에의 화장용 제제의 적용 후 플럼핑 효과가 측정가능하거나 가시화되어야 한다.
또한, 인간 피부의 가장 바깥쪽 층은 표피로서 기술되며, 이는 인간 신체의 유일하게 각질화된 편평 상피이다. 이러한 상피는 본질적으로 다양한 보호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이는 특히 주로 다중층 구조에 의해 생성되는 기계적 보호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경우, 피부의 표피는 충분한 찢김 강도를 가져야 하며, 아래의 결합 조직으로부터 분리되어서는 안된다.
상피와 결합 조직 사이에는 기저막이 존재하며, 이의 가장 윗층은 기저판으로 지정된다. 기저판의 두께는 약 20 nm이며, 전체 기저막 두께는 약 1-2 μm이다. 기저판은 상피 세포와 직접적으로 인접해 있으며, 이의 전자 침투성에 따라, 투명판(lamina rara) 및 치밀판(lamina densa)으로 추가로 나누어 진다. 투명판과 그 아래에 있는 치밀판은 주로 단백질 타입 IV 콜라겐 및 상피 세포 막의 인테그린의 세포외 도메인과 가교되는 라미닌, 및 또한, 엔탁틴(니도겐) 및 프로테오글리칸 예컨대, 퍼레칸으로 구성된다. 또한, 추가의 단백질은 논의된 매트릭스 성분과 연합될 수 있다.
존재하는 라미닌은 400 내지 900 kDa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콜라겐-유사 당단백질이다. 일반적으로, 라미닌은 α, β 및 γ 사슬로 지정된 3개의 구조 성분으로 구성된다. 분자는 4개의 암을 가지며, 이 중 3개는 다른 라미닌 분자와의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나머지 더 긴 암은 세포 표면에 결합한다.
상기 설명에 의해 제시된 바와 같이, 라미닌은 세포 접착이라고 불리는 조직의 응집에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게다가, 라미닌은 세포 접착 및 분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조직 표현형의 유지에 기여한다. 그러나, 라미닌의 부정확한 형성이 발생하는 경우, 이는 예를 들어, 특정 형태의 근위축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화장품 관점에서, 불충분한 양의 라미닌이 덜 단단한 것으로 보이는 피부로 이어지는 경우 이는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라미닌의 형성을 촉진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 또는 화장용 활성 성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라미닌-5의 형성은 촉진되어야 하며, 이는 콜라겐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따라서 피부의 신장성 및 탄력성에 영향을 미친다.
놀랍게도,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의 주제에 의해 달성되었다.
본 발명의 주제는
I. 수성 어란 추출물 (I)로서, 수성 어란 추출물 (I)이
a1) 오일 상 및 수성 상을 함유하는 추출 혼합물에 현탁되는 어란,
b1) 균질화되는 현탁 혼합물 a1),
c1) 수성 어란 추출물 (I)을 수득하기 위해 추출되는 균질화물 b1)의 수성 상에 의해 수득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어란 추출물 (I); 및
II.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로서,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이
a2) 오일 상 및 수성 상을 함유하는 추출 혼합물에 현탁되는 어란,
b2) 균질화되는 현탁 혼합물 a2),
c2)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을 수득하기 위해 추출되는 균질화물 b2)의 오일 상에 의해 수득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을 함유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이다.
c1) 지점에서 수득되는 수성 상은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어란 추출물 (I)이다.
c2) 지점에서 수득되는 오일 상은 본 발명에 따른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제제의
a) 피부를 플럼핑시키기 위한;
b) 지방 세포에서 트리글리세리드의 저장을 증가시키기 위한;
c) 라미닌, 바람직하게는, 라미닌-5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라미닌-5 서브유닛 β의 발현을 증가시키기 위한; 및/또는
d) 인간 피부의 피부 탄력성 및/또는 신장성을 보존하기 위한 화장 용도이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하기 기록된 모든 중량 백분율(wt%)은 각각의 경우의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비율이 하기 언급되는 경우, 이들은 중량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재내용의 목적에 있어서 표현 "비함유"는 각 물질의 비율이 0.05 중량% 미만임을 의미한다. 이는 이러한 물질로의 유입 또는 오염이 본 발명에 따라 "비함유"하는 것으로서 포함되지 않음을 보장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모든 실험 및 공정 단계는 표준 조건 하에서 수행되었다. 용어 "표준 조건"은 20℃, 1013 hPa 및 50%의 상대 습도를 의미한다.
용어 피부가 하기 사용되는 경우, 이는 배타적으로 인간 피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얼굴 피부를 플럼핑시켜 주름의 깊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수성 어란 추출물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가 사용된다. 따라서, 특정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의 한 적용은 나이가 듬에 따라 얼굴에 나타나는 주름의 깊이 감소로 이어진다. 추가로, 놀랍게도, 수성 어란 추출물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가 라미닌, 특히, 라미닌-5 및 구체적으로, 라미닌-5, 서브유닛 β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경우, 두 가지의 상이한 어란 추출물의 조합이 놀라운 시너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피부로의 적용은 라미닌, 특히, 라미닌 5 및 구체적으로, 라미닌-5, 서브유닛 β가 더 많이 생성되게 하며, 이는 나이가 듬에 따라 발생하는 예를 들어, 인간 피부의 탄력성 저하의 감소를 유도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의 화장 용도는 원하지 않는 피부 주름의 형성 감소 또는 인간 피부의 피부 탄력성 및/또는 신장성의 보존으로 이어진다.
문헌 WO 2008020329 A2는 세포 또는 조직의 손상 및 기능 결함을 예방하고 세포 기능을 촉진하기 위한, 분화가능한 세포, 알 세포 추출물 또는 분화가능한 세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기술한다. 추가로, 이들 조성물은 세포 및 조직의 외형, 생활력 및 건강을 촉진한다. 특히, 연어알의 추출물이 상처 치유를 촉진할 수 있음이 실시예 11의 89면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어란 추출물, 또는 지방 세포에서 트리글리세리드의 증가 저장 또는 피부 플럼핑에 관한 특정 효과에 대해 어느 것도 기술되어 있지 않다.
문헌 WO 2009136291 A2는 또한, 어란으로부터의 추출물 생성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의 기술 내용은 WO 2008020329 A2의 기술 내용과 동일하다. 실시예 13은 연어 및 송어 알로부터의 추출물의 생성을 기술한다. 표 13에 제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어종으로부터의 추출물의 조성은 추출 방법에 따라 상이하다. 따라서, 존재하는 DNA 및 단백질 농도는 현저하게 상이하다. 따라서, 추출 방법에 따라, 추출물을 사용할 때 상이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음이 추정될 것이다.
추가로, WO 2008020329 A2에서와 동일한, 어란으로부터의 추출물의 생성 방법이 문헌 WO 2011138687 A2의 28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5에 기술된 연어알로부터의 추출은 또한 처음으로 세척된 어란을 기반으로 한다. 이어서, 수성 용해 완충액에서 현탁시키고 균질화시킨다. 생성 방법은 본 발명과 상이하다.
종래 문헌 어느 것도 어란이 오일 상과 수성 상의 추출 혼합물에 현탁되고, 여기에서 균질화되는 추출 공정에 대해 기재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언급된 문헌 어느 것도 당업자가 본 발명의 주제에 나아가게 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독립된 과정으로 수성 어란 추출물 (I)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어, 철갑상어 알로부터의 본 발명의 수성 어란 추출이 연어 알의 본 발명의 친유성 어란 추출물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제제에 존재할 수 있게 해준다. 즉, 하기 내용에서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 둘 모두를 위한"이라는 표현이 사용되는 경우, 이는 한편으로는, 본 발명의 수성 어란 추출물 (I) 또는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개별적인 별도의 생성 공정에 관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마찬가지로 상기 표현은 본 발명의 수성 어란 추출물 (I) 및 본 발명의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본 발명의 생성 방법으로서, 어란을 오일 상 및 수성 상을 함유하는 추출 혼합물에 현탁시키고, 수득된 현탁 혼합물을 균질화시키고, 수성 상을 이러한 균질화물로부터 추출하여 수성 어란 추출물 (I)을 수득하고, 오일 상을 이러한 균질화물로부터 추출하여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을 수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어란, 공정 단계 또는 파라미터가 "수성 어란 추출물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의 생성 둘 모두를 위한"에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하기 언급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언급은 수성 어란 추출물 (I) 또는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개별적인 독립된 생성 공정을 위한 어란, 공정 단계 또는 파라미터의 선택이 바람직하며, 어란을 오일 상 및 수성 상을 함유하는 추출 혼합물에 현탁시키고, 수득된 현탁 혼합물을 균질화시키고, 수성 상을 이러한 균질화물로부터 추출하여 수성 어란 추출물 (I)을 수득하고, 오일 상을 이러한 균질화물로부터 추출하여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을 수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수성 어란 추출물 및 본 발명의 친유성 어란 추출물의 생성 공정을 위한 어란, 공정 단계 또는 파라미터의 선택이 바람직하거나 유리함을 의미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이 생성 공정에서 함께 생성되는 경우, 이는 균질화 후, 오일 상 및 수성 상 둘 모두가 본 발명의 추출물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는 경제적 및 생태계적 관점에서 이로운데, 왜냐하면 더 적은 자원이 사용되며, 폐기물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주제는 수성 어란 추출물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로서, 수성 어란 추출물 (I)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이
a) 오일 상 및 수성 상을 함유하는 추출 혼합물에 현탁되는 어란,
b) 균질화되는 현탁 혼합물 a),
c) 수성 어란 추출물 (I)을 수득하기 위해 추출되는 균질화물 b)의 수성 상; 및
d)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을 수득하기 위해 추출되는 균질화물 b)의 오일 상에 의해 수득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이다.
c) 지점에서 수득되는 수성 상은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어란 추출물 (I)이다. d) 지점에서 수득되는 오일 상은 본 발명에 따른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이한 어종의 알이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 둘 모두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수성 어란 추출물 (I) 및/또는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을 생성하는데 바람직한 어란은 연어, 송어 및 철갑상어의 어란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유리한 결과가 철갑상어 알을 사용하여 수성 어란 추출물 (I) 및/또는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에서 달성된다. 따라서, 철갑상어 알은 바람직하게는,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 둘 모두를 위해 사용된다. 다양한 상이한 종의 철갑상어가 알려져 있으며, 이의 알은 본 발명의 생성 공정에서 대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시베리아 철갑상어(Siberian sturgeon), 짧은 코 철갑상어(short-nosed sturgeon), 양자강 철갑상어(Yangtze sturgeon), 바다 철갑상어(sea sturgeon), 러시아 철갑상어(Russian sturgeon) 또는 다이아몬드 철갑상어(diamond sturgeon), 녹색 철갑상어(green sturgeon), 사할린 철갑상어(Sakhalin sturgeon), 아드리아 철갑상어(Adriatic sturgeon), 바스타드 철갑상어(bastard sturgeon), 대서양 철갑상어(Atlantic sturgeon), 페르시아 철갑상어(Persian sturgeon), 스텔렛(Sterlet), 아무르 철갑상어(Amur sturgeon), 중국 철갑상어(Chinese sturgeon), 스테리 철갑상어(starry sturgeon), 유럽 철갑상어(European sturgeon), 화이트 철갑상어(white sturgeon), 칼루가(Kaluga) 및 벨루가(Beluga) 철갑상어가 특히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다양한 철갑상어 종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므로, 이들 종은 사용해서는 안됨을 주지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가장 바람직하게는, 화이트 철갑상어(아시펜서 트란스몬타누스(Acipenser transmontanus)) 및/또는 시베리아 철갑상어(아시펜서 배리(Acipenser baerii))의 어란이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또한,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 둘 모두를 위해 선택된다. 화이트 철갑상어는 IUCN(국제 자연 및 자연 자원 보존 연합)에 따라 멸종 위협을 받지 않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구체예에서, 종축 철갑상어, 특히, 종축 시베리아 철갑상어 및/또는 화이트 철갑상어의 어란이 독점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구체예 내에서, 또한, 어란이 어류에게 치명적이지 않은 공정에 의해 수득되는 경우 가장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수성 어란 추출물 (I) 및/또는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을 어란 분리 후 24시간 이내에 각각 생성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어란을 분리 후 붕사로 추가로 보존 처리하는 경우 유리하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지 않지만, 어란을 동결보호제에서 분리 후 냉동-건조시키고, -50 내지 -90℃의 저장 온도에서 12개월 이하 동안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동결보호제는 1.5 M의 1,2-프로판디올, 0.2 M의 수크로스 및 물로 구성된다. 동결보호제 사용은 냉동 및 해동 동안 알 막에 대한 손상을 방지한다. 유리하게는, 냉동-건조는 분당 -1℃의 저하 속도로 -80℃의 저장 온도까지 발생할 것이다. 어란 추출물의 생성 전 알 해동은 어란이 1℃ 내지 5℃의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얼음 위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수성 어란 추출물 (I) 및/또는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은 이 경우에 1℃ 내지 5℃로의 어란 해동 후 수행된다.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 둘 모두에 있어서, 각각의 어란은 오일 상 및 수성 상을 함유하는 추출 혼합물에 어란, 오일 상 및 수성 상의 혼합물이 수득되도록 현탁된다. 이러한 혼합물은 두 경우 모두에서 현탁 혼합물로서 불린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제조 둘 모두에 있어서, 추출 혼합물에 함유된 오일 상은 유리하게는, 20℃에서 액체인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포함한다. INCI 명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로 알려진 오일이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 둘 모두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는데, 이들 성분이 어란에서는 예상되지 않기 때문이다.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 둘 모두에 있어서, 추출 혼합물의 오일 상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추출 혼합물의 오일 상 중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오일의 비율이 적어도 80 wt%,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wt%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7 wt%인 경우 추가로 유리하다.
또한,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 둘 모두에 있어서, 추출 혼합물에 함유된 오일 상이 적어도 하나의 항산화제를 함유하는 경우 유리하다.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 둘 모두에 있어서, 토코페롤 및/또는 BHT가 바람직하게는 항산화제로서 사용되며, 추출 혼합물의 오일 상 중 이의 총 비율은 추출 혼합물의 오일 상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0.5 wt%이다. 추출 혼합물의 오일 상 내에서 항산화제의 사용은 어란의 균질화 동안 및 후에 산화에 대한 어란의 성분을 보호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또는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에 있어서, 추출 혼합물에 함유된 수성 상은 유리하게는, 수성 상 어란 추출 (I)의 생성 및/또는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에 있어서 추출 혼합물의 각 수성 상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 wt%의 EDTA 및 50 mM 내지 200 mM의 포스페이트(예를 들어, 소듐 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로부터의)를 함유하는 포스페이트 완충액이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라서,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 둘 모두에 있어서, 추출 혼합물의 본 발명의 수성 상은 균질화 전, 동안 및 후에 박테리아의 성장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보존제를 함유하는 경우 유리하다.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 둘 모두를 위해 사용되는 바람직한 보존제는 페녹시에탄올, 펜에틸 알콜 및/또는 에틸헥실글리세린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 둘 모두에 있어서, 보존제의 총 비율 특히, 추출 혼합물의 수성 상 중 바람직한 것으로서 특성결정된 보존제의 총 비율은 추출 혼합물의 수성 상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유리하게는, 0.5 내지 3 wt%이다.
추출 혼합물의 오일 및 수성 상에 어란을 현탁시킨 후, 이들 3개 성분의 혼합물이 수득되며, 이는 본 발명에 따라서,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 둘 모두를 위한 현탁 혼합물로서 불린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르면, 수성 상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 둘 모두에 있어서, 어란의 중량비는 각 현탁 혼합물 (a1) 및/또는 (a2)의 수성 상과 관련하여 1:2 내지 2:1, 바람직하게는, 1:1.2 내지 1.2:1인 경우 유리하다. 또한,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 둘 모두에 있어서, 어란의 중량비는 각 현탁 혼합물 (a1) 및/또는 a2))의 오일 상과 관련하여 1:0.2 내지 1:0.4인 경우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 둘 모두에 있어서, 상기 기술된 현탁 혼합물 중 어란의 균질화는 어란 자체, 오일 상 및 수성 상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균질화는 세포의 내용물 - 세포기관, 단백질, DNA, RNA 또는 기타 생체분자에 접근하기 위해 세포를 파괴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 둘 모두에 있어서, 기계적 및 비-기계적 분해 공정이 균질화에 이용될 수 있다. 비-기계적 분해 공정은 예를 들어, 세포 벽의 화학적 분해에 상응한다.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 둘 모두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기계적 분해 공정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비제한적으로, 다운스 공정(Dounce process)을 포함하며, 이 때 세포는 전단력, 캐비테이션 힘(cavitation force)에 의해 세포가 파괴되는 초음파처리, 또는 예를 들어, 샘플에 좁은 밸브(Manton-Gaulin 균질화기)를 통해 압력이 가해지는 기계적 압력 적용으로의 분해에 의해 파괴된다. 다양한 균질화물이 균질화 공정에 따라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서, 기계적 압력의 적용으로 균질화 공정을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한 공정은 Manton-Gaulin 균질화기 또는 French 프레스를 사용하는 공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을 위한 수성 상의 추출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을 위한 오일 상의 추출은 유리하게는, 원심분리에 이은 후속 상 분리에 의해 각 현탁 혼합물의 균질화물로부터 수행된다. 따라서,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 둘 모두에 있어서, 유리하게는, 현탁 혼합물의 균질화 및 후속 원심분리 후, 오일 상, 수성 상 및 침전물이 존재할 것이다. 일부 경우, 세포 성분을 갖는 또 다른 층이 부유하는 오일 상과 수성 상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후속 분리 및 균질화물의 수성 상의 추출에서, 세포 성분의 부유층의 성분 분리는 가능한 한 피해야 한다.
원심분리 동안,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 둘 모두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가 1500 내지 3000 G에서 수행되는 경우 유리하다. 이러한 경우,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 둘 모두에 있어서, 원심분리 시간은 유리하게는, 30분 내지 2시간이다. 후속하여, 유리하게는, 상이 육안으로 명백히 분리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유리한 것으로 상기 확인된 조건이 지켜진 경우, 성분의 특히 깔끔한 분리가 가능하다.
균질화물의 수득된 수성 상은 이미 본 발명의 수성 어란 추출물 (I)이다. 상기 균질화물은 복수의 상이한 성분을 하유하며, 따라서, 추출 방법에 의해 구체적으로 규정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라 유리한 수성 어란 추출물 (I)은 또한,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총 중량을 기반으로 하여 0.02 내지 0.1 wt%의 중량비의 DNA 성분, 5 내지 15 wt%의 중량비의 단백질 및 0.5 내지 1 wt%의 중량비의 탄수화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함이 밝혀졌다.
본 기재내용의 목적에 있어서, 용어 DNA 성분은 DNA의 완전한 가닥은 물론 DNA 가수분해 생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어란 추출물 (I)을 생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이 너무 완만하며, 추가로, 비타민 B2, B5 및 비타민 PP가 어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음이 놀랍게도 밝혀졌다. 이에 반해,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추출 방법의 사용은 종종 상기 비타민 성분의 손실 또는 이의 상당한 감소로 이어진다. 따라서, 특히, 비타민-풍부 수성 어란 추출물 (I)을 함유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 이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 의해 수득된 수성 어란 추출물 (I)이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1 내지 10 wt%,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wt%,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wt%의 총 비율로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에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구체예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가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1 내지 10 wt%,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wt%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wt%의 총 비율로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 의해 수득되는 철갑상어 알의 수성 어란 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득된 본 발명의 수성 어란 추출물 (I)이 1:0.5 내지 1:1.5의 중량비로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 내로 혼입되기 전에, 수성 글리신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2 wt%의 글리신을 함유하는 수성 글리신 용액으로 희석됨으로써 안정화될 수 있음이 놀랍게도 밝혀졌다. 중량비는 수성 글리신 용액과 관련된 수성 어란 추출물 (I)을 나타낸다. 수성 글리신 용액의 사용은 수득된 수성 어란 추출물 (I) 중 단백질에 대한 안정화 효과를 가져서, 이들의 유통 수명이 증가된다.
또한, 글리신 수용액이 추가로, 8 내지 12 범위의 HLB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유화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우 유리하다. 유화제의 사용은, 연장된 저장 시, 수성 추출물 (I)의 표면에 물질의 침전이 발생할 수 없도록 나머지 유용성 성분, 단백질 및 단백질 가수분해물이 수성 어란 추출물 (I) 내에서 안정화된다는 효과를 갖는다. 글리신 수용액 중 이러한 유화제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글리신 수용액의 총 중량을 기반으로 하여 0.5 내지 2 wt%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은 유화제로서 선택된다.
또한, 글리신 수용액이 추가로, 에틸헥실글리세린, 페녹시에탄올 및/또는 펜에틸 알콜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존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우 유리하다. 상기 언급된 보존제의 총 중량비는 글리신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특히 유리하게는, 0.5 내지 3 wt%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글리신 용액은 본 발명의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박테리아 감소를 위해 가열로 분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유리한 글리신 용액을 사용함으로써, 박테리아로의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오염이 배제되거나 감소된다.
또한, 글리신 수용액은 유리하게는, 글리신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2 wt%의 총 비율로 적어도 하나의 전해질, 바람직하게는, 소듐 클로라이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성 어란 추출물 (I) 및 글리신 수용액로부터 수득된 용액은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5.0 내지 7.5,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 범위의 pH를 가져, 성분이 과도하게 산성 또는 염기성 조건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다.
일부 경우에 수성 어란 추출물 (I) 및 수성 글리신 용액으로부터 수득된 생성물을 여과하는 것이 또한 유리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존재하는 고체 또는 침전된 성분이 이렇게 제거될 수 있으며, 투명 용액이 수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성 어란 추출물 (I) 및 수성 글리신 용액으로부터 수득된 생성물은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로 혼입되기 전에 단점 없이 25℃에서 어둠하에 1년 이하 동안 저장될 수 있다.
수득된 수성 어란 추출물 (I)은 매우 다양한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에서 기술된 수성 글리신 용액의 첨가 후 직접적으로 또는 유리하게 혼입될 수 있다.
균질화물의 수득된 오일 상은 이미 본 발명에 따른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이다. 상기 균질화물은 복수의 상이한 성분을 함유하며, 따라서, 출발 물질 및 추출 방법에 의해 명확하게 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성분은 지방산이다. 다양한 지방산의 특정한 분포가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의 목적에 유리함이 밝혀졌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중 단일불포화된 지방산의 중량비는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에 함유된 모든 지방산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50 wt%, 특히, 35 내지 45wt%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방산은 6 내지 28개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모든 비분지형의 포화된 및 불포화된 카르복실산을 포함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은,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 중 단일불포화된 지방산의 중량비가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에 함유된 모든 지방산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0 내지 40 wt%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우 유리하다. 또한,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 중의 오메가-3 지방산의 중량비가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에 함유된 모든 지방산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5 내지 25 wt%인 경우 더욱 유리하다. 또한, 유리한 본 발명의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은,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에 함유된 모든 지방산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 중 오메가-6 지방산의 중량비가 10 내지 20 wt%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안정성, 유통 기한 및/또는 순도는 균질화물의 추출된 오일 상이 건조되는 경우 증가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건조는 유리하게는, 적합한 염, 특히 유리하게는, 디소듐 설페이트(Na2SO4)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안정성, 유통 기한 및/또는 순도는 추출된 오일 상이 여과됨으로써 증가될 수 있음이 또한 밝혀졌다. 여과는 유리하게는, 전체 건조제, 예를 들어, 디소듐 설페이트가 오일 상으로부터 제거되도록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리한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은 이들이 페녹시에탄올, 펜에틸 알콜 및 에틸헥실 글리세린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존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유리하게는,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 중 보존제의 총 비, 특히, 페녹시에탄올, 펜에틸 알콜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존제의 총 비는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3.5 wt%이다. 상기 특징이 준수되는 경우,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은 적어도 2년의 박테리아 공격에 대한 저항성을 가짐이 밝혀졌다. 따라서,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로의 즉석 혼입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은 유리하게는, 트리글리세리의 중량비, 특히, 데카노일 및 옥타노일 글리세리드(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의 비율이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60 wt%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 의해 수득된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이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10 wt%,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5 wt%의 총 비율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에 존재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구체예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가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10 wt%,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5 wt%의 총 비율로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 의해 수득되는 철갑상어 알의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구체예는, 수성 어란 추출물 (I) 대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중량 비가 100:1 내지 1:100, 바람직하게는, 20:1 내지 1:1이며,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 중 두 어란 추출물 모두의 총 함량은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10 wt%,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 wt%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는 통상적인 화장용 및/또는 피부과용 제제 제시 형태, 바람직하게는, 겔, O/W 에멀젼, W/O 에멀젼, W/O/W 에멀젼, O/W/O 에멀젼, 마이크로에멀젼, 화장용 스틱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에멀젼, 연고, 파운데이션, 토너, 수용액, 크림, 겔, 파우더, 마스크, 포말 제제 및 에어로졸 제제로서 존재할 수 있다.
매일 얼굴 피부에 적용되는 피부과용 또는 화장용 제제는 일반적으로 에멀젼으로서 포뮬레이션화된다. 에멀젼은 일반적으로, 이종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이는 혼화성 또는 제한된 정도로만 혼화성인 두 가지 액체로 구성되며, 두 액체 중 하나는 다른 액체 중에 매우 미세한 소적 형태로 분산된다. 육안으로 에멀젼은 균질한 것으로 보인다. 액체 둘 모두가 물 및 오일이고, 오일이 물 중에 미세하게 분포된 소적으로서 존재하는 경우, 이는 수중유 에멀젼(O/W 에멀젼)이다. 다른 한편으로, 물이 오일 중에 미세하게 분포된 소적으로서 존재하는 경우, 이는 유중수 에멀젼(W/O 에멀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어란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가 O/W 에멀젼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유화제는 에멀젼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안정화는 에멀젼의 상 분리가 방지되거나 지연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정화 에멀젼이 적절하게 선택된 유화제 시스템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유화제는 극성의 친수성 구조 요소 및 비극성의 친유성 구조 요소를 갖는 분자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분자는 바람직한 물 또는 오일 용해성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HLB 값(0 내지 20의 무차원수)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유중수 유화제(W/O 유화제)는 일반적으로, 3 내지 8 범위의 HLB 값을 갖는다. 따라서, W/O 유화제는 오일 상 중에 현탁되어 존재하는 수성 상의 안정화를 촉진한다. 수중유 유화제(O/W 유화제)는 8 초과 내지 18의 HLB 값을 갖는다. 이들은 수성 상에 현탁되어 존재하는 오일 상의 안정화를 촉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어란 추출물 및 본 발명에 따른 친유성 어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가 수중유 에멀젼으로서 존재한다면,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가 8초과 내지 18 범위의 HLB 값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O/W 유화제를 함유하는 경우 유리하다. 유리하게는, 선택되는 O/W 유화제는 예를 들어, 하기 목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HLB 화학명
8.2 트리글리세롤 모노올레에이트
8.3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8.4 폴리옥시에틸렌 (4)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400) 디올레에이트
8.5 소듐 카프로일 락틸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8.6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 모노라우레이트
8.8 폴리옥시에틸렌 (4) 미리스틸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디올레에이트
8.9 노닐페놀, 4 mol EO로 폴리옥시에틸화됨
9.0 올레스-5
9.2 - 9.7 폴리옥시에틸렌 (4) 라우릴 알콜
9.3 폴리옥시에틸렌 (4) 트리데실 알콜
9.6 폴리옥시에틸렌 (4)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9.8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 모노라우레이트
10 - 11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모노올레에이트
10.0 디도데실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10.0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디라우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디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4)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5)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10 - 12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시트레이트
10.2 폴록시에틸렌 (40) 소르비톨 헥사올레에이트
10.4 - 10.6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600) 디스테아레이트
10.5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10.6 수크로스 모노스테아레이트
10.7 수크로스 모노올레에이트
11 - 11.4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모노올레에이트
11.0 폴리에틸렌 글리콜 (350)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모노탈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7)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8) 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 트리데실 알콜
11.1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모노스테아레이트
11.2 폴리옥시에틸렌 (9) 모노스테아레이트
수크로스 모노올레에이트
수크로스 모노스테아레이트
11.4 폴록시에틸렌 (50) 소르비톨 헥사올레에이트
수크로스 모노탈레이트
수크로스 스테아레이트 팔미테이트
11.6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400) 모노리시놀레에이트
11.7 수크로스 모노미리스테이트
수크로스 모노팔미테이트
12.0 PEG-10 소이 스테롤
트리에탄올아민 올레에이트
12.2 -12.3 노닐페놀, 8 mol EO로 에톡실화됨
12.2 수크로스 모노미리스테이트
12.4 수크로스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10) 올레일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10) 올레일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10) 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10) 스테아릴 에테르
12.5 폴리옥시에틸렌 (10) 스테아릴 세틸 에테르
12.7 폴리옥시에틸렌 (8) 트리데실 알콜
12.8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400) 모노라우레이트
수크로스 모노코코에이트
12.9 폴리옥시에틸렌 (10) 세틸 에테르
13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에톡실화됨(20 mol EO)
13.0 Eumulgin O 10 (폴리옥시에틸렌 (10) 올레일 에테르)
Eumulgin 286 (노닐옥시놀-10)
Eumulgin B 1 (세테아레스-12)
13.0 C12 지방 아민, 에톡실화됨 (5 mol EO)
13.1 노닐페놀, 에톡실화됨 (9.5 mol EO)
13.2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16) 톨 오일
13.3 폴리옥시에틸렌 (4)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13.5 노닐페놀, 에톡실화됨 (10.5 mol EO)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모노올레에이트
13.7 폴리옥시에틸렌 (10) 트리데실 알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660) 모노탈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1500)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1500) 디올레에이트
13.9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모노코코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9) 모노라우레이트
14 -16 피마자유, 40 EO로 에톡실화되고 수소화됨
14.0 폴리옥시에틸렌 (12)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12) 트리데실 알콜
14.2 폴리옥시에틸렌 (15) 스테아릴 알콜
14.3 폴리옥시에틸렌 (15) 스테아릴 세틸 에테르
14.4 C12-C15 지방 알콜과 12 mol EO의 혼합물
14.5 폴리옥시에틸렌 (12) 라우릴 알콜
14.8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600) 모노라우레이트
14.9 - 15.2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20 EO로 에톡실화됨
15 - 15.9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20 EO로 에톡실화됨
15.0 PEG-2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40 피마자유
데실 글루코시드
도데실 글루코시드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
노닐페놀, 15 mol EO로 에톡실화됨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600) 모노올레에이트
15 -17 피마자유, 60 EO로 에톡실화되고 수소화됨
15.3 C12 지방 아민, 12 mol EO로 폴리옥시에틸화됨
폴리옥시에틸렌 (20) 올레일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20) 올레일 에테르
15.4 폴리옥시에틸렌 (20) 스테아릴 세틸 에테르
15.5 폴리옥시에틸렌 (20) 스테아릴 알콜
15.6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1000)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15.7 폴리옥시에틸렌 (20) 세틸 에테르
15.9 디소듐 트리에탄올아민 디스테아릴 헵타글리콜 에테르 설포숙시네이트
16.0 노닐페놀, 20 mol EO로 에톡실화됨
폴리옥시에틸렌 (25) 프로필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16 - 16.8 폴리옥시에틸렌 (30) 모노스테아레이트
16.3 -16.9 폴리옥시에틸렌 (40) 모노스테아레이트
16.5 - 16.7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16.6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톨
16.7 C18 지방 아민, 5 mol EO로 폴리옥시에틸화됨
폴리옥시에틸렌 (23) 라우릴 알콜
17.0 세테아레스-30, 예를 들어, Eumulgin B 3
옥틸글루코시드 (Triton CG 110)
폴리옥시에틸렌 (30) 글리세릴 모노라우레이트
17.1 노닐페놀, 30 mol EO로 에톡실화됨
17.4 폴리옥시에틸렌 (40) 스테아릴 알콜
18.8 PEG-100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레스-100
19.1 PEG-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상기 목록에서, 약어 EO는 에틸렌 옥사이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O/W 에멀젼은 유리하게는, W/O 유화제를 또한 함유할 수 있으며, O/W 유화제 대 W/O 유화제의 비는 각 HLB 값을 고려하여, O/W 에멀젼이 형성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O/W 유화제 및 W/O 유화제의 공지된 혼합물은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및 PEG-100 스테아레이트를 함유하는 Croda로부터의 시중 제품 Arlacel 170이며, 두 물질의 비는 약 11의 총 HLB가 발생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수성 어란 추출물 및 본 발명의 친유성 어란 추출물 이외에, 본 발명의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는 유리하게는, 레시틴 및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즉, 8 내지 24, 특히, 12 내지 18 C 원자의 사슬 길이를 갖는 포화되고/거나 불포화된 분지형 및/또는 비분지형의 알칸카르복실산의 트리글리세롤 에스테르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오일을 함유한다.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는 유리하게는, 합성, 반합성 및 천연 오일, 예를 들어,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 오일, 대두유, 땅콩유, 유채씨유, 아몬드유, 팜유, 코코넛유, 피마자유, 위트점 오일, 포도씨유, 홍화유, 달맞이꽃유, 마카다미아 넛 오일 등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는 유리하게는, 분지형 및 비분지형의 탄화수소 및 왁스, 특히, 바셀린(페트롤라텀), 액체 파라핀, 스쿠알란 및 스쿠알렌, 폴리올레핀 및 수소화된 폴리이소부텐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오일을 함유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중, 폴리데센이 바람직한 물질이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는 유리하게는, 식물성 왁스, 동물 왁스, 미네랄 왁스 및 석유화학 왁스의 군으로부터의 지방 및/또는 왁스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칸델리라 왁스(candelilla wax), 카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재팬 왁스(Japan wax), 에스파르토 왁스(Esparto wax), 코르크 왁스(cork wax), 구아루마 왁스(guaruma wax), 쌀배아유 왁스, 사탕수수 왁스, 베리 왁스, 오리커리 왁스, 몬탄 왁스, 호호바 왁스, 시어버터, 밀랍, 셸락납, 경랍, 라놀린(양모납), 크레페 팻(crepe fat), 세레신, 오조케라이트(세레신 왁스), 파라핀 왁스 및 마이크로왁스가 본 발명에 따라 선호된다.
추가로 유리한 지방 및/또는 왁스 성분은 화학적으로 변형된 왁스 및 합성 왁스, 예를 들어, CRODA GmbH로부터의 상표명 Syncrowax HRC (글리세릴 트리베헤네이트), 및 Syncrowax AW 1 C (C18-36 지방산)으로 입수가능한 것들, 및 또한, 몬탄 에스테르 왁스, 사솔 왁스(sasol wax), 수소화된 호호바 왁스, 합성 또는 변형된 밀랍(예를 들어, 디메티콘 코폴리올 밀랍 및/또는 C30-50 알킬 밀랍), 폴리알킬렌 왁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이며, 또한, 화학적으로 변형된 지방, 예를 들어, 수소화된 식물성 오일(예를 들어, 수소화된 피마자유 및/또는 수소화된 코코넛 지방 글리세리드), 트리글리세리드 예컨대,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및 글리콜 에스테르, 예를 들어, C20-40 알킬 스테아레이트, C20-40 알킬 하이드록시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및/또는 글리콜 몬타네이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가 환형, 분지형 및/또는 선형 실리콘을 함유하는 경우 유리할 수 있다. 환형, 분지형 및/또는 선형 실리콘의 군은 또한, 본 기재내용의 목적에 있어서 "실리콘 오일"로서 불린다. 선형 실리콘 오일은 INCI 명 디메티콘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하기 화학식 (I)에 따른 구조를 가지며,
반면 분지형 실리콘 오일은 하기 화학식 (II)에 따라 기술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메틸 기 또는 3 내지 탄소 30개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포화된 또는 불포화된 하이드로카본 기일 수 있으며, x, y 및 z는 독립적으로, 0 내지 60 000의 범위의 정수이다. 환형 실리콘은 INCI 명 사이클로메티콘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 중 실리콘 오일의 중량비가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 wt% 내지 10 wt%인 경우 유리하다.
추가로,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는 유리하게는, O/W 에멀젼 중의 오일 상의 총 비율이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 내지 30 wt%, 바람직하게는, 5 wt% 내지 25 wt%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8 wt% 내지 22 wt%이며, 본 발명의 친유성 어란 추출물이 오일 상에 함유됨을 특징으로 한다. 실리콘 오일은 또한,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의 오일 상에 포함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 중 물의 중량비가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wt% 내지 90 wt%, 바람직하게는, 60 wt% 내지 80 wt%인 경우 유리하다.
추가로,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는 하나 이상의 레올로지 변형제를 함유하는 경우 유리하다. 선택되는 바람직한 레올로지 변형제는 하기 INCI 물질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 카르보머 (회사 Lubrizol로부터의 타입 980, 981, 2984, 5984의 카르보폴);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예를 들어, Lubrizol로부터의 Carbopol® Aqua SF-1 폴리머),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예를 들어, Lubrizol로부터의 Pemulen TR 1, Pemulen TR 2, Carbopol 1328),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VP 코폴리머(예를 들어, Clariant로부터의 Aristoflex AVC), 폴리아크릴레이트-1 크로스폴리머(예를 들어, Lubrizol로부터의 Carbopol® Aqua CC 폴리머);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예를 들어, BASF로부터의 Cosmedia SP); 비닐피롤리돈 및 아크릴산의 코폴리머
- 셀룰로스 및 셀룰로스 유도체,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알루론산 및 잔탄검
- 전분, 예를 들어, 타피오카 전분.
레올로지 변형제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INCI 명 카르보머,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 및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VP 코폴리머로 공지된 물질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유리하게는, 이들 레올로지 변형제의 총 비율,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특성 결정된 레올로지 변형제의 총 비율은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5 내지 5 wt%,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 wt%이다. 추가로,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언급된 물질 이외에, 타피오카 전분은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5 wt% 이하의 비율로 존재하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추가로, 존재하는 모든 본 발명의 레올로지 변형제 대 존재하는 오일 상의 중량 비가 1:1 내지 1:30,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28,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27인 경우 유리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는 놀랍게도 유리한 크레아민을 가지며, 푸석푸석하거나 너무 유성이고 너무 액체인 것으로 소비자에게 인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가 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콜 또는 세틸 알콜과 스테아릴 알콜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유리하다.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가 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콜, 또는 세틸 알콜과 스테아릴 알콜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물질의 총 비가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5 내지 5.5 wt%인 경우 유리하다.
추가로, 본 발명의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가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판디올, 글리세롤, 에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또는 모노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모노에틸 또는 모노부틸 에테르 및/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또는 모노에틸 에테르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유리하다. 이러한 경우,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가 글리세롤 및/또는 프로판디올을 함유하는 경우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자외선 차단제로서 본 발명의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UV-A, UV-B 및/또는 광역 스펙트럼 필터 물질을 함유한다.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지만, 포뮬레이션은 또한, 임의적으로 UV 필터 물질로서 하나 이상의 유기 및/또는 무기 염료를 함유하며, 이는 수성 상 및/또는 오일 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실온에서 액체인 적어도 하나의 UV 필터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실온에서 액체인 특히 유리한 UV 필터 물질은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INCI: 호모살레이트), 2-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INCI: 옥토크릴렌), 2-에틸헥실 2-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2-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옥틸 살리실레이트, INCI: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및 신남산의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 4-메톡시신나메이트(INCI: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및 이소펜틸 4-메톡시신나메이트(INCI: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3-(4-(2,2-비스에톡시카르보닐비닐)페녹시)프로페닐)메톡시실록산/디메틸실록산 코폴리머(이는 예를 들어, Hoffmann La Roche로부터의 상표명 Parsol® SLX로 입수가능)이다.
바람직한 무기 안료는 금속 옥사이드 및/또는 기타 금속 화합물이며, 이는 드물게는 수용성 또는 불수용성이며, 특히, 티타늄(TiO2), 아연(ZnO), 철(예를 들어, Fe2O3), 지르코늄(ZrO2), 규소(SiO2), 망간(예를 들어, MnO), 알루미늄(Al2O3), 세륨(예를 들어, Ce2O3)의 옥사이드, 상응하는 금속들의 혼합된 옥사이드, 및 이러한 옥사이드와 바륨 설페이트의 혼합물(BaSO4)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안료는 또한, 유리하게는 시중에서 입수가능한 유성 또는 수성 사전분산액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분산제 및/또는 용해제는 이들 사전분산액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료는 유리하게는 표면-처리될("코팅")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친수성, 양쪽성 또는 소수성 특징을 형성하거나 보유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표면 처리는 안료에 그 자체로 공지된 공정에 따라 얇은 친수성 및/또는 소수성 무기 및/또는 유기 층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표면 코팅은 또한,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물을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티타늄 디옥사이드 입자 및 티타늄 디옥사이드 입자의 사전분산액은 하기 상표명으로 하기 회사로부터 입수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유리한 UV-A 필터 물질은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특히, 4-(3차-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CAS no. 70356-09-1) (상표명 Parsol ® 1789로 Givaudan에 의해 및 상표명 Eusolex® 9020으로 Merck에 의해 판매됨)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유리한 UV 필터 물질은 또한 다음과 같다:
ㆍ페닐렌-1,4-비스-(2-벤즈이미다질)-3,3'-5,5'-테트라설폰산 및 이의 염, 특히, 상응하는 소듐, 포타슘 또는 트리에탄올암모늄 염, 특히, 페닐렌-1,4-비스-(2-벤즈이미다질)-3,3'-5,5'-테트라설폰산 비스-소듐 염, INCI 명 디소듐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 (CAS No.: 180898-37-7), 예를 들어, Symrise로부터 상표명 Neo Heliopan AP로 입수가능;
ㆍ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의 염, 예컨대, 이의 소듐, 포타슘 또는 트리에탄올암모늄 염 및 설폰산 자체, INCI 명 페닐벤즈이미다졸 설폰산 (CAS No. 27503-81-7), 예를 들어, Merck로부터의 상표명 Eusolex 232 또는 Symrise로부터 Neo Heliopan Hydro로서 입수가능;
ㆍ1,4-디-(2-옥소-10-설포-3-보르닐리덴메틸)벤젠(또한: 3,3'-(1,4-페닐렌디메틸렌)비스(7,7-디메틸-2-옥소-바이사이클로[2.2.1]-헵트-1-일메탄설폰산) 및 이의 염(특히, 상응하는 10-설페이토 화합물, 특히 상응하는 소듐, 포타슘 또는 트리에탄올암모늄 염), 이는 또한 벤젠-1,4-디-(2-옥소-3-보르닐리덴메틸-10-설폰산)으로서 불림. 벤젠-1,4-디-(2-옥소-3-보마일리덴메틸-10-설폰산)은 INCI 명 테레프탈리덴 디캄포르 설폰산(CAS no.: 90457-82-2)을 가지며, 예를 들어, Chimex로부터 상표명 Mexoryl SX로 입수가능;
ㆍ3-벤질리덴캄포르의 설폰산 유도체, 예를 들어, 4-(2-옥소-3-보르닐리덴메틸)벤젠설폰산, 2-메틸-5-(2-옥소-3-보르닐리덴메틸) 설폰산 및 이의 염.
ㆍ벤족사졸 유도체, 예를 들어, 2,4-비스-[5-1-(디메틸프로필)벤족사졸-2-일-(4-페닐)-이미노]-6-(2-에틸헥실)-이미노-1,3,5-트리아진, CAS no. 288254-16-0, 상표명 Uvasorb® K2A로 3V Sigma로부터 입수가능.
ㆍ하이드록시벤조페논, 예를 들어, 2-(4'-디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 헥실 에스테르(또한, 아미노벤조페논), BASF로부터 상표명 Uvinul A Plus로 입수가능.
ㆍ트리아진 유도체, 예를 들어,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INCI: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CIBA-Chemikalien GmbH로부터 상표명 Tinosorb® S로 입수가능; 디옥틸부틸아미도트리아존(INCI: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Sigma 3V로부터 상표명 UVASORB HEB로 입수가능; 트리스(2-에틸헥실) 4,4',4"-(1,3,5-트리아진-2,4,6-트리일트리이미노)트리벤조에이트, 또한: 2,4,6-트리스[아닐리노(p-카르보-2'-에틸-1'-헥실옥시)]-1,3,5-트리아진(INCI: 에틸헥실 트리아존), BASF Aktiengesellschaft에 의해 상표명 UVINUL® T 150로 판매됨;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옥틸옥시)페놀(CAS no.: 2725-22-6).
ㆍ벤조트리아졸, 예를 들어,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INCI: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예를 들어, CIBA-Chemikalien GmbH로부터 상표명 Tinosorb® M로 입수가능.
ㆍ3-벤질리덴 캄포르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3-(4-메틸벤질리덴)캄포르, 3-벤질리덴 캄포르;
ㆍ4-아미노벤조산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 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아밀 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ㆍ벤즈알말론산의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디(2-에틸헥실) 4-메톡시벤즈알말로네이트;
ㆍ신남산의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 4-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펜틸 4-메톡시신나메이트;
ㆍ벤조페논의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및
ㆍ폴리머-결합된 UV 필터
ㆍ에틸헥실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옥토크릴렌), BASF로부터 상표명 Uvinul® N 539 T로 입수가능.
높은 또는 매우 높은 UV-A 보호에 의해 구별되는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특히 유리한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물질(들) 이외에 추가의 UV-A 및/또는 광역 필터, 특히, 디벤조일메탄 유도체[예를 들어, 4-(3차-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및/또는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및/또는 페닐렌-1,4-비스(2-벤즈이미다졸)-3,3'-5,5'-테트라설폰산 비스-소듐 염을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임의의 요망되는 조합으로 추가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목적에 사용될 수 있는 상기 UV 필터의 목록은 물론 제한되고자 하지 않는다.
전체 영역의 자외선으로부터 모발 또는 피부를 보호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를 제공하기 위해 필터 물질의 총 양은 - 각각의 경우에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 0.1 내지 30 wt%,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wt%, 특히, 1.0 내지 8.0 wt%의 범위로부터 선택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가 원치않는 피부 착색의 화장용 처리 및/또는 화장용 예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 유리하다. 따라서,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는 유리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알킬아미도티아졸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유리한 알킬아미도티아졸은 하기 화학식의 물질이다:
여기에서,
R 3 , R 4 , X' Y'는 상이하거나, 부분적으로 동일하거나 전체적으로 동일하며, 독립적으로 하기를 나타낸다:
R 3 = -C1-C24 알킬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케닐 (선형 및 분지형), -C1-C8 사이클로알킬, -C1-C8 사이클로알킬알킬하이드록시, -C1-C24 알킬하이드록시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킬아민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킬아릴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킬아릴알킬하이드록시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킬헤테로아릴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킬-O-C1-C24 알킬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킬모르폴리노, -C1-C24 알킬피페리디노, -C1-C24 알킬피페라지노, -C1-C24 알킬피페라지노-N-알킬,
R 4 = H, -C1-C24 알킬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케닐 (선형 및 분지형), -C1-C8 사이클로알킬, -C1-C24 하이드록시알킬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킬아릴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킬헤테로아릴 (선형 및 분지형),
X' = -H, -C1-C24 알킬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케닐 (선형 및 분지형), -C1-C8 사이클로알킬, -C1-C24 아릴 (선택적으로, -OH, -F, -Cl, -Br, -I, -OMe, -NH2, -CN으로 단일- 또는 다중치환됨), -C1-C24 헤테로아릴(선택적으로 -OH, -F, -Cl, -Br, -I, -OMe, -NH2, -CN으로 단일- 또는 다중치환됨), -C1-C24 알킬아릴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킬헤테로아릴 (선형 및 분지형), 아릴 (선택적으로, -OH, -F, -Cl, -Br, -I, -OMe, -NH2, -CN으로 단일- 또는 다중치환됨), -페닐, -2,4-디하이드록시페닐, -2,3-디하이드록시페닐, -2,4-디메톡시페닐, -2,3-디메톡시페닐,
Y' = H, -C1-C24 알킬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케닐 (선형 및 분지형), -C1-C8 사이클로알킬, -C1-C24 아릴, -C1-C24 헤테로아릴, -C1-C24 알킬아릴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킬헤테로아릴 (선형 및 분지형), -아릴, -페닐, -2,4-디하이드록시페닐, -2,3-디하이드록시페닐, -2,4-디메톡시페닐, -2,3-디메톡시페닐, -COO-알킬, -COO-알케닐, -COO-사이클로알킬, -COO-아릴, -COO-헤테로아릴, 및
X', Y'는 선택적으로 또한, = 융합된 방향족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X'Y'는 서로 n개 이하의 고리-형성 원자를 갖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 호모-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으며, 숫자 n은 5 내지 8의 값으로 추정될 수 있으며, 각 고리 시스템은 차례로 n-1개 이하의 알킬 기, 하이드록실 기, 카르복실 기, 아미노 기, 니트릴 작용기, 황-함유 치환기, 에스테르 기 및/또는 에테르 기로 치환될 수 있다.
언급된 티아졸 자유 염기 및 염 둘 모두로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루오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설페이트, 카르보네이트, 아스코르베이트, 아세테이트 또는 포스페이트. 특히, 할로겐 염, 예컨대, 클로라이드 및 브로마이드.
유리하게는, X'는 치환된 페닐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치환기 Z'는 기 -H, -OH, -F, -Cl, -Br, -I, -OMe, -NH2, -CN, 아세틸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유리하게는, X'는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실 기로 치환된 페닐 기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치환기 Z'는 -H, -OH, -F, -Cl, -Br, -I, -OMe, -NH2, -CN, 아세틸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Y', R 3 R 4 가 상기 규정된 특성을 가질 수 있는 하기 일반적 구조가 바람직하다.
특히 유리한 것은
X'=
Y' = H
R 3 = -C1-C24 알킬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케닐 (선형 및 분지형), -C1-C8 사이클로알킬, -C1-C8 사이클로알킬알킬하이드록시, -C1-C24 알킬하이드록시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킬아민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킬아릴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킬아릴알킬하이드록시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킬헤테로아릴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킬-O-C1-C24 알킬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킬모르폴리노, -C1-C24 알킬피페리디노, -C1-C24 알킬피페라지노, -C1-C24 알킬피페라지노-N-알킬,
R 4 = H, -C1-C24 알킬 (선형 및 분지형)
Z' = -H, -OH, -F, -Cl, -Br, -I, -OMe, -NH2, -CN, 아세틸인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X' =
Y' = H
R 3 = -C1-C24 알킬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케닐 (선형 및 분지형), -C1-C8 사이클로알킬, -C1-C8 사이클로알킬알킬하이드록시, -C1-C24 알킬하이드록시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킬아민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킬아릴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킬아릴알킬하이드록시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킬헤테로아릴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킬-O-C1-C24 알킬 (선형 및 분지형), -C1-C24 알킬모르폴리노, -C1-C24 알킬피페리디노, -C1-C24 알킬피페라지노, -C1-C24 알킬피페라지노-N-알킬,
R 4 = H인 화합물이다.
화합물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 중의 상기 기술된 알킬아미도티아졸의 비율은 유리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피부과용 또는 화장용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001 내지 10 wt% 특히, 0.0001 내지 3 wt%, 매우 특히 0.001 내지 1 wt%이다.
따라서,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는 또한, 이러한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기타 화장용 보조제, 예컨대, 추가의 점도 조절제(consistency regulator), 막 형성제, 안정화제, 충전제, 보존제, 방향제, 포말 방지제, 염료, 착색 효과를 갖는 추가 안료, 표면-활성 물질, 연화제, 습윤제 및/또는 가습화제, 항-염증 물질, 추가 활성 성분 예컨대, 비타민 또는 단백질, 방충제, 살균제, 살바이러스제, 염, 항균제, 단백질분해 또는 각질용해 물질 또는 화장용 포뮬레이션의 기타 통상적인 성분, 예컨대, 추가의 알콜, 폴리올, 포말 안정화제, 유기 용매 또는 전해질을 함유할 수 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예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모든 양, 비율 및 백분율은 제제의 총 양 또는 총 중량 및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a) 화이트 철갑상어 ( 아시펜서 트란스몬타누스 ( Acipenser transmontanus ))로부터의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본 발명에 따른 어란 추출물을 생성하기 위해, 어란을 화이트 철갑상어로부터 분리하고(독점적으로 종축으로부터의 어란을 사용함), 붕사를 첨가하였다. 수성 어란 추출물의 생성은 분리 후 24시간 내에 발생하였다.
또한, 99.98 wt%의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0.01 wt% 토코페롤 및 0.01 wt% BHT로 구성되는 오일 상을 제조하였다.
추가로 제공된 수성 상은
100 mM 포스페이트(소듐 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로부터);
1 wt% 페녹시에탄올;
펜에틸 알콜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함유하는 1 wt%의 Schlke & Mayr로부터의 시중 제품 Sensivia Pa 20;
0.2 wt% EDTA; 및
물로 구성되었다.
제공된 오일 상 및 제공된 수성 상을 조합시킨 후, 어란을 이 혼합물에 현탁시켰다. 오일 상 대 어란의 중량비는 0.3:1이며, 수성 상 대 어란의 중량 비는 1:1이었다.
그 후, 오일 상, 수성 상 및 어란으로부터 수득된 혼합물을 Manton-Gaulin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균질화시켰다.
그 후, 수득된 균질화물을 1시간 동안 2000 G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이어서 수동으로 상을 분리하였으며, 수성 상은 본 발명의 수성 어란 추출물 (I)을 나타낸다.
수득된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유통 기간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를 1.5 wt%의 글리신, 1.5 wt%의 소듐 클로라이드, 1.5 wt%의 페녹시에탄올, 1.0 wt%의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물로 구성된 글리신 수용액과 1:1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후속하여, 여과를 수행하여 순도를 향상시켰다.
수성 상 어란 추출물 (II)과 글리신 용액의 수득된 혼합물은 하기 실시예 포뮬레이션에서 (a)로부터의 수성 어란 추출물 용액으로서 불린다.
(b) 화이트 철갑상어( 아시펜서 트란스몬타누스 ) 로부터 친유성 어란 추출물의 생성
본 발명에 따른 어란 추출물을 생성하기 위해, 어란을 화이트 철갑상어로부터 분리하고(독점적으로 종축으로부터의 어란을 사용함), 붕사를 첨가하였다. 친유성 어란 추출물의 생성은 분리 후 24시간 내에 발생하였다.
또한, 99.98 wt%의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0.01 wt% 토코페롤 및 0.01 wt% BHT로 구성되는 오일 상을 제조하였다.
추가로 제공된 수성 상은
100 mM 포스페이트(소듐 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로부터);
1 wt% 페녹시에탄올;
펜에틸 알콜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함유하는 1 wt%의 Schlke & Mayr로부터의 시중 제품 Sensivia Pa 20;
0.2 wt% EDTA; 및
물로 구성되었다.
제공된 오일 상 및 제공된 수성 상을 조합시킨 후, 어란을 이 혼합물에 현탁시켰다. 오일 상 대 어란의 중량비는 0.3:1이며, 수성 상 대 어란의 중량 비는 1:1이었다.
그 후, 오일 상, 수성 상 및 어란으로부터 수득된 혼합물을 Manton-Gaulin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균질화시켰다.
그 후, 수득된 균질화물을 1시간 동안 2000 G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이어서 수동으로 상을 분리하였으며, 오일 상은 본 발명에 따른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을 나타낸다.
수득된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유통 기한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를 소듐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소듐 설페이트 및 기타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여 순도를 향상시켰다.
(c) (a)로부터의 화이트 철갑상어( 아시펜서 트란스몬타누스 )의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분석
글리신 용액의 첨가 전, (a)로부터의 균질화물의 물 상,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분석은 추출물의 하기 성분을 결정할 수 있다:
ㆍ단백질 = 9 wt%
ㆍDNA = 0.6 wt%
ㆍ탄수화물 = 0.84 wt%
ㆍ비타민 B2(리보플라빈) = 376μg/100g
ㆍ비타민 B5(판토텐산) = 2.40mg/100g
ㆍ비타민 PP(니아신/아미드) = 6.12mg/100g
여기에서, wt% 정보는 (a)로부터의 균질화물의 물 상, 즉,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d) (b)로부터의 화이트 철갑상어( 아시펜서 트란스몬타누스 )의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분석
(b)로부터의 균질화물의 오일 상, 즉, 본 발명에 따른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분석은, 친유성 어란 추출물 중 포화된 지방산의 비율이 존재하는 모든 지방산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3.1 wt%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 중 단일불포화된 지방산의 비율이 존재하는 모든 지방산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41.7 wt%임이 밝혀졌다.
또한,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 중 다중불포화된 지방산의 비율이 존재하는 모든 지방산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5.2 wt%임이 밝혀졌다.
또한,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 중 오메가-3 지방산의 비율이 존재하는 모든 지방산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3 wt%임이 밝혀?병?.
또한,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 중 오메가-6 지방산의 비율이 존재하는 모든 지방산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4.8 wt%임이 밝혀졌다.
페녹시에탄올의 비율은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5 wt%의 범위에 있다.
(e) 시베리아 철갑상어( 아시펜서 배리)의 알로부터의 공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의 생성
수성 어란 추출물 (I)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을 생성하기 위해, 어란을 시베리아 철갑상어로부터 공정으로 분리하고(독점적으로, 종축으로부터의 어란을 사용함), 붕사를 첨가하였다. 수성 어란 추출물 (I)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은 분리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였다.
또한, 99.98 wt%의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0.01 wt% 토코페롤 및 0.01 wt% BHT로 구성되는 오일 상을 제조하였다.
추가로 제공된 수성 상은
100 mM 포스페이트(소듐 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로부터);
1 wt% 페녹시에탄올;
펜에틸 알콜 및 에틸헥실글리세린을 함유하는 1 wt%의 Schlke & Mayr로부터의 시중 제품 Sensivia Pa 20;
0.2 wt% EDTA; 및
물로 구성된다.
제공된 오일 상 및 제공된 수성 상을 조합시킨 후, 어란을 이 혼합물에 현탁시켰다. 오일 상 대 어란의 중량비는 0.3:1이며, 수성 상 대 어란의 중량 비는 1:1이었다.
오일 상, 수성 상 및 어란으로부터 수득된 혼합물을 Manton-Gaulin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균질화시켰다.
그 후, 수득된 균질화물을 1시간 동안 2000 G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이어서 수동으로 상을 분리하였으며, 수성 상은 본 발명의 수성 어란 추출물 (I)을 나타내며, 오일 상은 본 발명의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을 나타낸다.
수득된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유통 기간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를 1.5 wt%의 글리신, 1.5 wt%의 소듐 클로라이드, 1.5 wt%의 페녹시에탄올, 1.0 wt%의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물로 구성된 글리신 수용액과 1:1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후속하여, 여과를 수행하여 순도를 향상시켰다.
수성 어란 추출물과 글리신 용액의 수득된 혼합물은 하기 실시예 포뮬레이션에서 (e)로부터의 수성 어란 추출물 용액으로서 불린다.
수득된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유통 기한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를 소듐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소듐 설페이트 및 기타 불용성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여 순도를 향상시켰다.
(f) 라미닌의 발현에 관한 효능 연구
본 발명의 유리한 효능을 입증하기 위해, 추출물이 각질세포(HaCaT) 중 라미닌-5에 대한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정도에 관해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세포를 시험할 추출물과 6h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후속하여, 전체 RNA를 GenElute Mammalian Total RNA Purification Kit (SIGMA)로 추출하고, 지시에 따라 검사하였다. 라미닌-5에 대한 유전자의 정량적 결정은 각 특정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RT-PCR(실시간 정량적 PCR)에 의해 수행하였다: LAM5-β F: 5'AGACCTATGATGCGGACCT3' 및 LAM5-β R: 5'GAAGACATCTCCAGCCTCA3'.
3개의 비교 측정을 수행하였으며, 첫 번째는 0.01 wt%의 (a)로부터의 수성 어란 추출물 (I)을 함유하며, 두 번째는 0.1 wt%의 (b)로부터의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을 함유하며, 세 번째는 총 0.001 wt%의 10:1 혼합비의 (a)로부터의 수성 어란 추출물 (I)과 (b)로부터의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수득된 측정 결과는 도 1에 제공되어 있다. 언급된 측정 값은 인자이며, 항상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로의 측정에 관한 것이다. 즉, 각 측정의 라미닌-5의 결정된 절대량은 (b)로부터의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로의 측정으로부터의 라미닌-5의 절대량으로 나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낮은 농도에도 불구하고, (a)로부터의 수성 어란 추출물 (I)과 (b)로부터의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본 발명의 혼합물의 사용은 라미닌-5(β 서브유닛)에 대한 유전자의 발현의 상승작용적 증가로 이어진다.
실시예 포뮬레이션:
<110> La Prairie Group AG; Industriestraße 8, 8604 Volketswil, Schweiz <120>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 enthaltend einen wassrigen und einen lipophilen Fischeiextrakt <130> 03611 WO-BW <140> PCT/EP2018/062193 <141> 2018-05-11 <150> CH00668/17 <151> 2017-05-22 <160> 2 <170> BiSSAP 1.3.6 <210> 1 <211> 19 <212> DNA <213> Homo sapiens <220> <223> LAM5-β F: 5’AGACCTATGATGCGGACCT3‘ <400> 1 agacctatga tgcggacct 19 <210> 2 <211> 19 <212> DNA <213> Homo sapiens <220> <223> LAM5-β R: 5’GAAGACATCTCCAGCCTCA3‘ <400> 2 gaagacatct ccagcctca 19

Claims (21)

  1. I. 수성 어란 추출물 (I)로서, 상기 수성 어란 추출물 (I)이
    a1) 오일 상 및 수성 상을 함유하는 추출 혼합물에 현탁되는 어란,
    b1) 균질화되는 현탁 혼합물 a1), 및
    c1) 수성 어란 추출물 (I)을 수득하기 위해 추출되는 균질화물 b1)의 수성 상에 의해 수득가능하며, 추출 혼합물에 함유된 오일 상이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어란 추출물 (I); 및
    II.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로서, 상기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이
    a2) 오일 상 및 수성 상을 함유하는 추출 혼합물에 현탁되는 어란,
    b2) 균질화되는 현탁 혼합물 a2), 및
    c2)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을 수득하기 위해 추출되는 균질화물 b2)의 오일 상에 의해 수득가능하며, 추출 혼합물에 함유된 오일 상이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을 함유하는 화장용 제제로서,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에 있어서, 기계적 분해 공정이 어란의 균질화에 이용되고,
    수성 어란 추출물 (I)은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2 내지 0.1 wt%의 중량 비율의 DNA 성분, 5 내지 15 wt%의 중량 비율의 단백질 및 0.5 내지 1 wt%의 중량 비율의 탄수화물을 함유하는, 화장용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수성 어란 추출물 (I)을 생성하기 위한 어란이 연어, 송어 및 철갑상어의 어란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제제.
  3. 제2항에 있어서, 수성 어란 추출물 (I)을 생성하기 위한 어란이 화이트 철갑상어 및/또는 시베리아 철갑상어(Siberian sturgeon)의 어란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제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을 생성하기 위한 어란이 연어, 송어 및 철갑상어의 어란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제제.
  5. 제4항에 있어서,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을 생성하기 위한 어란이 화이트 철갑상어 및/또는 시베리아 철갑상어의 어란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제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 어란 추출물 (I) 및/또는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이 어란 분리 후 24시간 이내에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제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친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에 있어서, 추출 혼합물의 오일 상 중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의 비율은 추출 혼합물의 오일 상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90 wt%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제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에 있어서, 추출 혼합물의 오일 상 중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의 비율은 추출 혼합물의 오일 상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90 wt%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제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또는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을 위한 수성 상이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또는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을 위한 추출 혼합물의 각 수성 상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mM 내지 200 mM의 포스페이트 및 0.1 내지 0.3 wt%의 EDTA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제제.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또는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에 있어서, 어란의 중량비가 각 현탁 혼합물의 수성 상과 관련하여 1:2 내지 2:1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제제.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또는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에 있어서, 어란의 중량비가 각 현탁 혼합물의 오일 상과 관련하여 1:0.2 내지 1:0.4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제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 및/또는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에 있어서, 기계적 압력의 적용 공정이 균질화에 이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제제.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 어란 추출물 (I)의 생성을 위한 수성 상의 추출 및/또는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의 생성을 위한 오일 상의 추출이 원심분리와 후속 상 분리에 의해 각 현탁 혼합물의 균질화물로부터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제제.
  15. 삭제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 어란 추출물 (I)이 화장용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1 내지 10 wt%의 총 비율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제제.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 어란 추출물 (I)이 1:0.5 내지 1:1.5의 중량비로 화장용 제제 내로 혼입되기 전에, 수성 글리신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2 wt%의 글리신을 함유하는 수성 글리신 용액으로 희석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제제.
  18.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 중 단일불포화된 지방산의 중량 비율이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에 함유된 모든 지방산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2 내지 25 wt%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제제.
  19.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친유성 어란 추출물 (II)이 화장용 제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10 wt%의 총 비율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제제.
  20.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알킬아미도티아졸이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제제.
  21.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피부를 플럼핑(plumping)시키기 위한;
    b) 지방 세포 중 트리글리세리드의 저장을 증가시키기 위한;
    c) 라미닌의 발현을 증가시키기 위한; 및/또는
    d) 인간 피부의 피부 탄력성 및/또는 신장성을 보존하기 위한, 화장용 제제.
KR1020197035283A 2017-05-22 2018-05-11 수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 KR102637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0668/17 2017-05-22
CH00668/17A CH713170B1 (de) 2017-05-22 2017-05-22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 enthaltend einen wässrigen und einen lipophilen Fischeiextrakt.
PCT/EP2018/062193 WO2018215219A1 (de) 2017-05-22 2018-05-11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 enthaltend einen wässrigen und einen lipophilen fischeiextrak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847A KR20200007847A (ko) 2020-01-22
KR102637659B1 true KR102637659B1 (ko) 2024-02-15

Family

ID=6220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283A KR102637659B1 (ko) 2017-05-22 2018-05-11 수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91191B2 (ko)
EP (1) EP3630300A1 (ko)
JP (1) JP2020521006A (ko)
KR (1) KR102637659B1 (ko)
CN (1) CN110621381A (ko)
CH (1) CH713170B1 (ko)
WO (1) WO20182152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395B1 (ko) * 2019-03-19 2021-09-02 주식회사 선마린바이오테크 열빙어 알 또는 도루묵 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583992B1 (ko) * 2023-03-15 2023-10-05 이용광 철갑상어 수용성 오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제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9340A (ja) * 2003-11-26 2005-07-07 Asahi Kasei Chemicals Corp 脂質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4159493A (ja) * 2014-06-12 2014-09-04 Atena:Kk チョウザメの卵からの抽出液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96704A1 (fr) 1970-06-17 1972-02-25 Millet Ingrid Produit cosmetique a base d'oeufs de poisson
WO2002092540A1 (en) 2001-05-14 2002-11-21 Martek Biosciences Corporation Production and use of a polar lipid-rich fraction containing omega-3 and/or omega-6 highly unsatruated fatty acids from microbes, genetically modified plant seeds and marine organisms
DE10238450A1 (de) * 2002-08-22 2004-03-04 Beiersdorf Ag Zubereitung zur Behandlung von Fehlpigmentierungen der Haut
EP2656832B1 (en) 2006-05-11 2018-12-19 Regenics AS Compositions for use in wound healing
DK2296676T3 (en) 2008-05-09 2016-12-19 Regenics As cellular extracts
AU2011249478B2 (en) * 2010-05-06 2014-12-04 Regenics As Use of cellular extracts for skin rejuvenation
GB201110783D0 (en) * 2011-06-24 2011-08-10 Aqua Bio Technology Asa Methods and uses
DE102011083259A1 (de) * 2011-09-23 2013-03-28 Beiersdorf Ag Alkylamidothiazole, deren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Verwendung sowi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solchen Alkylamidothiazolen
ES2901975T3 (es) * 2012-01-23 2022-03-24 Restorsea Llc Cosmético que contiene un aislado proteico de desove de peces
EP3459522B1 (en) * 2012-12-10 2021-02-17 Regenics AS Use of egg cellular extracts for wound treatment
DE102013204081A1 (de) * 2013-03-11 2014-09-11 Beiersdorf Ag Wirkstoffkombinationen aus Alkylamidothiazolen und einen oder mehreren kosmetisch oder dermatologisch unbedenklichen Konservierungsmitteln
KR101670765B1 (ko) * 2014-09-19 2016-11-01 주식회사 명진뉴텍 글리신계 물질을 포함하는 방부조성물
WO2016143282A1 (ja) 2015-03-10 2016-09-15 株式会社デンソー 基板接合方法
CN107429194A (zh) * 2015-03-18 2017-12-01 株式会社Ihi 脂质组合物及其制造方法
CN107375180B (zh) 2017-08-11 2020-10-16 北京斯利安药业有限公司 一种护肤品组合物、面膜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9340A (ja) * 2003-11-26 2005-07-07 Asahi Kasei Chemicals Corp 脂質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4159493A (ja) * 2014-06-12 2014-09-04 Atena:Kk チョウザメの卵からの抽出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21381A (zh) 2019-12-27
CH713170B1 (de) 2018-05-31
US11491191B2 (en) 2022-11-08
JP2020521006A (ja) 2020-07-16
EP3630300A1 (de) 2020-04-08
US20200188447A1 (en) 2020-06-18
KR20200007847A (ko) 2020-01-22
WO2018215219A1 (de)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4781B2 (ja) Pth断片含有化粧品
DE102007005093A1 (de) Kosmetische Zubereitung gegen Hautpigmentierungen
US20060134156A1 (en) Method for caring for the skin and associated kit
KR102637659B1 (ko) 수성 및 친유성 어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
EP1539128B1 (de) Verwendung von substanzen zum schutz der haut
US20230355507A1 (en) Use of caviar extracts
KR102636843B1 (ko) 어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용 또는 피부과용 제제
WO2019149509A1 (de) Wirkstoffkomplex für kosmetische zubereitungen
EP1834630B1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Glycyrrhetin und/oder Glycyrrhizin und 2,4-Bis-{[4-(2-ethyl-hexyloxy)-2-hydroxy]-phenyl}-6-(4-methoxyphenyl)-1,3,5-triazin
US20040247540A1 (en) Cosmetic and dermatological light-protective formulation with a content of water-soluble UV-filter substances and alkylnaphthalates
CH713171B1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 enthaltend einen wässrigen Fischeiextrakt.
US20230355506A1 (en) Active ingredient complex for cosmetic preparations
CN114630651B (zh) 具有低粘性的防晒组合物
EP1890775A1 (de) Kosmet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einem wässrigen anisfruchtextrakt und bestimmten nichtionischen emulgatoren
DE102010015788A1 (de) Kosmetische Zubereitung mit einem Gehalt an Magnolienrindenextrakt zur Steigerung der Mikrozirkulation der haut sowie die Verwendung von Magolienrindenextrakt zur Herstellung topischer Zubereitungen zur Steigerung der Mikrozirkulation der Haut und/oder angiogenetisch wirksamer topischer Zubereitungen
EP3570812A1 (de) Kosmet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sphärischen silicapartikeln, welche mit titandioxid und eisenoxiden beschichtet sind und mittelkettigen aliphatischen diolen
WO2006128781A1 (de) Kosmetische 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einem wässrigen anisfruchtextrakt und höheren polyolen
WO2006114140A1 (de) Kosmet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pristansäure
DE10225772A1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Formulierungen zur Pflege der Haut nach einem Sonnenbad oder einer Rasur
DE202014006670U1 (de) Verwendung kosmetischer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Glycyrrhetin und/oder Glycyrrhizin und 2,4-Bis-{I4-(2-ethyl-hexyloxy)-2-hydroxyI-phenyl}-6-(4-methoxyphenyl)-1,3,5-triazin
DE202006021302U1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Glycyrrhetin und/oder Glycyrrhizin und 2,4-Bis-{[4-(2-ethyl-hexyloxy)-2-hydroxy]-phenyl}-6-(4-methoxyphenyl)- 1,3,5-triazin
DE202006021305U1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Glycyrrhetin und/oder Glycyrrhizin und 2,4-Bis-{[4-(2-ethyl-hexyloxy)-2-hydroxy]-phenyl}-6-(4-methoxyphenyl)- 1,3,5-triazin
DE202006021303U1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Glycyrrhetin und/oder Glycyrrhizin und 2,4-Bis-{[4-(2-ethyl-hexyloxy)-2-hydroxy]-phenyl}-6-(4-methoxyphenyl)- 1,3,5-triazin
DE202006021297U1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enthaltend Glycyrrhetin und/oder Glycyrrhizin und 2,4-Bis-{[4-(2-ethyl-hexyloxy)-2-hydroxy]-phenyl}-6-(4-methoxyphenyl)-1,3,5-triaz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