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755B1 - 쿠션시트를 구비하는 휠체어 - Google Patents

쿠션시트를 구비하는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755B1
KR102636755B1 KR1020210146749A KR20210146749A KR102636755B1 KR 102636755 B1 KR102636755 B1 KR 102636755B1 KR 1020210146749 A KR1020210146749 A KR 1020210146749A KR 20210146749 A KR20210146749 A KR 20210146749A KR 102636755 B1 KR102636755 B1 KR 102636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eat
horizontal frame
pair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1964A (ko
Inventor
금동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휠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휠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휠라인
Priority to KR1020210146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755B1/ko
Publication of KR20230061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7Motorized wheel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쿠션시트를 구비하는 휠체어는, 복수의 수직프레임부와 복수의 수평프레임부를 구비하고 바퀴가 장착된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수평프레임부 사이에 접을 수 있도록 장착되는 쿠션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시트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수평프레임부 사이에 장착되는 망사시트와, 상기 망사시트의 중간부에 관통된 구멍에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쿠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쿠션시트를 구비하는 휠체어{Wheelchair having cushion seat}
본 발명은 쿠션시트를 구비하는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접을 수 있도록 장착된 휠체어의 망사시트에 쿠션을 구비하여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욕창(褥瘡, bedsore)은 우리 몸의 어느 부위든 지속적인 또는 반복적인 압박이 가해지고, 특히 뼈의 돌출부에 그 압박이 가해짐으로써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신체조직이 죽게 되고 이로 인해 발생한 궤양(염증이나 괴사로 인해 그 조직표면이 국소적으로 결손되거나 함몰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욕창은 일정 시기가 지나면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와 같은 욕창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지속적으로 자세를 바꿔줌으로써 한 부위만 오래 눌려 혈액순환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움직임이 불편한 노약자나 지체 부자유자를 비롯한 기타 환자의 경우에는 이러한 통증을 해소하기 위한 움직임이 불가능할 경우 압박된 부분의 피부 측 혈행이 나빠지기 때문에 처음에는 창백해지면서 주위가 붉어져 압통이 생길 뿐만 아니라 나중에는 물집이 생기고 더 진행하면 거무스름해지며 괴저(壞疽)를 일으킨 부분은 탈락하고 궤양을 형성하여 악취가 나는 분비물이 나오게 된다.
한편,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 등의 경우에는 전동 휠체어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종의 휠체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전동 휠체어를 포함한 모든 휠체어는 사용자의 착석을 위한 의자가 구비되며, 상기 의자는 주로 솜이나 스폰지와 같은 쿠션을 외피가 감싸는 형태로 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휠체어가 갖는 의자는 환자나 장애인 등의 사용자가 앉았을 때 환부나 신체의 특정부위가 항상 의자에 접촉되어 압박상태에 있게 된다.
이렇게, 휠체어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좌골이나 골반 또는 허벅지의 피부가 장시간 압박을 받게 되면, 피부 내부의 혈관도 압박을 받게 되어 혈액순환의 장애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욕창 등의 발생원인이 되어 환자나 장애인 등 휠체어 사용자의 고통을 가중시키게 됨은 물론 치료에도 여러 가지 어려움을 더하게 되며, 욕창이 심해지는 경우 사망에까지 이르는 경우도 발생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혈액순환의 장애로 인한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휠체어 의자와 신체의 접촉면을 가능한 한 자주 바꾸어서 하중을 분산시키거나 일어나서 통풍을 시켜주어야 한다. 그러나, 거동이 불편한 휠체어 사용자나 중환자의 경우에는 간병인의 도움에 의해서만 접촉면을 바꾸어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욕창 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혈액순환의 장애로 인한 욕창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휠체어 상에 센서나 통신수단, 서버, 배터리 등의 다양한 장치를 설치하고, 전기적인 모니터링 및 의자의 움직임을 유발하도록 하고 있으나, 구성이 복잡하고 전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배터리를 주기적으로 충전하여야 하는 등 사용에 있어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부연하여, 전동방식이 아니면서 상술한 불편함과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단순한 구성을 갖는 휠체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17014호
본 발명은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접을 수 있도록 장착된 휠체어의 망사시트에 쿠션을 구비하여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쿠션시트를 구비하는 휠체어는, 복수의 수직프레임부와 복수의 수평프레임부를 구비하고 바퀴가 장착된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수평프레임부 사이에 접을 수 있도록 장착되는 쿠션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시트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수평프레임부 사이에 장착되는 망사시트와, 상기 망사시트의 중간부에 관통된 구멍에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쿠션부를 포함한다.
상기 망사시트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수평프레임부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X바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X바의 하단은 상기 복수의 수평프레임부 중 하부에 배치된 제1수평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X바의 상단은 상기 복수의 수평프레임부 중 상부에 배치된 제2수평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X바의 상부는 상기 제2수평프레임부의 아래에 배치된 제3수평프레임부에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고정바에 상기 X바의 각도를 조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쿠션시트는 상기 망사시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우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착탈쿠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쿠션은 폭방향 중간부의 접힘부 좌우에 외피의 내부에 한 쌍의 쿠션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착탈쿠션은 상기 망사시트의 하면 전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착탈쿠션을 망사시트에 포갤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망사시트의 상면 후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쿠션시트를 구비하는 휠체어에 의하면,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접을 수 있도록 장착된 휠체어의 망사시트에 쿠션을 구비하여 욕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시트를 구비하는 휠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착탈쿠션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X바의 상단에 결합된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에 망사시트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망사시트에 착탈쿠션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망사시트에 착탈쿠션이 결합되어 포개진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시트를 구비하는 휠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착탈쿠션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X바의 상단에 결합된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에 망사시트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하방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보행이 어려운 환자나 장애인 등의 이용자가 앉을 수 있는 바퀴가 달린 이동식 의자이다. 휠체어의 종류로는 사람이 손으로 바퀴를 돌리거나 다른 사람이 밀어주는 수동 휠체어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바퀴를 돌려 이동할 수 있는 전동 휠체어가 있다. 전동 스쿠터도 전동 휠체어의 일종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시트를 구비하는 휠체어(100)는 복수의 수직프레임부와 복수의 수평프레임부를 구비하고 바퀴(120)가 장착된 한 쌍의 프레임(110)과, 한 쌍의 프레임의 수평프레임부 사이에 접을 수 있도록 장착되는 쿠션시트(2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00)는 복수의 수직프레임부(111, 113)와 복수의 수평프레임부(114, 115, 116)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프레임(110)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수직프레임부는 제1수직프레임부(111)와 제2수직프레임부(113)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수평프레임부는 제1수평프레임부(114)와 제2수평프레임부(115)와 제3수평프레임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직프레임부(111)는 후단부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고 그 상단에는 손잡이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수직프레임부(113)는 전단부에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수평프레임부(114)는 제1수직프레임부(111)의 하단부와 제2수직프레임부(113)의 하부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수평프레임부(115)는 제1수직프레임부(111)의 중간부와 제2수직프레임부(113)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수평프레임부(115)는 제1수평프레임부(114)와 제2수평프레임부(115) 사이에 결합되지 않고 단지 그 높이에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수평프레임부(116)는 제2수평프레임부(115)의 아래에서 제1수직프레임부(111)의 중간부와 제2수직프레임부(113)의 상부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각 프레임(110)의 외측 후단부에는 메인바퀴(12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바퀴(120)의 회전축은 제1수직프레임부(111) 가까이에서, 제1수평프레임부(114)와 제3수평프레임부(116) 사이에 결합되는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각 제2수직프레임부(113)의 하단에는 보조바퀴(130)가 장착될 수 있다. 보조바퀴(130)는 임의의 방향으로 조향 가능하도록 캐스터의 회전축이 제2수직프레임부(113)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바퀴(130)의 전방 하단에는 발판(140)이 배치될 수 있다. 발판(140)은 제2수직프레임부(113)의 전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단부에 결합되어 휠체어 탑승자의 발을 지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시트(200)는 한 쌍의 제2수평프레임부(115) 사이에 접을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쿠션시트(20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시트(sheet) 형태로 형성되되, 시트의 양측 테두리부가 한 쌍의 제2수평프레임부(115)를 감싸서 한 쌍의 제2수평프레임부(115)에 지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쿠션시트(200)는 한 쌍의 프레임(110)의 수평프레임부 사이에 장착되는 망사시트(210)와, 망사시트의 중간에 관통된 구멍에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쿠션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망사시트(210)는 망사 소재로 이루어져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망사시트(210)는 양측 테두리부가 한 쌍의 제2수평프레임부(115)를 감싸서 재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쿠션부(220)는 망사시트(210)의 중간부에 탑승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부위에 망사 소재 대신 결합될 수 있다. 쿠션부(220)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쿠션부재를 외피로 감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망사시트(210)에는 쿠션부(220)의 테두리보다 작은 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쿠션부(220)의 외피 테두리부가 망사시트(210)에 재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쿠션시트(200)는 얇은 망사시트(210)와 소정 두께를 가진 쿠션부(220)를 포함하지만, 쿠션부(220)도 비교적 얇게 형성되어 좌우 폭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프레임(110)에는 쿠션시트(200)의 양측에 측벽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측벽부(150)는 제1수직프레임부(111)와 제3수평프레임부(116)에 결합되어 장착될 수 있다. 각 측벽부(150)의 상단에는 팔걸이(15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3수평프레임부(116)에는 브레이크장치(180)를 구비할 수 있다. 브레이크장치(180)는 제3수평프레임부(116)에 결합되는 브라켓에 장착되는 복수의 링크와 레버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레버를 당기면 레버 단부의 브레이크바가 메인바퀴(12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메인바퀴(120)를 제동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부(111)의 상부 사이에는 등받이(190)가 결합될 수 있다. 등받이(190)도 접을 수 있는 얇은 시트로 형성되고, 망사시트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사시트(210)는 한 쌍의 프레임(110)의 수평프레임부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X바(17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망사시트(210)는 한 쌍의 제2수평프레임부(115) 사이에 양측 테두리부가 결합되는데, X바(170)의 두 상단부가 한 쌍의 제2수평프레임부(11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X바(170)의 하단은 복수의 수평프레임부 중 하부에 배치된 제1수평프레임부(114)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X바(170)의 상단은 복수의 수평프레임부 중 상부에 배치된 제2수평프레임부(115)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X바(170)는 2개의 바 중간부가 회동핀에 의해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X자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X바(170)의 하단은 제1수평프레임부(114)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X바(170)의 상단은 망사시트(210)가 결합된 제2수평프레임부(11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수평프레임부(115)는 제1수직프레임부(111)와 제2수직프레임부(113) 사이에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망사시트(210)를 접을 때 X바(170)의 두 바의 교차 각도가 임의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바(170)의 상부는 제2수평프레임부(115)의 아래에 배치된 제3수평프레임부(116)에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고정바(175)에 X바(170)의 각도를 조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고정바(175)의 일단부에는 제3수평프레임부(116)가 삽입되어 고정바(175)가 제3수평프레임부(116)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고정바(175)의 타단부에는 복수의 체결공이 관통형성되어 있어서, 고정바(175)의 특정한 체결공을 통해 X바(170)의 두 상부에 볼트를 체결할 수 있다. 휠체어(100)를 측면에서 볼 때, X바(170)의 각 바의 양측에 한 쌍의 고정바(175)가 배치되고, 한 쌍의 고정바(175)와 그 사이에 있는 X바(170)의 체결공을 통해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X바(170)를 소정 각도 형태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제3수평프레임부(116)에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117)이 결합되어 있어서, 승강되는 제2수평프레임부(115)가 내려왔을 때, 한 쌍의 지지브라켓(117)이 제2수평프레임부(115)를 지지할 수 있다.
도 5는 망사시트에 착탈쿠션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망사시트에 착탈쿠션이 결합되어 포개진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쿠션시트(200)는 망사시트(2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우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착탈쿠션(25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탈쿠션(250)은 내부에 쿠션부(220)보다 더 두꺼운 쿠션부재를 포함하면서도 폭 방향 좌우로 접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착탈쿠션(250)은 폭방향 중간부의 접힘부(258) 좌우에 외피의 내부에 한 쌍의 쿠션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래서, 망사시트(210) 및 쿠션부(220)와 착탈쿠션(250)이 포개어진 쿠션시트(200)는 함께 접힐 수 있다.
또한, 착탈쿠션(250)은 망사시트(2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착탈쿠션(250)은 망사시트(210)의 하면 전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착탈쿠션을 망사시트에 포갤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1결합부(255)와, 망사시트(210)의 상면 후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2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기준으로 볼 때, 망사시트(210)의 하면 전단부에는 제1결합부(215)로서 암 벨크로테이프가 구비되고, 착탈쿠션(250)의 상면 후단부에는 수 벨크로테이프가 제1결합부(255)로서 구비되어 망사시트(210)의 제1결합부(215)에 쉽게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착탈쿠션(250)의 제1결합부(255)는 쿠션소재가 내장된 착탈쿠션(250) 본체부와의 연결부가 쉽게 접히도록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착탈쿠션(250)의 상면 전단부에는 수 벨크로테이프가 제2결합부(256)로서 구비되어, 망사시트(210)의 상면 후단부에 구비된 암 벨크로테이프로 구비된 제2결합부(216)에 쉽게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착탈쿠션(250)을 접어 올려서 망사시트(210)에 포개었을 때, 착탈쿠션(250)의 제2결합부(256)를 망사시트(210)의 제2결합부(216)에 쉽게 붙여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휠체어의 망사시트에서 엉덩이를 지지하는 부위를 쿠션부로 대체함으로써 둔부의 욕창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더 많은 쿠션이 필요한 경우 망사시트에 착탈쿠션을 쉽게 결합하여 장착할 수 있고,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쿠션시트를 함께 쉽게 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휠체어는 좌우로 접을 수 있는 접이식이라면 수동 휠체어와 전동 휠체어와 전동 스쿠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휠체어(100)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모터에 의해 바퀴를 구동하는 전동 휠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로 접을 수 있는 접이식 휠체어의 경우, 2개의 전기모터를 구비하여 2개의 메인바퀴(120)를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휠체어
110: 프레임 111: 제1수직프레임부
112: 손잡이부 113: 제2수직프레임부
114: 제1수평프레임부 115: 제2수평프레임부
116: 제3수평프레임부 117: 지지브라켓
120: 메인바퀴
130: 보조바퀴
140: 발판
150: 측벽부 155: 팔걸이
170: X바 175: 고정바
180: 브레이크장치
190: 등받이
200: 쿠션시트
210: 망사시트 212: 프레임장착부
215: 제1결합부 216: 제2결합부
220: 쿠션부
250: 착탈쿠션 255: 제1결합부
256: 제2결합부 258: 접힘부

Claims (8)

  1. 복수의 수직프레임부와 복수의 수평프레임부를 구비하고 바퀴가 장착된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수평프레임부 사이에 접을 수 있도록 장착되는 쿠션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시트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수평프레임부 사이에 장착되는 망사시트와, 상기 망사시트의 중간부에 탑승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부위에 관통된 구멍에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쿠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망사시트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수평프레임부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X바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X바의 하단은 상기 복수의 수평프레임부 중 하부에 배치된 제1수평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X바의 상단은 상기 복수의 수평프레임부 중 상부에 배치된 제2수평프레임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X바의 상부는 상기 제2수평프레임부의 아래에 배치된 제3수평프레임부에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부에 복수의 체결공이 관통형성된 고정바에 상기 X바의 각도를 조절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쿠션시트는 상기 망사시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우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착탈쿠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쿠션은 폭방향 중간부의 접힘부 좌우에 외피의 내부에 한 쌍의 쿠션부재와, 상기 망사시트의 하면 전단부에 구비된 벨크로테이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착탈쿠션을 망사시트에 포갤 수 있도록 연결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망사시트의 상면 후단부에 구비된 벨크로테이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시트를 구비하는 휠체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모터에 의해 바퀴를 구동하는 전동 휠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시트를 구비하는 휠체어.
KR1020210146749A 2021-10-29 2021-10-29 쿠션시트를 구비하는 휠체어 KR102636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749A KR102636755B1 (ko) 2021-10-29 2021-10-29 쿠션시트를 구비하는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749A KR102636755B1 (ko) 2021-10-29 2021-10-29 쿠션시트를 구비하는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964A KR20230061964A (ko) 2023-05-09
KR102636755B1 true KR102636755B1 (ko) 2024-02-15

Family

ID=86409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749A KR102636755B1 (ko) 2021-10-29 2021-10-29 쿠션시트를 구비하는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75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3529A (ja) 2002-07-04 2004-02-05 Matsunaga Seisakusho:Kk 車椅子のシート
KR200408128Y1 (ko) 2005-11-18 2006-02-07 미키코리아(주) 휠체어용 틸팅장치
KR200433524Y1 (ko) 2006-09-12 2006-12-13 미키코리아(주) 휠체어용 시트커버 어셈블리
JP2007160117A (ja) * 2005-12-16 2007-06-28 Invacare Internatl Sarl 車いす
KR101649984B1 (ko) * 2014-10-30 2016-08-22 이기준 전동휠체어
JP2020099596A (ja) 2018-12-25 2020-07-02 株式会社ケープ 車椅子用のクッション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651Y1 (ko) * 2008-07-23 2010-05-03 미키코리아(주) 가변형 휠체어
KR101217014B1 (ko) 2010-12-02 2012-12-31 주식회사 퓨트로닉 욕창방지용 휠체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3529A (ja) 2002-07-04 2004-02-05 Matsunaga Seisakusho:Kk 車椅子のシート
KR200408128Y1 (ko) 2005-11-18 2006-02-07 미키코리아(주) 휠체어용 틸팅장치
JP2007160117A (ja) * 2005-12-16 2007-06-28 Invacare Internatl Sarl 車いす
KR200433524Y1 (ko) 2006-09-12 2006-12-13 미키코리아(주) 휠체어용 시트커버 어셈블리
KR101649984B1 (ko) * 2014-10-30 2016-08-22 이기준 전동휠체어
JP2020099596A (ja) 2018-12-25 2020-07-02 株式会社ケープ 車椅子用のクッション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유닉스3(식약처 품목허가 제신21-1023호, 2021.7.26)*
장애인 휠체어 휠라인 유닉스-1(2020.12.2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964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7782A (en) Sick or wounded patient bed having separable frame and moving/lifting apparatus for the separable frame
US5230113A (en) Multiple position adjustable day night patient bed chair
US5060960A (en) Combination wheelchair and lifting device
US8162346B2 (en) Mobile chair assembly
JP2005304626A (ja) 車椅子機能を有する介護用ベッドの構成方法及び介護用ベッド
KR101482769B1 (ko) 자세보조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US5405187A (en) Wheelchair where the seat is divided longitudinally
US20130000040A1 (en) Reclining Mobility Chair And Method Of Use
US20040222611A1 (en) Programmable multifunctional air support reclining and tilting wheelchair
KR20170101333A (ko) 배드이송형 전동휠체어
CA2236941C (en) Flipdown footrest
US7661696B1 (en) Wheeled chair
KR102636755B1 (ko) 쿠션시트를 구비하는 휠체어
KR102320543B1 (ko)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GB2125285A (en) Invalid chair
KR102500638B1 (ko) 거동장애 환우용 휠체어
JP2002078756A (ja) ベッド及び車椅子
GB2340388A (en) Body Support System
KR200336152Y1 (ko) 휠체어
JP2016116823A (ja) 三輪の車椅子
JPH11299838A (ja) 寝たきり状態者の介護支援用機器
KR102306661B1 (ko) 욕창 방지용 휠체어
CN217091188U (zh) 一种新型多功能轮椅
CN219614269U (zh) 一种移位助行一体组合装置
JP3613795B2 (ja) 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