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661B1 - 욕창 방지용 휠체어 - Google Patents

욕창 방지용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661B1
KR102306661B1 KR1020190131495A KR20190131495A KR102306661B1 KR 102306661 B1 KR102306661 B1 KR 102306661B1 KR 1020190131495 A KR1020190131495 A KR 1020190131495A KR 20190131495 A KR20190131495 A KR 20190131495A KR 102306661 B1 KR102306661 B1 KR 102306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heelchair
contact
support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639A (ko
Inventor
우예솔
한남경
Original Assignee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1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661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6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43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 A61G5/1045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for the sea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43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 A61G5/1048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wheelchairs for the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이 선 접촉이나 점 접촉되도록 함과 아울러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미세한 환기 홀에 의하여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후방의 각 다리에 각각의 바퀴가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사람의 신체와 대응되는 형태로 에어 공급부에 의해 쿠션력을 갖도록 설치되는 매트리스(mattress) 부재; 및 상기 매트리스 부재의 표면에 사용자의 각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에 그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시 선 접촉 또는 점 접촉되게 돌출되게 구비되는 각각의 에어 포켓부;를 포함하되, 상기 각 에어 포켓부에는 내부의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는 미세한 복수 개의 환기 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욕창 방지용 휠체어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장시간 휠체어를 사용시에도 욕창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와 함께 더욱더 안락한 상태로 휠체어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Description

욕창 방지용 휠체어{bedsore Prevention wheelchair}
본 발명은 욕창 방지용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이 선 접촉이나 점 접촉되도록 함과 아울러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미세한 환기 홀에 의하여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욕창 방지용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이동이 불편한 환자 등이 주로 사용하는 용도는 물론 근래에 들어서는 연세가 많이 드신 어르신들이 이동수단의 일환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일상생활에서도 오랜 시간 앉아서 생활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휠체어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기존에 욕창질환을 갖고 있는 사용자나 특히, 장시간 앉아서 생활하는 과정에서 다분히 욕창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욕창(褥瘡)은 지속적인 또는 반복적인 압박이 주로 뼈의 돌출부에 가해짐으로써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조직 괴사로 생긴 궤양을 말한다.
이러한 욕창 발생은 입원과 재활 기간을 연장 시키고 의료비 지출을 증가함은 물론 사망의 위험까지도 야기시킨다.
상기와 같이 휠체어에서의 욕창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7014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의자의 좌석부와 등받이에 서로 이격된 에어부재를 다수 개로 분할되게 형성되어 각각의 에어부재가 개별적으로 공기를 유입/배출의 작동으로 에어부재 간에 공간이 형성되어 신체접촉부위와 좌석부 또는 신체접촉부위와 등받이 사이에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의 공기층이 형성되어 각종 세균오염으로부터 환부를 보호하는 욕창방지용 휠체어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2731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기계적인 메커니즘을 통해 휠체어 바퀴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에 의해 시트부가 적어도 일부가 반복적으로 승하강하는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휠체어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6215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압력 전도성 필름을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압력(체압)을 측정하고 신체압력이 설정된 기준 이상인경우 환자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보호 조치를 취함으로써 환자의 욕창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욕창 방지용 IoT 휠체어 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701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273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6215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은 에어쿠션부재와 신체가 접촉되는 부분이 면접촉으로 인해 실제 접촉되는 부분에 그리 효율적으로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2는 사용자의 좌석부만이 승강 되도록 함에 따라 안락감이 떨어짐은 물론 사용자의 다른 신체 부위는 욕창으로부터 그대로 방치되는 단점을 가진다.
선행기술문헌 3은 사용자의 움직임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함은 물론 혹여 송수신 상에 문제 발생시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이 선 접촉이나 점 접촉되도록 함과 아울러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미세한 환기 홀에 의하여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욕창 방지용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휠체어를 정지시 더욱더 높은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욕창을 방지하기 위한 휠체어에 있어서, 전,후방의 각 다리에 각각의 바퀴가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사람의 신체와 대응되는 형태로 에어 공급부에 의해 쿠션력을 갖도록 설치되는 매트리스(mattress) 부재; 및 상기 매트리스 부재의 표면에 사용자의 각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에 그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시 선 접촉 또는 점 접촉되게 돌출되게 구비되는 각각의 에어 포켓부;를 포함하되, 상기 각 에어 포켓부에는 내부의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는 미세한 복수 개의 환기 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 포켓부는 선 접촉되도록 가로방향 또는 세로 방향의 요철 형태로 형성되거나 점 접촉되도록 엠보싱(embossing) 형태 또는 가로방향과 세로 방향의 요철 형태가 서로 교차되는 체크무늬 형태로 그 교차되는 부분이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이다.
상기 매트리스 부재는 사용자의 머리와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부, 등과 허리를 지지하는 몸통(tunk)부, 팔을 지지하는 암(arm)부, 엉덩이 지지하는 시트(hip)부, 다리를 지지하는 레그(leg)부를 포함하되, 상기 각 부에 각각의 에어 포켓부가 형성된다.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는 에어 포켓부는 등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포켓과, 상기 상부 포켓의 하부 양측에 등과 허리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 포켓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포켓은 시트부의 에어 포켓부와 연결되게 마련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는 그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레버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동 바가 더 마련된다.
본 발명은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이 선 접촉이나 점 접촉되도록 함과 아울러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미세한 환기 홀에 의하여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휠체어를 사용시에도 욕창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와 함께 더욱더 안락한 상태로 휠체어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한, 휠체어를 정지시 부가적인 정지수단에 의해 더욱더 높은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 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 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휠체어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욕창을 방지하는 기술적 구성을 구비하나, 발명의 해결 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한 바와 같이 신체가 접촉되는 부분이 면 접촉으로 인해 실제 접촉되는 부분에 그리 효율적으로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욕창방지를 위한 기계적인 구조일 경우에는 안락감이 떨어지는 단점은 물론 욕창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않은 부위에 사용자의 신체 접촉되는 부분에는 욕창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이 선 접촉이나 점 접촉되도록 함과 아울러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미세한 환기 홀에 의하여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욕창을 방지하기 위한 휠체어(1)는 메인 프레임(10), 매트리스 부재(20), 미세한 복수 개의 환기 홀(32)이 형성되는 에어 포켓부(30)를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메인 프레임(10)은 전체적으로 공지된 휠체어 프레임이나 의자 등과 같은 형태로, 복수의 다리(12A)를 포함하는 좌석 프레임(12)과, 상기 좌석 프레임(12)의 후방에 손잡이(14A)를 포함하는 등받이 프레임(14)을 포함한다. 상기 좌석 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사용자의 팔과 손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팔걸이 프레임(12B)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좌석 프레임(12)에 구비되는 전,후방의 각 다리(12A)에 이동을 위한 각각의 바퀴(13)가 설치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 바퀴(13)는 휠체어를 이동시키는 주 바퀴(13A)와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보조 바퀴(13B)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퀴(13)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일 수 있다.
또, 상기 각 바퀴에는 이동 후 정시지 회전을 제지하는 통상적인 스토퍼(stopper, 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된다.
매트리스(mattress) 부재(20)는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사람의 신체와 대응되는 형태로 통상적인 에어 공급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쿠션력을 갖도록 설치된다. 상기 매트리스 부재는 메인 프레임에 통상적인 밴드 방식이나 혹은 결속방식 등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에서, 에어 공급부는 메인 프레임의 좌석 프레임의 밑면이나 혹은 다리에 통상적인 소형 에어 컴프레서(compressor)가 마련되고, 상기 에어 컴프레서를 제어하도록 통상적인 조작부가 좌석 프레임에 구비된다.
그에 따라 매트리스 부재는 에어 공급부에 의해 사용자가 항시 안락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쿠션력을 유지한다.
에어 포켓부(30)는 상기 매트리스 부재(20)의 표면에 사용자의 각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에 그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시 통상적인 면 접촉이 아닌 선 접촉 또는 점 접촉되게 돌출되게 각각 구비된다.
특히, 상기 각 에어 포켓부(30)에는 내부의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으로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미세한 복수 개의 환기 홀(3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환기 홀은 직경이 대략 1㎜ 이하로 에어 공급부에서 높은 압력 없이도 에어가 지속적으로 배출되면서 사용자가 시원함을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이면 족하다. 혹여 1㎜ 이상일 경우, 에어 공급부에서의 높은 압력이 요구됨은 물론 사용자가 오히려 차가운 느낌을 가질 수 있는 것이므로 1㎜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환기 홀은 사용자의 신체와 선 접촉되거나 점 접촉되는 부분은 물론 접촉되지 않는 부분에도 형성되어 더욱더 원활한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에 사용자의 신체와 유사한 형태의 매트리스 부재에 의해 착석에 따른 안락감을 유지함은 물론 더욱이 매트리스 부재에 착석한 후 그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에는 선 접촉이나 점 접촉되는 각각의 에어 포켓부에 의하여 최대한 접촉면적을 줄여 욕창을 발생시키는 원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각 에어 포켓부에 구비되는 미세한 복수 개의 환기 홀로부터 배출되는 에어에 의하여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을 환기시킴으로써, 욕창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에어 포켓부(30)는 선 접촉되도록 가로방향 또는 세로 방향의 요철 형태로 형성되거나 점 접촉되도록 엠보싱(embossing) 형태 또는 가로방향과 세로 방향의 요철 형태가 서로 교차되는 체크무늬 형태로 그 교차되는 부분이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이다.
다시 말해서, 에어 포켓부는 사용자의 신체와 실제로 접촉되는 부분으로 그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이 최대한 최소한의 면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로 인해 선 접촉되는 산과 골 형태의 요철이나 혹은 점 접촉되는 엠보싱 형태 또는 체크무늬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면적으로 최소화함에 따라 욕창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에어 포켓부에 구비되는 미세한 복수 개의 환기로 인해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과 환기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욕창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매트리스 부재(20)는 통상적인 신체와 대응되는 형태로 사용자의 머리와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부(22)와, 등과 허리를 지지하는 몸통(tunk)부(24)와, 팔을 지지하는 암(arm)부(25)와, 엉덩이 지지하는 시트(hip)부(26)와, 다리를 지지하는 레그(leg)부(28)를 포함하되, 상기 각 부에 각각의 에어 포켓부(30)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매트리스 부재는 사용자의 신체와 대응되는 형태이므로 사용자가 착석시 머리부터 발까지 접촉지지 됨으로써, 더욱더 높은 안락감과 편리함을 가질 수 있다.
특히, 각 부위에 사용자의 신체와 선 접촉되는 점 접촉되는 각각의 에어 포켓부를 구비함으로써, 오랜 사용시간에도 욕창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몸통부(24)에 형성되는 에어 포켓부(30)는 등의 상부 양측을 지지하는 상부 포켓(30A)과, 상기 상부 포켓(30A)의 하부 양측에 등과 허리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 포켓(30B)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포켓(30A)은 시트부(26)의 에어 포켓부(30)와 연결되게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몸통부에 구비되는 에어 포켓부를 상부 포켓과 한 쌍의 측 포켓으로 형성하는 것은 사용자가 착석하여 등과 허리, 특히 척추를 지지하는 과정에서 더욱더 효율적으로 접촉지지 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사용자의 척추에도 무리를 주지 않아 디스크와 같은 질병도 예방할 수 있는 통상적인 구조이다.
그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더 안락하고 편하게 기대어 착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포켓과 시트부의 에어 포켓부를 연결하는 것은 사용자가 착성과 동시에 시트부의 에어 포켓부와 몸통부의 상부 포켓에 가해지는 압박이 균일하게 이루어져 사용자가 더욱더 편안한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후방에는 그 메인 프레임(10)으로부터 레버(40)에 의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동 바(42)가 더 마련된다.
상기에서, 레버와 제동 바는 메인 프레임의 좌석 프레임의 측면에 통상적인 축 결합방식이나 혹은 바퀴 축에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구비된다. 상기 축 결합되는 부분과 제동 바 사이에는 통상적인 비틀림 스프링이 구비되어, 이동시에는 제동 바가 지면이 닿지 않도록 구비된다.
즉, 평상시에는 상기 레버를 눌러 제동 바가 지면과 닿지 않도록 하고, 정지시에는 사용자가 레버를 당겨 지면으로 제동 바가 닿아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휠체어
10 : 메인 프레임 12 : 좌석 프레임
12A : 다리 12B : 팔걸이 프레임
13 : 바퀴 13A : 주 바퀴
13B : 보조 바퀴 14 : 등받이 프레임
14A : 손잡이 20 : 매트리스 부재
22 : 헤드레스트부 24 : 몸통부
25 : 암부 26 : 시트부
28 : 레그부 30 : 에어 포켓부
30A : 상부 포켓 30B : 측 포켓
32 : 환기 홀 40 : 레버
42 : 제동 바

Claims (5)

  1. 욕창을 방지하기 위한 휠체어에 있어서,
    전,후방의 각 다리(12A)가 구비되며, 상기 각 다리(12A)에 이동을 위해 휠체어를 이동시키는 주 바퀴(13A)와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보조 바퀴(13B)가 설치되는좌석 프레임(12)이 구비되며, 상기 좌석 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사용자의 팔과 손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팔걸이 프레임(12B)이 구비되고, 상기 좌석 프레임(12)의 후방에 손잡이(14A)를 구비되는 등받이 프레임(14)이 구비되는 메인 프레임(10);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사람의 신체와 대응되는 형태로 에어 공급부에 의해 쿠션력을 갖도록 설치되는 매트리스(mattress) 부재(20); 및
    상기 매트리스 부재(20)의 표면에 사용자의 각 신체와 접촉되는 부분에 그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시 선 접촉 또는 점 접촉되게 돌출되게 구비되며, 내부의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시원함을 느낄 수 있도록 미세한 복수 개의 환기 홀(32)이 형성되는 각각의 에어 포켓부(30);를 포함하되,
    상기 매트리스 부재(20)는
    사용자의 머리와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부(22);
    등과 허리를 지지하는 몸통(tunk)부(24);
    팔을 지지하는 암(arm)부(25);
    엉덩이 지지하는 시트(hip)부(26);
    다리를 지지하는 레그(leg)부(28)를 포함하고,
    상기 각 부에 각각의 에어 포켓부(30)가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24)에 형성되는 에어 포켓부(30)는
    등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포켓(30A)과,
    상기 상부 포켓(30A)의 하부 양측에 등과 허리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 포켓(30B)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포켓(30A)은 시트부(26)의 에어 포켓부(30)와 연결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 방지용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포켓부(30)는 선 접촉되도록 가로방향 또는 세로 방향의 요철 형태로 형성되거나 점 접촉되도록 엠보싱(embossing) 형태 또는 가로방향과 세로 방향의 요철 형태가 서로 교차되는 체크무늬 형태로 그 교차되는 부분이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인 욕창 방지용 휠체어.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31495A 2019-10-22 2019-10-22 욕창 방지용 휠체어 KR102306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495A KR102306661B1 (ko) 2019-10-22 2019-10-22 욕창 방지용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495A KR102306661B1 (ko) 2019-10-22 2019-10-22 욕창 방지용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639A KR20210047639A (ko) 2021-04-30
KR102306661B1 true KR102306661B1 (ko) 2021-09-30

Family

ID=7574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495A KR102306661B1 (ko) 2019-10-22 2019-10-22 욕창 방지용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6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948B1 (ko) * 2010-05-28 2011-09-22 바이오슬립메드 주식회사 욕창 방지장치
KR101761706B1 (ko) * 2016-05-02 2017-07-26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욕창방지 기능을 갖는 환자용 침대
JP2018114006A (ja) * 2017-01-16 2018-07-26 菊池 皓 車椅子
KR101950582B1 (ko) * 2017-05-26 2019-02-2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 셀을 이용한 환자 자세 자동 변환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014B1 (ko) * 2010-12-02 2012-12-31 주식회사 퓨트로닉 욕창방지용 휠체어
KR101412731B1 (ko) 2013-12-23 2014-06-3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욕창 방지 휠체어
KR20180056215A (ko) 2016-11-18 2018-05-28 유영배 욕창 방지용 휠체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948B1 (ko) * 2010-05-28 2011-09-22 바이오슬립메드 주식회사 욕창 방지장치
KR101761706B1 (ko) * 2016-05-02 2017-07-26 (재)예수병원유지재단 욕창방지 기능을 갖는 환자용 침대
JP2018114006A (ja) * 2017-01-16 2018-07-26 菊池 皓 車椅子
KR101950582B1 (ko) * 2017-05-26 2019-02-2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 셀을 이용한 환자 자세 자동 변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639A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2346B2 (en) Mobile chair assembly
US20120295778A1 (en) Mobile rocking patient chair and method of use
US20040226102A1 (en) Alternating pressure cushion
JP2011507654A (ja) 回動可能な座席
KR101217014B1 (ko) 욕창방지용 휠체어
GB2305119A (en) Patient transfer chair system
US20040222611A1 (en) Programmable multifunctional air support reclining and tilting wheelchair
KR102306661B1 (ko) 욕창 방지용 휠체어
Holden et al. Chairs for the elderly—design considerations
KR102306651B1 (ko) 욕창 방지용 휠체어 제어방법
KR200293293Y1 (ko) 메모리폼과젤을 결합한 방석
KR100720715B1 (ko) 적응형 욕창방지 휠체어
Rappl et al. Seating evaluation: Special problems and interventions for older adults
Collins Sitting: pressure ulcer development
CN209004466U (zh) 医用轮椅
CN111743700A (zh) 一种多功能护理椅
JP2008110096A (ja) 福祉用椅子の背もたれおよび着座部
US4949713A (en) Tensile arc and bridge body support
CN213098857U (zh) 一种可调节轮椅智能控制装置
KR200321008Y1 (ko) 방석
KR102636755B1 (ko) 쿠션시트를 구비하는 휠체어
JPH08224276A (ja) 介護用椅子装置
JP2002011052A (ja) 床ずれ防止および腰痛症対策の用具
Collins Selecting the most appropriate armchair for patients
Collins A practical guide to wheelchair cush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