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014B1 - 욕창방지용 휠체어 - Google Patents

욕창방지용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7014B1
KR101217014B1 KR1020100121823A KR20100121823A KR101217014B1 KR 101217014 B1 KR101217014 B1 KR 101217014B1 KR 1020100121823 A KR1020100121823 A KR 1020100121823A KR 20100121823 A KR20100121823 A KR 20100121823A KR 101217014 B1 KR101217014 B1 KR 101217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embers
base plate
wheelchair
cush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0360A (ko
Inventor
홍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트로닉
홍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트로닉, 홍승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트로닉
Priority to KR1020100121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0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문의 염증 및 둔부의 욕창 방지를 위한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치질수술 후의 항문질환자나 출산 전후의 임산부 혹은 하반신이 마비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자의 둔부의 피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휠체어와 신체의 피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안락감을 주면서 신체의 특정부위의 하중을 분산시켜 혈액순환장애를 방지하는 쿠션기능과 다량의 통기공을 형성하여 피부호흡을 원활하게 유지하는 통풍기능을 개선하는 욕창방지용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욕창방지용 휠체어{A wheel chair for preventing bedsore}
본 발명은 항문의 염증 및 둔부의 욕창 방지를 위한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치질수술 후의 항문질환자나 출산 전후의 임산부 혹은 하반신이 마비되어 거동이 불편한 장애자의 둔부의 피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휠체어와 신체의 피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안락감을 주면서 신체의 특정부위의 하중을 분산시켜 혈액순환장애를 방지하는 쿠션기능과 다량의 통기공을 형성하여 피부호흡을 원활하게 유지하는 통풍기능을 개선하는 욕창방지용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욕창(褥瘡, bedsore)이라는 병은 일반인의 경우 장시간 누워있거나 앉아 있다 보면 압력에 의하여 피부에 부분적인 통증이 올 때 몸을 비틀던지 또는 자세를 바꿈으로써 그 압력을 해소하려는 노력을 하지만 움직임이 불편한 노약자나 지체부자유자를 비롯한 기타 환자의 경우 이러한 통증을 해소하기 위한 움직임이 불가능할 경우 압박된 부분의 피부는 혈행이 나빠지기 때문에 처음에는 창백해지고, 주위가 붉어져 압통이 생길 뿐만 아니라 나중에는 물집이 생기고 더 진행하면 거무스름해지며 괴저(壞疽)를 일으킨 부분은 탈락하고, 궤양을 형성하여 악취가 나는 분비물이 나오게 된다.
이러한 거동불편환자나 장애인이 사용하는 전동휠체어를 포함한 모든 휠체어의 의자는 외피가 솜이나 스폰지와 같은 쿠션을 감싸는 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의료용 방석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휠체어 의자는 환자가 앉았을 때 골반이나 허벅지 부분이 솜이나 스폰지류의 쿠션과 외피에 직접 접촉하게 되어 습기가 많은 하절기에는 많은 양의 땀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의자에 사용자가 앉게 되면 이자에 중량이 실려 쿠션 내부를 지나는 통풍이 차단되게 되며, 쿠션 내부를 지나는 통풍이 차단되면 의자 하부로 공기가 순환되지 못하여 쿠션을 깔아도 시원한 느낌을 주지 못하는 한편, 오히려 땀이 발생됨으로 인하여 각종 습진이나 피부병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더욱이, 치질 등의 수술 후에 통증을 호소하는 항문질환자나 출산 전후의 임산부 또는 하반신이 마비되어 거동이 불편한 휠체어 사용자의 경우에는 환부나 신체의 특정부위가 항상 의자에 접촉되어 압박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좌골이나 골반 또는 허벅지의 피부가 장시간 압박을 받게 되면 피부 내부의 혈관도 압박을 받게 되어 혈액순환의 장애가 발생하며, 또한 의자에 적축된 부패한 자신의 분비물로부터 세균감염이 있게 된다. 따라서 혈액순환의 장애나 세균감염은 피부가 곪는 현상인 소위 욕창 등의 원인이 되어 환자의 고통을 가중시키게 됨은 물론 치료에도 여러가지 어려움을 더하게 되며, 심지어는 욕창으로 인해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혈액순환의 장애나 접촉면에 통풍이 되지 않는 원인으로 발생하는 땀띠나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의자와 신체의 접촉면을 가능한 한 자주 바꾸어서 하중을 분산시키거나 일어나서 통풍을 시켜주어야 하는데, 거동이 불편한 휠체어 사용자나 중환자의 경우에는 간병인의 도움에 의해서만 접촉면을 바꾸어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욕창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의자의 좌석부와 등받이에 서로 이격된 에어부재를 다수개로 분할되게 형성되어 각각의 에어부재가 개별적으로 공기를 유입/배출의 작동으로 에어부재간에 공간이 형성되어 신체접촉부위와 좌석부 또는 신체접촉부위와 등받이 사이에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의 공기층이 형성되어 각종 세균오염으로부터 환부를 보호하는 욕창방지용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등 부분을 받쳐주는 등받이, 대퇴를 비롯한 둔부를 받쳐주는 좌석부, 및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구동부가 형성된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 상부에 제1베이스판이 형성되어 상기 제1베이스판 상면 양측에 팔받침에어부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베이스판의 상면 후방측에 구획된 한쌍의 둔부에어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1베이스판의 상면 전방측 중앙에 형성된 돌출에어부재의 양측에 각각 대퇴부에어부재가 형성되는 제1에어쿠션부재와,
상기 등받이 전면에 제2베이스판이 형성되어 상기 제2베이스판 하부 양측에 보조에어부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보조에어부재 사이에 허리에어부재가 형성되는 제2에어쿠션부재와,
상기 제1에어쿠션부재의 둔부에어부재와 대퇴부에어부재, 제2에어쿠션부재의 허리에어부재 및 일체로 연결되는 제1에어쿠션부재의 팔받침에어부재, 돌출에어부재 및 제2에어쿠션부재의 보조에어부재에 개별적으로 6개의 에어라인에 연결되도록 일면에 6개의 에어분배구가 형성되며, 상기 좌석부 하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는 분배기로 이루어지는 욕창방지용 휠체어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분배기 일면에 형성된 6개의 에어분배구와 연결되어 분배기 내면에 형성된 솔밸브 또는 체크밸브 중 택일하여 사용되는 욕창방지용 휠체어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 2베이스판 일면에 에어라인을 수용할 수 있도록 결속홈이 형성되는 욕창방지용 휠체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 사람이 사용하는 휠체어, 전동휠체어 또는 전동스쿠터에 일정시간 이상 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욕창의 우려를 경보에 의하여 용이하게 파악하고, 어느 한쪽에 과도한 체압이 가해지는 것으로 주기적으로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개별적인 제1, 2에어쿠션부재의 공기량을 조절하여 신체면과 접촉되는 제1, 2에어쿠션부재 사이에 공간을 형성되어 체압이 고르게 분포할 수 있도록 조절하여 욕창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체와 좌석부 또는 등받이와의 접촉부분이 통풍이 용이하도록 하여 욕창을 유발 또는 악화시키는 또 다른 원인인 수분을 최소화하고 괘적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휠체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휠체어의 제1, 2에어쿠션부재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휠체어의 제1에어쿠션부재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휠체어의 제1에어쿠션부재에서 둔부에어부재-돌출에어부재-대퇴부에어부재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휠체어의 제2에어쿠션부재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휠체어의 제1, 2베이스판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휠체어의 분배기로부터 에어라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휠체어의 에어라인과 제2에어쿠션부재의 결합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휠체어의 분배기 구조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도 1에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 부분을 받쳐주는 등받이(20), 대퇴를 비롯한 둔부를 받쳐주는 좌석부(30), 및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구동부(40)가 형성된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30) 상부에 제1베이스판(35)이 형성되어 상기 제1베이스판(35) 상면 양측에 팔받침에어부재(110a, 110b)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베이스판(35)의 상면 후방측에 구획된 한쌍의 둔부에어부재(120a, 120b)가 형성되고, 상기 제1베이스판(35)의 상면 전방측 중앙에 형성된 돌출에어부재(130)의 양측에 각각 대퇴부에어부재(140a, 140b)가 형성되는 제1에어쿠션부재(100a)와,
상기 등받이(20) 전면에 제2베이스판(25)이 형성되어 상기 제2베이스판(25) 하부 양측에 보조에어부재(150a, 150b)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보조에어부재(150a, 150b) 사이에 허리에어부재(160)가 형성되는 제2에어쿠션부재(100b)와,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에어쿠션부재(100a)의 둔부에어부재(120a, 120b)와 대퇴부에어부재(140a, 140b), 제2에어쿠션부재(100b)의 허리에어부재(160) 및 일체로 연결되는 제1에어쿠션부재(100a)의 팔받침에어부재(110a, 110b), 돌출에어부재(130) 및 제2에어쿠션부재(100b)의 보조에어부재(150a, 150b)에 개별적으로 6개의 에어라인(230)에 연결되도록 일면에 6개의 에어분배구(210)가 형성되며, 상기 좌석부(30) 하부에 설치된 구동모터(300)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는 분배기(200)로 이루어지는 욕창방지용 휠체어(10)를 제공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에어쿠션부재(100a)는 좌석부(30) 상부에 위치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먼저, 상기 좌석부(30) 상부에 제1베이스판(35)이 형성되며, 상기 제1베이스판재(35)의 상면 양측에 팔받침에어부재(110a, 110b)가 형성되고, 상기 제1베이스판(35)의 상면 후방측에 서로 이격되어 분할된 한쌍의 둔부에어부재(120a, 120b)가 형성되고, 상기 제1베이스판(35)의 상면 전방측 중앙에 형성된 돌출에어부재(130) 양측에 대퇴부에어부재(140a, 140b)가 형성된다.
상기 제1에어쿠션부재(100a)를 구성하는 팔받침에어부재(110, 110b), 둔부에어부재(120a, 120b), 돌출에어부재(130) 및 대퇴부에어부재(140a, 140b)는 각각이 분할된 형태로 구획되어 형성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대퇴부에어부재(140a, 140b)와 그 후부에 형성되는 둔부에어부재(120a, 120b)의 높이는 대퇴부에어부재(140a, 140b)의 1/2에 해당하는 둔부에어부재(120a, 120b)를 형성하게 되며, 이는 사용자의 둔부와 대퇴부에 밀착되는 압력의 차이를 형성하기 위함이며, 이는 상기 대퇴부에어부재(140a, 140b)의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대퇴부에 가해지는 대퇴부에어부재(140a, 140b)의 팽창과 수축을 반복적으로 시행함으로서 둔부에 가해지는 압력의 차이를 증가하여 둔부와 대퇴부간 공간확보에 증가시켜주게 된다.
동시에 한쌍으로 형성된 둔부에어부재(120a, 120b)도 각각 팽창과 수축을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써 둔부에어부재(120a, 120b)와 면접되는 둔부의 양측이 하향과 상향으로 인해 둔부가 소정의 기울기로 기울어짐에 따라 공간이 확보되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에어쿠션부재(100b)는 등받이(20)에 형성되는 것으로, 등받이(20)에 형성되는 제2베이스판(25)의 하부 양측에 보조에어부재(150a, 150b)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에어부재(150a, 150b) 사이에 허리에어부재(160)가 형성된다.
상기 제2에어쿠션부재(100b)의 보조에어부재(150a, 150b)와 허리에어부재(160)가 개별적으로 수축과 팽창을 반복적으로 작동함으로서 허리의 요추와 골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제1, 2에어쿠션부재(100a, 100b)의 수축과 팽창을 반복적으로 작동을 하기 위해 공기를 유입 또는 배출하는 에어라인(230)을 통해 진행되며, 상기 각각의 제1, 2에어쿠션부재(100a, 100b)에 개별적으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해 분배기(200)를 설치하여 제공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분배기(200)의 일면에 상기 제1, 2에어쿠션부재(100a, 100b)에 공급하기 위해 6개의 에어분배구(210)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둔부에어부재(120a, 120b), 각각의 대퇴부에어부재(140a, 140b) 및 허리에어부재(160)에 별도의 에어라인(230)이 형성되어 공기를 공급하게 되고, 상기 팔받침에어부재(110a, 110b), 돌출에어부재(130) 및 보조에어부재(150a, 150b)는 하나의 에어분배구(210)를 통해 에어라인(230)이 연계되어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렇게 6개의 에어분배구(210)가 형성된 분배기(200)를 통해 공기를 개별적으로 제1, 2에어쿠션부재(100a, 100b)에 공급함으로서 수축과 팽창을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서 사용자의 둔부, 허벅지 및 허리에 공간을 확보하여 외부와의 공기 유입이 자유롭도록 하였다.
상기 분배기(200)를 통해 연결되는 에어라인(230)이 제1, 2에어쿠션부재(100a, 100b)의 각각에 형성된 유입구(170)를 통해 연결되어 공기를 유입 또는 배출하게 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분배기(200)를 통해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해 구동모터(300)가 좌석부(30)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되며, 상기 제1, 2에어쿠션부재(100a, 100b)에 공기의 유입과 배출에 따른 수축과 팽창을 연동하기 위해 상기 분배기(200) 내부에 각각의 에어분배구(210)와 연계된 솔밸브(220) 또는 체크밸브(220)가 형성되어 공기의 유입과 배출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분배기의 솔밸브(220) 또는 체크밸브(220)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사용자의 팔받침에어부재(110, 110b) 상부 일측에 조정기(미도시)를 설치하며, 상기 조정기(미도시) 내에 사용자의 조작버튼과 연동되는 별도로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작동방식에 따라 구동되도록 조정기(미도시)를 마련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2베이스판(25, 35) 일면에 에어라인(23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결속홈(26, 36)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라인(230)이 제1, 2베이스판(25, 35)내의 결속홈(26, 36)에 수용되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욕창방지용 휠체어는 다양하게 설계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휠체어 : 10, 등받이 : 20, 제2베이스판 : 25, 결속홈 : 26, 좌석부 : 30, 제1베이스판 : 35, 결속홈 : 36구동부 : 40, 제1, 2에어쿠션부재 : 100a, 100b, 팔받침에어부재 : 110a, 110b, 둔부에어부재 : 120a, 120b, 돌출에어부재 : 130, 대퇴부에어부재 : 140a, 140b, 보조에어부재 : 150a, 150b, 허리에어부재 : 160, 유입구 : 170, 분배기 : 200, 에어분배구 : 210, 솔밸브 : 220, 에어라인 : 230, 구동모터 : 300

Claims (3)

  1. 대퇴를 비롯한 둔부를 받쳐주는 좌석부(30) 상부에 제1베이스판(35)이 형성되어 상기 제1베이스판(35) 상면 양측에 팔받침에어부재(110a, 110b)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베이스판(35)의 상면 후방측에 구획된 한쌍의 둔부에어부재(120a, 120b)가 형성되고, 상기 제1베이스판(35)의 상면 전방측 중앙에 형성된 돌출에어부재(130)의 양측에 각각 대퇴부에어부재(140a, 140b)가 형성되는 제1에어쿠션부재(100a)와, 등 부분을 받쳐주는 등받이(20) 전면에 제2베이스판(25)이 형성되어 상기 제2베이스판(25) 하부 양측에 보조에어부재(150a, 150b)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보조에어부재(150a, 150b) 사이에 허리에어부재(160)가 형성되는 제2에어쿠션부재(100b)로 구성되는 욕창방지용 휠체어(10)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쿠션부재(100a)의 둔부에어부재(120a, 120b)와 대퇴부에어부재(140a, 140b), 제2에어쿠션부재(100b)의 허리에어부재(160) 및 일체로 연결되는 제1에어쿠션부재(100a)의 팔받침에어부재(110a, 110b), 돌출에어부재(130) 및 제2에어쿠션부재(100b)의 보조에어부재(150a, 150b)에 개별적으로 6개의 에어라인(23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도록 일면에 6개의 에어분배구(210)가 형성된 분배기(200)가 설치되되,
    상기 6개의 에어분배구(210)를 통해 공기가 개별적으로 공급되도록 각각의 에어분배구(210)에 연결되는 솔밸브(220) 또는 체크밸브(220) 중 택일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용 휠체어.
  2. 삭제
  3. 삭제
KR1020100121823A 2010-12-02 2010-12-02 욕창방지용 휠체어 KR101217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823A KR101217014B1 (ko) 2010-12-02 2010-12-02 욕창방지용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823A KR101217014B1 (ko) 2010-12-02 2010-12-02 욕창방지용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360A KR20120060360A (ko) 2012-06-12
KR101217014B1 true KR101217014B1 (ko) 2012-12-31

Family

ID=46611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823A KR101217014B1 (ko) 2010-12-02 2010-12-02 욕창방지용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0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105B1 (ko) 2018-01-23 2018-08-13 (주)에코그린 욕창방지용 온열매트
KR20210047639A (ko) 2019-10-22 2021-04-3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 방지용 휠체어
KR20210052022A (ko) 2019-10-31 2021-05-1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 방지용 휠체어 제어방법
KR20220044049A (ko) 2020-09-29 2022-04-06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탈 관리 기능을 구비한 휠체어
KR20230061964A (ko)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휠라인 쿠션시트를 구비하는 휠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731B1 (ko) * 2013-12-23 2014-06-3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욕창 방지 휠체어
CN104783977A (zh) * 2015-04-29 2015-07-22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孕产妇轮椅
KR102351407B1 (ko) * 2020-06-10 2022-01-19 서울대학교병원 리프트용 방석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높낮이 조절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4254A (ja) * 2005-08-10 2007-02-22 Shinanotekku:Kk 褥瘡予防エアマット及びそのエアマットに用いられるロータリーバルブ又は車椅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4254A (ja) * 2005-08-10 2007-02-22 Shinanotekku:Kk 褥瘡予防エアマット及びそのエアマットに用いられるロータリーバルブ又は車椅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105B1 (ko) 2018-01-23 2018-08-13 (주)에코그린 욕창방지용 온열매트
KR20210047639A (ko) 2019-10-22 2021-04-3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 방지용 휠체어
KR20210052022A (ko) 2019-10-31 2021-05-1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 방지용 휠체어 제어방법
KR20220044049A (ko) 2020-09-29 2022-04-06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탈 관리 기능을 구비한 휠체어
KR102474923B1 (ko) * 2020-09-29 2022-12-07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탈 관리 기능을 구비한 휠체어
KR20230061964A (ko)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휠라인 쿠션시트를 구비하는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360A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014B1 (ko) 욕창방지용 휠체어
EP0673217B1 (en) Lateral rotation therapy mattress system and method
US5987675A (en) Spinal support and stretch pillow system
US5857749A (en) Wheelchair seat assembly with contoured seat pan and cushion and method
US4893367A (en) System of separately adjustable pillows
US6823549B1 (en) Alternating pressure cushion with inflatable lumbar support
US4912788A (en) Seat pad for invalid patients
US7996940B1 (en) Custom therapeutic seat cushion
AU4144196A (en) Modular cushion construction with detachable pommel
JP2000500365A (ja) 座席用可変式サポートシステム
US9144314B2 (en) Multifunctional posture seat
US10314408B2 (en) Contouring device
CN211067539U (zh) 一种具有透气性的压疮康复气垫
US20190000700A1 (en) Hospital bed with inflatable bladders and cooling channels and related methods
US20040222611A1 (en) Programmable multifunctional air support reclining and tilting wheelchair
US20060022504A1 (en) Air fluidized granular wound care wheelchair overlay
US20030014818A1 (en) Orthopedic body segment support
KR100720715B1 (ko) 적응형 욕창방지 휠체어
KR20030033670A (ko) 욕창방지 방석용 공기조절장치
KR100631295B1 (ko) 욕창방지 치료를 위한 시트쿠션의 공기압 제어장치 및 그방법
KR102306661B1 (ko) 욕창 방지용 휠체어
US11857471B2 (en) Adjustable seat cushion
KR102306651B1 (ko) 욕창 방지용 휠체어 제어방법
KR101437132B1 (ko) 형상조절의자
JP2002011052A (ja) 床ずれ防止および腰痛症対策の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