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531B1 -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 - Google Patents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531B1
KR102633531B1 KR1020230123605A KR20230123605A KR102633531B1 KR 102633531 B1 KR102633531 B1 KR 102633531B1 KR 1020230123605 A KR1020230123605 A KR 1020230123605A KR 20230123605 A KR20230123605 A KR 20230123605A KR 102633531 B1 KR102633531 B1 KR 102633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rotating
holding
removal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3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이
Priority to KR1020230123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3/00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 F16F3/02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steel or of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 F16F3/04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steel or of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composed only of wound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펠러 동작에 의해 유입되는 바닷물을 흡입 및 배출 효율을 높이기 위한 회전 몸체, 블레이드, 완충부 및 이물질 제거부가 구비된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Impeller for motor surf that can intake and discharge seawater}
본 발명은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펠러 동작에 의해 유입되는 바닷물을 흡입 및 배출 효율을 높이기 위한 회전 몸체, 블레이드, 완충부 및 이물질 제거부가 구비된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에 관한 것이다.
전동 모터서프는 레크레이션과 스포츠 활동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동 모터서프는 원칙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임펠러를 사용하여 움직인다.
기존의 임펠러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금속 또는 합성 재료로 만들어져 있으며, 회전 몸체에 블레이드가 연결되어 모터서프에서 물을 뒤로 밀어서 추진력을 생성한다.
그러나 기존의 임펠러는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블레이드의 형태와 구조가 최적화되지 않아 바닷물의 흡입 효율이 낮을 수 있다.
둘째, 재료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아 금속 피로나 손상의 위험이 있다.
셋째, 배터리 효율이 낮아 운행 시간이 제한적일 수 있다.
기존의 임펠러는 바닷무렝 대한 흡입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높은 출력을 요구하는 전동 모터서프에서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재료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아 장시간 또는 고속에서의 사용에 제약이 있다.
배터리 수명과 효율이 낮아, 운행 시간이 제한적이며 추가적인 배터리 소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더 높은 흡입 효율과 강도를 가진 새로운 임펠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강도의 금속 재료와 뛰어난 블레이드 설계가 필요하며, 배터리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를 제공하며, 특히 블레이드의 형태와 각도, 그리고 사용되는 고강도 금속 재료를 통해 전체적인 성능과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16532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46033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닷물의 유입에 따른 흡입 및 배출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회전 몸체, 블레이드가 구비된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터서프 구동 시 파도에 회전 몸체가 부딪혀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가 구비된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 몸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가 구비된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는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회전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펠러 동작에 의해 유입되는 바닷물을 흡입 및 배출 효율을 높이기 위한 회전 몸체, 블레이드, 완충부 및 이물질 제거부가 구비된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가 제공된다.
흡입 효율 증가: 본 발명에 따르면, 블레이드의 특별한 형태와 각도 설정(15도의 경사)은 물 흡입 배출 효율을 눈에 띄게 향상시킨다. 이로 인해 출력이 최대 10% 향상될 수 있다.
배터리 효율: 본 발명의 임펠러 구조는 추가적인 배터리 소모 없이 더 높은 효율을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더 긴 운행 시간(기존 35분 대비 40~42분)을 가능하게 한다.
고강도 금속 재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강도의 금속 재료는 금속 피로나 손상의 위험을 줄이고, 장시간 또는 고속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한다.
구조적 안정성: 스크류 형태의 블레이드와 고정단의 설계는 임펠러가 물을 더 효과적으로 밀어내면서도 안정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의 일 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의 일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의 완충부 및 이물질 제거부의 개략적인 배치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의 완충부의 세부 구성들의 조립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의 승강 유지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의 이물질 제거부의 세부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의 제거볼 타격부의 세부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의 실시예들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는 회전 몸체(10), 블레이드(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몸체(10)는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블레이드(20)는 상기 회전 몸체(10)의 둘레부를 따라 외향하게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20)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사선 방향으로 15도의 경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20)는 상기 회전 몸체(10)의 외주면에 고정된 고정단에서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스크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의 설계 및 제조 실시예]
재료 선택 : 고강도의 금속 재료를 선택하여 임펠러를 제조한다.
이때, 금속 재료는 알루미늄 합금, 타이타늄, 니켈 기반 합금, 탄소강, 구리-니켈 합금, 잔디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인코넬, 듀랄루민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블레이드(20) 형태 : 블레이드(20)는 3D CAD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15도의 경사로 형성한다.
스크류 형태 : 블레이드(20)의 외측 끝은 스크류 형태로 설계한다.
일체형 제조 : 회전 몸체(10)와 블레이드(20)는 주조 공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조된다.
[물 흡입 배출 효율 테스트 실시예]
흡입 테스트 : 임펠러가 물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흡입하는 지 실험적으로 측정한다.
배출 테스트 : 임펠러가 물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지 측정한다.
효율 측정 : 흡입과 배출 효율을 계산하여 종래의 임펠러와 비교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의 완충부의 세부 구성들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는 상기 회전 몸체(1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 몸체(10)가 회전하면서 부딪혀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된 완충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100)는 슬라이딩 레일(110), 제 1 완충 몸체(120), 몸체 이동 롤러(130), 몸체 지지 스프링(140), 제 2 완충 몸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110)은 상기 회전 몸체(1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1 완충 몸체(120)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110)에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ㅜ'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몸체 이동 롤러(130)는 상기 제 1 완충 몸체(120)의 양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제 1 완충 몸체(120)가 상기 슬라이딩 레일(1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몸체 지지 스프링(140)은 상기 제 1 완충 몸체(120)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2 완충 몸체(150)는 상기 제 1 완충 몸체(120)의 둘레부를 향해 삽입되어 상기 몸체 지지 스프링(140)을 누르는 운동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완충 몸체(150)의 내측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몸체 승강 홈(150a)에 상기 제 1 완충 몸체(120)의 양 측으로 돌출 형성된 승강 유지부(160)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승강 유지부(160)는 벨트 권취 롤러(161), 승강 벨트(162), 유지부 회전 프레임(163), 유지부 회전축(164), 유지부 롤러(165), 유지부 탄성 스프링(166), 권취 보조부(167)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 권취 롤러(161)는 상기 제 2 완충 몸체(150)의 상기 몸체 승강 홈(15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승강 벨트(162)는 상기 벨트 권취 롤러(161)에 권취 및 권출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지부 회전 프레임(163)은 상기 제 1 완충 몸체(120)의 양 측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지부 회전축(164)은 상기 유지부 회전 프레임(163)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지부 롤러(165)는 상기 유지부 회전 프레임(163)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지부 탄성 스프링(166)은 상기 유지부 회전축(164)에서 각각의 상기 유지부 롤러(165)를 향해 체결되어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권취 보조부(167)는 상기 제 2 완충 몸체(1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벨트 권취 롤러(161)를 보조하여 상기 승강 벨트(162)를 권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권취 보조부(167)는 보조부 구동 모터(1671), 기어축(1672), 보조부 회전 기어(1673), 보조부 바디(1674), 지지 샤프트(1675), 스크류 실린더(1676)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부 구동 모터(1671)는 상기 제 2 완충 몸체(150)의 내부에 내장되어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기어축(1672)은 상기 보조부 구동 모터(1671)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조부 회전 기어(1673)는 상기 기어축(1672)의 상부 둘레부에 중심부가 삽입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조부 바디(1674)는 상기 보조부 회전 기어(1673)의 상면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 샤프트(1675)는 상기 보조부 바디(1674)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크류 실린더(1676)는 상기 지지 샤프트(1675)의 둘레부 길이 방향을 따라 승하강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둘레부에 스크류 날개(1676a)가 형성되어 상기 벨트 권취 롤러(161)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도면을 기준으로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슬라이딩 레일(110)이 회전 몸체(10)의 저면부 및 둘레 말단부를 따라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ㅏ'자 형상의 제 1 완충 몸체(120)를 기준으로 상, 하 말단부(A)에 몸체 이동 롤러(130)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일 측부(B)의 둘레부에 몸체 지지 스프링(140)이 삽입된다.
이어서, 'ㅓ'자 형상의 제 2 완충 몸체(150)가 몸체 지지 스프링(140)을 누르면서 제 1 완충 몸체(120)(B)를 향해 삽입된다.
상기 조립된 형상에서 제 1 완충 몸체(120)(A)가 슬라이딩 레일(110)에 몸체 이동 롤러(13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어서, 제 1 완충 몸체(120)의 상부 양 측부로 외향하게 승강 유지부(160)가 돌출 형성되고, 제 2 완충 몸체(150)의 중앙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몸체 승강 홈(150a)에 체결된다.
이때, 승강 유지부(160)는 몸체 승강 홈(150a)을 따라 승강 가능하며 이탈도 방지할 수 있다.
승강 유지부(160)에 있어서, 제 1 완충 몸체(120)의 상부 양 측부로 외향하게 형성된 유지부 회전 프레임(163)을 기준으로 중심부 길이 방향을 따라 유지부 회전축(164)이 제 1 완충 몸체(120)를 향해 삽입된다.
유지부 회전축(164)의 말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유지부 탄성 스프링(166)의 일단부가 설치된다.
이어서, 유지부 회전 프레임(163)의 말단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유지부 롤러(165)가 배치되고, 각각의 유지부 탄성 스프링(166)의 타단부가 유지부 롤러(165)를 향해 설치된다.
제 2 완충 몸체(150)의 내부에서 몸체 승강 홈(15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벨트 권취 롤러(161)가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다.
전체 벨트 권취 롤러(161)에 승강 벨트(162)가 권취되어 권취 보조부(167)에 의해 유지부 회전 프레임(163)의 둘레부를 향해 권출될 수 있다.
권취 보조부(167)에 있어서, 제 2 완충 몸체(150)의 내부에 내장된 보조부 구동 모터(1671)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중심부를 향해 기어축(1672)이 돌출되도록 삽입된다.
기어축(1672)의 상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보조부 회전 기어(1673)의 중앙부를 관통 삽입된다.
보조부 바디(1674)의 하단부와 보조부 회전 기어(1673)의 상부가 체결되고, 지지 샤프트(1675)의 하단부가 보조부 바디(1674)의 상단부와 체결되어 지지 샤프트(1675)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스크류 실린더(1676)가 지지 샤프트(1675)의 둘레부에 삽입되고, 스크류 실린더(1676)의 스크류 날개(1676a)가 일 벨트 권취 롤러(161)에 권취된 승강 벨트(162)와 맞닿도록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파도가 모터 서프를 향해 치면 슬라이딩 레일(110)을 따라 제 1 완충 몸체(120)가 몸체 이동 롤러(130)에 의해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제 2 완충 몸체(150)가 파도의 충격을 전달받아 제 1 완충 몸체(120)를 향하면서 몸체 지지 스프링(140)을 눌러 그 탄성력에 의해 파도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에 의해 유지부 회전축(164)이 회전하여 복수 개의 유지부 롤러(165)가 유지부 회전 프레임(163)의 둘레부를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이어서 벨트 권취 롤러(161)에서 권출된 승강 벨트(162)가 유지부 롤러(165)와 유지부 회전 프레임(163) 사이에 감겨 유지부 회전 프레임(163)의 둘레부를 따라 권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를 위해 제어에 의해 보조부 구동 모터(1671)가 구동력을 기어축(1672)을 통해 보조부 회전 기어(1673)로 전달하여 보조부 회전 기어(1673)가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이어서 보조부 바디(1674) 및 지지 샤프트(1675)가 보조부 회전 기어(1673)와 일체로 회전하여 스크류 실린더(1676)의 스크류 날개(1676a)가 일 벨트 권취 롤러(161)와 맞물려 승강 벨트(162)가 유지부 회전 프레임(163)을 향해 권출될 수도 있고, 유지부 회전 프레임(163)으로부터 권취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제 1 완충 몸체(120) 및 제 2 완충 몸체(150)가 몸체 지지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한 완충 동작 후 원위치로 복귀할 수도 있고, 제 1 완충 몸체(120) 및 제 2 완충 몸체(150)가 서로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의 이물질 제거부의 세부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는 상기 회전 몸체(10)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된 이물질 제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부(200)는 제거부 탱크(210), 제거부 파이프(220), 제거부 플레이트(230), 분사 노즐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거부 탱크(210)는 상기 회전 몸체(10)에 설치되어 이물질 제거를 위한 용액을 저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거부 파이프(220)는 상기 제거부 탱크(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거부 탱크(210)로부터 일체로 관통 연결되어 용액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거부 플레이트(230)는 상기 제거부 파이프(220)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거부 파이프(220)가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분사 노즐부(240)는 상기 제거부 플레이트(230)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용액을 분사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분사 노즐부(240)는 노즐부 지지 샤프트(241), 노즐부 실린더(242), 제거부 피스톤 바디(243), 제거부 분사 스프링(244), 제거볼 지지 샤프트(245), 이물질 제거볼(246), 제거볼 타격부(247)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 지지 샤프트(241)는 상기 제거부 플레이트(230)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거부 파이프(220)가 연장 형성되어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노즐부 실린더(242)는 상기 노즐부 지지 샤프트(241)의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거부 파이프(220)가 연장 형성되어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거부 피스톤 바디(243)는 상기 노즐부 실린더(242)의 상기 제거부 파이프(220)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노즐부 실린더(242)의 상부에 설치되고 피스톤 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거부 분사 스프링(244)은 상기 제거부 파이프(220)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거볼 지지 샤프트(245)는 상기 제거부 피스톤 바디(243)의 상부에서 내부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고, 둘레부에 스프링 지지 돌기(245a)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거부 분사 스프링(244)을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물질 제거볼(246)은 상기 제거볼 지지 샤프트(245)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되 일부가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거볼 타격부(247)는 상기 제거볼 지지 샤프트(245)의 내부 상단에 내장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볼(246)을 타격하여 상기 이물질 제거볼(246)이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거볼 타격부(247)는 제거볼 타격부재(2471), 부재 지지 프레임(2472), 프레임 지지부재(2473), 샤프트 실린더(2474), 헤드 지지 샤프트(2475), 스프링 누름 헤드(2476), 프레임 연결부재(2477), 제 1 회동 프레임(2478), 제 2 회동 프레임(2479), 타격부 바디(248), 스프링 지지부재(2481), 타격 지지 스프링(2482)을 포함할 수 있다.
제거볼 타격부재(2471)는 상기 이물질 제거볼(246)과 맞닿아 타격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부재 지지 프레임(2472)은 상기 제거볼 타격부재(2471)에서 상기 제거볼 지지 샤프트(245)의 내부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 지지부재(2473)는 상기 부재 지지 프레임(2472)의 하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 실린더(2474)는 상기 프레임 지지부재(2473)의 저면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헤드 지지 샤프트(2475)는 상기 샤프트 실린더(2474)의 하부에서 내부를 향해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누름 헤드(2476)는 상기 헤드 지지 샤프트(2475)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 연결부재(2477)는 상기 스프링 누름 헤드(2476)의 상면에 상기 헤드 지지 샤프트(2475)가 내장되도록 설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1 회동 프레임(2478)은 상기 프레임 연결부재(2477)의 양 측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2 회동 프레임(2479)은 각각의 상기 제 1 회동 프레임(2478)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되 상기 제거볼 지지 샤프트(245)의 내부에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타격부 바디(248)는 상기 스프링 누름 헤드(2476)가 내장되도록 설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지지부재(2481)는 상기 스프링 누름 헤드(2476)의 저면부 및 상기 타격부 바디(248)의 하단부에 각각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타격 지지 스프링(2482)은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2481)에 지지되도록 삽입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도면을 기준으로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거부 탱크(210)가 회전 몸체(10)의 내부에 내장된다.
제거부 파이프(220)가 제거부 탱크(210)의 중앙부를 향해 상부에서 삽입된다.
제거부 플레이트(230)가 수평 방향으로 제거부 파이프(220)가 내장되도록 배치된다.
이어서 분사 노즐부(240)가 제거부 플레이트(230)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특히, 분사 노즐부(240)에 있어서, 노즐부 지지 샤프트(241)의 하단부가 제거부 플레이트(230)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노즐부 실린더(242)의 하단부가 각각의 노즐부 지지 샤프트(241)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노즐부 지지 샤프트(241)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피스톤 운동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제거부 파이프(220)는 제거부 탱크(210)에서부터 제거부 플레이트(230)의 내부에 내장되어 여러 갈래로 형성되어 각각의 노즐부 지지 샤프트(241)의 내부에 내장된다.
제거부 피스톤 바디(243)가 각각의 노즐부 실린더(242)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거부 파이프(220)의 상부가 내장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제거부 피스톤 바디(243)는 노즐부 실린더(2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를 향해 피스톤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제거부 피스톤 바디(243)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내장된 제거부 파이프(220)의 상단 둘레부에 제거부 분사 스프링(244)이 삽입된다.
제거볼 지지 샤프트(245)가 노즐부 실린더(242)의 상부에서 제거부 피스톤 바디(243)의 내부 공간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고, 둘레부에 스프링 지지 돌기(245a)가 형성되어 제거부 분사 스프링(244)의 상부를 탄성 지지하면서 제거볼 지지 샤프트(245)가 제거부 피스톤 바디(243)를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볼(246)이 제거볼 지지 샤프트(245)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되 일부가 돌출된다.
제거볼 타격부(247)에 있어서, 타격부 바디(248)가 제거볼 지지 샤프트(245)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내장된다.
스프링 지지부재(2481)가 타격부 바디(248)의 내부 하단면에 'ㅗ'자 형상으로 내장된다.
타격 지지 스프링(2482)의 스프링 지지부재(2481)의 돌출된 돌기에 거치된다.
또 다른 스프링 지지부재(2481)가 타격 지지 스프링(2482)의 상부에 'ㅜ'자 형상으로 타격부 바디(248)의 내부 상단에 내장된다.
스프링 누름 헤드(2476)가 상부의 스프링 지지부재(2481)를 누르도록 스프링 지지부재(2481)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타격부 바디(248)의 내부에 내장된다.
프레임 연결부재(2477)가 스프링 누름 헤드(2476)의 상면에 설치되고, 헤드 지지 샤프트(2475)가 프레임 연결부재(2477)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스프링 누름 헤드(2476)의 상면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삽입된다.
샤프트 실린더(2474)가 헤드 지지 샤프트(2475)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피스톤 운동 가능하다.
프레임 지지부재(2473)의 저면 중앙부가 샤프트 실린더(2474)의 상단부에 체결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부재 지지 프레임(2472)의 하단부가 프레임 지지부재(2473)의 상면 중앙부에 설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부재 지지 프레임(2472)의 상부가 제거볼 타격부재(2471)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제 1 회동 프레임(2478)의 일단부가 프레임 연결부재(2477)의 양 측부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각각의 제 1 회동 프레임(2478)의 타단부에 제 2 회동 프레임(2479)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각각의 제 2 회동 프레임(2479)의 타단부가 제거볼 지지 샤프트(245)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에 의해 제거부 탱크(210)에 내장된 펌프(미도시)가 이물질 제거를 위한 용액을 제거부 파이프(220)를 거쳐 각각의 제거부 피스톤 바디(243)의 내부 공간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에 의해 제거볼 지지 샤프트(245)가 제거부 분사 스프링(244)을 눌러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거부 피스톤 바디(243)의 분사홈(미도시)으로 용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이어서 제어에 의해 제 1 회동 프레임(2478) 및 제 2 회동 프레임(2479)이 회동하여 프레임 연결부재(2477)를 통해 스프링 누름 헤드(2476) 및 스프링 지지부재(2481)가 타격 지지 스프링(2482)을 누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이어서 타격 지지 스프링(2482)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 지지 샤프트(2475) 및 샤프트 실린더(2474)가 상승하여 프레임 지지부재(2473), 부재 지지 프레임(2472) 순으로 상승 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이어서 제거볼 타격부재(2471)가 이물질 타격볼을 타격하여 용액이 분사된 페달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회전 몸체(10)
블레이드(20)
완충부(100)
슬라이딩 레일(110)
제 1 완충 몸체(120)
몸체 이동 롤러(130)
몸체 지지 스프링(140)
제 2 완충 몸체(150)
몸체 승강 홈(150a)
승강 유지부(160)
벨트 권취 롤러(161)
승강 벨트(162)
유지부 회전 프레임(163)
유지부 회전축(164)
유지부 롤러(165)
유지부 탄성 스프링(166)
권취 보조부(167)
보조부 구동 모터(1671)
기어축(1672)
보조부 회전 기어(1673)
보조부 바디(1674)
지지 샤프트(1675)
스크류 실린더(1676)
스크류 날개(1676a)
이물질 제거부(200)
제거부 탱크(210)
제거부 파이프(220)
제거부 플레이트(230)
분사 노즐부(240)
노즐부 지지 샤프트(241)
노즐부 실린더(242)
제거부 피스톤 바디(243)
제거부 분사 스프링(244)
제거볼 지지 샤프트(245)
스프링 지지 돌기(245a)
이물질 제거볼(246)
제거볼 타격부(247)
제거볼 타격부재(2471)
부재 지지 프레임(2472)
프레임 지지부재(2473)
샤프트 실린더(2474)
헤드 지지 샤프트(2475)
스프링 누름 헤드(2476)
프레임 연결부재(2477)
제 1 회동 프레임(2478)
제 2 회동 프레임(2479)
타격부 바디(248)
스프링 지지부재(2481)
타격 지지 스프링(2482)

Claims (5)

  1.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회전 몸체(10);
    상기 회전 몸체(10)의 둘레부를 따라 외향하게 일체로 형성된 블레이드(20);
    상기 회전 몸체(1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 몸체(10)가 회전하면서 부딪혀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된 완충부(100);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몸체(10)와 상기 블레이드(20)는,
    주조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특징을 포함하는,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20)는,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 몸체(10)의 외주면에 고정된 고정단에서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스크류 형태로 형성되는 특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100)는,
    상기 회전 몸체(1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110);
    상기 슬라이딩 레일(110)에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ㅜ'자 형상으로 구비된 제 1 완충 몸체(120);
    상기 제 1 완충 몸체(120)의 양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제 1 완충 몸체(120)가 상기 슬라이딩 레일(1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몸체 이동 롤러(130);
    상기 제 1 완충 몸체(120)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된 몸체 지지 스프링(140);
    상기 제 1 완충 몸체(120)의 둘레부를 향해 삽입되어 상기 몸체 지지 스프링(140)을 누르는 운동을 하도록 구비된 제 2 완충 몸체(150);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완충 몸체(120)의 일 측부의 둘레부에 상기 몸체 지지 스프링(140)이 삽입되고,
    상기 제 2 완충 몸체(150)가 상기 몸체 지지 스프링(140)을 누르면서 상기 제 1 완충 몸체(120)를 향해 삽입되고,
    상기 제 1 완충 몸체(120)의 상부 양 측부로 외향하게 승강 유지부(16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완충 몸체(150)의 중앙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 승강 홈(150a)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 승강 홈(150a)에 상기 제 1 완충 몸체(120)의 양 측으로 돌출 형성된 승강 유지부(160)가 서로 체결되되,
    상기 승강 유지부(160)가 상기 제 2 완충 몸체(150)의 중앙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 승강 홈(150a)에 체결되는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유지부(160)는,
    상기 제 2 완충 몸체(150)의 상기 몸체 승강 홈(15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 벨트 권취 롤러(161);
    상기 벨트 권취 롤러(161)에 권취 및 권출 가능하게 체결된 승강 벨트(162);
    상기 제 1 완충 몸체(120)의 양 측으로 돌출 형성된 유지부 회전 프레임(163);
    상기 유지부 회전 프레임(163)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유지부 회전축(164);
    상기 유지부 회전 프레임(163)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유지부 롤러(165);
    상기 유지부 회전축(164)에서 각각의 상기 유지부 롤러(165)를 향해 체결되어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된 유지부 탄성 스프링(166);
    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100)는,
    충격이 발생하면 상기 제 2 완충 몸체(150)가 전달받아 상기 몸체 지지 스프링(140)을 눌러 상기 몸체 지지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충격을 완화하고,
    상기 유지부 회전 프레임(163)이 상기 몸체 승강 홈(150a)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제 2 완충 몸체(150)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123605A 2023-09-18 2023-09-18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 KR102633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3605A KR102633531B1 (ko) 2023-09-18 2023-09-18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3605A KR102633531B1 (ko) 2023-09-18 2023-09-18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531B1 true KR102633531B1 (ko) 2024-02-05

Family

ID=89903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3605A KR102633531B1 (ko) 2023-09-18 2023-09-18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53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622A (ko) * 1992-06-19 1994-01-11 백중영 무선전화기의 자동 대기모드 진입방법
KR100513933B1 (ko) * 2003-07-15 2005-09-09 김택수 자동차의 구동력과 조향장치를 이용한 요트
KR100719511B1 (ko) * 2006-06-21 2007-05-1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중 추진장치
KR102116532B1 (ko) 2018-12-21 2020-06-02 서동구 수소연료전지를 이용한 전기모터 서핑보드
KR20210128427A (ko) * 2019-02-08 2021-10-26 그레이스 코울터 헬리컬 팬/펌프/프로펠러/터빈 개선
KR102460336B1 (ko) 2022-03-23 2022-10-31 엔에스하이드로(주) 임펠러 고착방지장치가 구비된 펌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622A (ko) * 1992-06-19 1994-01-11 백중영 무선전화기의 자동 대기모드 진입방법
KR100513933B1 (ko) * 2003-07-15 2005-09-09 김택수 자동차의 구동력과 조향장치를 이용한 요트
KR100719511B1 (ko) * 2006-06-21 2007-05-1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중 추진장치
KR102116532B1 (ko) 2018-12-21 2020-06-02 서동구 수소연료전지를 이용한 전기모터 서핑보드
KR20210128427A (ko) * 2019-02-08 2021-10-26 그레이스 코울터 헬리컬 팬/펌프/프로펠러/터빈 개선
KR102460336B1 (ko) 2022-03-23 2022-10-31 엔에스하이드로(주) 임펠러 고착방지장치가 구비된 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24665B (zh) 一种水面光伏发电装置
KR100399300B1 (ko) 분사수 추진식 선외기
KR102633531B1 (ko) 바닷물 흡입, 배출이 가능한 모터서프용 임펠러
CN108479241B (zh) 一种新型降霾除尘机
CN204104634U (zh) 一种新型食品加工滚揉机
CN106240735A (zh) 一种水面滑行船
CN209836940U (zh) 一种船舶停靠装置
CN102730167A (zh) 新型小水线面船
CN217146334U (zh) 一种螺旋桨动力装置及船舶
CN115055942A (zh) 一种转子轴承自动组装装置及方法
CN209997988U (zh) 一种pet瓶片的振动清洗装置
CN203854831U (zh) 一种节能助推的船舶减纵摇装置
CN210216331U (zh) 一种防冰冻水景坝
CN217170938U (zh) 一种具有降低碰撞损伤功能的船舶
CN203420256U (zh) 一种用于自升式平台桩腿的护舷
CN220060039U (zh) 一种轻便型渗漏排水泵
CN206031692U (zh) 水面滑行船
CN220865625U (zh) 一种船舶清洗装置
CN220835480U (zh) 一种带有清理结构的反应釜
CN201836007U (zh) 用于高压清洗机中的电机泵
CN216008937U (zh) 一种环境保护用污水泵保护装置
CN218085986U (zh) 一种防碰撞的船舶螺旋桨
CN214787859U (zh) 一种带有稳定机构的充气筒
CN219120340U (zh) 一种公务艇内自适应的lng燃料罐防护机构
CN211537026U (zh) 一种新型环保除尘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